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7572A -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7572A
KR20110027572A KR1020100083628A KR20100083628A KR20110027572A KR 20110027572 A KR20110027572 A KR 20110027572A KR 1020100083628 A KR1020100083628 A KR 1020100083628A KR 20100083628 A KR20100083628 A KR 20100083628A KR 20110027572 A KR20110027572 A KR 20110027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signal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3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형창희
강성원
임인기
박형일
강태욱
황정환
김경수
김정범
김성은
현석봉
박경환
최병건
강태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2/877,067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10059692A1/en
Priority to DE102010040397A priority patent/DE102010040397A1/de
Priority to JP2010201134A priority patent/JP2011061792A/ja
Priority to CN2010105303445A priority patent/CN102013901A/zh
Publication of KR20110027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75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local intradevic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는 기저대역 신호 및 상기 기저대역 신호에 디지털 변조를 적용한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근접장 신호로 제공하는 근접장 신호 제공부; 상기 제공된 근접장 신호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근접장 신호 제공부 및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종래의 근접장 통신이 가지고 있던 낮은 데이터 전송율을 극복할 수 있다. 즉, 높은 데이터 전송율을 이용하여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근접장 통신과 기존 무선 망을 통해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구성 및 데이터 통신을 하나의 결합된 기술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기적 결합과 자기적 결합의 인터페이스를 공유함으로써 전원 공급과 통신 수행을 동시에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Apparatus for communication Using Near Field}
본 발명은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높은 데이터 전송율을 제공할 수 있는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의 IT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6-S-072-04, 과제명: 인체통신 컨트롤러 SoC].
근접장 통신 기술(NFC: Near Field Communication)은 13.56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RFID에 기반을 두고, 10cm 이내의 거리에서 저전력으로 약 424kbps의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이다.
근접장 통신 기술을 이용하면, 사용자의 인위적인 조작 없이도 두 개 이상의 근접장 통신 기술 지원 단말기를 서로 근접시키는 것에 의하여 전화번호는 물론 주소록이나 게임, MP3 파일 등을 주고 받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근접장 통신 기술은 휴대전화, AV 장비, 디지털 카메라, PDA, 셋탑 박스 등과 컴퓨터를 직관적으로 접속하게 하여, 여러 컨텐츠를 용이하게 이동시키거나 동작시킬 수 있는 기술이며, 이미 존재하는 블루투스, 무선 802.11 장비들의 네트워크 자동 설정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근접장 통신 기술은 저전력으로 동작하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데이터의 전송속도가 낮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데이터 전송율을 제공할 수 있는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는 기저대역 신호 및 상기 기저대역 신호에 디지털 변조를 적용한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근접장 신호로 제공하는 근접장 신호 제공부; 상기 제공된 근접장 신호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근접장 신호 제공부 및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근접장 신호 제공부는 상기 기저대역 신호 및 상기 기저대역 신호에 디지털 변조를 적용한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에 반송파를 이용하는 변조방식을 적용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근접장 신호 제공부는 상기 기저대역 신호 및 상기 기저대역 신호에 디지털 변조를 적용한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한정하기 위한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및 정합회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안테나 및 정합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보호하는 절연막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투명 전극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통신이 가능한 외부 장치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와 구성요소를 공유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이외의 통신 방식을 제공하는 외부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외부통신부는 유선 통신 방식 및 무선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외부통신부의 유선 통신 방식은 USB, LAN 및 Serial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외부통신부의 무선 통신 방식은 WLAN, ZigBee, RFID 및 Bluetooth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에 필요한 전원 공급을 위한 유도 전압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유도 전압 생성부는 외부 전원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다른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장치로 유도 전압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유도 전압 생성부는 다른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장치로부터 유도 전압을 제공받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에 필요한 전원을 저장하는 배터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장 신호 제공부 및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제어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을 위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에 따르면, 종래의 근접장 통신이 가지고 있던 낮은 데이터 전송율을 극복할 수 있다. 즉, 높은 데이터 전송율을 이용하여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근접장 통신과 기존 무선 망을 통해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구성 및 데이터 통신을 하나의 결합된 기술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기적 결합과 자기적 결합의 인터페이스를 공유함으로써 전원 공급과 통신 수행을 동시에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를 이용하는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를 이용하는 서비스에서 유선 통신 방식의 외부통신부를 이용하는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를 이용하는 서비스에서 무선 통신 방식의 외부통신부를 이용하는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100)는 기저대역 신호 및 상기 기저대역 신호에 디지털 변조를 적용한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근접장 신호로 제공하는 근접장 신호 제공부(110); 상기 제공된 근접장 신호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120); 및 상기 근접장 신호 제공부 및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100)는 고속의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법으로 반송파를 이용하는 주파수 변조 방식이 아닌, 기저 대역 신호 또는 기저 대역 신호에 디지털 변조 과정을 적용하여 얻어진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복원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디지털 NFC(Digital 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을 이용하는 것이다.
상기의 디지털 NFC(Digital 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을 이용하여 저속의 데이터 전송은 물론 고속의 데이터 전송 특성을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근접장 신호 제공부(110)는 기저대역 신호 및 상기 기저대역 신호에 디지털 변조를 적용한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근접장 신호로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근접장 신호 제공부(110)는 상기 기저대역 신호 및 상기 기저대역 신호에 디지털 변조를 적용한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에 반송파를 이용하는 변조방식을 적용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로직에 사용되는 0과 1을 전압의 값으로 표시한 것으로 TTL 혹은 CMOS 레벨과 같은 신호를 포함하며, 이러한 신호는 디지털 논리 회로를 통해 생성될 수 있다. 디지털 논리 회로를 통한 변조는 확산 과정을 포함하며, 생성된 디지털 신호는 광대역의 주파수 특성을 가짐으로 이를 제한하기 위한 필터의 구성도 가능하다. 정보를 입력 받아 디지털 논리 회로를 통해 확산 변조 과정을 거치고 및 필터를 통과한 신호는 인터페이스를 거쳐 인접한 기기와 통신하게 된다.
즉, 상기 근접장 신호 제공부(110)는 종래의 근접장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 연속 변조 방식을 이용하지 아니하므로, 반송파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율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근접장 신호 제공부(110)에서 생성된 근접장 신호는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다른 기기와 통신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근접장 신호 제공부(110)는 상기 기저대역 신호 및 상기 기저대역 신호에 디지털 변조를 적용한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한정하기 위한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인터페이스부(120)는 상기 제공된 근접장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20)는 접촉 및 근접한 기기 간에 신호를 보다 더 잘 전달하기 위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및 상기 안테나에 필요한 정합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접촉에 의한 전극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20)는 전도성을 갖는 물질로 구성되어 기기의 기구물 안쪽에 내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노출될 수 있다. 노출될 경우, 사용자의 안전 및 기기의 보호를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부(120)는 상기 안테나 및 정합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보호하는 절연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20)는 투명 전극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투명 전극의 경우 또한 신호 전달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일정한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상기 근접장 신호 제공부(110) 및 인터페이스부(120)를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30)는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100)에 필요한 제어 동작을 대부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근접장 신호 제공부(110) 및 인터페이스부(120)를 제어하며, 아래에서 언급되는 디스플레이부(140), 외부통신부(150), 유도 전압 생성부(160) 및 배터리부(170)를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근접장 신호 제공부(110) 및 인터페이스부(120)에 대한 제어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을 위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100)는 상기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통신이 가능한 외부 장치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인터페이스부(120)와 구성요소를 공유하는 것일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40)를 갖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120)는 전도성을 갖는 투명한 소재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직관적인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디스플레이부(140)의 표면에 존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 표면에 존재하는 인터페이스부(120)에 절연막을 추가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40)의 구성에 필요한 전도성 막을 인터페이스부(120)로 이용할 수도 있다.
일반적인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할 때, 영상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다수의 가로 전극과 다수의 세로 전극의 구성을 투명한 전극에 신호를 주어 그 위치의 셀이 발광하도록 하는 원리를 이용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투명 전극을 이용하여, 근접장 통신의 인터페이스부(120)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접촉 및 입력 패턴을 인식하는 기능이 포함된 디스플레이부(140)는 영상 표시 장치 위에 접촉을 인식하기 위한 투명한 전도성 층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 층을 이용하여 접촉을 인식하여 인식된 접촉의 투명 전극을 통해 디지털 신호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부(120) 구성이 가능할 것이다.
근접장 통신을 위해 디스플레이부(140)의 아이콘 혹은 버튼 등을 이용할 경우, 디스플레이부(140)에 존재하는 다수의 작은 전극 등을 이용하여 인터페이스부(120)의 안테나 패턴으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100)는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이외의 통신 방식을 제공하는 외부통신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통신부(150)는 유선 통신 방식 및 무선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것일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경우에는 USB, LAN 및 Serial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경우에는 WLAN, ZigBee, RFID 및 Bluetooth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100)는 상기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에 필요한 전원 공급을 위한 유도 전압 생성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유도 전압 생성부(160)는 외부 전원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을 하고, 더불어, 다른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장치로 유도 전압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근접장 통신 기술은 접촉 혹은 근접한 기기간에 고속의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기술로 사용 분야에 따라 장시간 통신이 이루어져야 할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외부 전원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함으로써 장시간 동작할 수 있는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장치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상기 유도 전압 생성부(160)는 다른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장치로부터 유도 전압을 제공받는 것일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외부 전원장치로부터 전원을 직접 공급받지 못하는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장치의 경우에는 외부의 다른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장치로부터 유도 전압을 제공받아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외부 전원장치로부터 전원을 직접 공급받는 제1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장치는 공급받은 외부 전원으로 동작하는 한편, 공급받은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유도 자기장에 의한 유도 전원을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외부 전원장치로부터 전원을 직접 공급받지 못하는 제2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장치는 상기 제1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장치에서 발생된 제1 유도 전원에 의하여 유도된 제2 유도 전원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하나의 외부 전원장치로부터 공급된 전원에서 일부는 상기 제1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장치가 직접 이용하고, 나머지는 상기 제1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장치에서 제1 유도 전원을 발생하여, 상기 제2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장치로 제2 유도 전원을 발생시키는데 사용하게 된다. 즉, 상기 나머지는 상기 제2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장치의 동작에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원 공급과 통신을 위해 필요한 인터페이스를 같이 활용할 수 있다. 근접장 통신 장치의 경우, 전기적 결합 특성을 이용하며 전원 공급을 위해서는 자기적 결합 특성을 이용함으로 상이한 두 결합을 위해 필요한 인터페이스 공유함으로써 부피나 면적 등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100)는 상기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에 필요한 전원을 저장하는 배터리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전원장치로부터 공급된 전원이 일시 단절되거나 제거된 상황에서도 상기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가 동작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저장해두는 배터리가 필요할 것이기 때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를 이용하는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를 이용하는 서비스는 핸드폰과 핸드폰, 핸드폰과 주변 기기, 노트북과 노트북 등 우리 주변에 존재하는 전자 기기들 사이에 접촉 및 근접에 의해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저속 및 고속의 데이터 전송 서비스와 같이 다양하다.
종래의 근접장 통신과 달리 주파수 변조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기저대역 신호 혹은 디지털 변조 과정을 통해 얻은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하는 것으로 두 기기 간에 고속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고속의 데이터 전송으로, 핸드폰 간의 간단한 전자 명함 전달 뿐만 아니라, 음악 파일, 동영상 파일들을 전달할 수 있고, 핸드폰에 저장된 영상 정보를 빔 프로젝트나 외부 모니터로 출력하는 서비스도 가능하다.
또한, 사용단말과 노트북 혹은 PC 사이에 네트워크를 제공함으로써 접촉 및 근접된 기기 사이에 개인화 및 동기화된 내용을 직접 전달할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의 이동 기기는 보통 휴대성을 고려하여 작은 화면으로 구성된다. 또한 노트북과 같이 보다 확장된 디스플레이 장치도 경우에 따라 빔 프로젝트나 외부의 확장된 디스플레이 장치로의 출력이 필요하다. 이 경우,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장치를 통하여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자의 다중 모니터로 활용할 수 있다. 이때 외부의 디스플레이는 사용자 화면과 같거나 혹은 다른 정보를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를 이용하는 서비스에서 유선 통신 방식의 외부통신부를 이용하는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를 이용하는 서비스에서 유선 통신 방식의 외부통신부를 이용하는 서비스는 패드 형태의 근접장 통신 장치에 USB를 통해 PC에 연결될 경우, 근접장 통신 장치를 갖는 이동 기기가 접촉 혹은 근접되어 있을 때, 사용자는 마치 외장 저장 장치로 핸드폰을 이용할 수 있으며, USB 호스트 기능이 있는 기기에 근접장 통신 기술을 쉽게 적용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유선 통신 방식의 외부통신부를 이용하는 서비스 방법은 USB 호스트 기능이 있는 TV 및 DVIX 플레이어와 같은 기기에 연결함으로써 근접장 통신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현대 생활에서 통신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은 모든 개인이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또한 휴대용 저장 장치를 부가적으로 가지고 다닌다. 개인이 가지고 다니는 하나의 휴대 단말을 연결된 컴퓨터에서 접촉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작업하고, 장소를 옮겨 회의를 위해 빔 프로젝트에 접촉하여 핸드폰에 외부 영상 장치로 빔 프로젝트를 연결, 핸드폰의 영상데이터를 활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를 이용하는 서비스에서 무선 통신 방식의 외부통신부를 이용하는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를 이용하는 서비스에서 무선 통신 방식의 외부통신부를 이용하는 서비스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에 근접장 통신이 적용되고, 사용자 단말을 현관문의 근접장 통신 장치에 접촉 혹은 근접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을 통해 출입하는 시스템의 서비스로도 이용이 가능할 것이다.
사용자는 접촉한 이동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면서 사용자 단말의 키패드 혹은 현관문에 적용된 키패드를 통해 암호키를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결제에도 활용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이나 현관문의 지문 인식 시스템과 결합하여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
110: 근접장 신호 제공부 120: 인터페이스부
130: 제어부 140: 디스플레이부
150: 외부통신부 160: 유도 전압 생성부
170: 배터리부

Claims (19)

  1. 기저대역 신호 및 상기 기저대역 신호에 디지털 변조를 적용한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근접장 신호로 제공하는 근접장 신호 제공부;
    상기 제공된 근접장 신호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근접장 신호 제공부 및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장 신호 제공부는 상기 기저대역 신호 및 상기 기저대역 신호에 디지털 변조를 적용한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에 반송파를 이용하는 변조방식을 적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장 신호 제공부는 상기 기저대역 신호 및 상기 기저대역 신호에 디지털 변조를 적용한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한정하기 위한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및 정합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안테나 및 정합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보호하는 절연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투명 전극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통신이 가능한 외부 장치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와 구성요소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이외의 통신 방식을 제공하는 외부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통신부는 유선 통신 방식 및 무선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통신부의 유선 통신 방식은 USB, LAN 및 Serial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통신부의 무선 통신 방식은 WLAN, ZigBee, RFID 및 Bluetooth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에 필요한 전원 공급을 위한 유도 전압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전압 생성부는 외부 전원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다른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장치로 유도 전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전압 생성부는 다른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장치로부터 유도 전압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에 필요한 전원을 저장하는 배터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장 신호 제공부 및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제어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을 위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
KR1020100083628A 2009-09-08 2010-08-27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 KR2011002757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877,067 US20110059692A1 (en) 2009-09-08 2010-09-07 Communications device using near field
DE102010040397A DE102010040397A1 (de) 2009-09-08 2010-09-08 Kommunikationsvorrichtung, die ein Nahfeld verwendet
JP2010201134A JP2011061792A (ja) 2009-09-08 2010-09-08 近接場を利用する通信装置
CN2010105303445A CN102013901A (zh) 2009-09-08 2010-09-08 使用近场的通信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344 2009-09-08
KR20090084344 2009-09-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7572A true KR20110027572A (ko) 2011-03-16

Family

ID=43934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3628A KR20110027572A (ko) 2009-09-08 2010-08-27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1061792A (ko)
KR (1) KR2011002757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97448B (zh) * 2011-09-13 2018-09-04 祥闳科技股份有限公司 视觉界面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94488A (ja) * 1989-01-23 1990-08-01 Omron Tateisi Electron Co 物品識別システム
JPH05110331A (ja) * 1991-10-17 1993-04-30 Pioneer Electron Corp 液晶表示付きマイクロストリツプアンテナ
JP2000138512A (ja) * 1998-09-23 2000-05-16 Sharp Corp 平面アンテナ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JP2001136014A (ja) * 1999-11-04 2001-05-18 Ricoh Elemex Corp 透明性導電体アンテナおよびこれを備えた無線機
KR100656339B1 (ko) * 2003-12-26 2006-12-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초광대역 송수신을 위한 펄스신호 발생기 및 이를포함하는 송수신장치
JP4356503B2 (ja) * 2004-04-15 2009-11-04 ソニー株式会社 位置特定システム、並びに受信機及び受信方法及び受信方法及び受信方法
JP4633605B2 (ja) * 2005-01-31 2011-02-16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及び電子装置、並びに、電子カメラ、電子カメラの発光装置、並びに、周辺装置
JP4770230B2 (ja) * 2005-03-29 2011-09-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保持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1025054B1 (ko) * 2005-04-01 2011-03-25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디스플레이용 투명 안테나 및 안테나 부착 디스플레이용투광성 부재 및 안테나 부착 하우징용 부품
JP2007114955A (ja) * 2005-10-19 2007-05-10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表示パネル及び表示装置
JP2007235751A (ja) * 2006-03-02 2007-09-13 Fujifilm Corp 表示装置及び撮像装置
JP5036394B2 (ja) * 2007-04-27 2012-09-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通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061792A (ja) 2011-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56165B2 (en) Management of near field communications using low power modes of an electronic device
US20110059692A1 (en) Communications device using near field
US11206321B2 (en) Mobile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CN101631104B (zh) 通信装置、通信系统、通知方法和程序产品
CN104253634B (zh) 双频多协议多功能近场通信集成系统和应用方法
CN106990912B (zh) 控制sim卡和sd卡的方法以及实现该卡的电子设备
KR101909532B1 (ko) 전자 디바이스
US760654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ambient RF power in a portable terminal
CN101551693B (zh) 电子设备,计算机系统,和通信控制方法
US9575577B2 (en) Stylus keyboard
CN102646081A (zh) 感应地配对设备以共享资源或数据的系统和方法
CN101052228A (zh) 用于便携式终端的多功能解密器
TW201238273A (en) Electronic device,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data transfer
KR20120103929A (ko) 휴대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 장치 및 방법
US20230127816A1 (en) Low power mode for payment transactions
CN113905258B (zh) 视频播放方法、网络设备以及存储介质
KR20110027572A (ko) 근접장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
KR20210035479A (ko) 전력 공유를 지원하는 코일들을 선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전자 장치
CN216625389U (zh) 无线充电设备
US20130309974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IT202100002528A1 (it) Dispositivo e sistema per il recupero di energia wireless e ricarica
KR20110036502A (ko) 동기된 클럭신호를 이용하는 통신 장치
CN105101380A (zh) 收发数据信号和语音信号的方法和实现该方法的电子装置
CN103118364A (zh) 一种密钥装置和密钥系统
CN117395050A (zh) 文件传输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