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3329B1 - 전자종이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종이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3329B1
KR101043329B1 KR1020090031193A KR20090031193A KR101043329B1 KR 101043329 B1 KR101043329 B1 KR 101043329B1 KR 1020090031193 A KR1020090031193 A KR 1020090031193A KR 20090031193 A KR20090031193 A KR 20090031193A KR 101043329 B1 KR101043329 B1 KR 101043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capsule
electronic paper
embossed pattern
charged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1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3727A (ko
Inventor
이환수
오용수
이상문
곽정복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US12/544,524 priority Critical patent/US8159741B2/en
Priority to JP2009192179A priority patent/JP2010049258A/ja
Publication of KR20100023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3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329B1/ko
Priority to JP2013019653A priority patent/JP2013092803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 G02F1/16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by electrophoresi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G02F2001/1678Constructional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particle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전자종이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하부기판의 상에 서로 독립되도록 이격된 복수의 양각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복수의 양각패턴 사이에 디스플레이 유닛을 배치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 유닛을 커버하도록, 양각패턴의 상부에 상부기판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종이 표시소자의 제조방법은, 디스플레이 유닛의 고정하고자 하는 부분에만 격벽을 선택적으로 형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열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전자종이, 캡슐, 표시소자, 격벽

Description

전자종이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종이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새로운 패러다임이 요구되는 정보 사회에 상응하여 정보 전달 및 공유 방식에 있어서 대 변환이 필요하다. 이것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유연한 디스플레이로서 구부릴 수 있는 장점을 가진 전자종이의 기술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전자종이 기술 개발은 상업적 개발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전자종이는 기존의 평면 디스플레이 패널에 비하여 생산단가가 훨씬 저렴하며 정화면처럼 배경조명이나 지속적인 재충전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아주 적은 에너지로도 구동될 수 있어서 에너지 효율도 월등히 앞선다. 아울러, 전자종이는 매우 선명하고, 시야각이 넓으며 전원이 없더라도 글씨가 완전히 사라지지 않는 메모리 기능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큰 장점으로 인해 전자종이는 종이와 같은 면과 움직이는 일러스트레이션을 갖는 전자서적, 자체 갱신성 신문, 이동 전화를 위한 재사용 가능한 종이 디스플레이, 폐기 가능한 TV 스크린 및 전자 벽지 등 실로 광대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으며 거대한 잠재 시장을 가지고 있다.
전자종이 구현을 위한 방식으로 액정을 이용한 방법, 유기 EL, 반사 필름 반사형 표시, 전기영동, 트위스트볼, 일렉트로크로믹 방식, 미케니컬 반사형 표시 등이 있다.
이들 방식 중, 전기영동 방식과 트위스트볼 방식 등은 상하부 기판 사이에 디스플레이 유닛을 배치하는 구조를 갖게 되는데, 이 때, 디스플레이 유닛의 균일한 배치가, 표시되는 화면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이에, 디스플레이 유닛을 균일하고,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열의 자유도를 향상시켜 디스플레이 유닛의 균일한 배치를 구현할 수 있는 전자종이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부기판의 상에 서로 독립되도록 이격된 복수의 양각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복수의 양각패턴 사이에 디스플레이 유닛을 배치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 유닛을 커버하도록, 양각패턴의 상부에 상부기판을 부착하 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종이 표시소자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디스플레이 유닛으로는, 유동성 액체에 분산된 (+) 대전입자 및 (-) 대전입자를 포함하는 캡슐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 때, 양각패턴의 높이는 캡슐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 대전입자와 (-) 대전입자 중, 어느 하나는 카본블랙으로 형성된 흑색입자이고, 나머지 하나는 티타늄옥사이드로 형성된 백색입자일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광학적 및 전기적인 이방성을 가지는 회전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양각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하부기판의 상면에 수지층을 적층하는 단계; 및 수지층에 양각패턴에 상응하는 음각패턴이 형성된 스탬프를 압착하는 단계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양각패턴의 횡단면은 십자형, Y자형, 사각형, 원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양각패턴은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이더술폰(PES), 폴리이미드, 에폭시계, 우레탄계 및 폴리에스테르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하부기판; 하부기판 상에 서로 독립되도록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양각패턴; 및 양각패턴 사이에 서로 이격되도록 각각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 디스플레이 유닛을 커버하도록, 양각패턴의 상부에 적층되는 상부기판을 포함하는 전자종이 표시소자가 제공된다.
디스플레이 유닛으로는, 유동성 액체에 분산된 (+) 대전입자 및 (-) 대전입 자를 포함하는 캡슐을 이용할 수 있으며, (+) 대전입자와 (-) 대전입자 중, 어느 하나는 카본블랙으로 형성된 흑색입자이고, 나머지 하나는 티타늄옥사이드로 형성된 백색입자일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광학적 및 전기적인 이방성을 가지는 회전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양각패턴의 횡단면은 십자형, Y자형, 사각형, 원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양각패턴의 재질은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이더술폰(PES) 및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양각패턴의 재질은 에폭시계, 우레탄계 및 폴리에스테르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고정하고자 하는 부분에만 격벽을 선택적으로 형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열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자종이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종이 표시소자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7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를 도 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스탬프(10), 음각패턴(12), 하부기판(20), 수지층(30), 양각패턴(32, 33, 34, 36, 37), 캡슐(40), 상부기판(70)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하부기판의 상에 서로 독립되도록 이격된 복수의 양각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유닛을 복수의 양각패턴 사이에 각각 배치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 유닛을 커버하도록, 상기 양각패턴의 상부에 상부기판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종이 표시소자의 제조방법으로서, 디스플레이 유닛의 고정시키고자 하는 부분에만 격벽이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치가 용이하며, 간단하게 격벽을 제조할 수 있다.
우선,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전자종이 표시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각패턴(12)이 형성된 스탬프(10)를 준비한다. 이때, 음각패턴(12)이 형성된 스탬프(10)에는 SAM(self-assembled monolayer) 코팅이 되어 있을 수 있다. 음각패턴(12)에 SAM 코팅을 수행하여 코팅층(미도시)을 형성하면, 스탬프(10)의 음각패턴(12)을 수지층(30)에 압착했을 때, 서로 압착된 수지층(30)과 스탬프(10)가 수월하게 분리될 수 있다.
다음으로, 하부기판(20)에 수지층(30)을 적층하고(도 2 참조), 음각패턴(12)이 형성된 스탬프(10)를 수지층(30)에 압착한 후(도 3 참조), 스탬프(10)를 제거함으로써 음각패턴(12)에 상응하는 양각패턴(32)을 형성할 수 있다(도 4 참조). 이 때, 하부기판(20)에 형성되는 양각패턴(32)은 서로 이격되어 독립된 구조로 형성된다.
한편, 수지층(30)으로 열경화성 에폭시 재료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양각패턴(32)을 보다 더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임프린팅 공정을 이원화할 수 있다.
즉, 수지층(30)의 점도가 최저가 되는 온도 범위 내(예를 들면 약 100℃)에서 스탬프(10)와 수지층(30)을 30분 동안 열압착한 다음, 압착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수지층(30)이 경화될 수 있는 온도 범위(예를 들면 약 180℃)까지 온도를 상승시켜 수지층(30)을 경화시킨 후, 스탬프(10)와 수지층(30)을 분리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게 되면, 스탬프(10)에 형성된 음각패턴(12)이 수지층(30)에 보다 효율적으로 전사될 수 있으며, 분리 시 또는 분리 후에 수지층(30)에 전사된 패턴의 형상이 효율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격벽, 즉 양각패턴(32)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스탬프(10)를 이용한 임프린트 공법을 제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건식 또는 습식 에칭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하부기판(20) 및 후술할 상부기판(70)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의 투명한 기판 상에 ITO(Indium-Tin-Oxide)나 전도성 고분자의 투명 전극이 코팅되어 형성되는 전극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투명 기판 상에 형성된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대전 입자를 쉽게 끌어들일 수 있다.
또한, 양각패턴(32)은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이더술폰(PES) 및 폴리이미드 필름을 이용한 플렉시블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양각패턴(32)은 에폭시계, 우레탄계 및 폴리에스테르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각패턴(32) 사이에 복수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각각 배치한다. 디스플레이 유닛은 서로 이격된 양각패턴(32)들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 즉 셀(cell) 내부에 배치되어 검은색, 흰색 또는 기타 색깔을 나타내는 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유닛으로서 캡슐(40)을 제시한다.
캡슐(40)은 (+)전하 또는 (-)전하를 가진 특정 색의 잉크 미립자와 반대 전하를 띤 다른 색의 잉크 미립자 및 투명 유전유체를 함유한다. 즉, 캡슐(40)은 유동성 액체 내에 분산되어 있는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입자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 대전입자가 카본블랙으로 형성된 흑색입자일 경우 (-) 대전입자는 티타늄옥사이드로 형성된 백색입자일 수 있으며, (+) 대전입자가 티타늄옥사이드로 형성된 백색입자일 경우 (-) 대전입자는 카본블랙으로 형성된 흑색입자일 수 있다.
이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40)의 높이가 양각패턴(32)의 높이 보다 큰 경우, 캡슐(40)이 양각패턴(32)보다 돌출된 구조로 형성되며, 캡슐(40)은 내부에 오일과 같은 유동성 액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양각패턴(32) 사이의 셀 내부에서 눌린 형태를 가지게 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는 추후 상부기판(70)이 적층됨으로 인해 유지된다.
한편, 도 5 및 도 6에는 하나의 셀에 하나의 캡슐(40)이 배치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셀에 여러 개의 캡슐(40)이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40)이 셀 내부의 공간을 채우도록 양각패턴(32)과 상기 캡슐(40)의 상부에 상부기판(70)을 부착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종이 표시소자의 제조방법은, 디스플레이 유닛이 주입되는 양각패턴(32)을 임프린트 공법 등의 방법을 통해 형성함으로 인해, 셀 간의 공간을 미리 구획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유닛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양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전자종이 디스플레이용 장치에서는 표시소자를 함유하는 캡슐의 충진율을 높이는 것과, 격벽의 효율적인 제조방법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전자종이 표시소자의 격벽에 대한 여러 가지 실시예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7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전자종이 표시소자의 격벽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우선,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캡슐(40)을 모두 감싸지 않으면서 캡슐(40)의 네 꼭지점에 해당하는 부분에만 양각패턴(33)이 위치한다. 즉, 캡슐(40)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최소한의 고정부분을 횡단면이 십자형인 격벽(33)으로 구현하는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와 같이 격벽이 사방으로 둘러싸여 있는 구조가 아니고, 캡슐(40)을 고정시키고자 하는 부분에만 격벽(33)이 형성되어 캡슐(40) 을 고정시키기 때문에, 캡슐(40)의 배치가 종래에 비해 훨씬 용이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격벽이 캡슐(40)을 사방으로 둘러싸지 않기 때문에 캡슐(40)을 구획하는 격벽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전자종이 디스플레이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격벽이 사방으로 둘러싸여 있는 구조가 아니고 서로 이격된 십자형의 구조이므로, 임프린트 방법에 의해 양각패턴(33)을 제조하는 경우, 스탬프의 이형이 용이하다.
후술할 여러 가지 전자종이 표시소자의 격벽에 관한 실시예에서는 그 형상이 다를 뿐 구현할 수 있는 효과는 크게 다르지 않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캡슐(40)을 모두 감싸지 않으면서 캡슐(40)의 네 꼭지점 부분에만 횡단면이 원형인 양각패턴(34)이 형성된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캡슐(40)이 육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꼭지점에 해당하는 위치에 횡단면에 원형인 격벽(34), 즉 양각패턴이 형성된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캡슐(40)이 육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꼭지점에 해당하는 위치에 횡단면이 Y자형의 격벽(36)이 형성되어 캡슐(4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된 캡슐(40)의 형상은 허니콤 형상으로 캡슐(40)의 충진율을 최고로 높일 수 있는 구조이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캡슐(40)을 고정하는 격벽이 한 종류가 아닌 두 가지 이상의 종류가 적용된 모습을 제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횡단면이 십자형인 격벽(33)과 사각형인 격벽(37)으로 이루어진 전자종이 표시소자를 예로 한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형상의 캡슐(40)의 꼭지점에 해당하는 위치에 십자형의 양각패턴(33)이 위치하고, 인접한 캡슐의 각 변이 맞닿는 부분에 단면이 사각형 형상인 양각패턴(37)이 위치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십자형의 양각패턴(33) 이외에 단면이 사각형 형상인 양각패턴(37)을 제시하였으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면이 원형인 양각패턴(34)이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사각형 형상의 캡슐의 꼭지점 부분 및 변 부분에 원형격벽(34)이 서로 이격되게 복수로 형성되어 캡슐(40)을 고정시킨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와 달리, 꼭지점 부분을 제외한 변 부분에 원형격벽(34)이 서로 이격되게 복수로 형성되어 캡슐(40)을 고정시킨다.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육각형 형상의 캡슐(40)의 꼭지점 부분을 제외한 변 부분에 원형격벽(34)이 서로 이격되게 복수로 형성되어 캡슐(40)을 고정시킨다.
한편, 도 15에는 격벽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기판(20)에 형성된 양각패턴(32)은 캡슐(40)의 충진율을 높이기 위하여 직각진 형태가 아닌 경사진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양각패턴(32)이 스탬프(10)를 이용한 임프린트 공법으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셀 간의 폭을 일정하게 할 수 있어, 셀 간의 구동전압 산포, 셀 내의 전기장 구배를 최소화하여 최적화된 응답속도를 구현하는 전자종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종이 표시소자의 제조방법은 각 셀마다 정확한 양의 캡슐(40)을 주입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종이 구동 시 화면상에 얼룩이나 스팟(spot)을 제거하여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도 7 내지 도 15에 도시된 여러 실시예들을 제시하였으나, 이들은 일 예에 불과하며, 상기 실시예들이 제시한 구조를 조합한 여러 구조들을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유닛으로서, (+)전하 또는 (-)전하를 가진 특정 색의 잉크 미립자와 반대 전하를 띤 다른 색의 잉크 미립자 및 투명 유전유체를 포함하는 캡슐(40)을 제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16과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적 및 전기적인 이방성을 가지는 회전체(40a, 40b)를 디스플레이유닛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이용되는 회전체(40a, 40b)는 절반은 양전하로 대전되고 나머지 절반은 음전하로 대전되며, 회전에 의해 색상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도록, 검정, 흰색 또는 기타 색깔을 나타내는 재료가 혼합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체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전기장의 극성에 의해서 회전하게 되며, 그로 인해 흑백 또는 기타 컬러 등의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회전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표면에 유체가 코팅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16에는 상부(40a-1)는 검정색을 나타내고 하부(40a-2)는 흰색을 나타내는 구형의 회전체(트위스트볼, 40a)이 도시되어 있고, 도 17에는 상부(40b-1)는 검정 색을 나타내고 하부(40b-2)는 흰색을 나타내는 원기둥 형상의 회전체(40b)가 도시되어 있으나, 회전체의 형상은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회전에 따라 색상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가능하다.
도 18에는 구형의 디스플레이 유닛(40a)이 배치된 전자종이 표시소자의 단면도가 제시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캡슐(40)이 아닌 구형의 회전체(40a) 또는 원기둥 형상의 회전체(40b)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변형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점을 고려하여, 양각패턴(32)의 높이를 디스플레이 유닛(40a, 40b)의 높이와 같거나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종이 표시소자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전자종이 표시소자의 격벽을 나타낸 도면.
도 16은 구형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은 원기둥 형상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8은 구형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배치된 전자종이 표시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탬프
12 : 음각패턴
20 : 하부기판
30 : 수지층
32,33,34,35,36,37 : 양각패턴
40 : 캡슐
40a, 40b : 회전체
70 : 상부기판

Claims (14)

  1. 하부기판의 상에 서로 독립되도록 이격된 복수의 양각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이격된 양각패턴들 사이에 디스플레이 유닛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커버하도록, 상기 양각패턴의 상부에 상부기판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유동성 액체에 분산된 (+) 대전입자 및 (-) 대전입자를 포함하는 캡슐, 또는 광학적 및 전기적인 이방성을 가지는 회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종이 표시소자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상기 캡슐인 경우,
    상기 양각패턴의 높이는 상기 캡슐의 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종이 표시소자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상기 캡슐인 경우,
    상기 (+) 대전입자와 상기 (-) 대전입자 중, 어느 하나는 카본블랙으로 형성된 흑색입자이고, 나머지 하나는 티타늄옥사이드로 형성된 백색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종이 표시소자의 제조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각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하부기판의 상면에 수지층을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지층에 상기 양각패턴에 상응하는 음각패턴이 형성된 스탬프를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종이 표시소자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각패턴의 횡단면은 십자형, Y자형, 사각형, 원형 중 어느 하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종이 표시소자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각패턴은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이더술폰(PES), 폴리이미드, 에폭시계, 우레탄계 및 폴리에스테르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종이 표시소자의 제조방법.
  9. 하부기판;
    상기 하부기판 상에 서로 독립되도록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양각패턴; 및
    상기 양각패턴 사이에 서로 이격되도록 각각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커버하도록, 상기 양각패턴의 상부에 적층되는 상부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유동성 액체에 분산된 (+) 대전입자 및 (-) 대전입자를 포함하는 캡슐, 또는 광학적 및 전기적인 이방성을 가지는 회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종이 표시소자.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상기 캡슐인 경우,
    상기 (+) 대전입자와 상기 (-) 대전입자 중, 어느 하나는 카본블랙으로 형성된 흑색입자이고, 나머지 하나는 티타늄옥사이드로 형성된 백색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종이 표시소자.
  12. 삭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양각패턴의 횡단면은 십자형, Y자형, 사각형, 원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종이 표시소자.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양각패턴은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이더술폰(PES), 폴리이미드, 에폭시계, 우레탄계 및 폴리에스테르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종이 표시소자.
KR1020090031193A 2008-08-22 2009-04-10 전자종이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043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544,524 US8159741B2 (en) 2008-08-22 2009-08-20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9192179A JP2010049258A (ja) 2008-08-22 2009-08-21 電子ペーパー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019653A JP2013092803A (ja) 2008-08-22 2013-02-04 電子ペーパー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82344 2008-08-22
KR1020080082344 2008-08-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727A KR20100023727A (ko) 2010-03-04
KR101043329B1 true KR101043329B1 (ko) 2011-06-22

Family

ID=42175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1193A KR101043329B1 (ko) 2008-08-22 2009-04-10 전자종이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3092803A (ko)
KR (1) KR1010433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9481A1 (en) * 2021-09-27 2023-03-30 E Ink Corporation Electrophoretic particle film having reduced diffraction in an open stat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8329A (ja) * 2001-02-28 2002-09-11 Ricoh Co Ltd カラー表示方法、カラー表示シート、カラー表示装置、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
JP2005182043A (ja) * 2003-12-18 2005-07-07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 マイクロ構造及び接着剤マイクロカプセルを用いるマイクロ構造を封止する方法
KR100616132B1 (ko) * 2004-08-24 2006-08-28 재단법인 전라남도신소재산업진흥재단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용 격벽구조 및 그 구조를이용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JP2007310402A (ja) * 2006-05-19 2007-11-29 Xerox Corp 電気泳動ディスプレ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8330A (ja) * 2001-02-28 2002-09-11 Fujitsu Ltd シート型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350907A (ja) * 2001-03-19 2002-12-04 Hitachi Maxell Ltd 表示媒体
JP2007298894A (ja) * 2006-05-05 2007-11-15 Isao Ota 表示装置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表示システム
JP2008051881A (ja) * 2006-08-22 2008-03-06 Brother Ind Ltd 電気泳動表示媒体、電気泳動表示媒体の製造方法及び、電気泳動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8329A (ja) * 2001-02-28 2002-09-11 Ricoh Co Ltd カラー表示方法、カラー表示シート、カラー表示装置、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
JP2005182043A (ja) * 2003-12-18 2005-07-07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 マイクロ構造及び接着剤マイクロカプセルを用いるマイクロ構造を封止する方法
KR100616132B1 (ko) * 2004-08-24 2006-08-28 재단법인 전라남도신소재산업진흥재단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용 격벽구조 및 그 구조를이용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JP2007310402A (ja) * 2006-05-19 2007-11-29 Xerox Corp 電気泳動ディスプレイ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9481A1 (en) * 2021-09-27 2023-03-30 E Ink Corporation Electrophoretic particle film having reduced diffraction in an open st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092803A (ja) 2013-05-16
KR20100023727A (ko) 201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8121B2 (ja) 電子ペーパー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8159741B2 (en)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043329B1 (ko) 전자종이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67497B1 (ko) 3극 구조를 갖는 전자종이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101466B1 (ko) 전자종이 표시장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한 전자종이 표시장치
KR100693744B1 (ko) 높은 대비비를 갖는 전자종이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20100033805A1 (en)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208258B1 (ko) 전자 종이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158179B1 (ko) 전자종이 표시소자
KR100920233B1 (ko) 전자종이 표시소자의 입자주입방법
KR101141424B1 (ko) 전자 종이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054938B1 (ko) 전자종이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101518B1 (ko) 전기영동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079545B1 (ko) 전자 종이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29706A (ko) 전자 종이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153583B1 (ko) 전자 종이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153493B1 (ko) 전자 종이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912405B1 (ko) 전자종이 표시소자의 입자주입방법
KR101153665B1 (ko) 전자 종이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101421B1 (ko) 시트형 전자종이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20110074014A (ko) 전자종이 표시장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한 전자종이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