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207Y1 - 합성수지 문짝 - Google Patents

합성수지 문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207Y1
KR0139207Y1 KR2019950034077U KR19950034077U KR0139207Y1 KR 0139207 Y1 KR0139207 Y1 KR 0139207Y1 KR 2019950034077 U KR2019950034077 U KR 2019950034077U KR 19950034077 U KR19950034077 U KR 19950034077U KR 0139207 Y1 KR0139207 Y1 KR 01392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ynthetic resin
plank
edge
sid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40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3950U (ko
Inventor
심대근
Original Assignee
심대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대근 filed Critical 심대근
Priority to KR20199500340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207Y1/ko
Publication of KR9700239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39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2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2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08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 E06B3/20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of plastics

Abstract

1. 본 고안은 합성수지 문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합성수지 문짝일측벽과 합성수지 문짝테두리벽으로 형성된 문짝일측부가 구비되고, 한쌍의 합성수지 판자와, 이 한쌍의 합성수지 판자와 일체로 성형된 다수의 공간구획벽과, 반복되게 형성된 공간부로 된 문짝타측부가 구비되어, 상기 문짝일측부와 상기 문짝타측부가 접착되어 문짝을 이루도록 된 합성수지 문짝에 관한 것이다.
2. 종래의 문짝은 목재 내지 합판으로 주로 만들어졌으며, 이 경우 장식된 문짝을 만들기 위하여는 복잡한 공정이 필요하였고, 비용이 비싸고 자연환경의 파괴가 심하였고, 공정이 복잡하고 길어 생산비가 높아지고 장식의 내구성이 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합성수지 문짝은 문짝의 뒤틀림현상(변형현상)이 있었고, 불량률이 높고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고 공정이 복잡하여 제조경비가 많이 들고, 자원재활용이 불가능하였던 문제점이 있었는데,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한 것이다.
3. 본 고안은, 합성수지로 된 문짝일측벽과 문짝테두리벽으로 형성된 문짝일측부가 구비되고, 마주대하며 평행하게 위치하는 한쌍의 합성수지 판자와, 이 한쌍의 합성수지 판자 사이에 이 한쌍의 합성수지 판자와 일체로 성형된 다수의 공간구획벽과, 반복되게 형성된 공간부로 된 문짝타측부가 구비되어, 상기 문짝일측부의 안쪽면과, 상기 문짝타측부의 안쪽면이 접착되어 문짝을 이루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문짝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문짝일측부의 문짝테두리벽에 일체로서 성형된 연장접착부가 상기 문짝타측부의 바깥쪽면의 가장자리에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문짝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한쌍의 합성수지 판자의 사이에서 한쪽일부에 위치한 공간구획벽에 의하여, 경첩 설치용 나사가 박혀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목재가 내장되어 설치될 수 있는 목재설치실이 구성되고, 이 목재설치실에 상기 목재가 내장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문짝에 관한 것이다.
4. 본 고안에 의하면, 목재를 사용하지 아니하고도 가볍고 견고하고 뒤틀림이 방지되고, 문짝본체에 다양한 형상과 문양으로 장식하여 대량생산 하기가 용이하여 목재대체효과에 따른 자연환경보호의 효과가 크고, 작업공정이 단순하고, 자원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합성수지 문짝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B-B선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6도는 제5도의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로서 문짝일측부의 문짝테두리벽의 연장접착부가 문짝타측부의 바깥쪽면의 가장자리로 접혀 접착되기 이전 상태를 상상선(2점쇄선)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7도는 제5도의 실시예의 C-C선 단면도.
제8도는 제5도의 실시예의 D-D선 단면도.
제9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10도는 제9도의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제11도는 제9도의 실시예의 E-E선 단면도.
제12도는 제9도의 실시예의 F-F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문짝일측벽 1-a : 합성수지 판자
2 : 문짝테두리벽 2-1 : 연장접착부
100 : 문짝일측부 100-1 : 문짝일측부의 안쪽면
3 : 바깥쪽 합성수지 판자 3' : 안쪽 합성수지 판자
4 : 공간구획벽 5 : 공간부
200 : 문짝타측부 200-1 : 문짝타측부의 안쪽면
200-2 : 문짝타측부의 바깥쪽면 10 : 경첩
11 : 경첩 설치용 나사 12 : 목재
13 : 목재설치실
본 고안은 합성수지 문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합성수지인 문짝 일측벽과 합성수지인 문짝테두리벽으로 형성된 문짝일측부가 구비되고, 아울러 서로 마주대하며 평행되게 위치하는 한쌍의 합성수지 판자 및 이 한쌍의 합성수지 판자 사이에서 이 한쌍의 합성수지 판자와 일체로 성형된 다수개의 공간구획벽 및 반복되게 형성된 공간부로 된 문짝타측부가 구비되어, 상기 문짝일측부의 안쪽면과 상기 문짝타측부의 안쪽면이 접착되어 문짝을 이루도록 되어, 목재를 사용하지 아니하고도 가볍고 견고하며 뒤틀림이 방지되고, 문짝본체에 다양한 형상과 문양으로 장식하여 대량생산하기가 용이하여, 목재대체효과가 크고, 작업공정이 단순하고 자원재활용이 가능하도록 된 합성수지 문짝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본 고안의 출원인에 의한 선출원 고안인 1994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30471호의 개량된 고안이다.
종래의 문짝은 목재 내지 합판으로 주로 만들어졌으며, 이 경우 장식된 문짝을 만들기 위하여는 단순한 장식을 위하여도 우선 목재 내지 합판의 표면 즉 전면과 후면에 접착제를 바른 후, 장식 처리된 필름 또는 멜라민판을 붙여 건조한 후 절단하여 문짝을 만든 후 절단면은 에지(edge)필름을 붙여 마감함으로써 장식된 문짝을 만드는 복잡한 공정이 필요하였고, 더욱이 복잡한 장식을 위하여서는 별도의 구조물을 붙이거나, 문짝본체에 장식을 위한 조각을 하는 등이 복잡한 공정이 필요하였고, 비싼 목재를 사용하여야 하였으므로, 비용이 비싸고 자연환경의 파괴가 심하였고, 공정이 복잡하고 길어 생산비가 높아지고 장식의 내구성이 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합성수지 문짝은 합성수지를 금형에서 열을 가하여 문짝본체를 형성한 후 문짝본체의 내부에는 우레탄발포 또는 기타의 합성수지의 발포에 의하여 문짝을 만들었으므로, 문짝의 외부와 내부의 온도차이로 인하여 문짝의 뒤틀림현상(변형현상)이 있었고, 문짝본체를 구성하는 합성수지 판자와 내부의 우레탄 등 합성수지의 발포의 물성이 서로 다르므로 그 내구성이 약하고 불량률이 높고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고 공정이 복잡하여 제조경비가 많이 들고, 자원재활용이 불가능하였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출원인의 선출원 고안인 1994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30471호는, 문짝본체의 내부 공간부에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교대로 형성된 합성수지 오목볼록판재가 구비되어, 상기 오목부의 바깥쪽면이 문짝본체의 일측 합성수지 판자의 안쪽면과 접합되고 아울러 상기 복록부의 바깥쪽면이 문짝본체의 타측 합성수지 판자의 안쪽면과 접합되고, 문짝본체에는 통기구멍이 구성된 합성수지 문짝인데, 상기 합성수지 오목볼록판재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합성수지 판자를 접합하여야 하였으므로 공정이 번거롭고, 또한 이러한 접합이 정밀하게 이루어지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제조공정이 극히 간단하여 대량생산이 용이하고, 문짝의 제작에 목재를 사용하지 아니하고도 가볍고 견고하며 문짝의 뒤틀림(변형)이 방지되고, 문짝본체에 다양한 형상과 문양으로 장식하여 대량생산하기가 용이하여, 목재대체효과에 따라 자연환경보호가 가능하고, 작업공정이 단순하고 자원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된 합성수지 문짝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그 실시예에 따라 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본 고안은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짝의 일측벽을 형성하는 합성수지 판자(1-a)로 된 문짝일측벽(1)과, 이 문짝일측벽(1)의 테두리에 일체로서 성형되어 문짝의 테두리벽을 형성하는, 합성수지로 된, 문짝테두리벽(2)으로 형성된 문짝일측부(100)가 구비되고,
문짝의 타측벽을 형성하도록 된 합성수지 판자(3)(이하, 바깥쪽 합성수지 판자(3)라고 함)와, 이 바깥쪽 합성수지 판자(3)와 마주대하며 평행하게 위치하는 합성수지 판자(3')(이하, 안쪽 합성수지 판자(3')라고 함)와,
상기 바깥쪽 합성수지 판자(3)와 상기 안쪽 합성수지 판자(3')가 한쌍의 합성수지 판자로서 서로 적절한 간격으로서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체결되도록, 상기 바깥쪽 합성수지 판자(3)와 상기 안쪽 합성수지 판자(3') 사이에서, 상기 바깥쪽 합성수지 판자(3) 및 안쪽 합성수지 판자(3')와 일체로서 성형된, 합성수지로 된, 다수개의 공간구획벽(4)과,
이 다수개의 공간구획벽(4)에 의하여 상기 바깥쪽 합성수지 판자(3)와 상기 안쪽 합성수지 판자(3') 사이에서 반복되게 형성된 공간부(5)로 이루어진 문짝타측부(200)가 구비되어,
상기 문짝일측부(100)의 안쪽면(100-1)과, 상기 문짝타측부(200)의 안쪽면(200-1)이 서로,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 공지의 접착방법으로, 접착되어 문짝을 이루도록 된다(이하, 이러한 실시예를 실시예 1이라고 함).
이때 상기 문짝타측부(200)의 테두리부와 상기 문짝일측부(100)의 상기 문짝테두리벽(2)의 내면은 서로,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 공지의 접착방법에 의하여, 접착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다만, 도면에서는 이러한 형상으로서 상기 문짝타측부(200)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상기 문짝일측부(100)의 상기 문짝테두리벽(2)의 내면과 접착함에 필요한 형상의 구성은 그 도시를 생략함).
상기 문짝타측부(200)의 테두리부와, 상기 문짝일측부(100)의 문짝테두리벽(2)의 내면은 서로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접착은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 공지의 접착방법에 의한다.
상기 문짝일측부(100)의 상기의 구성과 상기 문짝타측부(200)의 상기의 구성은 통상의 합성수지 판넬(panel), 내지 통상의 합성수지 판넬(panel)의 재질로서의 합성수지를, 통상의 성형방법, 즉 가열가압하여 성형하는 방법 또는 진공성형방법에 의하여, 성형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문짝일측부(100)에 형성된 장식(30) 또는 상기 문짝타측부(200)의 바깥쪽면(200-2)에 형성된 장식(이 장식의 도시는 생략함)은 본 고안에 있어서의 상기 구성이 이루어지기 이전에, 통상의 방법, 즉 장식처리된 필름을 합성수지 판넬에 열접착한 후 이 합성수지 판넬을 금형에서 가열가압하여 성형하거나 진공성형하는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상기 문짝일측부(100) 및 상기 문짝타측부(200)가 형성될 때 함께 형성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다른 실시예로서, 제5도 내지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짝의 일측벽을 형성하는 합성수지 판자(1-a)로 된 문짝일측벽(1)과, 이 문짝일측벽(1)의 테두리에 일체로서 성형되어 문짝의 테두리벽을 형성하는, 합성수지로 된, 문짝테두리벽(2)과, 이 문짝테두리벽(2)에 일체로서 성형되고 아울러 문짝타측부(200)의 바깥쪽면(200-2)의 가장자리로 접혀 포개져 이 가장자리에 접착되게 된, 합성수지로 된, 연장접착부(2-1)로 형성된 문짝일측부(100)가 구비되고,
문짝의 타측벽을 형성하도록 된 합성수지 판자(3)(이하, 바깥쪽 합성수지 판자(3)라고 함)와, 이 바깥쪽 합성수지 판자(3)와 마주대하며 평행하게 위치하는 합성수지 판자(3')(이하, 안쪽 합성수지 판자(3')라고 함)와,
상기 바깥쪽 합성수지 판자(3)와 상기 안쪽 합성수지 판자(3')가 한쌍의 합성수지 판자로서 서로 적절한 간격으로서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체결되도록, 상기 바깥쪽 합성수지 판자(3)와 상기 안쪽 합성수지 판자(3') 사이에서 상기 바깥쪽 합성수지 판자(3) 및 상기 안쪽 합성수지 판자(3')와 일체로서 성형된, 합성수지로 된, 다수개의 공간구획벽(4)과,
이 다수개의 공간구획벽(4)에 의하여 상기 바깥쪽 합성수지 판자(3)와 상기 안쪽 합성수지 판자(3') 사이에서 반복되게 형성된 공간부(5)로 이루어진 문짝타측부(200)가 구비되어,
상기 문짝일측부(100)의 안쪽면(100-1)과, 상기 문짝타측부(200)의 안쪽면(200-1)이 서로,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 공지의 접착방법으로, 접착되어 문짝을 이루며, 아울러 상기 문짝일측부(100)의 상기 문짝테두리벽(2)의 상기 연장접착부(2-1)가 상기 문짝타측부(200)의 바깥쪽면(200-2)의 가장자리로 접혀 포개져 이 가장자리에, 접착제에 의한 접착등 공지의 접착방법으로, 접착된다(이하, 이러한 실시예를 실시예 2라고 함).
이때 상기 문짝타측부(200)의 테두리부와 상기 문짝일측부(100)의 상기 문짝테두리벽(2)의 내면은 서로,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 공지의 접착방법에 의하여, 접착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다만, 도면에서는 이러한 형상으로서 상기 문짝타측부(200)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상기 문짝일측부(100)의 상기 문짝테두리벽(2)의 내면과 접착함에 필요한 형상의 구성은 그 도시를 생략함).
상기 문짝타측부(200)의 테두리부와, 상기 문짝일측부(100)의 문짝테두리벽(2)의 내면은 서로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접착은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 공지의 접착방법에 의한다.
상기 문짝일측부(100)의 상기의 구성과 상기 문짝타측부(200)의 상기의 구성은 통상의 합성수지 판넬(panel), 내지 통상의 합성수지 판넬(panel)의 재질로서의 합성수지를, 통상의 성형방법, 즉 가열가압하여 성형하는 방법 또는 진공성형방법에 의하여, 성형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장접착부(2-1)는, 제6도의 상상선(2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서 통상의 성형방법으로 성형된 후, 제5도와 제7도 및 제8도의 도시와 같이, 상기 문짝타측부(200)의 바깥쪽면(200-2)의 가장자리로, 통상의 열처리방법에 의하여, 접혀 포개져 이 가장자리에 접착된다.
상기 문짝일측부(100)에 형성된 장식(30) 또는 상기 문짝타측부(200)의 바깥쪽면(200-2)에 형성된 장식(이 장식의 도시는 생략함)은 본 고안에 있어서의 상기 구성이 이루어지기 이전에, 통상의 방법, 즉 장식처리된 필름을 합성수지 판넬에 열접착한 후 이 합성수지 판넬을 금형에서 가열가압하여 성형하거나 진공성형하는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상기 문짝일측부(100) 및 상기 문짝타측부(200)가 형성될 때 함께 형성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또다른 실시예로서, 제9도 내지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짝의 일측벽을 형성하는 합성수지 판자(1-a)로 된 문짝일측벽(1)과, 이 문짝일측벽(1)의 테두리에 일체로서 성형되어 문짝의 테두리벽을 형성하는, 합성수지로 된, 문짝테두리벽(2)으로 형성된 문짝일측부(100)가 구비되고,
문짝의 타측벽을 형성하도록 된 합성수지 판자(3)(이하, 바깥쪽 합성수지 판자(3)라고 함)와, 이 바깥쪽 합성수지 판자(3)와 마주대하며 평행하게 위치하는 합성수지 판자(3')(이하, 안쪽 합성수지 판자(3')라고 함)와,
상기 바깥쪽 합성수지 판자(3)와 상기 안쪽 합성수지 판자(3')가 한쌍의 합성수지 판자로서 서로 적절한 간격으로서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체결되도록, 상기 바깥쪽 합성수지 판자(3)와 상기 안쪽 합성수지 판자(3') 사이에서 상기 바깥쪽 합성수지 판자(3) 및 상기 안쪽 합성수지 판자(3')와 일체로서 성형된, 합성수지로 된, 다수개의 공간구획벽(4)과,
이 다수개의 공간구획벽(4) 중, 한쪽일부(20)에 위치하는 인접된, 2개의 공간구획벽(4)에 의하여 상기 바깥쪽 합성수지 판자(3)와 상기 안쪽 합성수지 판자(3') 사이에서 한쪽일부(20)에, 경첩(10)을 설치하는 경첩 설치용 나사(11)가 박혀 지지되도록 하는 목재(12)가 내장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 형성된 목재설치실(13)과, 상기 다수개의 공간구획벽(4) 중 상기 한쪽일부(2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위치하는 공간구획벽(4)에 의하여 상기 바깥쪽 합성수지 판자(3)와 상기 안쪽 합성수지 판자(3') 사이에서 상기 한쪽일부(2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형성된 공간부(5)로 이루어진 문짝타측부(200)가 구비되고,
상기 목재설치실(13)에는 상기 목재(12)가 내장되어 설치되고,
상기 문짝일측부(100)의 안쪽면(100-1)과, 상기 문짝타측부(200)의 안쪽면(200-1)이 서로,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 공지의 접착방법으로, 접착되어 문짝을 이루도록 된다(이하, 이러한 실시예를 실시예 3이라고 함).
이때 상기 문짝타측부(200)의 테두리부와 상기 문짝일측부(100)의 상기 문짝테두리벽(2)의 내면은 서로,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 공지의 접착방법에 의하여, 접착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다만, 도면에서는 이러한 형상으로서 상기 문짝타측부(200)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상기 문짝일측부(100)의 상기 문짝테두리벽(2)의 내면과 접착함에 필요한 형상의 구성은 그 도시를 생략함).
상기 문짝타측부(200)의 테두리부와, 상기 문짝일측부(100)의 문짝테두리벽(2)의 내면은 서로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접착은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 공지의 접착방법에 의한다.
상기 문짝일측부(100)의 상기의 구성과 상기 문짝타측부(200)의 합성수지 부분의 상기의 구성은 통상의 합성수지 판넬(panel), 내지 통상의 합성수지 판넬(panel)의 재질로서의 합성수지를, 통상의 성형방법, 즉 가열가압하여 성형하는 방법 또는 진공성형방법에 의하여, 성형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문짝일측부(100)에 형성된 장식(30) 또는 상기 문짝타측부(200)의 바깥쪽면(200-2)에 형성된 장식(이 장식의 도시는 생략함)은 본 고안에 있어서의 상기 구성이 이루어지기 이전에, 통상의 방법, 즉 장식처리된 필름을 합성수지 판넬에 열접착한 후 이 합성수지 판넬을 금형에서 가열가압하여 성형하거나 진공성형하는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상기 문짝일측부(100) 및 상기 문짝타측부(200)가 형성될 때 함께 형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는 아래와 같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은, 제1도 내지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문짝일측부(100)와 상기 문짝타측부(200)(실시예 3에서는 문짝타측부(200)의 합성수지로 된 부분)는 통상의 성형방법에 의하여 용이하게 성형된다.
상기 문짝일측부(100)이 안쪽면(100-1)과 상기 문짝타측부(200)의 안쪽면(200-1)은 서로,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 공지의 접착방법에 의하여 용이하게, 접착되어, 상기 문짝일측부(100)와 상기 문짝타측부(200)는 하나의 문짝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문짝타측부(200)는, 상기 마주대하며 평행하게 위치하는 한쌍의 합성수지 판자인 상기 바깥쪽 합성수지 판자(3)와, 상기 안쪽 합성수지 판자(3')와, 이 한쌍의 합성수지 판자(3)(3') 사이에서 이 한쌍의 합성수지 판자(3)(3')가 서로 체결되도록 이 한쌍의 합성수지 판자(3)(3')와 일체로서 성형된 상기 다수개의 공간구획벽(4)과, 이러한 다수개의 공간구획벽(4)에 의하여 상기 한쌍의 합성수지 판자(3)(3') 사이에서 반복되게 형성된 공간부(5)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문짝타측부(200)는 그 자체만으로도 가볍고 견고하여 구조물로서의 안정성을 지닌다.
따라서, 상기 문짝타측부(200)와 상기 문짝일측부(100)가 상기 구성과 같이 접착하면, 우선, 상기 문짝일측부(100)와, 상기와 같이, 가볍고 견고한 상기 문짝타측부(200)의 상호결합에 의하여, 상기 문짝일측부(100)와 사이 문짝타측부(200)의 뒤틀림(변형)현상 즉, 문짝의 뒤틀림(변형)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문짝일측부(100)는 상기 문짝일측벽(1)과 상기 문짝테두리벽(2)으로 구성되므로, 상기 문짝일측부(100)의 상기 문짝일측벽(1)과 상기 문짝테두리벽(2)은, 서로 형상의 방향이 교차하므로, 서로 뒤틀림현상을 방지하여 상기 문짝일측부(100)는 뒤틀림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문짝타측부(200)에서는, 상기 바깥쪽 합성수지 판자(3)와 상기 안쪽 합성수지 판자(3')와 그 사이에 일체로 구성된 상기 다수개의 공간구획벽(4)과 상기 공간부(5)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바깥쪽 합성수지 판자(3)와 상기 안쪽 합성수지 판자(3')는 그 사이에, 상기 바깥쪽 합성수지 판자(3) 및 상기 안쪽 합성수지 판자(3')와 그 형상의 방향이 교차되게 일체로서 형성된, 상기 공간구획벽(4)이 구성되어 있고, 아울러 상기 바깥쪽 합성수지 판자(3)와 상기 안쪽 합성수지 판자(3')는 그 사이에 상기 공간부(5)에 의하여 적절한 간격으로서의 일정한 간격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바깥쪽 합성수지 판자(3)와 상기 안쪽 합성수지 판자(3')와 상기 다수개의 공간구획벽(4)은 서로 뒤틀림현상을, 상하방향과 좌우방향과 전후방향을 포함한 모든 방향에서,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문짝타측부(200)의 뒤틀림현상은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뒤틀림현상이 방지된 상기 문짝일측부(100)와 상기 문짝타측부(200)는, 서로 상기 구성과 같이 접착된 구성이므로, 서로 뒤틀림현상이 방지된다. 따라서, 문짝전체의 뒤틀림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문짝타측부(200)의 안쪽면(200-1)과 상기 문짝일측부(100)의 안쪽면(100-1)이 상기 구성과 같이 접착하고,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문짝일측부(100)의 문짝테두리벽(2)의 내면과 상기 문짝타측부(200)의 테두리부가 서로 접착되면,
상기 공간부(5)의 각각의 일단의 개방부와 타단의 개방부는 상기 문짝일측부(100)의 문짝테두리벽(2)에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 공지의 접착방법으로 접착되어 마감되므로, 상기 공간부(5)의 각각은 이 공간부(5)의 각각을 둘러싼 주위 즉 상하방향과 좌우방향과 전후방향을 포함한 모든 방향에서의 직각의 면이 서로 일체로서 체결된 직육면체 유사 입체 등의 입체적 형상의 합성수지 구조물이 되어 상하 좌우 전후를 포함한 모든 방향에 있어서 서로 지지하는 합성수지부재가 존재하는 결과가 되므로, 본 고안은 그 구조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문짝일측부(100)와 상기 문짝타측부(200)의 뒤틀림(변형)현상 즉, 문짝의 뒤틀림(변형)현상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문짝일측부(100)와 상기 문짝타측부(200)는, 서로 동일한 물성의 합성수지이므로, 상호간의 접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고, 또한 견고하게 유지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 2는, 제5도 내지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의 작용 효과에 더하여, 아래와 같은 작용 효과가 있다.
즉, 실시예 2에서는, 실시예 1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문짝일측부(100)의 상기 문짝테두리벽(2)에 일체로서 성형된, 합성수지로 된, 상기 연장접착부(2-1)가 상기 문짝타측부(200)의 상기 바깥쪽면(200-2)의 가장자리로 접혀 포개져 이 가장자리에 접착되므로, 문짝으로서 테두리 부분의 마감처리가 미려하여지고, 더욱 견고한 접착이 유지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 3은, 제9도 내지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상기의 작용 효과에 더하여, 아래와 같은 작용 효과가 있다.
실시예 3의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문짝타측부(200)의 한쌍의 합성수지 판자(3)(3') 사이에서, 경첩 설치용 나사(11)가 박혀 지지되도록 하는 목재(12)가 내장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된, 목재설치실(13)이 형성되고, 상기 목재설치실(13)에느 상기 목재(12)가 내장되어 설치되므로, 경첩(10)을 문짝에 설치하는 경우 경첩 설치용 나사(11)가 상기 목재(12)에 박혀 견고하게 지지되므로, 합성수지의 문짝이지만, 전체적으로 목재의 문짝과 같은 견고성을 가진 상태로서 경첩(10)이 문짝에 설치되며, 문짝을 문틀에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본 고안에 의하면, 문짝의 제작시 목재를 사용하지 아니하고도 가볍고 견고하고 뒤틀림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강한 문짝을 대량으로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으므로 목재대체효과에 따라 자연환경보호에 큰 효과가 있고, 더욱이 문짝 제작시 목재를 사용하지 아니하고도 통상의 성형방법에 의하여 문짝본체에 다양한 형상과 문양으로 장식하여 대량생산하기가 용이하여 목재대체효과에 따라 자연환경보호에 큰 효과가 있고, 작업공정이 간단하다.
또한, 상기의 본 고안에 의하면, 공정이 간단하고, 불량품의 생산을 없앨 수 있고, 가벼우므로 취급이 용이하고, 폐기되는 제품의 자원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문틀에 구성되는 문짝 이외에도 가구문짝이나 씽크대의 문짝과, 주택문, 그밖에 경량칸막이판넬에도 사용된다.
나아가, 본 고안의 구성은 식탁의 상판, 탁자의 상판, 책상의 상판 등에도 사용될 수 있다.

Claims (3)

  1. 문짝의 일측벽을 형성하는 합성수지 판자(1-a)로 된 문짝일측벽(1)과, 이 문짝일측벽(1)의 테두리에 일체로서 성형되어 문짝의 테두리벽을 형성하는, 합성수지로 된, 문짝테두리벽(2)으로 형성된 문짝일측부(100)가 구비되고, 문짝의 타측벽을 형성하도록 된 합성수지 판자(3)(이하, 바깥쪽 합성수지 판자(3)라고 함)와, 이 바깥쪽 합성수지 판자(3)와 마주대하며 평행하게 위치하는 합성수지 판자(3')(이하, 안쪽 합성수지 판자(3')라고 함)와, 상기 바깥쪽 합성수지 판자(3)와 상기 안쪽 합성수지 판자(3')가 한쌍의 합성수지 판자로서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체결되도록, 상기 바깥쪽 합성수지 판자(3)와 상기 안쪽 합성수지 판자(3') 사이에서, 상기 바깥쪽 합성수지 판자(3) 및 상기 안쪽 합성수지 판자(3')와 일체로서 성형된, 합성수지로 된, 다수개의 공간구획벽(4)과, 이 다수개의 공간구획벽(4)에 의하여 상기 바깥쪽 합성수지 판자(3)와 상기 안쪽 합성수지 판자(3') 사이에서 반복되게 형성된 공간부(5)로 이루어진 문짝타측부(200)가 구비되어, 상기 문짝일측부(100)의 안쪽면(100-1)과 상기 문짝타측부(200)의 안쪽면(200-1)이 서로 접착되어 문짝을 이루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문짝.
  2. 문짝의 일측벽을 형성하는 합성수지 판자(1-a)로 된 문짝일측벽(1)과, 이 문짝일측벽(1)의 테두리에 일체로서 성형되어 문짝의 테두리벽을 형성하는, 합성수지로 된, 문짝테두리벽(2)과, 이 문짝테두리벽(2)에 일체로서 성형되고 아울러 문짝타측부(200)의 바깥쪽면(200-2)의 가장자리로 접혀 포개져 이 가장자리에 접착되게 된, 합성수지로 된, 연장접착부(2-1)로 형성된 문짝일측부(100)가 구비되고, 문짝의 타측벽을 형성하도록 된 합성수지 판자(3)(이하, 바깥쪽 합성수지 판자(3)라고 함)와, 이 바깥쪽 합성수지 판자(3)와 마주대하며 평행하게 위치하는 합성수지 판자(3')(이하, 안쪽 합성수지 판자(3')라고 함)와, 상기 바깥쪽 합성수지 판자(3)와 상기 안쪽 합성수지 판자(3')가 한쌍의 합성수지 판자로서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체결되도록, 상기 바깥쪽 합성수지 판자(3)와 상기 안쪽 합성수지 판자(3') 사이에서, 상기 바깥쪽 합성수지 판자(3) 및 상기 안쪽 합성수지 판자(3')와 일체로서 성형된, 합성수지로 된, 다수개의 공간구획벽(4)과, 이 다수개의 공간구획벽(4)에 의하여 상기 바깥쪽 합성수지 판자(3)와 상기 안쪽 합성수지 판자(3') 사이에서 반복되게 형성된 공간부(5)로 이루어진 문짝타측부(200)가 구비되어, 상기 문짝일측부(100)의 안쪽면(100-1)과 상기 문짝타측부(200)의 안쪽면(200-1)이 서로 접착되어 문짝을 이루며, 아울러 상기 문짝일측부(100)의 상기 문짝테두리벽(2)의 상기 연장접착부(2-1)가 상기 문짝타측부(200)의 바깥쪽면(200-2)의 가장자리로 접혀 포개져 이 가장자리에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문짝.
  3. 문짝의 일측벽을 형성하는 합성수지 판자(1-a)로 된 문짝일측벽(1)과, 이 문짝일측벽(1)의 테두리에 일체로서 성형되어 문짝의 테두리벽을 형성하는, 합성수지로 된, 문짝테두리벽(2)으로 형성된 문짝일측부(100)가 구비되고, 문짝의 타측벽을 형성하도록 된 합성수지 판자(3)(이하, 바깥쪽 합성수지 판자(3)라고 함)와, 이 바깥쪽 합성수지 판자(3)와 마주대하며 평행하게 위치하는 합성수지 판자(3')(이하, 안쪽 합성수지 판자(3')라고 함)와, 상기 바깥쪽 합성수지 판자(3)와 상기 안쪽 합성수지 판자(3')가 한쌍의 합성수지 판자로서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체결되도록, 상기 바깥쪽 합성수지 판자(3)와 상기 안쪽 합성수지 판자(3') 사이에서, 상기 바깥쪽 합성수지 판자(3) 및 상기 안쪽 합성수지 판자(3')와 일체로서 성형된, 합성수지로 된, 다수개의 공간구획벽(4)과, 이 다수개의 공간구획벽(4) 중, 한쪽일부(20)에 위치하는 인접된, 2개의 공간구획벽(4)에 의하여 상기 바깥쪽 합성수지 판자(3)와 상기 합성수지 판자(3') 사이에서 한쪽일부(20)에, 경첩 설치용 나사(11)가 박혀 지지되도록 하는 목재(12)가 내장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 목재설치실(13)과, 상기 다수개의 공간구획벽(4) 중 상기 한쪽일부(2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위치하는 공간구획벽(4)에 의하여 상기 바깥쪽 합성수지 판자(3)와 상기 안쪽 합성수지 판자(3') 사이에서 상기 한쪽일부(2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반복되게 형성된 공간부(5)로 이루어진 문짝타측부(200)가 구비되고, 상기 목재설치실(13)에는 상기 목재(12)가 내장되어 설치되고, 상기 문짝일측부(100)의 안쪽면(100-1)과 상기 문짝타측부(200)의 안쪽면(200-1)이 서로 접착되어 문짝을 이루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문짝.
KR2019950034077U 1995-11-17 1995-11-17 합성수지 문짝 KR01392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4077U KR0139207Y1 (ko) 1995-11-17 1995-11-17 합성수지 문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4077U KR0139207Y1 (ko) 1995-11-17 1995-11-17 합성수지 문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3950U KR970023950U (ko) 1997-06-20
KR0139207Y1 true KR0139207Y1 (ko) 1999-04-01

Family

ID=19429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4077U KR0139207Y1 (ko) 1995-11-17 1995-11-17 합성수지 문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20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3950U (ko) 199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79613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of a molded door
US3299595A (en) Compound door
US5095675A (en) Recessed, raised building panel
KR20070026840A (ko) 역성형패널
US7644551B2 (en) Double skin door apparatus
KR0139207Y1 (ko) 합성수지 문짝
KR200382764Y1 (ko) 조립식 화장실의 커버 연결장치
KR0126115Y1 (ko) 합성수지문짝
JP3202645B2 (ja)
KR200236285Y1 (ko) 문짝판
KR20080091935A (ko)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 및 그 제작방법
CA2496276C (en) Double skin door apparatus
KR200382765Y1 (ko) 조립식 화장실의 커버 연결장치
JP3133012B2 (ja)
JPH07233674A (ja) 框 材
KR200242306Y1 (ko) 목재도어
KR200177681Y1 (ko) 목재도어
KR20010063564A (ko) 칸막이용 보드 및 그 제조방법
JPH0349037Y2 (ko)
JP2736722B2 (ja) 化粧パネルの製造方法
JPH0736979Y2 (ja) フラッシュパネル
JP3023666B2 (ja) 鏡板及びモールの取り付け構造
JPS63171982A (ja) 建具、装飾パネルの構造
JPH0712615Y2 (ja) ガラス扉
KR200382762Y1 (ko) 조립식 화장실의 커버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