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8952A - 전자 종이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종이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8952A
KR20110028952A KR1020090086606A KR20090086606A KR20110028952A KR 20110028952 A KR20110028952 A KR 20110028952A KR 1020090086606 A KR1020090086606 A KR 1020090086606A KR 20090086606 A KR20090086606 A KR 20090086606A KR 20110028952 A KR20110028952 A KR 20110028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display unit
electrodes
disposed
diffe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6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문
이환수
이영우
곽정복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6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8952A/ko
Priority to US12/643,823 priority patent/US8570271B2/en
Priority to JP2009289496A priority patent/JP5118121B2/ja
Publication of KR20110028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89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67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Filling or closing of cells
    • G02F1/1681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Filling or closing of cells having two or more microcells partitioned by walls, e.g. of microcup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 G02F1/16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by electrophoresi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2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 G02B26/026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based on the rotation of particles under the influence of an external field, e.g. gyricons, twisting ball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6757Microcapsul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676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7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movable elements
    • G09F9/37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movable elements the positions of the elements being controlled by the application of an electric fiel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G02F2001/1678Constructional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particle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종이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종이 표시장치는 투명 물질로 이루어진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서로 다른 거리를 두고 대향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전극;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 2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하여 광학적 특성이 변경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종이 표시 장치는 제1 전극 및 제1 전극과 서로 다른 거리를 두고 대향배치되는 제2 전극 사이에 디스플레이 유닛이 배치되고, 이에 따라 같은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의 회전각도 또는 이동량이 달라져 다양한 범위의 명도를 표현할 수 있다.
회전체, 마이크로 캡슐, 대전 입자, 격벽, 전자종이, 표시장치.

Description

전자 종이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 종이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의 안정성 및 균일성이 우수하고, 명도 조절이 용이한 전자 종이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새로운 패러다임이 요구되는 정보 사회에 상응하여 정보 전달 및 공유 방식에 있어서 대변환이 요구된다. 이것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유연한 디스플레이로서, 구부릴 수 있는 장점을 가진 전자종이의 기술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전자종이 기술 개발은 상업적 개발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전자종이는 기존의 평면 디스플레이 패널에 비하여 생산단가가 저렴하고, 정화면처럼 배경조명이나 지속적인 재충전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아주 적은 에너지로도 구동될 수 있어서 에너지 효율도 월등히 앞선다. 또한, 전자종이는 매우 선명하고, 시야각이 넓으며 전원이 없더라도 글씨가 완전히 사라지지 않는 메모리 기능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큰 장점으로 인해 전자종이는 종이와 같은 면과 움직이는 일러스트레이션을 갖는 전자서적, 자체 갱신성 신문, 이동 전화를 위한 재사용 가 능한 종이디스플레이, 폐기 가능한 TV 스크린 및 전자 벽지 등 실로 광대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으며, 거대한 잠재시장을 가지고 있다.
전자종이 구현을 위한 기술적 접근 방식은 크게 4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서로 반대되는 전하와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상하 반구로 구성된 구형 입자를 전계를 이용하여 회전시키는 트위스트 볼 방식, 오일에 혼합된 유색 대전입자를 마이크로 캡슐 또는 마이크로 컵 안에 가두거나, 대전입자 그대로를 전기장의 인가에 응답하게 하는 전기 영동 방식, 대전된 분류체를 이용하는 QR-LPD(Quick Response-Liquid Power Display) 방식, 콜레스테릭 액정 분자의 선택적 반사 특성을 이용하는 콜레스테릭 액정 디스플레이 방식 등이 있다.
트위스트 볼 방식은 셀 내부가 투명 매질로 채워져 있고, 투명 매질 내에 서로 반대되는 전하와 서로 다른 색상, 예를 들면, 흑과 백으로 착색된 트위스트 볼이 배치된다. 상기 트위스트 볼에 전압이 인가되면, 인가된 전압 방향에 따라 트위스트 볼은 인가된 하전 부호의 극성이 작용하여 서로 반대되는 극성이 전면을 향하도록 회전되어 흑백이 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셀의 상하에 배치된 상하 투명 전극에서 전압이 인가되기 때문에 인가된 전압 방향에 따라 트위스트 볼에 형성된 하전 상태가 평형이 되도록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항상 흑과 백의 두가지 상태만 표현하게 되어 계조 표시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상의 안정성 및 균일성이 우수하고, 명도 조절이 용이한 전자 종이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투명 물질로 이루어진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서로 다른 거리를 두고 대향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제2 전극;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 2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하여 광학적 특성이 변경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전자 종이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2 전극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차부를 갖는 하부 구조물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은 광 투과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1 기판 상에 형성되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종이 표시장치는 제1 전극과 서로 다른 거리를 두고 대향 배치되는 2개 이상의 제2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에 배치되는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하나의 픽셀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서로 다른 색으로 착색되고, 서로 다른 대전특성을 나타내는 2개의 표시영역을 가지는 회전체일 수 있다.
상기 회전체는 구형, 타원형 또는 실린더형 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서로 다른 대전 특성을 나타내는 2 종류의 대전입자가 분산된 투명 유체가 봉입된 마이크로 캡슐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투명 유체 및 상기 투명 유체에 분산된 서로 다른 대전 특성을 나타내는 2 종류의 대전입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차부를 갖는 하부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단차부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 상에 디스플레이 유닛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극과 대향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덮도록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종이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전자 종이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하부 구조물에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수용하기 위한 격벽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구조물은 임프린트 방식, 사출 성형(injection molding), 레이저 패터닝, 또는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종이 표시장치는 제1 전극과 상기 제1 전극과 서로 다른 거리를 두고 대향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즉, 디스플레이 유닛에 전압을 인가하는 제1 전극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전극의 간격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어, 제1 및 제2 전극에 동일한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에도 디스플레이 유닛의 회전량 또는 이동량이 달라진다. 이에 따라 다양한 범위의 명도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과 서로 다른 거리로 배치되는 2개 이상의 제2 전극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하나의 픽셀로 구성하는 경우, 각 픽셀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다양한 범위의 명도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격벽에 의해 형성되는 셀 공간에 디스플레이 유닛이 배치되어, 셀 공간이 아닌 격벽 등의 다른 위치에 디스플레이 유닛이 존재할 가능성이 적다. 이에 따라 화면상의 얼룩이나 스팟(spot)이 발생하지 않아 화상의 안정성 및 균일성이 우수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종이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 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종이 표시장치는 제1 전극(10); 제2 전극(20); 및 디스플레이 유닛(30);를 포함한다.
제1 전극(10)은 표시면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투명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전극(10)은 광투과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제1 기판(미도시)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판은 유리 또는 유연성이 있는 플라스틱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또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술폰(PES), 고리형 올레핀 고분자(COC),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polydimethylsiloxane) 또는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PUA, poly urethane acrylat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종이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전극(10)과 서로 다른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21, 22, 23)을 포함한다.
각각의 제2 전극(21, 22, 23)은 상기 제1 전극(10)과 서로 다른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극(21, 22, 23)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차부를 갖는 하부 구조물(5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10) 및 제2 전극(20)은 도전성 재료로써,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극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티오핀 또 는 폴리아닐린과 같은 도전성 폴리머, 은이나 니켈과 같은 금속입자, 상기 금속 입자를 포함하는 폴리머 필름, 인듐 틴 옥사이드(ITO: Indium-Tin-Oxid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10) 및 제2 전극(20) 사이에는 디스플레이 유닛(30)이 배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30)은 상기 제1 전극(10) 및 제2 전극(20)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하여 광학적 특성이 변경된다.
또한, 상기 제1 전극(10) 및 제2 전극 사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수용하기 위한 격벽(4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격벽(40)은 복수의 제2 전극(21, 22, 23) 사이에 형성되어, 제1 전극(10)과 제2 전극(20) 사이에 디스플레이 유닛(30)이 수용될 수 있는 셀 공간(4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격벽의 재질은 유연성이 있는 재료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열경화성 수지 또는 UV 경화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또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술폰(PES), 고리형 올레핀 고분자(COC),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polydimethylsiloxane) 또는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PUA, poly urethane acrylat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는 유전액(dielectric liquid)이 충진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30)은 회전체일 수 있다. 도 2는 회전체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회전체는 서로 다른 색으로 착색되고, 서로 다른 대전 특성을 나타내는 2개의 표시영역(30a, 30b)을 가진다. 상기 2개의 표시영역은 서로 다른 색으로 착색될 수 있으며, 제1 표시영역(30a)은 백색으로 착색되고, 제2 표시영역(30b)은 흑색으로 착색될 수 있다. 제1 표시영역(30a)이 양전하로 대전되는 경우 제2 표시영역(30b)은 음전하로 대전된다. 상기 회전체(30)에 전압이 인가되면 전압의 크기 및 방향에 따라 회전하게 되고, 2개의 표시영역에 착색된 색상에 의하여 흑색 또는 백색을 표시하게 된다.
상기 회전체(30)를 전기적 및 광학적으로 처리하여 제1 및 제2 표시영역을 형성하는 방법은 당업계의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개의 착색 액을 구비하는 회전 디스크에 회전체를 투입한 후 상기 회전체에 원심력을 작용하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회전체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구형, 타원형 또는 실린더형 일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회전체는 표면에 2개의 표시영역이 형성된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표시영역의 개수는 3개 이상이 될 수도 있다.
또한 흑색이나 백색이 아닌 다양한 색으로 표시 영역을 착색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10)및 제2 전극(20)에 의하여 회전체(30)에 전압이 인가된다. 인가된 전압의 방향에 따라 회전체(30)에 형성된 하전 상태가 평형이 되도록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흑과 백의 상태가 표현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회전체(31, 32, 33)에 전압을 인가하는 제1 전극(10)과 복수의 제2 전극(21, 22, 23)은 서로 다른 간격으로 배치된다. 회전체에 전압을 인가하는 제1 및 제2 전극의 간격이 달라, 같은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회전체의 회전량, 즉 회전 각도가 달라진다.
제1 및 제2 전극의 간격이 가까울 수록 회전체의 회전량이 증가하여 회전 각도가 커지고, 제1 및 제2 전극의 간격이 멀어질수록 회전체의 회전량이 감소하여 회전 각도가 작아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10)과 서로 다른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2 전극(21, 22, 23)이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전극 간의 간격은 21>22>23으로 형성되어 있다.
같은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제1 및 제2 전극 간의 거리가 가장 작은 제2 전극(21)에 배치된 제1 회전체(31)의 회전 각도가 가장 크고, 제1 및 제2 전극 간의 거리가 중간 정도인 제2 전극(22)에 배치된 제2 회전체(32)의 회전 각도는 중간이며, 제1 및 제2 전극 간의 거리가 가장 작은 제3 전극(23)에 배치된 제3 회전체(33)의 회전 각도가 가장 작다.
이에 따라, 각 회전체(31, 32, 33)에 인가되는 전압이 동일한 경우에도 다양한 범위의 명도가 표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성을 이용하여, 하나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하나의 픽셀을 구성할 수도 있으며, 제1 전극과 서로 다른 거리에 배치되는 2개 이상의 제2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에 배치되는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하나의 픽셀을 구성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제2 전극 및 이에 배치된 3개의 회전체가 하나의 픽셀을 구성할 수 있다. 하나의 픽셀의 구성하는 3개의 제2 전극(21, 22, 23)은 제1 전극(10)과의 거리다 서로 다르므로, 동일한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각 제2 전극에 배치되는 3개의 회전체(31, 32, 33)의 회전 각도는 서로 다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제2 전극(21, 22, 23)을 하나의 픽셀(P1, P2, P3)로 구성한다. 이때, 3개의 제2 전극은 제1 전극과 서로 다른 거리를 두고 배치된다.
제1 픽셀(P1)에는 3개의 회전체가 모두 180°회전할 수 있는 가장 큰 크기의 전압을 인가하여, 백색 즉, 명도가 큰 색을 구현한다.
제2 픽셀(P2)에는 중간 크기의 전압을 인가하여, 3개의 회전체의 회전 각도를 서로 다르게 한다. 이에 따라 중간 정도의 명도를 구현한다.
제3 픽셀(P3)에는 가장 작은 크기의 전압을 인가하여, 3개의 회전체의 회전 각도를 작게하여 명도가 작은 색을 구현한다.
이와 같이, 제1 전극과 서로 다른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2개 이상의 제2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에 배치되는 회전체를 하나로 픽셀로 구성하고, 각 픽셀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다양한 범위의 명도를 구현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에는 회전체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와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종이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술한 실시예와 다른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전극(10) 및 제2 전극(20) 사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은 서로 다른 대전 특성을 갖는 2종류의 입자가 분산된 투명 유체가 봉입된 마이크로 캡슐(60)일 수 있다.
도 5는 마이크로 캡슐(60)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 면, 마이크로 캡슐(60)은 전기영동 현상에 의해 이동되는 서로 다른 대전 특성을 갖는 2종류의 입자(61, 62)가 분산된 투명 유체(transparent fluid)가 캡슐 외벽에 의하여 봉입된다. 상기 투명 유체 내에 분산된 대전 입자는 양전하를 띤 백색 입자(61)와 음전하를 띤 흑색 입자(62)일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마이크로 캡슐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구형, 타원형 또는 실린더형 일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10) 및 제2 전극(20)에 의하여 마이크로 캡슐(60)에 전압이 인가되면 대전된 입자가 비상 또는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흑색 또는 백색이 표현되게 된다.
같은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제1 및 제2 전극 간의 거리가 가장 작은 제2 전극(21)에 배치된 제1 마이크로 캡슐(61)에 포함된 대전 입자의 이동량이 가장 많고, 제2 전극(22)에 배치된 제2 마이크로 캡슐(62)에 포함된 대전 입자의 이동량은 중간 정도이며, 제2 전극(23)에 배치된 제3 마이크로 캡슐(63)에 포함된 대전 입자의 이동량이 가장 작다. 이에 따라, 다양한 범위의 명도가 표현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종이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술한 실시예와 다른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 한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전극(10) 및 제2 전극(20) 사이에는 투명 유체 (transparent fluid) 및 상기 투명 유체에 분산된 서로 다른 대전 특성을 갖는 2 종류의 대전 입자(71, 72)가 배치된다.
상기 서로 다른 대전 특성을 갖는 2종류의 대전 입자는 양전하를 띤 백색 입자(71)와 음전하를 띤 흑색 입자(72)일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10) 및 제2 전극(20)에 의하여 상기 대전 입자에 전압이 인가되면 대전된 입자가 비상 또는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흑색 또는 백색이 표현되게 된다.
같은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제1 및 제2 전극 간의 거리가 가장 작은 제2 전극(21)에 배치된 대전 입자의 이동량이 가장 많고, 제2 전극(22)에 배치된 대전 입자의 이동량은 중간 정도이며, 제2 전극(23)에 배치된 대전 입자의 이동량이 가장 작다. 이에 따라, 다양한 범위의 명도가 표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별 단면도이다.
우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차부를 갖는 하부 구조물(50)을 형성한다.
하부 구조물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임프린트 방식, 사출 성형(injection molding), 레이저 패터닝, 또는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하부 구조물의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열경화성 수지 또는 UV 경화성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 또는 UV 경화성 수지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술폰(PES), 고리형 올레핀 고분자(COC),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polydimethylsiloxane) 또는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PUA, poly urethane acrylat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차부 각각에 복수 개의 제1 전극을 형성한다. 도 1에 도시된 전자 종이 표시장치의 제1 전극(10) 및 제2 전극(20)은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 7 내지 도 11에서는 각각 제2 전극(10) 및 제1 전극(20)으로 표시한다.
전극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도금 공정 또는 도전성 재료를 이용한 인쇄법 등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전극(21, 22, 23)을 구획하고, 디스플레이 유닛을 수용하기 위한 격벽(4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제1 전극(21, 22, 23)을 덮도록 수지층(40a)을 형성한다. 이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각 및 양각 패턴을 가지는 스탬프(S)로 상기 수지층(40a)을 압착한다. 스탬프의 음각 및 양각 패턴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제1 전극(21, 22, 23)을 구획하고, 디스플레이 유닛을 수용할 수 있는 격벽(40)이 형성된다.
스탬프(S)의 음각 및 양각 패턴을 조절하여 격벽의 간격 및 크기를 조절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전극(21, 22, 23) 상에 디스플레이 유닛(30)을 배치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스퀴지 등을 이용하여 격벽(40)에 의하여 형성된 셀 공간(41)에 주입될 수 있다. 격벽(40)에 의해 형성되는 셀 공간에 디스플레이 유닛(30) 배치되는 구조로써, 셀 공간이 아닌 격벽 등의 다른 위치에 회전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적다.
이후, 복수의 제1 전극(21, 22, 23)과 대향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30)을 덮도록 제2 전극(1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는 회전체가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유전액(dielectric liquid)이 충진될 수 있다.
제2 전극(10)은 광 투광성 물질로 이루어진 기판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회전체, 마이크로 캡슐, 또는 대전 입자 자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종이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회전체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종이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종이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마이크로 캡슐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종이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종이 표시장치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1 전극(제2 전극) 20: 제2 전극(제1 전극)
30: 회전체 40: 격벽
50: 하부 구조물 60: 마이크로 캡슐
71, 72: 제1 및 제2 대전 입자

Claims (12)

  1. 투명 물질로 이루어진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서로 다른 거리를 두고 대향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제2 전극;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 2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하여 광학적 특성이 변경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유닛;
    을 포함하는 전자 종이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차부를 갖는 하부 구조물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종이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광 투과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1 기판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종이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종이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과 서로 다른 거리를 두고 대향 배치되는 2개 이상의 제2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에 배치되는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하나의 픽셀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종이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서로 다른 색으로 착색되고, 서로 다른 대전특성을 나타내는 2개의 표시영역을 가지는 회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종이 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구형, 타원형 또는 실린더형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종이 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서로 다른 대전 특성을 나타내는 2 종류의 대전입자가 분산된 투명 유체가 봉입된 마이크로 캡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종이 표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투명 유체 및 상기 투명 유체에 분산된 서로 다른 대전 특성을 나타내는 2 종류의 대전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종이 표시장치.
  10.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차부를 갖는 하부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단차부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 상에 디스플레이 유닛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극과 대향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덮도록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종이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구조물에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수용하기 위한 격벽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구조물은 임프린트 방식, 사출 성형(injection molding), 레이저 패터닝, 또는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공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종이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0090086606A 2009-09-14 2009-09-14 전자 종이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2895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606A KR20110028952A (ko) 2009-09-14 2009-09-14 전자 종이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2/643,823 US8570271B2 (en) 2009-09-14 2009-12-21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9289496A JP5118121B2 (ja) 2009-09-14 2009-12-21 電子ペーパー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606A KR20110028952A (ko) 2009-09-14 2009-09-14 전자 종이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8952A true KR20110028952A (ko) 2011-03-22

Family

ID=43730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6606A KR20110028952A (ko) 2009-09-14 2009-09-14 전자 종이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570271B2 (ko)
JP (1) JP5118121B2 (ko)
KR (1) KR2011002895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5474A1 (ko) * 2020-07-28 2022-02-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2007643B2 (en) 2020-07-28 2024-06-11 Lg Innotek Co., Ltd. Optical path control memb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5362B1 (ko) * 2010-11-08 2018-05-21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전계구동 셀 및 그 작동방법
KR20120122177A (ko) * 2011-04-28 2012-11-07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종이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WO2015041969A1 (en) * 2013-09-23 2015-03-26 E Ink California, Llc Display panel with pre-patterned images
US10816868B2 (en) 2013-09-23 2020-10-27 E Ink California, Llc Active molecule delivery system comprising microcells
KR20160048619A (ko) * 2014-10-24 2016-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광결정 표시장치 및 광결정성을 이용한 표시 방법
US20230040154A1 (en) * 2020-01-14 2023-02-09 Lg Innotek Co., Ltd. Light route control memb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27440C (en) * 1989-11-08 1995-07-04 Nicholas K. Sheridon Paper-like computer output display and scanning system therefor
US5717515A (en) * 1995-12-15 1998-02-10 Xerox Corporation Canted electric fields for addressing a twisting ball display
JP3932570B2 (ja) 1996-08-22 2007-06-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泳動装置
US6462859B1 (en) 2000-10-04 2002-10-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ectromagnetically responsive particle assembly and methods and articles for manufacture and use
JP4763985B2 (ja) 2004-08-18 2011-08-3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画像表示装置
JP2007286190A (ja) 2006-04-13 2007-11-01 Funai Electric Advanced Applie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Inc 電気泳動型反射型表示装置
TW200835995A (en) * 2006-10-10 2008-09-01 Cbrite Inc Electro-optic display
TWI431386B (zh) * 2007-05-01 2014-03-21 Prime View Int Co Ltd 電子墨水顯示面板
JP2008287172A (ja) 2007-05-21 2008-11-27 Bridgestone Corp 情報表示用パネル
JP2009122198A (ja) 2007-11-12 2009-06-04 Bridgestone Corp 情報表示用パネルの製造方法および情報表示用パネル
JP4653201B2 (ja) 2008-09-03 2011-03-1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認証システムおよび認証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5474A1 (ko) * 2020-07-28 2022-02-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2007643B2 (en) 2020-07-28 2024-06-11 Lg Innotek Co., Ltd. Optical path control memb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118121B2 (ja) 2013-01-16
US8570271B2 (en) 2013-10-29
JP2011059653A (ja) 2011-03-24
US20110063259A1 (en) 2011-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8121B2 (ja) 電子ペーパー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79533B1 (ko) 전자 종이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141424B1 (ko) 전자 종이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5579763B2 (ja) 電子ペーパー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29706A (ko) 전자 종이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93744B1 (ko) 높은 대비비를 갖는 전자종이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101466B1 (ko) 전자종이 표시장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한 전자종이 표시장치
KR20060112779A (ko) 3극 구조를 갖는 전자종이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079545B1 (ko) 전자 종이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153583B1 (ko) 전자 종이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043329B1 (ko) 전자종이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153493B1 (ko) 전자 종이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15946A (ko) 전자종이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101421B1 (ko) 시트형 전자종이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1101518B1 (ko) 전기영동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208255B1 (ko) 전자종이 표시장치
KR101275338B1 (ko) 전자종이 표시장치
KR20110061105A (ko) 전자 종이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74014A (ko) 전자종이 표시장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한 전자종이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