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0153A - 폴리프로필렌 수지 발포 입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폴리프로필렌 수지 발포 입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0153A
KR20110030153A KR1020090088152A KR20090088152A KR20110030153A KR 20110030153 A KR20110030153 A KR 20110030153A KR 1020090088152 A KR1020090088152 A KR 1020090088152A KR 20090088152 A KR20090088152 A KR 20090088152A KR 20110030153 A KR20110030153 A KR 20110030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propylene resin
particles
acid amide
composition
fatty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8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선
배상조
김원종
장인원
Original Assignee
코스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8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0153A/ko
Publication of KR20110030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01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16Making expandable particles
    • C08J9/18Making expandable particles by impregnating polymer particles with the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0Carboxylic acid 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69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08L23/0884Epoxide containing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423/08Copolymers of eth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발포 입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프로필렌 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압출하고 냉각한 후 절단하여 폴리프로필렌 수지 입자를 제조하는 예비 입자 제조 단계;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과 지방산아미드를 혼합하고 발포제를 가하여 발포시켜 발포 입자를 얻는 발포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발포 입자를 사용하여 발포 성형체를 제조하는 경우 성형체간의 마찰에 의한 마찰음이 저감되며, 마찰음 저감 효과가 장기간 지속된다.
마찰음, 폴리프로필렌 발포 입자, 지방산아미드

Description

폴리프로필렌 수지 발포 입자의 제조 방법 {Processing for preparing the expanded polypropylene resin beads}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발포 입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발포 성형체의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음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며 상기 효과가 장기간 지속될 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이 간단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발포 입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발포시켜 제조한 발포 입자는 성형 방법, 발포 입자의 배율 및 금형의 형상에 따라 광범위하고 다양한 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폴리프로필렌 수지 발포 입자에 의해 얻어진 발포 성형체를 서로 접촉하여 마찰시키면 귀에 거슬리는 마찰음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마찰음을 해결하기 위해 발포 성형체의 표면에 고급 지방산아미드, 에틸렌-아세트란 비닐 공중합체, 저분자량의 폴리에틸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부착시키는 방법 및 발포 성형체의 접촉면에 계면활성제를 도포하는 방법등이 제안되 었으나, 상기 방법은 번거로우며, 도포 상태가 균일하지 못하고, 부착되거나 도포된 물질이 벗겨지면 효과가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발포 성형체의 표면에 돌기나 문양을 넣어 마찰을 최소화시키는 방법등도 있으나, 이는 효과가 낮아 실제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최근에는 폴리프로필렌을 압출하는 과정에서 지방산아미드를 첨가하는 방법등도 제안되고 있으나, 지방산아미드의 투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1차 chip으로 제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지방산아미드를 압출 공정에 많이 넣을 경우에는 압출 공정에서 서징 현상등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목적은 발포 성형체의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음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며 상기 효과가 장기간 지속될 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이 간단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발포 입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프로필렌 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압출하고 냉각한 후 절단하여 폴리프로필렌 수지 입자를 제조하는 예비 입자 제조 단계;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과 지방산아미드를 혼합하고 발포제를 가하여 발포시켜 발포 입자를 얻는 발포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발포 입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발포 입자는 0 내지 200 ℃까지 10 ℃/min 로 승온하며 DSC 측정시 2 개의 흡열피크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흡열피크중 고온 흡열피크의 흡열량은 5 내지 60 J/g 일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필렌 중합체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및 프로필렌과 탄소수 2 내지 20의 α-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된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에틸렌-(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자외선안정제, 대전방지제, 난연제, 금속불활성화제, 안료, 염료, 핵제 및 기포조절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방산아미드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지방산아미드는 에루크산아미드 또는 스테아릴에루크산아미드일 수 있다.
상기 폴리폴레핀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용매, 계면활성제 또는 분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포 입자로 형성된 발포 성형체는 성형체간의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음이 현저히 감소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포 입자의 표면에는 지방산아미드가 골고루 분산되어 있고, 기포벽에도 지방산아미드가 함유되어 마찰음 감소 효과가 장기간 지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발포 단계에서 지방산아미드를 투입하여 제조 공정이 단순하고, 번거롭지 않으며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여기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발포 입자의 제조 방법은 예비 입자 제조 단계 및 발포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발포 단계에서 지방산아미드를 투입하여 공정이 단순하며 번거롭지 않고, 비용이 적게 들어 효율적이다.
상기 예비 입자 제조 단계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압출하고 냉각한 후 절단하여 폴리프로필렌 수지 입자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에서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지방산아미드와의 혼합이 용이하며 지방산아미드가 골고루 도포될 수 있도록 입자 형태로 만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예비 입자 제조 단계에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A)을 압출기내에서 충분히 혼련시킨 후, 스트랜드(strand)형상으로 압출하고 냉각한 후 절단하거나, 압출직후 수중에서 냉각시키면서 절단하여 원통형 펠렛(pellet) 형태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입자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펠렛은 바람직 하게는, 펠렛 1개의 평균 중량이 0.1~20 mg일 수 있으며, 길이/직경비(L/D)가 0.5~5일 수 있다. 상기 중량과 길이/직경비의 펠렛은 발포시 취급이 용이하며, 발포 입자 제조시 지방산아미드가 고르게 혼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포 성형체 제조시 금형내로 발포 입자가 원활히 충진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A)은 프로필렌 중합체(a1)를 포함하며, 에틸렌-(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a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첨가제(a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필렌 중합체(a1)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및 프로필렌과 탄소수 2 내지 20 의 α-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된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α-올레핀의 구체적인 예로는 에틸렌, 1-부텐, 1-펜텐, 1-헥센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에틸렌-(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a2)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에틸렌-(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에틸렌-(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가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가공성이 좋지 않을 수 있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최종 성형체 제조시 강도가 저하되거나 내열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에틸렌-(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에틸렌-아크릴산 메틸 공중합체, 에틸 렌-아크릴산 에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이소부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n-부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2-에틸 헥실 공중합체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첨가제(a3)는 산화방지제, 자외선방지제, 대전방지제, 금속불활성화제, 안료, 염료, 핵제 및 기포조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첨가제로 카본 블랙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카본 블랙은 조성물에 전도성을 부여하는 대전 방지제 및 조성물을 착색하는 안료의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기포조정제로 ZnB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첨가제는 조성물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가 0.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첨가제를 첨가하는 목적이 달성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카본 블랙의 경우 대전방지 효과 및 착색 효과등이 미미할 수 있고, 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조성물 전체의 물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첨가량의 증가에 비해 효과의 상승이 작아 효율적이지 못하다.
상기 발포 단계는 상기 예비 입자 제조 단계에서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B)과 지방산아미드를 혼합하고 발포제를 가하여 발포시켜 발포 입자를 얻는 단계이다. 상기 발포 단계에서 폴리프로필렌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지방산아미드가 혼합되며, 지방산아미드가 고르게 분포되어 최종 성형체끼리의 마찰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포 단계에서 폴리프로필렌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과(B) 지방산아미드를 발포기내로 투입하고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입자의 유리 전이 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이상의 온도로 가열한 뒤, 발포제를 가하여 혼합한 후, 저압 영역으로 방출하여 발포시키고 수중 또는 대기중에서 냉각, 세척 및 건조하여 발포 입자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발포 입자는 발포시 반응기의 온도와 압력 또는 발포제의 투입량등을 조절하여 그 밀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9 내지 450 g/ℓ 의 밀도를 가진 발포 입자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B)은 상기 예비 입자 제조 단계에서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입자외에 용매; 계면활성제; 및 분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로는 바람직하게는 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 및 분산제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입자가 용매내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계면활성제로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DSBN)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분산제로 카올린 분말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지방산아미드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입자와 혼합되어 발포 후에 발포 입자의 표면 및 기포벽에 균일하게 분포되며, 본 발명의 발포 입자로 제조된 발포 성형체간의 접촉시 마찰음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방산아미드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B)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지방산아미드가 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마찰음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첨가량의 증가에 비해 마찰음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미미하며,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물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지방산아미드는 탄소수 10 내지 25 의 포화 지방산 또는 불포화 지방산의 히드록시기가 아미노기로 치환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라우르산아미드, 팔미트산아미드, 스테아르산아미드, 베헨산아미드등의 포화지방산아미드 또는 에쿠르산아미드, 올레산아미드, 브라시드산아미드, 엘라이드산아미드등의 불포화지방산아미드 또는 메틸렌비스스테아르산아미드, 메틸렌비스올레산아미드, 에틸렌비스스테아르산아미드, 에틸렌비스올레산아미드등의 비스지방산아미드 또는 스테아릴에쿠르산아미드, 올레일팔미트산아미드등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루크산아미드(erucic acid amide) 또는 스테아릴에루크산아미드(stearyl erucic amide)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에루크산 아미드 또는 스테아릴 에루크산 아미드는 휘발량이 적고, 마찰음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발포제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발포시키는 역할을 하며, 바람직하게는 이산화탄소, 부탄 또는 펜탄 가스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발포 입자는 열분석기(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를 사용하여 0 ℃ 부터 200 ℃ 까지 10 ℃/min 으로 승온시키며 측정시 2 개의 흡열 피크를 나타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 개의 흡열 피크 가운데 고온 흡열 피크의 흡열량은 5 내지 60 J/g 일 수 있 다. 2 개의 흡열 피크를 나타내며 그 중 고온 흡열 피크의 흡열량이 5 내지 60 J/g인 발포 입자의 경우 발포 성형체의 제조시 저온에서도 발포 입자간의 융착이 원활히 일어나 성형체의 제조가 용이하다.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포 입자로 발포 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포 입자로 제조된 발포 성형체는 표면에 지방산아미드가 골고루 분포되어 있고, 기포벽에도 지방산아미드를 함유하여 성형체끼리의 마찰이 감소되며,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이음이 저감되고, 그 효과가 장기간 지속된다.
상기 발포 성형체는 당업계에 공지된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으며, 그 제조 방법에 제한이 없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 발명의 발포 입자를 밀폐용기에 넣은 후 공기로 압력을 가하여 내압을 형성시킨 후 금형내에 충진하고 여기에 포화 스팀을 공급하여 발포 입자를 팽창, 융착시킨다. 이를 냉각하여 금형으로부터 취출하여 발포 성형체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발포 성형체를 밀도에 따라 40 ~ 100 ℃사이의 온도에서 일정시간 양생(aging)시켜 발포 성형체의 냉각공정에서 함유한 수분을 제거하고, 제품의 수축 부분을 복원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
1. 미니 펠렛의 제조
하기 표 1 의 조성의 조성물을 압출기로 투입하고 230℃ 온도에서 압출기로 충분히 혼련하고 스트랜드 형상으로 압출한 뒤, 수중에서 냉각하고 펠렛타이저로 원주 형상으로 절단하여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미니 펠렛 형태로 제조하였다. 비교예의 조성물에는 지방산아미드를 첨가하거나 지방산아미드가 포함된 제1조성물을 혼합하였다. 상기 지방산아미드가 포함된 제1조성물은 유기산에 의해 변성된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에루크산아미드 및 에틸렌-(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를 24:21:5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는 녹는점이 146 ℃이고, ASTM D1238에 의해 측정한 MFI(melt flow index)가 7 g/10min(230 ℃, 2.16 kgf)이다.
Figure 112009057328064-PAT00001
2. 발포 입자의 제조
반응기에 하기 표 2 의 조성으로 상기 1 에서 제조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미니 펠렛, 물, 계면활성제 및 분산제를 투입하고 반응기를 교반하면서 가열하였다. 내용물의 온도가 하기 표 2 의 발포 온도보다 약 5 ℃ 정도 낮은 온도일 때 발포제로 이산화탄소를 투입하여 고압의 상태를 유지하였다. 이어서 반응기 내부의 온도가 하기 표 2 의 발포 온도가 되도록 가열하고 반응기의 배출 노즐을 개방하여 내부의 내용물을 대기압하로 방출함으로써 미니 펠렛을 발포시켜 발포 입자를 제조하였다. 또한, 방출시 반응기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방출하는 동안 이산화탄소를 반응기 내부로 지속적으로 공급하였다. 이후, 발포입자를 세척하고 탈수한 뒤 대기압하에서 8시간 이상 건조한 후 발포입자의 고온 피크 열량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 와 같다.
Figure 112009057328064-PAT00002
3. 발포 성형체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내지 5 에서 얻어진 발포 입자를 자연건조 또는 열원을 이용하여 건조하고 금형내 치수가 120 ㎝ × 90 ㎝ × 6 ㎝ 인 금형에 발포 입자를 충진하고 포화 스팀을 통과시켜 발포 입자를 가열한 뒤 냉각하여 발포 성형체를 얻었다. 얻어진 발포 성형체를 40 ~ 80 ℃의 분위기에서 4 시간동안 양생한 후 다시 상온에 2 시간동안 방치하였다. 또한, 실시예 2, 비교예 2 및 4 에서 제조한 발포 입자로 발포 성형체의 제조시 공기를 주입하여 밀도를 다양하게 조절하였다.
< 실험예 1> 발포 성형체의 마찰계수의 측정
시험 방법은 JSI-K7125의 시험 방법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1,000 g의 분동을 발포 성형체에 올려 놓고 일정한 속도(100 mm/min)로 당길 때 발생하는 운동마찰력과 정지마찰력을 측정하여, 하중에 의한 힘을 고려하여 운동 마찰 계수와 정지 마찰 계수를 측정하였다. 그 측정 모습은 도 1 에 나타내었고, 측정 결과는 하기 표 3 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57328064-PAT00003
상기 표 3 에 의하면 발포 성형체의 밀도가 낮을수록 마찰 계수가 컸으며, 동일한 발포 성형체 밀도를 가진 실시예 1 과 비교예 1, 3, 실시예 2 와 비교예 2, 4 를 비교해보면 발포 단계에서 지방산아미드를 투입시킨 실시예의 발포 입자로 제조한 발포 성형체의 마찰 계수가 더 작음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2> 마찰에 의한 이음 평가
마찰에 의한 이음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발포 입자로 제조된 시편 1(50 mm × 50 mm × 18 mm)과 시편 2(80 mm × 80 mm × 7 mm)의 발포 성형체를 겹쳐 놓은 후 상부에는 1 kg, 2 kg, 3 kg의 분동을 올려가면서 하단부를 회전하여 마찰 소음(귀에 거슬리는 소리)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였다. 하단부의 회전은 15 rpm 과 30 rpm 으로 회전하며 측정하였으며, 하기 표 4 와 같이 주어진 회전과 하중에서 마찰 소음의 발생 유무를 기준으로 1 내지 5 단계로 구분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5 와 같다.
Figure 112009057328064-PAT00004
Figure 112009057328064-PAT00005
상기 표 5 에 의하면, 발포 단계에서 지방산아미드를 첨가한 발포 입자로 제조한 발포 성형체인 실시예 1 및 2 의 성형체는 마찰시 이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5 단계였으며, 지방산아미드를 포함하는 제1조성물을 폴리프로필렌 수지 입자 제조 단계에서 혼합한 비교예 1 의 발포 입자로 제조한 성형체의 경우 15 rpm으로 3000 gf 의 하중을 주었을 때 30 초후에 이음이 발생하였으며, 비교예 2 의 발포 입자로 제조한 성형체의 경우 15 rpm으로 2000 gf의 하중을 주었을 때 40초후에 이음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으로 발포 입자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성형체의 경우 마찰시 이음이 상당히 감소함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3> 발포 입자의 고온 피크 열량
상기 실시예 1 및 2 에서 제조한 발포 입자의 DSC(측정장치: DSC-60 제조사:SHIMADZU사) 를 0 내지 200 ℃까지 10 ℃/min 로 승온하며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었다.
도 2 및 도 3 에 의하면, 본 발명의 발포 입자는 2 개의 흡열 피크를 나타내며, 고온측의 흡열 피크의 흡열량은 약 16 내지 17 J/g 으로 나타났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은 공정이 단순하고, 발포 성형체를 제조하였을 경우 성형체 상호간에 마찰시 마찰음이 저감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발포 입자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포 입자는 입자 표면에 지방산아미드등이 고루 분포되어 있고, 기포벽에도 지방산아미드를 함유하고 있어 마찰음 저감효과가 장기간 지속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발포 성형체의 마찰 계수를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2 는 실시예 2 에서 제조한 발포 입자의 DSC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도 3 은 실시예 3 에서 제조한 발포 입자의 DSC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Claims (10)

  1. 프로필렌 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압출하고 냉각한 후 절단하여 폴리프로필렌 수지 입자를 제조하는 예비 입자 제조 단계;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과 지방산아미드를 혼합하고 발포제를 가하여 발포시켜 발포 입자를 얻는 발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발포 입자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발포 입자가 0 내지 200 ℃까지 10 ℃/min 로 승온하며 DSC 측정시 2 개의 흡열피크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발포 입자의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열피크중 고온 흡열피크의 흡열량이 5 내지 60 J/g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발포 입자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이 에틸렌-(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발포 입자의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가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발포 입자의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 중합체가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및 프로필렌과 탄소수 2 내지 20의 α-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된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발포 입자의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이 산화방지제, 자외선안정제, 대전방지제, 난연제, 금속불활성화제, 안료, 염료, 핵제 및 기포조절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발포 입자의 제조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아미드가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대 하여 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발포 입자의 제조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아미드가 에루크산아미드 또는 스테아릴에루크산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발포 입자의 제조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폴레핀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용매, 계면활성제 및 분산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발포 입자의 제조 방법.
KR1020090088152A 2009-09-17 2009-09-17 폴리프로필렌 수지 발포 입자의 제조 방법 KR201100301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152A KR20110030153A (ko) 2009-09-17 2009-09-17 폴리프로필렌 수지 발포 입자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152A KR20110030153A (ko) 2009-09-17 2009-09-17 폴리프로필렌 수지 발포 입자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153A true KR20110030153A (ko) 2011-03-23

Family

ID=43935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8152A KR20110030153A (ko) 2009-09-17 2009-09-17 폴리프로필렌 수지 발포 입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015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90242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粒子、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粒子の製造方法、および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型内発泡成形体
KR20010031731A (ko)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입자 및 형내 성형체
WO2016147883A1 (ja) 発泡用樹脂組成物及び発泡成形体
EP1023364A1 (en) Compositions of linear ultra low density polyethylene and propylene polymers and films therefrom
WO2023067954A1 (ja) ポリエチレン系樹脂発泡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TW201833205A (zh) 過氧化物母體
US4407768A (en) Foamable polymeric composition comprising propylene polymer and hydrated alumina
CN104877162B (zh) 原位微纤化聚丙烯系树脂复合发泡颗粒及其应用
TW201213424A (en) Polymer foam
CN106432887B (zh) 一种聚烯烃发泡母粒的组成及制备方法和用途
EP1925635B1 (en) Expanded beads and foamed molded article
WO2004067610A1 (en) Polyethylene composition for the production of peroxide crosslinked polyethylene
US20220389180A1 (en) Polyolefin-Based Resin Foam, and Molded Product Produced Therefrom
KR20110030153A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발포 입자의 제조 방법
JP2004155454A (ja) 断熱性ポリエチレン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1999014261A1 (en) Compositions having particular utility as stretch wrap cling film
JP3582335B2 (ja) 無架橋直鎖状低密度ポリエチレン系樹脂予備発泡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922257A (en) Process to produce an article that has a granite-like appearance and said article
JP2009108230A (ja) 樹脂組成物、発泡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456758B2 (ja) 帯電防止性を有する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予備発泡粒子およびその製法
KR101362541B1 (ko) 발포 입자 및 발포 성형체
KR20120069415A (ko) 항균/항곰팡이성 폴리프로필렌 발포입자의 제조방법
CN101195697B (zh) 发泡粒子和发泡成型体
JP2000007855A (ja) 異形押出成形用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及び異形押出成形品
JP2709395B2 (ja) 発泡用無架橋直鎖状低密度ポリエチレン樹脂粒子及び無架橋直鎖状低密度ポリエチレン発泡粒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