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0140A - 풀덜기능을 이용한 심색섬유 - Google Patents

풀덜기능을 이용한 심색섬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0140A
KR20110020140A KR1020090077881A KR20090077881A KR20110020140A KR 20110020140 A KR20110020140 A KR 20110020140A KR 1020090077881 A KR1020090077881 A KR 1020090077881A KR 20090077881 A KR20090077881 A KR 20090077881A KR 20110020140 A KR20110020140 A KR 20110020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fiber
deep color
island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7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신혁
권윤정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7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0140A/ko
Publication of KR20110020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01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4Core-skin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53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non-circular cross sec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풀덜기능이 있는 섬유에 있어서, 해도사로 이루어지되, 해성분은 원착성분 또는 풀덜성분으로 이루어지고, 도성분은 일반 합성섬유의 성분이나 브라이트 성분을 포함하는 풀덜기능을 이용한 심색섬유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풀덜기능을 이용한 심색섬유{Fiber using full-dull}
본 발명은 풀덜기능 또는 원착성을 이용한 심색섬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풀덜 및 난반사 효과를 동시에 일으켜 심색성이 보완된 심색섬유에 관한 것이다.
섬유의 광택은 보통 SD(Semi Dull)과 FD(Full Dull), 그리고 BRT(BRIGHT) 이렇게 3가지로 구분된다. 방사 시 TiO2 또는 SiO2의 함량에 따라 각각 원사의 광택이 달라지며 함량이 많은 FD로 갈수록 광택이 나지 않는다. SD은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며, FD은 적은 광택이 필요하거나 원단 자체에 찰랑찰랑한 DROP성이 요구될 때 많이 사용하고 BRT는 보통 사틴(SATIN)과 같은 조직으로 제직하여 우수한 광택을 부여하는 란제리나 여성용 브라우스 등에 많이 사용된다.
이중 무광택(Full Dull) 합성섬유는 빛 투과율이 낮아서 주로 백색 수영복과 같이 속이 비치지 않는 의류용 원사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 무광택 합성 섬유는 주로 폴리머를 중합시킬 때 적정량의 무기물을 중합 반응기에 첨가하여 무기물이 함 유된 방사용 칩을 제조한 후, 상기 방사용 칩을 방사 및 연신시켜 제조해 왔다.
이러한 무광택 섬유는 고도의 비침방지 효과를 얻기 위해 산화티탄을 고농도로 첨가시키는 것이 필수이지만 비침방지효과를 증대시키거나 dull화를 경감하기 위해 산화티탄의 양을 줄이고 다른 방법으로 이를 보완하는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구성섬유 간에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직물을 설계하는 방법, 섬유단면의 펀평화에 의해 직물의 치밀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섬유내부의 다공화, 중공화 방법, 섬유단면의 이형화, 표면조화 등이다.
대한민국 특허발명 제459382호에서는 풀덜 폴리에스터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테레프탈산(TPA)과 에틸렌 글리콜(EG)을 열안정제와 삼산화안티몬(Sb2 O3)의 촉매하에 혼합시켜 얻어진 TPA 슬러리(slurry)에 이산화티탄(TiO2)과 알칼리를 투입하여 덜성이 향상된 슬러리를 제조하는 슬러리 제조 공정과, 슬러리 제조공정에서 혼합 제조된 슬러리를 반응시켜 올리고머를 생성하는 에스테르 반응 공정과, 에스테르 반응 공정에서 얻어진 올리고머를 축중합시켜 폴리머 칩을 생성하는 축중합 공정과, 폴리머 칩을 건조하여 방사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덜(full dull) 폴리에스터 섬유의 제조방법이 제한된바 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발명 제167001호에서는 고순도 테레프탈산과 에틸렌 글리콜을 반응시키고 평균지름이 1 ㎛이하인 이산화티탄 미립자와 함께 인화합물을 에틸렌 글리콜에 분산시킨 슬러리를 2 ∼ 4 중량% 첨가하여 풀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티탄 미립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0.01 ∼ 3 중량부 첨가하되 상기 이산화티탄은 에스테르화율이 80 ∼ 90% 진행되었을 때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풀덜기능 또는 원착성을 이용하여 종래 발현하지 못하였던 심색기능을 보완한 심색섬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풀덜기능이 있는 섬유에 있어서, 해도사로 이루어지되, 해성분은 원착성분 또는 풀덜성분으로 이루어지고, 도성분은 일반 합성섬유의 성분이나 브이트 성분을 포함하는 풀덜기능을 이용한 심색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해성분과 도성분은 단면적 기준비율로서 6:4 내지 8:2로 이루어진 풀덜기능을 이용한 심색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심색섬유는 자외선 흡수제를 더 포함하는 풀덜기능을 이용한 심색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심색섬유는 이형단면인 풀덜기능을 이용한 심색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성분의 내부에 중공부를 더 포함하는 풀덜기능을 이 용한 심색섬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심색섬유는 비침방지기능을 확보하면서 도성분에 일반 합성섬유의 성분이거나 브라이트(Bright) 성분을 배치하여 난반사를 극대화시켜 심색성 내지 파스텔 컬러 효과발현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흰색 계열이나 얇은 직물용 원단으로서 용도 전개가 가능한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 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심색"이라 함은 섬유의 색채의 농염화, 선명성을 나타냄은 물론 물리적 난반사 현상에서 비롯되는 색채의 변화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심색 섬유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심색 섬유는 바람직하게는 복합섬유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해도사일 수 있다. 이 때 외부에 노출되는 해성분(100)은 원착성분 또는 풀덜(Full Dull)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원착성분은 색상의 제한을 받지 않는다. 한편 도성분(200)은 일반 합성섬유의 성분이거나 브라이트(Bright) 성분일 수 있다. 상기 해성분과 도성분은 단면적 기준비율로서 6 : 4 내지 8 : 2 정도의 비율이 바람직하다.
종래 풀덜기능을 이용한 비침방지사 중에서는 해도구조로서 해성분이 일반사이고 도성분에 풀덜기능을 갖는 고불투명폴리머를 사용하는 예가 제안된 바 있었다. 이는 제사 공정중 가이드와 직접 접촉하는 초성분내 무기물 함량은 낮게 하고, 심성분내의 무기물 함량은 높게 함으로서 가이드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광택 및 빛 투과율의 조절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기술이었다.
상기 기술은 제사성이나 가공성의 수월성은 확보될 수 있었겠으나 해성분이 일반성분으로 이루어짐으로서 난반사를 극대화할 수 없고 결국 도성분에 비침방지성분을 포함시키게 된다. 즉 비침방지기능성은 해성분으로 인해 저감되는 것을 감수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심색섬유는 해성분에 원착성분 또는 풀덜(Full Dull)성분을 배치함으로서 비침방지기능을 확보하면서 도성분에 일반 합성섬유의 성분이거나 브라이트(Bright) 성분을 배치하여 난반사를 극대화시켜 심색성 내지 파스텔 컬러 효과발현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원한 심색섬유는 자외선흡수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섬유단면이 이형화될 수 있다. 섬유단면을 이형화함으로서 2차원적인 직물로 발현할 시에 심색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로서 심색성 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섬유가 중공섬유일 수 있다. 즉 섬유단면의 최내부는 중공부분으로 형성되고 그 외부는 일반 합성섬유의 성분이거나 브라이트(Bright) 성분을 배치하며, 최외각은 원착성분 또는 풀덜(Full Dull)성분을 배치할 수 있다. 이로서 난반사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성분의 내부에 중공부를 더 포함시킬 수도 있다. 이 때 중공:브라이트 성분부:풀덜성분부의 부피비는 4:3:3 내지 6:2:2 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심색섬유의 단면도.

Claims (5)

  1. 풀덜기능이 있는 섬유에 있어서,
    해도사로 이루어지되, 해성분은 원착성분 또는 풀덜성분으로 이루어지고,
    도성분은 일반 합성섬유의 성분이나 브라이트 성분을 포함하는 풀덜기능을 이용한 심색섬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성분과 도성분은 단면적 기준비율로서 6:4 내지 8:2로 이루어진 풀덜기능을 이용한 심색섬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색섬유는 자외선 흡수제를 더 포함하는 풀덜기능을 이용한 심색섬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색섬유는 이형단면인 풀덜기능을 이용한 심색섬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성분의 내부에 중공부를 더 포함하는 풀덜기능을 이용한 심색섬유.
KR1020090077881A 2009-08-21 2009-08-21 풀덜기능을 이용한 심색섬유 KR201100201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881A KR20110020140A (ko) 2009-08-21 2009-08-21 풀덜기능을 이용한 심색섬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881A KR20110020140A (ko) 2009-08-21 2009-08-21 풀덜기능을 이용한 심색섬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140A true KR20110020140A (ko) 2011-03-02

Family

ID=43929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7881A KR20110020140A (ko) 2009-08-21 2009-08-21 풀덜기능을 이용한 심색섬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201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62251A (zh) * 2014-12-04 2015-04-29 厦门翔鹭化纤股份有限公司 一种黑色海岛预取向丝的制备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62251A (zh) * 2014-12-04 2015-04-29 厦门翔鹭化纤股份有限公司 一种黑色海岛预取向丝的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037315A (ja) 混繊糸および織編物
WO2005075722A1 (ja) エア交絡紡績糸及びそれを含む布帛
KR102246475B1 (ko) 광택섬유
KR20110020140A (ko) 풀덜기능을 이용한 심색섬유
JP5667418B2 (ja) 遮熱性ポリエステル繊維
JP5379076B2 (ja) 複合合成繊維
JP2013044055A (ja) 芯鞘型ポリエステル扁平断面繊維、および防透性を有する布帛
JP2005350777A (ja) ポリエステル繊維
JP2019007096A (ja) ポリエステル系複合繊維及び繊維集合体
KR101292081B1 (ko) 촉감 및 드레이프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02375A (ko) 폴리에스테르 광택발현 혼섬사, 그를 이용한 섬유 제품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274423B1 (ko) 터치감이 우수한 고발색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WO2004063436A1 (ja) 異形断面ポリエステル繊維
JP2008057054A (ja) ポリエステル繊維
JP5089863B2 (ja) 低光沢アセテートマルチフィラメント糸及びその織編物
CN113151927B (zh) 一种有色含氟抗菌并列复合pbt纤维及其制备方法
KR100206088B1 (ko) 심색성 개선을 위한 중공 단면 섬유의 방사구금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터 섬유의 제조방법
JP7081965B2 (ja) 布帛
JP2008297683A (ja) 複合繊維
KR20080112597A (ko) 폴리에스터 섬유
JP2726201B2 (ja) 強撚用鮮明性ポリエステル繊維の製造方法
JPS641584B2 (ko)
JPH062235A (ja) ポリエステル複合仮撚糸
JPS6360148B2 (ko)
JP2005060890A (ja) 芯鞘型ポリエステル複合繊維及び織編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