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1874A -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 시스템 및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 - Google Patents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 시스템 및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1874A
KR20110021874A KR1020107027819A KR20107027819A KR20110021874A KR 20110021874 A KR20110021874 A KR 20110021874A KR 1020107027819 A KR1020107027819 A KR 1020107027819A KR 20107027819 A KR20107027819 A KR 20107027819A KR 20110021874 A KR20110021874 A KR 20110021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panel
unit
display
electroluminescenc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7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지 기도
요시오 사카모토
요시히데 고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 가이샤 켄우드
고도 덴시 가부시기 가이샤
준지 기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 가이샤 켄우드, 고도 덴시 가부시기 가이샤, 준지 기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 가이샤 켄우드
Publication of KR20110021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18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2013/05Constructional details indicating exit way or orient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2019/225Fire evacuation route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Alarm System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장치와 발음장치의 설치 공간을 작게 하고 복잡한 메인터넌스 및 표시와 음성 해리에 동반되는 혼란을 저감하는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 시스템 및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정보를 표시하거나 조광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능케 하기 위한 표시부(20) 및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부(20, 40)를 가지는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부(1)와, 표시부(20) 및 음성출력부(20, 40)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부(200)를 구비한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 시스템(100)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 시스템 및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 {ELECTROLUMINESCENCE PANEL SYSTEM AND ELECTROLUMINESCENCE PANEL}
본 발명은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 시스템 및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비상구를 표시하는 표시장치가 비상시에 비상구까지 사람들을 유도하기 위하여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음성에 의하여 사람들을 비상구까지 유도할수 있도록 스피커 등에 의한 발음장치를 별도로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그 표시장치로서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electroluminescence) 패널을 사용한 것이 있다.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2-48559호 (청구항 1 등)
그러나, 상술한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그것은 표시장치와 발음장치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장치의 설치장소 및 발음장치의 설치장소 양방이 필요하여 큰 설치 공간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또한, 따로따로 설치된 표시장치와 발음장치의 배선, 제어 및 메인터넌스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술한 표시장치와 발음장치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장치와 발음장치가 서로 떨어진 장소에 설치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벽의 강도가 중량물의 고정에 적합하지 않은 벽에 표시장치와 발음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표시장치와 발음장치를 서로 떨어진 장소에 설치할 필요가 생긴다.
이와 같이 표시장치와 발음장치가 서로 떨어진 장소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유도표시와 음성안내가 해리하여 혼란을 초래하는 문제가 생길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 즉 표시장치와 발음장치의 설치 공간을 작게 하고, 복잡한 메인터넌스 및 표시와 음성 해리에 동반되는 혼란을 저감하는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 시스템 및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정보를 표시하거나 조광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표시부 및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부를 가지는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부와, 표시부 및 음성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는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 시스템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별도의 발명에서는 상술한 발명에 더하여, 음성출력부와 표시부를 겹쳐서 배치하는 것과 아울러, 음성출력부의 구동 부분을 표시부의 이면에 접촉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별도의 발명에서는 상술한 발명에 더하여,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 시스템은, 빛, 가스, 연기, 온도 변화, 진동, 혹은 액상체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센서부를 가지며, 제어부는 센서부의 검출을 트리거로서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부를 제어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별도의 발명에서는 상술한 발명에 더하여, 제어부는 표시, 조명 및 음성 중 적어도 둘 이상이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별도의 발명에서는 상술한 발명에 더하여, 이동수단에 탑재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별도의 발명에서는 상술한 발명에 더하여 제어부는 표시부 및/또는 음성출력부에 신호를 보내여 주의 환기 또는 유도 안내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별도의 발명에서는 상술한 발명에 더하여 표시부는 비상시 유도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별도의 발명에서는 정보를 표시하거나 조광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표시부와,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음성출력부를 가지는 것과 아울러 제어부에 의하여 표시부 및 음성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도록 제어되는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장치와 발음장치의 설치 공간을 작게 하고, 복잡한 메인터넌스 및 표시와 음성 해리에 동반되는 혼란을 저감하는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 시스템 및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을 제공할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유기 EL 패널스피커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2는 도 1의 유기 EL 패널스피커를 Y2 방향에서 본 경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도 1의 유기 EL 패널스피커의 유기 EL 패널을 Y2 방향에서 본 경우의 평면도이다.
도4는 도 3의 유기 EL 패널을 A-A선으로 절단한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5는 도 1의 유기 EL 패널스피커를 Y2 방향에서 본 외관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6은 도 5에 나타낸 유기 EL 패널스피커를 도면의 B-B선으로 절단한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7은 도 6의 C 부분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8은 도 1의 유기 EL 패널스피커의 유기 EL 패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9는 도 1의 유기 EL 패널스피커의 유기 EL 패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10은 도 1의 유기 EL 패널스피커의 유기 EL 패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11은 도 1의 유기 EL 패널스피커의 유기 EL 패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유기 EL 패널스피커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스피커의 일례로서, 제1의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스피커(1)(이하, '유기 EL 패널스피커(1) 라고 함)에 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의 간략화를 위하여 도 1 이외의 도면에서 후술할 스탠드(2)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유기 EL 패널스피커(1)가 발음하는 방향을 Y1 방향으로 하고, 그 반대측을 Y2 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1은 유기 EL 패널스피커(1)를 Y1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외관의 구성을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비상시에 비상구로 유도 및 안내하기 위한 유기 EL 패널스피커(1)는 주로 이 유기 EL 패널스피커(1)를 고정 등 하기 위한 스탠드(2)와 본체부(10)을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Y방향으로 연신된 두 개의 스탠드(2)는 본체부(10)의 Z2 방향측의 면에 이간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한, 스탠드(2)의 Z2 방향의 면은 평활한 면과 하나의 면이 된다.
따라서, 스탠드(2)의 Z2 방향의 면을 바닥 등에 두거나 바닥 등에서 바닥과 스탠드(2)의 Z2 방향의 면을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술한 스탠드(2)는 Z1 방향측의 면에 배치되어 천장에 고정되는 것과 같은 것이래도 좋다.
또한, 상술한 스탠드(2)는 X1 방향측, X2 방향측 또는 Y2 방향측에 배치되어 벽면에 고정되는 것과 같은 것이래도 좋다.
그리고, 나사 등으로 유기 EL 패널스피커(1)를 벽면 등에 고정할수 있도록, 스탠드(2)에는 나사를 삽입하기 위한 Z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스탠드(2)는 후술할 전 프레임 또는 후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래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체부(10)를 Y1 방향에서 보면 후술할 전 프레임(12)의 개구부로부터 유기 EL 패널부(20)가 노출하고 있다.
또한, 유기 EL 패널부(20)의 Y1 방향의 면에는 소방법에 규정된 비상시 유도용의 안내 마크(비상시 유도표시부의 일례) (4)가 부착되어 있다.
안내 마크(4)는 예를 들면 두께가 0.1mm이며 한쪽 면에 점착제가 피복된 녹색의 광투과성 수지 필름을 안내 마크(4)의 형상에 맞춰 잘라낸다.
그리고, 그 잘라낸 안내 마크(4)의 점착제가 형성되어 있는 면을 유기 EL 패널부(20)에 대향시켜 부착한다.
이와 같이 하면, 유기 EL 패널부(20)가 발광하는 경우에 안내 마크(4)를 명료하게 인식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유기 EL 패널스피커(1)를 Y2 방향측(이(裏)측)에서 본 경우의 분해 사시도이다.
유기 EL 패널스피커(1)의 본체부(10)는, 주로 유기 EL 패널부(20), 유기 EL 패널부(20)의 Y 방향 양측에 1장씩 배치되는 쿠션재(11), 전 프레임(12) 및 보이스코일형 진동장치(40)를 구성하는 자기회로 구성체(50), 보이스코일(60) 및 후 프레임(70)을 가진다.
전 프레임(12)은 내측 즉 Y2 방향측에 유기 EL 패널부(20)를 유지할 수 있는 직사각형의 틀체로서 구성되고, 유기 EL 패널부(20)의 표시면에 대응하는 부분은 개구부(13)로 형성되어 있다.
전 프레임(12)의 내주에는 개구부(13)의 가장자리 전체에 걸쳐 내측을 향하여 연설된 연설부(1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 프레임(12)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재로 형성되고, 전 프레임(12)의 외주의 Z방향의 길이(T21)와 X방향의 길이(S21)는 각각 157.5mm, Z방향의 두께(D21)는 8mm이며, 내주의 Z방향의 길이(T22)와 X방향의 길이(S22)는 각각 138.0mm로 되어 있다.
전 프레임(12)은 그 내측에 X방향 및 Z방향의 길이가 137.5mm인 정사각형의 유기 EL 패널부(20)를 수용할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개구부(13)의 Z방향의 길이(T23)와 X방향의 길이(S23)는 각각 120mm이며, 전 프레임(12)은 폭 9.75mm(도면중 W21로 표시된 거리)인 틀체이다.
또한, 연설부(15)는 폭 9mm(W22로 표시된 거리)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유기 EL 패널부(20)를 Y2 방향에서 본 경우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의 유기 EL 패널부(20)를 A-A선으로 절단한 경우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후술할 입력단자부(26) 및 입력단자부(46)에 접속되어 투명전극층(29) 및 금속전극층(49)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리드선에 관해서는 도시를 생략한다.
유기 EL 패널부(20)는 도 3에 나타내듯이 예를 들면, Z방향의 길이(T13)과 X방향의 길이(S13)가 각각 137.5mm인 대략 정사각형의 투명한 유리 기판(21) 위에 투명전극층(29)(양극), 유기발광층(39), 반사층을 겸하는 금속전극층(49) (음극)의 순서로 적층하여, 유기 EL 패널본체(22)를 형성하고 있다.
투명전극층(29), 유기발광층(39) 및 금속전극층(49)으로 이루어진 층을 적층부(27)라 한다.
그리고, 이 유기 EL 패널본체(22) 상에 배설된 흡습용 시트(23)와 봉지(封止)판(24)를 가진다.
또한, 유리 기판(21)과 봉지판(24) 사이의 공간(25)에는 질소가스가 봉입되어, 공기가 봉입되어 있는 경우와 다른 음향 특성으로 설정되어 있다.
공간(25)에 봉입하는 가스를 적당히 선택함으로써 가스의 종류에 따른 음향특성을 얻을수 있다.
유리 기판(21)은 예를 들면, Y방향의 두께(D11)가 0.7mm, Z방향의 길이(T11)와 X방향의 길이(S11)가 각각 300mm인 유리로 만든 판을 사용할수 있다.
투명전극층(29)은 예를 들면, 인듐·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혹은 인듐·아연 산화물(Indium Zinc Oxide)이 약 130nm의 막두께(膜厚)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듐·주석 산화물을 사용하고 있다.
유기발광층(39)은 저분자 화합물, 구체적으로는 양극의 투명 전극층(29)측 으로부터 홀 수송층으로서 약 60nm의 비스[N-(1-나프틸)-N-페닐]벤지딘(bis[N-(1-naphthyl)-N-phenyl]benzidine)과, 전자 수송층 겸 발광층으로서 약 70nm의 트리스(퀴놀리놀라토)알루미늄(tris(quinolinolato)aluminium) 착체(錯體) 및 전자주입층으로서 약 1nm의 불화리튬으로 이루어진 층을 겹친 성막층으로 형성되어 있다.
금속전극층(49)은 알루미늄이 약 120nm의 막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각 층(29, 39, 49)은 예를 들면, 진공증착법으로 대표되는 박막 형성 방법에 의하여 Z방향의 길이(T12)와 X방향의 길이(S12)가 각각 122mm인 대략 정사각모양으로 형성된다.
투명전극층(29)의 한 변에는 입력단자부(26)가, 금속전극층(49)의 한 변에는 입력단자부(46)가 각각 돌출하여 형성되고, 입력단자부(26)와 입력단자부(46)는 적층부(27)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하듯이 되어 있다.
2장의 흡습용 시트(23)는 예를 들면, Y방향의 두께가 0.3mm, Z방향의 길이가 40mm, X방향의 길이가 30mm인 크기이다.
2장의 흡습용 시트(23)는 공간(25)의 간격을 두고 후술할 봉지판(24)의 요(凹)부에 나란히 수용된다.
또한, 흡습용 시트(23)의 일면은 미리 점착층을 가지며, 흡습용 시트(23)는 점착층이 형성된 면을 봉지판(24)측에 향하게 하여 요부에 수용된다.
따라서, 흡습용 시트(23)는 금속전극층(49)에 접하듯이 배치된다.
봉지판(24)은 예를 들면, 유리재로 형성되고, 일측면에 큰 정사각형의 요(凹)부(미도시)가 형성되며, 2장의 흡습용 시트(23)는 공간(25)의 간격을 두고 이 요부에 나란히 수용된다.
봉지판(24)은 예를 들면, Y방향의 두께가 1mm이며, Z방향의 길이와 X방향의 길이가 각각 127.6mm인 크기이다.
요부는 Y방향의 깊이가 0.3mm이고, Z방향의 길이와 X방향의 길이가 각각 122.6mm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요부의 주위에는 봉지판(24)의 X방향 및 Z방향의 폭(127.6mm)와 요부의 X방향 및 Z방향의 폭(122.6mm)의 차이만큼이 주연부로(周緣部)(28)로서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5mm의 폭으로 주연부(28)가 형성되어 있다.
봉지판(24)은 적층부(27)의 전면이 요부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유기 EL 패널본체(22) 상에 배치되고, 봉지판(24)의 주연부(28)는 유리 기판(21)에 맞닿은 상태로 된다.
또한, 봉지판(24)의 주연부(28)와 유리 기판(21)과의 당접부분은 접착제 (미도시)에 의해 고착되여 봉지(封止)되어 있다. 따라서, 적층부(27) 및 흡습용 시트(23)는 유리 기판(21)과 봉지판(24) 사이에서 봉지 상태로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유기 EL 패널부(20)에서는 유기발광층(39)에서 발광된 빛이 투명전극층(29)을 개재하여 유리 기판(21)측으로 출사됨과 동시에 금속전극층(49)에서 반사되어 유리 기판(21)측으로부터 출사된다.
다시 말하면, 유기 EL 패널부(20)는 이른바 보텀 에미션(bottom emission)형의 유기 EL 패널로서 구성되어 있다.
유기 EL 패널부(20)의 Y방향 양측에 배치된 쿠션재(11)는 예를 들면, 독립 발포(獨立發泡)의 우레탄재로 형성되는 얇은 시트 모양이며, 전 프레임(12)의 틀체 내측에 연설부(15)의 가장자리 전체에 걸쳐 겹쳐서 배설할 수 있는 크기의 구형의 틀체이다. 쿠션재(11)는 쿠션재(11)를 연설부(15)에 겹쳐서 배설할 때에 연설부(15)로부터 나오지 않도록 연설부(15)의 외주보다는 약간 작고 연설부(15)의 내주보다 크게 되어 있다.
보이스코일형 진동장치(40)는 도 2에 나타내듯이 자기회로 구성체(50)와 보이스코일(60)을 구비한다.
보이스코일(60)은 원통 모양의 보빈부(61)와 이 보빈부(61)의 일단측에 형성된 플랜지부(63)를 구비하며 보빈부(61)의 주위에 도선이 권회(卷回)되어 코일부(62)가 형성되어 있다.
코일부(62)는 보빈부(61)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하지 않도록 단단히 권회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보빈부(61)와 코일부(62)를 접착제에 의해 고착함으로써, 코일부(62)를 보빈부(61)에 고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5는 유기 EL 패널스피커(1)를 Y2방향측으로부터 본 경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B-B선으로 절단한 경우의 단면을 설명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6의 점선으로 나타낸 범위 C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자기회로 구성체(50)는 도 7에 나타내듯이 플레이트(54)와, 마그넷(55)과, 요크(56)를 구비한다.
플레이트(54)는 원반 모양을 나타내며 자성 재료인 철재로 형성되어 있다.
마그넷(55)는 링 모양을 나타내며 네오딤(Neodym)을 함유한 합금으로 구성되어 있다.
요크(56)는 원반부(51)와 원통부(52)를 구비하며, 이른바 단지형 요크로 칭하는 형체의 요크이다.
그리고, 원반부(51)는 원통부(52)보다 큰 직경으로 구성되고, 요크(56)에는, 원반부(51)가 원통부(52)의 외주로부터 돌출한 부분이 플랜지부(57)로서 형성되어 있다.
마그넷(55)의 외주 직경은 요크(56)의 원통부(52)의 내주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마그넷(55)은 마그넷(55)의 외주면과 요크(56)의 원통부(52)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외주면의 전주에 걸쳐 균일한 간격(58)이 존재하도록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54)의 외주의 직경도 요크(56)의 원통부(52)의 내주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레이트(54)는 요크(56)의 원통부(52)의 내주면과 플레이트(54)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플레이트(54)의 외주면의 전주에 걸쳐 균일한 간격(59)가 자기(磁氣) 갭(gap)으로서 존재하도록 배치되며, 마그넷(55)에 고정되어 있다.
자기회로 구성체(50)와 보이스코일(60)은, 코일부(62) 및 보빈부(61)가 플레이트(54) 및 원통부(52)에 접촉하는 일이 없이 자기 갭으로서의 간격(59)내에 삽입될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유기 EL 패널스피커(1)에 있어서는, 요크(56)의 원통부(52)의 내주 직경(L21)을 25.54mm, 플레이트(54)의 직경(L26)을 24.2mm로 함으로써, 간격(59)의 폭을 0.67mm로 하고 있다.
또한, 보이스코일(60)의 보빈부(61)의 내주 직경(L23)을 24.4mm로 하고, 보빈부(61)의 코일부(62)를 포함한 외주 직경(L24)을 25.34mm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으로써, 보빈부(61)의 내주면에 대하여 0.1mm의 간격을 두고 플레이트(54)를 보빈부(61)의 내주측에 삽입할수 있으며 원통부(52)의 내주면에 대하여 0.1mm의 사이를 두고 코일부(62) 및 보빈부(61)를 간격(59)에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요크(56)의 원통부(52) 외주 직경(L25)은 29.98mm이며, 원통부(52)의 개구단으로부터 원반부(51)까지의 내측 깊이(D22)는 5.5mm로 되어 있다.
또한, 마그넷(55)는 두께(D23)가 3mm, 외주의 직경(L26)이 23mm, 그리고 내주의 직경(L27)이 10mm로 되어 있다.
또한, 플레이트(54)는, 두께(D24)가 2mm로 되어 있다.
보이스코일(60)의 코일부(62)의 권폭(卷幅)(D25)은 3mm이며, 임피던스는 4Ω로 설정되어 있다.
후 프레임(70)은 직사각형의 외틀부와, 이 외틀부의 내측에 설치되고, 외틀부의 대향하는 변부분을 연결하는 십자 형의 내틀부(72)를 가진다.
또한, 외틀부의 전면측에는 외틀부를 따라 틀 모양으로 형성된 리브부(73)(도 10 및 도 11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외틀부 외주의 Z방향 길이(T24)와 X방향의 길이(S24)는 예를 들면, 각각 157.5mm이다.
또한, 리브부(73) 외주의 Z방향의 길이(T25)와 X방향의 길이(S25)는 예를 들면, 각각 137.0mm이다.
그리고, 리브부(73) 내주측 단부(段部)의 전후 방향의 두께(D26)는 예를 들면, 8mm로 형성되어 있다.
외틀부와 내틀부(72)는 모두 폭이 넓은 면으로 형성되며, 도 2에 나타내듯이 내틀부(72) 중앙에는 자기회로 구성체(50)의 요크(56)의 원통부(52)가 삽입되는 원형의 개구부(75)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내틀부(72)의 X방향의 폭(W24)은 개구부(75)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하고 예를 들면, 25mm로 형성되어 있다.
내틀부(72)의 개구부(75)가 형성된 부분은 개구부(75)의 직경(L28)을 요크(56)의 원통부(52)가 삽입될수 있는 크기로 할수 있도록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75)의 직경(L28)은 예를 들면, 30mm이다.
내틀부(72)는 십자형이기 때문에 외틀부의 내측과 내틀부(72) 사이에는 직사각형의 4개의 개구부(74)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74)는 외틀부의 네구석 방향에 배치되며, 개구부(75)에 대하여 중심이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구성의 후 프레임(70)은 예를 들면, 구형의 판체에서 개구부(74)와 개구부(75)에 대응하는 부분을 도려내는 등 하여 제작된 것이며, 외틀부와 내틀부(72)는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외틀부에 대하여 내틀부(72)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후 프레임(70)은 변형에 대한 강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유기 EL 패널스피커(1)는, 코일부(62)에 접속된 리드선(미도시)으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입력하면 보이스코일형 진동장치(40)가 구동된다.
즉, 보이스코일(60)이 자기회로 구성체(50)에 대하여 진동한다.
보이스코일(60)이 진동하면 이 진동이 봉지판(24)에 전달되고, 그 결과 유기 EL 패널스피커(1) 전체가 진동하여 빛의 출사면이 되는 유리 기판(21)면으로부터 소리가 발음된다.
이와 같이, 표시부와 음성출력부에 의하여 본체부(10)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사람들의 주의 환기가 효과적으로 실시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표시와 음성이 해리(解離)하여 혼란을 초래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일이 없다.
예를 들면, 연기 등으로 시계가 나쁜 경우 등이라도 음성의 방향을 따라 나아가면 비상구를 쉽게 발견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와 음성출력부로 본체부(10)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음성을 확성하기 위한 진동판으로서 유기EL패널부(20)을 이용하기 때문에 별도 진동판을 이용할 필요가 없어 경량으로 되며 장치하는 장소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유기 EL 패널스피커(1)는 보이스코일형 진동장치(40) 중 중량이 큰 자기회로 구성체(50)가 후 프레임(70)에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봉지판(24)을 얇게 할수 있고 발음 효율을 높일수 있다.
또한, 상술한 유기 EL 패널스피커(1)의 유기 EL 패널부(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 프레임(12)과 후 프레임(70)의 외틀부에 있어서 주위가 유지되어 있다.
유기 EL 패널부(20)는 주위에 있어서 변형하기 쉽다.
이 때문에 전 프레임(12)과 후 프레임(70)의 외틀부에 의하여 전, 후로부터 유지되는 것으로써, 유기 EL 패널부(20)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할수 있다.
또한, 후 프레임(70)은 십자형의 내틀부(72)를 설치함으로써 강성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유기 EL 패널부(20)의 변형을 한층 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유기 EL 패널스피커(1)의 유기 EL 패널부(20)는, 쿠션재(11)를 개재하여 전 프레임(12)과 후 프레임(70)의 사이에 유지되어 있다. 때문에 전 프레임(12)과 후 프레임(70)이 서로 나사(81)로 고정되는 것으로써 전 프레임(12)과 후 프레임(70)의 사이에 작용하는 유기 EL 패널부(20)의 압압력(押壓力)을 쿠션재(11)로 완화할 수 있고, 유기 EL 패널부(2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쿠션재(11)를 구비함으로써 저음역대(低音域帶)에서의 재생 주파수를 청감(聽感) 면에서 적합하게 할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유기 EL 패널스피커(1)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8 로부터 도 11은 유기 EL 패널스피커(1)의 각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우선, 유기 EL 패널부(20)를 제작한다.
유기 EL 패널부(20)는 유리 기판(21) 상에 적층부(27)를 스퍼터링(sputtering) 등의 방법에 의하여 4개소에 형성한다.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내듯이 두께(D11)가 0.7mm이고 세로(T11)와 가로(S11)가 각각 300mm인 유리 기판(21) 위에 세로(T12)과 가로(S12)가 각각 122mm인 적층부(27)를 형성한다.
그리고, 투명전극층(29)의 한변에는 입력단자부(26)가, 금속전극층(49)의 한변에는 입력단자부(46)가 각각 돌출하여 형성되고, 입력단자부(26)와 입력단자부(46)는, 적층부(27)의 연부(緣部)로부터 돌출되도록 각 층(29, 39, 49)이 형성된다.
유리 기판(21)에 적층부(27)를 형성한 후, 도 9에 나타내듯이 각 적층부(27) 마다 유리 기판(21)을 분할하여 세로길이(T13)와 가로길이(S13)가 각각 137.5mm인 정사각형 유기 EL 패널본체(22)를 잘라낸다.
이어서, 도 10에 나타내듯이 점착 시트가 장착되어 있는 흡습용 시트(23)의 면을 봉지판(24)측을 향해 요(凹)부에 수용한다.
즉, 흡습용 시트(23)는 봉지판(24)의 요부 내에 고정된 상태로 된다.
이어서, 도 1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흡습용 시트(23)가 수용된 봉지판(24)을 흡습용 시트(23)측이 금속전극층(49)을 향하고 적층부(27)의 면 전체가 요부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유기 패널본체(22) 상에 배치한다.
적층부(27)의 전체면이 요부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봉지판(24)를 유기 EL 패널본체(22) 상에 배치하면, 탄성을 다소 가지는 흡습용 시트(23)는 느슨하게 변형되어 주연부가 유리 기판(21)에 맞닿은 상태로 된다.
따라서, 봉지판(24)의 주연부와 유리 기판(21)의 당접부를 접착제로 고착하여 봉지함으로써 적층부(27)는 유리 기판(21)과 봉지판(24) 사이에서 봉지 상태로 된다.
다음에, 일측의 쿠션재(11)를 전 프레임(12) 내측의 연설부(15) 상에 겹쳐서 배치한다.
그리고, 쿠션재(11)가 배치된 전 프레임(12)의 내측에 유기 EL 패널부(20)를 배치한다.
유기 EL 패널부(20)는 쿠션재(11)를 개재하여 유리 기판(21)의 주위가 연설부(15)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태로 전 프레임(12)에 배치된다.
계속하여, 전 프레임(12)의 내측에 수용된 유기 EL 패널부(20)의 주변 위에 다시 일측의 쿠션재(11)를 배치한다.
그리고, 보이스코일(60)을 유기 EL 패널부(20) 상에 배치한다.
그리고, 후 프레임(70)을 리브부(73)가 전 프레임(12) 내측에 감합(嵌合)되도록 전 프레임(12) 상에 재치(載置) 한다.
보이스코일(60)과 후 프레임(70)은 보이스코일(60)을 후 프레임(70)의 전면측으로부터 개구부(75)에 코일부(62)를 통하게 한 상태로 하여 보이스코일(60)을 유기 EL 패널부(20)에 재치하고, 후 프레임(70)을 전 프레임(12)에 재치한다.
리브부(73)를 전 프레임(12)의 내측에 감합시키는 것으로써 유기 EL 패널부(20)는 전 프레임(12)의 연설부(15)와 리브부(73) 사이에 쿠션재(11)를 개재하여 끼운 상태로 되며, 유기 EL 패널부(20)는 전 프레임(12)과 후 프레임(70) 에 유지된다.
다음으로 후 프레임(70)의 외틀부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구멍(82)에 각각 나사(81)를 끼우고, 이 나사(81)를 전 프레임(12)의 배면에 형성된 나사공(14)에 맞추는 것으로, 후 프레임(70)을 전 프레임(12)에 고정한다.
후 프레임(70)을 전 프레임(12)에 고정한 후, 지그(jig)를 사용하여 코일부(62)의 주측면과 개구부(75)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이 코일부(62)의 전주에 걸쳐 균일하게 되도록, 보이스코일(60)의 위치를 결정하고, 이 위치 결정이 된 상태에서 보이스코일(60)의 플랜지부(63)를 유기 EL 패널부(20)의 봉지판(24)에 대하여 접착 고정한다.
이어서, 자기회로 구성체(50)를 요크(56)의 원통부(52)가 개구부(75)내에 삽입되도록 하여 후 프레임(70)에 설치한다.
원통부(52)의 내주면 직경(L21)과 플레이트(54)의 직경(L26) 및 보빈부(61) 내주의 직경(L23)과 코일부(62)를 포함한 부분의 직경(L24)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원통부(52)를 개구부(75)내에 삽입하면 보빈부(61) 및 코일부(62)는, 원통부(52)와 플레이트(54) 사이의 자기 갭인 간격(59) 내로 삽입된다.
자기회로 구성체(50)는 요크(56)의 원통부(52)를 개구부(75)내로 삽입하면 플랜지부(57)가 후 프레임(70)에 맞닿는 것으로써 전, 후 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자기회로 구성체(50)는 플랜지부(57)를 후 프레임(70)에 대하여 접착제로 고착함으로써 후 프레임(70)에 고정되고, 도 1에 나타낸 유기 EL 패널스피커(1)가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기 EL 패널스피커(1)는 코일부(62)에 접속되는 리드선(미도시)으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입력하면 보이스코일형 진동장치(40)가 구동된다.
즉, 보이스코일(60)이 자기회로 구성체(50)에 대하여 진동한다.
보이스코일(60)이 진동하면 이 진동이 봉지판(24)에 전달되고, 그 결과 유기 EL 패널스피커(1) 전체가 진동하여 빛의 출사면이 되는 유리 기판(21) 면으로부터 소리가 발음된다.
다음에 상술한 유기 EL 패널스피커(1)를 사용한 유기 EL 패널스피커 시스템(100)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유기 EL 패널스피커 시스템(100)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유기 EL 패널스피커 시스템(100)은 주로 유기 EL 패널스피커(1), 제어부(200) 및 센서부(300)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200)는 유기 EL 패널스피커 시스템(100)의 제어를 한다.
제어부(200)는 유기 EL 패널스피커(1)를 발음시키는 제어를 하는 경우에는 보이스코일(60)에 음성신호를 인가한다.
또한, 제어부(200)에 의한 제어하에 유기 EL 패널의 입력단자부(26) 및 입력단자부(46)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유기 EL 패널스피커(1)를 조광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유기 EL 패널스피커(1)의 표시가 필요없는 경우에는 조광을 행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통상은 조광만을 행하고 예를 들면, 긴급시에만 음성출력을 하도록 제어할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의 센서부(300)는 빛, 가스, 연기, 온도 변화, 진동 또는 액상체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센서부(300)는 연기를 검출하면 제어부(200)에 신호를 송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유기 EL 패널스피커 시스템(100)으로 함으로써, 통지할 정보에 대한 주의 환기가 필요한 경우에만 조광, 표시 또는 음성출력을 하도록 동작하는 유기 EL 패널스피커 시스템(100)으로 할수 있다.
따라서, 통상은 유기 EL 패널스피커(1)를 번거롭게 생각할 일은 없으나, 긴급시 등 그 정보가 필요한 경우에만 그 표시에 주의가 환기되는 것과 같은 유기 EL 패널스피커(1)로 된다.
또한, 센서부(300)가 연기 등을 검출함으로써 화재 등의 경우에 주의 환기를 위한 조광, 표시 또는 음성출력을 자동적으로 개시할 수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과 관련되는 유기 EL 패널스피커 시스템(100)의 동작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화재 등으로 연기가 발생하여 그 연기가 센서부(300)로 검출되면 센서부(300)는 제어부(200)에 신호를 송출한다.
제어부(200)는 그 신호에 의하여 유기 EL 패널스피커(1)의 발광 및 음성출력을 개시한다.
음성출력으로서는 예를 들면, “화재가 발생하였습니다. 피난해 주십시오.” 등의 음성을 출력한다.
발광과 음성출력의 일례를 동시에 행함으로써 사람들의 주의를 한층 더 환기시킬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일이 없이 다양한 변형 및 조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200) 및 센서부(300)를 별도로 설치한 것으로 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200) 또는 센서부(300)의 일측 또는 양측을 유기 EL 패널스피커(1)와 일체로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기 EL 패널스피커 시스템(100)는 센서부(300)가 설치된 것으로 하고 있으나, 센서부(300)는 필수가 아니다.
그러나, 센서부(300)를 설치함으로써 화재 및 지진 등의 비상사태를 검출하여 작동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비상시에 비상구로의 유도 및 안내를 하기 위하여 유기 EL 패널스피커(1)가 기능하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건물내부 이외에서 사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이동수단으로서 버스, 자동차, 비행기, 선박 또는 기타 탑승물에 설치하여도 좋다.
그리고, 비상용의 유도 안내 이외의 용도로 사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버스 차량 내 등의 안내에 사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버스가 주행중일 때는 표시가 비점등인 상태로 하고, 한편 버스가 정차한 것을 센서부가 검출한 경우에는 출구인 의미 표시를 점등시키는 것에 더하여 버스 정류장의 명칭과 출구측으로 안내하는 것을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유기 EL 패널스피커 시스템(100)으로 할수 있다.
또한, 건물이나 차량에 고정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휴대 가능한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기 EL 패널부는 안내 마크(4) 형상의 필름이 부착된 유기 EL 패널부(20)로 함으로써 표시되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이 같은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잉크 등을 사용하여 소정 형상을 형성하여도 좋으며 유기 EL의 소정 부분을 소망하는 색 및 형상으로 발광시켜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기 EL 패널부(20)의 표시는 정지화면인 것으로 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음극과 양극을 단순히 교차시켜 그 교차부에 유기 EL 소자를 배치하고 외장형 구동 IC(外付け驅動IC)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전류를 흘려 발광시키는 이른바 패시브(passive)형 유기 EL 패널스피커 또는 유기 EL 소자 하나 하나에 대하여 박막 트랜지스터를 배치하고 이 TFT에 의해 화소에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하면서 발광시키는, 이른바 액티브(active)형 유기 EL 패널스피커(1)로 함으로써 동영상을 재생시킬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유기 EL 패널스피커(1)로 동영상을 재생하는 경우에는 순간적인 최대 휘도를 작게 할수 있으며, 이것에 의하여 소자의 수명도 길어지며 용이하게 전력을 절약할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동영상과 음성 또는 동영상과 조광을 연동시킴으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사람들의 주의를 환기시켜 정보를 통지할 수 있는 표시로 된다.
예를 들면, 유기 EL 패널부(20)가 표시를 변화시킬수 있는 경우에는, 비긴급시에 백색의 조명으로 유기 EL 패널스피커(1)를 기능시킬 수 있다.
한편, 지진 등의 긴급시에는 안내 마크(4)와 같은 형태의 마크를 표시하고 음성에 의하여 안내를 가능케 하는 표시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유기발광층(39)을 가지는 유기 EL 패널스피커(1)로 하고 있으나 일렉트로루미네센스를 일으키는 재료로서 무기재료를 사용하는 무기 EL 패널스피커로 하여도 좋다.
무기 EL 패널스피커인 경우에는 유기발광층(39) 대신에 무기발광층을 형성한다.
무기발광층으로서는 예를 들면, 황화아연 등의 무기물 증착층을 채용할 수 있다.
유기 EL 패널스피커(1)는 저 전력으로 높은 휘도를 얻을 수 있으므로 시인성(視認性)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등의 특징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이스코일형 진동장치(40)를 가진 유기 EL 패널스피커(1)로 하고 있으나, 다른 진동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유기 EL 패널스피커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텀 에미션형의 유기 EL 패널부(20)를 예시하였으나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톱 에미션(top emission)형의 유기 EL 패널부(20)로 하여도 좋다.
또한, 각 설명에 있어서 예시한 치수 등은 적절히 해당 업자가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1; 유기 EL 패널스피커(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스피커)
4; 안내 마크(비상시 유도표시)
20; 유기 EL 패널(표시부, 음향출력부)
40; 보이스코일형 진동장치(음향출력부)
100; 비상용 유도 시스템
200; 제어부
300; 센서부

Claims (8)

  1. 정보를 표시하거나 조광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표시부 및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부를 가지는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부와,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음성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과 아울러,
    상기 음성출력부는,
    상기 표시부를 진동시킴으로써 발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출력부와 상기 표시부를 겹쳐서 배치하는 것과 아울러,
    상기 음성출력부의 구동 부분을 상기 표시부의 이면에 접촉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 시스템은,
    빛, 가스, 연기, 온도 변화, 진동, 혹은 액상체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센서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검출을 트리거로서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표시, 조명 및 음성 중 적어도 둘 이상이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수단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 및/또는 상기 음성출력부에 신호를 보내여
    주의 환기 또는 유도 안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비상시 유도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 시스템.
  8. 정보를 표시하거나 혹은 조광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를 진동시켜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를 가지는 것과 아울러,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음성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
KR1020107027819A 2008-06-16 2009-06-15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 시스템 및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 KR201100218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57098A JP2009301431A (ja) 2008-06-16 2008-06-16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パネルシステムおよび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パネル
JPJP-P-2008-157098 2008-06-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874A true KR20110021874A (ko) 2011-03-04

Family

ID=41433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7819A KR20110021874A (ko) 2008-06-16 2009-06-15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 시스템 및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9301431A (ko)
KR (1) KR20110021874A (ko)
CN (1) CN102057410A (ko)
WO (1) WO200915396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948Y1 (ko) * 2019-03-14 2019-08-30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산업 비상탈출구 유도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89739B2 (ja) 2010-02-22 2015-10-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誘導灯
JP5466530B2 (ja) * 2010-02-23 2014-04-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表示装置
JP5634078B2 (ja) * 2010-02-23 2014-12-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表示装置
JP5887529B2 (ja) * 2011-08-24 2016-03-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13044911A (ja) * 2011-08-24 2013-03-04 Panasonic Corp 表示装置
CN105068456B (zh) * 2015-07-22 2020-01-21 耿树森 一种冷光与积体电路相结合的电子装置
JP2017058395A (ja) * 2015-09-14 2017-03-23 五洋建設株式会社 看板及び検査装置
WO2017189214A1 (en) * 2016-04-29 2017-11-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ushioning film
CN110189632B (zh) * 2019-05-23 2022-06-03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发声面板
DE202020103910U1 (de) * 2020-07-07 2021-10-12 Zumtobel Lighting Gmbh Intelligente Fluchtweganzeigevorrichtung für optisch-akustische Fluchtweglenkung, sowie Wegleit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2805B2 (ja) * 1991-04-08 1999-06-07 三洋電機株式会社 非常用誘導灯
JPH07107592A (ja) * 1993-09-29 1995-04-21 Seikosha Co Ltd 発光スピーカ装置
JPH07160208A (ja) * 1993-12-03 1995-06-23 Shimizu Corp 非常誘導用表示装置
SG107578A1 (en) * 2001-03-28 2004-12-29 Inventio Ag Indicating device
JP2007156651A (ja) * 2005-12-01 2007-06-21 Shomei:Kk 誘導表示システム及び誘導表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948Y1 (ko) * 2019-03-14 2019-08-30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산업 비상탈출구 유도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301431A (ja) 2009-12-24
WO2009153961A1 (ja) 2009-12-23
CN102057410A (zh) 201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21874A (ko)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 시스템 및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
TWI732911B (zh) 一種面板振動型顯示裝置
EP3331251B1 (en) Panel vibration type display device for generating sound
JP2009100223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パネルスピーカ
KR102636676B1 (ko) 표시장치
JP2010027845A (ja)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パネル
US20080232088A1 (en) Acoustic Light-Emitting Device
CN115206192B (zh) 显示设备
CN112188365B (zh) 显示设备
EP1754998A1 (en) Bathroom projector system and projector
KR102605160B1 (ko) 표시장치
KR20190078188A (ko) 표시장치
JP4355860B2 (ja) 画像表示モジュール
JP2013044912A (ja) 表示装置
CN111093139B (zh) 显示设备
JP2002362844A (ja) 指示装置
JP2005189464A (ja) スピーカ機能を有する発光表示パネル及び発光表示装置
CN112203194B (zh) 显示设备
JP6317201B2 (ja) 情報発信装置
US20240080624A1 (en) Vibration apparatus and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03259472A (ja) スピーカと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5080044A (ja) 平面型スピーカユニット及び該ユニットを具えた電気機器
JP2005167722A (ja) スピーカ内蔵柱
JP2005124005A (ja) 平面型スピーカユニット及び該ユニットを具えた電気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