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5295A - 양봉용 사양기 - Google Patents

양봉용 사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5295A
KR20110025295A KR1020090083288A KR20090083288A KR20110025295A KR 20110025295 A KR20110025295 A KR 20110025295A KR 1020090083288 A KR1020090083288 A KR 1020090083288A KR 20090083288 A KR20090083288 A KR 20090083288A KR 20110025295 A KR20110025295 A KR 20110025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eekeeping
cylinder
bee
parti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3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0622B1 (ko
Inventor
이기수
Original Assignee
이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수 filed Critical 이기수
Priority to KR1020090083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0622B1/ko
Publication of KR20110025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5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0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0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3/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b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봉에 사용되는 사양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가 비고 상부가 개방된 판 형태의 사양통 내부로, 사양통 내부의 전후를 가로질러 구획하는 구획판을 삽입하여, 사양통 전방으로만 내부로 벌이 출입할 수 있도록 상부를 개방하고, 상부가 막힌 후방을 통해 사양통 바닥으로 사양액을 공급하는 양봉용 사양기를 구성함으로써, 양봉용 사양기의 전방의 개방된 상부로 벌이 자유롭게 출입하면서, 사양통 바닥의 사양액을 채취할 수 있도록 하고, 구획판으로 사양통 내부 폭을 제한하여 벌이 출입하면서 사양액 채취 이외에 벌집을 짖는 등의 행위를 방지하며, 후방에서 공급되는 사양액은 벌에 의한 방해 없이 용이하게 공급되도록 한다.
양봉, 소초, 사양기, 사양액, 벌, 꿀

Description

양봉용 사양기 { breeding machine for beekeeping }
본 발명은 양봉에 사용되는 사양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가 빈 단순한 형태에 내부간격이 좁고, 바닥으로 사양액을 구비되는 양봉용 사양기를 구성함으로써, 소초와 함께 양봉 상자에 구비되어 양봉용 사양기 내부로 벌의 출입이 자유롭게 하면서 벌집을 짓는 것을 방지하고, 사양액 공급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사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벌을 양식해 꿀을 얻는 양봉은 양봉 상자 내 다수개의 소초에 벌들이 벌집을 짓게 하여 이 벌집에서 꿀을 얻는 것으로서, 월동기나 장마철이나 개화기 또는 겨울철 등과 같이 벌들이 꽃에서 꿀을 자연적으로 충분히 채취하지 못하는 시기에는 설탕물 등과 같은 사양액을 인위적으로 공급하여 부족한 양을 충당시키면서 양봉을 계속해 오고 있다.
이와 같이 양봉 상자 내에 소초와 함께 삽입되어 사용되는 통상의 사양기는, 보통 일반적인 통 형태를 가지고 그 내부로 사양액을 채워놓음으로써, 벌들이 사양기를 쉽게 출입하면서 사양액을 채취하도록 하였지만, 공간이 넓은 사양기 내부로 벌이 출입하면서 사양액에 익사하거나, 소초가 아닌 사양액이 충만한 사양기 내에서 벌들이 벌집을 짖는 경우가 자주 발생함으로써, 양봉효율이 떨어지고, 망가진 형태의 벌집을 제대로 수확할 수가 없으며, 사양액에 젖은 벌집에서 순도 높은 꿀을 채취하기 힘드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벌이 출입을 자유롭게 하여 사양액을 채취하면서, 내부에서 벌집을 지을 수 없도록 하고, 사양액의 공급을 원활하게 하는 양봉용 사양기를 구성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가 비고 상부가 개방된 판 형태의 사양통 내부로, 사양통 내부의 전후를 가로질러 구획하는 구획판을 삽입하여, 사양통 전방으로만 내부로 벌이 출입할 수 있도록 상부를 개방하고, 상부가 막힌 후방을 통해 사양통 바닥으로 사양액을 공급하는 양봉용 사양기를 구성한다.
이를 통해, 양봉용 사양기의 전방의 개방된 상부로 벌이 자유롭게 출입하면서, 사양통 바닥의 사양액을 채취할 수 있도록 하고, 구획판으로 사양통 내부 폭을 제한하여 벌이 출입하면서 사양액 채취 이외에 벌집을 짖는 등의 행위를 방지하며, 후방에서 공급되는 사양액은 벌에 의한 방해 없이 용이하게 공급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양봉에 사용되는 사양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가 빈 단순한 형태에 내부간격이 좁고, 바닥으로 사양액을 구비되는 양봉용 사양기를 구성함으로써, 소초와 함께 양봉 상자에 구비되어 양봉용 사양기 내부로 벌의 출입이 자유롭게 하면서 벌집을 짓는 것을 방지하고, 사양액 공급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사양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해 대략 설명하면, 내부가 비고 상부가 개방된 판 형태의 사양통 내부로, 사양통 내부의 전후를 가로질러 구획하는 구획판을 삽입하여, 사양통 전방으로만 내부로 벌이 출입할 수 있도록 상부를 개방하고, 상부가 막힌 후방을 통해 사양통 바닥으로 사양액을 공급하는 양봉용 사양기를 구성함으로써, 양봉용 사양기의 전방의 개방된 상부로 벌이 자유롭게 출입하면서, 사양통 바닥의 사양액을 채취할 수 있도록 하고, 구획판으로 사양통 내부 폭을 제한하여 벌이 출입하면서 사양액 채취 이외에 벌집을 짖는 등의 행위를 방지하며, 후방에서 공급되는 사양액은 벌에 의한 방해 없이 용이하게 공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인 양봉용 사양기를 각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양봉용 사양기(100)는 일반적으로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크 기의 양봉 상자(300) 내로 판 형태의 소초(200)와 함께 평행하게 걸림·구비시켜 사용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양봉용 사양기(100)는 크게 사양통(110)과 사양통(110)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판(120)으로 구성되는데, 이들 각 구성요소를 더욱 자세하게 살펴보면, 우선, 사양통(110)은, 도1 내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폭으로 내부가 비고 상부가 개방된 두꺼운 판 형태를 가짐으로써, 전체적으로 전방으로 위치하는 전면판(111)과 배면으로 위치하는 배면판(112)이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구비되면서 그 사이로 공간을 형성하는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도2 또는 도4 또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사양통(110)의 내부로는 후에 구획판(120)을 삽입하는 가이드홈(113)과 구획판(120)을 안착시키는 안착턱(114)을 형성하는데, 즉, 사양통(110) 내부에서 전면판(111)과 배면판(112) 사이 양측의 내부면 중앙으로 전면판(111) 및 배면판(112)에 평행하게 홈이 파인 가이드홈(113)을 바닥까지 형성하고, 가이드홈(113)을 형성한 양측면 상부가 전면판(111)과 배면판(112) 사이에서 소폭 홈이 파여 단턱을 형성하는 안착턱(114)을 형성함으로써, 후에 이 가이드홈(113)이 삽입되는 구획판(120)을 안내·고정해 사양통(110) 내부를 반으로 갈라 구획하면서 안착턱(114)에 안착하여 걸림·고정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한 사양통(110)의 전면판(111)과 배면판(112) 전면으로는 관통된 체결공(115)(116)을 다수개 형성하여 후에 체결공(115)(116)에 체결볼트(130)를 관통시켜 내부의 구획판(120)과 체결·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배면판(112) 일측으로는 일정크기로 관통된 공급공(117)을 형성하여, 사양액을 투입하는 공급호스(400)를 공급공(117)에 끼움·고정해 사양통(110) 내부로 사양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사양통(110) 내부로 구비되는 구획판(120)은 도2 내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양통(110) 내부로 삽입되는 판 형태로서, 사양통(110) 내부에서 양측이 가이드홈(113)에 끼움되는 너비에 삽입 시 사양통(110) 하부 일측까지 위치하는 높이를 가지고, 구획판(120)의 상부 양측으로는 사양통(110)의 안착턱(114)에 안착하여 걸리도록 돌출된 걸림 손잡이(121)를 구비하며, 구획판(120) 상부 걸림 손잡이(121) 사이로는 구획판(120)과 배면판(112) 사이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막는 마개부(122)를 돌출하여 형성한다.
이때, 상기 구획판(120)을 사양통(110) 내로 삽입하여 안착 시, 구획판(120)의 최하단부와 사양통(110) 바닥이 약 2mm 내지 3mm의 간격을 가지도록 구획판(120)의 길이를 형성함으로써,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양통(110) 배면판(112)의 공급공(117)을 통해 공급되는 사양액이 사양통(110) 바닥에서 구획판(120) 양측으로 함께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구획판(120)을 사양통(110) 내로 삽입하여 안착 시, 사양통(110)의 전 면판(111)과 구획판(120) 사이는 4mm 내지 7mm의 간격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벌이 한 마리씩 자유롭게 들어와 사양액을 채취하면서도 벌집을 지을 여유공간은 없어 사양통(110) 내에서 벌집을 짓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도2 내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획판(120)의 전면 및 배면으로는 사양통(110)의 전면판(111)과 배면판(112) 전면으로 관통된 각 체결공(115)(116)에 대응하는 위치로 전면판(111)과 배면판(112)에 밀착하도록 돌출한 체결체(123)를 형성함으로써, 전면판(111)과 배면판(112)의 각 체결공(115)(116)을 관통한 체결볼트(130)를 체결체(123)에 밀착하여 긴밀하게 체결·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사양통(110)과 구획판(120)은, 도2 내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획판(120) 양측을 사양통(110)의 가이드홈(113) 내로 끼워 사양통(110) 내부로 구획판(120)을 삽입해 구획판(120)의 걸림 손잡이(121)를 사양통(110)의 안착턱(114)에 안착시켜 걸림·고정한 다음, 전면판(111)과 배면판(112)의 체결공(115)(116)으로 체결볼트(130)를 관통시켜 체결체(123)에 체결·고정함으로써,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양통(110) 내부가 구획판(120)에 의해 구획된 일체형의 양봉용 사양기(100)를 구성하게 된다.
이렇게 구성된 양봉용 사양기(100)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소초(200)를 구비한 양봉 상자(300) 내에 함께 구비되는데, 걸림 손잡이(121)를 양봉 상자(300) 상부로 걸림·고정시켜 구비한 다음, 도4 또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양통(110) 배면판(112)의 공급공(117)을 통해 사양통(110) 내부로 공급호스(400)를 연결하는 방법으로 설치된다.
설치된 양봉용 사양기(100)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호스(400)로부터 사양액을 내부로 공급받으며, 구획판(120)에 의해 구획된 사양통(110) 내부는 바닥부분이 구획판(120)과 약 2mm 내지 3mm의 간격을 가져, 공급되는 사양액이 양측 바닥에 전체적으로 일정깊이로 공급되고, 벌은 양봉용 사양기(100)의 상부 전방으로 개방된 공간을 통해 전면판(111)과 구획판(120) 사이의 공간으로 자유롭게 출입하면서 바닥의 사양액을 채취해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양봉용 사양기(100)를 통해 벌이 사양액을 채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양통(110) 내부가 구획판(120)으로 구획되어 전면판(111)과 구획판(120) 사이가 4mm 내지 7mm의 간격을 가지고, 구획판(120)과 배면판(112) 사이의 개방된 상부는 마개부(122)로 막아, 벌이 전면판(111)과 구획판(120) 사이의 공간으로만 자유롭게 출입하면서 사양액을 채취할 수 있어, 사양액의 채취 이외에 벌집을 짓는 등의 일은 할 수 없도록 하고, 사양액이 공급되는 공급호스(400) 측으로 벌의 접근을 막아 사양액의 공급을 방해 없이 원활히 하며, 사양통(110) 내부 바닥과 구획판(120) 하단 사이의 공간으로 벌이 이동할 수 없는 소폭의 간격을 통해 사 양액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게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양봉용 사양기(100)는, 전방 내부로 벌이 자유롭게 출입하면서 사양통(110) 바닥의 사양액을 용이하고 자유롭게 채취할 수 있도록 하면서, 구획판(120)으로 사양통(110) 내부의 폭을 제한하여 벌의 출입 이외에 사양통(110) 내부에서 벌집을 짓는 등의 행위를 할 수 없도록 하고, 사양액이 공급되는 공급공(117) 측과 벌이 출입하는 공간을 구획판(120) 및 마개부(122)로 막아 분리하여 벌에 의한 방해 없이 사양액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양봉 상자(300) 내에 설치된 양봉용 사양기(100)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벌이 출입하는 전면판(111) 측으로만 다수개의 소초(200)를 구비하여 벌이 출입하면서 사양액을 채취하여 소초(200)에 벌집을 짓게 하도록 해야하는데, 만약 전면판(111)과 마개부(122) 및 배면판(112)으로 이어지는 양봉용 사양기(100)의 상부면이 평평하게 형성된다면, 사양액을 채취하여 나온 벌이 소초(200) 측이 아니라 배면판(112) 측으로 넘어가면서 양봉용 사양기(100) 배면으로 덧집을 짓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양봉용 사양기(100)에서 사양액을 채취한 벌이 배면 쪽으로 넘어가지 않고 전면으로만 출입하도록 턱을 형성해주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서는, 먼저, 도1 또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양통(110)의 전면판(111) 상부면을 따라 홈이 파인 안내홈(118)을 형성하며, 도1 내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획판(120)의 마개부(122) 상부면 역시 전면판(111)의 안내홈(118)과 배면판(112) 상부 사이의 높이로 위치하도록 홈이 파여 형성됨으로써,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봉용 사양기(100)의 상부가 최하단의 안내홈(118)에서부터 마개부(122)와 배면판(112) 상부로 갈수록 점차 높아져 이중으로 턱이 생기도록 형성한다.
이를 통해, 양봉용 사양기(100) 내부로 출입하여 사양액을 채취한 벌이 외부로 나올 때, 높이 단턱이 형성된 마개부(122) 및 배면판(112) 상부가 아니라 낮게 홈이 파인 안내홈(118) 측을 통해 전방으로 나오면서 소초(200) 측으로 이동해, 양봉용 사양기(100) 배면으로 덧집을 짓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복합적으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사양기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사양기의 조립 전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사양기의 조립 배면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사양기의 단면도.
도5는 도4의 A-A′부분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사양기의 설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양봉용 사양기 110: 사양통 111: 전면판
112: 배면판 113: 가이드홈 114: 안착턱
115,116: 체결공 117: 공급공 118: 안내홈
120: 구획판 121: 걸림 손잡이 122: 마개부
123: 체결부 130: 체결볼트 200: 소초
300: 양봉 상자 400: 공급호스

Claims (6)

  1. 양봉 상자(300) 내에서 소초(200)와 함께 구비되는 사양기에 있어서,
    내부가 비고 상부가 개방된 판 형태를 가져, 전면으로 위치하는 전면판(111)과 배면으로 위치하는 배면판(112) 사이 내부로 공간을 형성하며, 배면판(112) 일측으로는 관통된 공급공(117)을 형성하는 사양통(110)에;
    사양통(110) 내부로 전면판(111)과 배면판(112)에 평행하게 삽입·연결되어 사양통(110) 내부를 하부 일측까지 구획하는 판 형태에, 배면판(112) 사이와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막는 마개부(122)를 형성한 구획판(120)을 연결한 양봉용 사양기(100)를 구성함으로써,
    공급공(117)에 끼운 공급호스(400)가 사양통(110) 내부 바닥으로 공급하는 사양액을 벌이 출입하면서 채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사양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봉용 사양기(100)는,
    사양통(110)의 전면판(111)과 구획판(120) 사이가 4mm 내지 7mm의 간격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벌이 자유롭게 출입하되, 벌집을 짓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사양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양봉용 사양기(100)는,
    구획판(120) 최하단부와 사양통(110) 바닥이 2mm 내지 3mm의 간격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구획된 내부로 벌의 이동을 막고, 바닥으로 사양액 공급을 원활히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사양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봉용 사양기(100)는,
    사양통(110)의 전면판(111) 상부면으로 홈이 파인 안내홈(118)을 형성하고;
    구획판(120)의 마개부(122) 상부면이 전면판(111)의 안내홈(118)과 배면판(112) 상부 사이의 높이로 위치하도록 홈이 파여 형성됨으로써,
    상부면에 이중의 턱을 형성해 배면으로 덧집 짓는 것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사양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봉용 사양기(100)는,
    사양통(110)의 내부 양측면 중앙으로 전면판(111) 및 배면판(112)에 평행하게 홈이 파인 가이드홈(113)을 형성하고;
    가이드홈(113)을 형성한 양측면 상부가 전면판(111)과 배면판(112) 사이에서 단턱을 형성하는 안착턱(114)을 형성하며;
    구획판(120) 상부 양측으로는 상기 안착턱(114)에 안착하여 걸리도록 돌출된 걸림 손잡이(121)를 구비함으로써,
    가이드홈(113)에 구획판(120) 양측을 삽입하면서 안내·고정하면서, 안착턱(114)에 안착하여 걸림·고정한 걸림 손잡이(121)를 양봉 상자(300) 상부로 걸림·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사양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양봉용 사양기(100)는,
    사양통(110)의 전면판(111)과 배면판(112) 전면으로 관통된 체결공(115)(116)을 다수개 형성하고;
    구획판(120)의 전면 및 배면으로는 상기 각 체결공(115)(116)에 대응하는 위치로 전면판(111)과 배면판(112)에 밀착하도록 돌출한 체결체(123)를 형성하여;
    전면판(111)과 배면판(112)의 체결공(115)(116)을 관통한 체결볼트(130)를 체결체(123)에 체결·고정함으로써,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사양기.
KR1020090083288A 2009-09-04 2009-09-04 양봉용 사양기 KR101090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288A KR101090622B1 (ko) 2009-09-04 2009-09-04 양봉용 사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288A KR101090622B1 (ko) 2009-09-04 2009-09-04 양봉용 사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5295A true KR20110025295A (ko) 2011-03-10
KR101090622B1 KR101090622B1 (ko) 2011-12-08

Family

ID=43932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3288A KR101090622B1 (ko) 2009-09-04 2009-09-04 양봉용 사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062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583B1 (ko) * 2016-06-24 2017-04-03 배주민 꿀벌사양기 제조방법
CN107410097A (zh) * 2017-04-28 2017-12-01 昆明理工大学 一种隔板式蜂巢
KR20180001417A (ko) * 2016-12-12 2018-01-04 배주민 꿀벌사양기의 파라핀 코팅장치
KR20210097431A (ko) 2020-01-30 2021-08-09 이재만 양봉장치
CN114051956A (zh) * 2021-11-26 2022-02-18 张家界知蜂谷生态蜂业有限责任公司 一种蜜蜂养殖用越冬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9228B1 (ko) 2017-01-26 2017-12-15 오옥남 양봉 콘테이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657Y1 (ko) 2003-08-05 2003-10-30 장봉환 최신 꿀벌먹이통
KR200369756Y1 (ko) 2004-09-25 2004-12-09 (주)야생양봉원 양봉용 사양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583B1 (ko) * 2016-06-24 2017-04-03 배주민 꿀벌사양기 제조방법
KR20180001417A (ko) * 2016-12-12 2018-01-04 배주민 꿀벌사양기의 파라핀 코팅장치
KR101880144B1 (ko) * 2016-12-12 2018-07-19 배주민 꿀벌사양기의 파라핀 코팅장치
CN107410097A (zh) * 2017-04-28 2017-12-01 昆明理工大学 一种隔板式蜂巢
CN107410097B (zh) * 2017-04-28 2023-03-31 昆明理工大学 一种隔板式蜂巢
KR20210097431A (ko) 2020-01-30 2021-08-09 이재만 양봉장치
CN114051956A (zh) * 2021-11-26 2022-02-18 张家界知蜂谷生态蜂业有限责任公司 一种蜜蜂养殖用越冬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0622B1 (ko) 201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0622B1 (ko) 양봉용 사양기
EP2478764B1 (en) Langstroth modification
US20100203802A1 (en) Plastic beehive
US20200120902A1 (en) Bee comb and beehive using same
EP1844651B1 (en) Confining structure to confine the queen bee of a colony of bees within a beehive
KR102044366B1 (ko) 양봉용 여왕벌의 조립식 격리 산란통
KR20170001893U (ko) 벌통용 소문
KR200492616Y1 (ko) 클립을 갖는 양봉용 사양기
KR101027461B1 (ko) 화분통을 구비한 양봉용 사양기
KR101532316B1 (ko) 벌 안내판, 벌통 및 벌통 조립체
KR101928265B1 (ko) 헛집 짖기 방지 기능을 갖는 양봉용 사양기
KR101027462B1 (ko) 다목적 양봉용 수평 사양기
KR200383073Y1 (ko) 다용도 수평 격왕판
KR102024104B1 (ko) 벌통 시스템
KR200433173Y1 (ko) 양봉용 사양기
KR20210002535U (ko)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
AU2013101747A6 (en) Storage Devices for Bees
KR200301907Y1 (ko) 바닥서랍식 사양기가 구비된 벌통바닥받침틀
RO128080A2 (ro) Stup multifuncţional cu protecţie împotriva varozei
KR20210097431A (ko) 양봉장치
KR100928620B1 (ko) 꿀벌 사양기
KR102476577B1 (ko) 자동사양기가 양측에 설치된 사양격리판
KR200490070Y1 (ko) 격리판을 갖는 여왕벌 보관상자
KR20140047755A (ko) 분봉열 억제가 가능한 소상
KR102008434B1 (ko) 여왕벌을 공유하기 위한 양봉용 벌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