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2894A - 너트 용접용 지그 - Google Patents

너트 용접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2894A
KR20110022894A KR1020090080390A KR20090080390A KR20110022894A KR 20110022894 A KR20110022894 A KR 20110022894A KR 1020090080390 A KR1020090080390 A KR 1020090080390A KR 20090080390 A KR20090080390 A KR 20090080390A KR 20110022894 A KR20110022894 A KR 20110022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compressed air
welding
hole
ji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0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8919B1 (ko
Inventor
김봉수
양혁
주익 김
Original Assignee
(주) 화신테크
양혁
김봉수
주익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화신테크, 양혁, 김봉수, 주익 김 filed Critical (주) 화신테크
Priority to KR1020090080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8919B1/ko
Publication of KR20110022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2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91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23K11/11Spot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6Auxiliary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18Sheet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너트 용접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너트용접 장치에 설치되는 지그를 압축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분사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너트 용접시 이물질을 압축공기로 제거한 후, 용접을 행할 수 있어, 너트 용접에 따른 용접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너트의 크기(직경)에 대응되게 지그의 상부에 로케이션 핀을 내설시켜 구비되는 캡부를 교체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다른 너트를 용접하기 위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결국, 너트 용접에 따른 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으며, 이러한 목적은 고정전극에 일단이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되, 외주면에는 압축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압축공기 공급호스를 통하여 유입가능하도록 압축공기 공급용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일단에 나사 결합 및 분리가능하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양면은 연통되어 구비되는 캡부와, 상기 캡부에 내설되는 것에 의해 일단은 캡부의 상면에 돌출되어 너트를 위치 고정시키고 용접시 하강하여 압축공기가 분사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로케이션 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의해 달성된다.
너트, 용접, 패널

Description

너트 용접용 지그{NUT WELDING JIG}
본 발명은 너트 용접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패널에 너트를 용접시 압축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너트측으로 분사가능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너트에 대응되게 로케이션 핀을 교체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너트의 용접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로케이션 핀을 내설시켜 구비되는 캡부의 교체로 다른 직경을 갖는 너트를 용접할 수 있도록 한 너트 용접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자동차, 비행선, 선박 등은 매우 많은 부품들로 이루어지는데, 그 중에서도 크게 몸체를 이루는 패널과 그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 및 상기 패널 상에 부착되는 여러 장치들로 이루어진다.
이에 최근에는 상기 패널을 프레임에 고정 결합하거나, 패널 내면에 각종 장치들을 부착함에 있어서 그 편리성이 향상되고 작업이 보다 용이하도록 하는 기술들이 제안되는 바, 특히 패널 적소에 너트를 미리 부착 성형함으로서 실제 조립 시 패널을 프레임에 대고 상기 너트에 직접 볼팅 결합하거나, 각종 장치를 패널에 대고 상기 너트와 함께 직접 볼팅 결합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이와 같이 패널 상의 적소에 너트를 용접하기 위한 너트 용접장치(10)는, 첨부된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피더(미도시)에 장전된 다수개의 너트(N)를 공급하기 위한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상단 일측에 설치되어 일정높이 승·하강되면서 변위센서(미도시)에 의해 너트의 변위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승·하강수단(12)과 상부와 하부로 구분되어 상기 승·하강수단(12)에 각각 연동 설치되며, 그 하부 상단에는 패널(P)이 안착됨과 동시에 상기 너트피더에 의해 공급된 너트를 안착시키도록 가이드핀(13)이 설치된 가동전극(14) 및 고정전극(15)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너트 용접장치(10)는 상기 가동전극(14) 및 고정전극(15)에 의하여 용접이 이루어지는 바, 상기 고정전극(15)의 상단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가이드핀(13)에 패널(P)의 관통공이 결합된 상태로 안착되면, 너트피더가 작동하여 상기 가이드핀(13)의 끝단에 근접한 상태에서 너트(N)가 공급되어 패널(P) 상에 정렬된다.
이어서, 상기 가동전극(14)이 하강하여 패널(P)과 너트(N)를 일정한 강도로 압지함과 동시에 강한 전기적 저항을 가해 패널(P)과 너트(N)가 용접되도록 동작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상기한 너트 용접장치의 가이드핀은 상기한 바와 같이 너트를 위치 정렬시키기 위해 구비되는바, 너트에 이물질이 부착된 상태에서 용접시 너 트의 산이 이물질로 인하여 손상되어 결국 너트의 용접에 따른 불량률이 많이 발생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중래의 너트 용접장치의 가이드핀은 너트의 직경에 맞게 각각 구별하여 사용하여야 하므로 다른 너트의 용접시 가이드핀의 교체에 따른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너트용접 장치에 설치되는 지그를 압축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분사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너트 용접시 이물질을 압축공기로 제거한 후, 용접을 행할 수 있어, 너트 용접에 따른 용접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너트 용접용 지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너트의 크기(직경)에 대응되게 지그의 상부에 로케이션 핀을 내설시켜 구비되는 캡부를 교체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다른 너트를 용접하기 위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결국, 너트 용접에 따른 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한 너트 용접용 지그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홀이 천공된 패널측으로 압축공기의 공급에 대응되게 작동하여 너트를 공급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너트 공급부와, 상기 너트 공급부를 통하여 너트가 패널측으로 공급되면, 승,하강하는 것에 대응되게 너트를 패널측으로 용접시키도록 구비되는 가동전극 및 고정전극으로 구성된 너트 용접기의 고정전극에 고정 설치되어 너트를 위치 고정시시킴과 아울러 압축공기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너트측으로 분사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너트 용접용 지그에 있어서, 상기 고정전극에 일단이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되, 외주면에는 압축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압축공기 공급호스를 통하여 유입가능하도록 압축공기 공급용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일단에 나사 결합 및 분리가능하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양면은 연통되어 구비되는 캡부와, 상기 캡부에 내설되는 것에 의해 일단은 캡부의 상면에 돌출되어 너트를 위치 고정시키고 용접시 하강하여 압축공기가 분사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로케이션 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너트 용접용 지그에 따르면, 너트용접 장치에 설치되는 지그를 압축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분사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너트 용접시 이물질을 압축공기로 제거한 후, 용접을 행할 수 있어, 너트 용접에 따른 용접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너트 용접용 지그에 따르면. 너트의 크기(직경)에 대응되게 지그의 상부에 로케이션 핀을 내설시켜 구비되는 캡부를 교체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다른 너트를 용접하기 위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결국, 너트 용접에 따른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너트 용접용 지그의 일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너트 용접용 지그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너트 용접용 지그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너트 용접용 지그는 너트 용접기에 설치되어 작동하는 것에 의해 압축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너트측으로 분사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너트를 위치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로케이션 핀을 내설시킨 캡부를 너트의 크기에 대응되게 교체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너트 용접용 지그를 설명하기에서, 상기 너트 용접용 지그가 장치되는 용접기를 첨부된 도면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너트 용접기(200)는, 홀(211)이 천공된 패널(210)측으로 압축공기의 공급(미도시함)에 대응되게 작동하여 너트(미도시함)를 공급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너트 공급부(220)와, 상기 너트 공급부(220)를 통하여 너트가 패널(210)측으로 공급되면, 작업자의 스위치 조작에 대응되게 승,하강하여 너트를 패널(210)측으로 용접시키도록 구비되는 가동전극(230) 및 고정전극(240)으로 구성되며, 본 발명에 따른 너트 용접용 지그(100)는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너트 용접기(200)의 고정전극(240)에 일단이 고정 설치되어 너트를 위치 고정시키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너트 용접용 지그(100)는, 너트 용접기(200)에 일단이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되, 외주면에는 압축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압축공기 공급호스(250)(도 4 참조)를 통하여 유입가능하도록 압축공기 공급용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에 일단에 나사 결합 및 분리가능하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양면은 연통되어 구비되는 캡부(120)와, 상기 캡부(120)에 내설되는 것에 의해 일단은 캡부(120)의 상면에 돌출되어 너트를 위치 고정시키고 용접시 하강하여 압축공기가 분사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로케이션 핀(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너트 용접용 지그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너트 용접용 지그(100)의 몸체부(1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 용접기(200)의 고정전극(240)에 일단이 압입 고정가능하도록 절두원추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된 고정부(111)와, 상기 고정부(111)의 타단에 일단이 일체로 연장 형상되어 중공의 원기둥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고 타단 내주면에는 캡부(120)와 나사 결합가능하도록 나사부(112a)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압축공기 공급부와 연결된 압축공기 공급호스(250)를 고정 연결시키기 위한 압축공기 공급용홀(112b)이 형성된 연결부(112)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캡부(1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상기한 몸체부(110)의 연결부(112)에 형성된 나사부(112a)와 나사 결합되고 중앙부에는 로케이 션 핀(130)을 상,하이동가능하게 내설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캡부(120)는, 상기 몸체부(110)의 연결부(112)에 형성된 나사부(112a)와 나사 결합가능하도록 일단 외주면에는 결합나사부(121)가 형성되고, 중앙부는 길이방향으로 연통되어 로케이션 캡(130)을 내측으로 설치 후 압축공기 공급시 상기 로케이션 핀(130)이 상,하이동하는 것에 의해 압축공기를 분사 및 차단가능하도록 압축공기 안내홀(12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압축공기 안내홀(12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케이션 캡(130)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게 수직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된 이동홀(122a)와, 상기 이동부홀(122a) 일단 즉 하단으로부터 연통되어 로케이션 핀(130)을 걸림시키도록 점차 확경된 직경으로 형성된 걸림홀(122b)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압축공기 안내홀(122)을 통해 압축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로케이션 핀(130)은, 상기 캡부(120)에 상,하이동가능하게 내설되어 너트가 패널(210)에 용접시 상기 캡부(120)의 이동홀(122a) 타단을 개방시켜 압축공기가 분사가능하게 하향이동하고 압축공기 분사완료시에는 상승하여 이동홀(122a) 타단을 막음시키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로케이션 핀(130)은, 상기 캡부(120)에 형성된 압축공기 안내홀(122)에 내설되는 것에 의해 항상 이동홀(122a)의 타단을 막음시키고 너트를 패널(210)에 용접시 가동전극(230)이 하향 이동하여 너트를 누름시키는 것에 의해 이동홀(122a)을 개방시켜 너트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가능하도록 일단은 상기 이동홀(122a)의 타단을 개폐가능하도록 돌출된 개폐부(131)(도 2 참조)가 형성되고, 타 단은 걸림홀(122b)에 걸림가능하도록 점차 확경된 형상의 걸림부(132)(도 3참조)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한 로케이션 핀(130)은 용접시 발생되는 고온으로부터 변형됨을 방지하고 아울러 패널(210)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세라믹재질로 성형되어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너트 용접용 지그를 너트 용접기에 설치하여 패널에 너트를 용접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작업자는 너트 용접기(200)의 고정전극(240)에 고정된 너트 용접용 지그(100)의 로케이션 핀(130)에 일치시킨 후 상기 로케이션 핀(130)의 걸림부(132)이 패널(210)에 형성된 홀(211)에 관통시킨다.
이후, 너트 용접기(200)의 너트 공급부(220)로부터 공급되는 너트는 홀(211)을 관통하여 돌출된 로케이션 핀(130)의 걸림부(132)에 의해 위치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너트가 로케이션 핀(130)에 고정되면, 작업자의 스위치 조작에 대응되게 가동전극(230)이 하강하게 된다.
상기 가동전극(230)이 하강하는 것에 의해 너트는 패널(210)에 가압되며 이와 동시에 너트 용접용 지그(100)의 캡부(120)에 돌출된 로케이션 핀(130)은 캡부(120)의 압축공기 안내홀(122)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
상기 로케이션 핀(130)의 하강으로 압축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는 압축공기 공급호스(250)와 연결된 몸체부(110)의 연결부(112)에 형성된 압축 공기 공급용홀(112b)을 통하여 내측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압축공기는 캡부(120)의 압축공기 안내홀(122)을 통하여 너트측으로 분사된다.
따라서, 너트에 부착된 이물질이 제거되며, 이와 동시에 가동전극(230)을 통하여 너트가 패널(210)에 용접된다.
이와 같이 너트가 패널에 용접하기 전에 너트에 부착된 이물질을 압축공기로 제거시킨 후 용접시키게 되므로 용접에 따른 불량률을 납출 수 있게 된다.
한편, 너트의 직경이 다른 너트 즉, 내경이 큰 너트를 패널에 용접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너트의 내경에 대응되게 캡부에 내설된 로케이션 핀을 갖는 캡부를 몸체부의 연결부에 나사 결합시키는 것의 의해 용이하게 너트의 용접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너트 용접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너트 용접용 지그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너트 용접용 지그를 도시한 평면 상태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너트 용접용 지그가 너트 용접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너트 용접용 지그
110 ; 몸체부
120 ; 캡부
130 ; 로케이션 핀
200 ; 너트 용접기
210 ; 패널
220 ; 너트 공급부
230 ; 가동전극
240 ; 고정전극
250 ; 압축공기 공급호스

Claims (5)

  1. 홀(211)이 천공된 패널(210)측으로 압축공기의 공급에 대응되게 작동하여 너트를 공급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너트 공급부(220)와, 상기 너트 공급부(220)를 통하여 너트가 패널(210)측으로 공급되면, 승,하강하는 것에 대응되게 너트를 패널(210)측으로 용접시키도록 구비되는 가동전극(230) 및 고정전극(240)으로 구성된 너트 용접기(200)의 고정전극(240)에 고정 설치되어 너트를 위치 고정시시킴과 아울러 압축공기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너트측으로 분사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너트 용접용 지그에 있어서,
    상기 고정전극(240)에 일단이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되, 외주면에는 압축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압축공기 공급호스(250)를 통하여 유입가능하도록 압축공기 공급용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에 일단에 나사 결합 및 분리가능하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양면은 연통되어 구비되는 캡부(120)와;
    상기 캡부(120)에 내설되는 것에 의해 일단은 캡부(120)의 상면에 돌출되어 너트를 위치 고정시키고 용접시 하강하여 압축공기가 분사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로케이션 핀(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용접용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10)는, 너트 용접기(200)의 고정전극(240)에 일단이 압입 고정가능하도록 절두원추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된 고정부(111)와, 상기 고정부(111)의 타단에 일단이 일체로 연장 형상되어 중공의 원기둥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고 타단 내주면에는 캡부(120)와 나사 결합가능하도록 나사부(112a)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압축공기 공급부와 연결된 압축공기 공급호스(250)를 고정 연결시키기 위한 압축공기 공급용홀(112b)이 형성된 연결부(11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용접용 지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120)는, 상기 몸체부(110)의 연결부(112)에 형성된 나사부(112a)와 나사 결합가능하도록 일단 외주면에는 결합나사부(121)가 형성되고, 중앙부는 길이방향으로 연통되어 로케이션 캡(130)을 내측으로 설치 후 압축공기 공급시 상기 로케이션 핀(130)이 상,하이동하는 것에 의해 압축공기를 분사 및 차단가능하도록 압축공기 안내홀(12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로케이션 캡(130)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게 수직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된 이동홀(122a)와, 상기 이동부홀(122a) 일단 즉 하단으로부터 연통되어 로케이션 핀(130)을 걸림시키도록 점차 확경된 직경으로 형성된 걸림홀(122b)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용접용 지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케이션 핀(130)은, 상기 캡부(120)에 형성된 압축공기 안내홀(122)에 내설되는 것에 의해 항상 이동홀(122a)의 타단을 막음시키고 너트를 패널(210)에 용접시 가동전극(230)이 하향 이동하여 너트를 누름시키는 것에 의해 이동홀(122a)을 개방시켜 너트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가능하도록 일단은 상기 이동홀(122a)의 타단을 개폐가능하도록 돌출된 개폐부(131)가 형성되고, 타단은 걸림홀(122b)에 걸림가능하도록 점차 확경된 형상의 걸림부(132)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용접용 지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케이션 핀(130)은 용접시 발생되는 고온으로부터 변형됨을 방지하고 아울러 패널(210)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세라믹재질로 성형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용접용 지그.
KR1020090080390A 2009-08-28 2009-08-28 너트 용접용 지그 Expired - Fee Related KR101138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390A KR101138919B1 (ko) 2009-08-28 2009-08-28 너트 용접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390A KR101138919B1 (ko) 2009-08-28 2009-08-28 너트 용접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894A true KR20110022894A (ko) 2011-03-08
KR101138919B1 KR101138919B1 (ko) 2012-05-14

Family

ID=43931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0390A Expired - Fee Related KR101138919B1 (ko) 2009-08-28 2009-08-28 너트 용접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89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318B1 (ko) * 2013-10-15 2014-04-30 주식회사 경인엠제이시스템 스패터 유입 방지가 용이한 용접 대상물 지지장치
CN104588953A (zh) * 2015-02-10 2015-05-06 泉州市双塔汽车零件有限公司 螺座焊接定位工装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91964A1 (fr) 2000-05-27 2001-12-06 Yoshitaka Aoyama Procede et dispositif permettant de souder un ecrou borg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318B1 (ko) * 2013-10-15 2014-04-30 주식회사 경인엠제이시스템 스패터 유입 방지가 용이한 용접 대상물 지지장치
CN104588953A (zh) * 2015-02-10 2015-05-06 泉州市双塔汽车零件有限公司 螺座焊接定位工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8919B1 (ko) 2012-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7803B1 (ko) 브리더 어셈블리의 자동 조립장치
KR101138919B1 (ko) 너트 용접용 지그
KR20080009816A (ko) 용접용 팁의 제조를 위한 장치
JP2013104744A (ja) リム組立体、タイヤ試験機及びリム組立体交換方法
KR20190007998A (ko) 판재 턴오버 장치
KR100870415B1 (ko) 너트 용접기용 패널 리프팅 유닛
KR100808568B1 (ko) 너트와 금속판재를 용접하기 위한 용접장치
KR101838454B1 (ko) Cctv 카메라 시공방법
KR101254016B1 (ko) 안티 스패터 오일 도포장치
ITTV20000045A1 (it) Attrezzatura e procedimento per l'assemblaggio di rinforzi su un mantello particolarmente per un sottomarino
KR100610785B1 (ko) 타이어 공기 주입장치
CN214933667U (zh) 一种自动翻转主轴
KR20160113756A (ko) 전기로의 전극청소장치
KR101293264B1 (ko) 커넥팅 로드 파단면 칩 제거 장치
KR101688040B1 (ko) 차량용 워셔액 분사노즐의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JP2013112292A (ja) タイヤの空気充填装置及び空気充填方法
JP5675123B2 (ja) フローティングウエイト昇降ガイド装置を備えた混練機
KR101125855B1 (ko) 노외정련설비에 구비되는 가스 공급관 연결 장치
CN1975089B (zh) 用于机动车辆的滑动门
KR101383428B1 (ko) 정전기 발생이 방지되는 가반형 용접로봇 시스템
KR100682404B1 (ko) 틈새 잭
KR100610786B1 (ko) 너트 런너
JP3752727B2 (ja) 車両の燃料タンク孔開け装置
JP2007260502A (ja) ワーク洗浄装置
KR101227460B1 (ko) 잭 구동장치가 형성된 타이어 액체 주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6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4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4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