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9815A - 자동차의 실내온도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실내온도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9815A
KR20110029815A KR1020090087647A KR20090087647A KR20110029815A KR 20110029815 A KR20110029815 A KR 20110029815A KR 1020090087647 A KR1020090087647 A KR 1020090087647A KR 20090087647 A KR20090087647 A KR 20090087647A KR 20110029815 A KR20110029815 A KR 20110029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window
temperature
raising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7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하균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7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9815A/ko
Publication of KR20110029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98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6Ventilating openings in vehicle exterior; Ducts for conveying ventilating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6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vehicle driving condition, e.g.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07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specific way of measuring or calculating an air or coolant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6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including features for automatic and non-automatic control, e.g. for changing from automatic to manual contro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실내온도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실내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실내온도센서, 자동차의 외부에 내리는 빗물을 감지하기 위한 빗물감지센서 및 자동차의 키 박스에서 자동차의 키가 분리된 경우 입력되는 키 오프 신호에 의하여 작동되어 실내온도센서로부터 입력받은 실내온도가 기 설정된 제1 온도보다 높고 빗물감지센서로부터 빗물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자동차의 시동회로를 IGN-0N 상태로 전환시키고 자동차의 윈도우를 내리기 위한 윈도우 내림 스위치를 기 설정된 제1 내림동작시간동안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여름철에 옥외에 주차된 자동차의 실내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여 발생할 수 있는 자동차의 실내 화재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자동차, 실내온도, 실내온도감지센서, 빗물감지센서, 제어부

Description

자동차의 실내온도 제어장치{AUTOMOBILE'S INTERIOR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실내온도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실내온도의 급격한 상승으로 인한 자동차의 실내 화재사고의 발생 등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실내온도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의 보급이 급격히 확대되면서, 여름철에 옥외에 주차된 자동차의 실내온도 상승으로 인한 화재사고 발생의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온이 높은 여름철에 운전자가 윈도우를 모두 닫은 상태로 자동차를 옥외에 주차하는 경우, 자동차의 실내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한다.
이와 같이 자동차의 실내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게 되면, 자동차의 실내에 있을 수 있는 인화성 물질이 발화하여 화재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내온도가 크게 상승되어 있는 자동차에 탑승하게 되는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운전자는 이러한 문제점에 대처하기 위하여 여름철에 옥외에 자동차를 주차하는 경우 자동차의 윈도우를 어느 정도 내린 후 하차한다.
그러나 이에 따르면, 우천 시 빗물에 의하여 자동차의 실내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여름철에 옥외에 주차된 자동차의 실내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여 발생할 수 있는 자동차의 실내 화재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실내온도가 크게 상승되어 있는 자동차에 탑승하게 되는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자동차 탑승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우천으로부터의 자동차의 내부가 오염되는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자동차의 실내온도 제어장치는 상기 자동차의 실내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실내온도센서, 상기 자동차의 외부에 내리는 빗물을 감지하기 위한 빗물감지센서 및 상기 자동차의 키 박스에서 상기 자동차의 키가 분리된 경우 입력되는 키 오프 신호에 의하여 작동되어 상기 실내온도센서로부터 입력받은 실내온도가 기 설정된 제1 온도보다 높고 상기 빗물감지센서로부터 빗물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자동차의 시동회로를 IGN-0N 상태로 전환시키고 상기 자동차의 윈도우를 내리기 위한 윈도우 내림 스위치를 기 설정된 제1 내림동작시간동안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윈도우 내림 스위치를 상기 제1 내림동작시간동안 작동시킨 후 상기 시동회로를 키 오프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차의 윈도우가 내려져 있는 상태에서 상기 실내온도센서로부터 입력받은 실내온도가 상기 기 설정된 제1 온도보다 높고 상기 빗물감지센서로부터 기 설정된 강우량보다 높은 강우량을 갖는 빗물감지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자동차의 윈도우를 올리기 위한 윈도우 올림 스위치를 기 설정된 올림동작시간동안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온도센서로부터 입력받은 실내온도가 기 설정된 제2 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윈도우 내림 스위치를 상기 제1 내림동작시간보다 긴 제2 내림동작시간동안 작동시키고, 상기 제2 온도는 상기 제1 온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온도센서로부터 입력받은 실내온도가 상기 제1 온도 이하이고 상기 빗물감지센서로부터 기 설정된 강우량보다 높은 강우량을 갖는 빗물감지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자동차의 윈도우를 올리기 위한 윈도우 올림 스위치를 기 설정된 올림동작시간동안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의 작동을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수동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차의 실외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실외온도센서 및 상기 자동차의 윈도우를 올리기 위한 윈도우 올림 스위치의 동작온도를 수동으로 설정하기 위한 올림동작온도 설정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여름철에 옥외에 주차된 자동차의 실내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여 발생할 수 있는 자동차의 실내 화재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내온도가 크게 상승되어 있는 자동차에 탑승하게 되는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자동차 탑승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우천으로부터의 자동차의 내부가 오염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실내온도 제어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실내온도 제어장치는 실내온도센서(11), 빗물감지센서(12), 제어부(13), 시동회로(14), 윈도우 내림 스위치(15), 윈도우 올림 스위치(16), 수동 스위치(17), 실외온도센서(18) 및 올림 동작온도 설정 스위치(1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실내온도센서(11)는 자동차의 실내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실내온도센서(11)에서 감지한 자동차의 실내온도는 후술하는 제어부(13)로 공급되어 자동차의 실내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로 이용된다.
예를 들어, 기온이 높은 여름철에 운전자가 윈도우를 모두 닫은 상태로 자동차를 옥외에 주차하는 경우, 자동차의 실내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한다. 이와 같이 자동차의 실내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게 되면, 자동차의 실내에 있을 수 있는 인화성 물질이 발화하여 화재사고 발생의 위험이 있을 뿐 아니라, 실내온도가 크게 상승되어 있는 자동차에 탑승하게 되는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내온도센서(11)로 자동차의 실내온도를 감지하여 후술하는 제어부(13)로 공급하고, 제어부(13)의 제어 하에 자동차의 윈도우를 내리거나 올려서 자동차의 실내온도가 일정 수준을 넘지 않도록 한다.
빗물감지센서(12)는 자동차의 외부에 내리는 빗물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빗물감지센서(12)는 자동차의 전면유리창에 설치되어 적외선을 이용하여 빗물의 양과 속도를 감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윈도우 내림 스위치(15)와 윈도우 올림 스위치(16)는 배터리부터 파워 윈도 우 모터로의 전원 공급여부를 제어하여 윈도우를 내리거나 올리기 위한 수단이다.
제어부(13)는 키 오프(key off) 신호에 의하여 작동되어 실내온도센서(11)로부터 입력받은 실내온도가 기 설정된 제1 온도보다 높고 빗물감지센서(12)로부터 빗물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자동차의 시동회로(14)를 IGN-0N(IGNition-0N) 상태로 전환시키고 자동차의 윈도우를 내리기 위한 윈도우 내림 스위치(15)를 기 설정된 제1 내림동작시간동안 작동시킨다.
이와 같이 제어부(13)는 키 오프 상태에서만 동작하며, 예를 들어 운전자가 탑승하여 자동차의 키를 키 박스의 ACC(ACCessory) 지점에 위치시키는 경우 그 동작이 종료된다.
키 오프 신호는 자동차의 키 박스에서 자동차의 키가 분리된 경우인 키 오프 상태에서 입력되는 신호이다. 제어부(13)는 운전자가 자동차의 키 박스에서 자동차의 키를 분리한 경우에도 실내온도센서(11)와 빗물감지센서(12) 등으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고 이를 처리하기 위한 전원을 배터리로부터 공급받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IGN-0N 상태는 START 상태와 같이 시동을 건 상태는 아니지만 자동차의 윈도우를 내리거나 올릴 수 있을 정도의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이고, ACC 상태는 윈도우를 동작시킬 수는 없으나 오디오 등과 같은 편의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을 정도의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이다.
이러한 키오프 상태, ACC 상태, IGN-0N 상태, START 상태는 운전자가 자동차의 키를 키 박스에서 분리하거나 키 박스의 대응 지점에 위치시키는 경우, 시동회 로(14) 내부의 접점들이 변경됨으로써 구현된다.
또한, 제1 온도 및 후술할 제2 온도는 자동차 내부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화재사고 발생의 방지 등을 고려하여 운전자 또는 제조자가 사전에 설정할 수 있는 온도이다.
또한, 제1 내림동작시간 및 후술할 제2 내림동작시간은 외부 공기와의 순환작용으로 자동차의 실내온도를 낮추는 한편, 자동차의 도난사고 방지 등을 고려하여 운전자 또는 제조자가 사전에 설정할 수 있는 온도이다.
물론, 이러한 설정 온도 및 동작시간들은 운전자의 조작을 통하여 변경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는 윈도우 내림 스위치(15)를 제1 내림동작시간동안 작동시킨 후 시동회로(14)를 키 오프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배터리가 키 오프 상태에서 요구되는 전력만을 공급하게 되어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는 자동차의 윈도우가 내려져 있는 상태에서 실내온도센서(11)로부터 입력받은 실내온도가 기 설정된 제1 온도보다 높고 빗물감지센서(12)로부터 기 설정된 강우량보다 높은 강우량을 갖는 빗물감지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자동차의 시동회로(14)를 IGN-0N(IGNition-0N) 상태로 전환시키고 자동차의 윈도우를 올리기 위한 윈도우 올림 스위치(16)를 기 설정된 올림동작시간동안 작동시킨다. 윈도우 올림 동작이 종료된 경우, 제어부(13)는 시동회로(14)를 키 오프 상태 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이에 따라, 강우에 의해 자동차의 내부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자동차의 실내온도가 매우 높아 인화물질의 발화위험이 큰 경우에는 자동차의 윈도우를 더 내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3)는 실내온도센서(11)로부터 입력받은 실내온도가 기 설정된 제2 온도보다 높은 경우, 자동차의 시동회로(14)를 IGN-0N(IGNition-0N) 상태로 전환시키고 윈도우 내림 스위치(15)를 상기 제1 내림동작시간보다 긴 제2 내림동작시간동안 작동시킨다. 제2 온도는 제1 온도보다 높다.
한편, 제어부(13)는 실내온도센서(11)로부터 입력받은 실내온도가 제1 온도 이하이고 빗물감지센서(12)로부터 기 설정된 강우량보다 높은 강우량을 갖는 빗물감지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자동차의 시동회로(14)를 IGN-0N(IGNition-0N) 상태로 전환시키고 자동차의 윈도우를 올리기 위한 윈도우 올림 스위치(16)를 기 설정된 올림동작시간동안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제어부(13)의 작동을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수동 스위치(1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운전자가 자동차의 실내온도 상승으로 인한 위험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한 경우, 운전자의 의도에 따라 수동 스위치(17)를 오프(off)로 설정하여 제어부(13)의 동작을 종료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실외온도센서(18)와 올림동작온도 설정 스위치(1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실외온도센서(18)는 자동차의 실외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이고, 올림동작온도 설정 스위치(19)는 자동차의 윈도우를 올리기 위한 윈도우 올림 스위치(16)의 동작온도를 수동으로 설정하기 위한 수단이다. 운전자는 윈도우 내림 동작 제어 후 이 윈도우 올림 스위치(16)를 통하여 자동차의 실내온도가 실외온도센서(18)로부터 입력받은 실외온도와 제1 온도 사이의 일정한 온도에 도달하였을 때 윈도우 올림 동작 제어를 실시할 지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여름철에 옥외에 주차된 자동차의 실내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여 발생할 수 있는 자동차의 실내 화재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내온도가 크게 상승되어 있는 자동차에 탑승하게 되는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자동차 탑승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우천으로부터의 자동차의 내부가 오염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실내온도 제어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실내온도센서 12: 빗물감지센서
13: 제어부 14: 시동회로
15: 윈도우 내림 스위치 16: 윈도우 올림 스위치
17: 수동 스위치 18: 실외온도센서
19: 올림동작온도 설정 스위치

Claims (7)

  1. 자동차의 실내온도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실내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실내온도센서;
    상기 자동차의 외부에 내리는 빗물을 감지하기 위한 빗물감지센서; 및
    상기 자동차의 키 박스에서 상기 자동차의 키가 분리된 경우 입력되는 키 오프 신호에 의하여 작동되어 상기 실내온도센서로부터 입력받은 실내온도가 기 설정된 제1 온도보다 높고 상기 빗물감지센서로부터 빗물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자동차의 시동회로를 IGN-0N 상태로 전환시키고 상기 자동차의 윈도우를 내리기 위한 윈도우 내림 스위치를 기 설정된 제1 내림동작시간동안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실내온도 제어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윈도우 내림 스위치를 상기 제1 내림동작시간동안 작동시킨 후 상기 시동회로를 키 오프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실내온도 제어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차의 윈도우가 내려져 있는 상태에서 상기 실내온도센서로부터 입력받은 실내온도가 상기 기 설정된 제1 온도보다 높고 상기 빗물감지센서로부터 기 설정된 강우량보다 높은 강우량을 갖는 빗물감지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자동차의 윈도우를 올리기 위한 윈도우 올림 스위치를 기 설정된 올림동작시간동안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실내온도 제어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온도센서로부터 입력받은 실내온도가 기 설정된 제2 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윈도우 내림 스위치를 상기 제1 내림동작시간보다 긴 제2 내림동작시간동안 작동시키고,
    상기 제2 온도는 상기 제1 온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실내온도 제어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온도센서로부터 입력받은 실내온도가 상기 제1 온도 이하이고 상기 빗물감지센서로부터 기 설정된 강우량보다 높은 강우량을 갖는 빗물감지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자동차의 윈도우를 올리기 위한 윈도우 올림 스위치를 기 설정된 올림동작시간동안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실내온도 제어장 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작동을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수동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실내온도 제어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실외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실외온도센서; 및
    상기 자동차의 윈도우를 올리기 위한 윈도우 올림 스위치의 동작온도를 수동으로 설정하기 위한 올림동작온도 설정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실내온도 제어장치.
KR1020090087647A 2009-09-16 2009-09-16 자동차의 실내온도 제어장치 KR201100298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647A KR20110029815A (ko) 2009-09-16 2009-09-16 자동차의 실내온도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647A KR20110029815A (ko) 2009-09-16 2009-09-16 자동차의 실내온도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815A true KR20110029815A (ko) 2011-03-23

Family

ID=43935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7647A KR20110029815A (ko) 2009-09-16 2009-09-16 자동차의 실내온도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2981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8724A1 (ko) * 2015-07-24 2017-02-02 김정호 차량 유리문 자동 승강 제어시스템
CN110789294A (zh) * 2019-11-22 2020-02-14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自动通风系统
CN111827828A (zh) * 2020-06-30 2020-10-27 汉腾汽车有限公司 一种汽车智能车窗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8724A1 (ko) * 2015-07-24 2017-02-02 김정호 차량 유리문 자동 승강 제어시스템
CN110789294A (zh) * 2019-11-22 2020-02-14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自动通风系统
CN111827828A (zh) * 2020-06-30 2020-10-27 汉腾汽车有限公司 一种汽车智能车窗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389316U (zh) 基于can总线的轿车车窗自动打开控制系统
CN101892788A (zh) 一种控制车辆车窗自动升降的装置及方法
JP3200639U (ja) 駐停車中の車内の温度制御装置
CN108275121A (zh) 一种汽车自动除雾系统及方法
KR20110029815A (ko) 자동차의 실내온도 제어장치
JP2004255977A (ja) 車両用電源制御装置
KR20130053354A (ko) 자동차오토 윈도우
JP2004106587A (ja) 車両用ウインドウ開閉制御装置
KR20110136283A (ko) 주정차중 차량실내온도 자동조절장치
JP2019093786A (ja) 車両の換気装置
CN104566870A (zh) 一种停车状态空调使用安全监控方法
KR101194898B1 (ko) 자동차의 실내 조건 유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4553999A (zh) 一种用于提高汽车停车使用状态下的安全性的监控方法
KR100570022B1 (ko) 자동차의 윈드실드글래스 결빙방지/제거장치
KR101540255B1 (ko) 차량용 산소발생기 제어방법
WO2015018012A1 (zh) 一种嵌入式汽车遮阳系统及其控制方法
CN214648119U (zh) 一种车内智能防窒息远程报警系统
KR20130074011A (ko) 자동차용 열차단장치
KR19990030384A (ko) 차량의 자동 환풍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33373B1 (ko) 자동차용 유리문 제어 시스템
KR100199496B1 (ko) 차량 웨더스트립의 빗물 제거 장치
CN116278655A (zh) 一种汽车防晒系统
CN116330940A (zh) 一种汽车挡雨系统及其控制方法
JP2000038976A (ja) 自動車用エンジンの遠隔操作装置
KR200408832Y1 (ko) 차량의 파워윈도우 작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