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6344A - 반도체 장치 및 이를 실장하는 인쇄회로기판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 및 이를 실장하는 인쇄회로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6344A
KR20110026344A KR1020090084205A KR20090084205A KR20110026344A KR 20110026344 A KR20110026344 A KR 20110026344A KR 1020090084205 A KR1020090084205 A KR 1020090084205A KR 20090084205 A KR20090084205 A KR 20090084205A KR 20110026344 A KR20110026344 A KR 20110026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semiconductor device
pad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4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민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4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6344A/ko
Publication of KR20110026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63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0Bump connector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1Manufacturing meth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12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1Manufacturing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es For Mounting Electric Components On Printed Circuit Boards (AREA)
  • Wire Bonding (AREA)

Abstract

반도체 장치 및 이를 실장하는 인쇄회로기판이 개시된다. 반도체 소자, 반도체 소자에 형성된 패드, 일단부는 패드에 안착되어 있으며 타단부는 중심부가 돌출되게 형성된 포스트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는, 포스트를 결합시키는 솔더에서 기포를 제거하여 안정적인 포스트 결합을 할 수 있다.
반도체 장치, 포스트, 솔더, 기포

Description

반도체 장치 및 이를 실장하는 인쇄회로기판{Semiconductor device and PCB mount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 및 이를 실장하는 인쇄회로기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기기나 장치의 소형화 요구에 따라, 그것에 사용되는 반도체 장치의 소형화 및 고밀도화가 도모되고 있다.
더불어, 소형화 및 고밀도화된 반도체 장치를 인쇄회로기판에 안정적으로 실장하기 위하여, 반도체 장치와 인쇄회로기판을 결합에 포스트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 및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반도체 장치와 인쇄회로기판의 포스트 결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반도체 장치 및 인쇄회로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기둥형상의 포스트(10)를 형성하고, 포스트(10)를 반대측의 포스트(20) 또는 패드에 솔더(30)로 결합하였다.
그런데, 솔더(30)를 통한 포스트 결합은 솔더(30)의 재용융(reflow) 공정을 수반하고, 이 때 솔더(30)의 내부에서 기포(5)가 발생하기도 한다. 특히,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솔더(30) 내부에 발생된 기포(5)가 솔더(30) 내부에 잔존할 경우에는, 포스트(10, 20)를 결합하는 솔더(30)에 크랙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한편, 솔더(30)를 이용하여 포스트(10, 20)를 결합할 때 한 쪽의 포스트(10)가 반대측의 포스트(20) 또는 패드와 직접 접하지 못하고 떨어질 경우에는, 솔더만으로 연결된 부분이 취약하여 포스트 결합이 단단하게 유지되지 않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포스트 결합을 위한 솔더의 재용융 시에 솔더 내부에 기포가 잔존하지 않게 하는 반도체 장치 및 이를 실장하는 인쇄회로기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포스트 간의 결합 또는 포스트와 패드 간의 결합을 단단히 하는 반도체 장치 및 이를 실장하는 인쇄회로기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반도체 소자, 상기 반도체 소자에 형성된 패드, 일단부는 상기 패드에 안착되어 있으며, 타단부는 중심부가 돌출되게 형성된 포스트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포스트의 타단부는 돌출된 곡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된 곡면형상은 반구형일 수 있다.
상기 포스트는 메탈 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반도체 장치를 실장하는 인쇄회로기판으로서, 절연층, 상기 절연층에 형성된 패드, 일단부는 상기 패드에 안착되어 있으며, 타단부는 상기 반도체 장치와 결합되며 중심부가 돌출되게 형성된 포스트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이 제공된다.
상기 포스트의 타단부는 돌출된 곡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된 곡면형상은 반구형일 수 있다.
상기 포스트는 메탈 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스트를 결합시키는 솔더에서 기포를 제거하여 안정적인 포스트 결합을 할 수 있다.
또한, 포스트가 다른 포스트 또는 패드와 직접 닿도록 결합시킴으로써, 포스트 결합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포스트 결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100)는, 반도체 소자(110)와 반도 체 소자(110)에 형성된 패드(120) 및 포스트(130)를 포함한다.
반도체 소자(110)에는 인쇄회로기판(150)과의 결합을 위하여 포스트(130)를 지지하는 패드(120)가 형성된다. 이 때, 반도체 소자(110)에 형성된 패드(120)는 인쇄회로기판(150)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전극패드를 포함할 수 있고, 포스트(130)는 인쇄회로기판(1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탈 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포스트(130)는 패드(120)와 인쇄회로기판(150)을 연결하는 부분으로, 기둥형상의 포스트에서 일단부는 패드(120)에 안착되어 있으며 타단부(132)는 중심부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포스트의 타단부(132)는 반구형과 같은 돌출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솔더(160)가 재용융되어 반도체 장치(100)의 포스트(130)가 인쇄회로기판(150)에 결합될 때, 솔더(160) 내에서 발생된 기포(5)는 포스트(130)의 외측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 따라서, 포스트(130)를 결합시키는 솔더(160) 내부에 기포가 잔존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중심부가 돌출된 타단부(132)는 포스트(130)가 인쇄회로기판(150)의 포스트(155) 또는 패드와 직접 접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이에 따라, 포스트 결합에서 솔더만으로 연결된 취약부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포스트 결합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중심부가 돌출된 단부는 포스트는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200)은 반도체 장치(250)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200)으로서, 절연층(210)과 절연층에 형성된 패드(220) 및 포스트(230)를 포함한다.
인쇄회로기판(200)의 절연층(210)에는 반도체 장치(250)와의 결합을 위하여 포스트(230)를 지지하는 패드(220)가 형성된다. 이 때, 패드(220)는 반도체 장치(250)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전극패드를 포함할 수 있고, 포스트(230)는 반도체 장치(250)와의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탈 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포스트(230)는 패드(220)와 반도체 장치(250)를 연결하는 부분으로, 기둥형상의 포스트(230)에서 일단부는 패드(220)에 안착되어 있으며 타단부(232)는 중심부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포스트의 타단부(232)는 반구형과 같은 돌출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솔더(260)가 재용융되어 인쇄회로기판(200)의 포스트(230)가 반도체 장치(250)에 결합할 때, 솔더(260) 내에서 발생된 기포는 포스트(230)의 외측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 따라서, 포스트(230)를 결합시키는 솔더(260) 내부에 기포가 잔존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중심부가 돌출된 타단부(232)는 포스트(230)가 반도체 장치(250)의 포스트 또는 패드(255)와 직접 접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이에 따라, 포스트 결합에서 솔더만으로 연결된 취약부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포스트 결합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도 1 및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반도체 장치와 인쇄회로기판의 포스트 결합을 나타낸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포스트 결합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130, 155, 230: 포스트
30, 160, 260: 솔더
100: 반도체 장치
110, 250: 반도체 소자
120, 220, 255: 패드
150, 200: 인쇄회로기판

Claims (8)

  1. 반도체 소자;
    상기 반도체 소자에 형성된 패드; 및
    일단부는 상기 패드에 안착되어 있으며, 타단부는 중심부가 돌출되게 형성된 포스트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의 타단부는 돌출된 곡면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된 곡면형상은 반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는 메탈 포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5. 반도체 장치를 실장하는 인쇄회로기판으로서,
    절연층;
    상기 절연층에 형성된 패드;
    일단부는 상기 패드에 안착되어 있으며, 타단부는 상기 반도체 장치와 결합되며 중심부가 돌출되게 형성된 포스트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의 타단부는 돌출된 곡면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된 곡면형상은 반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는 메탈 포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KR1020090084205A 2009-09-07 2009-09-07 반도체 장치 및 이를 실장하는 인쇄회로기판 KR201100263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205A KR20110026344A (ko) 2009-09-07 2009-09-07 반도체 장치 및 이를 실장하는 인쇄회로기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205A KR20110026344A (ko) 2009-09-07 2009-09-07 반도체 장치 및 이를 실장하는 인쇄회로기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344A true KR20110026344A (ko) 2011-03-15

Family

ID=43933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4205A KR20110026344A (ko) 2009-09-07 2009-09-07 반도체 장치 및 이를 실장하는 인쇄회로기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263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8347A (ko) * 2012-01-31 2013-08-08 삼성전기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8347A (ko) * 2012-01-31 2013-08-08 삼성전기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2049527A (ja) 電子部品、および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2000357711A (ja) 半導体装置製造用治具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TW201212760A (en) Packaging part, electronic machine and packaging method
JP2008277525A (ja) ピン付き基板並びに配線基板および半導体装置
KR20120056916A (ko) 낮은 열팽창 계수를 갖는 인터포저의 연결구조 및 이를 채용한 패키지 부품
KR20110026344A (ko) 반도체 장치 및 이를 실장하는 인쇄회로기판
JP4952365B2 (ja) 両面実装回路基板に対する電子部品の実装構造、半導体装置、及び両面実装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10219180A (ja) 電子部品実装構造および電子部品実装方法ならびに基板接続用部品
JP2008141036A (ja) プリント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WO2011043102A1 (ja) 回路基板
JP2017050261A (ja) 光モジュールコネクタ及びプリント基板アセンブリ
JP5442192B2 (ja) 素子搭載用基板、半導体モジュール、および、素子搭載用基板の製造方法
JP2007049764A (ja) 表面実装型圧電発振器ユニット
JP4571012B2 (ja) 台座付水晶振動子
JP2002208765A (ja) 表面実装型電子部品
US20070089901A1 (en) Circuit board providing coplanarity of solders and high soldering reliability for semiconductor component
JP2006303086A (ja) 半導体装置
US6407928B1 (en) LED surface mount
JP2003187890A (ja) 電気接続端子
JP2007235388A (ja) 水晶発振器
JP2007165445A (ja) 電力増幅器モジュール
JP2001291820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085228A (ja) プリント配線板、プリント配線板を有する電子装置、および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JP2007018925A (ja) コネクタ装置、およびコネクタ装置を備えた回路板、並びに電子機器
JP2005317597A (ja) 配線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