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1775A - 척추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척추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1775A
KR20110021775A KR1020107025600A KR20107025600A KR20110021775A KR 20110021775 A KR20110021775 A KR 20110021775A KR 1020107025600 A KR1020107025600 A KR 1020107025600A KR 20107025600 A KR20107025600 A KR 20107025600A KR 20110021775 A KR20110021775 A KR 20110021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spinal
spinous process
spinal implant
spin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5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리나 우르펠
Original Assignee
코리나 우르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나 우르펠 filed Critical 코리나 우르펠
Publication of KR20110021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17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62Devices acting on, attached to, or simulating the effect of, vertebral processes, vertebral facets or ribs ; Tools for such devices
    • A61B17/7065Devices with changeable shape, e.g. collapsible or having retractable arms to aid implantation; To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53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with parts attached to bones or to each other by flexible wires, straps, sutures or cab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1. 본 발명은 척추 세그먼트들의 안정화를 위한 수의학 또는 인간 의학에서의 척추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2.1 척추 세그먼트들의 안정화를 위해 극돌기들 상에 설치되는 이러한 동류의 알려진 임플란트들은 인대 및 상처 치료에 해로운 효과를 가질 수 있는 극상 인대의 절제 및 장기 안쪽으로의 접근을 필요로 한다. 2.2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는 극돌기의 방향으로 그의 자유 단부들이 연장하는 스터럽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유 단부들에는 극돌기들에 놓이도록 하는 수단이 제공되며, 상기 수단 중 적어도 하나는 섀들형 지지부로서 설계된다. 상기 임플란트의 폭은 주입을 위해 감소되어 극돌기들 사이의 측면 삽입이 극상 인대의 파괴없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척추 임플란트{SPINAL COLUMN IMPLANT}
본 발명은, 두 개의 극돌기들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U자형 스터럽을 가지며, 그의 자유 단부들은 극돌기들의 방향으로 연장되며, 극돌기들 상에 지지되기 위한 수단이 상기 자유 단부들 상에 제공된, 척추 세그먼트들의 (동적인) 안정화를 위한, 수의학 또는 인간 의학에서의 척추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인간 의학에서의 임플란트들은, 예컨대 추간 연골에서의 퇴행성 변화들의 경우에 척추를 안정화하기 위해 그리고 운동 기능 과잉증(hypermobility)에 대응하도록 척추의 두 개의 인접한 극돌기들 사이로 삽입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의학에서 사용되는 유사한 임플란트들은 알려져 있지 않다.
이러한 임플란트에 대한 다른 암시는, 말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척추 극돌기의 부딪힘(kissing spine) 증상"이다. 이 경우 극돌기들은 서로 접촉하며 고통스럽게 서로 마모되어, 결국 말들을 탈수 없게 된다.
척추 극돌기의 부딪힘 증상은, 그에 대해 일부 치료적 접근이 있는 말들에서 흔한 장애이며, 지금까지는 극돌기들을 절제하기 위한 외과적 수술 절차들이 제한되고 있다.
변형성 척추염은 개들에게 흔한 질병이다. 동적 및 기계적 인자들이 그의 발병에 있어서 결정적 역할을 한다. 변형성 척추염은, 특히 추간 인대 영역에서의 부분적 조직 파열이 지지 및 인대 시스템상에서의 압축, 인장 및 전단을 통해 발생하는 기본적인 퇴행성 질병이다. 이들 작은 외상은 배 쪽 척추 및 앞쪽 길이방향 인대의 골막(periostium)에서의 섬유질 증식을 야기하게 된다. 섬유질을 따라 외골증이 발생하며 사이즈가 증가되고 서로를 향해 성장하게 된다. 이들은 경질 뼈 판(강직성 척주염)을 형성하도록 융합될 수 있다. 뼈 증식은 부분적으로 척추의 측부들로 연장하며 극심한 통증 및 마비와 관련된 신경 출구점들의 골성(osseous) 좁아짐을 야기할 수 있다.
척추체의 안정화 및/또는 디스트랙션을 위한 인간 의학에서의 임플란트들은 (예컨대, 미국 특허 5,645,599, 미국 특허 5,860,977, 미국 특허 5,496,318)에 알려져 있다. 이 임플란트들의 응용 영역은 척추관 좁아짐(협착) 또는 퇴행성 디스크 등의 인간의 척추의 질병들의 처치까지로 연장된다. 이 임플란트들은 측면 또는 뒤쪽에서 극돌기들 사이로 삽입된다.
후방 삽입을 위한 임플란트들은 극간 인대의 완전한 절제 및 극상 인대의 제거를 필요로 하는 반면에, 측면으로 삽입되는 임플란트들은 극간 인대의 부분의 덜 충격적인 제거만을 요구하게 된다. 양 타입들의 임플란트들은 측면 돌출부들 또는 극돌기들을 둘러싸는 합성 스트랩들에 의해 측면 이동을 방지하여 보유된다.
삽입 및 고정 외의 다른 구별되는 특징은, 각도 탄력성 및 축방향 압축으로 분할되는, 공지된 임플란트들의 탄성이다. 측면으로 삽입 가능한 대부분의 임플란트들은 심각한 압축성을 나타내지 않는 반면에, 뒤쪽으로 삽입되는 일부 임플란트들에는 스프링 탄성 요소가 제공된다(미국 특허 5,645,599, EP-A-1 054 638). 스프링 탄성 임플란트는 경질 스페이서보다 더 심각한 생리적 운동을 허용하게 된다. 각도 탄성 및 압축성을 고려하여, 각도 탄성이 없는 매우 단단한 임플란트들(예컨대, 미국 특허 5,860,977), 생리학적 각도 안정성을 갖는 중간 정도 단단한 임플란트들(예컨대, 미국 특허 5,645,599) 및 저 압축성 또는 각도 변화 안정성을 가진 비교적 유연한 임플란트들(예컨대, DE 699 13 659)이 알려져 있다.
상기한 조건들의 성공적인 처치를 위해, 돌기 내에서 작용하는 임플란트는 측면으로 삽입되어야 한다. 처치된 세그먼트의 운동 기능 과잉증에 대응하도록 생리학적으로 효과적인 각도 안정성, 및 축방향으로의 디스트랙션-적응 강직도를 나타내야 한다. 한편 임플란트에 의한 굽힘 운동들의 제한은, 뒤의 구조들의 오버로딩을 초래하게 될 수 있는 운동의 생리학적 범위를 크게 저해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척추체의 운동 범위를 크게 제한하지 않고 탄성 임플란트에 의해 운동 기능 과잉증(hypermobile) 척추 세그먼트를 안정화하는 것이다. 개들에서 임의의 불안정에 대응하도록 수술에 의해 가능한 한 인대 장치가 적게 손상받는 것이 중요하다. 말들에서 임플란트가 스페이서로서 작용하는 점에서 극돌기들 사이의 접촉을 영구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결정적으로 중요한 요소이다. 개들과 같이, 가능한한 작은 수술적 접근으로서 인대 장치 외상을 최소화함이 신속한 치료 및 재활 치료를 위해 큰 장점이며, 말들에서, 질병은 주로 섀들 영역에서 발생하며 말들은 과도한 상처를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
요약하면 뒤로부터 삽입하는 스프링 탄성 임플란트의 생리학적인 장점들과 측면으로 삽입되는 장점들을 조합하면, 정신적 외상을 덜 초래할 수 있는 임플란트를 설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목적은 극돌기 상의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이 섀들형 지지부로서 설계되는 점에서 전술한 타입의 임플란트에 의한 본 발명에 따라 성취된다. 다른 특징들은 종속항들에 기재된다.
본 발명은 극돌기들 상에 적어도 하나의 해부학상의 섀들형 지지면을 갖는 각도 탄성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미국 특허 5,645,599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제2 쌍의 날개들을 제공함으로써 근본적으로 U자형인 임플란트는 척추의 무제한적인 굽힘 운동을 허용하는 동시에 측면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임플란트의 하나의 변형예는 생리학적인 규모의 회전 운동을 허용함으로써 상기 임플란트에 의해 형성된 회전 중심은 척추 세그먼트의 회전 중심에 대응하게 된다.
질병의 과정 중에 척추의 불안정은 개들에 있어서 고통스런 변형성 척추염을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에 의해 처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에 의한 마찰 극돌기(kissing spine) 증상에 포함된 극돌기들 사이의 공간의 복원은 말들에 있어서 가능한 다른 처치로서 매우 유망함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저를 형성하는 임플란트는 인간 의학의 분야에서 척추를 안정화하기에 적절하다.
임플란트를 압축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는 삽입 도구에 대한 지지부들의 응용은 극돌기들 사이의 공간으로의 측면 삽입을 간단화한다. 고 레벨의 각도 유연성 때문에, 상기 임플란트는 높이를 상당히 감소시키게 됨으로써 임플란트를 측면으로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임플란트의 복측부(ventral aspect)의 (넓힘, 벽을 두껍게 함, 다른 보강 클립의 삽입 등의) 적절한 구조적 설계를 통해 각도 유연성을 제한하지 않고 큰 펼침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임플란트의 다른 변형예에서, 측면 삽입은 임플란트의 하부 부분을, 두 개의 쉘들을 포함하는, 상부 부분으로 미는 것에 의해 발생된다. 이어서 탄성 스트랜드를 상부 쉘들 사이의 중간의 공간으로 도입함으로써, 이동 댐핑이 얻어지는 동시에 요구되는 펼침 효과가 설정될 수 있다.
극돌기들 사이의 고정은 임플란트의 섕크에 부착된 클립형 홀더, 또는 예컨대 합성 재료로 된, 루프 또는 보유 스트랩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루프들 또는 보유 스트랩들은 극돌기들 둘레로 통과되거나 또는 (추궁하(sublaminar) 형태로) 추골궁을 측면으로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추골궁 상으로의 임플란트의 체결은 등쪽으로부터 추골궁을 둘러싸는 클립들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최종 요추 및 제1 엉치뼈의 영역에서의 운동 기능 과잉증을 처치하기 위해, 해부학적 조건들은 특수한 타입들의 체결을 요구하게 된다. 제1 엉치뼈의 극돌기는 개별적인 사이즈 변화가 커지게 되며, 이는 분리된 경우들에서만 임플란트를 체결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그의 하부 섕크 상의 측면 돌출부들에 의해, 루프들 또는 보유 스트랩들 또는 고정을 위해 등 부분 엉치뼈(sacralia dorsalia)를 이용하는 클립들에 의해 상기 임플란트가 상기 등 부분 엉치뼈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사전 준비 후에 엉치뼈 및 그에 부착된 힘줄 사이로 밀려지는 임플란트의 측면 돌출부들에 의해 다른 부착 옵션이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양호한 고정을 얻게 됨과 동시에 해부학적 구조들 상의 돌출부들의 자극을 통해 그의 연결 조직 안정성이 얻어질 수 있다. 섬유화는 상기 구조들의 약간의 쇼트닝이 발생할 때까지만 고르게 연장될 수 있음으로써 상기 구조들이 척추 부분들을 등쪽으로 함께 끌어당겨서 그들을 배 쪽으로 상승시키게 된다.
편의상 상기 임플란트는 그의 주입 중에 임플란트의 고도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재료로 제조된다. 이러한 재료들의 예들은, 니티놀, 티탄 및/또는 티탄 합금, 스프링 또는 임플란트강,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 우레탄, PEEK, PEK, PEKK, PSU, PPS 등의 합성 재료들, 또는 실리콘 및 섬유 합성 재료 또는 이 재료들의 여러 개의 조합들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임플란트의 해부학적 적응 안정성으로 인해, 이것에 의해 처치된 세그먼트의 운동 기능 과잉증의 감소가 가능하게 되며 개들에서 변형성 척추염-관련 질병 처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말들에서 극돌기들 사이로의 임플란트의 측면 삽입은, 인대 시스템이 보존되도록 허용한다. 상기 임플란트로써 가능하게 되는 비교적 작은 수술적 접근에 의해 섀들 영역에서의 과도한 상처 형성의 공지된 문제들을 최소화하게 된다.
인간 의학 분야에서의 응용들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의 덜 손상받게 하는 주입 기술을 통해 개선된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들, 특징들 및 상세 내용들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술되는 실시예의 여러 예들을 제시하는 이하의 설명에서 개시된다. 도면들에 도시되며 특허 청구의 범위 및 상세한 설명에 제시된 특징들은 각각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본 발명에 필수적인 것으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척추 세그먼트들의 동적인 안정화를 행할 수 있는, 수의학 또는 인간 의학에서의 척추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도1은 삽입된 임플란트의 측면도,
도2는 삽입된 임플란트의 등쪽 도면,
도3은 주입의 사시도,
도4는 삽입된 임플란트의 사시도,
도5는 임플란트의 상세도,
도5a는 도5에 따른 임플란트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5b는 도5에 따른 임플란트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6은 집게에 의해 압축된 임플란트를 나타낸 도면,
도6a는 주입 보조물(슬리브)로써 주입될 수 있는 임플란트를 나타낸 도면,
도6b는 주입 보조물(슬리브)로써 주입될 수 있는 압축 걸쇠를 가진 임플란트를 나타낸 도면,
도7은 척추 안정 클립을 가진 임플란트를 나타낸 도면,
도7a는 도7에 따른 안정 클립의 제1 실시예의 상세도,
도7b는 도7에 따른 안정 클립의 제2 실시예의 상세도,
도8은 극돌기 상에 최적화된 지지부를 가진 임플란트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9는 두 개의 다른 재료들로 된 도8에 따른 임플란트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10은 임플란트의 두 개의 부분의 변형예의 등쪽 도면,
도10a는 도10에 따른 임플란트의 확대도,
도11은 임플란트의 세 개의 부분의 변형예의 등쪽 도면,
도12는 극돌기에 부착하기 위한 보유 스트랩들을 가진 임플란트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13은 도12에 따른 임플란트의 등쪽 도면,
도13a는 임플란트 상의 보유 스트랩의 제1 부착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13b는 임플란트 상의 보유 스트랩의 제2 부착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13c는 임플란트 상의 보유 스트랩의 제3 부착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14는 섀들형 지지부의 형상의 변형예들 a)-e)를 나타낸 도면,
도15는 보유 스트랩의 부착 가능성을 가진 임플란트의 다른 변형예의 사시도,
도15a는 극돌기 둘레에 보유 스트랩을 가진 도15에 따른 임플란트의 주입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16은 도15a의 부착 변형예로서: 극돌기용 슬리브 및 보유 스트랩을 가진 임플란트의 등쪽 도면,
도16a는 극돌기 내로의 슬리브의 삽입 및 도16에 따른 임플란트의 주입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17은 루프들/보유 스트랩들에 대한 체결 수단을 가진 임플란트 변형예의 등쪽 도면,
도17a는 도17에 따른 임플란트의 사시도,
도17b는 추골궁 둘레에 보유 스트랩들을 고정하고 주입을 행한 후의 도17에 따른 임플란트의 등쪽 도면,
도18은 측면 돌출부들을 가진 임플란트의 다른 변형예의 등쪽 도면,
도18a는 도18에 따른 임플란트의 사시도,
도18b는 클립들로써 추골궁에 고정하고 주입을 행한 후의 도18에 따른 임플란트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19는 얇은 조각들에 대한 완충 지지면들을 가진 임플란트의 다른 변형예의 사시도,
도20은 세 개로 된 구부려진 복측부를 가진 임플란트의 다른 변형예의 등쪽 도면,
도20a는 도20에 따른 임플란트 변형예의 사시도,
도20b는 루프들, 스트랩들 또는 클립들에 대한 측면 체결구들이 없는 도20에 따른 임플란트의 개조예를 나타낸 도면,
도20c는 클립들에 의해 추골궁에 체결하기 위한 측면 날개들을 가진 도20에 따른 임플란트의 다른 개조예를 나타낸 도면,
도21은 돌출부들을 가진 최종 요추-제1 엉치뼈의 영역에 대한 임플란트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21a는 나중에 부착 가능한 돌출부들을 가진 도20에 따른 임플란트의 분해 사시도,
도21b는 주입 후의 도21에 따른 임플란트를 나타낸 도면,
도22는 최종 요추-제1 엉치뼈의 영역에 대한 임플란트의 다른 변형예의 등쪽 도면,
도22a는 도22에 따른 임플란트의 사시도,
도22b는 엉치뼈 상으로의 체결 수단/루프들을 가진 도22에 따른 임플란트를 나타낸 도면,
도22c는 주입 후에 클립들로써 고정된 도22에 따른 임플란트의 등쪽 도면,
도23은 임플란트의 다른 변형예의 등쪽 도면,
도23a는 도23에 따른 임플란트의 사시도,
도24는 임플란트의 다른 변형예의 등쪽 도면,
도24a는 도24에 따른 임플란트의 사시도,
도24b는 도24에 따른 임플란트의 상세 단면의 측면도,
도25는 임플란트의 다른 변형예의 등쪽 도면,
도25a는 도25에 따른 임플란트의 사시도,
도25b는 도25에 따른 임플란트의 측면도,
도25c는 도25에 따른 임플란트의 평면도,
도26a는 도25에 따른 임플란트의 변형예의 정면도,
도26b는 도26a에 따른 임플란트의 사시도,
도26c는 주입 후의 도26a에 따른 임플란트의 등쪽 도면,
도26d는 주입 후의 도26a에 따른 임플란트의 사시도, 및
도26e는 주입 후의 도26a에 따른 임플란트의 측면도이다.
도1은, 두 개의 인접한 척추체들(vertebral body)(2) 사이, 더 구체적으로 두 개의 극돌기들(spinous processes)(4,5) 사이에 배치되어, 척추 세그먼트(1)에 삽입된, 척추 임플란트(20)를 나타내고 있다. 극상 인대(7) 및 극간 인대(6)는 극 돌기들(4,5) 사이 및 그 위로 연장하며, 측면 주입을 통해 대체로 여유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본질적으로 스터럽(stirrup)(10)의 형태인, 상기 임플란트(20)는 극돌기들(4,5) 상에 지지된다.
도2는 삽입된 임플란트(20)의 등쪽에서 본 도면이며, 복측부(腹側部)(ventral aspect)(50) 상에서 서로 연결된 수단(11,12)이 극돌기들(4,5) 상에 지지됨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1에서, 임플란트(20)는 U자형 슈(58)에 의해 하나의 극돌기(4) 상에 그리고 새들형 지지부(56)에 의해 다른 극돌기(5) 상에 지지됨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슈(58) 및 지지부(56)의 단면은 도2에 나타나 있다.
도3은, 예컨대 개의, 척추의 극돌기들(4,5) 사이로의 임플란트(20)의 삽입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임플란트(20)는 집게형 압축 도구(30)로써 압축되는 두 개의 섕크들(52,54)을 가지며 이러써 새들형 지지부(56)에서 슈(58)의 원주방향 에지까지 측정된, 임플란트(20)의 최대 폭 B가 크게 감소되어 (극간 인대(6)의 부분의 사전 제거 후에) 측면 삽입이 가능해진다. 상기 압축 도구(30)는 집게 아암들(31) 상에 측면으로 배열된 두 개의 공구들(32), 더 구체적으로 상기 도구의 축(15)의 방향에 평행하게 돌출하는 돌출부들 또는 후크들 또는 핀들을 가지며, 이들은 임플란트(20)의 적절한 지점에서 결합하며 극돌기들(4,5) 사이로의 임플란트(20)의 압축 및 측면 삽입을 허용하게 된다.
상기 압축 도구(30)의 압축 및 제거를 중단한 후에,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는 스프링-탄성 연결부(50) 및 또한 스프링-탄성 섕크들(52,54)의 복원력에 의해 극돌기들(4,5) 상에 지지된다.
도5는 제1 탄성 섕크(152)와 제2 탄성 섕크(154)를 연결하는 임플란트의 상기 복측부 상에 탄성 연결부(50)를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20)의 제1 실시예(100)를 나타내고 있다.
탄성 연결부(50)와 함께 섕크들(152,154)은 U자형 스터럽(10)를 형성한다. 극돌기(5) 상에 지지하기 위해 상기 임플란트(20)는 새들형 지지부(156)를 가진다.
척추(1)의 극단적인 유연함과 함께 상기 새들형 지지부(156)는 임플란트(20)가 극돌기(5)에서 들어 올려지도록 허용하여 아무 방해를 받지 않는 굽힘 운동을 허용하게 된다. 적절한 임플란트 홈들(170,172)이 압축 도구(30)를 보유하도록 작용한다. 거친 부분 또는 코팅부의 형태로 될 수 있는, 적절한 톱니부 또는 표면 개조부들(162,162)이 임플란트(20)를 배복측(dorsoventral)(背 腹側) 방향으로 고정시킨다.
극돌기(4)에 부착하기 위해 그의 내측면에 적절한 표면 개조부들(160), 더 구체적으로 톱니를 가진 클립형 슈(158)가 제공된다.
도5a는 복측부(50)에서 두께 D를 변경할 수 있는, 임플란트(20)의 제1 변형예(180)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중간 부분(162)은 임플란트(20)의 복측부(50)에서 더욱 큰 안정성을 얻도록 임플란트(20)의 섕크들(152,154)로의 전이부보다 두껍게 될 수 있다(D1>D2).
도5b는 복측부의 폭 b가 변화하는 임플란트(20)의 제2 변형예(190)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복측부(50)의 중간 부분(192)은 임플란트의 섕크들(152,154)로의 전이부보다 넓게 될 수 있다(b1>b2).
도5b에, 섀들형 지지부(156)의 지지 섕크들(13,14) 사이의 각도 α가 도시된다. 새들의 설계에 따라, 상기 각도 α는 당해 종들의 해부학 상황에 적응될 수 있으며 0°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10°내지 90°사이의 값들을 취할 수 있다. 이는 후술되는 등쪽의 도면에서 더 상세하게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각도는 해부학에 적응할 수 있다. 지지 섕크들(12,13)은 균일하지 않지만 그들이 약간 구부려지거나 또는 U자형으로 시작한 후에 제1 각도에서 V자형으로 된 다음, 다른, 제2 각도로 진행한다는 점에서 얇은 조각 및 극돌기의 해부학적 형상에 적응하게 된다. 측면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지지 섕크(14)를 다른 섕크(13)보다 짧게 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각도 α는 동물의 종 및 인종에 따라 정해진다. 일반적으로 상기 새들은 가장 넓은 의미로 V자형 만이며 매끄럽고, 날카로운-에지 각 대신에 비교적 둥그런 형상을 가진다. 부드러운 V자형 대신에 U자형도 지지부에 대해 가능하며, 상기 섕크들은 그들이 연결되는 곳 가까이에서 0°내지 30°사이로 개방된 후, 섕크의 단부를 향해, 예컨대 제2의, 부드럽게 구부려지거나 또는 둥근 형상으로, 90°로 갈라지게 된다.
도6은 압축 도구(30)로써 압축된 임플란트(20)의 상세도를 나타내고 있다. 집게 아암들(31) 상에 측면으로 배열된 공구들(32)을 통해, 임플란트(20)는 상당한 폭의 감소가 발생되는 방식으로 가요성 섕크들(52,54)의 영역으로 압축된다. 이로써 임플란트(20)의 폭이 슈(58) 및 지지부(56)의 크기를 공칭 임플란트 폭 B 정도로 감소된 때 측면 주입을 허용하게 된다.
도6a 및 6b는 주입 슬리브(33) 내에 압축된 상태로 있는 임플란트(20)를 나타내고 있다. 주입 슬리브(33)는 주입 장소로의 최소한의 외과적 침입에 의한 접근 및 그의 준비를 허용하게 된다. 임플란트의 압축은 상기 슬리브의 내부 윤곽 상의 돌출부들(34) 또는 압축 걸쇠(35)에 의해 직접적으로 유지된다. 임플란트가 극돌기들 사이의 최적의 위치에 배치된 후에, 상기 임플란트는 슬리브(33) 또는 압축 걸쇠(35)의 철회에 따라 그의 목표 사이즈로 펼쳐진다.
도7은 배쪽 안정화 클립(220)을 가진 임플란트(20)의 변형예(200)를 나타내고 있다. 임플란트(20)의 복측부(250)에 부착하기 위해, 임플란트 섕크들(252,254)들로의 전이부에 적절한 돌출부들(211) 및/또는 홈들(212)이 제공된다.
상기 안정화 클립(220)은 두께가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중간 부분은 단부들(D2)보다 두껍다(D1). 또한, 안정화 클립(220)의 폭 b는 그의 길이방향으로 변화할 수 있다. 상기 안정화 클립(220)의 변형들은 임플란트(20)의 복측부(250)를 안정화시킴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필수적으로 각도 안정성, 즉 단부들의 면적의 안정성을 증가시키지는 않는다.
도7a는 클립(220)의 측면으로의 미끄러짐 또는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안정화 클립(220)의 축방향 단부들 상에 제공된 축방향 돌출부들(222)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돌출부들(222)은 홈(212) 또는 임플란트의 외부면들 상의 상기 홈(212) 위의 돌출부 내의 대응하는 홀더들에 결합된다.
도7b는 측면 이동에 대해 안정화 클립(220)을 보유하기 위한 다른 가능성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안정화 클립(220)은 톱니 홈들(224)을 가지며 그 내측으로 임플란트 홈들(212)을 갖는 대응하는 톱니형 돌출부들(226)이 결합된다.
도8은 클립형 슈(358)가 섕크(354)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하게 연장하는 아치(340)를 형성하며 상기 슈의 두 개의 단부들(360)이 반경방향 안쪽으로 변형됨으로써 톱니가 형성되는 임플란트(20)의 다른 변형예(300)를 나타내고 있다. 이로써 극돌기(4)로의 유연한 맞춤 및 변형된 단부들(360)을 통한 그곳으로의 부착을 허용하게 된다.
폭이 변화하는 극돌기(4)의 표면으로의 최적의 맞춤을 위해, 클립형 슈(358)의 측면들은 슬릿(320)을 통한 텅으로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이 텅들(330)은 극돌기(4) 상에 개별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9는 클립형 슈(458)만이 제조 과정 중에 임플란트의 잔여부와 결합하게 되는 임플란트(20)의 변형예(400)를 나타내고 있다. 이로써 관련 요건들에 대한 특성들을 나타내는 두 개의 재료들에 대한 조합을 허용하게 된다. 따라서, 복측부(410)은 스프링 탄성 재료로 제조되는 한편, 클립형 슈(458)는, 예컨대, 변형 가능한 재료 또는 기억 금속(니티놀)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로써 (예컨대 상기 집게의 도움 등으로) 극돌기(4) 내로 단부들(460)을 구부려서 삽입하도록 허용하게 된다. 기억 금속을 이용할 때, 클립형 슈(460)는 주입 중에 넓게 개방되고 주입 후에 상기 슈(460)가 가열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칙(cheek)(440)은 극돌기(4)를 향해 아치형으로 구부려져 있으며 단부들(458)로써 임플란트(20)를 극돌기(4)에 부착시킨다.
측면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섀들도 상기한 재료들 중 하나로 제조될 수 있다. 기억 금속으로 제조되는 경우, 삽입 시의 섀들의 구멍 각도는 150°-180°(즉, 실질적으로 편평하게) 정도로 될 것이며, 약간 가열 후에 섀들형 지지부에 대해 (원하는 형상의) 전술한 값들로 조정될 수 있다.
U자형 스터럽(410)은, 예컨대, 용접 솔기, 접착제, 나사, 리벳 또는 스냅형 연결부(450) 등에 의해 클립형 슈(458)에 영구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섀들형 지지부(156)는 분리되어 제조되어 작동 전 또는 작동 중에 U자형 스터럽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상기 스터럽은, 예컨대, 단순하게, 구부려진 금속 스트립 또는 섬유 합성물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대응하는 해부학적 형상 및 폭을 선택한 후에, 상기 지지부들 및 슈들은 다른 방식으로 상기 섕크들의 단부들에 결합 또는 연결된다.
도10은 임플란트(20)의 조립되어 있는 두 개의 부분의 변형예(500)의 등쪽 도면이다. 도 10a에 확대도로 도시된, 이 변형예(500)에서, 클립형 슈(558)는 스터럽(510)에서 분리된다. 임플란트(20) 상의, 상기 클립형 슈(558)에 의해 커버되거나 또는 내측에 보유되는, 하나의 섕크(554) 상에 측면 홈들(540)이 형성된다. 이 방식으로, 임플란트(20)는 단지 약간의 압축만으로 극돌기(4,5) 사이로 측면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극돌기(4)에 고정하기 위해 삽입된 하나의 슈(558)도 측면으로 삽입된 후에 극돌기(4) 상으로 임플란트 섕크(554)를 통해 밀려진다. 임플란트 섕크(554)에 고정하기 위해, 슈(558)의 측면 부분들 밖으로 내측으로 노치된 텅(530) 등의 적절한 결합 메카니즘이 제공된다. 클립형 슈(558)의 측면들은 극돌기(4) 상에 최적으로 지지되거나 또는 나중에 극돌기의 폭에 대해 구부려지도록 스프링 탄성으로 되어 있다. 슈(558)의 측면 부분들의 내측면 상에, 극돌기(4)에 고정되기 위한, 톱니 등의, 표면 개조부들(560)이 형성된다.
도11은 임플란트의 세 개의 부분의 변형예(60)의 등쪽 도면이다. 임플란트(20)는 구부려진 슈(658)를 가지며, 그의 단부들(660)은 극돌기(4)를 향하게 되며 그 위에 놓이거나 그것에 고정된다. 극돌기(5)에 대한 섀들형 지지부(656)는 임플란트(20)의 대향 측 상에도 도시되어 있다. 슈(658)는 그의 대응하는 홈 및 스터럽(620)의 대응하는 섕크를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냅형 연결부(642)가 제공된 지지부(640)를 가진다. 스냅형 연결부(642)의 가시 있는 후크형 설계에 의해 결합 후에 슈(658)를 U자형 스터럽(610)에 연결하게 된다. 주입 후에, 구부려진 슈(658)가 처음으로 삽입되어 지지부(640)로써 극돌기(4)에 체결된다. 그 후, 약간 압축된 스터럽(610)이 측면으로 삽입되어, 스냅형 연결부(642)를 통해 지지부(640)의 클립형 홀더 상의 위치에 배치되어 최종 잠금 결합된다.
도12는 극돌기(4)에 고정하기 위한 보유 스트랩(730)을 가진 임플란트(20)의 또 다른 변형예(700)를 나타내고 있다. 임플란트 섕크(754)는 극돌기(4) 둘레에 최적으로 맞춰지도록 섀들형(755)으로 되어 있다. 고정 장치(720)는 섕크(754)에 부착되며 그 위에서는 일측 상에 부착된 보유 스트랩(730)의 시발점이 있고 타측 상에 보유 스트랩(730)이 극돌기(4) 주위로 통과한 후에 보유 스트랩(730)을 잡아두는 체결 메카니즘(760)이 제공된다. 상기 고정 장치(720)는 분리되어 제조되거나, 또는 섕크(754)로 확고하게 통합될 수 있다. 스트랩(730)의 단부(734)를 고정 장치(720)로 용이하게 조이도록, 보유 스트랩(730)은 그의 단부(734)가 빳빳하게 보강됨이 바람직하다. 돌출 단부(734)는 배치되고, 조여지며 체결 메카니즘(760)에 의해 고정된 후에 절단될 수 있다.
섕크들(752,754) 상에, 임플란트(20)의 이동을 방지하여 척추(1)를 배복측 방향으로 안정화하는, 예컨대, 톱니 등의, 적절한 표면 개조부들(762,764)이 지지면들 내에 형성된다.
도13은 도12에 따른 임플란트의 변형예(700)의 등쪽 도면이다. 도13a, 13b 및 14c는 변형들을 체결하는 보유 스트랩(730)의 예들의 등쪽 단면도들이다.
도13a에서, 체결 메카니즘(760)의 변형(770)은, 보유 스트랩(730)을 끼우고조인후에 고정시키는, 웨지(774)를 가진다. 상기 웨지(774)는 떨어짐을 방지하도록 고정 장치(720)의 핀(772)에 연결된다. 보유 스트랩(730)을 조이면 자유 단부(734)는 (예컨대, 니들 홀더 등의) 도구에 회전 운동에 의해 감겨져서, 웨지(774)가 적절하게 설계된 경우, 상기 장치(720) 내로 압축됨으로써 보유 스트랩(730)을 빠지지 않게 보유하게 된다.
도13b는 역시 보유 스트랩(730)을 고정하게 되는 편심 체결 메카니즘(780)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체결 메카니즘(780)은 둥글거나 또는 타원형인 디스크(784)를 가지며, 고정 장치(720)에 편심(782)되어 부착된다. 디스크(784)는, 보유 스트랩(730)을 일방향으로 당겨지기만 하도록 허용하는, 팽팽한 위치(화살표)에 스프링에 의해 보유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편심 디스크(782)는 (예컨대 드라이버에 의한) 회전 운동에 의해 조여진 위치에 외측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도13c는, 케이블 바인더와 유사하게, 보유 스트랩(730)을, 일방향으로만 당겨지도록 허용하기 위한, 톱니가 제공되어, 조인 후에 그 위치에 고정시키게 되는, 스냅-록(794)을 통한 체결 메카니즘(790)을 나타내고 있다. 판 스프링으로 된 스냅-록(794)은 보유 스트랩(730)이 통과하여 당겨질 때 자유 공간(793)으로 탄력적으로 이동하는 반면에, 반대 방향으로는 정지부(792)에 대해 이동하도록 작은 공간만이 있다. 보유 스트랩(730)을 마주 향해 있는 경사 위치를 통해, 상기 스냅-록(794)은, 보유 스트랩(730)을 뒤로 당길 때, 정지부(792)가 스냅-록(794)의 이동을 차단할 때까지, 보유 스트랩에 대해 압축된다.
이미 고도의 운동 기능 과잉증을 나타내는 척추 세그먼트들(1)의 경우에, 굽힘 운동을 제한하도록 도12 및 13에서의 임플란트(20)의 파생예를 이용한다. 제2 장치(720)가 임플란트 섕크(752)에 연결되어 두 개의 인접한 극돌기들(4,5)이 각각 보유 스트랩(730)에 의해 스프링 탄성 스터럽(710)에 연결된다는 점에서, 극돌기(5)로부터 섀들형 지지부(752)를 들어올리는 것이 방지된다.
도14에, 말의 섀들형 지지부(156)의 변형예들 a)-e)이 도시된다. 섀들형 지지부(156)는 분리된 부품으로 제조되거나 또는 스터럽(10)의 형상에 통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섀들 형상은 가능한 한 편평한 지지부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극돌기(5)의 형상을 향해 배향된다. 상기 섀들형 지지부를 들어올리는 것을 허용하는, 도시된 임플란트 변형예들은 섀들 형상 14 a)-e)이다. 극돌기(5)로의 고정이 발생되는 다른 변형예들은 도14e)에 따른 섀들 형상으로써 설계된다.
도15는 상부 슈(158) 아래에 돌출부(855)를 갖는 임플란트(20)의 다른 변형예(800)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극돌기(4) 둘레의 루프/보유 스트랩이 임플란트 상에서 미끌어짐을 방지한다.
도16은 보유 스트랩(860)이 슬리브(870)로 통과되는 임플란트(800)의 체결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16a는 극돌기들(4,5) 사이로 삽입 후의 임플란트를 나타내고 있으며, 슬리브(870)는 극돌기로 미리 주입되어 있다. 이러한 극돌기로의 고정에 의해 안전하게 고정함을 허용하며 상기 슬리브는 보유 스트랩이 뼈들로 절단됨을 방지한다.
도17 및 17a는 임플란트(20)의 변형예(900) 상의 다른 루프/보유 스트랩 체결 변형예(955)를 나타내고 있다. 상부 슈(158) 위에, 임플란트를 극돌기 또는 추골궁(椎骨弓)에 고정하기 위한 루프/보유 스트랩들이 부착될 수 있는 돌출부(955)가 제공된다.
임플란트의 배 쪽으로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돌출부들(959)이 슈(158) 뒤에 있도록 고려되며, 주입 후에 추골궁에 접촉하게 된다.
도17b는 극돌기들(4,5) 사이로 삽입 후에 루프들(960)로써 체결하는 임플란트(900)를 나타내고 있으며, 추궁하(sublaminar) 방식으로 추골궁 둘레로 통과된다.
임플란트(20)의 변형예(1000)가 도18, 18a 및 18b에 도시되어 있다. 슈(158) 위에 측면으로 배치된 날개들(1055)이 추골궁 상에 지지되며 클립들(1060) 또는 루프들로써 고정될 수 있다.
도18은 클립들(1060)의 하나의 가능한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은 극돌기에서 측면으로 추골궁을 둘러싸며 길이가 조정 가능하다. 팽팽하게 된 상태에서, 그들은 날개를 추골궁에 확고하게 부착한다.
도19는 관련된 추골궁 판의 지지면들 상의 임플란트(20)의 변형예(1100)의 개조들(1151,152)을 나타내고 있다. 이 지점들에서 상기 판의 자극에 대처하도록, 실리콘 또는 PCU 등의, 더 연한 재료가 인가된다. 상기 지지 개조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 영역에만 영향을 주거나, 또는 슈(158) 및/또는 섀들형 지지부(156)의 영역에도 선택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도20, 20a, 20b 및 20c는 복측부가 세 개의 위치들에서 구부려진 임플란트(20)의 변형예(1200)를 나타내고 있다. 이 방식으로, 임플란트의 안정성이 최적화되며 측면 삽입을 위해 필요한 압축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20 및 도 20a는 루프들에 의해 임플란트를 고정시키도록 사용된 슈(148) 상에 측면으로 배치된 돌출부들(1255)을 나타내고 있다.
도20b는 돌출부들(1255)이 없는 임플란트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20c에서, 돌출부들(1295)은 날개들이며 주입 후에 추골궁에 대해 놓여있게 된다. 그들은 루프들/보유 스트랩들의 클립들로써 추골궁에 고정될 수 있다.
도21은 최종 요추- 제1 엉치뼈의 영역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패들형 돌출부들(1355)을 가진 임플란트(20)의 다른 변형예(1300)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돌출부들(1355)은 스파이크들, 구멍들, 코팅들 또는 더 양호한 고정을 허용하는 홈의 형태의 표면 개조부들을 가질 수 있다. 임플란트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돌출부들은 힘줄들 사이, 또는 힘줄들 및 엉치뼈 사이에 배치된 최종 요추의 극돌기의 뒤쪽으로 밀려진다.
도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슈(1358)는 섀들형이며 섀들형 지지부(1356)는 제1 엉치뼈의 극돌기 상에 최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변화된다. 돌출부들(1355)은 형상 및 수가 변화할 수 있고 주입 중 또는 후에 적절한 장치(1357) 상의 임플란트에만 연결될 수 있다.
도21b는 최종 요추의 극돌기(1304) 및 제1 엉치뼈의 극돌기(1305) 사이로 삽입 후의 임플란트(1300)를 나타내고 있다. 패들형 돌출부들(1355)은 엉치뼈(1307) 및 그에 부착된 힘줄(1306) 사이로 밀려진다.
도22에는, 최종 요추- 제1 엉치뼈의 영역에 있어서의 임플란트의 다른 변형예(1400)가 도시되어 있다. 극돌기를 보유하기 위한 상부 슈(1458)는 섀들형이며, 하부 슈(1456)는 제1 엉치뼈를 더 양호하게 보유하며 다른 해부학적 조건들을 고려하도록 더 깊은 절개부를 가진다.
도22a는 제1 엉치뼈의 얇은 조각상의 지지를 개선하도록 의도된, 임플란트 섕크(1452) 상에 M자형 수축부(1455)를 가진 임플란트(1400)를 나타내고 있다. 임플란트를 루프들/보유 스트랩들 또는 클립들을 이용하여 엉치뼈에 부착할 수 있도록, 루프들이 통과하여 결합된 클립들을 통과할 수 있는 홈(1451)을 가진다.
도22b는 홈(1451)을 통과하는 루프들(1460)을 나타내고 있다.
도22c에서, 임플란트는 최종 요추(1404) 및 제1 엉치뼈(1405)의 극돌기들 사이로 삽입된다. 각각 소공 천골(薦骨) 등부분(1407) 상에 결합하는, 클립들(1570)에 의해, 상기 임플란트가 엉치뼈(1406)에 고정된다.
도23은 최종 요추- 제1 엉치뼈의 영역에 있어서의 임플란트(20)의 변형예(1500)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임플란트는 최종 요추 및 엉치뼈 둘 다에 임플란트를 체결하도록 허용하는 측면 돌출부들(1555,1545)을 가진다.
도2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슈(1558)는 극돌기 상에 지지되도록 더블 패들로써 설계된다. 패들 뒤에, 배쪽 아치 상에 지지되어 배쪽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다른 돌출부들(1559)이 제공된다.
도24에, 임플란트(20)의 다른 변형예(1600)가 도시된다. 더 연한 재료들이 사용될 때 척추 세그먼트의 확장 운동을 제한하기 위해 필요한 안정성을 얻도록 복측부(50)는 블록형 방식으로 두껍게 되어 있다. 굽힘 이동성을 보존하도록, 상기 복측부는 유연한 섕크들(1654,1652)을 통해 지지부들(1656,1658)에 연결된다. 이들은 루프들/보유 스트랩들 또는 클립들을 이용하여 극돌기들에 연결될 수 있다. 최종 요추- 제1 엉치뼈의 영역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섀들형 지지부(1656)가 넓어질 수 있고 섕크(1652)는 길어질 수 있으며, 복측부(1650) 및 섕크(1652) 사이의 각도는 조정될 수 있다.
도24a는 임플란트(1600)의 사시도이다. 슈(1658) 뒤에, 주입 후에 추골궁 상에 지지된 돌출부들(1659)이 제공된다. 추골궁 판 상에 지지하기 위해 복측부(50)가 스텝(1659)을 가진다.
도24b는 유연함을 증가시키도록 수축 형태의 임플란트 섕크(1652)의 영역에 있는 개조예(1670)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상기 임플란트는 척추 세그먼트의 굽힘 운동을 더 잘 따르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수축은 하나 또는 양쪽의 임플란트 섕크들에 존재할 수 있다.
도25 및 25a에, 다른 임플란트 변형예(17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임플란트는 극돌기에 대한 지지면들(1758,1756)에 연결된 두 개의 부분의 쉘(1750)을 포함한다. 상기 쉘(1750)은 하나의 쉘(1740)이 미끄럼 이동하게 되는 더블 쉘(1741)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더블 쉘(1741)은 서로 대향하는 활주면들(1751,1752)을 가진다. 쉘(1740)은 이들 활주면들 내에서 미끄럼 이동하며, 또한 더블 쉘(1741)에 대향하는 활주면들(1753)을 가진다. 쉘 에지를 개조함에 의해 임플란트의 두 개의 부분들의 완전한 분리가 방지되거나 또는 이끄럼 이동이 원하는 정도로 제한된다.
도25b는 시상면(sagittal plan)에서의 쉘들의 곡률을 나타내고 있다. 모든 활주면들의 반경들은 서로 동심이며, 관련 쉘로부터 반경(1755)의 거리에 있는, 척추 세그먼트의 생리학적 회전 중심에서 만나게 된다.
도25c는 쉘(1750)의 횡단면에서의 쉘 곡률을 나타내고 있다. 모든 활주면들의 반경들은 서로 동심이며, 관련 쉘로부터 반경(1754)의 거리에 있는, 척추 세그먼트의 생리학적 회전 중심에서 만나게 된다.
도26a 및 26b는 (예컨대, 실리콘, PCU 등의) 탄성 재료(1710)의 스트랜드가 더블 쉘(1741) 사이로 삽입되는 점에서 도25에 도시된 임플란트(1700)의 다른 양태를 나타내고 있다. 측면 삽입을 위해, 두 개의 부분의 임플란트의 주입 후에 척추 세그먼트의 확장 경로를 제한할 때까지 스트랜드를 삽입하지 않는 것이 유익하다.
도26c, 26d 및 26e는 주입 후에 임플란트(1700)의 여러 가지 도면들을 나타내고 있다. 도26c는 등쪽 도면이고, 도26d는 사시도이며 도26e는 회전 중심 Dz이 도시되어 있는 측면도이다.
2 : 척추체
4,5 : 극돌기
6 : 극간 인대
7 : 극상 인대
10 : 스터럽
20 : 임플란트
30 : 압축 도구
33 : 주입 슬리브
34 : 돌출부
35 : 걸쇠
50 : 복측부, 탄성 연결부
13,14, 52,54 : 섕크
56 : 섀들형 지지부
58 : 슈

Claims (23)

  1. 스터럽(10)과, 극돌기들(4,5)의 방향으로 그의 자유 단부들에 극돌기들(4,5) 상에서 지지되기 위한 수단(11,12)이 제공된, 복측부(50)를 가지며, 두 개의 극돌기들(4,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척추 세그먼트들(1)의 동적 안정화를 위한 수의학 또는 인간 의학에서의 척추 임플란트(20)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의 폭이 주입을 위해 감소될 수 있어서 상기 수단(11,12)을 포함하는 임플란트의 폭은 공칭 임플란트 폭 B와 대략적으로 대응하며 상기 수단(11,12) 중 적어도 하나는 섀들형 지지부(56,156)로서 설계되며, 그의 섀들 플랩은 상기 임플란트가 극돌기들 사이로 측면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짧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임플란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섕크들(13,14)을 가지며 상기 섕크들(13,14) 중 적어도 하나에는 압축 도구(30)의 사용중 미끄럼 방지 및 부착을 위한 에지-개방 절개부 또는 드릴 구멍(170)이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임플란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20)는 주입 슬리브(33)를 통해 주입되어 최소 절개 접근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임플란트.
  4.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156)에는 적어도 단면들에 배복측 이동(배복측 방향으로의 임플란트의 변위)을 방지하도록 리플링(riffling), 코팅, 홈들 또는 톱니들(162,164)의 형태로 극돌기(5)에 대향하는 표면 개조부가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임플란트.
  5.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단(11)은 극돌기에 의해 펼쳐져 개방되며 프리텐션 방식으로 극돌기 상에 놓이게 되는 스프링-탄성 보유 클립(358,458,658)으로서 설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임플란트.
  6.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및/또는 제2 수단(12 및/또는 11)은 섕크(152,154)의 자유 단부 상에 고정 가능하고, 스터럽(10)의 주입 후에 그에 부착될 수 있는, 극돌기(4 및/또는 5)와 접촉되는, 보유 모듈(558)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임플란트.
  7.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의 복측부(150,250)를 따라, 상기 스터럽(10)에는 그의 내측 장소에 그의 압축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주입 후에 여러 가지 곡률들 및/또는 스프링 율들의 인서트들(220)이 제공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임플란트.
  8.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측부(250)는 세 번 구부려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임플란트.
  9.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및/또는 제2 수단(11,12)은 폭이 조정되어 부착될 수 있는 극돌기(4)를 둘러싸는 루프 또는 보유 스트랩(730)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보유 스트랩은 극돌기 주위로 통과되거나, 또는 극돌기를 통한 천공 및 슬리브(870)의 삽입 후에, 극돌기를 통해 조여질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임플란트.
  10. 최종 요추(1304) 및 제1 엉치뼈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극돌기(1304,1305)상에 지지되기 위한 수단(1356,1358)이 제공된, 특히 척추 세그먼트들을 안정화하기 위한, 수의학 또는 인간 의학에서의 척추 임플란트(1300)에 있어서, 엉치뼈 상의 힘줄막으로 또는 그 아래로 사전 준비후 삽입되는 임플란트에 측면 돌출부들(1355)이 고정을 위해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임플란트.
  11.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임플란트를 고정하도록 사용되는 측면 돌출부들(1355)은 임플란트 삽입 중 또는 그 후에만 임플란트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임플란트.
  12.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임플란트를 고정하도록 사용되는 측면 돌출부들(1355)에는 거친면, 홈들, 구멍들 또는 뾰족한 것 등의 적절한 표면 개조부들(1364)이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임플란트.
  13.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엉치뼈의 얇은 조각 상에 양호하게 접촉하기 위해, 최종 요추-제1 엉치뼈의 영역에 대해 상기 임플란트는 구부러진 좁은 부분(1455)을 가지며 제1 엉치뼈 극돌기 또는 등 부분 엉치뼈(sacralia dorsalia)에 루프들(1460) 또는 클립들(1470)에 의해 고정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임플란트.
  14.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측부(50)는 블록 형태로 설계되며 두 개의 섕크들(1652,1654)을 통해 고정 수단(1656,1658)에 유연하게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임플란트.
  15.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섕크(1652)는 유연함을 증가시키기 위한 수축부(167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임플란트.
  16. 두 개의 극돌기들(4,5)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쉘(1750)에는 극돌기들(4,5) 상에 지지되기 위한 수단(1756,1758)이 제공된, 특히 척추 세그먼트들을 안정화하기 위한, 수의학 또는 인간 의학에서의 척추 임플란트(1700)에 있어서, 상기 쉘(1750)은 등쪽으로 구부려지며, 그 곡률은 척추 세그먼트(1754,1755)의 선회 지점으로 배향되며 상기 쉘(1750)은 두 개의 부분들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임플란트.
  17. 제16항에 있어서, 두 개의 부분의 쉘(1750)의 두 개의 절반부들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탄성 재료의 스트랜드(1710)가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임플란트.
  18.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는 루프들/보유 스트랩들(86)을 임플란트 상에 고정하도록 허용하는 돌출부들(855,955)을 가지며, 상기 루프들은 추골궁 또는 극돌기 둘레에 추궁하(sublaminar) 형태로 통과됨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임플란트.
  19.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는 클립들(1060) 또는 보유 스트랩들(960)로써 추골궁에 부착될 수 있는 날개들(1055)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임플란트.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는 클립들 또는 루프들에 의해 고정하도록 사용되는 측면 돌출부들(1545,1555)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임플란트.
  21.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얇은 조각들 및/또는 극돌기에 대한 접촉면들(1151,1152)이 완충을 위한 제2의, 유연한 재료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임플란트.
  22.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단(12), 제2 수단(11) 및/또는 임플란트의 복측부(50,250)는 : 니탄올, 티타늄 또는 티타늄 합금, 스프링 또는 임플란트 강, CoCr, CoCrMo, CoCrNiMo 등의 코발트-크롬 합금,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 우레탄, PEEK, PEK, PEKK, PSU, PPS 또는 실리콘 및 섬유 합성 재료 또는 상기 재료들 중 여러 개의 조합 등의 고탄성 재료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임플란트.
  23.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또는 제2 수단(12 및/또는 11)은 극돌기(4,5)의 해부학적 형상에 대한 형상 및/또는 폭에 대응함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임플란트.
KR1020107025600A 2008-04-30 2009-04-25 척추 임플란트 KR201100217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22326A DE102008022326A1 (de) 2008-04-30 2008-04-30 Wirbelsäulenimplantat
DE102008022326.3 2008-04-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775A true KR20110021775A (ko) 2011-03-04

Family

ID=41104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5600A KR20110021775A (ko) 2008-04-30 2009-04-25 척추 임플란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10040383A1 (ko)
EP (1) EP2296565A2 (ko)
KR (1) KR20110021775A (ko)
CN (1) CN102083380A (ko)
CA (1) CA2722193A1 (ko)
DE (2) DE102008022326A1 (ko)
RU (1) RU2010142932A (ko)
WO (1) WO200913263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77949A1 (en) * 2011-02-22 2014-01-01 Simpirica Spine, Inc. Spinous process cerclage for bone graft containment
US8500749B2 (en) 2011-04-19 2013-08-06 Prescient Surgical Design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inserting intervertebral implants
CN104602629A (zh) * 2012-08-31 2015-05-06 新南创新公司 骨稳固器设备以及使用其的方法
EP2892453B1 (en) * 2013-08-30 2019-05-08 NewSouth Innovations Pty Limited Spine stabilization device
CN106037906B (zh) * 2016-07-04 2018-08-07 首都医科大学 一种可转动的腰椎弹性固定装置
CN112315568B (zh) * 2020-10-29 2023-02-03 四川大学华西医院 一种椎间孔结构维持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6318A (en) 1993-01-08 1996-03-05 Advanced Spine Fixation Systems, Inc. Interspinous segmental spine fixation device
FR2722980B1 (fr) 1994-07-26 1996-09-27 Samani Jacques Implant vertebral inter-epineux
US5860977A (en) 1997-01-02 1999-01-19 Saint Francis Medical Technologies, Llc Spine distraction implant and method
FR2774581B1 (fr) 1998-02-10 2000-08-11 Dimso Sa Stabilisateur interepineux a fixer a des apophyses epineuses de deux vertebres
FR2775183B1 (fr) 1998-02-20 2000-08-04 Jean Taylor Prothese inter-epineuse
JP3708883B2 (ja) * 2002-02-08 2005-10-19 昭和医科工業株式会社 椎体間隔保持具
US20070270824A1 (en) * 2006-04-28 2007-11-22 Warsaw Orthopedic, Inc. Interspinous process brace
FR2902639B1 (fr) * 2006-06-26 2008-08-22 Arca Medica Gmbh Implant destine a la stabilisation de la region lombo sacree
AR064013A1 (es) * 2006-11-30 2009-03-04 Paradigm Spine Llc Sistema de estabilizacion vertebral, interlaminar, interespinoso
EP2197374B1 (en) * 2007-09-14 2018-10-31 Synthes GmbH Interspinous spac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96565A2 (de) 2011-03-23
DE102008022326A1 (de) 2009-11-12
US20110040383A1 (en) 2011-02-17
CN102083380A (zh) 2011-06-01
WO2009132633A2 (de) 2009-11-05
WO2009132633A3 (de) 2009-12-23
CA2722193A1 (en) 2009-11-05
DE112009001664A5 (de) 2011-04-07
RU2010142932A (ru) 2012-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17917B (zh) 棘突间脊椎和腰骶稳定装置及使用方法
US8043337B2 (en) Implant system and method to treat 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spine
TWI423782B (zh) 棘間的脊椎固定裝置
JP5000719B2 (ja) 腰部棘突起間プロテーゼ
US7695496B2 (en) Posterior dynamic stabilization Y-device
CN101677828B (zh) 棘突植入物及相关方法
KR100755244B1 (ko) 역동성 고정장치 및 이용 방법
US9468467B2 (en) Bone support apparatus
US20130085533A1 (en) Orthosis to correct spinal deformities
US20090192548A1 (en) Pedicle-laminar dynamic spinal stabilization device
KR20110021775A (ko) 척추 임플란트
EP2197374A1 (en) Interspinous spacer
US20130345753A1 (en) Intersegmental motion preservation system for use in the spine and methods for use thereof
US8840647B2 (en) Facet augmentation
CN102202590A (zh) 棘突间支撑体及其固定方法
CN102573706A (zh) 棘突间植入物及方法
US20180368890A9 (en) Interspinous stabilizer
US10278745B2 (en) Interlaminar, interspinous stabilization devices for the cervical spine
JP2007537834A (ja) 機能的脊椎単位プロテーゼ
JP2009523045A (ja) プレートおよび椎弓根スクリューを備えるシステムならびにその適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