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1152A - 사출 및 압출성형에 의해 조립되는 침대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침대 - Google Patents

사출 및 압출성형에 의해 조립되는 침대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1152A
KR20110021152A KR1020090078777A KR20090078777A KR20110021152A KR 20110021152 A KR20110021152 A KR 20110021152A KR 1020090078777 A KR1020090078777 A KR 1020090078777A KR 20090078777 A KR20090078777 A KR 20090078777A KR 20110021152 A KR20110021152 A KR 20110021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frame
injection
headboard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8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1602B1 (ko
Inventor
오성환
Original Assignee
오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환 filed Critical 오성환
Priority to KR1020090078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1602B1/ko
Publication of KR20110021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1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침대의 바닥재와 헤드보드, 다리부재의 구성을 이루는 프레임을 얻기 위한 프레임압출공정(SA),
b) 상기 프레임압출공정(SA)에 의해 얻게 되는 프레임의 저면부에 끼워지는 지지부재를 얻기 위한 지지부재사출 또는 압출공정(SB),
c) 상기 프레임압출공정(SA)에 의해 얻게 되는 프레임의 상측부에 끼워지는 MDF패널을 얻는 공정(SC),
d) 상기 a,b,c 공정을 거쳐 얻은 프레임을 이용하여 침대의 바닥재를 이루도록 조립하는 침대 바닥재 조립공정(SD),
e) 상기 a,b,c 공정을 거쳐 얻은 프레임를 이용하여 침대의 다리부재를 이루도록 립하는 침대 다리부재 조립공정(SE),
f) 상기 a,b,c 공정을 거쳐 얻은 프레임을 이용하여 침대의 헤드보드를 이루도록 조립하는 침대 헤드보드 조립공정(SF)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여,
침대를 이루는 각 구성인 헤드보드, 바닥재, 다리부재 등을 목재를 대신하여 수지류를 이용하여 사출 또는 압출 성형하여 구성하되, 압출 성형되는 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한 헤드보드와 바닥재, 다리부재 등의 구성이 가능하도록 호환성을 제공하여, 하나의 몰드에 의해 압출 성형되는 프레임을 이용하여 침대의 각 구성의 조립이 가능하게 되므로, 제품의 가격을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으며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사출 및 압출 성형에 의해 조립되는 침대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침대에 관한 것이다.
침대, 사출, 압출, 프레임, 지지부재, 연결부재, 헤드보드, 바닥재, 다리부재

Description

사출 및 압출성형에 의해 조립되는 침대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침대{SHOOTING AND PRESSURE TYPE CONSTRUCTION BED MANUFACTURE METHOD AND THAT'S GOODS}
본 발명은 침대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침대의 주요 구성을 이루는 침대의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과, 헤드보드, 바닥재, 다리부재 등을 사출 또는 압출 성형 한 후 각 구성 부품을 상호 용이하게 조립하여 완성된 침대 제품을 이루도록 하기 위한, 침대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 공간에서 사용되는 있는 가정용 침대는 일반 목재 침대와 철 침대 등으로 구분 될 수 있는데, 일반 목재 침대의 경우 원목 위에 우레탄락카 도장으로 표면처리 되여 사용되고 있고, 합성목이나 합판, M.D.F, 집 보드 등으로 사용되고 있는 소재들은 천연 무늬목이나 무늬목 시트로 마감 되거나 하이그로시 페인트로 마감처리 되여 사용되고 있으며, 철재류의 침대는 일반적으로 페인트 소부도장으로 마감 처리하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목재를 이용한 침대는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과,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는 깔판, 그리고 깔판 상부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메트리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중 상기 프레임은 헤드보드와, 헤드보드의 반대쪽에 마련되는 후드판과, 헤드보드와 후드판의 양단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된 한 쌍의 측판과 같은 부재들을 통해 구비한다.
그리고 이러한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각 부재들 사이에는 이들 사이를 연결하면서 프레임을 지지하도록 다리가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경우에 따라 상기 헤드보드의 하단이 지면에 지지되도록 하부로 길게 연장될 경우 이러한 헤드보드의 하단이 다리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헤드보드 쪽 측판의 단부는 상기 다리 없이 헤드보드에 직접 체결될 수 있다.
한편, 프레임을 이루는 상기 각 부재들 사이의 연결 및 프레임의 지지를 위한 상기 다리의 경우 상기 부재들 사이의 연결을 위한 것으로 상부에 마련되는 브라켓과,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브라켓 하부에 마련된 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브라켓 상에서 상호 연결되는 각 부재들의 대응하는 단부에는 이들을 가리기 위한 커버가 덮여지고, 상기 브라켓에는 프레임을 구성하는 부재들의 일단부가 볼트과 너트를 통해 조립되며, 상기 몸체는 브라켓의 하부에 나사를 통해 고정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많은 부품으로 구성되는 종래 침대의 다리의 경우 조립을 위한 작업공정이 많아지게 됨은 물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아울러 목재에 의해 침대를 제조하게 되어 침대 자체의 무게가 상당하여 운반 및 이동이 어려워 가격 상승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철재류의 침대도 무게가 무겁고 구성단위가 크게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 어, 이것도 생산성이 저하 되여 가격상승의 요인으로 작용되고 있는 것이다.
아울러, 이런 종래의 소재들로 구성 되여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침대들은 50~60대 이상 세대들의 취향에는 맞을지는 모르겠으나, 산업화시대를 지나 정보화시대를 맞이하면서 급변하고 있는 미디어문화의 발달과, 신소재들로 구성 되여 빠르게 디자인이 변화되고 있는 가전제품들과, 주거공간에서 사용되고 있는 인테리어 소제들의 디자인 변화에 따라 종래의 침대들로는 급변하게 변화되고 있는 주거공간과의 조화를 이루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보며, 또한 다양한 신 소제로 구성 되여 출
시되고 있는 수많은 디지털 제품들을 접하고 있는 20~30대 신세대들의 디자인 취향을 맞추기에도 한계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를 해소하기 위해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0594614호에는 그 등록특허공보를 통해 개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을 구성하는 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부위와 프레임을 지지하는 부위가 일체로 마련된 침대 다리의 여러 가지 실시예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이중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침대 다리의 경우 상부 양측에 측판과 후드판의 상호 대응하는 단부가 내부로 삽입되도록 각각 삽입부가 형성되며, “ㄱ”자 형상을 이루는 단일의 일체형 사출물로 제작된 침대의 다리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단일의 구성품으로 마련되는 침대 다리의 경우 상부 양측에 형성된 상기 삽입부에 후드판과 측면판이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이들을 나사를 고정시킴으로써 프레임을 이루는 부재들 사이가 연결되도록 하고 하부를 통해 프레임을 지지할 수 있게 되면서도 그 구성이 간소화되어 조립성과 생산성이 동시에 향상되도록 하 는 이점을 갖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침대 다리의 경우 조립성이 향상되고 생산속도가 빨라지는 이점이 있는 반면, 다수의 불량품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이와 같이 단일의 사출물로 제작되는 침대 다리의 경우 상기 측판이나 후드판의 삽입을 위해서나 재료비의 절감을 위해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사출성형시 먼저 한 쌍의 금형 사이에 다리의 내부 중공형상에 대응하는 코어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금형과 코어 사이에 형성되는 성형공간으로 용융수지를 주입하게 되고, 이후 용융수지가 건조된 상태에서 금형사이를 분리함과 동시에 제작된 다리의 내부로부터 코어를 빼내어 그 제작이 완료되는데, 이때 상기 코어를 제거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코어와 상기 다리를 형성하게 될 성형물 사이의 밀착력에 의해 코어를 다리로부터 빼내는 작업이 힘들게 된다.
따라서 이때는 상기 코어에 무리한 힘을 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어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상기 다리는 코어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코어에 과도하게 긁히게 되면서 부분적으로 구멍이 뚫리는 등 불량발생률이 현저하게 증가하게 되며, 이러한 현상은 금형 사이로 삽입되는 코어가 상기 성형공간으로 용융수지가 주입되는 과정에서 양측으로 유동 되면서 상기 다리의 특정부위가 다른 부위에 비해 더 얇게 형성될 경우 이러한 부위에서 더욱 집중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특허 등록 제 739832 호가 개시되고 있으나 이 또한 침대의 다리 부분을 사출 성형하여 조립 제조하는 것으로 침대의 전체 구성인 침대 프레임 중에서 헤드보드 및 바닥재 및 다리부재 등은 종전과 같이 목재류를 이용하여 제조하여야 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침대의 전체적 구성에서 목재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고 아울러 목재의 가공에 따른 침대 생산 가격 상승 요인을 해소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 침대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정보화시대에 급변하고 있는 소비자들의 디자인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새로운 디자인화 된 침대를 소비자들에게 제공함으로서 우리 사회의 주거생활에 새로운 침대 문화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침대를 이루는 각 구성인 헤드보드, 바닥재, 다리부재 등을 목재를 대신하여 수지류를 이용하여 사출 또는 압출 성형하여 구성하되, 그 압출 성형되는 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한 헤드보드와 바닥재, 다리부재 등의 구성이 가능하도록 호환성을 제공하여, 단일한 몰드에 의해 제공되는 부품을 이용하여 전체 침대의 구성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여 제품의 생산 원가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 침대의 바닥재와 헤드보드, 다리부재의 구성을 이루는 프레임을 얻기 위한 프레임압출공정(SA),
b) 상기 프레임압출공정(SA)에 의해 얻게 되는 프레임의 저면부에 끼워지는 지지부재를 얻기 위한 지지부재사출 또는 압출공정(SB),
c) 상기 프레임압출공정(SA)에 의해 얻게 되는 프레임의 상측부에 끼워지는 MDF패널을 얻는 공정(SC),
d) 상기 a,b,c 공정을 거쳐 얻은 프레임을 이용하여 침대의 바닥재를 이루는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조립하는 침대 바닥재 조립공정(SD),
e) 상기 a,b,c 공정을 거쳐 얻은 프레임을 이용하여 침대의 다리부재를 이루는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조립하는 침대 다리부재 조립공정(SE),
f) 상기 a,b,c 공정을 거쳐 얻은 프레임을 이용하여 침대의 헤드보드를 이루는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조립하는 침대 헤드보드 조립공정(SF),
에 의해 완성된 침대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g) 상기 d,e,f 공정에서 상기 프레임의 조립시 각 프레임간 접하는 접하는 부위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사출하는 연결부재 사출공정(SG)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공정에 의해 얻게 되는 사출 또는 압출 성형품을 이용하여 헤드보드, 바닥재, 다리부재로 이루어지는 침대의 구성을 이루되, 상기 헤드보드, 바닥재, 다리부재를 상호 조립하기 위해 압출 성형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간 접하는 부분에 결합되기 위해 사출 성형되는 연결부재로 구성하여, 상기 프레임과 연결부재간 조립 결합에 의해 침대의 헤드보드, 바닥재, 다리부재를 구성하여 상호 조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은 상하측은 각각 일직선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측은 라운딩 처리되고 내측은 개방되는 형상을 이루되, 내부에 다수개의 보강재가 일체로 형 성되고, 양측으로 이격 대향 되는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 프레임 내측에 끼워지기 위해 사출 또는 압출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상면에 위치되며 상기 프레임의 상부 저면에 끼워지는 패널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부재는 기저부를 이루고, 상기 기저부 상면으로 "T"자형상으로 수직상 일체로 이루어지는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몸체부 일측방향 또는 양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삽입돌부를 형성하여, 프레임 내부를 구획하는 보강재에 의해 이루어지는 공간부에 강제 삽입 체결하여 상호 프레임을 연결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침대를 이루는 각 구성인 헤드보드, 바닥재, 다리부재 등을 목재를 대신하여 수지류를 이용하여 사출 또는 압출 성형하여 구성하되, 그 압출 성형되는 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한 헤드보드와 바닥재, 다리부재 등의 구성이 가능하도록 호환성을 제공하여, 하나의 몰드에 의해 압출 성형되는 프레임을 이용하여 침대의 각 구성의 조립이 가능하게 되므로, 제품의 가격을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으며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하는 도면 등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침대의 각 구성을 이루는 구성부를 각각 수지를 이용하여 사출 또는 압출 성형하여서 되는 부품을 얻은 후, 그 부품을 이용하여 상 호 조립하도록 하므로서 완성된 침대를 얻을 수 있는 기술적 구성을 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a) 침대의 바닥재와 헤드보드, 다리부재의 구성을 이루는 프레임을 얻기 위한 프레임압출공정(SA),
b) 상기 프레임압출공정(SA)에 의해 얻게 되는 프레임의 저면부에 끼워지는 지지부재를 얻기 위한 지지부재사출 또는 압출공정(SB),
c) 상기 프레임압출공정(SA)에 의해 얻게 되는 프레임의 상측부에 끼워지는 MDF패널을 얻는 공정(SC),
d) 상기 a,b,c 공정을 거쳐 얻은 프레임을 이용하여 침대의 바닥재를 이루도록 조립하는 침대 바닥재 조립공정(SD),
e) 상기 a,b,c 공정을 거쳐 얻은 프레임를 이용하여 침대의 다리부재를 이루도록 립하는 침대 다리부재 조립공정(SE),
f) 상기 a,b,c 공정을 거쳐 얻은 프레임을 이용하여 침대의 헤드보드를 이루도록 조립하는 침대 헤드보드 조립공정(SF)에 의해 본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프레임을 압출 성형한 후 이로부터 얻게 되는 프레임을 이용하여 침대의 구성을 이루는 헤드보드, 바닥재, 다리부재의 조립 구성이 가능하도록 개시된다.
a - 프레임압출공정 ( SA )
프레임압출공정(SA)은 전술한 바와 같이 침대의 바닥재와 헤드보드, 다리부재의 구성을 이루는 프레임(100)을 얻기 위한 공정이다.
이 공정(SA)에 의해 압출 성형하여 얻게 되는 압출 성형품인 프레임(100)은 도 2에 기재된 바와 같다.
즉, 상기 프레임(100)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측은 각각 일직선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측은 라운딩 처리되고 내측은 개방되는 형상을 이루되, 내부에 다수개의 보강재(110)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 보강재(110)에 공간부(120)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프레임(100)은 일정 길이로 금형내에서 압출 성형되어 얻게 되는바, 상기 프레임(100)을 이용하여 침대의 구성을 이루는 헤드보드(10), 바닥재(20), 다리부재(30)에 동일하게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b - 지지부재사출 또는 압출공정( SB )
전술한 구성을 갖는 프레임(100)을 이용하여 침대의 구성을 이루는 헤드보드(10), 바닥재(20), 다리부재(30) 등을 구성하고자 할 경우, 프레임(100)과 프레임(100)을 상호 대향되도록 이격 시킨 상태에서 상기 각 프레임(100)을 상호 연결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구성으로 제시되는 것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은 지지부재(200)가 개시된다.
상기 지지부재(200) 또한 전술한 프레임(100)과 마찬가지로 금형 몰드내에 수지를 이용하여 일정 모양의 패턴을 갖으며 사출 또는 압출 성형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부재(200)는 기저부(210)를 이루고, 상기 기저부(210) 상면으로 "T"자형상으로 수직상 일체로 이루어지는 지지부(220)로 이루어지도록 사출 또는 압출 성형 된다.
이와 같은 지지부재(200)는 프레임(100)간 이격 거리를 메워줌은 물론 침대(1)에서 바닥재(20) 상면으로 얹혀지는 매트리스를 지지하거나 헤드보드(10)의 전면측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채택된다.
이러한 지지부재(200)의 일단측은 도 7에서 보듯이 프레임(100) 내측에 끼워진 후 후술하게 되는 패널부(230)가 상기 지지부재(200)의 상면측을 이루는 지지부(220) 상면에 안착되면서 동시에 프레임(100) 상단 내측에 끼워지며 고정 결합되도록 하였다.
c - MDF 패널을 얻는 공정( SC )
본 공정은 전술한 지지부재 사출 또는 압출공정(SB)에 의해 사출 또는 압출 성형 되는 지지부재(200)의 상면측을 커버하기 위한 공정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공정에 의해 얻게 되는 MDF패널을 본 발명에서는 패널부(230)라 명명한다.
상기 패널부(2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 프레임(100)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헤드보드(10), 바닥재(20), 다리부재(30)의 상면 또는 전면을 커버하며 마감하게 되는 구성이다.
상기 패널부(230)는 MDF를 이용하여 적정 길이와 폭으로 절단 처리한 다음, 그 표면에 상도, 중도, 하도에 의한 종전의 방법과 같이 도장 처리를 하여 얻는다.
이와 같이 얻게 되는 패널부(230)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레임(100)과 프레임(100) 내측간을 연결하도록 끼워지게 되는 지지부재(200)의 상면측에 개재되 어진다.
즉, 도 7에서 보듯이 지지부재(200)가 프레임(100)간 내측을 상호 연결한 후 프레임(100)의 하측과 지지부재(200)의 기저부(220)간을 피스 등의 고정 수단을 통하여 고정시키게 되는데, 상기 지지부재(200)의 상면과 프레임(100) 상측 저면과는 일정간격 이격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100) 상측 저면과 지지부재(200) 상면간 이격되는 공간으로 상기 패널부(230)를 끼워넣은 다음 피스 등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패널부(230)와 지지부재(200)간을 고정하게 된다.
d - 침대 바닥재 조립공정( SD )
본 공정은 전술한 공정인 프레임압출공정(SA), 지지부재사출 또는 압출공정(SB), MDF패널을 얻는 공정(SC)를 거친 프레임(100) 및 지지부재(200)와 패널부(230)를 이용하여 침대 바닥재(20)를 조립하는 공정을 의미한다.
먼저,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압출공정(SA)에 의해 얻게 되는 프레임(100)의 내측(본 발명에서의 프레임에서 라운딩 처리되는 부분을 외측이라 칭하였는바 이에 대응되는 타측을 본 발명에서는 내측이라 칭하였다)으로 지지부재(200)의 일단측을 끼우게 된다.
그런 다음 지지부재(200) 타측으로도 프레임(100)이 대향되도록 하며 타 프레임의 내측으로 상기 지지부재(200)의 타측이 삽입되도록 하여 침대 바닥재(20)의 좌우측을 조립하게 된다.
아울러 이와 같이 조립된 침대 바닥재(20)의 전면측에도 동일한 프레임(100) 을 이용하여 상기한 지지부재(200)와 결합하게 된다.
상기한 지지부재(200)는 기저부(210)를 이루고, 상기 기저부(210) 상면으로 "T"자형상으로 수직상 일체로 이루어지는 지지부(220)로 이루어지도록 사출 또는 압출 성형되는데, 상기 지지부재(200)에 의해 프레임(100)간 가연결이 이루어지면 상기 지지부재(200) 상면측으로, 전술한 패널부(230)를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패널부(230)의 고정 형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200)의 일구성을 이루는 지지부(220) 상면측에 패널부(230)가 안착되는 상태에서 그 단부측 즉 패널부(230)의 단부측이 프레임(100) 내측 상단 저면으로 삽입되며 지지부(220)와 긴밀하게 밀착되어지는 것이고, 이와 같이 밀착되도록 강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220)와 패널부(230)간 피스 등에 의해 고정되어진다.
이때 도 5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 프레임(100)과 전면측에 위치되는 프레임(100)간 원할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접하는 부위의 각 프레임(100) 단부측을 사선방향으로 절개하게 된다.
따라서 사선방향으로 절개되어 서로 직각 방향으로 접하게 되는 부분은 상기한 연결부재(300)에 의해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00)는 도 3에서 보듯이 양측으로 각각 삽입돌부(310)가 형성되어 있고, 그 삽입돌부(310)가 프레임(100) 내부의 보강재(110)에 의해 구획되며 형성된 공간부(120)측에 강제 삽입되어 각 프레임(100)의 고정 연결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e - 침대 다리부재 조립공정( SE )
이와 같이 침대 바닥재(20)의 조립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침대 바닥재(20)를 지지하기 위한 침대 다리부재(30)를 조립하게 된다.
본 발명에 채택되는 침대 다리부재(30)는 상기한 침대 바닥재(20)의 형상 및 구조와 동일하되 그 폭 및 길이를 짧게 하여 침대 다리로서의 역할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 침대 다리부재(30) 또한 전술한 침대 바닥재(20)의 조립공정과 동일한 수순을 갖게 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조립 과정은 생략한다.
한편, 침대 다리부재(30)의 조립이 완료되면 침대 다리부재(30)의 상측면과 전술한 침대 바닥재(20) 저면을 피스 등의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하게 된다.
f - 침대 헤드보드 조립공정( SF ) ; 제 1 실시예
본 공정은 침대의 헤드보드(10)를 조립하기 위한 공정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부재압출공정(SA)에 의해 얻게 된 프레임(100)을 이용하여 침대 헤드보드(10)를 얻을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압출공정(SA)에 의해 얻게 되는 프레임(100)의 내측으로 지지부재(200)의 일단측을 끼운 후, 지지부재(200) 타측으로도 기 프레임(100)에 대향 되는 타 프레임의 내측으로 상기 지지부재(200)의 타측이 삽입되도록 하여 침대 헤드보드(10)의 좌우측을 조립하게 된다.
아울러 이와 같이 조립된 침대 헤드보드(10)의 상면측에도 동일한 프레임(100)을 이용하여 상기한 지지부재(200)와 결합하게 된다.
이때에도 전술한 침대 바닥재 조립공정(SD)에서와 마찬가지의 공정에 따르게 되는데, 도 8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 프레임(100)과 전면측에 위치되는 프레임(100)간 원할 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접하는 부위의 각 프레임(100) 단부측을 사선방향으로 절개하게 된다.
한편, 사선방향으로 절개되어 서로 직각 방향으로 접하게 되는 부분은 상기한 연결부재(300)에 의해 고정 연결하여 완성된 침대 헤드보드(10)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얻게 된 침대 헤드보드(10)와 앞서의 공정에 의해 얻은 침대 바닥재(20)간 결합에 의해 완성된 침대의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침대 헤드보드(10)와 침대 바닥재(20)간 결합은 공지의 방법에 따라 고정 결합 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데, 침대 헤드보드(10)의 양측 전면과 접하게 되는 침대 바닥재(20)의 측단과 전술한 다리부재(30)의 일측단을 각각 돌출되도록 성형하고, 침대 헤드보드(10) 양측 전면으로 이와 대응되도록 홈을 형성하여 각각 돌출부가 홈에 강제 삽입 되도록 한 후 침대 헤드보드(10)와 침대 바닥재(20) 및 침대 다리부재(30)간 접하는 부분을 연결구 등을 이용하여 고정 연결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는 다른 공정에 의해 침대 헤드보드(10')를 제조하여 조립할 수 있다.
f10 -침대 헤드보드 조립공정( SF10 ) - 제 2 실시예
본 공정은 전술한 f) 침대 헤드보드 조립공정(SF)과는 다른 실시예를 개시한다.
전술한 f) 침대 헤드보드 조립공정(SF)의 경우 상기 프레임부재압출공정(SA)에 의해 얻게 되는 프레임(100)을 이용하여 침대 헤드보드(10)를 형성하게 되므로, 침대의 전체적 생산 가격은 현저한 절감 효과를 갖게 되지만, 다양한 디자인의 제공이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침대 헤드보드(10)를 다른 형상으로 사출 또는 압출 성형하더라도 본 발명에서 추구하는 목적 및 효과의 달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를 위해 도 10 내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체적인 침대 헤드보드(10')에서, 기둥부재(400)와 패널부(500) 및 상기 패널부(500)의 상측을 커버하는 커버부재(510) 등을 압출 성형하여 조립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0 에서와 같이 양측으로 기둥부재(400)가 형성되는 침대 헤드보드(10')의 경우, 상기 기둥부재(400)를 이루는 심부재(410)를 사출 성형하여 얻은 다음 상기 심부재(410) 외부를 커버하게 되는 마감재(420)를 사출 성형하여 얻은 후, 상기 심부재(410) 표면에 상기 마감재(420)를 이용하여 덮으며 조립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마감재(420)는 양측으로 덮개 되는 구조를 갖도록 하거나 또는 외측만 커버하는 구조를 갖을 수 있다.
마감재(420)의 결합구조는 통상 사출 성형에 의해 돌출부와 요홈의 형성에 의해 조립이 가능할 수 있으며, 도면에서 보듯이 기둥부재(400) 전체를 관통하는 장볼트 등에 의해 패널부(500) 또는 커버부재(510)와 체결되도록 하며 조립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둥부재(400) 측면으로 이어지는 헤드보드(10')의 패널부(500)을 사출 성형하여 양측 기둥부재(400)와 조립 결합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패널부(500) 상방을 마감 처리하기 위해 둥근 원봉형태의 커버부재(510)를 도 10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립 결합할 수 있다.
즉,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패널부(500) 상측면에 결합홈(501)을 형성하고, 상기 커버부재(510)의 하측면에 상기한 결합홈(501)에 강제 압입되며 끼워지기 위한 결합돌부(511)를 형성하여 패널부(500)과 커버부재(510)간의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도 12 내지 도 14는 전술한 실시예 2를 변형한 실시예이다.
즉, 도 10 내지 도 11은 헤드보드(10')가 바닥재(20)의 상면에 얹혀지는 형태의 침대에 관하여 도시하고 있으나 도 12 내지 도 14는 상기 헤드보드(10')가 지면에까지 이어지며 지지되도록 하고 헤드보드(10') 전면으로 상기 바닥재(20)의 일측이 접하며 결합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헤드보드(10')와 바닥재(20)간 결합은 통상의 구조에 따르는데 예를 들면 헤드보드(10') 전면에 요홈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바닥재(20)의 일측에 돌기를 형성하여 결합하거나 또는 헤드보드(10')의 배면측에서 바닥재(20)와 볼트 등에 의해 조립 결합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패널부(500) 전체를 일체로 사출성형하지 않고, 양분하여 사출성형한 다음 전술한 구조에 의해 침대 헤드보드(10')의 조립이 가능할 것 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주로 사출 성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아니한바 예컨데 압출 성형에 의해서도 동일한 침대의 제조가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러한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도 속하게 되는 등가 또는 치환관계에 있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정도를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프레임 부재 압출공정에 의해 얻게 되는 프레임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연결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부재 사출 또는 압출 공정에 의해 얻게 되는 지지부재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얻게 되는 프레임과 지지부재, MDF 패널 등을 이용하여 조립하게 되는 것으로 침대 바닥재의 조립 과정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5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각 부재를 조립한 상태의 침대 바닥재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에 의한 A-A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SA ~ SC 공정에 의해 얻게 되는 부재를 이용하여 침대의 헤드보드를 조립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해 최종적으로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침대 사시도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서 헤드보드의 조립 과정에서의 부재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각 도면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서의 헤드보드 조립과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각 도면
※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SA; 프레임 부재 압출공정
SB; 지지부재 사출 또는 압출공정
SC; MDF 패널을 얻는 공정
SD; 침대 바닥재 조립 공정
SE; 침대 다리부재 조립공정
SF; 침대 헤드보드 조립공정
1; 침대 10,10'; 헤드보드
20; 바닥재 30; 다리부재
100; 프레임 110; 보강재
120; 공간부 200; 지지부재
210; 기저부 220; 지지부
230; 패널부 300; 연결부재
310; 결합돌부 400; 기둥부재
410; 심부재 420; 마감재
500; 패널부 501; 결합홈
510; 커버부재 511; 결합돌부

Claims (8)

  1. a) 침대의 바닥재와 헤드보드, 다리부재의 구성을 이루는 프레임을 얻기 위한 프레임압출공정(SA),
    b) 상기 프레임압출공정(SA)에 의해 얻게 되는 프레임의 저면부에 끼워지는 지지부재를 얻기 위한 지지부재사출 또는 압출공정(SB),
    c) 상기 프레임압출공정(SA)에 의해 얻게 되는 프레임의 상측부에 끼워지는 MDF패널을 얻는 공정(SC),
    d) 상기 a,b,c 공정을 거쳐 얻은 프레임을 이용하여 침대의 바닥재를 이루도록 조립하는 침대 바닥재 조립공정(SD),
    e) 상기 a,b,c 공정을 거쳐 얻은 프레임을 이용하여 침대의 다리부재를 이루도록 조립하는 침대 다리부재 조립공정(SE),
    f) 상기 a,b,c 공정을 거쳐 얻은 프레임을 이용하여 침대의 헤드보드를 이루도록 조립하는 침대 헤드보드 조립공정(SF),
    에 의해 조립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및 압출성형에 의해 조립되는 침대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g) 상기 d,e,f 공정에서 상기 프레임의 조립시 각 프레임간 접하는 접하는 부위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사출하는 연결부재 사출공정(SG)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및 압출성형에 의해 조립되는 침대 제조방법.
  3. 헤드보드, 바닥재, 다리부재로 이루어지는 침대(1)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헤드보드, 바닥재, 다리부재를 상호 조립하기 위해 압출 성형되는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과 프레임(100)간 이격시키며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사출 또는 압출 성형되는 지지부재(200)와,
    상기 프레임(100)간 접하는 부분에 결합 되기 위해 사출 성형 되는 연결부재(300)로 구성하여,
    상기 프레임(100)과 지지부재(200) 및 연결부재(300)간 조립 결합에 의해 침대의 헤드보드, 바닥재, 다리부재를 구성하여 상호 조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및 압출성형에 의해 조립되는 침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은 상하측은 각각 일직선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측은 라운딩 처리되고 내측은 개방되는 형상을 이루되, 내부에 다수개의 보강재(110)가 일체로 형성되고,
    양측으로 이격 대향 되는 프레임(100)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 프레임(100) 내측에 끼워지기 위해 사출 또는 압출 성형 되는 상기 지지부재(200) 상면에 위치되며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 저면에 끼워지는 패널부(2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 하는 사출 및 압출성형에 의해 조립되는 침대.
  5. 제 3 항 또는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00)는 기저부(210)를 이루고, 상기 기저부(210) 상면으로 "T"자형상으로 수직상 일체로 이루어지는 지지부(2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사출 및 압출성형에 의해 조립되는 침대.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0)는 몸체 일측방향 또는 양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삽입돌부(310)를 형성하여, 프레임(100) 내부를 구획하는 보강재(110)에 의해 이루어지는 공간부(120)에 강제 삽입 체결하여 상호 프레임(100)을 연결하는 것을 포함하는 사출 및 압출성형에 의해 조립되는 침대.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보드는 양측방향으로 각각 대향되는 것으로 사출성형하여 얻는 심부재(410) 외부를 커버하게 되는 마감재(420)를 사출 성형하여 상기 심부재(410) 표면에 상기 마감재(420)의 커버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기둥부재(400) 측면으로 이어지는 헤드보드(10')의 패널부(500)을 사출 성형하여 양측 기둥부재(400)와 조립 결합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패널부(500) 상방을 마감 처리하기 위해 둥근 원봉형태의 커버부재(510)를 이용하여 조립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사출 및 압출성형에 의해 조립되는 침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500) 상측면에 결합홈(501)을 형성하고, 상기 커버부재(510)의 하측면에 상기한 결합홈(501)에 강제 압입되며 끼워지기 위한 결합돌부(511)를 형성하여 패널부(500)과 커버부재(510)간 조립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사출 및 압출성형에 의해 조립되는 침대.
KR1020090078777A 2009-08-25 2009-08-25 사출 및 압출성형에 의해 조립되는 침대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침대 KR101121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777A KR101121602B1 (ko) 2009-08-25 2009-08-25 사출 및 압출성형에 의해 조립되는 침대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777A KR101121602B1 (ko) 2009-08-25 2009-08-25 사출 및 압출성형에 의해 조립되는 침대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152A true KR20110021152A (ko) 2011-03-04
KR101121602B1 KR101121602B1 (ko) 2012-02-28

Family

ID=43930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8777A KR101121602B1 (ko) 2009-08-25 2009-08-25 사출 및 압출성형에 의해 조립되는 침대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16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72402A (zh) * 2014-05-14 2017-08-18 艾尔高莫申公司 用于铰接床的可一体成型的轻质床框架的方法与结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1337A (ja) 2002-07-10 2004-02-12 France Bed Co Ltd 寝台用ボード
JP2005095417A (ja) 2003-09-25 2005-04-14 Furukawa Sky Kk 軽量ベッド
KR20050038361A (ko) * 2003-10-22 2005-04-27 이경복 수맥 차단 기능을 갖는 라텍스 황토 듀얼 침대
KR20050081570A (ko) * 2004-02-14 2005-08-19 삼호산업 주식회사 에어 매트리스의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72402A (zh) * 2014-05-14 2017-08-18 艾尔高莫申公司 用于铰接床的可一体成型的轻质床框架的方法与结构
EP3142517A4 (en) * 2014-05-14 2018-01-17 Ergomotion, Inc. Method and structure for lightweight integrally formable bed frames for articulating beds
AU2015259008B2 (en) * 2014-05-14 2020-03-05 Ergomotion, Inc. Method and structure for lightweight integrally formable bed frames for articulating be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1602B1 (ko) 201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42515A1 (en) Door, method of making door, and stack of doors
US20210164288A1 (en) Door skins, doors, and nested door skins
US6994327B2 (en) Cap and base assembly for a fence post
KR101240782B1 (ko) 침대바닥재 결합구조
KR200479589Y1 (ko) 칸막이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파티션
KR101121602B1 (ko) 사출 및 압출성형에 의해 조립되는 침대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침대
CN211037223U (zh) 一种整体卫生间防水底盘的加固装配结构
JP3902461B2 (ja) 床材
KR100751067B1 (ko) 침대 프레임용 기둥
KR20110087471A (ko) 알루미늄 패널로 된 실험테이블용 상판
CN110725388A (zh) 一种整体卫生间防水底盘的加固装配结构
JP3042005U (ja) 組立格子ユニット製建具
CN100526591C (zh) 双面门板装置
KR200434763Y1 (ko) 침대 프레임용 기둥
KR100249764B1 (ko) 합성수지재 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가구
CN219183249U (zh) 一种拼色结构的床护栏板
KR20090074304A (ko) 내장용 패널의 연결구조
CN2849096Y (zh) 一种板条拼接的整体式木门
KR100819767B1 (ko) 실내장식용 합성수지 벽돌
KR20120118910A (ko) 조립성이 우수한 납골함 안치단
KR200397131Y1 (ko) 건축용 바닥판재
KR870000579B1 (ko) 중공부를 가진 콘크리트판 성형용 조립형틀
KR0139207Y1 (ko) 합성수지 문짝
KR100933046B1 (ko) 가구용 모서리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가구
CN110539380A (zh) 原木环保面框锁扣结构及其安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