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7271A - 고정클립 - Google Patents

고정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7271A
KR20110027271A KR1020090085280A KR20090085280A KR20110027271A KR 20110027271 A KR20110027271 A KR 20110027271A KR 1020090085280 A KR1020090085280 A KR 1020090085280A KR 20090085280 A KR20090085280 A KR 20090085280A KR 20110027271 A KR20110027271 A KR 20110027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lip
support
present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5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7655B1 (ko
Inventor
박기동
Original Assignee
박기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동 filed Critical 박기동
Priority to KR1020090085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7655B1/ko
Publication of KR20110027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7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7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7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without perforating; Means therefor
    • B42F1/02Paper-clips or like fasteners
    • B42F1/10Paper-clips or like fasteners non-metallic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하고 용지의 파지 부위에 이탈방지돌기를 형성하게 됨으로 끼워지는 용지의 분량에 구애받지 않고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어 제품의 성능 및 사용자에게 신뢰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많은 양의 용지가 파지되어도 복원력이 떨어지거나 변형이 발생되지 않고 원상태로 복원되어지게 되며 표면의 벗겨짐이나 녹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제품성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한 고정클립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정클립(1)은 내부에 끼움부(11)가 형성되어지고 일끝단부에 하부로 절곡된 절곡부(12)가 형성되어진 지지구(10)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지지구(10)에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한 쪽 끝부에 상기 끼움부(11) 내면으로 위치되어 끼워지는 용지(200)를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파지부(21)가 형성되어진 압착구(20)가 형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지지구(10)의 상단부와 상기 파지부(21)의 하단부에는 상기 지지구(10)와 압착구(20)로부터 용지(200)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이탈방지돌기(13)(23)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클립, 지지구, 절곡부, 압착구, 파지부, 돌출편, 이탈방지돌기

Description

고정클립{Fixation clip}
본 발명은 고정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라스틱의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복원력을 최대화하여 제품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녹이 발생되지 않아 제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파지된 용지가 쉽게 빠지지 않게 되어 지지력을 견고히 할 수 있게 되는 고정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클립(clip)은 사무실이나 가정 또는 학교에서 많이 쓰이는 대표적인 용지의 파지(把持)수단이다.
종래의 서류, 종이 등을 철하여 두는 각종의 클립(clip) 중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형태의 것은 첨부된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의 탄성을 가진 직선형의 강선(鋼線)을 일정부위에서 중첩되게 만곡시켜 폐곡선의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클립(100)은 철하고자 하는 서류 등을 하부의 제1만곡부(110)와 제2만곡부(120) 사이로부터 상부 만곡부(130)까지 삽입시킴으로써 전방 수직부(140) 및 후방 수직부(150)의 상호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서류가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즉, 종래 클립(100)에 있어서 서류에 대한 파지력(把持力)은 철해지는 서류 의 두께가 상부 만곡부(130)의 강선을 비틀므로서 발생하는 비틀림 응력에 의해 얻어지며 상기 비틀림 응력은 전,후방 수직부가 그 전 길이에 걸쳐 철해지는 서류의 앞,뒷면에 직각으로 엇갈려 전달 작용함으로써 서류가 파지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클립은 그 파지력에 일정한 한계가 있기 때문에 서류 등을 클립으로 파지시켰다고 할지라도 부주의 하여 바닥에 떨어뜨린다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작은 힘을 가할 경우 클립이 서류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로 인해 서류 등이 분실되거나 흐뜨러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클립은 강선으로 형성되어지게 됨으로 습기 등에 의해 녹이 발생하거나 표면이 벗겨지게 되는 등 제품성이 떨어지게 되며, 종이를 너무 많이 끼우게 되면 클립이 뒤틀리거나 빠지기 쉽고 한 번 뒤틀리거나 휘어진 클립은 복원력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하고 용지의 파지 부위에 이탈방지돌기를 형성하게 됨으로 끼워지는 용지의 분량에 구애받지 않고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어 제품의 성능 및 사용자에게 신뢰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목적은 많은 양의 용지가 파지되어도 복원력이 떨어지거나 변형이 발생되지 않고 원상태로 복원되어지게 되며 표면의 벗겨짐이나 녹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제품성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한 고정클립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정클립은 내부에 끼움부가 형성되어지고 일끝단부에 하부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어진 지지구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지지구에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한 쪽 끝부에 상기 끼움부 내면으로 위치되어 끼워지는 용지를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파지부가 형성되어진 압착구가 형성되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클립은 상기 지지구의 상단부와 상기 파지부의 하단부에 끼워지는 용지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클립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지지구와 압착구로 이루어진 클립을 탄성 복원력이 높은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하게 되어 용지의 파지력을 최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 용지의 파지량에 구애받지 않고 원상태로 복원되어져 제품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오랜 시간이 경과하여도 클립에 녹이나 벗겨짐이 발생되지 않아 제품성을 최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구와 압착구 사이의 용지가 끼워지게 되는 부위가 서로 벌어져 있어 용지를 용이하게 끼울 수 있으면서 지지구와 압착구에 형성되어 있는 이탈방지돌기에 의해 용지가 빠지지 않도록 최대한 압착시키게 됨으로 제품의 견고성 및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립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립의 저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립을 도시한 정면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립을 도시한 평면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립을 도시한 절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클립에 용지가 끼워지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용지(200)에 꽂아 용지(200)를 파지하게 되는 클립에 있어서,
내부면에 끼움부(11)가 형성되어지며 일끝단에 하부로 절곡되어지는 절곡부(12)가 형성되어진 지지구(10)와;
상기 지지구(10)의 상부로 일체화되어지며, 용지(200)와 밀착되어 용지(200)를 압착할 수 있도록 일부면에 파지부(21)가 형성되어지는 압착구(20);
로 형성되어진다.
상기 지지구(10)는 상단 양측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탈방지돌기(13)가 형성되어지게 된다.
상기 압착구(20)의 파지부(21) 하단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탈방지돌기(23)가 형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파지부(21)는 용지(200)의 파지력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상기 끼움부(11) 내면으로 위치되어짐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압착구(20)의 끝단부에는 상기 지지구(10)와 압착구(20) 사이로 용지(200)가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상방향으로 올라간 돌출편(22)이 형성되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클립(1)은 탄성 및 복원력이 높은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짐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클립(1)에 용지(200)를 파지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 지지구(10)와 압착구(20) 사이에 용지(200)를 끼워넣게 되는데, 이때 상기 지지구(10)의 절곡부(12)가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있고 상기 압착구(20)에 상방향으로 돌출편(2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용지(200)가 끼워지는 입구의 지지구(10)와 압착구(20)가 서로 벌어져 있게 되어 상기 지지구(10)와 압착구(20) 사이로 용지(200)를 용이하게 끼워넣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구(10)와 압착구(20) 사이로 용지(200)를 끼워넣게 되면 상기 끼움부(11) 내면으로 형성되어 있던 파지부(21)가 끼움부(11)에서 벗어나면서 상기 파지부(21)가 지지구(10)로부터 벌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구(10)와 압착구(20) 사이에 끼워지는 용지(200)의 량에 따라 상기 압착구(20)가 벌어지게 되며, 상기 압착구(20)가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압착구(20)가 원상태로 복귀할려고 하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지지구(10)와 압착구(20) 사이의 용지(200)가 견고하게 파지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구(10)에 형성된 이탈방지돌기(13)와 상기 파지부(21)에 형성되어 있는 이탈방지돌기(23)에 용지(200)가 밀착되어지게 되어 상기의 이탈방지돌기(13)(23)에 의해 충격이나 흔들림에도 용지(200)가 상기 지지구(10)와 압착구(20) 사이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클립(1)에 파지되어지는 용지(200)의 용량이나 두께에 구애받지 않고 용지(200)가 상기 지지구(10)와 압착구(20) 사이에서 휘어지지 않고 최대의 압착력으로 견고하게 고정되어지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지지구(10)와 압착구(20) 사이에 파지되어 있는 용지(200)를 지지구(10)와 압착구(20)로부터 빼내게 되면 상기 압착구(2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지지구(10)로부터 벌어져 있던 압착구(20)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파지부(21)가 원상태의 끼움부(11) 내면으로 위치되어지게 된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클립(1)에 많은 양의 용지(200)를 파지하고 빼내도 상기 지지구(10)와 압착구(20)가 휘어지거나 변형되지 않게 되며, 또한 상기 지지구(10)로부터 벌어져 있던 압착구(20)가 용지(200)가 파지되기 전의 상태 그대로 다시 복원되어지게 되어 용지(200)의 파지력을 최대화하면서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클립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립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립의 저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립을 도시한 정면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립을 도시한 평면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립을 도시한 절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클립에 용지가 끼워지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클립 10 : 지지구
11 : 끼움부 12 : 절곡부
13,23 : 이탈방지돌기 20 : 압착구
21 : 파지부 22 : 돌출편
200 : 용지

Claims (5)

  1. 용지(200)에 꽂아 용지(200)를 파지하게 되는 클립에 있어서,
    내부면에 끼움부(11)가 형성되어지며 일끝단에 하부로 절곡되어지는 절곡부(12)가 형성되어진 지지구(10)와;
    상기 지지구(10)의 상부로 일체화되어지며, 용지(200)와 밀착되어 용지(200)를 압착할 수 있도록 일부면에 파지부(21)가 형성되어지고, 끝단부에 용지(200)가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상방향으로 올라간 돌출편(22)이 형성되어진 압착구(20);
    로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클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10)는 상단 양측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탈방지돌기(13)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클립.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구(20)의 파지부(21) 하단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탈방지돌기(23)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클립.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21)는 용지(200)의 파지력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상기 끼움부(11) 내면으로 위치되어지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클립.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10)와 압착구(20)는 탄성 및 복원력이 높은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클립.
KR1020090085280A 2009-09-10 2009-09-10 고정클립 KR101107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280A KR101107655B1 (ko) 2009-09-10 2009-09-10 고정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280A KR101107655B1 (ko) 2009-09-10 2009-09-10 고정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7271A true KR20110027271A (ko) 2011-03-16
KR101107655B1 KR101107655B1 (ko) 2012-01-20

Family

ID=43934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5280A KR101107655B1 (ko) 2009-09-10 2009-09-10 고정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76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1485A1 (ru) 2011-11-30 2013-06-06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Дис Плюс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редство для его фиксации на опорной поверхности
US10699603B2 (en) * 2018-01-10 2020-06-30 Kerry Deco Apparatus for a textile tag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6534A (ja) * 1989-09-29 1991-05-17 Toshiba Corp 光ディスク装置
KR20020072668A (ko) * 2001-03-12 2002-09-18 정서준 고정클립
JP2004034684A (ja) 2002-07-03 2004-02-05 Hisao Sato クリップ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1485A1 (ru) 2011-11-30 2013-06-06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Дис Плюс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редство для его фиксации на опорной поверхности
US10699603B2 (en) * 2018-01-10 2020-06-30 Kerry Deco Apparatus for a textile ta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7655B1 (ko) 201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165811A1 (en) Binder clip
KR101107655B1 (ko) 고정클립
US2456554A (en) Connector for cords or cables
KR20220087345A (ko)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
EP1950047A3 (en) Sheet package and printing unit
WO2011139262A1 (en) Paper clip
CZ290279B6 (cs) Svorka pro přechodné nebo trvalé sevření listů papíru nebo jiných ploąných materiálů
EP0606679A1 (en) Clamp for leaf or sheet shaped material
EP4261045A1 (en) Non-slip assembly for binder clip
KR20130055138A (ko) 고정구를 구비한 집게
US20050035614A1 (en) Light bulb puller
JP2002120480A (ja) クリップ
JP2007218429A (ja) スプリングクリップ
JP3123472U (ja) クリップ
KR200258627Y1 (ko) 매직 클립
KR100955529B1 (ko) 서류 고정용 클립
US5713682A (en) Paper handling device
JP7021310B1 (ja) 拭き取りシート取出部材および拭き取りシート収納容器
KR200443264Y1 (ko) 제침기
CN107799914B (zh) 一种线夹
CN211747550U (zh) 一种低损伤发夹
CN208638661U (zh) 扬声器
KR20060033680A (ko) 코일형 클립
CN205819040U (zh) 一种利用压簧片压住多余带子的捆绑器
KR200343702Y1 (ko) 강력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