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0842A - 데이터 스트림의 데이터 패킷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과 상기 디바이스들의 이용 - Google Patents

데이터 스트림의 데이터 패킷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과 상기 디바이스들의 이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0842A
KR20110020842A KR1020107028616A KR20107028616A KR20110020842A KR 20110020842 A KR20110020842 A KR 20110020842A KR 1020107028616 A KR1020107028616 A KR 1020107028616A KR 20107028616 A KR20107028616 A KR 20107028616A KR 20110020842 A KR20110020842 A KR 20110020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ackets
data
unit
mode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8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6749B1 (ko
Inventor
게로 배제
노르베르트 외르텔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엔터프라이즈 커뮤니케이션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엔터프라이즈 커뮤니케이션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지멘스 엔터프라이즈 커뮤니케이션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10020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0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7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04N19/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methods or arrangements for detection of transmission errors at the de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04N19/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methods or arrangements for detection of transmission errors at the decoder
    • H04N19/89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methods or arrangements for detection of transmission errors at the decoder in combination with error conceal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7Control signals issued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or network components
    • H04N21/6375Control signals issued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or network components for requesting retransmission, e.g. of data packets lost or corrupted during transmission from ser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스트림에서 데이터 패킷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에 관한 것이고, 수신된 데이터 패킷들은 제1 유닛에 의해서 실시간으로 프로세싱되고 그리고 에러-프리하게 수신된 데이터 패킷들만이 제2 유닛에 의해서 프로세싱된다. 결함이 있거나 또는 수신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들은 반복적으로 요청되고 그리고 에러-프리의 수신시에 상기 제2 유닛으로 라우팅된다. 데이터 싱크는 초기에는 상기 제1 유닛에 의해서 프로세싱되는 데이터 패킷들만을 수신한다. 상기 제2 유닛 및 제1 유닛이 동일한 데이터 패킷들을 거의 동시에 프로세싱하면, 상기 제2 유닛에 의해서 프로세싱되는 데이터 패킷들만이 상기 데이터 싱크로 라우팅된다. 본 발명은 예컨대 감시 시스템의 프레임워크 내에서의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 또는 이미지 분석을 이용하는 비디오 코딩에서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스트림의 데이터 패킷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과 상기 디바이스들의 이용 {DEVICES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PACKETS OF A DATA STREAM AND USE OF SAID DEVICES}
본 발명은 데이터 스트림의 데이터 패킷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과 상기 디바이스들의 이용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몇 년 동안, 비디오 및 이미지-기반의 모니터링 시스템들의 수가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전달될 데이터가 무선으로 전송되고, 이 동안에 시간 전송 에러들이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결함있는(faulty) 또는 유실된(missing) 데이터 패킷들이 다시 송신될 때에, 이러한 전송 에러들이 변화된다(resolved). 이는 데이터 패킷 전송 동안에 높은 지연 시간들로 귀결된다. 하지만, 준-실-시간(near-real-time) 어플리케이션들에서, 임의의 데이터 전송 지연 시간들이 낮게 유지되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데이터 패킷들의 반복 전달들이 준-실-시간 어플리케이션들에서는 발생할 수 없다는 문제가 존재하는데, 왜냐하면 실 시간 요건들이 유지될 수 없기 때문이다.
대안적으로, 전달될 데이터 패킷들을 수반하는 순방향 에러 정정 코드(forward error correction code)를 이용함으로써, 수신된 결함있는 또는 유실된 데이터 패킷들이 재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법은 전송 대역폭의 일부가 상기 순방향 에러 정정 코드(= 리던던시)의 전송에 대해 이용된다는 단점을 갖는다. 추가로, 제시되는 상기 접근법은 상당히 변화하는 에러 레이트들을 갖는 세그먼트들의 전송 동안에 다음의 경우들에서 만족스럽게 작용하지 않을 것이다:
(a) 상기 데이터 패킷들이 수신기 에러-프리(error-free)에 도달할지라도 상기 리던던시(redundancy)가 전송되고, 이 동안에 시간 전송 대역폭이 불필요하게 이용된다.
(b) 상기 리던던시가 높은 에러 레이트에 기초하여 전송되지만, 이것은 상기 결함있는 또는 유실된 데이터 패킷들을 완전하게 재구성할 수 있는데에 불충분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준-실-시간 어플리케이션들 동안에 데이터 패킷들의 반복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 스트림에서의 데이터 패킷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들 제1항, 제5항, 제13항, 제17항 및 제25항의 특징들에 의해서 성취된다. 종속 청구항들은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제1 실시예에서의 본 발명은 데이터 스트림에서의 데이터 패킷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은 수신된 에러-프리 데이터 패킷들을 나타내는 제1 데이터 패킷들; 수신된 결함있는 데이터 패킷들 또는 비-수신된 데이터 패킷들을 나타내는 제2 데이터 패킷들; 및 제2 데이터 패킷들로서 나타내어지는 데이터 패킷들의 반복 전송의 결과로서 에러-프리로 수신되는 제3 데이터 패킷들을 갖고, 제1 데이터 패킷들의 세트 및 제3 데이터 패킷들의 세트는 분리적(disjunctive)이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패킷들을 제4 데이터 패킷들로 프로세싱하기 위한 제1 유닛;
- 제2 데이터 패킷들이 식별될 때에 제1 모드를 활성화하고;
- 상기 제1 모드가 활성화될 때에 제2 유닛의 형태로 상기 제1 유닛의 복제를 생성하며; 그리고
- 대응하는 제3 데이터 패킷들이 상기 제2 데이터 패킷들 각각에 대해 제공되는 이후에 제2 모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제어 유닛; 및
상기 제1 모드의 활성화 이후에 제1 및 제3 데이터 패킷들을 제5 데이터 패킷들로 프로세싱하기 위한 상기 제2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제2 모드의 활성화까지 제4 데이터 패킷들을 라우팅하고,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2 모드의 활성화 이후에 제5 데이터 패킷들을 데이터 싱크로 라우팅한다.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은 결함이 있거나 또는 수신되지 않았지만 예측되는, 즉 유실된 데이터 패킷인 데이터 패킷으로서 이해된다. 상기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지 않으면, 예컨대 빈 데이터 필드를 갖는 유실된 데이터 패킷을 나타내는 제2 데이터 패킷이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핵심은, 결함있는 또는 유실된 데이터 패킷들, 즉 제2 데이터 패킷들을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데이터 패킷들이 두 개의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유닛들, 제1 및 제2 유닛에 의해서 프로세싱된다는 것이다. 상기 제1 유닛은 제1 및 제2 데이터 패킷들을 프로세싱하고 그 과정에서 제4 데이터 패킷들을 실시간으로 전달하며, 이는 데이터 싱크로 전송된다. 그와 동시에, 상기 제2 데이터 패킷들의 출현 이후에 상기 제2 유닛은 인입 제1 및 제3 데이터 패킷들을 제5 데이터 패킷들로 프로세싱한다. 이것은 초기에는 더 긴 지연 시간이 용인가능하도록 상기 제2 유닛이 상기 데이터 스트림을 에러-프리하게 디코딩하는 것을 보장한다. 모든 제2 데이터 패킷들이 대응하는 제3 데이터 패킷들에 의해서 대체될 수 있을 때에만, 즉 상기 제2 모드의 활성화 때에, 상기 제2 유닛은 데이터 스트림을 실시간으로 상기 데이터 싱크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시점에 정확하게, 상기 제2 모드가 활성화되고, 이때에 제4 데이터 패킷들 대신에, 단지 제5 데이터 패킷들만이 상기 데이터 싱크로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싱된 데이터 패킷들이 실시간으로 상기 데이터 싱크에 의해서 수신되고 그리고 상기 데이터 스트림이 상기 제2 유닛에서 실시간으로 그리고 에러-프리하게 재구성될 수 있는 후에, 프로세싱된 제1 데이터 패킷들이 상기 데이터 싱크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장점은, 본 발명의 디바이스 및 대응하는 방법이 오늘날 존재하는 전송 시스템에 낮은 가격으로 통합될 수 있도록, 예컨대 오늘날 인터넷 상의 TCP/IP(TCP - Transport Control Protocol, IP - Internet Protocol)를 이용하는 반복 전송의 단순한 메커니즘이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게다가, 전술한 디바이스의 이용은 예측 코딩 방법들로 바람직하도록 보이고, 여기서 이미지 데이터와 같은 정보가 이미 코딩된 정보 상에서 예측된다. 예컨대 ITU-T H.263 비디오 코딩 절차를 이용하는 종래에는, 전송 에러들이 발생할 때에, 제2 데이터 패킷을 참조하여, 상기 전송 에러에 기초하여 후속 에러들을 방지하기 위해서 예측 없이 상기 정보를 코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예측이 없는 코딩은 더 높은 대역폭 요건을 야기한다. 상기 디바이스는, 대조적으로, 전송 에러들이 발생할 때에 후속 에러들을 방지하고 대역폭을 절약하기 위해서 예측 없이 강제된 코딩의 방지를 가능하게 한다. 대역폭 절약에도 불구하고, 정보 전달의 레이트, 예컨대 리프레쉬 레이트는 또한 높게 유지되는데, 이는 종래와는 대조적으로 추가 정보의 코딩을 위한 예측이 없이 강제된 코딩을 대신하여 대역폭이 이용가능하기 때문이다.
상기 제1 모드의 활성화 동안에 제2 유닛의 형태로 상기 제1 유닛의 복제를 생성할 때에, 상기 제1 모드의 활성화의 시점에, 하나 이상의 식별된 데이터 패킷들, 예컨대 상기 제1 데이터 패킷들을 코딩할 때에 그들이 동일한 코딩 결과를 만드는 방식으로 상기 제1 및 제2 유닛들이 초기화된다.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면, 예컨대, 두 유닛들의 가변 값들 및 프로그램 상태들이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복제가 생성된다.
상기 제1 데이터 패킷들의 세트와 상기 제3 데이터 패킷들의 세트는 분리적(disjunctive)이다. 이것은 데이터 스트림에서의 데이터 패킷들이 제1 또는 제3 데이터 패킷들 중 어느 하나로 표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서 주어진 데이터 패킷은 제1 데이터 패킷 및 제3 데이터 패킷 모두가 될 수 없다.
제1 실시예로부터의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2 모드의 활성화 이후에 상기 제1 유닛을 클리어(clear)할 수 있다. 그 결과, 시스템 자원들이 가능한 소프트웨어 구현을 위해 해제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예컨대 이용가능하게 된 여분 메모리를 통해 상기 디바이스의 전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의 제1 실시예는 바람직하게 상기 제2 모드의 활성화까지 제4 데이터 패킷들을 상기 데이터 싱크로 라우팅하고, 그리고 상기 제2 모드의 활성화 이후에 제5 데이터 패킷들을 상기 데이터 싱크로 라우팅하기 위한 공급 유닛을 포함한다. 그 결과,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을 통한 프로세싱된 데이터 패킷들의 라우팅은 모드에 따라 단순한 방식으로 제어된다.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패킷들의 프로세싱 동안에 상기 제1 유닛에서 에러 은닉이 또한 이용되는 경우, 이미지 품질과 같은 품질 특징이 제4 데이터 패킷들에서 향상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의 본 발명은 데이터 스트림에서의 데이터 패킷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스트림은 수신된 에러-프리 데이터 패킷들을 나타내는 제1 데이터 패킷들; 수신된 결함있는 데이터 패킷들 또는 비-수신된 데이터 패킷들을 나타내는 제2 데이터 패킷들; 및 제2 데이터 패킷들로서 나타내어지는 데이터 패킷들의 반복 전송의 결과로서 에러-프리로 수신되는 제3 데이터 패킷들을 갖고, 제1 데이터 패킷들의 세트 및 제3 데이터 패킷들의 세트는 분리적이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패킷들을 제4 데이터 패킷들로 프로세싱하기 위한 제1 유닛;
- 제2 데이터 패킷들이 식별될 때에 제1 모드를 활성화하고;
- 상기 제1 모드가 활성화될 때에 제2 유닛의 형태로 상기 제1 유닛의 복제를 생성하며;
- 대응하는 제3 데이터 패킷들이 상기 제2 데이터 패킷들 각각에 대해 제공되는 이후에 제2 모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제어 유닛, 및
상기 제1 모드의 활성화 이후에 제1 및 제2 데이터 패킷들을 제5 데이터 패킷들로 프로세싱하기 위한 상기 제2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제1 모드의 활성화까지 그리고 상기 제2 모드의 활성화 이후에 제4 데이터 패킷들을 라우팅하고,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1 모드의 활성화 이후에 그리고 상기 제2 모드의 활성화까지 제5 데이터 패킷들을 데이터 싱크로 라우팅한다.
이러한 제2 실시예는 상기 제1 실시예의 대안적인 실현을 제시한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상기 제1 실시예의 장점들이 또한 제2 실시예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 상기 제2 실시예는 또한 상기 제1 유닛이 항상 상기 제1 및 제3 데이터 패킷들을 프로세싱하고 그러므로 예컨대 하드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하지만, 상기 제2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유닛은 단지 일시적으로만 사용되고 따라서 예컨대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제2 모드의 활성화 이후에 상기 제2 유닛을 클리어하도록 설계된다. 그 결과, 시스템 자원들이 가능한 소프트웨어 구현을 위해 해제되고, 그에 따라 예컨대 이용가능하게 된 여분 메모리를 통해서 상기 디바이스의 전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제2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 상기 제1 모드의 활성화까지 그리고 상기 제2 모드의 활성화 이후에 상기 데이터 싱크로 제4 데이터 패킷들을 라우팅하고,
- 상기 제1 모드의 활성화 이후에 그리고 상기 제2 모드의 활성화까지 상기 데이터 싱크로 제5 데이터 패킷들을 라우팅하도록 설계된다.
그 결과,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을 통한 프로세싱된 데이터 패킷들의 라우팅은 모드에 따라 단순한 방식으로 제어된다.
상기 제2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유닛은 에러 은닉(error concealment)의 도움으로 제1 및 제2 데이터 패킷들을 프로세싱하도록 설계된다. 그 결과, 상기 제4 데이터 패킷들의 품질 예컨대 이미지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대응하는 제3 데이터 패킷들이 각각의 제2 데이터 패킷에 대해 제공되고 그리고 상기 제1 유닛 및 제2 유닛이 동일한 제1 데이터 패킷을 거의 동시에 프로세싱하고 있는 경우에만 상기 제2 모드가 활성화되도록 상기 제어 유닛이 설계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상기 데이터 싱크가 현저한 지연 없이 제4 데이터 패킷들 대신에 제5 데이터 패킷들을 수신할 수 있는 것이 보장된다. 거의 동시에는 상기 제1 및 제2 유닛들에서, 동일한 제1 데이터 패킷들이 주어진 시점에서 프로세싱되고, 예컨대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95%를 프로세싱하고 상기 제2 유닛은 동일한 제1 데이터 패킷의 10%를 프로세싱하는 것을 의미하도록 이해된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유닛은 제1 및 제3 데이터 패킷들을 캐싱하기 위한 메모리, 및 제1 및 제3 데이터 패킷들을 소팅하기 위한 소팅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소팅 유닛은 적합한 프로세싱을 위해 제1 및 제3 데이터 패킷들의 연대순 시퀀스를 보장한다. 그 결과, 상기 제1 유닛과 동일한 셋업(setup)을 갖는 제2 유닛이 이용될 수 있는데, 이는 캐싱 및 소팅이 상기 제어 유닛에 의해서 수행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제2 유닛은 비용-효율적이고 낮은 개발 노력으로 생성될 수가 있다.
상기 데이터 스트림은 바람직하게 코딩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특히 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및 제2 유닛들은 바람직하게 각각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분석 유닛들로서, 특히 이미지 또는 비디오 분석 유닛들로서 설계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장치는 분석 디바이스에서 유용하고, 특히 감시(surveillance)에 대해 이용가능하다.
대안적으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은 코딩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특히 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및 제2 유닛들은 각각 코딩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딩 유닛들, 특히 비디오 디코딩 유닛들로서 설계된다. 그 결과, 상기 디바이스는 특히 인코딩된 비디오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에서 유용한다.
제3 실시예에서의 본 발명은 데이터 스트림에서의 데이터 패킷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은 수신된 에러-프리 데이터 패킷들을 나타내는 제1 데이터 패킷들; 수신된 결함있는 또는 유실된, 즉 수신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들 또는 비-수신된 데이터 패킷들을 나타내는 제2 데이터 패킷들; 및 제2 데이터 패킷들로서 나타내어지는 데이터 패킷들의 반복 전송의 결과로서 에러-프리로 수신되는 제3 데이터 패킷들을 갖고, 제1 데이터 패킷들의 세트 및 제3 데이터 패킷들의 세트는 분리적이고, 상기 방법은,
- 제1 유닛을 통해 제1 및 제2 데이터 패킷들을 제4 데이터 패킷들로 프로세싱하는 단계;
- 제2 데이터 패킷들이 식별될 때에 제1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
- 상기 제1 모드가 활성화될 때에 제2 유닛의 형태로 상기 제1 유닛의 복제를 생성하는 단계;
- 대응하는 제3 데이터 패킷들이 상기 제2 데이터 패킷들 각각에 대해 제공되는 이후에 2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
- 상기 제1 모드의 활성화 이후에 상기 제2 유닛을 통해 제1 및 제3 데이터 패킷들을 제5 데이터 패킷들로 프로세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4 데이터 패킷들은 상기 제2 모드의 활성화까지, 그리고 제5 데이터 패킷들은 상기 제2 모드의 활성화 이후에 데이터 싱크로 라우팅된다.
이에 대한 장점들은 상기 제1 실시예에서의 디바이스의 장점들과 유사하다.
상기 제2 모드의 활성화 이후에 상기 제1 유닛이 클리어되면, 상기 절차들을 실행하기 위해서 시스템 자원들이 할애될 수 있다(spared).
바람직하게 상기 제2 모드의 활성화까지 제4 데이터 패킷들은, 그리고 상기 제2 모드의 활성화 이후에 제5 데이터 패킷들은 공급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싱크로 라우팅된다. 그 결과, 프로세싱된 데이터 패킷들의 라우팅이 모드에 따라 단순한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A16: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유닛은 또한 에러 은닉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패킷들을 프로세싱한다. 그 결과, 상기 제4 데이터 패킷들의 품질, 예컨대 이미지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서의 본 발명은, 데이터 스트림에서의 데이터 패킷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은 수신된 에러-프리 데이터 패킷들을 나타내는 제1 데이터 패킷들; 수신된 결함있는 또는 유실된, 즉 수신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들 또는 비-수신된 데이터 패킷들을 나타내는 제2 데이터 패킷들; 및 제2 데이터 패킷들로서 나타내어지는 데이터 패킷들의 반복 전송의 결과로서 에러-프리로 수신되는 제3 데이터 패킷들을 갖고, 제1 데이터 패킷들의 세트 및 제3 데이터 패킷들의 세트는 분리적이고, 상기 방법은,
- 제1 유닛을 통해 제1 및 제3 데이터 패킷들을 제4 데이터 패킷들로 프로세싱하는 단계;
- 제2 데이터 패킷들이 식별될 때에 제1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
- 상기 제1 모드가 활성화될 때에 제2 유닛의 형태로 상기 제1 유닛의 복제를 생성하는 단계;
- 대응하는 제3 데이터 패킷들이 상기 제2 데이터 패킷들 각각에 대해 제공되는 이후에 제2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
- 상기 제1 모드의 활성화 이후에 상기 제2 유닛을 통해 제1 및 제2 데이터 패킷들을 제5 데이터 패킷들로 프로세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4 데이터 패킷들은 상기 제1 모드의 활성화까지 그리고 상기 제2 모드의 활성화 이후에, 그리고 제5 데이터 패킷들은 상기 제1 모드의 활성화 이후에 그리고 상기 제2 모드의 활성화까지 데이터 싱크로 라우팅된다.
이에 대한 장점들은 상기 제2 실시예에서의 디바이스의 장점들과 유사하다.
상기 제4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유닛이 상기 제2 모드의 활성화 이후에 접속해제되면, 시스템 자원이 상기 절차를 실행하기 위해서 할애될 수 있다.
상기 제4 실시예는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모드의 활성화까지 그리고 상기 제2 모드의 활성화 이후에 제4 데이터 패킷들을, 그리고 상기 제1 모드의 활성화 이후에 그리고 상기 제2 모드의 활성화까지 제5 데이터 패킷들을 상기 데이터 싱크로 라우팅하기 위한 공급 유닛을 이용한다. 그 결과, 프로세싱되는 데이터 패킷들의 라우팅이 모드에 따라 단순한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패킷들은 에러 은닉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유닛에 의해서 추가로 프로세싱될 수 있다. 그 결과, 프로세싱되는 데이터 패킷, 즉 제5 데이터 패킷의 품질 양상의 증가가 성취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드가 활성화되면, 대응하는 제3 데이터 패킷이 상기 제2 데이터 패킷들 각각에 대해 제공되고 상기 제1 및 제2 유닛들이 동일한 제1 데이터 패킷을 거의 동시에 프로세싱하는 이후에, 상기 제2 모드가 활성화될 때에 상기 데이터 싱크가 현저한 지연 없이 제4 데이터 패킷들 대신에 제5 데이터 패킷들을 수신할 수 있는 것이 보장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유닛은 메모리를 이용하여 제1 및 제3 데이터 패킷들을 캐싱하고 소팅 유닛을 이용하여 제1 및 제3 데이터 패킷들을 소팅하며, 상기 소팅 유닛은 적합한 프로세싱을 위해 제1 및 제3 데이터 패킷들의 연대순 시퀀스를 보장한다. 그 결과, 상기 제1 유닛의 것과 동일한 셋업을 갖는 상기 제2 유닛이 이용될 수 있는데, 이는 캐싱 및 소팅이 상기 제어 유닛에 의해서 수행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제2 유닛이 또한 비용-효율적이고 낮은 개발 노력으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스트림은 바람직하게 코딩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특히 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및 제2 유닛들은 바람직하게 각각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분석 유닛들로서, 특히 이미지 또는 비디오 분석 유닛들로서 설계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장치는 분석 디바이스에서 유용하고, 특히 감시(surveillance)에 대해 이용가능하다.
대안적으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은 코딩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특히 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및 제2 유닛들은 각각 코딩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딩 유닛들, 특히 비디오 디코딩 유닛들로서 설계된다. 그 결과, 상기 디바이스는 특히 인코딩된 비디오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에서 유용한다.
최종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디바이스의 이용에 관한 것이고, 상기 디바이스는 감시 설치의 상황에서 비디오 데이터의 분석을 위해 이용된다. 감시 설치의 상황에서 본 발명의 이용은 비디오 데이터 분석의 향상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의 도면들에 기초하여 본 발명 및 추가적인 수정들이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된다.
도 1은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한 전송기, 데이터 패킷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컴파일링된(compiled) 데이터 패킷들을 재구성하기 위한 수신기를 도시한다.
도 2는 데이터 패킷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유닛을 도시한다.
도 3은 데이터 패킷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절차를 구현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동일한 기능 및 동작 모드를 갖는 엘리먼트들은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로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여기서 전송기(SX)에서의 실시간 이미지 데이터가 카메라에 의해 포착되고 그리고 데이터 스트림(S)의 형태로 코딩된다. 여기서 코딩은 표준화된 비디오 코딩 절차에 의해서, 예컨대 MPEG-2 또는 H.264 프로세스(MPEG - Motion Picture Expert Group)에 따라 발생한다. 상기 데이터 스트림(S)은 데이터 패킷들(D)에서의 전송을 위해 분할된다.
상기 데이터 스트림(S)의 데이터 패킷들(D)은 송진 유닛(SX)으로부터 전송 채널(C)을 통해 디바이스(V)로 전송된다. 상기 전송 채널은 예컨대 WLAN 표준(WLAN - Wirelss Local Area Network)에 따라 기능하고, 여기서 전송 에러들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전송된 데이터 패킷들(D)은 전송 채널(C)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V)의 제어 유닛(SE)에 의해서 수신된다. 그에 따라, 제1 데이터 패킷들(D1)은 수신된 에러-프리 데이터 패킷들인 것으로 이해되고 그리고 제2 데이터 패킷들(D2)은 수신된 결함있는 데이터 패킷들 또는 수신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들인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어 유닛은, 예컨대 상기 제어 유닛을 통해 상기 송신기(SX)에 의해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들 중 하나가 유실되고 그에 따라 유실된 데이터 패킷이 제2 데이터 패킷으로서 분류되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SE)은 프로세싱을 위해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패킷들(D1 및 D2)을 라우팅한다.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 유닛(SE)은 빈 제2 데이터 패킷(D2)을 전달(pass on)할 수 있다. 제시되는 실시예에서, 제1 유닛(E1)은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패킷들을 디코딩하고 이로부터 제4 데이터 패킷들(D4)을 발생시키는 제1 비디오 코딩 유닛이다. 상기 제1 유닛(E1)은, 상기 제4 데이터 패킷들이 단지 약간의 시각적 열화(visual degradation)들을 갖도록 하는 방식으로 유실된 데이터 패킷들 또는 결함있는 데이터 패킷들, 즉 제2 데이터 패킷들을 프로세싱하는 에러 은닉(concealment) 유닛을 선택적으로 구비한다. 상기 제4 데이터 패킷들은 데이터 싱크(EX), 예컨대 모니터로 라우팅된다. 이것을 위한 공급 유닛(ZE)은 그것이 상기 제4 데이터 패킷들만을 초기에 재지향(redirect)하는 방식으로 스위칭 엘리먼트로서 구성된다.
상기 제어 유닛(SE)은 수신된 데이터 패킷들을 테스트하고 그리고 제2 데이터 패킷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예컨대, 상기 제어 유닛(SE)은 에러 수정 코드, 예컨대 CRC 테스트 코드(CRC - Check Redundancy Code)에 기초하여, 또는 상기 데이터 패킷들 중 하나가 채널 C를 통한 전송 동안에 유실되는 것을 나타내는 유실 시퀀스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을 식별한다. 제2 데이터 패킷(D2)이 식별될 때에, 상기 제어 유닛(SE)은 상기 제1 모드(M1)를 활성화한다. 이러한 시점에, 데이터 패킷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제2 유닛(E2)이 구성되고, 어쩌면 또한 활성화된다. 예컨대 유닛 객체들로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를 각각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유닛들이 생성되면, 제2 유닛 객체, 예컨대 제2 비디오 코딩 유닛의 생성을 통해서 그리고 모든 가변 값들의 복제와 상기 제1 유닛 객체(=제1 유닛)의 상태들을 통해서 상기 제2 유닛이 상기 제1 유닛의 준-완전한 복제(copy)로서 생성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제어 유닛(SE)은 제3 데이터 패킷들 에러-프리로서 상기 제어 유닛에서 수신되는 이러한 제2 데이터 패킷들을 상기 전송기(SX)로부터 요청한다. 여기서 이러한 제3 데이터 패킷들(D3)이 상기 제1 데이터 패킷들(D1)의 서브세트가 아니라는 것을 언급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제1 모드(M1)가 활성화되는 시점 이후에, 상기 제어 유닛(SE)은 제1 및 제3 데이터 패킷들을 상기 제2 유닛(E2)으로 전달한다. 상기 제2 유닛(E2)은 또한 프로세싱, 예컨대 제1 및 제3 데이터 패킷들을 제5 데이터 패킷들(D5)로 디코딩하는 것을 수행한다. 상기 제1 모드가 활성화되는 동안에, 제4 및 제5 데이터 패킷들이 생성되고, 단지 제4 데이터 패킷들만이 상기 데이터 싱크로 라우팅된다. 제4 및 제5 데이터 패킷들은 또한 프로세싱된 데이터 패킷들로서 지정될 수 있다.
각각의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이 상기 제2 유닛(E2)의 모든 제2 데이터 패킷들에 대해서 제공되는 이후에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제2 모드(M2)를 활성화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제1 모듈(M1)은 비활성화된다. 이러한 시점에, 상기 공급 유닛(ZE)은, 그러한 시점으로부터 제4 데이터 패킷들(D4)이 아닌, 단지 제5 데이터 패킷들(D5)이 상기 데이터 싱크(EX), 즉 수신기로 전달되도록 스위칭한다. 추가의 변형예에서, 상기 제2 모드(M2)의 활성화는 상기 제1 및 제2 유닛들(E1, E2)이 동일한 데이터 패킷을 거의 동시에 프로세싱하는 이후에만 발생한다. 거의 동시에는 상기 제1 및 제2 유닛들에서, 동일한 제1 데이터 패킷들이 주어진 시점에서 프로세싱되고, 예컨대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95%를 프로세싱하고 상기 제2 유닛은 동일한 제1 데이터 패킷의 10%를 프로세싱하는 것을 의미하도록 이해된다. 상기 제3 데이터 패킷들은 상기 제어 유닛(SE)에 지연을 갖고 도달하기 때문에, 그것은 소팅 유닛(TE)을 이용하여 캐시(M)에 상기 제3 데이터 패킷들을 캐싱하고 제1 및 제3 데이터 패킷들이 정정 시퀀스로, 예컨대 오름차순 시퀀스 번호들을 이용하여 라우팅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1 및 제3 데이터 패킷들을 소팅한다. 상기 제1 유닛이 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유닛이 동일한 제1 데이터 패킷을 프로세싱한 이후에만, 상기 제2 유닛은 실시간으로 후속 제1 데이터 패킷들을 출력한다. 그러므로, 상기 데이터 싱크로 라우팅하기 위한 제4에서 제5 데이터 패킷들로의 스위치가 프로세싱되는 데이터 패킷들의 라우팅 동안에 상기 데이터 싱크에서 인지되는 지연 없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드(M2)가 활성화될 때에, 상기 제1 유닛은 비활성화될 수 있거나 그리고/또는 삭제될 수 있는데, 이는 이러한 시점 이후에 상기 제2 유닛(E2)으로부터의 단지 프로세싱된 데이터 패킷들, 예컨대 제5 데이터 패킷들(D5)이 상기 데이터 싱크로 라우팅되기 때문이다. 상기 제1 유닛의 삭제를 통해, 시스템 자원들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가능한 구현을 위해 해제된다(free up).
도 1에 따른 디바이스(V)는, 상기 제어 유닛(SE)에 더하여, 상기 제1 및 제2 유닛들(E1, E2) 및 상기 공급 유닛(TE)을 포함한다.
도 2는 감시 설치(UE)의 상황에서 상기 디바이스(V)의 이용을 상징적으로 묘사한다. 이러한 예에서 이미지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통해 전송된다. 예컨대, 개인적 인식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유닛들은 이미지 데이터의 이미지 컨텐츠를 테스팅하기 위한 개별 분석 유닛이다.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패킷들의 이용은 실-시간 이미지 분석을 가능하게 하지만, 상기 분석 동안에 에러들이 고려될 것이다. 상기 제2 유닛에 의한 제1 및 제3 데이터 패킷들의 연대순 병렬 분석을 통해서, 최적 이미지 분석이 보장되는데, 이는 상기 제2 유닛이 에러-프리 이미지 데이터에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2 모드가 성취된 이후에, 단지 제2 유닛만을 이용하여 이미지 분석이 수행된다. 그러므로, 이미지 분석이 실시간으로 가능할뿐만 아니라, 최적 이미지 분석이 모든 제3 데이터 패킷들의 라우팅 이후에 성취될 수 있고 그리고 또한 실시간으로 이용가능한다.
상기 디바이스에 더하여, 본 발명은 도 3에 따른 순서도에 기초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다음의 단계들을 갖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STA: 순서도는 단계 STA로 시작한다.
S1: 단계 S1에서, 막-수신된 데이터 패킷이 제2 데이터 패킷인지 또는 제2 데이터 패킷을 나타내는지 여부, 즉 그 자체가 결함이 있거나 또는 비-수신된 데이터 패킷과 관련될 수 있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응답이 아니오이면, 단계 S1에 따르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S2에 따른다.
S2: 단계 S2에서, 상기 제1 모드(M1)가 활성화된다. 제1 및 제2 데이터 패킷들이 상기 제1 유닛(E1)으로부터 상기 제1 모드(M1) 동안에 프로세싱된다. 상기 프로세싱된 데이터 패킷들, 즉 제4 데이터 패킷들이 상기 데이터 싱크로 전송된다. 단계 3에 따른다.
S3: 단계 S3에서, 상기 제2 유닛(E2)은 상기 제1 유닛(E1)의 복제(copy)로서 개시된다. 제1 및 제3 데이터 패킷들(D1, D3)이 상기 제2 유닛(E2)을 통해 제5 데이터 패킷들이 프로세싱된다. 단계 S4에 다음으로 진행한다.
S4: 단계 S4에서, 개별 제3 데이터 패킷들(D3)이 상기 제2 데이터 패킷들 각각에 대해 수신되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이러한 경우가 아니면, 단계 S4가 반복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S5로 계속된다.
S5: 이러한 단계 S5에서, 상기 제2 모드(M2)가 활성화된다. 제4 데이터 패킷들 대신에, 제5 데이터 패킷들이 상기 데이터 싱크로 전송된다. 다음에 단계 END로 진행한다.
END: 이 단계에서, 상기 순서도가 종료한다.
본 발명 및 추가의 수정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미지 분석 및 비디오 디코딩의 형태의 프로세싱에 더하여, 다른 영역들의 어플리케이션들, 예컨대 오디오 코딩 또는 스피치 코딩이 가능하다.
본 발명 및 추가의 수정들은 제1 또는 제3 실시예에 기초하여 기술되었다. 제2 및 제4 실시예의 구현 및 실행이 유사하게 구현될 수 있다.

Claims (25)

  1. 데이터 스트림(S)에서의 데이터 패킷들(D)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V)로서,
    상기 데이터 스트림(S)은 수신된 에러-프리 데이터 패킷들(D)을 나타내는 제1 데이터 패킷들(D1); 수신된 결함있는 데이터 패킷들 또는 비-수신된 데이터 패킷들(D)을 나타내는 제2 데이터 패킷들(D2); 및 제2 데이터 패킷들(D2)로서 나타내어지는 데이터 패킷들(D)의 반복 전송의 결과로서 에러-프리로 수신되는 제3 데이터 패킷들(D3)을 갖고,
    제1 데이터 패킷들의 세트 및 제3 데이터 패킷들의 세트는 분리적(disjunctive)이고,
    상기 디바이스(V)는;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패킷들(D1, D2)을 제4 데이터 패킷들(D4)로 프로세싱하기 위한 제1 유닛(E1);
    제2 데이터 패킷(D2)이 식별될 때에 제1 모드(M1)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1 모드(M1)가 활성화될 때에 제2 유닛(E2)의 형태로 상기 제1 유닛(E1)의 복제(copy)를 생성하며; 그리고
    대응하는 제3 데이터 패킷(D3)이 상기 제2 데이터 패킷들(D2) 각각에 대해 제공되는 이후에 제2 모드(M2)를 활성화하기 위한 제어 유닛(SE); 및
    상기 제1 모드(M1)의 활성화 이후에 제1 및 제3 데이터 패킷들(D1, D3)을 제5 데이터 패킷들(D5)로 프로세싱하기 위한 상기 제2 유닛(E2)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닛(E1)은 상기 제2 모드(M2)의 활성화까지 제4 데이터 패킷들(D4)을 라우팅하고, 상기 제2 유닛(E2)은 상기 제2 모드(M2)의 활성화 이후에 제5 데이터 패킷들(D5)을 데이터 싱크(EX)로 라우팅하는,
    데이터 스트림에서의 데이터 패킷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SE)은 상기 제2 모드(M2)의 활성화 이후에 상기 제1 유닛(E1)을 클리어(clear)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데이터 스트림에서의 데이터 패킷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M2)의 활성화까지 제4 데이터 패킷들(D4)을 상기 데이터 싱크(EX)로 라우팅하고, 그리고
    상기 제2 모드(M2)의 활성화 이후에 제5 데이터 패킷들(D5)을 상기 데이터 싱크(EX)로 라우팅하기 위한 공급 유닛(ZE)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스트림에서의 데이터 패킷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E1)은 에러 은닉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데이터 패킷들을 더 프로세싱하는,
    데이터 스트림에서의 데이터 패킷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5. 데이터 스트림(S)에서의 데이터 패킷들(D)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V)로서,
    상기 데이터 스트림(S)은 수신된 에러-프리 데이터 패킷들(D)을 나타내는 제1 데이터 패킷들(D1); 수신된 결함있는 데이터 패킷들 또는 비-수신된 데이터 패킷들(D)을 나타내는 제2 데이터 패킷들(D2); 및 제2 데이터 패킷들(D2)로서 나타내어지는 데이터 패킷들(D)의 반복 전송의 결과로서 에러-프리로 수신되는 제3 데이터 패킷들(D3)을 갖고,
    제1 데이터 패킷들의 세트 및 제3 데이터 패킷들의 세트는 분리적이고,
    상기 디바이스(V)는;
    상기 제1 및 제3 데이터 패킷들(D1, D3)을 제4 데이터 패킷들(D4)로 프로세싱하기 위한 제1 유닛(E1);
    제2 데이터 패킷들(D2)이 식별될 때에 제1 모드(M1)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1 모드(M1)가 활성화될 때에 제2 유닛(E2)의 형태로 상기 제1 유닛(E1)의 복제를 생성하며; 그리고
    대응하는 제3 데이터 패킷(D3)이 상기 제2 데이터 패킷들(D2) 각각에 대해 제공되는 이후에 제2 모드(M2)를 활성화하기 위한 제어 유닛(SE); 및
    상기 제1 모드(M1)의 활성화 이후에 제1 및 제2 데이터 패킷들(D1, D2)을 제5 데이터 패킷들(D5)로 프로세싱하기 위한 상기 제2 유닛(E2)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닛(E1)은 상기 제1 모드(M1)의 활성화까지 그리고 상기 제2 모드(M2)의 활성화 이후에 제4 데이터 패킷들(D4)을 라우팅하고, 상기 제2 유닛(E2)은 상기 제1 모드(M1)의 활성화 이후에 그리고 상기 제2 모드(M2)의 활성화까지 제5 데이터 패킷들(D5)을 데이터 싱크(EX)로 라우팅하는,
    데이터 스트림에서의 데이터 패킷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SE)은 상기 제2 모드(M2)의 활성화 이후에 상기 제2 유닛(E2)을 클리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데이터 스트림에서의 데이터 패킷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M1)의 활성화까지 그리고 상기 제2 모드(M2)의 활성화 이후에 제4 데이터 패킷들(D4)을 상기 데이터 싱크(EX)로 라우팅하고, 그리고
    상기 제1 모드(M1)의 활성화 이후에 그리고 상기 제2 모드(M2)의 활성화까지 제5 데이터 패킷들(D5)을 상기 데이터 싱크(EX)로 라우팅하기 위한 공급 유닛(ZE)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스트림에서의 데이터 패킷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E2)은 에러 은닉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데이터 패킷들을 더 프로세싱하는,
    데이터 스트림에서의 데이터 패킷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SE)은 대응하는 제3 데이터 패킷(D3)이 상기 제2 데이터 패킷들(D2) 각각에 대해 제공되는 이후에 상기 제2 모드(M2)를 활성화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유닛(E1) 및 제2 유닛(E2)은 동일한 제1 데이터 패킷(D1)을 거의 동시에 프로세싱하는,
    데이터 스트림에서의 데이터 패킷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SE)은 제1 및 제3 데이터 패킷들(D1, D3)을 캐싱(caching)하기 위한 메모리(M) 및 제1 및 제3 데이터 패킷들(D1, D3)을 소팅(sorting)하기 위한 소팅 유닛(TE)을 포함하고,
    상기 소팅 유닛은 적합한 프로세싱을 위해 제1 및 제3 데이터 패킷들(D1, D3)의 연대순 시퀀스를 보장하는,
    데이터 스트림에서의 데이터 패킷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은 코딩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특히 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갖고, 상기 제1 및 제2 유닛들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분석 유닛들, 특히 이미지 또는 비디오 분석 유닛들로서 각각 설계되는,
    데이터 스트림에서의 데이터 패킷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은 코딩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특히 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갖고, 상기 제1 및 제2 유닛들은 코딩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 유닛들, 특히 비디오 디코더 유닛들로서 각각 설계되는,
    데이터 스트림에서의 데이터 패킷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13. 데이터 스트림(S)에서의 데이터 패킷들(D)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스트림(S)은 수신된 에러-프리 데이터 패킷들(D)을 나타내는 제1 데이터 패킷들(D1); 수신된 결함있는 데이터 패킷들 또는 비-수신된 데이터 패킷들(D)을 나타내는 제2 데이터 패킷들(D2); 및 제2 데이터 패킷들(D2)로서 나타내어지는 데이터 패킷들(D)의 반복 전송의 결과로서 에러-프리로 수신되는 제3 데이터 패킷들(D3)을 갖고,
    제1 데이터 패킷들의 세트 및 제3 데이터 패킷들의 세트는 분리적이고,
    상기 방법은:
    제1 유닛(E1)을 통해 제1 및 제2 데이터 패킷들(D1, D2)을 제4 데이터 패킷들(D4)로 프로세싱하는 단계;
    제2 데이터 패킷들(D2)이 식별될 때에 제1 모드(M1)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제1 모드(M1)가 활성화될 때에 제2 유닛(E2)의 형태로 상기 제1 유닛(E1)의 복제를 생성하는 단계;
    대응하는 제3 데이터 패킷(D3)이 상기 제2 데이터 패킷들(D2) 각각에 대해 제공되는 이후에 제 2 모드(M2)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제1 모드(M1)의 활성화 이후에 상기 제2 유닛(E2)을 통해 제1 및 제3 데이터 패킷들(D1, D3)을 제5 데이터 패킷들(D5)로 프로세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4 데이터 패킷들(D4)은 상기 제2 모드(M2)의 활성화까지, 그리고 제5 데이터 패킷들(D5)은 상기 제2 모드(M2)의 활성화 이후에 데이터 싱크(EX)로 라우팅되는,
    데이터 스트림에서의 데이터 패킷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E1)은 상기 제2 모드(M2)의 활성화 이후에 클리어되는,
    데이터 스트림에서의 데이터 패킷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제4 데이터 패킷들(D4)은 상기 제2 모드(M2)의 활성화까지, 그리고 제5 데이터 패킷들(D5)은 상기 제2 모드(M2)의 활성화 이후에 공급 유닛(ZE)에 의해 상기 데이터 싱크(EX)로 라우팅되는,
    데이터 스트림에서의 데이터 패킷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데이터 패킷들(D1, D2)은 에러 은닉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유닛(E1)을 통해 추가로 프로세싱되는,
    데이터 스트림에서의 데이터 패킷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
  17. 데이터 스트림(S)에서의 데이터 패킷들(D)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스트림(S)은 수신된 에러-프리 데이터 패킷들(D)을 나타내는 제1 데이터 패킷들(D1); 수신된 결함있는 데이터 패킷들 또는 비-수신된 데이터 패킷들(D)을 나타내는 제2 데이터 패킷들(D2); 및 제2 데이터 패킷들(D2)로서 나타내어지는 데이터 패킷들(D)의 반복 전송의 결과로서 에러-프리로 수신되는 제3 데이터 패킷들(D3)을 갖고,
    제1 데이터 패킷들의 세트 및 제3 데이터 패킷들의 세트는 분리적이고,
    상기 방법은:
    제1 유닛(E1)을 통해 제1 및 제3 데이터 패킷들(D1, D3)을 제4 데이터 패킷들(D4)로 프로세싱하는 단계;
    제2 데이터 패킷(D2)이 식별될 때에 제1 모드(M1)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제1 모드(M1)가 활성화될 때에 제2 유닛(E2)의 형태로 상기 제1 유닛(E1)의 복제를 생성하는 단계;
    대응하는 제3 데이터 패킷(D3)이 상기 제2 데이터 패킷들(D2) 각각에 대해 제공되는 이후에 제2 모드(M2)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제1 모드(M1)의 활성화 이후에 상기 제2 유닛(E2)을 통해 제1 및 제2 데이터 패킷들(D1, D2)을 제5 데이터 패킷들(D5)로 프로세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4 데이터 패킷들(D4)은 상기 제1 모드(M1)의 활성화까지 그리고 상기 제2 모드(M2)의 활성화 이후에, 그리고 제5 데이터 패킷들(D5)은 상기 제1 모드(M1)의 활성화 이후에 그리고 상기 제2 모드(M2)의 활성화까지 데이터 싱크(EX)로 라우팅되는,
    데이터 스트림에서의 데이터 패킷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E2)은 상기 제2 모드(M2)의 활성화 이후에 클리어되는,
    데이터 스트림에서의 데이터 패킷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공급 유닛(ZE)을 이용하여, 제4 데이터 패킷들(D4)이 상기 제1 모드(M1)의 활성화까지 그리고 상기 제2 모드(M2)의 활성화 이후에 상기 데이터 싱크(EX)로 라우팅되고, 제5 데이터 패킷들(D5)이 상기 제1 모드(M1)의 활성화 이후에 그리고 상기 제2 모드(M2)의 활성화까지 상기 데이터 싱크(EX)로 라우팅되는,
    데이터 스트림에서의 데이터 패킷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데이터 패킷들(D1, D2)은 에러 은닉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유닛(E2)을 통해 추가로 프로세싱되는,
    데이터 스트림에서의 데이터 패킷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
  21. 제13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응하는 제3 데이터 패킷(D3)이 상기 제2 데이터 패킷들(D2) 각각에 대해 제공되는 이후에 상기 제2 모드(M2)가 활성화되고, 상기 제1 유닛(E1) 및 제2 유닛(E2)은 동일한 제1 데이터 패킷(D1)을 거의 동시에 프로세싱하는,
    데이터 스트림에서의 데이터 패킷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
  22. 제13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3 데이터 패킷들(D1, D3)은 상기 제2 유닛(E2)을 통해 메모리(M)로 캐시되고, 제1 및 제3 데이터 패킷들(D1, D3)은 소팅 유닛(TE)을 이용하여 소팅되며, 상기 소팅 유닛은 적합한 프로세싱을 위해 제1 및 제3 데이터 패킷들(D1, D3)의 연대순 시퀀스를 보장하는,
    데이터 스트림에서의 데이터 패킷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
  23. 제13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은 코딩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특히 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갖고, 상기 제1 및 제2 유닛들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분석 유닛들, 특히 이미지 또는 비디오 분석 유닛들로서 각각 설계되는,
    데이터 스트림에서의 데이터 패킷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
  24. 제13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은 코딩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특히 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갖고, 상기 제1 및 제2 유닛들은 코딩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 유닛들, 특히 비디오 디코더 유닛들로서 각각 설계되는,
    데이터 스트림에서의 데이터 패킷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
  25.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바이스(V)의 이용으로서,
    상기 디바이스(V)는 감시 설치(UE)의 상황에서 비디오 데이터의 분석을 위해 이용되는,
    디바이스의 이용.
KR1020107028616A 2008-05-20 2009-05-18 데이터 스트림의 데이터 패킷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과 상기 디바이스들의 이용 KR1012467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24255.1 2008-05-20
DE102008024255A DE102008024255A1 (de) 2008-05-20 2008-05-20 Vorrichtungen und Verfahren zum Verarbeiten von Datenpaketen eines Datenstroms, sowie eine Verwendung der Vorrichtungen
PCT/EP2009/003520 WO2009141106A1 (de) 2008-05-20 2009-05-18 Vorrichtungen und verfahren zum verarbeiten von datenpaketen eines datenstroms, sowie eine verwendung der vorrichtung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842A true KR20110020842A (ko) 2011-03-03
KR101246749B1 KR101246749B1 (ko) 2013-03-26

Family

ID=40974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8616A KR101246749B1 (ko) 2008-05-20 2009-05-18 데이터 스트림의 데이터 패킷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과 상기 디바이스들의 이용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788912B2 (ko)
EP (1) EP2297967B1 (ko)
JP (1) JP5419967B2 (ko)
KR (1) KR101246749B1 (ko)
CN (1) CN102037733B (ko)
AT (1) ATE536049T1 (ko)
DE (1) DE102008024255A1 (ko)
WO (1) WO20091411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24255A1 (de) 2008-05-20 2009-12-10 Siemens Enterprise Communications Gmbh & Co. Kg Vorrichtungen und Verfahren zum Verarbeiten von Datenpaketen eines Datenstroms, sowie eine Verwendung der Vorrichtungen
JP5501052B2 (ja) * 2010-03-24 2014-05-2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AT514851B1 (de) * 2014-10-23 2019-07-15 Avl List Gmbh Verfahren zur Rekonstruktion eines in einem drahtlosen Sensornetzwerk fehlerhaft empfangenen Datenpakets
DE102015121488A1 (de) * 2015-12-10 2017-06-14 Universität Rostock Vorrichtung zur Erzeugung einer Datenbasis
US20230236992A1 (en) * 2022-01-21 2023-07-27 Arm Limited Data elision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0847A (en) * 1994-10-11 1996-08-27 Motorola, Inc. Device and method of signal loss recovery for realtime and/or interactive communications
US5953418A (en) * 1995-06-14 1999-09-14 David Hall Providing selective data broadcast receiver addressability
US5948119A (en) * 1995-06-15 1999-09-07 Bock; James M. Packet-based fifo
JP3588522B2 (ja) * 1995-09-04 2004-11-10 株式会社東芝 リアルタイムデータ用情報中継システムおよびリアルタイムデータ伝送用情報提供システム
US6104757A (en) * 1998-05-15 2000-08-15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of error control for interactive low-bit rate video transmission
JP2002084239A (ja) 2000-09-06 2002-03-2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メディア情報配信システムおよびメディア情報配信方法
AU2001230642A1 (en) * 2000-10-30 2002-05-15 Nortel Networks Limited Automatic request protocol based packet transmission using punctured codes
EP1271955A3 (fr) * 2001-06-26 2007-05-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rocédé de transmission par paquet avec requetes en retransmission de paquet et mécanisme de controle relatif à la transmission de telles requètes
JP2004056393A (ja) 2002-07-18 2004-02-19 Fujitsu Ltd 再生データの保存結果の修復システム
KR100537499B1 (ko) * 2002-07-26 2005-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송제어 파라미터 생성방법 및 프레임 특성에 따른선택적 자동 재전송 방법
JP2005295342A (ja) * 2004-04-01 2005-10-20 Sharp Corp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JP4810088B2 (ja) * 2004-12-17 2011-11-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EP1994669B1 (en) * 2006-03-03 2011-09-2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data bloc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419023B2 (ja) 2006-03-23 2010-02-24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移動体通信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JP5016279B2 (ja) * 2006-09-06 2012-09-05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通信システム、データ送信装置およびデータ送信方法
JP2009182055A (ja) 2008-01-29 2009-08-13 Murata Mfg Co Ltd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DE102008024255A1 (de) 2008-05-20 2009-12-10 Siemens Enterprise Communications Gmbh & Co. Kg Vorrichtungen und Verfahren zum Verarbeiten von Datenpaketen eines Datenstroms, sowie eine Verwendung der Vorrichtun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37733B (zh) 2013-05-29
US20110149075A1 (en) 2011-06-23
ATE536049T1 (de) 2011-12-15
WO2009141106A1 (de) 2009-11-26
EP2297967B1 (de) 2011-11-30
US8788912B2 (en) 2014-07-22
KR101246749B1 (ko) 2013-03-26
DE102008024255A1 (de) 2009-12-10
CN102037733A (zh) 2011-04-27
JP5419967B2 (ja) 2014-02-19
JP2011521575A (ja) 2011-07-21
EP2297967A1 (de) 201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43513B2 (ja) Iptvの低ビットレートのストリームを使用したビデオデータ損失回復システム
CN1242623C (zh) 视频编码方法、解码方法以及相关的编码器和解码器
US6357028B1 (en) Error correction and concealment during data transmission
Wien et al. Real-time system for adaptive video streaming based on SVC
US8958486B2 (en) Simultaneous processing of media and redundancy streams for mitigating impairments
KR101246749B1 (ko) 데이터 스트림의 데이터 패킷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과 상기 디바이스들의 이용
US8223187B2 (en) Non-bandwidth intensive method for providing multiple levels of censoring in an A/V stream
US20150103885A1 (en) Real time ip video transmission with high resilience to network errors
US9306987B2 (en) Content message for video conferencing
US9264737B2 (en) Error resilient transmission of random access frames and global coding parameters
RU2470481C2 (ru) Обратная связь и синхронизация кадров между медиа кодерами и декодерами
EP2308215B1 (en) Thinning of packet-switched video data
US7627184B2 (en) Content distribution/reception device, content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and content distribution/reception program
CN110381319A (zh) 图像编解码方法及装置
KR100704116B1 (ko)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다중 실시간 인코딩 방법 및 그서버 장치
KR100805805B1 (ko) 스케일러블 비디오 스트림의 동적 스케일러블 정보 처리장치 및 그 방법
JP2011040879A (ja) データ配信システム、切替装置及びデータ配信方法
KR102191970B1 (ko) 데이터 전송 디바이스 및 그 전송 방법
Lamy-Bergot et al. Data supervision for adaptively transcoded video surveillance over wireless links
Lyonnet et al. Architecture Considerations for Video Conferencing in the Internet with Wireless Links
JP2011124699A (ja) ユニキャスト再配信装置およびパケット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