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6587A - 차량의 제동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제동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6587A
KR20110026587A KR1020090084303A KR20090084303A KR20110026587A KR 20110026587 A KR20110026587 A KR 20110026587A KR 1020090084303 A KR1020090084303 A KR 1020090084303A KR 20090084303 A KR20090084303 A KR 20090084303A KR 20110026587 A KR20110026587 A KR 20110026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system
master cylinder
vehicle
braking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4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성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4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6587A/ko
Publication of KR20110026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65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58Combined or convertibl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5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a hydraulic system, e.g. a master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1Brak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바퀴의 일부는 운전자의 페달 조작력만으로 제동이 이루어지고 나머지 다른 바퀴의 제동은 액츄에이터의 작동력으로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된 제동시스템에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력으로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된 제동라인에도 ABS 작동에 따른 유압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시켜 제동시스템을 구성하는 부품들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제동시스템을 제공한다.
ABS, 마스터실린더, 댐핑

Description

차량의 제동시스템{Braking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제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바퀴의 일부는 운전자의 페달 조작력만으로 제동이 이루어지고 나머지 다른 바퀴의 제동은 액츄에이터의 작동력으로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된 제동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
도 1은 차량의 전체 바퀴 중 전륜은 모터(500)와 같은 액츄에이터의 작동력에 의해 제동력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고, 후륜은 부스터 없이 운전자의 페달 조작력만에 의해 제동력이 발생되도록 되어 있는 차량의 제동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후륜 제동력이 부스터 없이 운전자의 페달 조작력만으로 가능한 이유는, 전륜을 제동하는 데에 소요되는 제동압력은 액츄에이터에서 발생되므로, 페달비나 마스터실린더의 피스톤 단면비 등을 조절하면 사람의 페달 조작력만으로도 충분한 후륜 제동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동시스템은 전동 액츄에이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만 제한 된 것이 아니라, 후륜 제동력을 사람의 페달 조작력에 의해 발생시키고 전륜 제동력은 별도의 구동원을 구비하는 모든 회생제동용 제동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일반적인 제동시스템에서는 사람이 페달을 밟고 있는 구조가 ABS 작동시 일종의 댐퍼 효과를 제공하여, ABS(Anti-lock Brake System)가 작동하여 유압이 마스터실린더 쪽으로 전달되더라도, 밸브 등과 같은 부품에 무리한 하중이 걸리지 않지만, 상기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제동시스템에서 전륜 제동장치는 사람이 아닌 모터(500) 및 기구 구조물에 의해 구속된 상태이기 때문에 ABS 작동시 효과적인 댐핑을 기대할 수 없어, 밸브 등의 부품에 무리한 하중의 작용으로 제동시스템의 내구성이 저하될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 바퀴의 일부는 운전자의 페달 조작력만으로 제동이 이루어지고 나머지 다른 바퀴의 제동은 액츄에이터의 작동력으로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된 제동시스템에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력으로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된 제동라인에도 ABS 작동에 따른 유압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시켜 제동시스템을 구성하는 부품들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제동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 차량의 제동시스템은
페달 조작력만으로 차량 일부 차륜의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인력제동계통과, 액츄에이터의 작동력으로 상기 차량의 나머지 차륜의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된 비인력제동계통을 구비한 차량의 제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인력제동계통을 구성하는 비인력마스터실린더에 연통되고, 상기 인력제동계통을 구성하는 인력마스터실린더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댐핑챔버와;
상기 댐핑챔버 내에서 양단에 상기 비인력마스터실린더로부터의 압력이 작용하는 제1압력작용면과 상기 인력제동계통으로부터의 압력이 작용하는 제2압력작용면을 구비한 댐핑피스톤;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댐핑챔버는 상기 비인력마스터실린더의 단부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댐핑챔버와 상기 인력마스터실린더 사이는 브레이크오일이 소통되도록 형성된 완충통로를 통해 연결된 구조로 할 수 있다.
상기 댐핑챔버의 단면적은 상기 비인력마스터실린더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댐핑피스톤은 상기 비인력마스터실린더 내에서 상기 제1압력작용면을 형성하며, 상기 댐핑챔버 내에서 상기 제2압력작용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댐핑피스톤의 제2압력작용면의 면적은 상기 인력마스터실린더의 단면적 이상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차량 바퀴의 일부는 운전자의 페달 조작력만으로 제동이 이루어지고 나머지 다른 바퀴의 제동은 액츄에이터의 작동력으로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된 제동시스템에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력으로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된 제동라인에도 ABS 작동에 따른 유압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시켜 제동시스템을 구성하는 부품들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는 페달 조작력만으로 차량 일부 차륜의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인력제동계통과, 액츄에이터의 작동력으로 상기 차량의 나머지 차륜의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된 비인력제동계통을 구비한 차량의 제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인력제동계통을 구성하는 비인력마스터실린더(1)에 연통되고, 상기 인력제동계통을 구성하는 인력마스터실린더(3)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댐핑챔버(5)와; 상기 댐핑챔버(5) 내에서 양단에 상기 비인력마스터실린더(1)로부 터의 압력이 작용하는 제1압력작용면(7)과 상기 인력제동계통으로부터의 압력이 작용하는 제2압력작용면(9)을 구비한 댐핑피스톤(1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2의 우측은 운전자의 페달 조작력만으로 제동압을 발생시키는 인력제동계통의 인력마스터실린더(3)로서 후륜에 제동압을 제공하도록 되어 있으며, 좌측은 상기 액츄에이터인 모터(13)에서만 제공된 작동력으로 제동력이 전륜으로 제공되도록 된 비인력제동계통의 비인력마스터실린더(1)이며, 상기 모터(13)의 작동력으로 제동압을 발생시키는 비인력마스터실린더(1)에 ABS 작동시 발생하는 유압 충격을 완충할 댐핑챔버(5)와 댐핑피스톤(11)을 추가로 구비하도록 하고 상기 댐핑챔버(5)를 상기 인력마스터실린더(3)에 연결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댐핑챔버(5)는 상기 비인력마스터실린더(1)의 단부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댐핑챔버(5)와 상기 인력마스터실린더(3) 사이는 브레이크오일이 소통되도록 형성된 완충통로(15)를 통해 연결된 구조이다.
상기 댐핑챔버(5)의 단면적은 상기 비인력마스터실린더(1)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댐핑피스톤(11)은 상기 비인력마스터실린더(1) 내에서 상기 제1압력작용면(7)을 형성하며, 상기 댐핑챔버(5) 내에서 상기 제2압력작용면(9)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댐핑피스톤(11)의 제1압력작용면(7)은 상기 제2압력작용면(9)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댐핑피스톤(11)의 제2압력작용면(9)의 면적은 상기 인력마스터실린더(3)의 단면적 이상이 되도록 형성한다.
이는 본 실시예의 제동시스템을 탑재한 차량이 회생제동을 수행하는 경우에, 운전자가 조작하는 브레이크페달의 느낌이 회생제동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ABS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라면, 상기 비인력마스터실린더(1)에서 발생되는 제동압 FS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생제동시 그 회생제동량에 따라 변화하게 되는데, 항상 상기 인력마스터실린더(3)에서 제공되는 제동압 FP보다 작게 되므로, 상기 댐핑챔버(5)의 댐핑피스톤(11)은 그 동작의 변화가 없어서 운전자의 페달 조작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ABS가 작동하게 되는 경우에는 그에 따른 유압 충격이 순간적으로 FS를 FP보다 크게 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기 댐핑피스톤(11)이 상기 댐핑챔버(5) 쪽으로 이동하고, 상기 댐핑챔버(5)의 압력변화는 상기 완충통로(15)를 통해 상기 인력마스터실린더(3)로 전달되면서 상기 ABS 작동에 따른 유압 충격을 완충하게 된다.
즉, 일반 차량의 제동시스템에서 ABS 작동시 사람의 페달 조작력이 댐퍼의 역할을 하듯이, 본 발명에서도 사람의 페달 조작력이 댐퍼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ABS 작동시 페달에서 느껴지는 진동 등의 느낌은 일반적인 제동시스템이 탑재된 차량에서도 마찬가지이므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차량의 제동시스템을 설명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제동시스템을 설명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동시스템의 ABS 비작동시의 작용을 설명한 도면,
도 4는 도 3과 같은 작동시, 회생제동에 의한 영향을 설명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동시스템의 ABS 작동시의 작용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비인력마스터실린더 3; 인력마스터실린더
5; 댐핑챔버 7; 제1압력작용면
9; 제2압력작용면 11; 댐핑피스톤
13; 모터 15; 완충통로

Claims (4)

  1. 페달 조작력만으로 차량 일부 차륜의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인력제동계통과, 액츄에이터의 작동력으로 상기 차량의 나머지 차륜의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된 비인력제동계통을 구비한 차량의 제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인력제동계통을 구성하는 비인력마스터실린더에 연통되고, 상기 인력제동계통을 구성하는 인력마스터실린더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댐핑챔버와;
    상기 댐핑챔버 내에서 양단에 상기 비인력마스터실린더로부터의 압력이 작용하는 제1압력작용면과 상기 인력제동계통으로부터의 압력이 작용하는 제2압력작용면을 구비한 댐핑피스톤;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제동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댐핑챔버는 상기 비인력마스터실린더의 단부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댐핑챔버와 상기 인력마스터실린더 사이는 브레이크오일이 소통되도록 형성된 완충통로를 통해 연결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제동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댐핑챔버의 단면적은 상기 비인력마스터실린더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 성되고;
    상기 댐핑피스톤은 상기 비인력마스터실린더 내에서 상기 제1압력작용면을 형성하며, 상기 댐핑챔버 내에서 상기 제2압력작용면을 형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제동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댐핑피스톤의 제2압력작용면의 면적은 상기 인력마스터실린더의 단면적 이상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제동시스템.
KR1020090084303A 2009-09-08 2009-09-08 차량의 제동시스템 KR201100265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303A KR20110026587A (ko) 2009-09-08 2009-09-08 차량의 제동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303A KR20110026587A (ko) 2009-09-08 2009-09-08 차량의 제동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587A true KR20110026587A (ko) 2011-03-16

Family

ID=43933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4303A KR20110026587A (ko) 2009-09-08 2009-09-08 차량의 제동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265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04605B2 (en) 2014-11-18 2017-03-28 Hyundai Motor Company Hybrid electro-mechanical brake and system hav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04605B2 (en) 2014-11-18 2017-03-28 Hyundai Motor Company Hybrid electro-mechanical brake and system hav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3516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brake actuation of a hybrid vehicle simulator
TW200732200A (en) Brake apparatus for two-wheeled vehicle
US8827378B2 (en) Brake apparatus
JP6197098B2 (ja) 車両のためのブレーキシステム
WO2015072446A1 (ja) 車両制御装置及び車両制御システム
US20160185329A1 (en) Electric brake device
KR20140122671A (ko)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 및 브레이크 시스템의 작동 방법
ITTO20050206A1 (it) Impianto di frenatura per un veicolo, con funzione di sicurezza
WO2008126572A1 (ja) 制動装置および制動装置の制御方法
JP2015536279A (ja) 車両のブレーキシステムを作動させる方法、および車両のブレーキシステムのための制御装置
KR20130070573A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시스템
WO2012045656A3 (de) Bremsanlage und verfahren zu deren betrieb
US20130305706A1 (en) Brake booster and method for operating a brake booster
ATE534562T1 (de) Bremskraftverstärker
CN106573600B (zh) 具有复合制动能力的制动系统
KR20120045597A (ko) 전동부스터 방식 제동장치
KR101629029B1 (ko) 전동부스터 방식 제동장치 및 압력진동제어방법
KR20110026587A (ko) 차량의 제동시스템
KR101279165B1 (ko) 서브 마스터 실린더 및 이를 구비하는 제동장치
JP5871138B2 (ja) 車両用液圧ブレーキ装置
KR101593698B1 (ko) 회생제동용 제동장치의 페일-세이프구현기구
KR20110026586A (ko) 차량의 제동시스템
JP5297229B2 (ja) 制動装置
KR101326956B1 (ko) 보조브레이크의 전자제어 구조 및 방법
KR200446395Y1 (ko) 브레이크 부스터 작동소음 감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