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4379A - 데크플레이트부재의 반전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데크플레이트부재의 반전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4379A
KR20110024379A KR1020090082358A KR20090082358A KR20110024379A KR 20110024379 A KR20110024379 A KR 20110024379A KR 1020090082358 A KR1020090082358 A KR 1020090082358A KR 20090082358 A KR20090082358 A KR 20090082358A KR 20110024379 A KR20110024379 A KR 20110024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unit
deck plate
fixed
plat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2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2122B1 (ko
Inventor
김기술
Original Assignee
김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술 filed Critical 김기술
Priority to KR1020090082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2122B1/ko
Publication of KR20110024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4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2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2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65G47/248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over or inverting th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2Individual load-carriers
    • B65G17/326Clamps, constituted by articulated chain li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0Turntables carrying articles or materials to be transferred, e.g. combined with ploughs or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65G47/8807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with one stop
    • B65G47/8861Stop in the form of a clamp on one or both sides of the art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재의 플레이트 위에 고정되는 트러스거더와 래티스재로 구성되는 트러스거더 데크플레이트에 있어서, 트러스거더 데크플레이트의 양 측단부에 보조지지대를 용접 고정하기 위한 용접장치에 부가적으로 구비되는 트러스거더 데크플레이트의 자동 반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이송레일을 통해 이송되는 트러스거더 데크플레이트를 용접하기 편한 상태로 상하를 뒤집어 다음의 단계로 전달하도록 하는 데크플레이트부재의 반전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길게 연장되는 장방형의 데스크프레임(2) 사이에 구동모터(3)에 의해 동시에 회전하도록 이송롤러(4)를 장착하여 구성한 이송부(1); 와,
상기 데스크프레임(2)의 상면부로 이송되는 데크플레이트부재(F)를 양측에서 파지하도록 각각 제1클램프(11)와 제2클램프(12) 및 이들을 전후진 작동시키는 제1클램프실린더(13)와 제2클램프실린더(14)와, 이들이 장착 고정되는 클램프베이스(15)로 구성된 클램프유니트부(10); 와,
상기 클램프유니트부(10)를 구성하는 클램프베이스(15) 일측에 회동아암(21)을 고정하고, 이 회동아암(21)을 고정한 회동축(22) 및 이 회동축(22)을 정/역 회동시키기 위한 체인수프라켓(23)과 체인(24) 및 이 체인(24)과 연결된 정역모터(25)로 구성된 클램프유니트 회동부(20); 와,
상기 클램프베이스(15)의 회동으로 상하위치가 반전되어 회동하는 데크플레이트부재(F)가 낙하 될 때의 충격 및 소음을 억제하기 위한 받침판(31)과, 이 받침 판(31)에 탄성을 부여하기 위한 수단으로 코일스프링(32)과, 받침판(31)의 회동을 감지하는 센서스위치(34)를 장착하여 구성한 받침부(30); 와,
상기 받침판(31)의 회동을 감지하여 정역모터(25)의 회동방향과 회동폭을 설정하여 회동축(22)의 회동을 조절하는 회전각조절부(40); 와,
상기 받침부(30)가 설치되고, 용접을 하기 위한 용접장치가 구비된 용접베이스부(50); 로 구성하여서 된 데크플레이트부재 반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Figure P1020090082358
데크플레이트부재, 데스크프레임, 클램프유니트부, 클램프베이스, 트러스거더, 회동아암, 용접베이스부

Description

데크플레이트부재의 반전이송장치{Reversal of the deck plate transfer device}
본 발명은 금속재의 플레이트 위에 고정되는 트러스거더와 래티스재로 구성되는 데크플레이트에 있어서, 트러스거더의 양 측단부에 보조지지대를 용접 고정하기 위한 용접장치에 부가적으로 구비되는 데크플레이트의 자동 반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이송레일을 통해 이송되는 데크플레이트를 용접하기 편한 상태로 상하를 뒤집어 다음의 단계로 전달하도록 하는 데크플레이트부재의 반전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구조물의 대다수는 철근 콘크리트를 양생하여 시공된다.
이러한 철근 콘크리트를 이용한 건축물은 압축재 인 콘크리트와 인장재 인 철근이 복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거푸집을 가설한 후 철근을 종횡으로 배근하고, 그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이 완료되면 거푸집을 해체하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진행함으로써 건설된다.
이러한 거푸집은 합판과 기둥체를 이용하여 설치되게 되며, 철근의 배근작업이 완료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한 후 거푸집을 제거하는 것으로, 많은 작업 시간을 소비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거푸집을 구성하는 패널에 미리 철근을 용접하여 배근한 후, 이를 보와 보 사이에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도록 함으로서, 패널을 제거하지 않도록 하는 수단이 제안되었고, 이러한 제안에 의해 사용되는 철근이 배근 된 패널을 데크플레이트라 하며, 이 데크플레이트를 대량생산하여 일반 건설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다.
상기한 데크플레이트는, 판상의 플레이트 상면에 세 개의 철근을 길이방향으로 배열하여 삼각형을 이루도록 고정구로 고정하고, 이 세 개의 철근 사이에 파형으로 절곡 된 래티스재를 양측으로 용접하여 구성한 트러스거더를 금속재의 플레이트에 고정구로 고정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데크플레이트는, 양측단에 보강을 위한 보조지지대를 용접하여 완성하게 되는데, 플레이트에 트러스거더가 고정된 상태의 반완성품이 이송레일을 통해 이송되고, 이송된 반가공상태의 데크플레이트의 양단부에 보조지지대를 수동의 용접수단으로 용접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한 데크플레이트는 철골구조물이므로 상당한 중량을 가지는 것으로, 종래의 용접수단은 단순하게 수작업을 통해 이동시키고, 이동된 트러스거더의 양단부에 보조지지대를 용접하였다.
이때, 고전압의 스포트 용접을 통하여 보조지지대를 트러스거더에 용접하게 되는데, 용접을 위한 용접작업대에 트러스거더가 장착된 데크플레이트를 일일이 작업자가 수동으로 운반하기가 어려웠고, 운반 후 작업대에 올려놓을 때 심한 충돌소음과 충격이 데크플레이트에 전달되어 부분적으로 데크플레이트에 고정된 트러스거더의 고정상태가 풀리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아울러 수작업을 통한 데크플레이트의 운반으로 작업효율이 저하됨은 당연하게 발생하는 단점이다.
본 발명은 데크플레이트에 트러스거더가 부착된 상태에서 이송롤러를 통해 공급되는 데크플레이트의 양단부에 보강지지대를 안정적으로 용접하기 위한 용접장치에 부가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이송되는 데크플레이트를 상하가 반전된 상태로 하여 용접장치로 공급하는 반전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트러스거더를 상하가 바뀐 상태로 반전시켜 작업대에 안착할 때 충격을 받지않고, 충돌소음이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송레일을 통해 공급되는 데크플레이트를 클램프로 파지하고, 이 클램프를 회전시킴으로써 데크플레이트의 상하 위치를 반전시켜 공급하도록 하는 구성을 통하여 데크플레이트를 안정적으로 반전시켜 이송하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며, 데크플레이트를 반전시킬 때 충격이나 충돌소음이 발생치 않도록 하는 제반 목적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클램프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부재의 자동반전이송치는, 클램프를 이용하여 데크플레이트를 견고하게 파지하도록 한 후, 상하를 반전시키도록 함으로써 반전시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반전되어 이송되는 데크플레이트를 충격이나 충격소음이 발생치 않고 다음의 공정을 위한 용접베이스에 안착시킴으로써 데크플레이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작업장의 각종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특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특징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반전이송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장치를 설명하기에 앞서 플레이트에 트러스거더가 장착된 반가공상태의 데크플레이트를 이하에서는 데크플레이트부재로 통칭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데스크프레임의 일측에서 공급되는 데크플레이트부재를 말단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롤러와 이송롤러와 구동모터로 구성된 이송부;와,
이송된 데크플레이트부재를 양측에서 파지하여 고정하도록 제1클램프와 제2클램프 및 이들이 장착된 클램프베이스로 구성된 다수의 클램프유니트부;와,
제1클램프와 제2클램프에 의해 데크플레이트부재를 고정하고 있는 클램프베이스를 회동시켜 상하를 반전하도록 하는 회동아암과, 이 회동아암을 회동작동시키기 위한 체인과 체인수프라켓 및 정역모터로 구성된 클램프유니트회동부;와,
회동 된 데크플레이트부재를 충격소음이나 진동 없이 전달받도록 고정축으로 고정된 받침판과, 이 받침판에 탄성을 부여하기 위한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받침부; 와,
상기 받침부가 장착되고, 용접장치가 구비된 용접베이스부; 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은, 데스크프레임으로 공급되는 데크플레이트부재는 구동모터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이송롤러에 의해 데스크프레임의 일측 끝까지 이송된다.
데스크프레임의 끝까지 이송된 데크플레이트부재는 정지하게 되고, 이어서 클램프유니트부가 작동하여 데크플레이트부재를 파지 및 고정하고, 이어서 정역모터가 작동하여 클램프유니트부를 구성하는 클램프를 하나의 축을 기점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하위치를 반전시키는 것이다.
데크플레이트부재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하위치가 반전되면서 용접을 위한 용접베이스부로 이송되어 상기 데크플레이트부재에 장착된 삼각형상의 트러스거더 양끝을 용접하여 고정하는 용접작업이 진행되는 것이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기초로 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평면개략도이고, 도 2는 정면에서 본 상태의 정면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부 확대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클램프유니트부의 구성을 나타낸 상세도이다.
길게 연장되는 장방형의 데스크프레임(2) 사이에 구동모터(3)에 의해 동시에 회전하도록 이송롤러(4)를 장착하여 구성한 이송부(1); 와,
상기 데스크프레임(2)의 상면부로 이송되는 데크플레이트부재(F)를 양측에서 파지하도록 각각 제1클램프(11)와 제2클램프(12) 및 이들을 전후진 작동시키는 제1클램프실린더(13)와 제2클램프실린더(14)와, 이들이 장착 고정되는 클램프베이스(15)로 구성된 클램프유니트부(10); 와,
상기 클램프유니트부(10)를 구성하는 클램프베이스(15) 일측에 회동아암(21)을 고정하고, 이 회동아암(21)을 고정한 회동축(22) 및 이 회동축(22)을 정/역 회동시키기 위한 체인수프라켓(23)과 체인(24) 및 이 체인(24)과 연결된 정역모터(25)로 구성된 클램프유니트 회동부(20); 와,
상기 클램프베이스(15)의 회동으로 상하위치가 반전되어 회동하는 데크플레이트부재(F)가 낙하 될 때의 충격 및 소음을 억제하기 위한 받침판(31)과, 이 받침판(31)에 탄성을 부여하기 위한 수단으로 코일스프링(32)과, 받침판(31)의 회동을 감지하는 센서스위치(34)를 장착하여 구성한 받침부(30); 와,
상기 받침판(31)의 회동을 감지하여 정역모터(25)의 회동방향과 회동폭을 설정하여 회동축(22)의 회동을 조절하는 감지센서(41)를 구비한 회전각조절부(40); 와,
상기 받침부(30)가 설치되고, 용접을 하기 위한 용접장치가 구비된 용접베이스부(50); 로 구성하여서 된 데크플레이트부재 반전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데스크프레임(2)의 전체길이는 완성된 데크플레이트부재(F)가 적어도 3개 정도가 진입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도록 하며, 이 데스크프레임(2)에 일정한 간 격을 이격하여 다수의 클램프유니트부(10)를 장착하여 하나의 정역모터(25)에 의해 작동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클램프유니트부(10)는, 데스크프레임(2)의 전방부에 장착되는 회동축(22)에 고정된다.
상기 클램프유니트부(10)는, 클램프베이스(15)의 상면 일측으로 상부에 제1클램프(11)를 장착하는데, 이 제1클램프(11)는 제1클램프실린더(13)의 제1로드(13')에 고정하여 슬라이드 작동하도록 하며, 상기 제1클램프(11)의 양끝에는 슬라이드작동을 원활히 하도록 고정부쉬(16)를 장착하여 작동로드(17)를 결합하고, 이 작동로드(17)의 일단은 상기 제1클램프(11)와 고정하여 구성하며,
상기 제2클램프(12)는, 클램프베이스(15)의 저면부에 다수의 고정부쉬(16)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장착하고, 클램프베이스(15)의 저면 일측으로 편향된 지점에 제2클램프실린더(14)를 고정하고, 이 제2클램프실린더(14)의 제2로드(14')에 한 쌍의 작동로드(17)를 연결하여 상기 고정부쉬(16)를 관통하여 슬라이드 작동하도록 한다.
상기 작동로드(17)의 말단에는 클램프고정대(18)를 고정하여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며, 이 클램프고정대(18)의 상단에는 제2클램프(12)를 고정하여 구성한다.
상기 클램프베이스(15)를 회동시키는 클램프유니트 회동부(20)는, 상기 클램프베이스(15)의 일측에 상측으로 연장 절곡 된 회동아암(21)을 고정하며, 이 회동아암(21)의 절곡부 끝에는 회동축(22)과 결합하여 키(22')로 고정한다.
상기 회동축(22)에는 체인수프라켓(23)을 고정하여 체인(24)으로 정역모터(25)와 연결하여, 이 정역모터(25)의 작동에 따라 회동축(22)의 정/역회전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데크플레이트부재(F)의 상하의 위치가 반전된 상태로 용접베이스부(50)에 전달하여 트러스거더(f)의 양 끝단에 보조지지대(f')를 용접하게 되는데,
상기 클램프유니트회동부(20)에 의해 회동하면서 전달되는 데크플레이트부재(F)를 충격과 소음을 억제하기 위한 받침부(30)가 상기 용접베이스부(50)의 전방부에 구비된다.
상기 받침부(30)는, 전달된 데크플레이트부재(F)를 받기 위한 받침판(31)을 고정축(33)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하고, 이 받침판(31)의 일측에 코일스프링(32)의 일단을 고정하며, 이 코일스프링(32)의 다른 끝은 용접베이스부(50)에 고정하여 구성하며, 상기 받침판(31)의 끝 부분 근접한 위치에 센서스위치(34)를 상기 용접베이스부(50)에 장착하여, 회동하는 받침판(31)의 회동 상태를 감지하여 정역모터(25)의 정역회전 구동을 결정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받침판(31)은 일측에 고정된 코일스프링(32)에 의해 고정축(33)을 중심으로 회동 된 상태가 유지되며, 이 받침판(31)이 코일스프링(32)에 의해 최대한 회동 된 상태에서는 용접베이스부(50)에 고정된 센서스위치(34)와 밀착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30)는, 압축실린더(36)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베이스부(50)의 일측에 장착되는 받침판(31')을 회동가능하게 고정축(33')으로 고정하되, 이 고정축(33')은 받침판(31')의 측단부에 고정된 연장프레임(37)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받침판(31')의 중앙부 하단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압축실린더(36)와 연결하며, 이 압축실린더(36)는 센서스위치(34')가 받침판(31')의 접근을 감지하여 작동하도록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압축실린더(36)의 하단은 압축실린더(36)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고정핀(38)으로 용접베이스부(50)에서 연장된 받침대(51)에 고정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회전각조절부(40)는, 회동축(22)의 회동방향과 회동폭을 감지하여 정역모터(25)의 회동방향과 회동폭을 제어하게 되는데, 회동축(22)의 하단에 감지센서(41)를 장착하고, 이 감지센서(41)가 회동축(22)의 회동폭과 정역회전을 결정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데크플레이트부재(F)를 이송부(1)를 구성하는 이송롤러(3) 위에 올려놓고 구동모우터(3)를 가동하면, 데크플레이트부재(F)는 이동을 하여 데스크프레임(2)의 끝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 데크플레이트부재(F)가 데스크프레임(2)의 끝에 도달하면 구동모터(3)의 작동은 정지되고, 이어서 클램프유니트부(10)가 작동을 시작한다.
클램프유니트부(10)를 구성하는 제1클램프(11)와 제2클램프(12)가 장착된 제2클램프실린더(13)와 제2클램프실린더(14)가 작동하여 제1로드(13')와 제2로드(14')가 전진하게 되고, 이와 연결된 제1클램프(11)와 제2클램프(12)가 전진하여 데크플레이트부재(F)의 트러스거더(f) 측면부를 양측에서 밀면서 파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클램프(11)와 제2클램프(12)에 의해 데크플레이트부재(F)가 클램프베이스(15)에 고정되면, 정역모터(25)가 구동하여 체인(24)에 감긴 체인수프라켓(23)을 회전시켜 회동축(22)을 회동시킨다.
상기 회동축(22)이 회동함에 따라 회동축(22)에 키(22')로 고정한 회동아암(21)이 회동하여 클램프유니트부(10)를 회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회동아암(21)이 회동하면, 클램프베이스(15)가 회동축(22)을 중심으로 회동을 하고, 이에 의해 제1클램프(11)와 제2클램프(12)에 고정된 데크플레이트부재(F)를 회동시켜 용접베이스부(50)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클램프베이스(15)가 회동하여 용접베이스부(5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클램프베이스(15)에 고정된 데크플레이트부재(F)의 상단이 받침판(31)에 밀착되면서 서서히 하강을 하게 된다.
즉, 고정축(33)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받침판(31)은 일측에 장착된 코일스프링(32)에 의해 상기 받침판(31)의 후단을 당겨주게 되고, 선단은 상측으로 회동 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회동 된 받침판(31)의 선단에 데크플레이트부재(F)가 밀착되면서 서 서히 회동하게 되고, 받침판(31)이 수평상태로 되면, 받침판(31)의 하부에 설치된 센서스위치(34)가 수평상태를 감지하여 클램프유니트회동부(20)를 구성하는 정역모터(25)를 정지시킨다.
정역모터(25)의 구동이 정지되면 클램프베이스(15)를 회전시키는 회동축(22)이 정지하게 되어 클램프베이스(15)의 회동이 정지된다.
이어서 클램프베이스(15)에 장착된 제1클램프실린더(13)와 제2클램프실린더(14)를 구동하여 제1로드(11')와 제2로드(12')를 후진시켜 주고, 이에 의해 제1클램프(11)와 제2클램프(12)가 후진하여 데크플레이트부재(F)를 파지하고 있는 상태를 해제하여 데크플레이트부재(F)를 받침판(31)에 인계한다.
이후 작업자는 용접장치를 이용해 데크플레이트부재(F)의 트러스거더(f) 양 측단에 보조지지대(f')를 용접하는 것이다.
상기한 수단으로 데크플레이트부재(F)를 상하가 반전된 상태로 이송한 후, 작업자가 데크플레이트부재(F)를 이동시키게 됨에 따라 받침판(31)에 가해진 압력이 해제되면, 받침판(31)은 코일스프링(32)의 탄성에 의해 후단이 당겨지고, 선단은 다시 상측으로 상승한 상태로 된다.
이어서 받침판(31)이 누르고 있던 센서스위치(32)를 작동하여 정역모터(25)를 역회전으로 구동하여 회동축(22)을 역회전시켜준다.
상기 회동축(22)이 역회전을 하게 되면, 이 회동축(22)에 고정된 클램프베이스(15)가 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된다.
상기 회동축(22)의 말단부에는 회전각조절부(40)가 구비되어 있는바, 회전각 조절부(40)를 구성하는 감지센서(41)가 회동축(22)의 회동각을 감지하여 정역모터(25)와 구동모터(3)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도록 한다.
즉, 상기한 회전각조절부(40)는 정역모터(25)와 구동모터(3)의 작동주기와 회전방향을 결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31)에 탄성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코일스프링(32)이 제시되었으나, 압축실린더를 이용한 탄성 수단이 대안으로 적용될 수 있다.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31')의 일측 선단을 고정축(33')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받침판(31')의 중앙부에 압축실린더(36)에서 연장된 피스톤로드(36')를 회동가능하게 장착하여, 승강하는 피스톤로드(36')에 의해 상기 받침판(31')이 서서히 승강 작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탄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압축실린더(36)의 작동은 센서스위치(34')에 의해 제어토록 한다.
상기한 압축실린더(36)에 의한 탄성 수단은, 받침판(31')의 상부에 클램프베이스(15)에 고정된 데크플레이트부재(F)가 밀착되면, 압축실린더(36)에서 연장된 피스톤로드(36')가 서서히 밀려 압축실린더(36)의 내부로 진입하게 되고, 이러한 압축실린더(36)의 작용으로 받침판(31')이 서서히 하강하여 소음이나 충격이 감소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정면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부 확대도
도 4 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클램프유니트부의 확대 정면도
도 4 b는 본 발명에 적용된느 클램프유니트부의 확대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 확대도
도 6은 클램프유니트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송부 2 : 데스크프레임
3 : 구동모터 4 : 이송롤러
10 : 클램프유니트부 11 : 제1클램프
12 : 제2클램프 13 : 제1클램프실린더
14 : 제2클램프실린더 15 : 클램프베이스
20 : 클램프유니트 회동부 21 : 회동아암
22 : 회동축 23 : 체인스푸라켓
25 : 정역모터 30 : 받침부
31 : 받침판 32 : 코일스프링
33 : 고정축 50 : 용접베이스부

Claims (2)

  1. 길게 연장되는 장방형의 데스크프레임(2) 사이에 구동모터(3)에 의해 동시에 회전하도록 이송롤러(4)를 장착하여 구성한 이송부(1); 와,
    상기 데스크프레임(2)의 상면부로 이송되는 데크플레이트부재(F)를 양측에서 파지하도록 각각 제1클램프(11)와 제2클램프(12) 및 이들을 전후진 작동시키는 제1클램프실린더(13)와 제2클램프실린더(14)와, 이들이 장착 고정되는 클램프베이스(15)로 구성된 클램프유니트부(10); 와,
    상기 클램프유니트부(10)를 구성하는 클램프베이스(15) 일측에 회동아암(21)을 고정하고, 이 회동아암(21)을 고정한 회동축(22) 및 이 회동축(22)을 정/역 회동시키기 위한 체인수프라켓(23)과 체인(24) 및 이 체인(24)과 연결된 정역모터(25)로 구성된 클램프유니트 회동부(20); 와,
    상기 클램프베이스(15)의 회동으로 상하위치가 반전되어 회동하는 데크플레이트부재(F)가 낙하 될 때의 충격 및 소음을 억제하기 위한 받침판(31)과, 이 받침판(31)에 탄성을 부여하기 위한 수단으로 코일스프링(32)과, 받침판(31)의 회동을 감지하는 센서스위치(34)를 장착하여 구성한 받침부(30); 와,
    상기 받침판(31)의 회동을 감지하여 정역모터(25)의 회동방향과 회동폭을 감지하여 회동축(22)의 회동을 조절하는 감지센서(41)를 구비한 회전각조절부(40); 와,
    상기 받침부(30)가 설치되고, 용접을 하기 위한 용접장치가 구비된 용접베이 스부(50); 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부재 반전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30)는, 용접베이스부(50)의 일측에 장착되는 받침판(31')의 선단을 회동가능하게 고정축(33')으로 고정하되, 이 고정축(33')은 받침판(31')의 측단부에 고정된 연장프레임(37)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받침판(31')의 중앙부 하단에 압축실린더(36)의 피스톤로드(36')와 연결하고, 이 압축실린더(36)는 센서스위치(34')에 의해 받침판(31')의 접근을 감지하여 작동제어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부재 반전이송장치.
KR1020090082358A 2009-09-02 2009-09-02 데크플레이트부재의 반전이송장치 KR101072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358A KR101072122B1 (ko) 2009-09-02 2009-09-02 데크플레이트부재의 반전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358A KR101072122B1 (ko) 2009-09-02 2009-09-02 데크플레이트부재의 반전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379A true KR20110024379A (ko) 2011-03-09
KR101072122B1 KR101072122B1 (ko) 2011-10-10

Family

ID=43932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2358A KR101072122B1 (ko) 2009-09-02 2009-09-02 데크플레이트부재의 반전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21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81030A (zh) * 2017-08-24 2017-11-24 广东利元亨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长条形物料中转设备
CN115123795A (zh) * 2022-06-30 2022-09-30 江苏豪凯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地板加工的翻板机
KR102489630B1 (ko) * 2022-06-02 2023-01-18 동양전자공업(주) 모터코어의 코일 자동용접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0436B1 (ko) 2021-11-23 2022-04-25 주식회사 율곡 오토로더 반전장치
KR102536454B1 (ko) 2022-10-21 2023-05-26 이재환 진공단열재 반전 이송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90486B2 (ja) 1997-06-30 2007-03-07 アスカ株式会社 建築構造体におけるスラブ用デッキ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200378285Y1 (ko) 2004-12-16 2005-03-11 (주)대하강업 플레이트 결합 및 적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81030A (zh) * 2017-08-24 2017-11-24 广东利元亨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长条形物料中转设备
KR102489630B1 (ko) * 2022-06-02 2023-01-18 동양전자공업(주) 모터코어의 코일 자동용접 장치
CN115123795A (zh) * 2022-06-30 2022-09-30 江苏豪凯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地板加工的翻板机
CN115123795B (zh) * 2022-06-30 2024-04-19 江苏豪凯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地板加工的翻板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2122B1 (ko) 2011-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2122B1 (ko) 데크플레이트부재의 반전이송장치
JP2019039170A (ja) 自走式鉄筋結束機
KR101094565B1 (ko) 트러스거더와 단부재의 자동용접장치
KR100795209B1 (ko) 거푸집 리프트
CN113565454B (zh) 一种修井作业立式猫道的上下管杆装置及使用方法
KR101002034B1 (ko) 철근 절곡장치
JP4253105B2 (ja) 杭打ち機及び杭打ち方法
JP3737027B2 (ja) 鉄筋曲げ装置
CN114770015A (zh) 一种钢筋笼焊接辅助装置及应用该装置的焊接方法
CN108385529B (zh) 盖梁钢筋骨架拼装台
KR100693279B1 (ko) 트러스거더의 자동용접장치
JP2006104849A (ja) 軌道スラブ敷設位置調整装置
KR101088467B1 (ko) 트러스거더의 십자봉 자동 용접기
JP6218316B2 (ja) 桁ブロック据付装置及び桁ブロックの据付方法
CN203437567U (zh) 盾构管片钢筋笼单片网焊接设备中钢筋输送定尺托起装置
KR100590288B1 (ko)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용 트러스 거더 데크 플레이트의크랭크 용접장치
CN213622943U (zh) 一种提梁机用固定机构
KR100615941B1 (ko) 철근 콘크리트용 트러스 거더의 크랭크 자동 용접장치 및그 방법
KR100687137B1 (ko) 교량의 상부구조 시공용 철근대차
CN209850172U (zh) 一种链条机
KR100911827B1 (ko) 건축용 판넬 고정장치
CN212397511U (zh) 一种建筑模板表面清洁装置
CN217497704U (zh) 滚筒输送线矩形托盘定位结构
CN218813233U (zh) 一种施工用预应力张拉平台
JP2001096331A (ja) 円筒状鉄筋籠の製造方法及び同方法に用いる配筋組立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