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0749A - 잔골재, 미세모래, 이물질제거 습식 분급장치 - Google Patents

잔골재, 미세모래, 이물질제거 습식 분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0749A
KR20110030749A KR1020090088321A KR20090088321A KR20110030749A KR 20110030749 A KR20110030749 A KR 20110030749A KR 1020090088321 A KR1020090088321 A KR 1020090088321A KR 20090088321 A KR20090088321 A KR 20090088321A KR 20110030749 A KR20110030749 A KR 20110030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tank
fine
cyclone
foreign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8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용
Original Assignee
유성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성용 filed Critical 유성용
Priority to KR1020090088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0749A/ko
Publication of KR20110030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07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2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 B03B5/3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using heavy liquids or suspensions
    • B03B5/32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using heavy liquids or suspensions using centrifugal force
    • B03B5/34Applications of hydrocycl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6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 B01D21/267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by using a cycl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잔골재, 미세모래, 이물질제거 습식 분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원석을 파쇄한 골재를 분급하여 양질의 모래로 제조할 수 있으며, 모래의 분급과정에서 미세모래의 유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자 본 발명은, 잔골재, 미세모래, 이물질제거 습식 분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더티탱크로부터 유입된 이물질을 담아 침전물을 발생시키고 상부에 오버플로우되는 슬러지를 별도로 배출하는 침전탱크와; 상기 침전탱크의 침전물을 투입하여 저장하는 제2호퍼탱크와; 상기 제2호퍼탱크의 침전물을 흡입하여 제2사이클론으로 투입하는 제2샌드펌프와; 상기 제2샌드펌프에 의해 투입된 침전물로부터 미세모래를 분급하여 상기의 탈수스크린으로 공급하고 이물질은 침전탱크로 투입하는 제2사이클론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잔골재, 미세모래, 이물질제거 습식 분급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Figure P1020090088321
잔골재, 미세모래, 침전탱크, 호퍼탱크, 사이클론.

Description

잔골재, 미세모래, 이물질제거 습식 분급장치{Water type distribute equipment for Aggregate, sand, impurities removal}
본 발명은 잔골재, 미세모래, 이물질제거 습식 분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원석을 파쇄한 골재를 분급하여 양질의 모래로 제조할 수 있으며, 모래의 분급과정에서 미세모래의 유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잔골재, 미세모래, 이물질제거 습식 분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석을 파쇄한 골재(모래)는 조립률이 떨어져 레미콘 회사에서 기피하고 있으며, 조립률을 맞추기 위해서는 미세사의 부족으로 인해 강사, 해사 등의 천연모래를 일부 혼합하여 조립률을 충족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의 천연모래는 채취지역에 따라 입도의 변화가 매우 크게 나타날 뿐만 아니라 입도의 조절이 불가능하여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등 비효율적이며, 수급이 일정하지 못하고 공급가격의 불균형으로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는 등이 문제점들이 있었다. 반면 부수모래는 인위적으로 제조한다는 제품의 특성상 전반적인 입자의 크기가 비교적 일정하며, 입도의 조정 및 분포가 일정한 품질(조립률 2.3~3.1) 의 모래를 생산 공급할 수 있어 콘크리트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입도 및 조립률은 콘크리트의 작업성 및 경화 후의 콘크리트 강도, 내구성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입도가 좋으면 실적률이 증가하게 되며, 콘크리트의 밀도, 마모저항성, 수밀성, 내구성 등이 증대되고 적은 단위 시멘트량으로 소요강도의 콘크리트를 만들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단위 시멘트 절감으로 건조 수축 및 수화열을 감소시켜 균열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세립자가 많으면 콘크리트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잔골재 및 모래 생산장치는, 원석을 임팩터크러셔 등과 같은 골재파쇄수단에 의해 파쇄된 골재가 진동스크린을 거치면서 5mm이상의 골재(Sa)와 5mm이하의 모래(Sb)로 분류된다. 이후 상기의 모래(2b)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 및 불순물 등을 여과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하지만, 골재의 파쇄 및 생산공정에서 세립자의 생산이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소실률이 높아 생산량이 미흡하며, 생산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생산된 모래 및 미세모래의 입도 및 품질이 일정하지 못하여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잔골재로부터 선별된 모래를 1차 분급하여 5mm이하의 모래로 생산하고 이와 함께 이물질에 포함된 미세모래를 순환시키면서 2차 분급함으로써, 1mm이하의 미세모래를 포함하는 양질의 모래로 제조할 수 있도록 된 잔골재, 미세모래, 이물질제거 습식 분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원석을 파쇄하는 임팩터크러셔와, 상기 임팩터크러셔에서 파쇄된 잔골재와 모래를 입자의 크기에 따라 분급하여 별도로 배출하는 습식 진동스크린과, 상기의 모래를 저장하는 제1호퍼탱크와, 상기 제1호퍼탱크의 모래를 제1사이클론으로 투입하는 제1샌드펌프와, 상기 모래와 이물질을 분급하기 위한 제1사이클론과, 상기 제1사이클론에서 분급된 모래를 탈수하여 배출하는 탈수스크린과, 상기 제1사이클론으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을 저장하는 더티탱크로 된 잔골재, 미세모래, 이물질제거 습식 분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더티탱크로부터 유입된 이물질을 담아 침전물을 발생시키고 상부에 오버플로우되는 슬러지를 별도로 배출하는 침전탱크와; 상기 침전탱크의 침전물을 투입하여 저장하는 제2호퍼탱크와; 상기 제2호퍼탱크의 침전물을 흡입하여 제2사이클론으로 투입하는 제2샌드펌프와; 상기 제2샌드펌프에 의해 투입된 침전물로부터 미세모래를 분급하여 상기의 탈수스크린으로 공급하고 이물질은 침전탱크로 투입하는 제2사이클론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잔 골재, 미세모래, 이물질제거 습식 분급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침전탱크(34)의 유입구 측에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선별스크린(36)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잔골재, 미세모래, 이물질제거 습식 분급장치는 골재를 파쇄한 잔골재를 순환시키면서 5mm이하의 모래로 생산함은 물론 이물질을 여과하면서 분급하여 1mm이하의 정밀한 미세모래도 정밀하게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생산된 모래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동일 공정에서의 제품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슬러지(이물질)의 배출량을 감소시켜 환경오염을 예방하는데 탁월한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며, 미세모래 및 분진으로 인해 각종 공정상의 배관, 펌프, 필터프레스, 여과포, 응집제 등과 같은 장치의 손상을 방지하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음은 물론 유지보수 비용을 현저히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모래의 입도 조정이 용이하고 입도 분포가 일정한 품질의 모래를 생산 공급할 수 있음으로 콘크리트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미분의 감소로 필터프레스의 여과포 수명이 연장되는 이점이 수반된다. 이화 함께 슬러지의 발생량이 감소하여 슬러지의 처리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게 되고, 슬러지를 침전하기 위한 응집제 사용을 감소시켜 경비절감 및 환경오염방지 에 이바지할 수가 있다. 그리고 원료의 미분량 및 다른 변화 조건에 따라 간단한 부품 교환만으로도 다양한 분야의 환경시설에 적용 가능한 탁월한 장점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상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잔골재, 미세모래, 이물질제거 습식 분급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상기의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잔골재, 미세모래, 이물질제거 습식 분급장치는, 원석을 파쇄하는 임팩터크러셔(12)와, 상기 임팩터크러셔에서 파쇄된 잔골재(Sa)와 모래(Sb)를 입자의 크기에 따라 분급하여 별도로 배출하는 습식 진동스크린(14)과, 상기의 모래(Sb)를 저장하는 제1호퍼탱크(22)와, 상기 제1호퍼탱크(22)의 모래(Sb)를 제1사이클론(26)으로 투입하는 제1샌드펌프(24)와, 상기 모래(Sb)와 이물질을 분급하기 위한 제1사이클론(26)과, 상기 제1사이클론(26)에서 분급된 모래(Sb)를 탈수하여 배출하는 탈수스크린(30)과, 상기 제1사이클론(26)으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을 저장하는 더티탱크(28)로 된 잔골재, 미세모래, 이물질제거 습식 분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더티탱크(28)로부터 유입된 이물질을 담아 침전물을 발생시키고 상부에 오버플로우되는 슬러지를 별도로 배출하는 침전탱크(34)와; 상기 침전탱크(34)의 침전물을 투입하여 저장하는 제2호퍼탱크(38)와; 상기 제2호퍼탱크(38)의 침전물을 흡입하여 제2사이클론(32)으로 투입하는 제2샌드펌프(40)와; 상기 제2샌드펌프(40)에 의해 투입된 침전물로부터 미세모래(Sc)를 분급하여 상기의 탈수스크린(30)으로 공급하고 이물질은 침전탱크(34)로 투입하는 제2사이클론(3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위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습식 분급장치는, 원석공급부(10)에 모인 원석은 임팩터크러셔(12)로 투입되고, 상기 임팩터크러셔(12)는 원석을 파쇄하여 13mm이하의 잔골재로 가공되며, 이렇게 파쇄된 잔골재는 진동스크린(14)을 거치면서 5mm이상의 잔골재(Sa)와 5mm이하의 모래(Sb)로 구분하게 된다. 상기의 원선은 각종 골재, 토목현장, 건축현장 등의 재활용 폐기물 등을 포함한다.
즉 상기 진동스크린(14)은 스크린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5mm이하의 입자를 가지는 모래(Sb)들은 스크린을 통과하여 바닥으로 추락하고, 5mm이상의 다소 큰 입자를 가지는 잔골재(Sa)들은 스크린에 의해 걸러져 이송된 후 정해진 장소에 모여진다.
상기 진동스크린(14)에 의해 분리된 5mm이하의 모래(Sb)는 본 발명에 의한 미세모래유니트(20)로 이송된다. 여기서 상기의 모래(Sb)에는 다량의 분진 내지 이 물질, 불순물 등(이하 '이물질'이라 함)이 함께 섞여 있어서, 상기 미세모래유니트(20)에 의해 이를 여과하여 분리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진동스크린(14)의 내부에는 살수부(15)를 구비하여 물을 분사함으로써, 모래의 분급을 원활하고 분진의 발생을 억제하게 된다.
상기 미세모래유니트(20)는 상기 5mm이하의 모래(Sb)를 선별하기 위한 것으로, 제1, 제2호퍼탱크(22,38)와, 제1, 제2사이클론(26,32)과, 더디탱크(28)와, 침전탱크(34)와, 제1, 제2샌드펌프(24,40)로 구성된다.
상기 제1호퍼탱크(22)는 진동스크린(14)으로부터 공급된 모래(Sb)를 저장하며, 이렇게 모인 모래는 제1샌드펌프(24)에 의해 제1사이클론(26)으로 공급된다.
상기 제1사이클론(26)은 5mm이하의 모래(Sb)와 이물질을 분리하는 것으로, 이물질을 분리한 모래(Sb)는 하부의 탈수스크린(30)으로 투입되고, 분리된 이물질은 상부의 더디탱크(28)로 투입된다.
상기 탈수스크린(30)은 제1호퍼탱크(22)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어서, 탈수된 물은 다시 제1호퍼탱크(22)로 투입되며, 탈수가 완료된 모래(Sb)는 일측으로 이송되어 일정한 장소에 모여진다. 여기서 상기 탈수스크린의 표준 분급점은 원석을 파쇄한 잔골재의 습식분급장치 메쉬(0.074)로서 분급점을 조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탈수스크린(30)을 거친 모래의 수분함량은 10%미만으로 배출된다.
상기 더티탱크(28)는 제1사이클론(26)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을 저장하는 것으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스크린이 구비되며, 내부로 투입된 이물질은 탱크의 바닥에 누적되면서 침전물이 발생한다. 이러한 침전물은 이물질과 함께 1mm이하의 미세모래(Sc)이 혼합되어 있어서, 다음 공정의 침전탱크(34)를 거쳐 재차 분리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상기의 제1사이클론(26)에서 5mm이하의 모래(Sb)와 이물질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가벼운 1mm이하의 미세모래(Sc)들이 이물질과 함께 더티탱크(28)로 투입되는 것이다.
상기 침전탱크(34)는 더티탱크로부터 유입된 침전물 즉, 미세모래(Sc)가 바닥에 침전된다. 그리고 오버플로우되는 슬러지(이물질)를 최종적으로 분리 배출하게 되며, 상기의 슬러지는 폐수처리설비(100)의 침전탱크로 배출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잔골재, 미세모래, 이물질제거 습식 분급장치는, 상기 침전탱크(34)의 유입구 측에 선별스크린(36)이 구비되어 있어서, 이물질을 재차 여과함에 따라 제품의 품질을 한층더 향상시킨다.
다음 상기 침전탱크(34)의 바닥에 침전된 침전물 즉, 미세모래(Sc)는 하부의 제2호퍼탱크(38)로 투입된다.
상기 제2호퍼탱크(38)에 담긴 미세모래(Sc)의 침전물은 제2샌드펌프(40)에 의해 탈수스크린의 상부에 구비된 제2사이클론(32)으로 투입되며, 상기의 제1호퍼탱크(22)에서 발생하는 처리량의 일부를 직접적으로 투입할 수도 있다. 상기 제2사이클론(32)은 탈수스크린(3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사이클로(32)은 1mm이하의 미세모래(Sc)를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의 미세모래(Sc)는 분급되어 하부의 탈수스크린(30)으로 투입되며, 분리된 이물질은 상기의 침전탱크(34)로 다시 투입되어 상기의 과정을 거친다. 이때 상기 제2사이클론(32)으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은 선별스크린(36)을 거쳐 이물질을 여과한 후 침전탱크(34)로 투입된다.
상기의 제1,제2사이클론(26,32)은 원통형 접선 방향으로 고형물이 분산되어 유입되면서 회전하게 되며 이것이 분리입자에 원심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즉 원심력, 입자비중, 액비중, 농도, 점도, 체류시간 등에 영향을 받아 굵은 입자(모래)는 중심으로부터 외벽을 향해 언더플로우(Underflow)되며 미립자(이물질)는 오버플로우(Overflow)되어 분급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함께 뛰어난 분급을 수행할 수 있으며 처리용량이 크고 손쉽게 분급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잔골재, 미세모래, 이물질제거 습식 분급장치는 원석을 잘게 파쇄한 골재로부터 5mm이하의 모래(Sb)를 비롯한 1mm이하의 미세모래(Sc)마저도 정밀하게 분급하여 양질의 모래로 자동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입자의 분급 효율이 매우 우수하며, 제조된 모래의 회수율이 99%이상 향상되며, 미분의 제거율도 95%이상으로 생산품질을 향상시킴에 따라 국내의 골재 잔입자 시험방법(KSF2511)의 기준에 적합한 모래로 생산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잔골재, 미세모래, 이물질제거 습식 분급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Claims (2)

  1. 원석을 파쇄하는 임팩터크러셔(12)와, 상기 임팩터크러셔에서 파쇄된 잔골재(Sa)와 모래(Sb)를 입자의 크기에 따라 분급하여 별도로 배출하는 습식 진동스크린(14)과, 상기의 모래(Sb)를 저장하는 제1호퍼탱크(22)와, 상기 제1호퍼탱크(22)의 모래(Sb)를 제1사이클론(26)으로 투입하는 제1샌드펌프(24)와, 상기 모래(Sb)와 이물질을 분급하기 위한 제1사이클론(26)과, 상기 제1사이클론(26)에서 분급된 모래(Sb)를 탈수하여 배출하는 탈수스크린(30)과, 상기 제1사이클론(26)으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을 저장하는 더티탱크(28)로 된 잔골재, 미세모래, 이물질제거 습식 분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더티탱크(28)로부터 유입된 이물질을 담아 침전물을 발생시키고 상부에 오버플로우되는 슬러지를 별도로 배출하는 침전탱크(34)와;
    상기 침전탱크(34)의 침전물을 투입하여 저장하는 제2호퍼탱크(38)와;
    상기 제2호퍼탱크(38)의 침전물을 흡입하여 제2사이클론(32)으로 투입하는 제2샌드펌프(40)와;
    상기 제2샌드펌프(40)에 의해 투입된 침전물로부터 미세모래(Sc)를 분급하여 상기의 탈수스크린(30)으로 공급하고 이물질은 침전탱크(34)로 투입하는 제2사이클론(3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잔골재, 미세모래, 이물질제거 습식 분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탱크(34)의 유입구 측에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선별스크린(36)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잔골재, 미세모래, 이물질제거 습식 분급장치.
KR1020090088321A 2009-09-18 2009-09-18 잔골재, 미세모래, 이물질제거 습식 분급장치 KR201100307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321A KR20110030749A (ko) 2009-09-18 2009-09-18 잔골재, 미세모래, 이물질제거 습식 분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321A KR20110030749A (ko) 2009-09-18 2009-09-18 잔골재, 미세모래, 이물질제거 습식 분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749A true KR20110030749A (ko) 2011-03-24

Family

ID=43936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8321A KR20110030749A (ko) 2009-09-18 2009-09-18 잔골재, 미세모래, 이물질제거 습식 분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074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5908A (ko) * 2017-08-07 2019-02-15 주식회사 삼표산업 점토광물, 석회석을 포함하는 원석을 이용한 부순 모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GB2566560A (en) * 2017-06-06 2019-03-20 Cdenviro Ltd Slurry Handling Apparatu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6560A (en) * 2017-06-06 2019-03-20 Cdenviro Ltd Slurry Handling Apparatus
GB2566560B (en) * 2017-06-06 2019-11-20 Cdenviro Ltd Slurry Handling Apparatus
US11377381B2 (en) 2017-06-06 2022-07-05 Cde Global Limited Slurry handling apparatus
KR20190015908A (ko) * 2017-08-07 2019-02-15 주식회사 삼표산업 점토광물, 석회석을 포함하는 원석을 이용한 부순 모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3653B2 (ja) 材料回収システム
CN102921532B (zh) 一种用于硅藻土矿的层流离心选矿方法
JP2022509901A (ja) 粒状物質を洗浄および等級付け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0213790B2 (en) Method for processing ash from waste incineration plants by means of wet classification
CN104437829B (zh) 从石棉类矿物尾矿中回收石棉及矿物纤维的湿法工艺
CN107352678A (zh) 泥砂回收再利用工艺
WO2020065678A1 (en) A system and a method for classification of materials
KR100451059B1 (ko) 골재 제조방법 및 장치
KR100521764B1 (ko)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부순모래 제조방법
JP2015217386A (ja) 粗材料および微粉材料をスクラビングおよび分類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2989575A (zh) 垂流式循环水固体建筑废弃物分离机
CN110498624B (zh) 铁尾矿全粒级制备水泥铁质校正材料的方法
KR100277280B1 (ko) 습식 공정을 이용한 건설폐기물 재활용 방법 및 장치
KR20110030749A (ko) 잔골재, 미세모래, 이물질제거 습식 분급장치
RU2571112C2 (ru) Моби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сыпучего материала
KR100985277B1 (ko) 암석 미사 회수장치
CN86103216A (zh) 煤-水燃料的生产
JP2012166170A (ja) 焼却灰の洗浄方法及びセメント原料化方法
KR102008906B1 (ko) 점토광물, 석회석을 포함하는 원석을 이용한 부순 모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JP6537232B2 (ja) さまざまな材料の分類用のシステム装置処理
CN104958949A (zh) 尾矿干排带式过滤机多次布料系统
CN115445741A (zh) 一种利用岩石废料高收率制备机制砂的方法
CN101549321A (zh) 焚化底渣水洗程序
KR20090005001U (ko) 다단계형 모래 취출장치
CN209953042U (zh) 一种炉渣回收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