KR20110031120A - 의자 - Google Patents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1120A
KR20110031120A KR1020100091116A KR20100091116A KR20110031120A KR 20110031120 A KR20110031120 A KR 20110031120A KR 1020100091116 A KR1020100091116 A KR 1020100091116A KR 20100091116 A KR20100091116 A KR 20100091116A KR 20110031120 A KR20110031120 A KR 20110031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ocking
chair
back suppor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1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벤자민 브라이트크로이츠
프랭크 바이써
Original Assignee
다누프힌 엔트빅클룽스 운트 베타일리궁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누프힌 엔트빅클룽스 운트 베타일리궁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다누프힌 엔트빅클룽스 운트 베타일리궁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10031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11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detachable or loose type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의자는 바닥에 대해 지지되는 축대(2); 축대(2)에 연결되는 좌석 지지대(5); 상기 좌석 지지대(5) 상에 배치되는 좌석(6); 및 등받이(8)를 지지하는 등받이 지지대(7)를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 지지대는 상기 좌석 지지대(5)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된다.

Description

의자{Chair}
본 발명은 등받이를 포함하는 의자, 특히 사무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등받이가 있는 의자는 오랜 기간 알려져 왔다. 이러한 의자는 조립된 상태에서 부피가 너무 크기 때문에 보통 적절히 조립된 형태로 공급된다. 상기 의자는 현장에서 조립한다. 이러한 경우 때로는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여 약간의 어려움이 따르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러한 작업을 위해서는 도구 또한 필요하다. 분해작업 또한 어려운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이 제기하고자 하는 문제는 등받이 지지대 또는 등받이를 간단한 구조로 좌석 지지대에 부착할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등받이 지지대는 좌석 지지대 상에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되어야 하며, 이로써 등받이 지지대가 흔들리지 않게 된다. 등받이 지지대 또는 등받이는 쉽게 분리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문제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 특히 사무용 의자에 의해 해결할 수 있는데, 상기 의자는 바닥에 지지되는 축대, 상기 축재와 연결된 좌석 지지대, 상기 좌석 지지대 상에 배치된 좌석, 및 등받이를 지지하는 등받이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 지지대는 상기 좌석 지지대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의 주요 관점은 등받이 지지대를 좌석 지지대에 분리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등받이는 좌석 지지대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되어, 큰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도 상기 의자를 쉽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를 분해하는 특별한 기술도 필요 없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상태를 확대도시한 종단면도로서, 이는 도 1에 도시한 의자의 좌석 지지대와 등받이 지지대의 사이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도 2에 다른 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선 IV-IV를 따른 수평 단면도이다.
도 1은 사무용 의자 전체를 도시하고 있다. 사무용 의자는 의자 지지대(1)를 포함한다. 의자 지지대(1)는 바닥과 같은 면(도시하지 않음) 상에서 여러 개의 롤러(3)에 의해 지지되는 축대(2)를 포함한다. 높이조절 의자 칼럼(4)이 바닥 지지대(2)에 수직하게 연장 고정되고, 칼럼의 상단부에 좌석 지지대(5)가 고정된다. 좌석 높이조절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좌석 지지대(5) 상에 배치되는데, 이는 의자 칼럼(4)의 높이를 조절하는 데 이용된다.
좌석(6)이 좌석 지지대(5) 상에 지지된다. 좌석(6)은 않기에 편안한 착석부를 제공한다. 좌석 지지대(5)와 좌석(6)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로 돌출되는 등받이 지지대(7)가 좌석 지지대(5)의 후부에 부착되고 그 상부에 등받이(8)가 고정된다. 등받이는 좌석에 앉은 사람의 등을 지지하는 면을 제공한다. 좌석 지지대(5), 등받이(8), 또는 좌석(6)에 팔걸이를 고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등받이(8) 또는 등받이 지지대(7)를 좌석 지지대(5)에 고정하는 것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좌석 지지대(5)는 대략 중앙 지지부(9)를 구비하고, 이때 의자 칼럼(4)이 대응되는 지지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장착된다. 지지부(9)의 뒤쪽에, 좌석 지지대(5)는, 길게 연장되는 안정적인 등받이 지지대 장착부(10)를 구비하고, 이 장착부는 등받이 지지대(7)를 유지하거나 부분적으로 장착하는 데 이용된다. 등받이 지지대 장착부(10)는 축형상으로 형성되어 대략 수평으로 연장된다. 이는 직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고 양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그러므로 벽(11,12,13)은 각각 평평한 판형상을 갖는다. 등받이 지지대 장착부(10)는 상부벽(11), 이에 대향하는 하부벽(12), 및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연결 측벽(13)으로 구성된다. 상, 하부벽(11,12)은 각각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고, 동시에 측벽(13)은 수직하게 형성된다. 이들의 중간 종방향 축은 대략 수평하다. 등받이 지지대 장착부(10)는 전단 및 후단면이 개방되지만, 그 전단의 개구부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등받이 지지대 장착부(10)는 후단부에 삽입 개구부(14)를 구비하고, 이는 외부로부터 접근이 가능하다. 등받이 지지대 장착부(10)의 삽입 개구부(14)의 반대측에는 전단 연결 개구부(15)가 형성되어 지지부(9) 내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연결 개구부(15)는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등받이 지지대(7)는 구부러진 형상을 갖는다. 등받이 지지대는 직선 삽입부(16) 및 직선 유지부(17)로 구성되고 이들은 수직하게 형성되면, 상기 직선 유지부 상에 등받이(8)가 고정된다. 등받이 지지부(7)는 기본적으로 균일한 사각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원추형으로 테이퍼진 원형부, 또는 원형 또는 타원형 단면 또한 가능하다. 등받이 지지대(7)의 단면은 등받이 지지대 장착부(10)의 대응되는 내측 가로방향 크기에 실질적으로 대응되고, 따라서 삽입부(16)는 등받이 지지대 장착부(10)에 삽입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사무용 의자가 조립된 상태에서, 등받이 지지대 장착부(10)의 벽(11, 12, 13)은 삽입부(16)의 대응되는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사무용 의자의 수직 대칭면에 놓여 대략 후자에 대칭되는 좌석 지지대(5) 상에 등받이(8) 또는 등받이 지지대(7)를 고정하기 위해, 수동 고정장치(18)가 좌석 지지대(5) 상에 제공된다. 고정장치(18)는 등받이 지지대 장착부(10)의 전면부의 연결 개구부(15)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는 단일 안정 고정부재(19)를 구비하고, 이 고정부재(19)는 등받이 지지대 장착부(10)에 장착된다. 고정부재(19)는 연결핀(20) 및 여기에 고정연결되는 단측 걸림부(21)를 포함한다. 연결핀(20)은 길게 연장되고 중앙 종방향 축(22)을 갖는다. 상기 연결핀은 둥근 단면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걸림부(21)는 판형상을 갖는다. 이는 연결핀(20)에 대해 측방으로 돌출되어 길게 연장된 대략 사각형상을 갖고, 여기서 서로 대향되는 단부(23)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고정부재(19)를 등받이 지지대 장착부(10)에 위치시키기 위해 두 개의 대향 지지 개구부(24,25)가 제공된다. 연결핀(20)이 수직으로 연장되어 걸림부(21)가 연결핀(20)의 상부에 부착된다. 지지 개구부(24)는 연결 개구부(15)에 인접한 등받이 지지대 장착부(10)의 상부벽(11)에 형성된다. 그 형상 및 크기는 걸림부재(21)의 형상 및 수평면 치수에 대략적으로 대응된다. 따라서 지지 개구부(24)는 두 개의 대향되는 반원형 단부(26)를 구비하고 이들은 각각 측벽(13)을 향해 형성된다. 걸림부재(21)의 수직 두께는 상부벽(11)의 수직 두께보다 크다. 지지 개구부(25)는 연결 개구부(15)에 인접한 하부벽(12)에 형성된다. 그 형상 및 크기는 연결핀(20)의 단면에 대략적으로 대응된다. 걸림부재(21)는 상부 지지 개구부(24)에 위치되고 연결핀(20)은 등받이 지지대 장착부(10)를 수직으로 통과하여 지지 개구부(25)를 관통한다.
나선형으로 연결핀(20)을 감싸는 나선형 압축스프링(27)이 연결핀(20) 상에 배치된다. 나선형 압축스프링(27)은 하부벽(12)의 내측면 및 걸림부재(21)의 하부면의 상부에 지지된다. 따라서 이는 이동 걸림부재(21)를 상향 또는 외측으로 밀게된다.
연결핀(20)의 하단부, 즉 걸림부재(21)로부터 먼 쪽의 단부는 하부벽(12)의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고정장치(18)의 부품인 단일 작동(actuating) 레버(28)가 연결핀(20)의 하단부에 부착된다. 작동 레버(28)는 작동핸들(29) 및 이에 고정 연결되는 작동캠(30)을 포함한다. 작동캠(30)은 굴곡된 캠 돌출부(33)를 구비하고 캠 돌출부는 기본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된 캠 기초몸체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된다. 작동캠(30)에는 원형 단면을 갖는 긴 지지 개구부(31)가 축방향으로 관통형성된다. 지지 개구부(31)는 작동캠(30)을 따라 연장된다. 원통형 지지핀(32)이 지지 개구부(31)의 내부에 배치되는데, 상기 지지핀은 고정장치(18)의 부품으로서 연결핀(20)의 하단부에 장착된다. 지지핀(32)은 지지축을 형성하는 중앙 종방향 축(34)을 갖는다. 상기 중앙 종방향 축은 대략 수평하다. 또한, 회전 잠금장치 또는 칼형상의 마개에 의해 걸림이 구현된다. 칼형상의 마개를 이용하는 경우 선택적으로 사점(dead center)을 통해 마찰걸림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사무용 의자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부벽(11)을 향하는 걸림오목부(35)가 삽입부(16)의 상부에서, 삽입부의 전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걸림오목부(35)는 상부를 향해 개방된다. 걸림오목부(25)의 형상 및 크기는 걸림부재(21)의 형상 및 수평면 치수에 대략적으로 대응된다. 걸림부(35)의 수직 깊이는 한정되는데, 1mm 내지 5mm, 바람직하게는 1.5mm 내지 3.5mm이다. 이는 수직하게 주변이 폐쇄되는 걸림벽을 형성하는 삽입부(16)의 재료에 의해 측방으로 한정된다.
좁은 직선 개구부(36)이 삽입부(16)의 전단부로부터 삽입부(16)의 중심을 따라 걸림오목부(35) 내로 연장된다. 상기 개구부(36)는 삽입부(16)를 완전히 관통하여 걸림오목부(35)를 둘로 나눈다. 이는 대략 걸림오목부(35)의 후방 종방향 측면(37)까지 연장된다. 그 폭은 연결핀(20)의 직경에 대략 대응된다. 좌석 지지대(5) 쪽으로 개방된 슬롯 형상의 개구부(36)는 본 발명이 기능함에 있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또한, 좌석 지지대(5) 상에 슬롯 형상의 개구부(36)를 제공하여 작동핸들(29)을 등받이 지지대(7)에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삽입부(16)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멈추개(detent element)(38)가 제공된다. 두 개의 멈추개(38)를 예를 들어 본 실시예를 설명한다. 멈추개(38)는 동일하게 형성되어 삽입부(16)의 바닥에 측방으로 위치된다. 상기 멈추개는 각각 긴 스프링 지지부재(39)를 구비하고 그 자유단에 아래로 돌출된 멈춤 노우즈(40)가 형성된다. 각각의 멈춤 노우즈(40)는 평평한 수직 유지면(41)을 갖고, 이는 아래를 향한다. 멈추개(38)는 등받이(8) 또는 등받이 지지대(7)를 좌석 지지대(5) 상에 더 고정하는 데 이용된다. 이들은 삽입부(16)의 전면에 제공된다
좌석 지지대(5)에 등받이(8) 또는 등받이 지지대(7)를 부착하고 좌석 지지대(5)에 등받이 지지대(7)를 고정하는 구성에 대해 아래에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삽입부(16)는 후방 삽입 개구부(14)를 통해 수평의 미는 방향(42)를 따라 등받이 지지대 장착부(10) 내부로 삽입된다. 이러한 경우, 유지부(17)는 삽입부(16)에서 위로 연장되며 작동핸들(29)은 지지핀(32)에 대해 거의 수직하게 아래로 회전하게 된다. 중앙 종방향 축(34)에 대해 약 90° 의 각도를 이루고 있는 작동캠(30)의 평평한 헤드부(44)는 캠 돌출부(33)로부터 소정 각도로 이격되며, 작동핸들(29)의 해제 위치에서 하부벽(12)상에 외측으로 놓이게 된다. 헤드부(44)는 캠 돌출부(33)보다 상당히 작은 반경방향 두께를 갖는다. 나선형 압축스프링(27)는 걸림부재(21)를 수직상방으로 밀고, 따라서 걸림부재(21)의 하부측면은 상부벽(11)의 하부측면에 대략적으로 정렬된다. 걸림부재(21)가 상부벽(11)보다 두껍기 때문에, 걸림부재(21)는 상부벽(11)에 대해 지지 개구부(24)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걸림부재(21)가 등받이 지지대 장착부(10) 내부로 돌출되지 않게 되어, 상기 등받이 지지대 장착부가 수직방향으로 자유로우며 삽입부(16)는 등받이 지지대 장착부(10) 내의 소정 위치까지 밀릴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재(19) 또는 걸림부재(21)가 최상부까지 위치하게 되며, 이 위치는 등받이 지지대(7) 또는 삽입부(16)의 해제 위치가 된다.
등받이 지지대(7)의 단부 위치는 도 2에 특히 잘 도시되어 있다. 2. 상기 단부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우선 등받이 지지대 장착부(7)는 멈추개(38)에 의해 좌석 지지대(5)에 고정된다. 멈춤 노우즈(40)는 하부 걸림위치까지 탄성적으로 자동 위치되며, 이때 좌석 지지대(5)에 걸리게 된다. 이러한 잠금을 반드시 할 필요는 없지만, 이로 인해 정확한 조립이 가능해진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면(41)이 대응되는 좌석 지지대(5)의 수직벽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삽입부(16)가 유지면(41)과 수직벽 사이의 상호연결 수단에 의해 삽입방향(42)의 반대방향으로 빠져나올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멈춤 노우즈(40)는 또한 좌석 지지대(5)의 적어도 하나의 멈춤오목부에 걸릴 수 있다. 멈추개(38)는 걸림 위치에 소리를 내며 걸리게 된다. 이로써 작업자는 등받이 지지대(7)의 단부가 소정 위치에 도달하여 잠금이 완성되었음을 알게 된다. 멈추개(38)는 동시에 편심기(eccentric)이 잘못 닫히는 경우 제거장치의 기능을 하고, 또한 편심기가 잘못 클램핑된 경우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장치(18)는 등받이(8) 또는 등받이 지지대(7)를 좌석 지지대(5)에 고정하는 데 또 하나의 역할을 담당한다.. 이를 위해, 작동 레버(28)는 작동핸들(29)을 통해 수동을 작동되어야 한다. 이는 지지핀(32)의 중앙 종방향 축(34)에 대해 도 2에 도시된 해제 위치에서 도 2의 시계방향으로 수평 걸림위치까지 회전되어야 하며, 이로써 작동 캠(30)이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시, 캠 돌출부(33)는 뒤집어지고, 따라서 걸림부재(21)가 나선형 압축스프링(27)의 힘에 대하여 연결핀(20)을 통해 삽입부(16) 바로 아래에 위치된 걸림오목부(35)로, 축방향으로 수직하게 아래로 당겨지게 된다. 걸림오목부(35)의 걸림벽은 이때 지지 개구부(24)의 측벽와 대략적으로 정렬된다. 또한, 걸림부재(21)의 상측면도 상부벽(11)의 외측면과 정렬된다.
걸림부재(21)의 하부 걸림위치에서, 걸림부재(21)는 걸림오목부(35)에 양성적으로(positive manner) 맞물려 바닥에 평평하게 놓이게 된다. 또한, 걸림부재(21)는 지지 개구부(24) 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걸림부재(21)의 측면은 걸림오목부(35)의 수직 걸림벽 및 지지 개구부(24)의 수직 측벽에 근접하게 되며, 이로써 등받이 지지대(7)를 확실히 잠그게 되고 등받이 지지대(7)가 좌석 지지대(5)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등받이 지지대(7)는 좌석 지지대에 대해 삽입방향(42)으로 꼭 맞게 고정된다. 걸림부재(21)는 좌석 지지대(5)와 등받이 지지대(7) 사이의 볼트 역할을 하고, 이때 삽입부(6) 및 좌석 지지대(5)와 꼭 맞게 맞물린다.
작동 레버(28)의 걸림위치는 외사점(beyond dead center)에 있게 된다. 이 위치는 안정적이며 외력에 의해서만 바뀔 수 있다. 작동핸들(29)는 캠 돌출부(33)의 유효영역 상에서 걸림위치까지 회전한다. 삽입부(6)의 최종 위치에서, 연결핀(20) 개구부(36)를 관통하여, 바람직하게는 그 후단부를 지지한다.
상기 걸림위치에서, 지지 개구부(24)의 해당 벽 및 걸림오목부(35)는 등받이 지지대(7)를 미는 방향(42)에 대해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미는 방향으로 수직하에 연장되는 걸림부재(21)의 종방향 측면에 할당되어야 한다.
등받이(8) 또는 등받이 지지대(7)를 좌석 지지대(5)에서 분리하기 위해, 작동 핸들(29)을 반시계방향으로 하향 회전시키고, 따라서 작동캠(30)도 회전하게 된다. 작동 레버(28)를 상기 외사점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최초, 큰 외력을 수동으로 가해야 한다. 캠 돌출부(33)가 다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나선형 압축스프링(27)이 걸림부재(21)를 걸림오목부(35)에서 뒤쪽 상방으로 밀 수 있고, 이로써 걸림부재(21)가 걸림오목부(35)에서 해제될 수 있다.
그 후, 멈춤 노우즈(40)가 수동으로 상방으로 회전되어, 등받이 지지대(7)와 좌석 지지대(5)에 더 이상 걸리는 것이 없게 된다. 잠금장치(38)를 다르게 배치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걸림부들의 회전이 측방으로 일어나게 된다. 이로써 등받이 지지대(7)나 등받이 지지대 장착부(10)로부터 뒤쪽으로, 삽입방향(42) 반대방향으로 빠져나올 수 있다.
등받이 지지대(7)를 조립 및 해체하는 데 어떠한 도구도 필요치 않다. 좌석 지지대(5) 상에 등받이 지지대(7)를 도구 없이 장착할 수 있고, 또한 아무런 도구 없이 이를 좌석 지지대에서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 및 분해가 쉽고 빠르게 진행된다. 여기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립 및 분해를 도구 없이 또는 간단한 도구를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부수적인 작업이 필요치 않게 된다. 예를 들어 직경 4mm의 핀, 또는 종이 클립도 간단한 도구라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삽입부(16)는 중공의 부재이다. 이는 예를 들어 직사각형의 외형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따라서 상기 등받이 지지대 장착부를 감싸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고정부재(19)의 걸림위치는 보다 높게 형성되고, 반면 고정부재(19)의 해제위치는 보다 낮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반대의 경우가 된다.
사무용 의자를 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다. 이와 같은 종류의 사무용 의자는 예를 들어 공지의 동기식(synchronous) 기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등받이가 구비된 다른 의자에도 이용할 수 있다.
등받이 지지대 장착부(10)는 개별 부품으로서 등받이 지지대(5)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전(front)” 및 “후(rear)” 등의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용어는 도 1에 도시된, 정확하게 세팅된 의자에 정상적으로 앉은 사람의 시야방향과 관련된 것이다. 1. 작동 레버(28)는 따라서, 예를 들어, 유지부(17)의 전방에 위치된다. “수평” 및 “수직” 등도 같은 방식으로 사용하고 있다.
나선형 압축스프링(27) 대신에 다른 스프링이나 탄성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유연한 탄성재로 만들어진 블록을 이용할 수도 있다.
멈추개(38) 또한 좌석 지지대(5)에 제공되어 등받이 지지대(7)의 적당한 오목부에 맞물릴 수도 있다.

Claims (18)

  1. 의자, 특히 사무용 의자에 있어서,
    a) 바닥에 대해 지지되는 축대(2);
    b) 축대(2)에 연결되는 좌석 지지대(5);
    c) 상기 좌석 지지대(5) 상에 배치되는 좌석(6); 및
    d) 등받이(8)를 지지하는 등받이 지지대(7)를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 지지대(7)는 상기 좌석 지지대(5)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 지지대(5)는 상기 등받이 지지대(7)를 유지하기 위한 등받이 지지대 장착부(10)를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 지지대(7)는 상기 등받이 지지대 장착부(10) 내부로 밀려들어 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지지대(7)는 적어도 하나의 멈추개(38)에 의해 상기 좌석 지지대(5)에 대해 걸림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멈추개(38)는 상기 등받이 지지대(7) 및 상기 좌석 지지대(5) 중 하나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지지대(7)는 적어도 하나의 멈추개(38)에 의해 상기 좌석 지지대(5)에 대해 걸림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멈추개(38)는 멈춤 노우즈(40)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멈추개(38)는 상기 등받이 지지대(7) 및 상기 좌석 지지대(5) 중 하나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5.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좌석 지지대(5) 상의 상기 등받이 지지대(7)를 부분적으로 고정하는 고정장치(18)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장치(18)는 수동으로 작동가능한 고정부재(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9)는 상기 좌석 지지대(5) 상에 장착되어 걸림위치 및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9)는 상기 등받이 지지대(7)와의 상호작용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부재(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21)는 상기 등받이 지지대(7)의 걸림위치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21)는 상기 등받이 지지대(7)의 걸림위치에 양성적으로 (positive manner)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9) 상에서 스프링부재(27)가 상기 걸림부재(21)를 상기 해제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18)는 작동 레버(28)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레버는 이동을 위해 상기 고정부재(19)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12. 제 11항에 있어서, 작동캠(30)이 상기 작동 레버(28) 상에 형성되고, 상기 작동 레버(28)는 안정된 외사점(beyond dead center) 에서 상기 고정부재(19)의 걸림위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지지대(7)는 도구를 이용하지 않고, 또는 간단한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좌석 지지대(5)에 적어도 연결되거나 또는 이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14.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21)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1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지지대 장착부(10)의 상부벽(11)에 지지 개구부(24)가 형성되며, 그 형상 및 크기는 상기 걸림부재(21)의 형상 및 수평면 치수에 대략적으로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21)의 걸림위치에서, 상기 걸림부재(21)는 상기 좌석 지지대(5)와 상기 등받이 지지대(7) 사이의 잠금장치 역할을 하고, 이때 양성적으로 상기 좌석 지지대(5) 및 상기 등받이 지지대(7)의 삽입부(16)에 모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21)는 측면을 갖고, 상기 걸림부재(21)의 상기 걸림위치에서, 걸림오목부(35)의 수직 걸림벽에 근접한 상기 걸림부재(21)의 측면은 상기 삽입부(16) 및 상기 지지 개구부(24)의 수직 측벽에 배치되어, 상기 등받이 지지대(7)가 확실히 고정되며 상기 좌석 지지대(5)에 대한 상기 등받이 지지대(7)의 상대이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21)는 측면을 갖고, 상기 걸림부재(21)의 상기 걸림위치에서, 걸림오목부(35)의 수직 걸림벽에 근접한 상기 걸림부재(21)의 측면은 상기 삽입부(16) 및 상기 지지 개구부(24)의 수직 측벽에 배치되어, 상기 등받이 지지대(7)가 확실히 고정되면 상기 좌석 지지대(5)에 대한 상기 등받이 지지대(7)의 상대이동을 방지하고, 상기 걸림오목부(35)의 형상 및 크기는 상기 걸림부재(21)의 형상 및 수평면 치수에 대략적으로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KR1020100091116A 2009-09-18 2010-09-16 의자 KR201100311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41822A DE102009041822A1 (de) 2009-09-18 2009-09-18 Stuhl
DE102009041822.9 2009-09-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1120A true KR20110031120A (ko) 2011-03-24

Family

ID=43243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1116A KR20110031120A (ko) 2009-09-18 2010-09-16 의자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449035B2 (ko)
EP (1) EP2298133B1 (ko)
KR (1) KR20110031120A (ko)
CN (1) CN102018384B (ko)
AT (1) ATE548945T1 (ko)
DE (1) DE102009041822A1 (ko)
DK (1) DK2298133T3 (ko)
ES (1) ES2381586T3 (ko)
PL (1) PL2298133T3 (ko)
ZA (1) ZA20100652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69815A1 (en) * 2021-05-21 2022-11-24 Bock 1 Gmbh & Co. Kg Backrest support for a seating furni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64230B2 (en) * 2010-06-15 2014-10-21 Betty A. Augustat Ergometric chair apparatus
US11304528B2 (en) 2012-09-20 2022-04-19 Steelcase Inc. Chair assembly with upholstery covering
USD697726S1 (en) 2012-09-20 2014-01-21 Steelcase Inc. Chair
DE102014003676A1 (de) 2014-03-14 2015-09-17 Bock 1 Gmbh & Co. Kg Stuhl, insbesondere Bürostuhl
US9578971B2 (en) * 2015-08-02 2017-02-28 Dongguan Kentec Office Seating Co., Ltd. Armrest interval adjustment structure for a chair
US9795220B1 (en) * 2016-05-09 2017-10-24 Atec International Team Co., Ltd. Quickly released and fastened adjustment mechanism
KR101698730B1 (ko) * 2016-11-01 2017-01-20 이명주 카시트용 발받침의 위치조절수단
DE102020101034A1 (de) * 2020-01-17 2021-07-22 Bock 1 Gmbh & Co. Kg Träger für ein Sitzmöbel
GB202007082D0 (en) * 2020-05-13 2020-06-24 Gibson Aaron Assemblage for forming a treatment chair
DE102021214820B4 (de) 2021-12-21 2023-10-19 Sedus Stoll Aktiengesellschaft Verbindungsanordnung und Bürostuhl
US11672347B1 (en) * 2022-01-18 2023-06-13 Comfordy Co., Ltd. Chair back and seat assembly
US11730269B1 (en) * 2022-03-10 2023-08-22 Gary Rosebrook Posture control chair
US11622631B1 (en) * 2022-09-15 2023-04-11 Jay A. Berkowitz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a modular ergonomic chair without using fasteners
TWI826326B (zh) * 2023-05-23 2023-12-11 宣禹實業股份有限公司 椅具扶手組裝結構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73031A (en) * 1958-12-08 1961-02-28 Cramer Posture Chair Company I Cast base for chair seats
US4102549A (en) * 1977-04-13 1978-07-25 Knoll International, Inc. Apparatus for adjusting the back support of a chair
JP2500932Y2 (ja) * 1993-05-12 1996-06-12 株式会社内田洋行 椅 子
US5462338A (en) * 1994-04-01 1995-10-31 Krueger International, Inc. Adjustable arm control
DE29502276U1 (de) * 1995-02-13 1995-03-30 Actiform Sitzmoebel Gmbh Stuhl, insbesondere Arbeitssitz, mit und ohne Rückenlehne
CA2201253C (en) * 1997-03-27 2001-08-28 William R. Breen Chair control
CN2327246Y (zh) * 1997-12-26 1999-07-07 陈明城 一种组合式靠背椅
US5944387A (en) * 1998-05-04 1999-08-31 Northfield Metal Products Ltd. Adjustment mechanism for chairs
CN2335466Y (zh) * 1998-10-12 1999-09-01 富锢有限公司 可弯折的椅背骨架装置
GB9928509D0 (en) * 1999-12-03 2000-02-02 Unit Press Limited Improvements to chairs
US6659560B1 (en) * 2003-01-13 2003-12-09 Ching-Hui Chi Office chair
DE10312446B3 (de) * 2003-03-20 2004-08-26 Steelcase Werndl Aktiengesellschaft Stuhl mit Rückenlehnen-Schnellkupplungsvorrichtung
US7380884B2 (en) * 2003-10-29 2008-06-03 Leggett & Platt Ltd. Switching apparatus
US7527335B2 (en) * 2006-02-27 2009-05-05 Steelcase Inc. Seating unit with adjustable components
US8104838B2 (en) * 2009-12-15 2012-01-31 Po-Chuan Tsai Armrest assembly that can adjust its leftward and rightward position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69815A1 (en) * 2021-05-21 2022-11-24 Bock 1 Gmbh & Co. Kg Backrest support for a seating furniture
US11950709B2 (en) * 2021-05-21 2024-04-09 Bock 1 Gmbh & Co. Kg Backrest support for a seating furni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2298133T3 (pl) 2012-08-31
DE102009041822A1 (de) 2011-03-24
CN102018384A (zh) 2011-04-20
CN102018384B (zh) 2014-12-31
ZA201006525B (en) 2013-08-28
US8449035B2 (en) 2013-05-28
EP2298133B1 (de) 2012-03-14
DK2298133T3 (da) 2012-07-09
EP2298133A1 (de) 2011-03-23
ES2381586T3 (es) 2012-05-29
ATE548945T1 (de) 2012-03-15
US20110068613A1 (en) 2011-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31120A (ko) 의자
US10993535B2 (en) Pivot fitting and piece of furniture
JP5951960B2 (ja) 張材の張設構造
JPH10272031A (ja) 椅子の座の傾動方法および傾動自在の座を備えた椅子
JP6001144B2 (ja) ランバーサポート、およびそれを設けた椅子
JP2000139602A (ja) ロッキング装置のロック機構
KR101970736B1 (ko) 의자
JP2018510678A (ja) フリーウエイトアセンブリを支持するためのクレードル
JP5823819B2 (ja) 椅子
JP4908826B2 (ja) リクライニング椅子
KR200465274Y1 (ko) 좌판 기울기 각도가 조절되는 의자
JP2004049717A (ja) 椅子における背凭れ等の傾動装置
JP5905707B2 (ja) 椅子
JP5823820B2 (ja) 椅子
KR100698586B1 (ko) 책상 및 의자용 높이 조절 장치
JP6158999B2 (ja) 椅子
JP5823817B2 (ja) 椅子
CN211354697U (zh) 用于座椅的锁定控制机构
JP5824304B2 (ja) 椅子
JP6917114B2 (ja) 反力調整機構および椅子
JP6093060B2 (ja) 椅子の背凭れ、及びそれを備える椅子
JP3661406B2 (ja) 椅子の肘掛け装置
JP6727112B2 (ja) ヘッドレスト及び医療用診療台
JP5905706B2 (ja) 椅子
JP6093059B2 (ja) 椅子の背凭れ、およびそれを備える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