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8877A -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8877A
KR20110028877A KR1020090086507A KR20090086507A KR20110028877A KR 20110028877 A KR20110028877 A KR 20110028877A KR 1020090086507 A KR1020090086507 A KR 1020090086507A KR 20090086507 A KR20090086507 A KR 20090086507A KR 20110028877 A KR20110028877 A KR 20110028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axis direction
classification
input
classification criter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6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1593B1 (ko
Inventor
승정아
유연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6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1593B1/ko
Priority to US12/732,511 priority patent/US8626762B2/en
Priority to JP2010154772A priority patent/JP5872142B2/ja
Publication of KR20110028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8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1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1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본 UI 제공방법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둘 이상의 축 방향에 대응되는 조작을 입력받고, 입력된 조작의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둘 이상의 분류기준을 적용하여 복수의 이미지들 중 하나의 이미지를 탐색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다양한 분류기준을 이용하여 더욱 쉽게 원하는 이미지를 탐색할 수 있게 된다.
이미지, 축, 탐색, 방향

Description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and display apparatus applying the same}
본 발명은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장된 이미지들 중에 원하는 이미지를 탐색하기 위한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저장 능력이 매우 향상되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매우 많은 수의 이미지들을 저장해 둘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이 많은 수의 이미지들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되어 있으면, 사용자는 원하는 이미지를 탐색하는데 매우 많은 시간을 소요해야 한다. 또한, 원하는 이미지를 탐색한 후에도, 이와 관련된 다른 이미지를 또 탐색하기 위해 사용자는 수많은 조작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들을 탐색해야 한다.
특히, 대부분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나의 분류기준을 바탕으로 이미지를 탐색하도록 구현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한가지 분류기준을 기초로 배열된 이미지들을 보고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해야 한다. 그리고, 탐색을 위한 분류기준을 변 경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을 변경하여 분류기준을 변경하기 위한 조작을 별도로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사용자는 더욱 쉽고 편리한 방식으로 이미지를 탐색하기를 원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다양한 분류기준을 이용하여 더욱 쉽게 원하는 이미지를 탐색할 수 있는 UI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둘 이상의 축 방향에 대응되는 조작을 입력받고, 입력된 조작의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둘 이상의 분류기준을 적용하여 복수의 이미지들 중 하나의 이미지를 탐색하는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I 제공방법은, 둘 이상의 축 방향에 대응되는 조작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조작의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둘 이상의 분류기준을 적용하여 복수의 이미지들 중 하나의 이미지를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둘 이상의 축방향은, 제1축 방향, 제2축 방향, 및 제3축 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둘 이상의 분류기준은, 제1 분류기준, 제2 분류기준, 및 제3 분류기준을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탐색단계는 상기 제1축 방향에 대응되는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제1 분류기준에 따라 이미지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제2축 방향에 대응되는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제2 분류기준에 따라 이미지를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제3축 방향에 대응되는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제3 분류기준에 따라 이미지를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축 방향은 화면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이고, 상기 제2축 방향은 상기 화면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이며, 상기 제3축 방향은 상기 화면을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분류기준, 제2 분류기준, 및 제3 분류기준은, 시간, 인물, 장소, 칼라, 이벤트, 및 신(scene)의 종류 중 각각 어느 하나씩 대응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조작은, 짧은 스트로크(short stroke) 터치 조작 또는 긴 스트로크(long stroke) 터치 조작이고, 상기 제1 분류기준에 따라 이미지를 탐색하는 단계는,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상기 짧은 스트로크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제1 분류기준에 따라 이전 또는 다음 이미지를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상기 긴 스트로크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제1 분류기준에 따라 다른 카테고리의 이미지를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은, 짧은 스트로크(short stroke) 터치 조작 또는 긴 스트로크(long stroke) 터치 조작이고, 상기 제2 분류기준에 따라 이미지를 탐색하는 단계는,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상기 짧은 스트로크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제2 분류기준에 따라 이전 또는 다음 이미지를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상기 긴 스트로크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제2 분류기준에 따라 다른 카테고리의 이미지를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현재 탐색된 이미지가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이미지를 기준으로 제1 분류기준, 제2 분류기준, 및 제3 분류기준에 따른 이미지의 배열을 재배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분류기준으로 분류된 이미지들에 대한 썸네일들을 화면 상의 3차원 공간의 x축 방향으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2 분류기준으로 분류된 이미지들에 대한 썸네일들을 화면 상의 3차원 공간의 y축 방향으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분류기준으로 분류된 이미지들에 대한 썸네일들을 화면 상의 3차원 공간의 z축 방향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탐색의 대상이 되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중 현재 탐색된 이미지만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이미지가 저장된 저장부; 둘 이상의 축 방향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조작부; 및 상기 입력된 조작의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둘 이상의 분류기준을 적용하여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중 하나의 이미지를 탐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둘 이상의 축방향은, 제1축 방향, 제2축 방향, 및 제3축 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둘 이상의 분류기준은, 제1 분류기준, 제2 분류기준, 및 제3 분류기준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축 방향에 대응되는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제1 분류기준에 따라 이미지를 탐색하고, 상기 제2축 방향에 대응되는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제2 분류기준에 따라 이미지를 탐색하며, 상기 제3축 방향에 대응되는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제3 분류기준에 따라 이미지를 탐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축 방향은 화면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이고, 상기 제2축 방향은 상기 화면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이며, 상기 제3축 방향은 상기 화면을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분류기준, 제2 분류기준, 및 제3 분류기준은, 시간, 인물, 장소, 칼라, 이벤트, 및 신(scene)의 종류 중 각각 어느 하나씩 대응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조작은, 짧은 스트로크(short stroke) 터치 조작 또는 긴 스트로크(long stroke) 터치 조작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상기 짧은 스트로크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제1 분류기준에 따라 이전 또는 다음 이미지를 탐색하고,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상기 긴 스트로크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제1 분류기준에 따라 다른 카테고리의 이미지를 탐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은, 짧은 스트로크(short stroke) 터치 조작 또는 긴 스트로크(long stroke) 터치 조작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상기 짧은 스트로크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제2 분류기준에 따라 이전 또는 다음 이미지를 탐색하고,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상기 긴 스트로크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제2 분류기준에 따라 다른 카테고리의 이미지를 탐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현재 탐색된 이미지가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이미지를 기준으로 제1 분류기준, 제2 분류기준, 및 제3 분류기준에 따른 이미지의 배열을 재배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분류기준으로 분류된 이미지들에 대한 썸네일들이 화면 상의 3차원 공간의 x축 방향으로 표시되고, 상기 제2 분류기준으로 분류된 이미지들에 대한 썸네일들이 화면 상의 3차원 공간의 y축 방향으로 표시되며, 상기 제3 분류기준으로 분류된 이미지들에 대한 썸네일들이 화면 상의 3차원 공간의 z축 방향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탐색의 대상이 되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중 현재 탐색된 이미지만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UI 제공방법은, 제1 분류기준으로 분류된 이미지들에 대한 썸네일들을 화면 상의 3차원 공간의 제1축 방향으로 표시하는 단계; 제2 분류기준으로 분류된 이미지들에 대한 썸네일들을 화면 상의 3차원 공간의 제2축 방향으로 표시하는 단계; 및 제3 분류기준으로 분류된 이미지들에 대한 썸네일들을 화면 상의 3차원 공간의 제3축 방향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UI 제공방법은, 제1축 방향에 대응되는 조작이 입력되면, 제1 분류기준에 따라 컨텐츠를 탐색하는 단계; 제2축 방향에 대응되는 조작이 입력되면, 제2 분류기준에 따라 컨텐츠를 탐색하는 단계; 및 제3축 방향에 대응되는 조작이 입력되면, 제3 분류기준에 따라 컨텐츠를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는 음악 컨텐츠이고, 상기 제1 분류기준은 장르이고, 상기 제2 분류기준은 가수이며, 상기 제3 기준은 앨범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둘 이상의 축 방향에 대응되는 조작을 입력받고, 입력된 조작의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둘 이상의 분류기준을 적용하여 복수의 이미지들 중 하나의 이미지를 탐색하는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는 다양한 분류기준을 이용하여 더욱 쉽게 원하는 이미지를 탐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사용자는 터치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탐색의 분류기준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쉽게 다양한 방식으로 원하는 이미지를 탐색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100)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00)는 렌즈부(110), 촬상소자(120), 영상처리부(130), 영상출력부(140), 디스플레이(150), 코덱(160), 저장부(165), 조작부(170), GPS(Global Positioning System)(180), 얼굴인식부(185), 및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렌즈부(110)는 피사체의 빛을 모아서 촬상영역에 광학상이 맺히게 한다.
촬상소자(120)는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빛을 전기신호로 광전변환하고, 전기신호에 대해 소정의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촬상소자(120)는 화소 및 AD 컨버터를 구비한다. 각 화소는 아날로그 형태의 영상신호를 출력하며, AD 컨버터는 이를 디지털 형태의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영상처리부(130)는 촬상소자(12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에 대한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처리된 영상신호를 영상 출력부(140)로 전송한다. 또한, 영상처리부(130)는 제어부(19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에 대한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저장된 이미지 및 이미지 탐색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처리된 영상신호를 영상 출력부(140)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이미지 탐색 메뉴는 사용자가 저장부(165)에 저장된 이미지들 중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의미한다. 이미지 탐색 메뉴는 썸네일뷰 모드와 싱글뷰 모드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썸네일뷰 모드의 이미지 탐색 메뉴는 복수개의 이미지에 대한 썸네일들이 화면상의 3차원 공간 내에서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표시된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x축, y축, 및 z축 방향의 썸네일들은 각각 다른 분류기준으로 구성된 이미지들에 대한 썸네일들이다. 여기에서, 분류기준은 이미지를 분류할 수 있는 기준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분류기준은 시간, 인물, 장소, 칼라, 이벤트, 및 신(scene)의 종류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탐색 메뉴는 시간을 분류기준으로 배열된(즉, 이미지가 촬영된 시간 순으로 배열된) 이미지의 썸네일들이 x축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인물을 분류기준으로 배열된(즉, 사진에 포함된 인물별 순서로 배열된) 이미지의 썸네일들이 y축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되며, 장소를 분류기준으로 배열된(즉, 사진이 촬영된 장소별 순서로 배열된) 이미지의 썸네일들이 z축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한편, 싱글뷰 모드의 이미지 탐색 메뉴는 탐색 대상이 되는 이미지들 중 현재 탐색된 이미지만 화면에 표시된 형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영상처리부(130)는 이미지 탐색 메뉴를 표시하기 위해 처리된 영 상신호를 영상 출력부(140)로 전송한다.
또한, 영상처리부(130)는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해 코덱(160)으로 처리된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영상처리부(130)는 촬상소자(120)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에 대해 포맷변환과 영상 스케일을 조정하기 위한 디지털 줌, AWB(Auto White Balance), AF(Auto Focus), AE(Auto Exposure) 등을 수행한다.
또한, 영상 처리부(130)는 저장부(165)에 저장된 이미지를 코덱(160)을 통해 수신하여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컨텐츠의 영상을 영상 출력부(140)로 출력한다.
영상 출력부(140)는 영상처리부(130)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를 내부 디스플레이(150) 또는 외부 출력 단자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150)는 촬영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150)는 이미지 탐색 메뉴를 화면에 표시한다. 디스플레이(150)는 이미지 탐색 메뉴를 썸네일뷰 모드 또는 싱글뷰 모드로 표시할 수 있다.
코덱(160)은 영상처리부(130)에서 수신한 이미지를 인코딩한다. 그리고, 코덱(130)은 인코딩된 이미지를 저장부(190)로 전송한다. 또한, 코덱(160)은 저장부(190)에 저장된 이미지를 디코딩한다. 그리고, 코덱(160)은 디코딩된 영상신호를 영상처리부(130)로 전송한다.
즉, 코덱(160)은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경우 인코딩을 하고, 저장된 이미지를 영상처리부(130)로 출력하는 경우 디코딩을 하게 된다.
저장부(165)는 촬상소자(120)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압축된 형태로 저장한다. 저장부(165)는 각 이미지에 대해 촬영된 시간 정보 및 촬영된 장소 정보를 함께 저장한다. 여기에서, 장소 정보는 GPS(180)를 이용한 위치정보를 기초로 하여 생성되며, 촬영 장소에 대한 GPS 좌표, 주소, 및 장소 명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저장부(165)는 플레쉬 메모리, 하드디스크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조작부(170)는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명령을 입력받는다. 구체적으로, 조작부(170)는 둘 이상의 축 방향(예를 들어, 좌우방향, 상하방향 및 대각선 방향)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다.
조작부(170)는 카메라(100)의 표면에 버튼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조작부(170)는 디스플레이(150) 상에서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인식하는 터치스크린(175)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GPS(180)는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검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GPS(180)를 이용하여 촬영된 이미지에 장소 정보를 대응시키게 된다.
얼굴 인식부(185)는 이미지에서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는 얼굴 인식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얼굴 인식부(185)는 얼굴 인식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이미지에서 얼굴을 검출하는 과정과 얼굴의 특징 데이터를 인식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얼굴을 검출하는 과정은 이미지에서 얼굴이 포함된 영역을 검출하는 과정이다. 그리고, 얼굴의 특징 데이터를 인식하는 과정은 다른 얼굴들과 구분하기 위해 얼굴의 특징을 인식하는 과정이다.
얼굴 검출 과정은 컬러기반 얼굴영역 검출, 에지 기반 눈영역 검출, 얼굴영역 정규화 및 SVM(Support Vector Machine) 기반 얼굴 영역 검증을 거쳐 이루어진다.
컬러기반 얼굴영역 검출은 얼굴의 피부색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된 이미지에서 얼굴을 검출하는 과정이다. 구체적으로, 컬러기반 얼굴영역 검출은 입력된 이미지의 YCbCr 정보를 이용하여 살색 필터를 생성하여 얼굴 영역을 추출하게 된다. 즉, 컬러기반 얼굴영역 검출은 입력된 이미지에서 살색 부분만 추출하는 과정이다.
그 다음, 에지기반 눈 영역 검출은 명암 정보를 이용하여 눈 영역을 검출하는 과정이다. 일반적인 경우 쉽게 눈 영역의 분리가 가능하지만, 다양한 헤어스타일의 여성이나 안경 등에 의해 오류가 발생될 여지가 발생한다.
그 후에, 검출된 눈을 이용하여 얼굴 영역을 정규화하게 된다. 그리고, SVM(Support Vector Machine)을 이용하여 정규화된 얼굴영역을 검증하게 된다. SVM 얼굴 영역 검증기를 이용할 경우 잘못된 얼굴 영역의 검출 가능성이 1% 미만으로 감소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얼굴 인식부(185)는 이미지로부터 얼굴을 검출하게 된다.
한편, 얼굴 특징 데이터를 인식하는 과정은 크게 전체적인(Holistic) 접근방법 및 분석적인(Analytic) 접근방법이 있다.
전체적인 접근방법은 얼굴 패턴의 전체 영역에 대한 특성을 고려하여 얼굴을 인식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는, 고유 얼굴(Eigenface) 방식, 형판 정합 기반(Template Matching-based) 방식 등이 있다.
분석적인 접근방법은 얼굴의 기하학적인 특징을 추출하여 얼굴을 인식하는 방법이다. 분석적인 접근방법은 빠른 인식속도와 적은 메모리를 요구한다는 장점이 있으나, 얼굴의 특징을 선택하고 추출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얼굴 특징 데이터의 인식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진행된다. 얼굴 인식부(185)는 얼굴이 포함된 영상을 입력받는다. 그리고, 얼굴 인식부(185)는 얼굴의 구성요소(예를 들면, 눈, 코, 입 등)를 추출한다. 그 다음, 얼굴 인식부(185)는 얼굴이 회전된 경우 및 조명이 비춰지는 경우에 대한 보정을 실시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얼굴 인식부(185)는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의 특징을 추출하고, 이미지에서 사람의 얼굴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얼굴 인식부(185)는 이미지에서 얼굴의 전반적인 패턴을 검출하고, 검출된 얼굴 패턴을 이용하여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 특징 데이터를 인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얼굴 인식부(185)는 얼굴 인식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제어부(190)는 카메라(100)의 작동 전반을 제어한다. 제어부(190)는 입력된 조작의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둘 이상의 분류기준을 적용하여 복수의 이미지들 중 하나의 이미지를 탐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90)는 제1축 방향에 대응되는 조작이 입력되면 제1 분류기준에 따라 이미지를 탐색하고, 제2축 방향에 대응되는 조작이 입력되면 제2 분류기준에 따라 이미지를 탐색하며, 제3축 방향에 대응되는 조작이 입력되면 제3 분 류기준에 따라 이미지를 탐색한다.
여기에서, 제1축 방향은 화면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이고, 상기 제2축 방향은 화면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이며, 상기 제3축 방향은 화면을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분류기준, 제2 분류기준, 및 제3 분류기준은 시간, 인물, 장소, 칼라, 이벤트, 및 신(scene)의 종류 중 각각 어느 하나씩 대응될 수 있다.
여기에서, 분류기준이 시간인 경우, 제어부(190)는 이미지들을 시간 순으로 배열하게 된다. 그리고, 분류기준이 인물인 경우, 제어부(190)는 복수의 이미지들을 얼굴인식부(185)를 통해 인식된 얼굴이 동일한 이미지들끼리 배열하게 된다. 또한, 분류기준이 장소인 경우, 제어부(190)는 복수의 이미지들을 GPS(180)에 의해 검출된 위치 정보가 동일한 이미지들끼리 배열하게 된다. 그리고, 분류 기준이 칼라인 경우, 제어부(190)는 복수의 이미지들을 이미지의 색상 정보를 검출하여 유사한 색상의 이미지들끼리 배열하게 된다. 또한, 분류 기준이 이벤트인 경우, 제어부(190)는 복수의 이미지들을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이미지에 대응되는 이벤트가 동일한 이미지들끼리 배열하게 된다. 그리고, 분류 기준이 신의 종류인 경우, 제어부(190)는 복수의 이미지들을 신의 종류가 동일한 이미지들끼리 배열하게 된다.
여기에서, 신의 종류는 이미지에 포함된 피사체의 종류를 의미하는 것으로, 그 예로, 풍경, 인물, 야경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90)는 제1축 방향으로 짧은 스트로크(stroke) 조작이 입력되면, 제1 분류기준에 따라 이전 이미지 또는 다음 이미지를 탐색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 부(190)는 탐색된 이미지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90)는 제1축 방향으로 긴 스트로크 조작이 입력되면 제1 분류기준에 따라 이전 카테고리 또는 다음 카테고리의 이미지를 탐색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탐색된 이미지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에서, 스트로크 조작은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한 상태로 일정 거리를 이동한 후에 터치를 종료하는 조작을 의미한다. 짧은 스트로크 조작은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한 상태로 임계거리 이하의 거리를 이동한 후에 터치를 종료하는 조작을 의미한다. 그리고, 긴 스트로크 조작은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한 상태로 임계거리를 초과한 거리를 이동한 후에 터치를 종료하는 조작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임계거리는 스트로크의 종류가 긴 스트로크 조작인지 짧은 스트로크 조작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터치 거리가 된다.
그리고, 카테고리는 분류기준 별로 구분되는 이미지들의 그룹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분류기준이 인물인 경우, 동일한 인물에 대한 이미지들이 하나의 카테고리를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분류기준이 시간인 경우, 동일한 날짜의 이미지들이 하나의 카테고리를 구성하게 된다. 또한, 분류기준이 장소인 경우, 동일한 장소의 이미지들이 하나의 카테고리를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분류기준이 색상인 경우, 동일한 색상의 이미지들이 하나의 카테고리를 구성하게 된다. 또한, 분류기준이 이벤트인 경우, 동일한 이벤트의 이미지들이 하나의 카테고리를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분류 기준이 신의 종류일 경우, 신의 종류가 동일한 이미지들이 하나의 카테고리를 구성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1 분류기준이 인물인 경우, 제1 축방향으로 짧은 스트로크가 입력되면, 제어부(190)는 현재 표시된 이미지의 인물과 동일한 인물에 대한 이전 이미지 또는 다음 이미지를 탐색한다. 그리고, 제1 분류기준이 인물인 경우, 제1 축방향으로 긴 스트로크가 입력되면, 제어부(190)는 현재 표시된 이미지의 인물과 다른 이전 인물 또는 다음 인물에 대한 이미지를 탐색한다.
한편, 제어부(190)는 제2축 방향으로 짧은 스트로크(stroke) 조작이 입력되면, 제2 분류기준에 따라 이전 이미지 또는 다음 이미지를 탐색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탐색된 이미지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90)는 제2축 방향으로 긴 스트로크 조작이 입력되면 제2 분류기준에 따라 이전 카테고리 또는 다음 카테고리의 이미지를 탐색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탐색된 이미지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마찬가지로, 제어부(190)는 제3축 방향으로 짧은 스트로크(stroke) 조작이 입력되면, 제3 분류기준에 따라 이전 이미지 또는 다음 이미지를 탐색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탐색된 이미지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90)는 제3축 방향으로 긴 스트로크 조작이 입력되면 제3 분류기준에 따라 이전 카테고리 또는 다음 카테고리의 이미지를 탐색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탐색된 이미지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190)는 현재 탐색된 이미지가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이미지를 기준으로 제1 분류기준, 제2 분류기준, 및 제3 분류기준에 따른 이미지의 배열을 재배열한다. 즉, 제어부(190)는 항상 현재 탐색된 이미지를 기준으로 하여, 제1 분 류기준, 제2 분류기준, 및 제3 분류기준에 따른 이미지의 배열을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이미지 탐색 메뉴가 썸네일뷰 모드로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다시 말해, 제어부(190)는 제1 분류기준으로 분류된 이미지들에 대한 썸네일들이 화면 상의 3차원 공간의 x축 방향으로 표시되고, 제2 분류기준으로 분류된 이미지들에 대한 썸네일들이 화면 상의 3차원 공간의 y축 방향으로 표시되며, 제3 분류기준으로 분류된 이미지들에 대한 썸네일들이 화면 상의 3차원 공간의 z축 방향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90)는 이미지 탐색 메뉴가 싱글뷰 모드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90)는 탐색의 대상이 되는 복수의 이미지들 중 현재 탐색된 이미지만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90)는 3개의 터치 조작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분류기준을 적용하여 이미지를 탐색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더욱 쉽게 다양한 분류기준으로 이미지를 탐색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고하여 3개의 축방향으로 이미지를 탐색하는 UI 제공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I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일단, 카메라(100)는 현재 탐색된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한다(S210). 구체적으로, 카메라(100)는 현재 탐색된 이미지를 이미지 탐색 메뉴에 표시한다.
여기에서, 이미지 탐색 메뉴는 사용자가 저장부(165)에 저장된 이미지들 중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의미 한다. 이미지 탐색 메뉴는 썸네일뷰 모드와 싱글뷰 모드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썸네일뷰 모드의 이미지 탐색 메뉴는 복수개의 이미지에 대한 썸네일들이 화면상의 3차원 공간 내에서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표시된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x축, y축, 및 z축 방향의 썸네일들은 각각 다른 분류기준으로 구성된 이미지들에 대한 썸네일들이다. 여기에서, 분류기준은 이미지를 분류할 수 있는 기준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분류기준은 시간, 인물, 장소, 칼라, 이벤트, 및 신(scene)의 종류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탐색 메뉴는 시간을 분류기준으로 배열된(즉, 이미지가 촬영된 시간 순으로 배열된) 이미지의 썸네일들이 x축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인물을 분류기준으로 배열된(즉, 사진에 포함된 인물별 순서로 배열된) 이미지의 썸네일들이 y축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되며, 장소를 분류기준으로 배열된(즉, 사진이 촬영된 장소별 순서로 배열된) 이미지의 썸네일들이 z축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한편, 싱글뷰 모드의 이미지 탐색 메뉴는 탐색 대상이 되는 이미지들 중 현재 탐색된 이미지만 화면에 표시된 형태로 구성된다.
그 후에, 카메라(100)는 현재 탐색된 이미지를 기준으로, 제1 분류기준, 제2 분류기준 및 제3 분류기준에 따라 이미지를 배열하게 된다(S220). 즉, 카메라(100)는 항상 현재 탐색된 이미지를 기준으로 하여, 제1 분류기준, 제2 분류기준, 및 제3 분류기준에 따른 이미지의 배열을 설정하게 된다.
카메라(100)는 사용자로부터 제1축 방향의 조작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한 다(S230). 만약, 제1축 방향의 조작이 입력되면(S230-Y), 카메라(100)는 제1 분류기준에 따라 이미지를 탐색한다(S235). 그리고, 카메라(100)는 현재 탐색된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S210).
구체적으로, 카메라(100)는 제1축 방향으로 짧은 스트로크(stroke) 조작이 입력되면, 제1 분류기준에 따라 이전 이미지 또는 다음 이미지를 탐색하게 된다. 또한, 카메라(100)는 제1축 방향으로 긴 스트로크 조작이 입력되면 제1 분류기준에 따라 이전 카테고리 또는 다음 카테고리의 이미지를 탐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1축 방향이 좌우방향이고 제1 분류기준이 시간인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카메라(100)는 우측 방향으로 짧은 스트로크(stroke) 조작이 입력되면, 이미지의 촬영 시간 순서에 따라 다음 이미지를 탐색하게 된다. 그리고, 카메라(100)는 우측 방향으로 긴 스트로크(stroke) 조작이 입력되면, 이미지의 촬영 시간 순서에 따라 현재 탐색된 이미지가 촬영된 날짜의 다음날에 촬영된 이미지(즉, 다음 시간 카테고리의 이미지)를 탐색하게 된다.
또한, 카메라(100)는 사용자로부터 제2축 방향의 조작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240). 만약, 제2축 방향의 조작이 입력되면(S240-Y), 카메라(100)는 제2 분류기준에 따라 이미지를 탐색한다(S245). 그리고, 카메라(100)는 현재 탐색된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S210).
구체적으로, 카메라(100)는 제2축 방향으로 짧은 스트로크(stroke) 조작이 입력되면, 제2 분류기준에 따라 이전 이미지 또는 다음 이미지를 탐색하게 된다. 또한, 카메라(100)는 제2축 방향으로 긴 스트로크 조작이 입력되면 제2 분류기준에 따라 이전 카테고리 또는 다음 카테고리의 이미지를 탐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2축 방향이 상하방향이고 제2 분류기준이 장소인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카메라(100)는 상측 방향으로 짧은 스트로크(stroke) 조작이 입력되면, 이미지의 촬영 장소 순서에 따라 다음 이미지를 탐색하게 된다. 그리고, 카메라(100)는 상측 방향으로 긴 스트로크(stroke) 조작이 입력되면, 이미지의 촬영 장소 순서에 따라 현재 탐색된 이미지가 촬영된 장소와 다른 장소에서 촬영된 이미지(즉, 다음 장소 카테고리의 이미지)를 탐색하게 된다.
또한, 카메라(100)는 사용자로부터 제3축 방향의 조작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250). 만약, 제3축 방향의 조작이 입력되면(S250-Y), 카메라(100)는 제3 분류기준에 따라 이미지를 탐색한다(S255). 그리고, 카메라(100)는 현재 탐색된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S210).
구체적으로, 카메라(100)는 제3축 방향으로 짧은 스트로크(stroke) 조작이 입력되면, 제3 분류기준에 따라 이전 이미지 또는 다음 이미지를 탐색하게 된다. 또한, 카메라(100)는 제3축 방향으로 긴 스트로크 조작이 입력되면 제3 분류기준에 따라 이전 카테고리 또는 다음 카테고리의 이미지를 탐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3축 방향이 대각선 방향(좌측 하단 방향 및 우측 상단 방향)이고 제3 분류기준이 인물인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카메라(100)는 우측 상단 방향으로 짧은 스트로크(stroke) 조작이 입력되면, 이미지에 포함된 인물의 순서에 따라 다음 이미지를 탐색하게 된다. 그리고, 카메라(100)는 우측 상단 방향으로 긴 스트로크(stroke) 조작이 입력되면, 이미지에 포함된 인물의 순서에 따라 현재 탐 색된 이미지에 포함된 인물과는 다른 인물이 포함된 이미지(즉, 다음 인물 카테고리의 이미지)를 탐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대각선 방향의 터치조작이 입력될 경우, 카메라(100)는 대각선 방향이 아닌 좌우방향 또는 상하방향의 조작으로 인식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카메라(100)는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의 터치조작과 서로 다른 종류의 조작을 이용하여 대각선 방향의 터치조작을 인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00)는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의 터치조작을 스트로크 조작을 이용하여 인식하고, 대각선 방향의 터치조작을 멀티터치 스트로크 조작을 이용하여 인식할 수도 있다. 카메라(100)는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의 터치조작을 스트로크 조작을 이용하여 인식하고, 대각선 방향의 터치조작을 특정 버튼 조작과 스트로크 조작을 함께 이용하여 인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외의 조작이 입력되면(S260-Y), 카메라(100)는 그에 해당되는 기능을 실행하게 된다(S265).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카메라(100)는 3개의 터치 조작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분류기준을 적용하여 이미지를 탐색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더욱 쉽게 다양한 분류기준으로 이미지를 탐색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3a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카메라(100)의 터치 조작에 따라 제공되는 기능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개의 축 방향에 각 분류기준에 따라 이미지를 배열하는 것에 대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이미지의 배열 기준이 되는 좌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00)는 X축에 시간 분류기준을 대응시키고, Y축에 장소 분류기준을 대응시키며, Z축에 인물 분류기준을 대응시킨다.
도 3b는 3차원 공간의 x, y, z 축에 각각 시간별, 장소별, 인물별 분류기준에 따라 이미지들이 배열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카메라(10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된 이미지들을 3차원 공간의 x, y, z 축에 각각 시간별, 장소별, 인물별 분류기준에 따라 배열하게 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에는 시간을 분류기준으로 9월 9일자 이미지부터 9월 11일자 이미지까지 배열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y축에는 장소를 분류기준으로 놀이동산과 집에 대한 이미지가 배열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z축에는 인물을 분류기준으로 엄마, 나, 및 친구에 대한 이미지가 배열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b에서 현재 탐색된 이미지(300)는 시간 분류기준은 9월 10일, 장소 분류기준은 놀이동산, 인물 분류기준은 나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b와 같이 이미지들이 배열된 경우, 카메라(100)는 좌측 방향(-x 방향)으로 짧은 스트로크(stroke) 조작이 입력되면, 이미지의 촬영 시간 순서에 따라 다음 이미지(즉, 제1 이미지(310))를 탐색하게 된다. 그리고, 카메라(100)는 좌측 방향으로 긴 스트로크(stroke) 조작이 입력되면, 이미지의 촬영 시간 순서에 따라 현재 탐색된 이미지(300)가 촬영된 날짜(9월 10일)의 다음날(9월 11일)에 촬영된 이미지(즉, 제2 이미지(311))를 탐색하게 된다(즉, 시간 카테고리가 다른 이미지를 탐 색하게 된다).
또한, 카메라(100)는 우측 방향(+x 방향)으로 짧은 스트로크(stroke) 조작이 입력되면, 이미지의 촬영 시간 순서에 따라 이전 이미지(즉, 제3 이미지(315))를 탐색하게 된다. 그리고, 카메라(100)는 우측 방향으로 긴 스트로크(stroke) 조작이 입력되면, 이미지의 촬영 시간 순서에 따라 현재 탐색된 이미지(300)가 촬영된 날짜(9월 10일)의 전날(9월 9일)에 촬영된 이미지(즉, 제4 이미지(320))를 탐색하게 된다(즉, 시간 카테고리가 다른 이미지를 탐색하게 된다).
도 3b와 같이 이미지들이 배열된 경우, 카메라(100)는 하측 방향(-y 방향)으로 짧은 스트로크(stroke) 조작이 입력되면, 이미지의 촬영 장소 순서에 따라 다음 이미지(즉, 제5 이미지(320))를 탐색하게 된다. 그리고, 카메라(100)는 하측 방향으로 긴 스트로크(stroke) 조작이 입력되면, 이미지의 촬영 장소 순서에 따라 현재 탐색된 이미지(300)가 촬영된 장소(놀이동산)와 다른 장소에서 촬영된 이미지(미도시)를 탐색하게 된다(즉, 장소 카테고리가 다른 이미지를 탐색하게 된다).
또한, 카메라(100)는 상측 방향(+y 방향)으로 짧은 스트로크(stroke) 조작이 입력되면, 이미지의 촬영 장소 순서에 따라 이전 이미지(즉, 제6 이미지(325))를 탐색하게 된다. 그리고, 카메라(100)는 상측 방향으로 긴 스트로크(stroke) 조작이 입력되면, 이미지의 촬영 장소 순서에 따라 현재 탐색된 이미지(300)가 촬영된 장소(놀이동산)와 다른 이전 장소(집)에서 촬영된 이미지(즉, 제6 이미지(325))를 탐색하게 된다(즉, 장소 카테고리가 다른 이미지를 탐색하게 된다).
도 3b와 같이 이미지들이 배열된 경우, 카메라(100)는 좌측 하단 방향(-z 방 향)으로 짧은 스트로크(stroke) 조작이 입력되면, 이미지의 인물 순서에 따라 다음 이미지(즉, 제7 이미지(330))를 탐색하게 된다. 그리고, 카메라(100)는 좌측 하단 방향으로 긴 스트로크(stroke) 조작이 입력되면, 이미지의 인물 순서에 따라 현재 탐색된 이미지(300)에 포함된 인물(나)와 다른 다음 인물(친구)에 대한 이미지(즉, 제8 이미지(331))를 탐색하게 된다(즉, 인물 카테고리가 다른 이미지를 탐색하게 된다).
또한, 카메라(100)는 우측 상단 방향(+z 방향)으로 짧은 스트로크(stroke) 조작이 입력되면, 이미지의 인물 순서에 따라 이전 이미지(즉, 제9 이미지(335))를 탐색하게 된다. 그리고, 카메라(100)는 우측 상단 방향으로 긴 스트로크(stroke) 조작이 입력되면, 이미지의 인물 순서에 따라 현재 탐색된 이미지(300)에 포함된 인물(나)과 다른 이전 인물(엄마)에 대한 이미지(즉, 제9 이미지(335))를 탐색하게 된다(즉, 인물 카테고리가 다른 이미지를 탐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카메라(100)는 스트로크 조작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분류기준에 따른 이미지 탐색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썸네일뷰 모드의 이미지 탐색 메뉴가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00)는 3차원 공간에 썸네일뷰 모드의 이미지 탐색 메뉴를 표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썸네일뷰 모드는 저장된 이미지들을 3차원 공간의 x, y, z 축에 각각 시간별, 장소별, 인물별 분류기준에 따라 배열하여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썸네일뷰 모드의 이미지 탐색 메뉴를 이용함으로써, 직관 적으로 스트로크 조작을 입력하여 원하는 분류기준에 따라 이미지를 탐색할 수 있게 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측 방향으로 짧은 스트로크 조작이 입력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스트로크의 방향이 좌우방향인 경우, 카메라(100)는 시간을 분류기준으로 이미지를 탐색하게 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탐색된 이미지(500)는 2009년 10월 12일 오후 7시 12분에 촬영된 이미지인 것을 알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우측 방향으로 짧은 스트로크 조작을 입력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 이미지가 탐색된다. 따라서, 도 5b의 현재 탐색된 이미지(510)는 촬영된 시간이 오후 7시 10분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측 방향으로 긴 스트로크 조작이 입력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스트로크의 방향이 좌우방향인 경우, 카메라(100)는 시간을 분류기준으로 이미지를 탐색하게 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탐색된 이미지(600)는 2009년 10월 12일 오후 7시 12분에 촬영된 이미지인 것을 알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우측 방향으로 긴 스트로크 조작을 입력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 날짜의 이미지가 탐색된다. 따라서, 도 6b의 현재 탐색된 이미지(610)는 촬영된 날짜가 2009년 10월 11일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래 방향으로 짧은 스트로크 조작이 입력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스트로크의 방향이 상하방향인 경우, 카메라(100)는 장소를 분류기준으로 이미지를 탐색하게 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탐색된 이미지(700)는 워싱턴에서 촬영된 이미지인 것을 알 수 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하측 방향으로 짧은 스트로크 조작을 입력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 이미지가 탐색된다. 따라서, 도 7b의 현재 탐색된 이미지(710)는 촬영된 장소가 워싱턴인 이전 이미지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래 방향으로 긴 스트로크 조작이 입력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스트로크의 방향이 상하방향인 경우, 카메라(100)는 장소를 분류기준으로 이미지를 탐색하게 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탐색된 이미지(800)는 워싱턴에서 촬영된 이미지인 것을 알 수 있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하측 방향으로 긴 스트로크 조작을 입력하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 장소의 이미지가 탐색된다. 따라서, 도 8b의 현재 탐색된 이미지(810)는 촬영된 장소가 서울인 이전 장소의 이미지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각선 아래 방향으로 짧은 스트로크 조작이 입력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스트로크의 방향이 대각선방향(우측 상단 또는 좌측 하단 방향)인 경우, 카메라(100)는 인물을 분류기준으로 이미지를 탐색하게 된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탐색된 이미지(900)는 "SH.L"이라는 인물을 포함하는 이미지인 것을 알 수 있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좌측하 단 방향으로 짧은 스트로크 조작을 입력하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 인물 이미지가 탐색된다. 따라서, 도 9b의 현재 탐색된 이미지(910)는 "SH.L"이라는 인물이 그대로 포함된 이전 이미지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각선 아래 방향으로 긴 스트로크 조작이 입력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스트로크의 방향이 대각선방향(우측 상단 또는 좌측 하단 방향)인 경우, 카메라(100)는 인물을 분류기준으로 이미지를 탐색하게 된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탐색된 이미지(1000)는 "SH.L"이라는 인물을 포함하는 이미지인 것을 알 수 있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좌측하단 방향으로 짧은 스트로크 조작을 입력하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인물에 대한 이미지가 탐색된다. 따라서, 도 10b의 현재 탐색된 이미지(1010)는 "HS.J"이라는 다른 인물이 포함된 이전 이미지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100)는 썸네일뷰 모드의 이미지 탐색 메뉴 상에서, 스트로크의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분류기준을 적용하여 이미지를 탐색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트로크의 방향을 이용하여 다양한 분류기준으로 이미지를 탐색할 수 있게 된다.
도 11a 내지 도 11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글뷰 모드의 이미지 탐색메뉴를 사용자가 조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00)는 싱글뷰 모드의 이미지 탐색메뉴에서도 스트로크의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분류기준을 적용하여 이미지를 탐색하게 된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00)는 싱글뷰 모드의 이미지 탐색메뉴가 실행된 경우 현재 탐색된 이미지만을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1a에 표시된 이미지는 촬영된 장소가 "장소1"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스트로크의 방향이 상하방향인 경우, 카메라(100)는 장소를 분류기준으로 이미지를 탐색하게 된다. 따라서,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하측 방향으로 긴 스트로크 조작을 입력하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장소 이미지(즉, 장소 카테고리가 다른 이미지)가 탐색된다. 따라서, 도 11b의 현재 탐색된 이미지는 촬영된 장소가 장소2인 이미지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1b에 표시된 이미지는 촬영된 시간이 오후 2시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스트로크의 방향이 좌우방향인 경우, 카메라(100)는 시간을 분류기준으로 이미지를 탐색하게 된다.
따라서,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우측 방향으로 짧은 스트로크 조작을 입력하면,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 시간 이미지가 탐색된다. 따라서, 도 11c의 현재 탐색된 이미지는 촬영된 시간이 오후 1시 10분인 이미지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1c에 표시된 이미지는 포함된 인물이 "인물1"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스트로크의 방향이 대각선방향인 경우, 카메라(100)는 인물을 분류기준으로 이미지를 탐색하게 된다.
따라서,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좌측하단 방향으로 짧은 스트로크 조작을 입력하면,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인물에 대한 이전 이미 지가 탐색된다. 따라서, 도 11d의 현재 탐색된 이미지는 포함된 인물이 "인물1"인 이미지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좌측하단 방향으로 긴 스트로크 조작을 입력하면, 도 1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인물에 대한 이전 이미지(즉, 다른 인물 카테고리의 이미지)가 탐색된다. 따라서, 도 11e의 현재 탐색된 이미지는 포함된 인물이 "인물2"인 이미지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전사진 버튼(1100)이 터치된 경우, 카메라(100)는 이전의 사진을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도 1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전사진 버튼(1100)을 터치한 경우, 카메라(100)는 도 1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의 사진을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의 히스토리(1200)가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00)는 현재까지 탐색된 이미지들의 히스토리(1200)를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탐색했던 이미지들이 무엇인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100)는 싱글뷰 모드의 이미지 탐색메뉴에서도 스트로크의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분류기준을 적용하여 이미지를 탐색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싱글뷰 모드의 이미지 탐색메뉴에서도 스트로크의 방향을 달리 입력하여 다양한 분류기준으로 원하는 이미지를 탐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카메라(100)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이미지 중에서 원하 는 이미지를 탐색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기기라면, 어느 기기라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카메라 이외에도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TV, 휴대폰, MP3 플레이어, PDA, 전자액자, 노트북 컴퓨터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컨텐츠가 이미지인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외에 다른 컨텐츠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컨텐츠는 이미지 외에도 음악, 동영상, 텍스트 등이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가 MP3 플레이어이고 컨텐츠가 음악파일인 경우에 대해 도 13을 참고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MP3 플레이어인 경우, 복수의 음악파일이 3개의 방향 축에 배열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가 MP3 플레이어인 경우, 탐색의 대상은 음악이 된다. 그리고, 제1 분류 기준, 제2 분류 기준, 및 제3 분류 기준은 각각 장르, 가수, 앨범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면, MP3 플레이어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된 음악들을 3차원 공간의 x, y, z 축에 각각 장르별, 가수별, 앨범별 분류기준에 따라 배열하게 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에는 장르를 분류기준으로 장르 1, 장르 2 및 장르 3에 대한 음악들이 배열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y축에는 가수를 분류기준으로 가수 1, 가수 2 및 가수 3에 대한 음악들이 배열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z축에는 앨범을 분류기준으로 앨범 1, 앨범 2, 및 앨범 3에 대한 음악 들이 배열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3에서 현재 탐색된 음악(1300)의 장르 분류기준은 장르 1, 가수 분류기준은 가수 1, 앨범 분류기준은 앨범 1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3과 같이 음악들이 배열된 경우, MP3 플레이어는 좌측 방향(-x 방향)으로 짧은 스트로크(stroke) 조작이 입력되면, 음악의 장르 순서에 따라 다음 음악(즉, 제1 음악(1310))을 탐색하게 된다. 그리고, MP3 플레이어는 좌측 방향으로 긴 스트로크(stroke) 조작이 입력되면, 음악의 장르 순서에 따라 현재 탐색된 음악(1300)의 장르(장르 1)와 다른 장르(장르 2)의 음악(즉, 제2 음악(1311))을 탐색하게 된다(즉, 장르 카테고리가 다른 음악을 탐색하게 된다).
또한, MP3 플레이어는 우측 방향(+x 방향)으로 짧은 스트로크(stroke) 조작이 입력되면, 음악의 장르 순서에 따라 이전 음악(즉, 제3 음악(1315))을 탐색하게 된다. 그리고, MP3 플레이어는 우측 방향으로 긴 스트로크(stroke) 조작이 입력되면, 음악의 장르 순서에 따라 현재 탐색된 음악(1300)의 장르(장르 1)와 다른 장르(장르 3)의 음악(즉, 제4 음악(1316))을 탐색하게 된다(즉, 장르 카테고리가 다른 음악을 탐색하게 된다).
도 13과 같이 음악들이 배열된 경우, MP3 플레이어는 하측 방향(-y 방향)으로 짧은 스트로크(stroke) 조작이 입력되면, 음악의 가수 순서에 따라 다음 음악(즉, 제5 음악(1325))을 탐색하게 된다. 그리고, MP3 플레이어는 하측 방향으로 긴 스트로크(stroke) 조작이 입력되면, 음악의 가수 순서에 따라 현재 탐색된 음악(1300)의 가수(가수 1)와 다른 가수(가수 2)의 음악(즉, 제5 음악(1325))을 탐색 하게 된다(즉, 가수 카테고리가 다른 음악을 탐색하게 된다).
또한, MP3 플레이어는 상측 방향(+y 방향)으로 짧은 스트로크(stroke) 조작이 입력되면, 음악의 가수 순서에 따라 다음 음악(즉, 제6 음악(1320))을 탐색하게 된다. 그리고, MP3 플레이어는 상측 방향으로 긴 스트로크(stroke) 조작이 입력되면, 음악의 장르 순서에 따라 현재 탐색된 음악(1300)의 가수(가수 1)와 다른 가수(가수 3)의 음악(즉, 제7 음악(1321))을 탐색하게 된다(즉, 가수 카테고리가 다른 음악을 탐색하게 된다).
도 13과 같이 음악들이 배열된 경우, MP3 플레이어는 좌측하단 방향(-z 방향)으로 짧은 스트로크(stroke) 조작이 입력되면, 음악의 앨범 순서에 따라 다음 음악(즉, 제8 음악(1335))을 탐색하게 된다. 그리고, MP3 플레이어는 좌측하단 방향으로 긴 스트로크(stroke) 조작이 입력되면, 음악의 앨범 순서에 따라 현재 탐색된 음악(1300)의 앨범(앨범 1)과 다른 앨범(앨범 2)의 음악(즉, 제9 음악(1336))을 탐색하게 된다(즉, 앨범 카테고리가 다른 음악을 탐색하게 된다).
또한, MP3 플레이어는 우측상단 방향(+z 방향)으로 짧은 스트로크(stroke) 조작이 입력되면, 음악의 앨범 순서에 따라 이전 음악(즉, 제10 음악(1330))을 탐색하게 된다. 그리고, MP3 플레이어는 우측상단 방향으로 긴 스트로크(stroke) 조작이 입력되면, 음악의 앨범 순서에 따라 현재 탐색된 음악(1300)의 앨범(앨범 1)과 다른 앨범(앨범 3)의 음악(즉, 제11 음악(1331))을 탐색하게 된다(즉, 앨범 카테고리가 다른 음악을 탐색하게 된다).
이와 같이, MP3 플레이어는 스트로크 조작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분류기준 에 따른 음악 탐색을 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MP3 플레이어이고 컨텐츠가 음악인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I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개의 축 방향에 각 분류기준에 따라 이미지를 배열하는 것에 대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썸네일뷰 모드의 이미지 탐색 메뉴가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측 방향으로 짧은 스트로크 조작이 입력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측 방향으로 긴 스트로크 조작이 입력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래 방향으로 짧은 스트로크 조작이 입력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래 방향으로 긴 스트로크 조작이 입력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각선 아래 방향으로 짧은 스트로크 조작이 입력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각선 아래 방향으로 긴 스트로크 조작이 입력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11a 내지 도 11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글뷰 모드의 이미지 탐색메뉴를 사용자가 조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의 히스토리가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3 플레이어의 경우, 복수의 음악파일이 3개의 방향 축에 배열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21)

  1. 둘 이상의 축 방향에 대응되는 조작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조작의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둘 이상의 분류기준을 적용하여 복수의 이미지들 중 하나의 이미지를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UI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축방향은,
    제1축 방향, 제2축 방향, 및 제3축 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둘 이상의 분류기준은,
    제1 분류기준, 제2 분류기준, 및 제3 분류기준을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탐색단계는
    상기 제1축 방향에 대응되는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제1 분류기준에 따라 이미지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제2축 방향에 대응되는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제2 분류기준에 따라 이미지를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제3축 방향에 대응되는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제3 분류기준에 따라 이미지를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 방향은 화면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이고, 상기 제2축 방향은 상기 화면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이며, 상기 제3축 방향은 상기 화면을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류기준, 제2 분류기준, 및 제3 분류기준은,
    시간, 인물, 장소, 칼라, 이벤트, 및 신(scene)의 종류 중 각각 어느 하나씩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은,
    짧은 스트로크(short stroke) 터치 조작 또는 긴 스트로크(long stroke) 터치 조작이고,
    상기 제1 분류기준에 따라 이미지를 탐색하는 단계는,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상기 짧은 스트로크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제1 분류기준에 따라 이전 또는 다음 이미지를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상기 긴 스트로크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제1 분류기준에 따라 다른 카테고리의 이미지를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은,
    짧은 스트로크(short stroke) 터치 조작 또는 긴 스트로크(long stroke) 터치 조작이고,
    상기 제2 분류기준에 따라 이미지를 탐색하는 단계는,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상기 짧은 스트로크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제2 분류기준에 따라 이전 또는 다음 이미지를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상기 긴 스트로크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제2 분류기준에 따라 다른 카테고리의 이미지를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현재 탐색된 이미지가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이미지를 기준으로 제1 분류기준, 제2 분류기준, 및 제3 분류기준에 따른 이미지의 배열을 재배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류기준으로 분류된 이미지들에 대한 썸네일들을 화면 상의 3차원 공간의 x축 방향으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2 분류기준으로 분류된 이미지들에 대한 썸네일들을 화면 상의 3차원 공간의 y축 방향으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분류기준으로 분류된 이미지들에 대한 썸네일들을 화면 상의 3차원 공간의 z축 방향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탐색의 대상이 되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중 현재 탐색된 이미지만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방법.
  10. 복수의 이미지가 저장된 저장부;
    둘 이상의 축 방향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조작부; 및
    상기 입력된 조작의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둘 이상의 분류기준을 적용하여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중 하나의 이미지를 탐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축방향은,
    제1축 방향, 제2축 방향, 및 제3축 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둘 이상의 분류기준은,
    제1 분류기준, 제2 분류기준, 및 제3 분류기준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축 방향에 대응되는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제1 분류기준에 따라 이미지를 탐색하고, 상기 제2축 방향에 대응되는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제2 분류기준에 따라 이미지를 탐색하며, 상기 제3축 방향에 대응되는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제3 분류기준에 따라 이미지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 방향은 화면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이고, 상기 제2축 방향은 상기 화면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이며, 상기 제3축 방향은 상기 화면을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류기준, 제2 분류기준, 및 제3 분류기준은,
    시간, 인물, 장소, 칼라, 이벤트, 및 신(scene)의 종류 중 각각 어느 하나씩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은,
    짧은 스트로크(short stroke) 터치 조작 또는 긴 스트로크(long stroke) 터치 조작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상기 짧은 스트로크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제1 분류기준에 따라 이전 또는 다음 이미지를 탐색하고,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상기 긴 스트로크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제1 분류기준에 따라 다른 카테고리의 이미지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은,
    짧은 스트로크(short stroke) 터치 조작 또는 긴 스트로크(long stroke) 터치 조작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상기 짧은 스트로크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제2 분류기준에 따라 이전 또는 다음 이미지를 탐색하고,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상기 긴 스트로크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제2 분류기준에 따라 다른 카테고리의 이미지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 탐색된 이미지가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이미지를 기준으로 제1 분류기준, 제2 분류기준, 및 제3 분류기준에 따른 이미지의 배열을 재배열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분류기준으로 분류된 이미지들에 대한 썸네일들이 화면 상의 3차원 공간의 x축 방향으로 표시되고, 상기 제2 분류기준으로 분류된 이미지들에 대한 썸네일들이 화면 상의 3차원 공간의 y축 방향으로 표시되며, 상기 제3 분류기준으로 분류된 이미지들에 대한 썸네일들이 화면 상의 3차원 공간의 z축 방향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탐색의 대상이 되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중 현재 탐색된 이미지만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 분류기준으로 분류된 이미지들에 대한 썸네일들을 화면 상의 3차원 공간의 제1축 방향으로 표시하는 단계;
    제2 분류기준으로 분류된 이미지들에 대한 썸네일들을 화면 상의 3차원 공간의 제2축 방향으로 표시하는 단계; 및
    제3 분류기준으로 분류된 이미지들에 대한 썸네일들을 화면 상의 3차원 공간 의 제3축 방향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UI 제공방법.
  20. 제1축 방향에 대응되는 조작이 입력되면, 제1 분류기준에 따라 컨텐츠를 탐색하는 단계;
    제2축 방향에 대응되는 조작이 입력되면, 제2 분류기준에 따라 컨텐츠를 탐색하는 단계; 및
    제3축 방향에 대응되는 조작이 입력되면, 제3 분류기준에 따라 컨텐츠를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UI 제공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음악 컨텐츠이고,
    상기 제1 분류기준은 장르이고, 상기 제2 분류기준은 가수이며, 상기 제3 기준은 앨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방법.
KR1020090086507A 2009-09-14 2009-09-14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11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507A KR101411593B1 (ko) 2009-09-14 2009-09-14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12/732,511 US8626762B2 (en) 2009-09-14 2010-03-26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JP2010154772A JP5872142B2 (ja) 2009-09-14 2010-07-07 Ui提供方法及びこれを適用したディスプレイ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507A KR101411593B1 (ko) 2009-09-14 2009-09-14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8877A true KR20110028877A (ko) 2011-03-22
KR101411593B1 KR101411593B1 (ko) 2014-06-25

Family

ID=43731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6507A KR101411593B1 (ko) 2009-09-14 2009-09-14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626762B2 (ko)
JP (1) JP5872142B2 (ko)
KR (1) KR1014115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0086A (ko) * 2011-11-29 2013-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15989B1 (ko) * 2020-02-25 2020-05-27 주식회사 이글루시큐리티 3차원 대시보드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09588B2 (en) 2005-12-30 2009-03-24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rface reconfiguration mode
US10313505B2 (en) 2006-09-06 2019-06-04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figuring and displaying widgets
US8519964B2 (en) 2007-01-07 2013-08-27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supporting user navigations of graphical objects on a touch screen display
US8619038B2 (en) 2007-09-04 2013-12-31 Apple Inc. Editing interface
JP2010054762A (ja) * 2008-08-28 2010-03-11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10007393B2 (en) * 2010-01-19 2018-06-26 Apple Inc. 3D view of file structure
JP2011210138A (ja) * 2010-03-30 2011-10-20 Sony Corp 電子機器、画像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881061B2 (en) 2010-04-07 2014-11-04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folders
US10788976B2 (en) 2010-04-07 2020-09-2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folders with multiple pages
JP6202777B2 (ja) * 2011-12-05 2017-09-2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データ制御装置及び表示データ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9213479B2 (en) 2012-02-16 2015-12-15 Samsung Medison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EP2856280A4 (en) * 2012-06-01 2016-05-18 Sas Ip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DATA NAVIGATION IN THE USER INTERFACE OF TECHNICAL ANALYSIS APPLICATIONS
JP2015156051A (ja) 2012-06-06 2015-08-27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
US9569083B2 (en) * 2012-12-12 2017-02-14 Adobe Systems Incorporated Predictive directional content queue
US9575998B2 (en) 2012-12-12 2017-02-21 Adobe Systems Incorporated Adaptive presentation of content based on user action
KR102090269B1 (ko) * 2012-12-14 2020-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검색 방법, 그와 같은 기능을 갖는 디바이스 및 기록 매체
US9696874B2 (en) * 2013-05-14 2017-07-04 Google Inc. Providing media to a user based on a triggering event
US9843623B2 (en) 2013-05-28 2017-12-1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media items
CA2912836A1 (en) 2013-06-05 2014-12-11 Snakt, Inc. Methods and systems for creating, combining, and sharing time-constrained videos
USD738394S1 (en) * 2013-06-09 2015-09-08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JP6167703B2 (ja) * 2013-07-08 2017-07-26 株式会社リコー 表示制御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5927591B2 (ja) * 2013-08-07 2016-06-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症例表示装置、症例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129594B1 (ko) 2013-10-30 2020-07-03 애플 인크. 관련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표시
USD753149S1 (en) * 2013-12-30 2016-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53146S1 (en) * 2013-12-30 2016-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6928S1 (en) 2015-02-12 2016-09-20 Snakt, Inc. Video viewing display screen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6929S1 (en) * 2015-02-13 2016-09-20 Snakt, Inc. Video viewing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8369451B (zh) * 2015-12-18 2021-10-29 索尼公司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DK201670595A1 (en) 2016-06-11 2018-01-22 Apple Inc Configuring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US11816325B2 (en) 2016-06-12 2023-11-14 Apple Inc. Application shortcuts for carplay
JP6689226B2 (ja) * 2017-03-15 2020-04-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特徴印象軸決定システム,特徴印象軸決定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US11675476B2 (en) 2019-05-05 2023-06-13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widget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6023B2 (ja) * 1994-08-09 2003-10-1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データ表示装置
JPH10260671A (ja) * 1997-03-21 1998-09-29 Sony Corp 画像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
US6281898B1 (en) * 1997-05-16 2001-08-28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Spatial browsing approach to multimedia information retrieval
US6121969A (en) * 1997-07-29 2000-09-1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Visual navigation in perceptual databases
US6356971B1 (en) * 1999-03-04 2002-03-12 Sony Corporation System for managing multimedia discs, tracks and files on a standalone computer
US7046230B2 (en) * 2001-10-22 2006-05-16 Apple Computer, Inc. Touch pad handheld device
JP4325449B2 (ja) * 2004-03-19 2009-09-02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記録媒体
JP4799261B2 (ja) * 2006-05-02 2011-10-26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画像表示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662481B2 (ja) * 2006-06-28 2011-03-30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装置
US8564544B2 (en) * 2006-09-06 2013-10-22 Apple Inc.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ustomizing display of content category icons
JP2009070317A (ja) * 2007-09-18 2009-04-02 Pioneer Electronic Corp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等
KR101421726B1 (ko) * 2007-10-30 2014-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진 브라우징 방법
JP4922149B2 (ja) * 2007-12-27 2012-04-25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カメラ,表示制御方法,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8493408B2 (en) * 2008-11-19 2013-07-23 Apple Inc. Techniques for manipulating panoramas
EP2392999A4 (en) * 2009-02-02 2013-11-27 Panasonic Corp INFORMATION DISPLAY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0086A (ko) * 2011-11-29 2013-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9389753B2 (en) 2011-11-29 2016-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KR102115989B1 (ko) * 2020-02-25 2020-05-27 주식회사 이글루시큐리티 3차원 대시보드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1593B1 (ko) 2014-06-25
US20110066627A1 (en) 2011-03-17
JP5872142B2 (ja) 2016-03-01
JP2011060272A (ja) 2011-03-24
US8626762B2 (en) 201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1593B1 (ko)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20200201446A1 (en) Apparatu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controlling user interface using input image
JP5765019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3071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iewing a dual-shot image
EP3226537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3690738A1 (en) Distributing processing for imaging processing
KR20140104806A (ko) 복수의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단말에서 유효한 영상들을 합성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
US11500533B2 (en)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a preview image to be captured by a camera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50059466A (ko) 전자장치에서 이미지 내의 특정 객체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8013374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40267435A1 (en) Image editing method,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and terminal
US20230336671A1 (en) Imaging apparatus
US20230224574A1 (en) Photographing method and apparatus
US9621790B2 (en) Imaging device, imag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EP2854126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system, a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and program
US9389753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CN108009273B (zh) 图像显示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2206605A1 (zh) 确定目标对象的方法、拍摄方法和装置
KR20140146884A (ko) 휴대 장치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들을 편집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장치
JP2013175956A (ja) 撮像装置、撮像方法、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システム
WO2023246666A1 (zh) 一种搜索方法及电子设备
JP6951529B2 (ja) 撮像装置の表示方法
KR20170011541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17631847A (zh) 输入法候选内容的显示方法及电子设备
KR20130104483A (ko) 객체를 분할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