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070Y1 - 격리판을 갖는 여왕벌 보관상자 - Google Patents

격리판을 갖는 여왕벌 보관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070Y1
KR200490070Y1 KR2020190001173U KR20190001173U KR200490070Y1 KR 200490070 Y1 KR200490070 Y1 KR 200490070Y1 KR 2020190001173 U KR2020190001173 U KR 2020190001173U KR 20190001173 U KR20190001173 U KR 20190001173U KR 200490070 Y1 KR200490070 Y1 KR 2004900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or
beehive
specification machine
cover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1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진
Original Assignee
김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진 filed Critical 김광진
Priority to KR20201900011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0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0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0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frames for honeycom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9/00Rearing-boxes; Queen transporting or introducing cages

Abstract

여왕벌을 격리하여 개체별 관리가 용이한 벌통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에 적재공간이 형성된 벌통몸체(10); 상기 벌통몸체(10)에 병렬로 다수 삽입되는 사양기(40); 상기 사양기(40)와 사양기(40) 사이에 병렬로 슬라이딩(Sliding)되어 결합되고 그 전면에 개구부가 없는 제1 격리판(210); 상기 사양기(40)와 사양기(40) 사이에 병렬로 슬라이딩 되어 결합되고 전면의 그 하부에서 상부방향을 따라 개구부가 형성된 제2 격리판(220); 상기 벌통몸체(10)의 상방에 조립되며 저장된 꿀을 보호하는 덮개(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 격리판(210)은 상기 사양기(40)와 사양기(40) 사이에 병렬로 다수 슬라이딩 되어 삽입되고, 상단 양 끝단에 'T'자 형상을 직각 회전한 모양으로 체결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격리판 고정홈(111)과 결합되고, 그 전면은 하부에서 상부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격자선을 중심으로 다수개의 양각문양이 더 형성되며, 그 전면에 개구부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원활한 격리성 향상과 벌통내부의 자유로운 구간분리를 가능케하고, 상기 제2 격리판(220)은 상기 사양기(40)와 사양기(40) 사이에 병렬로 다수 슬라이딩(Sliding) 되어 삽입되고, 상단 양 끝단에 'T'자 형상의 체결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격리판 고정홈(111)과 끼워맞춤 공차로 결합되고, 그 전면은 하부에서 상부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격자선을 중심으로 다수개의 양각문양과 개구부가 더 형성된 것을 격리판을 갖는 여왕벌 보관상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격리판을 갖는 여왕벌 보관상자{Queen bee of hive with Separators mesh}
본 고안은 격리판을 갖는 여왕벌 보관상자에 관한 것으로, 벌통몸체 내부에 사양기가 설치되고, 각 사양기 사이에 제1, 2 격리판이 설치되어 여왕벌과 일벌이 이동할 수 있으며, 이때 각 사양기에 인입된 여왕벌은 다른 사양기로 인입되지 않도록 하는 격리판을 갖는 여왕벌 보관상자에 관한 것이다.
양봉이라 함은 벌꿀, 화분, 로열젤리, 봉교(프로폴리스), 밀랍 등을 얻기 위하여 벌들을 인위적으로 생육하는것을 말하며, 벌을 이용하여 자연에 존재하는 꽃에서 꿀과 화분을 얻는 것과, 봉독, 왕대, 왕유(로열젤리) 등 벌 자체에서 얻을 수 있는 생산물을 얻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벌을 이용하여 딸기, 참외, 수박, 토마토, 가지 등 타 농업의 수확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화분 매개용 개념까지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양봉은 양봉용 벌통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며, 벌통은 나무 또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바디를 포함하며, 바디에 구성된 소문을 통해 벌통의 내외부로 벌이 드나들 수 있도록 하여, 벌이 바디의 내부에 집을 지어서 저장한 왕유, 벌꿀, 화분, 밀랍 등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양봉시에 필요한 '양봉용 꿀벌 상자'는 일반적으로 내부에는 꿀을 채집할 수 있도록 다수의 소비가 설치되어 있고, 이 다수의 소비가 장착된 벌통에는 한 마리의 여왕벌과 다수의 일벌이 서식하게 된다.
이 때 아카시아 꽃 등이 개화된 후로부터 일벌은 소비에 꿀을 저장하고 여왕벌은 소비에 산란을 한다. 이에 따라 한정된 다수의 소비공간에 유충산란과 꿀저장이 동시에 이뤄지고, 그 소비의 수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유충이 증가하는 만큼 꿀보관량은 감소하게 된다. 채밀 시기가 오면 소비에 저장된 꿀과 유충 모두를 채밀기계에 넣어 원심분리하여 꿀을 채집한다 이 때 유충도 함께 가공되어 폐사됨에 따라 그 유충의 개체유지와 꿀 생산량에 문제가 있어왔다.
또한, 일벌은 꿀을 찾아 비행하고 채취하며 소비에 꿀을 저장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는데 이 때, 아카시아 꽃이 빨리 지게되므로 이러한 과정을 단기간에 반복하게 되면 일벌의 체력소모가 과중되어 노후된다. 이처럼 그 일벌의 수명은 단축되어 왔고 이에 따른 그 노후된 노동력을 충원하기 위한 여왕벌의 일벌 생산에 그 문제가 있어왔다.
한편, 여왕벌은 한정된 소비공간에 다수개의 유충을 산란하며 일벌은 그 유충에게 먹이를 급여한다. 이때 로열제리를 급여받은 유충들은 여왕벌이 되고 일반 꿀을 먹고자란 유충은 일벌이 되는데, 가장 먼저 부화한 로열제리를 먹고자란 유충은 본이외의 타유충들이 본인의 생존에 위협이 되는것을 체감하고 여왕벌이 될 유충들을 모두 제거한다. 이에 따라 여왕벌은 개체수가 급감해왔고 그 여왕벌들의 분리 방법에 문제가 발생되어 왔다. 그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제2001-0021651호에는 벌통에서의 여왕벌 격리장치가 제시되어 있으나 그 밀폐성이 다소 부족하고 사양용액의 배급이 불가능하다는 점에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01-0021651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제 1목적은, 외부사양기와 격리판을 각각 효과적으로 삽입하기 위한 벌통몸체에 관한 것으로, 그 결합부가 최적화된 간격을 가진 지점에 각각 고정홈이 형성되어 외부사양기와 격리판이 효과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격리판을 갖는 여왕벌 보관상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제2목적은, 제1 목적에서 벌들의 이동을 분류별로 할수있게 하는 제1 격리판과 제2 격리판에 관한 것으로, 그 격리판은 하부에서 상부방향을 따라 형성된 일정한 간격의 격자선을 중심으로 다수개의 개구부를 두고 그 개구부의 크기와 유무에 따라 출입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리판의 양 사이드(Side) 상단 끝에 체결부가 형성됨으로서, 벌통몸체의 격리판 고정홈과, 격리판의 체결부가 각각상하로 슬라이딩 결합되고, 결합되어진 그 격리판의 상단높이가 함께 조립되는 외부사양기의 상단높이 보다 일정수준 높게 형성되었기 때문에 덮개부와 결합 되었을 때, 격리판의 상단부로 그 하중이 집중되어 단일동작 만으로 밀폐력 높은 벌통이 형성될 수 있게 한 격리판을 갖는 여왕벌 보관상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제3목적은, 제1 목적에서 타 벌통들과 적층하였을 때 호환성이 높으며 일벌만 통과할 수 있도록 그 개구부가 형성된 덮개에 관한 것으로, 상기 덮개는 하부 부터 상부를 따른 그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는 일벌만 출입할 수 있는 크기로 그 출입 자격을 제한한다. 또한, 그 양 사이드(Side)는 모서리면으로부터 일정부분을 제외한 나머지에 길이방향으로 측면개구부가 형성되고, 그 상기 측면개구부의 중앙상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구간 손잡이가 형성되어 덮개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며, 상기 손잡이는 외부벌통을 좌우로 적층하였을 때 다수로 적층된 외부벌통들과 충돌하지 않도록 그 상기 덮개의 상단테두리와 동일한 선상에 정렬 되도록한다. 또한, 상기 덮개는 4개의 모서리면으로부터 각각 일정구간을 두고 상방으로 돌출되어 보강대역활을 하는 모서리보강대가 형성되있고, 그 모서리 보강대는 외부벌통을 상하로 적층시 그 덮개의 상단과 외부벌통의 하단과 결합되고, 그 덮개의 바닥면은 길이방향으로 격자분할하는 지점의 사이사이에 사양기고정보강대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벌통내부에 조립되는 사양기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격리판을 갖는 여왕벌 보관상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제4목적은, 제1 목적에서 여왕벌을 효과적으로 격리하는 사양기에 관한 것으로, 내측에 적재공간이 형성된 육면체의 사양기몸체와, 상기 사양기에 병렬로 다수 십입되어 구성되는 벌망과, 상기 사양기의 내부에 서식하는 여왕벌들의 격리를 가능케 하는 사양기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사양기의 앞면과 배면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그 크기에 제한을 두어 출입자격을 제한 한다. 또한 상기 사양기에 조립되어지는 벌망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다수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벌망을 길이방향으로 분할하는 분할선의 그 하단선에 형성된 장홈은 상기 각 사양기의 지지플레이트와 결합될 수 있게하고, 상기 사양기 몸체의 내부 바닥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지지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각 벌망의 장홈과 교차되게 결합되며, 각각의 구성이 안정적인 밀납형성을 할 수 있도록 한 격리판을 갖는 여왕벌 보관상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여왕벌을 격리하여 개체별 관리가 용이한 벌통을 구성하기 위하여,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에 적재공간이 형성된 벌통몸체; 상기 벌통몸체에 병렬로 다수 삽입되는 사양기; 상기 사양기와 사양기 사이에 병렬로 슬라이딩(Sliding)되어 결합되고 그 전면이 밀폐된 제1 격리판; 상기 사양기와 사양기 사이에 병렬로 슬라이딩 되어 결합되고 그 하부에서 상부방향을 따라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제2 격리판; 상기 벌통몸체의 상방에 조립되며 저장된 꿀을 보호하는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 격리판은 상단 양 끝단에 'T'자 형상의 체결돌기인 벌통체결부가 형성되고 벌통몸체의 상단 양측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개의 분할선에 격리판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벌통체결부와 격리판 고정홈은 상호 결합되고, 상기 제2 격리판은 상단 양 끝단에 'T'자 형상의 체결돌기인 벌통체결부가 형성되고 벌통몸체의 상단 양측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개의 분할선에 격리판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벌통체결부와 격리판 고정홈은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 고안은, 외부사양기와 격리판을 각각 효과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벌통몸체에 관한 것으로, 그 결합부가 사양기와 격리판이 조밀한 간격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최적화된 지점에 각각의 고정홈이 형성되어 생산성 높은 벌통을 형성함에 그 효과가 있다.
제 2고안은, 제1 고안에서 개체를 분류별로 격리하기 위한 제1 격리판과 제2 격리판에 관한 것으로, 그 격리판은 하부에서 상부방향을 따른 그 전면에 다수개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는 그 크기와 유무에 따라 여왕벌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3 고안은, 제1 고안에서 단일동작 만으로 격리성높은 벌통을 형성하기 위한 격리판에 관한 것으로, 그 격리판은 그 양 사이드(Side) 테두리의 상단 끝에 체결부가 형성되어 벌통몸체의 격리판 고정홈과, 격리판의 체결부가 상하로 슬라이딩 결합되고, 결합되어진 그 격리판의 상단높이가 함께 조립되는 외부사양기의 상단높이 보다 일정수준 높게 설계되었기 때문에 덮개부와 결합 할 때 높이가 다소 높게 형성된 격리판의 상단부로 그 하중이 집중되어 단일동작 만으로 밀폐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제4 고안은, 제1 고안에서 타 벌통들과 적층하였을 때 호환성이 높으며 일벌만 통과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그 덮개에 관한 것으로, 상기 덮개는 그 하부에서 상부방향을 따른 전면에 일벌만 출입할 수 있도록 설계된 다수개의 개구부가 더 형성되고, 그 양 사이드(Side)는 모서리면 으로부터 일정 부분을 제외하고 길이방향으로 측면개구부가 더 형성되고, 그 상기 사이드(Side)개구부의 중앙상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구간 손잡이가 형성되어 덮개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손잡이는 외부벌통을 좌우로 적층하였을 때 다수로 적층된 외부벌통들과 충돌하지 않도록 그 상기 덮개의 상단테두리와 동일한 선상에 정렬 되도록하고, 상기 덮개의 상단은 4개의 모서리면으로부터 각각 일정구간을 두고 상방으로 돌출되어 보강대역활을 하는 모서리보강대가 형성되있고, 그 모서리 보강대는 외부벌통을 상하로 적층시 그 덮개의 상단과 외부벌통의 하단과 결합되고, 그 덮개의 바닥면은 길이방향으로 격자분할하는 지점의 사이사이에 사양기고정보강대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벌통내부에 조립되는 외부사양기를 고정하고, 상기 덮개의 하단보강대와 외부사양기의 상단이 결합됨 으로서 생기는 덮개와 벌통 상단 사이의 틈새로 벌들의 이동공간이 형성되어 벌꿀 생산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제5 고안은, 제1 고안에서 밀폐력 높은 사양기로 내측에 적재공간이 형성된 육면체의 사양기와, 상기 사양기에 병렬로 다수 삽입되어 구성되는 벌망과, 상기 사양기 상단에 조립되어 밀폐력을 향상시키는 사양기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사양기 전면의 상단부는 일벌만 이동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각 벌망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다수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벌망을 길이방향으로 분할하는 분할선에 형성된 장홈은 상기 각 사양기의 지지플레이트와 결합될 수 있게하고, 상기 사양기 몸체의 내부 바닥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지지플레이트가 형성되어 상기 각 벌망의 장홈과 교차되게 결합되며 각각의 구성이 안정적인 밀납형성을 가능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여왕벌을 보관하는 벌 보관상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사양기와 격리판과 덮개를 각각 분리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사양기와 격리판과 덮개를 각각 분리한 측저면도,
도 4는 도 2에서 단면처리된 사양기와 덮개를 분리한 분해단면도,
도 5는 도 2에서 제1 격리판 만을 발췌한 확대사시도,
도 6은 도 2에서 제2 격리판 만을 발췌한 확대사시도,
도 7은 도 2에서 단면 처리된 사양기의 저면사시도,
도 8은 도 2에서 단면 처리된 사양기 분해단면도,
이하의 본 고안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고안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고안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고안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고안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여왕벌을 보관하는 벌 보관상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사양기와 격리판과 덮개를 각각 분리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사양기와 격리판과 덮개를 각각 분리한 저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단면처리된 사양기와 덮개를 분리한 분해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에서 제1 격리판 만을 발췌한 확대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에서 제2 격리판 만을 발췌한 확대사시도이며, 도 7은 도 2에서 단면 처리된 사양기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2에서 단면 처리된 사양기 분해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벌통에 내장된 사양기(40)를 유동됨 없이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더불어 조립된 각각의 사양기(40)를 사용하여 여왕벌의 격리를 가능하게 하며, 더불어 덮개(30)를 벌통몸체(10)에 조립하는 단 한번의 동작만으로 격리성과 관리가 용이한 여왕벌을 격리하는 벌 보관상자(10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격리판을 갖는 여왕벌 보관상자(100)는 크게 5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에 적재공간이 형성된 벌통몸체(10);와, 상기 벌통몸체(10)에 병렬로 삽입되는 사양기(40);와, 상기 사양기(40)와 사양기(40) 사이에 병렬로 슬라이딩(Sliding)되어 결합되고 전면이 밀폐된 제1 격리판(210);과, 상기 사양기(40)와 사양기(40) 사이에 병렬로 슬라이딩 되어 결합되고 전면의 그 하부에서 상부방향을 따라 개구부가 형성된 제2 격리판(220);과, 마지막으로, 상기 벌통몸체(10)의 상방에 조립되며 저장된 꿀을 보호하는 덮개(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벌통몸체(10)는 내부에 사양기(40)와 격리판(20)등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방으로 개방된 육면체 형상의 벌통몸체(10)로 구성되며, 상기 벌통몸체(10)의 바닥면은 그 테두리를 따라 보강대 형상으로 돌출된 바닥보강대가 형성되어 상기 벌통몸체(10)의 하중이 바닥보강대로 집중되어 안전성있는 벌통의 보관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벌통몸체(10)의 앞면, 뒷면, 바닥면은 각각 하단부로 부터 상단부를 따른 그 전면에 형성된 일정한 격자형상의 분할선 위에 다수개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그 개구부는 일벌만 통과할 수 있도록 그 크기를 제한하여 여왕벌의 관리와 외부 말벌등의 침입을 예방 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상방향으로 개방되어진 벌통몸체(10)의 그 상단 테두리를 따라 앞면, 뒷면, 좌우면으로 일정길이 돌출된 몸체고정턱(120)이 형성되며, 그 몸체고정턱(120)은 사용자가 벌통을 이동시킬 때 원활한 이동을 돕는 손잡이 역활을 한다. 또한, 상기 몸체고정턱(120)의 상단에는 덮개(30)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다수의 고정홈이 형성되는데 그 홈은 덮개(30)와 헐거운 끼워맞춤 공차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용이한 탈착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벌통몸체(10)상단 테두리의 그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분할선을 중심으로 사양기 고정홈(110)과 격리판 고정홈(111)이 형성되며, 이에 각각 대응되는 사양기(40)와 격리판(20)이 슬라이딩(Sliding) 조립되고, 각각은 그 하부를 따른 상부까지의 전면을 보강한다. 또한, 상기 격리판 고정홈(111)을 길이방향으로 2분할하는 그 중앙홈은 억지끼워맞춤 공차로 설계되어 격리판의 유동성을 배제하고 안정적인 여왕벌의 격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벌통몸체(10)는 안정감있는 벌보관과, 제한된 규격을 가진 개구부로 인한 외부개체의 방어, 그리고 최적화된 사양기와 격리판의 간격으로 인한 벌꿀 생산력 향상 등 그 구성에 의한 기능과 효과에 특징이 있다.
상기 사양기(40)는 상단면의 양 끝단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벌통몸체(10)의 단턱에 걸칠 수 있도록 거치대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사양기(40)는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다수의 보강대가 육면체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사양기(40)의 내부는 길이방향으로 양 끝단의 측면에 상방으로 돌출된 가이드 레일(4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벌망(420)의 최대 갯수에 따라 그 갯수 역시 달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양기(40)의 지지플레이트(411)는 사양기(40)내측 바닥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높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단에는 상기 각 벌망(420)의 전/후 유동을 방지하고 최적화된 간격유지와 벌망(420)을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스토퍼홈(412)이 더 형성되고, 이러한 상기 스토퍼홈(412)역시 벌망(420)에 1:1대응하는 것으로, 벌망(420)의 갯수에 비례한다. 아울러 벌망(420) 은 상기 사양기(40)에 병렬로 다수 조립되는 것으로, 이러한 상기 각 벌망(420)은, 사양기(40)내면의 양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413)과 슬라이딩(Sliding) 결합되고, 그 가이드레일(413)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으로 형성된 분할선의 그 하단에 장홈(421) 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벌망(420)은 상기 사양기(40)에 병렬로 다수 조립되는 것으로, 이러한 상기 각 벌망(420)의 양 사이드(Side)는 사양기(40)내면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413)과 슬라이딩(Sliding) 결합되며, 상기 각 벌망(420)을 길이방향으로 분할하는 분할선 위에 형성된 장홈(421)은 각각 대응되는 사양기(40)내면의 스토퍼홈(412)과 결합되며, 상기 그 스토퍼홈(412)은 사양기(40)내면을 길이방향으로 분할하는 다수의 분할선에 형성된 지지플레이트(411)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사양기(40)에 슬라이딩(Sliding)결합되는 구조물들은 그 이동하는 위치값을 일정하게 하여 안정적인 벌 보관을 가능하게 하며, 그 갯수는 각각 비례할 수 있고 상황에 따라 가변적으로 조립될 수 있다.
아울러 사양기 캡(430) 은 다수의 벌망(420) 을 사양기(40)에 삽입시킬 때 상기 각 벌망(420)의 정렬과 밀폐력 높은 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겸한다.
이에 따라, 사양기(40)의 개구부와 사양기 캡(430)등 그 구성으로 말미암은 '1사양기 1여왕벌' 효과에 그 특징이 있다.
상기 제1 격리판(210)은 상기 사양기(40)와 사양기(40) 사이에 병렬로 다수 슬라이딩(Sliding)되어 삽입되고, 상기 격리판(210)의 그 앞면과 뒷면은 여왕벌과 일벌이 통행할 수 없는 밀폐형 이기 때문에 여왕벌의 분리를 원활하게 하고, 상단 양 끝단은 'T'자 형상을 직각회전한 모양으로 체결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격리판 고정홈(111)과 상하로 슬라이딩(Sliding)되어 삽입되고, 'T'자 형상의 그 하단부는 격리판 고정홈(111)과 끼워맞춤 공차를 사용하여 슬라이딩(Sliding)결합되는데 이는 보다 안정적인 고정을 가능케하며, 'T'자 형상의 그 상단부는 벌통몸체(10)와 슬라이딩(Sliding)결합되어 격리판(20) 탈착시 좌우로 이탈하지 않게 하며 벌통몸체(10)에 조립되어진 사양기의 유동성을 보완한다. 이처럼, 상기 격리판은 특화된 공차와 체결부를 사용하여 보다 안정적인 고정을 가능하게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상기 제2 격리판(220)은 상기 사양기(40)와 사양기(40)사이에 병렬로 다수 슬라이딩(Sliding)되어 삽입되고, 상기 격리판(220)의 그 앞면과 뒷면에는 하부에서 상부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개구부는 여왕벌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해 그 크기를 일벌의 크기에 맞춰 제작한다. 또한, 상단 양 끝단은 'T'자 형상을 직각회전한 모양으로 체결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격리판 고정홈(111)에 상하로 슬라이딩(Sliding)되어 삽입되고, 'T'자 형상의 그 하단부는 격리판 고정홈(111)과 끼워맞춤 공차를 사용하여 슬라이딩(Sliding)결합되는데 이는 보다 안정적인 고정을 가능하게 하며, 'T'자 형상의 그 상단부는 벌통몸체(10)와 슬라이딩(Sliding)결합됨 으로서 벌통몸체(10)에 조립되어진 격리판(20)과 사양기(40)의 유동성을 보완한다. 이처럼, 상기 각 체결부는 끼워맞춤 공차를 사용하여 보다 안정적인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격리판(20)들은 벌통몸체(10)에 조립되었을 때, 조립되어진 그 격리판(20)의 상단 높이가 함께 조립되어진 사양기(40)의 상단높이 보다 높기 때문에, 덮개(30)와 결합시 상단높이가 비교적 높은 격리판(20)의 상단부로 그 하중이 집중되며 밀폐력있는 벌통을 형성한다. 이처럼, 벌통몸체(10)의 상단에 덮개(30)를 조립하는 단일 동작만으로 밀폐력 높은 벌통을 형성하는데 그 특징이 있으며 상기 격리판(20)과 사양기(40)는 벌통몸체(10)에 조립되는 갯수와 그 종류가 상황에 따라 가변적 일 수 있다.
상기 덮개(30)의 전면은 하부에서 상부방향을 따라 일벌만 출입할 수 있도록 설계된 다수개의 개구부가 더 형성되고, 양 끝단에는 모서리면 으로부터 일정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측면개구부(321)는 길이방향을 따라 손잡이(320)가 형성되어 덮개(30)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며, 상기 손잡이(320)는 외부벌통을 좌우로 적층하였을 때, 다수로 적층된 외부벌통들과 충돌하지 않도록 그 상기 덮개(30)의 상단테두리와 동일한 선상에 정렬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덮개(30)는 네 개의 모서리면 으로부터 각각 일정구간을 두고 상방으로 돌출되어 보강대역활을 하는 모서리보강대(310)가 형성되어 외부벌통을 상하로 적층하였을 때 그 덮개(30)의 상단과 외부 벌통의 하단과 결합된다. 또한, 상기 덮개(30)는 고영양 영양제인 '화분떡'의 받침대 역활을 한다. 또한, 상기 덮개(30)의 바닥면은 길이방향으로 격자분할하는 지점의 사이사이에 사양기고정보강대(311)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벌통몸체(10)내부에 조립되는 사양기(40)를 고정하고, 그 갯수는 사양기(40)의 갯수와 비례할 수 있으며 내구성 증가와 호환성을 특징으로 하는 벌통을 형성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벌통몸체 110: 사양기 고정홈 111: 격리판 고정홈
120: 몸체고정턱
20: 격리판 210: 제1 격리판 211: 벌통체결부
220: 제2 격리판
30: 덮개 310: 모서리보강대 311: 사양기고정보강대
320: 손잡이 321: 측면개구부
40: 사양기 410: 사양기몸체 411: 지지플레이트
413: 가이드레일 412: 스토퍼홈
420: 벌망 421: 장홈
430: 사양기 캡
100: 격리판을 갖는 여왕벌 보관상자

Claims (3)

  1. 여왕벌을 격리하여 개체별 관리가 용이한 격리판을 갖는 여왕벌 보관상자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에 적재공간이 형성된 벌통몸체(10);
    상기 벌통몸체(10)에 병렬로 다수 삽입되는 사양기(40);
    상기 사양기(40)와 사양기(40) 사이에 병렬로 슬라이딩(Sliding)되어 결합되고 그 전면이 밀폐된 제1 격리판(210);
    상기 사양기(40)와 사양기(40) 사이에 병렬로 슬라이딩 되어 결합되고 전면의 그 하부에서 상부방향을 따라 개구부가 형성된 제2 격리판(220);
    상기 벌통몸체(10)의 상방에 조립되며 저장된 꿀을 보호하는 덮개(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 격리판(210)은 상단 양 끝단에 'T'자 형상의 체결돌기인 벌통체결부(211)가 형성되고 벌통몸체(10)의 상단 양측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개의 분할선에 격리판 고정홈(111)이 형성되며, 상기 벌통체결부(211)와 격리판 고정홈(111)은 상호 결합되고,
    상단 양 끝단에 'T'자 형상의 체결돌기인 벌통체결부(211)가 형성되고 벌통몸체(10)의 상단 양측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개의 분할선에 격리판 고정홈(111)이 형성되며, 상기 벌통체결부(211)와 격리판 고정홈(111)은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격리판(220);
    상기 덮개(30)의 양 사이드(Side)는 모서리면으로부터 일정부분을 제외한 나머지에 길이방향으로 측면개구부(321)가 형성되고, 상기 그 측면개구부(321)의 중앙상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구간 손잡이(320)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320)는 외부벌통을 좌우로 적층하였을 때 다수로 적층된 외부벌통들과 충돌하지 않도록 그 상기 덮개(30)의 상단테두리와 동일한 선상에 정렬 되도록하고, 상기 덮개(30)는 네 개의 모서리면 으로부터 각각 일정구간을 두고 상방으로 돌출되어 보강대 역활을 하는 모서리보강대(310)가 형성되있고, 그 모서리 보강대는 외부벌통을 상하로 적층시 그 덮개(30)의 상단과 외부벌통의 하단과 결합되고, 그 덮개(30)의 바닥면은 길이방향으로 격자분할하는 지점의 사이사이에 사양기고정보강대(311)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벌통몸체(10)내부에 조립되는 사양기(40)를 고정하고, 사양기(40)와 사양기고정보강대(311)가 상호 대응 되어지도록 형성 됨으로서 덮개(30)는 사양기(40)를 고정하고, 이에 따라 덮개(30)와 벌통몸체(10)의 사이 간격에 벌들의 이동구간이 형성되고,
    상기 사양기(40)는 내측에 적재공간이 형성된 육면체의 사양기몸체(410)와, 상기 사양기몸체(410)에 병렬로 다수 삽입되어지되, 상호 조밀한 간격으로 구성되는 벌망(420)과, 상기 사양기몸체(10)의 상단에 끼워맞춤 공차로 조립되는 사양기 캡(4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사양기몸체(410)의 내부 바닥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지지플레이트(411)와 그 상단에 스토퍼홈(412)이 형성되며, 각 벌망(420)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다수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벌망(420)을 길이방향으로 등분할하는 분할선의 그 하단부에 장홈(421)이 형성되고, 상기 각 벌망(420)의 장홈(421)은, 사양기몸체(410)내부 하단에 형성되고 지지플레이트(411)의 상단에 위치한 스토퍼홈(412)과 교차되게 결합되는 구성을 지닌 격리판을 갖는 여왕벌 보관상자(100);
  2. 삭제
  3. 삭제
KR2020190001173U 2019-03-21 2019-03-21 격리판을 갖는 여왕벌 보관상자 KR2004900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173U KR200490070Y1 (ko) 2019-03-21 2019-03-21 격리판을 갖는 여왕벌 보관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173U KR200490070Y1 (ko) 2019-03-21 2019-03-21 격리판을 갖는 여왕벌 보관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070Y1 true KR200490070Y1 (ko) 2019-09-20

Family

ID=68066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173U KR200490070Y1 (ko) 2019-03-21 2019-03-21 격리판을 갖는 여왕벌 보관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070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1651A (ko) 1997-07-11 2001-03-15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가변 레이트 cdma 통신 시스템에서의 레이트 검출
KR101927824B1 (ko) * 2017-06-15 2018-12-11 이혜수 다목적 벌통
KR20190000407U (ko) * 2017-08-04 2019-02-13 여주양봉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벌꿀의 채집이 용이한 계상형 벌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1651A (ko) 1997-07-11 2001-03-15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가변 레이트 cdma 통신 시스템에서의 레이트 검출
KR101927824B1 (ko) * 2017-06-15 2018-12-11 이혜수 다목적 벌통
KR20190000407U (ko) * 2017-08-04 2019-02-13 여주양봉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벌꿀의 채집이 용이한 계상형 벌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27745A1 (en) Beehive system
KR102125495B1 (ko)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
US4981458A (en) Combination queen rearing nucleus and comb honey hive
CN107047377B (zh) 可改善蜜蜂环境的蜂箱
WO2012011881A2 (en) A beehive base and roof for standard beehive body
KR20120015682A (ko) 1군으로 2왕벌을 키우는 벌통
KR200490070Y1 (ko) 격리판을 갖는 여왕벌 보관상자
WO2016087883A1 (en) Multihive
KR101464461B1 (ko) 벌집꿀 채집을 위한 한봉식 벌통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서양꿀벌 양봉 방법
KR101498420B1 (ko) 유도 격왕틀, 유도틀 및 이를 이용한 벌집꿀 채집용 벌통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양봉 방법
KR20170053978A (ko) 탈착식 꿀벌 교미벌통
KR200287083Y1 (ko) 계상형 벌통
RU159830U1 (ru) Улей-универсал
CN2288579Y (zh) 养蜂多用器
KR101055256B1 (ko) 수벌생산용 소초광
AU2013101747A4 (en) Storage Devices for Bees
RO128080B1 (ro) Stup multifuncţional cu protecţie împotriva varozei
KR102008434B1 (ko) 여왕벌을 공유하기 위한 양봉용 벌통
KR102044366B1 (ko) 양봉용 여왕벌의 조립식 격리 산란통
KR200301907Y1 (ko) 바닥서랍식 사양기가 구비된 벌통바닥받침틀
KR20190142052A (ko) 1군 2 왕벌 생육을 위한 벌통 식별 기능을 갖는 벌통 출입구용 구획장치
KR20210145645A (ko) 자동사양기가 양측에 설치된 사양격리판
KR20140047755A (ko) 분봉열 억제가 가능한 소상
CN215270079U (zh) 一种便捷综合性功能蜂王交尾箱
CN212232674U (zh) 一种蜜蜂养殖用循环组合式巢框及蜂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