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8987A -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8987A
KR20110028987A KR1020090086650A KR20090086650A KR20110028987A KR 20110028987 A KR20110028987 A KR 20110028987A KR 1020090086650 A KR1020090086650 A KR 1020090086650A KR 20090086650 A KR20090086650 A KR 20090086650A KR 20110028987 A KR20110028987 A KR 20110028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flanges
electrode
drum
ferrite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6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2752B1 (ko
Inventor
이요한
노현우
김민호
Original Assignee
아비코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비코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비코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6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2752B1/ko
Publication of KR20110028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8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2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2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23Wires
    • H01F27/2828Construction of conductive connections, of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7/292Surface mounted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01F2027/2809Printed windings on stacked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호 이격되고 대향되게 배치된 적어도 3개 이상의 플랜지와, 상기 각 플랜지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각 플랜지를 상호 연결하는 권심을 포함하는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 상기 적어도 3개 이상의 플랜지가 제공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권선 영역에 각각 권선되는 코일; 상기 코일이 권선된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의 상기 플랜지의 내부 공간에 충진되는 충진재; 및 상기 적어도 3개 이상의 플랜지 중 최하단에 배치되는 하부 플랜지에 설치되는 전극부를 포함하는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 페라이트 코어

Description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MULTILAYER SURFACE MOUNTING TYPE INDU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인덕터로 두 개이상의 인덕터가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세트메이커들이 품질이 우수하면서 저가의 인덕터를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으며, 또한 하나의 인덕터로 두 개의 인덕터가 수행하는 기능을 대신할 수 있는 인덕터를 필요로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다층구조 인덕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다층구조 인덕터는 하부탭(23)과 중간탭(22)사이에 형성되어 코일이 권선된 제1 코일 권선축과 상기 중간탭(22)과 상부탭(21)사이에 형성되어 코일이 권선된 제2 코일 권선축이 상하복층구조로 이루어진 이형코어(20)가 소정 내부 공간을 가지고 상하면이 개방된 링코어(10)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권선축들에 권선된 제1 코일 및 제2 코일(40, 40`)의 말단부들이 상기 링코어(10)의 측면에 형성된 대전핀(30)에 납땜으로 직접 열 접착된다.
이러한 인덕터는 복층구조의 드럼형 이형코어를 제조하는 과정, 그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의 권심에 와이어를 권선하는 과정, 상하면이 개방된 링형 페라이트 코어 내부에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를 결합하는 공정 그리고 각코일의 말단부들이 링코어의 측면에 형성된 대전핀에 납땜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종래 기술의 경우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와 링형코어간의 갭유지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만약 드럼형 코어와 링형코어가 근접하게 되면 원하는 전기적특성이 실현되지 않으며, 링형코어와 드럼형코어 두개의 코어로 구성된 만큼 작업성과 원가적인 측면에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드럼형 코어의 구조가 상부탭이 중간 및 하부탭보다 큰 이형코어로 되어있어 이를 제작하는 공정이 매우 복잡하며, 링형코어를 사용함으로써 원자재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제조공정이 간단하면서, 부품수를 줄여서 비용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 링코어를 씌우는 복층 구조보다 상호 인덕턴스가 적어 복합된 다수개의 인덕터 상호간의 독립성이 우수한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성분이 포함된 에폭시 충진재의 자성분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간단하게 전기적 특성을 변경시킬 수 있는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호 이격되고 대향되게 배치된 적어도 3개 이상의 플랜지와, 상기 각 플랜지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각 플랜지를 상호 연결하는 권심을 포함하는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 상기 적어도 3개 이상의 플랜지가 제공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권선 영역에 각각 권선되는 코일; 상기 코일이 권선된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의 상기 플랜지의 내부 공간에 충진되는 충진재; 및 상기 적어도 3개 이상의 플랜지 중 최하단에 배치되는 하부 플랜지에 설치되는 전극부를 포함하는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가 제공된다.
상기 충진재는 자성분이 포함된 에폭시 수지 및 폴리실록산을 포함한다.
상기 각 플랜지에는 상기 코일을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고정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부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의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각 전극은 상기 하부 플랜지의 바닥면에 부착되는 전극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전극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돌출 연장되어 절곡되게 형성된 전극핀을 포함한다.
상기 코일의 단부는 상기 전극핀에 솔더링 또는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접은 아크 용접 또는 레이저 용접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각 전극은 상기 전극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부에서 절곡되게 연장되어 형성된 전극 측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플랜지는 서로 동일한 크기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는 3개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홈은 상기 각 플랜지 마다 일정간격으로 4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는 4개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홈은 상기 각 플랜지 마다 일정간격으로 6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호 이격되고 대향되게 배치된 적어도 3개 이상의 플랜지와, 상기 각 플랜지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각 플랜지를 상호 연결하는 권심을 포함하는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의 최하단에 배치되는 하부 플랜지에 전극부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3개 이상의 플랜지가 제공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권선 영역에 각각 코일을 권선하는 단계; 상기 코일 단부를 상기 전극부에 솔더링 또는 용접하는 단계; 상기 코일이 권선된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의 상기 플랜지의 내부 공간에 충진재를 충진하는 단계; 및 상기 충진재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충진재를 디스펜서 방식으로 충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진재는 자성분이 포함된 에폭시 수지 및 폴리실록산을 포함한다.
상기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각 플랜지에는 상기 코일을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고정홈이 각각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인덕터로 두 개의 인덕터가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원가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 사용하던 링형코어 및 절연성 이격체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공정이 간단해지고 리드타임이 빨라지며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부품 수가 줄어들게 되어 비용 절감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기존 링코어를 씌우는 복층 구조보다 상호 인덕턴스가 적어 복합된 다수개의 인덕터 상호간의 독립성이 우수하여, 다수개가 하나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상호 간에 미치는 영향이 적어 마치 다수 개를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자성분이 포함된 에폭시 충진재의 자성분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간단하게 전기적 특성을 변경시킬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의 A-A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의 듀얼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듀얼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의 전극부를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7은 듀얼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에 전극부가 부착되고, 코일이 권선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를 살펴보면,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500)는 다층구조의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100), 코일(200), 충진재(300) 및 전극부(400)를 포함한다.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100)는 플랜지(110), 권심(130) 및 고정홈(150)으로 구성된다. 플랜지(110)는 상호 이격되고 대향되게 배치된 3개의 플랜지 즉, 제1 플랜지(111), 제2 플랜지(112) 및 제3 플랜지(113)를 포함하며, 권심(130)은 각 플랜지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고, 각 플랜지를 상호 연결한다.
제1 플랜지(111)의 측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4개의 고정홈이 형성되며, 나머지 제2 플랜지(112)와 제3 플랜지(113)의 측부에도 일정 간격으로 각각 4개의 고정홈이 형성된다. 각 플랜지에 형성된 고정홈의 크기 및 간격은 동일하게 형성된다.
코일(200)은 제1 코일(210)과 제2 코일(220)을 포함한다. 제1 코일(210)은 제1 플랜지(111)와 제2 플랜지(112)가 제공하는 제1 권선영역의 권심(130)에 권선되며, 제2 코일(220)은 제2 플랜지(112)와 제3 플랜지(113)가 제공하는 제2 권선영역의 권심(130)에 권선된다. 권선된 제1 코일(210)의 단부는 제1 플랜지(111)의 측부에 형성된 고정홈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고, 제2 코일(220)의 단부는 제2 플랜지(112)의 측부에 형성된 고정홈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된다.
전극부(400)는 플랜지 중 최하단에 배치되는 하부 플랜지 즉, 제1 플랜지에 직접 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극부(400)는 다수의 전극 즉, 4개의 전극으로 구성되며, 각 전극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각 전극에는 제1 코일(210)과 제2 코일(220)의 단부가 각각 솔더링 또는 용접되어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충진재(300)는 코일(200)이 권선된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100)의 플랜지(110)의 내부 공간에 충진된다. 이때, 충진재는 자성분이 포함된 에폭시 수지 및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며, 디스펜서 방식으로 충진한다.
도 4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의 듀얼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의 구조를 상세히 살펴본다.
제1 플랜지(111)는 최하단에 배치되고, 그 상부에는 제2 플랜지(112)가 배치되고, 제2 플랜지(112)의 상부에는 제3 플랜지(113)가 배치된다. 이러한 각 플랜지(100)는 권심(130)에 의해서 상호간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2층 구조의 듀얼 드럼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각 플랜지는 서로 동일한 크기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 된다. 그 결과,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의 제조 공정이 단순해져서 제조 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의 전극부의 구조를 상세히 살펴본다.
전극부(400)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의 전극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4개의 전극 즉, 제1 전극(410), 제2 전극(420), 제3 전극(430) 및 제4 전극(440)으로 구성된다. 각 전극의 모양만 약간 차이가 있을 뿐 그 구성은 유사한 바, 이하에서는 제1 전극을 예시로 설명한다. 제1 전극(410)은 제1 전극 베이스 플레이트(411), 제1 전극 측벽(412) 및 제1 전극핀(413)으로 구성된다.
제1 전극 베이스 플레이트(411)는 제1 플랜지(111)의 바닥면과 직접 접촉하여 부착되는 면을 제공하며, 제1 전극 측벽(412)은 제1 전극 베이스 플레이트(411)의 측부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제1 전극핀(413)은 제1 전극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돌출 연장되어 절곡되게 형성되며, 제1 전극 측벽(412)보다 폭은 좁으면서 길이는 길게 형성된다. 코일의 단부는 이러한 전극핀에 솔더링 또는 용접된다. 제1 전극핀(413)을 비롯한 전극핀들은 코일 권선이 완료된 후, 코일의 단부를 전극핀에 각각 솔더링 또는 용접한 후 전극핀들을 절곡시켜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의 플랜지 측부에 접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리플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의 개략 적인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500)는 다층구조의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100), 코일(200), 충진재(300) 및 전극부(400)를 포함한다.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100)는 플랜지(110), 권심(130) 및 고정홈(150)으로 구성된다. 플랜지(110)는 상호 이격되고 대향되게 배치된 4개의 플랜지 즉, 제1 플랜지(111), 제2 플랜지(112), 제3 플랜지(113) 및 제4 플랜지(114)를 포함하며, 권심(130)은 각 플랜지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고, 각 플랜지를 상호 연결한다. 제1 플랜지(111)는 최하단에 배치되고, 그 상부에는 제2 플랜지(112)가 배치되고, 제2 플랜지(112)의 상부에는 제3 플랜지(113)가 배치되고, 제3 플랜지(113)의 상부에는 제4 플랜지(114)가 배치된다. 이러한 각 플랜지(100)는 권심(130)에 의해서 상호간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3층 구조의 트리플 드럼형으로 형성되고, 각 플랜지는 서로 동일한 크기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된다.
제1 플랜지(111)의 측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6개의 고정홈이 형성되며, 나머지 제2 플랜지(112), 제3 플랜지(113) 및 제4 플랜지(114)의 측부에도 일정 간격으로 각각 6개의 고정홈이 형성된다. 각 플랜지에 형성된 고정홈의 크기 및 간격은 동일하게 형성된다.
코일(미도시)은 제1 코일, 제2 코일 및 제3 코일을 포함한다. 제1 코일은 제1 플랜지(111)와 제2 플랜지(112)가 제공하는 제1 권선영역의 권심(130)에 권선되 며, 제2 코일은 제2 플랜지(112)와 제3 플랜지(113)가 제공하는 제2 권선영역의 권심(130)에 권선되고, 제3 코일은 제3 플랜지(113)와 제4 플랜지(114)가 제공하는 제3 권선영역의 권심(130)에 권선된다.
전극부(400)는 플랜지 중 최하단에 배치되는 하부 플랜지 즉, 제1 플랜지에 직접 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극부(400)는 6개의 전극으로 구성되며, 각 전극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각 전극에는 제1 코일 내지 제3 코일의 단부가 각각 솔더링 또는 용접되어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충진재(300)는 코일(200)이 권선된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100)의 플랜지(110)의 내부 공간에 충진된다. 이때, 충진재는 자성분이 포함된 에폭시 수지 및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며, 디스펜서 방식으로 충진한다.
그 결과, 하나의 인덕터로 세 개의 인덕터가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11a 내지 도 11e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의 제조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10 내지 도 11d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의 제조방법을 살펴본다.
우선, 상호 이격되고 대향되게 배치된 적어도 3개 이상의 플랜지와, 각 플랜지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고, 각 플랜지를 상호 연결하는 권심을 포함하는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를 형성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11). 본 실시예의 경우 3개의 플랜지로 구성되어 2개의 권선영역(즉, 2층 구조)을 갖는 듀얼(dual)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를 형성한다(도 11a 참조).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4개의 플랜지로 구성되어 3개의 권선영역(즉, 3층 구조)을 갖는 트리플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그 이상의 권선영역을 갖는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는 페라이트 성분을 함유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각 플랜지에는 코일을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고정홈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각 플랜지에 일정간격으로 4개의 홈을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의 최하단에 배치되는 하부 플랜지에 미리 준비된 전극부를 부착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12, 도 11b 참조). 그 다음, 3개의 플랜지가 제공하는 두 권선 영역에 각각 코일을 권선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13, 도 11c 참조).
각 코일의 단부를 전극부에 솔더링 또는 용접을 하여 코일과 전극부를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결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S14). 이때, 용접은 아크 용접 또는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다.
코일이 권선된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의 플랜지의 내부 공간에 충진재를 충진하는 과정을 수행한 후, 충진재를 경화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S15, 도 11d 참조). 이때, 충진재는 디스펜서 방식으로 충진하며, 충진재는 자성분이 포함된 에폭시 수지 및 폴리실록산을 포함한다.
솔더링 또는 용접된 각 전극의 전극핀을 절곡시켜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의 플랜지의 측부에 접하도록 한다(S16, 도 11e 참조).
도 12a 내지 도 12c는 종래기술 1, 종래기술 2 및 본 발명에 따른 인덕터의 상호인덕턴스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하기 표 1은 종래기술의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 단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 및 본 발명의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의 상호인덕턴스를 비교한 실측데이타이다. (단, L1, L2는 15μH를 기준으로 한다. 비교대상의 인덕터 사이즈(L x W x T)는 8.0mm x 8.0mmx 8.0mm의 dual inductor를 기준으로 한다.
L3 : L1과 L2의 직렬연결, L4는 L1과 L2의 병렬연결을 나타낸다.)
[표 1]
L(μH) 종래 다층구조 단층구조 본 발명
L1 14.13 14.35 14.83
L2 15.72 15.20 15.14
L3 42.19 58.44 39.04
L4 4.16 0.13 5.32
상기 표 1과같이 L3의 경우 L1과 L2의 직렬연결로서 수식으로는 L3=L1+L2이고 값은 약30μH정도가 나와야되지만 상호인덕턴스의 영향으로 실제적으로는 L1+L2+Lm(상호인덕턴스)가 된다. 상호인덕턱스란 상호유도작용에 의하여 1차 측
전류의 시간변동분과 2차 측에 유도되는 전압의 비례계수를 의미한다.
결국, 상기 표 1을 보면 종래 다층구조 인덕터는 42.19μH정도가 나오고, 본 발명의 인덕터는 39.04μH 정도가 나와 종래 다층구조 인덕터 상호인덕턴스의 영향을 덜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30μH에 가깝게 나와야 상호인덕턴스 영향을 덜 받는 다고 할 수 있는데, 단층구조 인덕터에 L1, L2를 형성한 경우는 값이 58.44μH가 나와 상호인덕턴스의 영향이 매우 심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L4의 경우 L1과 L2의 병렬연결로서 L4=(1/L1)+(1/L2)이고 값은 약7.5μH정도가 나와야하지만, 상호인덕턴스의 영향으로 실제적으로는 (1/L1)+(1/L2)-Lm(상호인덕턴스)이 된다.
표 1을 보면 종래 다층구조 인덕터는 4.16μH정도가 나오고, 본 발명의 인덕터는 5.32μH정도가 나와, 이 또한 L3과 마찬가지로 종래 다층구조 인덕터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구조 인덕터가 상호인덕턴스의 영향이 적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표 1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가 상호인덕턴스의 영향을 가장 적게 받음을 알 수 있다. 즉, 상호 인덕턴스가 적어 복합된 다수 개 인덕터간 독립성이 우수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다층구조 인덕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의 A-A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의 듀얼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듀얼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의 전극부를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7은 듀얼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에 전극부가 부착되고, 코일이 권선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리플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리플 타입 표면실장형 인덕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e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의 제조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종래기술 1, 종래기술 2 및 본 발명에 따른 인덕터의 상호인덕턴스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 110 : 플랜지
130 : 권심 150 : 고정홈
200 : 코일 300 : 충진재
400 : 전극부

Claims (14)

  1. 상호 이격되고 대향되게 배치된 적어도 3개 이상의 플랜지와, 상기 각 플랜지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각 플랜지를 상호 연결하는 권심을 포함하는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
    상기 적어도 3개 이상의 플랜지가 제공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권선 영역에 각각 권선되는 코일;
    상기 코일이 권선된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의 상기 플랜지의 내부 공간에 충진되는 충진재; 및
    상기 적어도 3개 이상의 플랜지 중 최하단에 배치되는 하부 플랜지에 설치되는 전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는 자성분이 포함된 에폭시 수지 및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플랜지에는 상기 코일을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고정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의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각 전극은,
    상기 하부 플랜지의 바닥면에 부착되는 전극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전극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돌출 연장되어 절곡되게 형성된 전극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단부는 상기 전극핀에 솔더링 또는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은 아크 용접 또는 레이저 용접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전극은 상기 전극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부에서 절곡되게 연장되어 형성된 전극 측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플랜지는 서로 동일한 크기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3개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홈은 상기 각 플랜지 마다 일정간격으로 4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4개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홈은 상기 각 플랜지 마다 일정간격으로 6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
  11.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호 이격되고 대향되게 배치된 적어도 3개 이상의 플랜지와, 상기 각 플랜 지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각 플랜지를 상호 연결하는 권심을 포함하는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의 최하단에 배치되는 하부 플랜지에 전극부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3개 이상의 플랜지가 제공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권선 영역에 각각 코일을 권선하는 단계;
    상기 코일 단부를 상기 전극부에 솔더링 또는 용접하는 단계;
    상기 코일이 권선된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의 상기 플랜지의 내부 공간에 충진재를 충진하는 단계; 및
    상기 충진재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를 디스펜서 방식으로 충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의 제조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는 자성분이 포함된 에폭시 수지 및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의 제조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형 페라이트 코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각 플랜지에는 상기 코일을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고정홈이 각각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의 제조방법.
KR1020090086650A 2009-09-14 2009-09-14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112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650A KR101112752B1 (ko) 2009-09-14 2009-09-14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650A KR101112752B1 (ko) 2009-09-14 2009-09-14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8987A true KR20110028987A (ko) 2011-03-22
KR101112752B1 KR101112752B1 (ko) 2012-03-14

Family

ID=43935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6650A KR101112752B1 (ko) 2009-09-14 2009-09-14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27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0928A1 (ko) * 2019-09-25 2021-04-01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층 인덕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344Y1 (ko) * 2003-02-18 2003-05-09 주식회사 광성전자 초크 코일
JP2008053670A (ja) * 2006-08-25 2008-03-06 Taiyo Yuden Co Ltd ドラム型コアを用いたインダクタ及びドラム型コアを用いたインダクタ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0928A1 (ko) * 2019-09-25 2021-04-01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층 인덕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2752B1 (ko) 2012-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7673B1 (ko) 변압기 및 인덕터용 권선을 형성하는 네스트된 평탄형 권취 코일
CN104838458B (zh) 平面变压器
EP1933340B1 (en) Coil device, composite coil device and transformer device
US7982576B2 (en) Transformer
US20180122560A1 (en) Multilayer indu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layer inductor
JP6569653B2 (ja) 巻線型コイル部品
JP4873522B2 (ja) 積層インダクタ
KR101671122B1 (ko) 공통 모드 초크코일
US20090160596A1 (en) Magnetic device
JP4895193B2 (ja) 積層インダクタ
JP7106724B2 (ja) 巻線型のコイル部品
US7948350B2 (en) Coil component
JP2008103371A (ja) トランス
US20090066459A1 (en) Transformer Structure
US11462350B2 (en) Coil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13650B1 (ko) 트랜스포머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3092214A (ja) 積層型インダクタ
KR101112752B1 (ko) 다층구조 표면실장형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JP5192582B1 (ja) チョークコイル
JP2012182286A (ja) コイル部品
JP2012028522A (ja) 積層型電子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182285A (ja) コイル部品
JP4930809B2 (ja) トランス
CN102568778B (zh) 叠层功率型线圈类器件
TWI661444B (zh) 變壓線圈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