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8723A - 단열재 패널을 이용한 외단열 구조 - Google Patents

단열재 패널을 이용한 외단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8723A
KR20110018723A KR1020090076333A KR20090076333A KR20110018723A KR 20110018723 A KR20110018723 A KR 20110018723A KR 1020090076333 A KR1020090076333 A KR 1020090076333A KR 20090076333 A KR20090076333 A KR 20090076333A KR 20110018723 A KR20110018723 A KR 20110018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horizontal
insulation panel
shaped
guard t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6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7206B1 (ko
Inventor
이병권
최영락
원종서
Original Assignee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6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7206B1/ko
Publication of KR20110018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8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의 층간 최외측에 벽체 또는 수직 프레임을 설치한 후, 단열재를 설치하여 외단열 구조를 구축함에 있어서, 각각 단열재 패널을 구조적인 지지 기능을 발휘하는 조립형 가드 트랙을 이용하여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조립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열재 패널을 개별적인 유닛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단열재 패널의 일부가 파손된 경우에 파손된 부분의 단열재 패널만 용이하게 교체하여 보수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보수가 편리한 조립형 가드 트랙과 단열재 패널을 이용한 외단열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수직 프레임 또는 벽체의 외면에 조립형 가드 트랙이 설치되며, 상기 조립형 가드 트랙의 상,하로 단열재 패널이 조립 결합되어 형성되는 외단열 구조로서, 조립형 가드 트랙은, U자형 단면형상을 가지는 메인 고정부재와; ㄷ자 단면형상을 가지고 있는 ㄷ자 결합부재와; ㄴ자 단면형상을 가지고 있고, 단열재 패널의 모서리에 설치되며, 수평면이 ㄷ자 결합부재와 결합되는 ㄴ자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단열재 패널을 이용한 외단열 구조{Install Structure of Insulating Panel using Guard Track}
본 발명은 단열재 패널을 이용한 외단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건축구조물의 층간 최외측에 벽체 또는 수직 프레임을 설치한 후, 단열재를 설치하여 외단열 구조를 구축함에 있어서, 각각 단열재 패널을 구조적인 지지 기능을 발휘하는 조립형 가드 트랙을 이용하여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조립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열재 패널을 개별적인 유닛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단열재 패널의 일부가 파손된 경우에 파손된 부분의 단열재 패널만 용이하게 교체하여 보수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보수가 편리한 조립형 가드 트랙과 단열재 패널을 이용한 외단열 구조에 관한 것이다.
빌딩 등의 건축구조물을 구축함에 있어서, 구조물의 단열을 위하여 건물의 외벽을 단열재 패널로 형성하는 외단열 구조가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외단열 구조의 경우, 단열재 패널이 설치된 상태에서 그 외면 전체에 외장재(외장보드)가 일괄하여 도포되므로 구조물의 외면 전체적으로 통일감을 느낄 수 있게 되지만, 부분적인 파손, 변색, 들뜸 등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 해당 구조물의 외면 전체를 보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즉, 외장보드가 단열재 패널의 외면 전체에 걸쳐 도포되므로 일부분에 발생한 하자의 보수를 위해서는, 해당 부분의 외장보드를 제거한 후 전체 단열재 패널 외면에 대해 새로운 외장보드를 다시 도포하여 설치해야만 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종래의 외단열 구조에서는 단열재 패널을 수직하게 적층하여 배치할 때, 그 시작 위치를 용이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최하단의 단열재 패널의 밑에는 가드 트랙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종래의 가드 트랙은 ㄷ자의 철물로 이루어지는데, ㄷ자 형태의 가드 트랙을 최하단에 배치되는 단열재 패널의 하단 가장자리에 끼워서 최하단 단열재 패널을 설치한 후, 후속하여 상측의 단열재 패널을 하측의 단열재 패널의 위로 차례로 적층한다. 이와 같이 하층에 설치된 단열재 패널 위에 추가적인 단열재 패널을 적층하면서,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단열재 패널을 접착제로 구조물의 외면에 부착하는 작업을 반복하여, 구조물 외면에 외단열재를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가드 트랙은 최하단의 단열재 패널을 설치할 때, 그 설치 위치를 정하는 보조적인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구조재로서의 기능은 전혀 가지고 있지 아니하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과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가드 트랙을 이용하여 단열재 패널을 설치하여 건축구조물의 외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단열기능을 가지는 구조물의 외단열 구조를 형성하되, 가드 트랙 자체가 구조재로서 기능하도록 함으로써 단열재 패널 설치 동안의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단열재 패널 설치 후에는 안정성을 발휘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단열재 패널이 소정 크기로 분할되어 있는 유닛 형태로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부분적인 파손 등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해당 부분의 단열재 패널만 용이하게 교체하여 보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건축구조물의 상,하층 슬래브 사이에서, 슬래브의 최외측에 수직 프레임 또는 벽체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 또는 벽체의 외면에 조립형 가드 트랙이 설치되며, 상기 조립형 가드 트랙의 상,하로 단열재 패널이 조립 결합되어 형성되는 외단열 구조로서, 조립형 가드 트랙은, 제1 수직부와 수평부와 제2 수직부로 이루어져 U자형 단면형상을 가지되 제1 수직부의 높이가 제2 수직부의 높이보다 더 큰 형상의 메인 고정부재와; 두 개의 마주보는 수평판과 수직판으로 이루어져 ㄷ자 단면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2 수직부에 조립 결합되는 ㄷ자 결합부재와; 수직면과 수평면으로 이루어져 ㄴ자 단면형상을 가지고 있고, 단열재 패널의 모서리에 설치되며, 상기 수평면이 ㄷ자 결합부재의 수평판과 결합되는 ㄴ자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위쪽 측면의 외부쪽 모서리에는 조립형 가드 트랙의 ㄴ자 결합부재가 결합되어 있고 외면에는 외장 보드가 결합되어 있는 하측 단열재 패널이, 수직 프레임 또는 벽체의 전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하측 단열재 패널에 구비된 ㄴ자 결합부재의 수평면이 ㄷ자 결합부재의 수평판과 결합되도록 상기 조립형 가드 트랙이 하측 단열재 패널의 측면 위쪽에서 수직 프레임 또는 벽체의 전면에 설치되고; 아래쪽 측면에는 메인 고정부재의 제1 수직부와 수평부와 제2 수직부로 이루어진 공간 내로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단차가 만들어져 있고 아래쪽 측면의 외부 방향 모서리에는 ㄴ자 결합부재가 결합 설치되어 있고 외면에는 외장 보드가 결합되어 있는 상측 단열재 패널이, ㄴ자 결합부재의 수평면이 ㄷ자 결합부재의 수평판과 결합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조립형 가드 트랙이 수직 프레임 또는 벽체의 전면에 설치되고 메인 고정부재의 제1 수직부와 수평부와 제2 수직부로 이루어진 공간 내로 삽입되도록 조립형 가드 트랙 위에 놓여 수직 프레임 또는 벽체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외단열 구조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조립형 가드 트랙이, 수직판재와 수평판재로 이루어져 L자로 절곡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슬래브의 최외측에 수직 프레임 또는 벽체에 수평하게 조립 설치되는 상기 L자 고정부재와; 외측 수직 고정판과 수평 고정판으로 이루어져 T자 형태의 단면을 이루며, 상기 수평 고정판이 상기 L자 고정부재의 수평판재와 결합되는 T자 고정부재로 구성된 T자 고정부재와; 서로 나란한 2개의 가로 프레임부재로 이루어져 각각 외측 수직 고정판에 조립 결합되는 프레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외장 보드가 전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하측 단열재 패널이, 수직 프레임 또는 벽체의 전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하측 단열재 패널의 위쪽 측면에 T자 고정부재와 L자 고정부재를 조립하여 위치시킨 상태에서 L자 고정부재가 수직 프레임 또는 벽체에 결합되며; 수직 프레임 또는 벽체 전면에 설치된 하측 단열재 패널의 위쪽 측면에, 프레임부재, T자 고정부재 및 L자 고정부재로 이루어진 조립형 가드 트랙이 설치되고; 외장 보드가 미리 결합된 상측 단열재 패널이 상기 조립형 가드 트랙 위에 설치되어, 상,하측 단열재 패널이 수직 프레임 또는 벽체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면에 외장 보드가 덧씌워진 단열재 패널이 개별적인 하나의 유닛을 이루게 되고, 이렇게 유닛 형태를 이룬 단열재 패널이 상,하로 배치되면서 외단열 구조를 이루어서 건축구조물의 외부 벽면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일부 단열재 패널이 파손되거나 변색 되는 등의 손상이 발생하여 보수해야할 필요가 생기는 경우, 해당 단열재 패널을 고정하고 있는 조립형 가드 트랙의 외측 수직판을 단열재 패널로부터 분리하여, 용이하게 단열재 패널만을 제거하고 새로운 것으로 교체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전체 외장재의 제거와 재시공이라는 번거로움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단열재 패널이 벽체 외면에 접착제로 부착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접착으로 인한 단열재 패널의 교체시의 어려움도 생기지 않게 된 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조립형 가드 트랙이 단순히 단열재 패널의 위치만을 정해주는 기능을 하는 것이 아니라, 단열재 패널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재로서 기능하게 된다. 따라서 단열재 패널을 설치할 때, 단열재 패널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므로, 외단열 구조의 설치시 시공성이 향상되며 작업의 안정성도 향상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우선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는 건축구조물의 상,하층 슬래브(401, 402) 사이에서, 슬래브(401, 402)의 최외측에 본 발명에 따른 외단열 구조가 형성되도록 조립형 가드 트랙(1)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상기 조립형 가드 트랙(1)에 의해 단열재 패널(200a, 200b)이 설치된 상태에서 도 1의 원 A 부분에서 선 B-B 위치에 따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슬래브(401, 402)의 최외측에 수직 프레임(400) 이 간격을 두고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 프레임(400)의 전면(건축구조물의 외면을 이루는 방향)에는 수평하게 본 발명의 조립형 가드 트랙(1)이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가드 트랙(1)은, 제1 수직부(11)와 수평부(12)와 제2 수직부(13)로 이루어져 U자형 단면형상을 가지되 제1 수직부(11)의 높이가 제2 수직부(13)의 높이보다 더 큰 형상의 메인 고정부재(10)와; ㄷ자 단면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2 수직부(13)에 조립 결합되는 ㄷ자 결합부재(20)와; ㄴ자 단면형상을 가지고 있고, 단열재 패널(200a, 200b)의 모서리에 설치되며 상기 ㄷ자 결합부재(20)의 수평부분 단부와 결합되는 ㄴ자 결합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메인 고정부재(10)는, 제1 수직부(11)와 수평부(12)와 제2 수직부(13)로 이루어져 한쪽이 짧은 U자형 단면형상을 가지고 있는데, 제1 수직부(11)의 높이가 제2 수직부(13)의 높이보다 더 크다. 앵커볼트 등의 앵커부재(60)가 상기 제1 수직부(11)를 관통하여 상기 수직 프레임(400)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메인 고정부재(10)가 수직 프레임(400)의 전면에 수평하게 조립 설치된다. 상기 메인 고정부재(10)의 제2 수직부(13) 전면으로는 ㄷ자 결합부재(20)가 조립 설치되는데, 상기 ㄷ자 결합부재(20)는, 두 개의 마주보는 수평판(21)과 수직판(22)으로 이루어져 ㄷ자 단면 형상을 이루고 있는데, 상기 수직판(22)이 메인 고정부재(10)의 제2 수직부(13)에 접한 상태에서 체결부재(61)에 의해 조립 결합된다. 이 때, 상기 수직판(22)과 제2 수직부(13) 사이에는 열전달의 차단을 위한 단열판(5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2개의 수평판(21)의 외측 단부에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갈고리 형상을 가지는 제1접철 절곡부(2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접철 절곡부(23)는 후술하는 것처럼 ㄴ자 결합부재(30)의 제2접철 절곡부(33)와 서로 체결된다.
ㄴ자 결합부재(30)는 수직면(31)과 수평면(32)으로 이루어져 ㄴ자 단면형상을 가지고 있는데, 상기 수평면(32)의 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갈고리 형상을 가지는 제2접철 절곡부(3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접철 절곡부(33)는 상기 제1접철 절곡부(23)와 갈고리부가 서로 맞물려 끼워져 결합된다.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대응되는 단면도로서, 각각 외장 보드(202)가 덧씌워진 상태의 단열재 패널(200a, 200b)이 본 발명의 조립형 가드 트랙(1)과 결합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하측 단열재 패널(200a)이 설치된 상태에서 ㄷ자 결합부재(20)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의 메인 고정부재(10)가 수직 프레임(400)에 조립 설치된다. 이 때, 하측 단열재 패널(200a)의 측면의 외부쪽 모서리에는 조립형 가드 트랙(1)의 ㄴ자 결합부재(30)가 미리 결합되어 있다. 즉, ㄴ자 결합부재(30)가 단열재 패널(200a, 200b)의 외측 모서리를 덮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단열재 패널(200a, 200b)의 외면에는 외장 보드(202)가 개별적으로 덧씌워지고, 앵커부재(60)가 외장 보드(202)와 ㄴ자 결합부재(30)의 수직면(31)을 관통하여 단열재 패널(200a, 200b)에 박혀서 외장보드(202), ㄴ자 결합부재(30) 및 단열재 패널(200a, 200b)이 각각 일체를 이룬 상태가 되어 있는 것이다. 물론 앵커부재(60)가 ㄴ자 결합부재(30)를 관통한 상태에서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외장 보드(202)가 개별적으로 단열재 패널(200a) 외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ㄴ자 결합부재(30)도 다른 방법(부착 등)을 통해 단열재 패널(200a, 200b)과 일체를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측 단열재 패널(200a)이 설치된 상태에서 ㄷ자 결합부재(20)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의 메인 고정부재(10)가 수직 프레임(400)에 조립 설치된다. 이 때 하측 단열재 패널(200a)에 결합되어 있는 ㄴ자 결합부재(30)의 수평면(32) 단부에 형성된 제2접철 절곡부(33)와 ㄷ자 결합부재(20)의 아래쪽 수평판(21) 단부에 형성된 제1접철 절곡부(23)는 갈고리부가 서로 맞물려 끼워져 결합된다. 갈고리부의 존재 및 수평면(32) 및 수평판(21)의 존재를 고려하여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하측 단열재 패널(200a)의 측면에는 단차부(3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하측 단열재 패널(200a)이 설치되고 메인 고정부재(10)가 설치된 후에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측 단열재 패널(200b)을 설치한다. 상측 단열재 패널(200b)의 하부 측면에는 메인 고정부재(10)의 제1 수직부(11)와 수평부(12)와 제2 수직부(13)로 이루어진 공간 내로 삽입되는 돌출부(205)가 형성되도록 단차가 만들어져 있다.
상측 단열재 패널(200b)의 하부 측면의 외부 방향 모서리에도 ㄴ자 결합부재(30)가 결합 설치되어 있고, 단열재 패널(200b)의 외면에는 외장 보드(202)가 결합되어 있는데, 상측 단열재 패널(200)b에 대한 ㄴ자 결합부재(30)와 외장 보드(202)의 결합 구성은, 돌출부(205)를 제외하고 앞서 설명한 하측 단열재 패널(200a)과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ㄴ자 결합부재(30)와 외장 보드(202)의 결합된 상측 단열재 패 널(200b)을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메인 고정부재(10) 및 ㄷ자 결합부재(20)에 설치하게 되는데, 처음에는 상측 단열재 패널(200b)의 윗부분을 전면 방향으로 기울인 상태에서 상측 단열재 패널(200b)에 결합되어 있는 ㄴ자 결합부재(30)의 수평면(32) 단부에 형성된 제2접철 절곡부(33)의 갈고리부와 ㄷ자 결합부재(20)의 위쪽 수평판(21) 단부에 형성된 제1접철 절곡부(23)의 갈고리부가 서로 맞물려 끼워짐과 동시에 돌출부(205)가 메인 고정부재(10)의 제1 수직부(11)와 수평부(12)와 제2 수직부(13)로 이루어진 공간 내로 삽입되도록 화살표 방향으로 움직여서 기울어진 상태를 수직되게 세운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조립형 가드 트랙(1)에 의해 상측 및 하측의 단열재 패널(200a, 200b)이 지지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이다.
상,하측 단열재 패널(200a, 200b)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외장 보드(202) 측면 사이의 틈은 수밀 유지 등을 위하여 수밀재(206)를 채워서 메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단열재 패널(200a, 200b)로는 예를 들어 EPS계열의 단열재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단열재 패널(200a, 200b)의 재질에는 어떠한 제한도 없다. 상기 외장 보드(202)로는 예를 들어, 마그네슘 보드나 외장 CRC 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에서 외장 보드(202)의 재질에도 어떠한 제한도 없다.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외면에 외장 보드(202)가 덧씌워진 단열재 패널(200a, 200b)이 개별적인 하나의 유닛을 이루게 되고, 이렇게 유닛 형태를 이 룬 단열재 패널(200a, 200b)이 상,하로 배치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가드 트랙(1)에 의하여 건축구조물의 상층 및 하층 슬래브(401, 402) 사이에 설치되어, 실질적으로는 상층 및 하층 슬래브(401, 402) 사이의 외벽면을 형성하게 되며, 그와 동시에 외단열 구조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즉, 단열재 패널(200a, 200b)이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개별적인 유닛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일부 단열재 패널(200a, 200b)이 파손되거나 변색 되는 등의 손상이 발생하여 보수해야할 필요가 생기는 경우, 조립형 가드 트랙(1)으로부터 용이하게 해당 단열재 패널(200a, 200b)만을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게 되어, 유지 보수가 매우 편리하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은 구성에서는 조립형 가드 트랙(1)이 단순히 단열재 패널(200a, 200b)의 위치만을 정해주는 기능을 하는 것이 아니라, 단열재 패널(200a, 200b)의 가장자리를 지지하여 보강하는 구조재로서 기능하게 된다. 따라서 단열재 패널(200a, 200b)의 설치 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장점이 있으며, 더 나아가 단열재 패널(200)에 가해지는 하중이 조립형 가드 트랙(1)으로 전달되므로 단열재 패널(200a, 200b)의 강도가 더 보강되는 효과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단열재 패널(200a, 200b)에 의해 실질적인 건축구조물의 외벽면이 형성될 수 있다.
위의 설명에서는 메인 고정부재(10)가 수직 프레임(400)에 결합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콘크리트 벽체(700)에 결합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메인 고정부재(10) 및 ㄷ자 결합부재(20)가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속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건축구조물의 상,하층 슬래브(401, 402) 사이에 최외측으로 콘크리트 등으로 이루어진 벽체(700)가 설치되어 있고, 벽체(700)의 외면으로 본 발명에 따른 외단열 구조가 형성되도록 조립형 가드 트랙(1)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상기 조립형 가드 트랙(1)에 의해 단열재 패널(200a, 200b)이 설치된 상태에서 도 5의 원 C 부분에서의 선 D-D 위치에 따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건축구조물에서 상,하층 슬래브(401, 402) 사이에 최외측으로 콘크리트 벽체(70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가드 트랙(1)은 상기 벽체(700)에 외면에 설치되어 벽체(700)의 외면에 외단열 구조가 형성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메인 고정부재(10) 및 ㄷ자 결합부재(20)는 수평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도록 복수개의 단속적인 부재로 구성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물론 메인 고정부재(10) 및 ㄷ자 결합부재(20) 중 어느 한 종류의 부재만 단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나머지 구성은 앞서 살펴본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에는 건축구조물의 상,하층 슬래브(401, 402) 사이에서, 슬래브(401, 402)의 최외측에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단열 구조가 형성되도록 조립형 가드 트랙(1)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 에는 상기 조립형 가드 트랙(1)에 의해 단열재 패널(200a, 200b)이 설치된 상태에서 도 7의 선 E-E 위치에 따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에는 상기 조립형 가드 트랙(1)에 상측 단열재 패널(200b)을 끼워서 설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 8에 대응되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조립형 가드 트랙(1)은, L자 고정부재(40), T자 고정부재(50) 및 프레임부재(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L자 고정부재(40)는 수직판재(41)와 수평판재(42)로 이루어져 L자로 절곡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슬래브(401, 402)의 최외측에 수직 프레임(400)이 간격을 두고 설치된 경우, 앵커부재(60)가 상기 수직판재(41)를 관통하여 상기 수직 프레임(400)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L자 고정부재(40)가 수직 프레임(400)의 전면에 수평하게 조립 설치된다.
T자 고정부재(50)는 외측 수직 고정판(51)과 수평 고정판(52)으로 이루어져 T자 형태의 단면을 이루도록 결합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수평 고정판(52)이 상기 L자 고정부재(40)의 수평판재(42)와 결합된다. 이 때, 상기 수평 고정판(52)과 수평판재(42) 사이에는 열전달 차단을 위한 단열판(5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평판재(42)와 상기 수평 고정판(52)이 겹쳐진 상태에서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61)가 관통 체결됨으로써 상기 T자 고정부재(50)가 상기 L자 고정부재(40)에 조립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애초부터 상기 수평판재(42)와 수평 고정판(52)이 일체로 결합되어 존재할 수도 있다. 즉, 수평판재(42)와 수평 고정판(52)이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만일 도시된 실시예처럼 T자 고정부재(50)가 체결부재(61)에 의해 L자 고정부재(40)에 조립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수직판재(41)와 외측 수직 고정판(51) 사이의 간격을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L자 고정부재(40)의 수평판재(42)와 T자 고정부재(50)의 수평 고정판(52)에 형성되어 체결부재(61)가 관통하게 되는 관통공 중 어느 하나는 장공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T자 고정부재(50)의 외측 수직 고정판(51)의 외면에는 프레임부재(70)가 조립 설치된다. 프레임부재(70)의 서로 나란한 2개의 가로 프레임부재(71)는 각각 외측 수직 고정판(51)에 볼트부재 등의 체결부재(61)에 의하여 조립 결합된다. 상기 가로 프레임부재(71)는 수평하게 배치되며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세로 프레임부재(72)도 구비되어 있어 프레임부재(70)는 정면에서 볼 때 사각형을 이루고 있으나, 상기 세로 프레임부재(72)는 생략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조립형 가드 트랙(1)을 이용하여 상,하측 단열재 패널(200a, 200b)을 수직 프레임(400) 전면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하측 단열재 패널(200a)이 수직 프레임(400) 전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하측 단열재 패널(200a)의 위쪽 측면에 T자 고정부재(50)와 L자 고정부재(40)를 조립하여 위치시키고 L자 고정부재(40)를 수직 프레임(400)에 결합한다. 하측 단열재 패널(200a)의 외면에는 이미 외장 보드(202)가 일체로 결합되 어 있다.
T자 고정부재(50)의 외측 수직 고정판(51)은 단열재 패널(200a, 200b)의 두께 중간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외측 수직 고정판(51)이 놓이게 되는 위치에서 하측 단열재 패널(200a)의 측면은 오목부(208)가 형성되어 있다. 즉, 하측 단열재 패널(200a)의 측면은 단차가 형성되어 외측 수직 고정판(51)이 놓이게 되는 위치에서 전면 방향으로는 오목부(208)가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208) 이외의 부분은 돌출부분(209)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하측 단열재 패널(200a) 위에 상기한 실시예에 의한 조립형 가드 트랙(1)을 설치하게 되면, 프레임부재(70)의 아래쪽 가로 프레임부재(71)와 외측 수직 고정판(51)의 절반 부분은 상기 오목부(208)에 위치하게 되고, 돌출부분(209)은 외측 수직 고정판(51)의 뒤쪽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하측 단열재 패널(200a)을 개별적으로 덮고 있는 외장 보드(202)는 오목부(208)를 덮도록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장 보드(202)를 관통하여 체결부재(61)가 가로 프레임부재(71)에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측 단열재 패널(200a)이 수직 프레임(400) 전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하측 단열재 패널(200a)의 위쪽 측면에 T자 고정부재(50)와 L자 고정부재(40)를 조립하여 위치시킨 상태에서, T자 고정부재(50)와 L자 고정부재(40)의 위쪽으로 상측 단열재 패널(200b)을 설치한다. 상측 단열재 패널(200b)의 아래쪽 측면은 상기한 하측 단열재 패널(200b)의 외쪽 측면과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어 하측 단열재 패널(200a)과 마찬가지로 오목부(208)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이외 부분은 돌출부분(209)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장 보드(202)가 미리 결합된 상측 단열재 패널(200b)을 상기한 실시예에 의한 조립형 가드 트랙(1) 위에 설치한다. 따라서 프레임부재(70)의 위쪽 가로 프레임부재(71)와 외측 수직 고정판(51)의 위쪽 절반 부분은 상측 단열재 패널(200b)의 상기 오목부(208)에 위치하게 되고, 돌출부분(209)은 외측 수직 고정판(51)의 뒤쪽과 L자 고정부재(40)의 수직판재(41)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하측 단열재 패널(200a)과 마찬가지로 상측 단열재 패널(200b)을 개별적으로 덮고 있는 외장 보드(202)는 오목부(208)를 덮도록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장 보드(202)를 관통하여 체결부재(61)가 가로 프레임부재(71)에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에는 도 7에 대응되는 사시도로서, 건축구조물의 상,하층 슬래브(401, 402) 사이에서, 슬래브(401, 402)의 최외측에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단열 구조가 형성되도록 조립형 가드 트랙(1)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차이점은 L자 고정부재(40)와 T자 고정부재(50)가 길게 연장되어 있는지(도 7의 실시예), 아니면 수평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도록 복수개의 단속적인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지(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다. 즉,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L자 고정부재(40)와 T자 고정부재(50)가 수평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도록 복수개의 단속적인 부재로 구성되어 설치되어 있다. 물론 L자 고정부재(40)와 T자 고정부재(50) 중 어느 한 종류의 부재만 단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기타 구성은 도 7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지만 상기한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 역시 건축구조물에서 상,하층 슬래브(401, 402) 사이에 최외측으로 콘크리트 등으로 이루어진 벽체(700)가 설치된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건축구조물의 상,하층 슬래브 사이에서, 본 발명의 조립형 가드 트랙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형 가드 트랙에 의해 단열재 패널이 설치된 상태에서 도 1의 원 A 부분에서 선 B-B 위치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대응되는 단면도로서, 각각 외장 보드가 덧씌워진 상태의 단열재 패널이 본 발명의 조립형 가드 트랙과 결합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건축구조물의 상,하층 슬래브 사이에 콘크리트 벽체가 설치되어 있고, 벽체의 외면으로 본 발명에 따른 외단열 구조가 형성되도록 조립형 가드 트랙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조립형 가드 트랙에 의해 단열재 패널이 설치된 상태에서 도 5의 원 C 부분에서의 선 D-D 위치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건축구조물의 상,하층 슬래브 사이에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단열 구조가 형성되도록 조립형 가드 트랙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조립형 가드 트랙에 의해 단열재 패널이 설치된 상태에서 도 7의 선 E-E 위치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조립형 가드 트랙에 상측 단열재 패널을 끼워서 설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 8에 대응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대응되는 사시도로서, 건축구조물의 상,하층 슬래브 사이에서, 슬래브의 최외측에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단열 구조가 형성되도록 조립형 가드 트랙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립형 가드 트랙
10 : 메인 고정부재
20 : ㄷ자 결합부재
30 : ㄴ자 결합부재
202 : 외장 보드

Claims (4)

  1. 건축구조물의 상,하층 슬래브(401, 402) 사이에서, 슬래브(401, 402)의 최외측에 수직 프레임(400) 또는 벽체(700)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400) 또는 벽체(700)의 외면에 조립형 가드 트랙(1)이 설치되며, 상기 조립형 가드 트랙(1)의 상,하로 단열재 패널(200a, 200b)이 조립 결합되어 형성되는 외단열 구조로서,
    조립형 가드 트랙(1)은, 제1 수직부(11)와 수평부(12)와 제2 수직부(13)로 이루어져 U자형 단면형상을 가지되 제1 수직부(11)의 높이가 제2 수직부(13)의 높이보다 더 큰 형상의 메인 고정부재(10)와; 두 개의 마주보는 수평판(21)과 수직판(22)으로 이루어져 ㄷ자 단면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2 수직부(13)에 조립 결합되는 ㄷ자 결합부재(20)와; 수직면(31)과 수평면(32)으로 이루어져 ㄴ자 단면형상을 가지고 있고, 단열재 패널(200a, 200b)의 모서리에 설치되며, 상기 수평면(32)이 ㄷ자 결합부재(20)의 수평판(21)과 결합되는 ㄴ자 결합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위쪽 측면의 외부쪽 모서리에는 조립형 가드 트랙(1)의 ㄴ자 결합부재(30)가 결합되어 있고 외면에는 외장 보드(202)가 결합되어 있는 하측 단열재 패널(200a)이, 수직 프레임(400) 또는 벽체(700)의 전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하측 단열재 패널(200a)에 구비된 ㄴ자 결합부재(30)의 수평면(32)이 ㄷ자 결합부재(20)의 수평판(21)과 결합되도록 상기 조립형 가드 트랙(1)이 하측 단열재 패널(200a)의 측면 위쪽에서 수직 프레임(400) 또는 벽체(700)의 전면에 설치되고;
    아래쪽 측면에는 메인 고정부재(10)의 제1 수직부(11)와 수평부(12)와 제2 수직부(13)로 이루어진 공간 내로 삽입되는 돌출부(205)가 형성되도록 단차가 만들어져 있고 아래쪽 측면의 외부 방향 모서리에는 ㄴ자 결합부재(30)가 결합 설치되어 있고 외면에는 외장 보드(202)가 결합되어 있는 상측 단열재 패널(200b)이, ㄴ자 결합부재(30)의 수평면(32)이 ㄷ자 결합부재(20)의 수평판(21)과 결합되고 상기 돌출부(205)가 상기 조립형 가드 트랙(1)이 수직 프레임(400) 또는 벽체(700)의 전면에 설치되고 메인 고정부재(10)의 제1 수직부(11)와 수평부(12)와 제2 수직부(13)로 이루어진 공간 내로 삽입되도록 조립형 가드 트랙(1) 위에 놓여 수직 프레임(400) 또는 벽체(700)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ㄷ자 결합부재(20)의 상기 2개의 수평판(21)의 외측 단부에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갈고리 형상을 가지는 제1접철 절곡부(23)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ㄴ자 결합부재(30)의 수평면(32)의 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갈고리 형상을 가지는 제2접철 절곡부(33)가 형성되어 있으며;
    단열재 패널(200a, 200b)이 설치될 때, 상기 제1접철 절곡부(23)와 상기 제2접철 절곡부(33)는 갈고리가 서로 맞물려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구조.
  3. 건축구조물의 상,하층 슬래브(401, 402) 사이에서, 슬래브(401, 402)의 최외측에 수직 프레임(400) 또는 벽체(700)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400) 또는 벽체(700)의 외면에 조립형 가드 트랙(1)이 설치되며, 상기 조립형 가드 트랙(1)의 상,하로 단열재 패널(200a, 200b)이 조립 결합되어 형성되는 외단열 구조로서,
    조립형 가드 트랙(1)은, 수직판재(41)와 수평판재(42)로 이루어져 L자로 절곡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슬래브(401, 402)의 최외측에 수직 프레임(400) 또는 벽체(700)에 수평하게 조립 설치되는 상기 L자 고정부재(40)와; 외측 수직 고정판(51)과 수평 고정판(52)으로 이루어져 T자 형태의 단면을 이루며, 상기 수평 고정판(52)이 상기 L자 고정부재(40)의 수평판재(42)와 결합되는 T자 고정부재(20)로 구성된 T자 고정부재(50)와; 서로 나란한 2개의 가로 프레임부재(71)로 이루어져 각각 외측 수직 고정판(51)에 조립 결합되는 프레임부재(7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외장 보드(202)가 전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하측 단열재 패널(200a)이, 수직 프레임(400) 또는 벽체(700)의 전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하측 단열재 패널(200a)의 위쪽 측면에 T자 고정부재(50)와 L자 고정부재(40)를 조립하여 위치시킨 상태에서 L자 고정부재(40)가 수직 프레임(400) 또는 벽체(700)에 결합되며;
    수직 프레임(400) 또는 벽체(700) 전면에 설치된 하측 단열재 패널(200a)의 위쪽 측면에, 프레임부재(70), T자 고정부재(50) 및 L자 고정부재(40)로 이루어진 조립형 가드 트랙(1)이 설치되고;
    외장 보드(202)가 미리 결합된 상측 단열재 패널(200b)이 상기 조립형 가드 트랙(1) 위에 설치되어, 상,하측 단열재 패널(200a, 200b)이 수직 프레임(400) 또는 벽체(700)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조립형 가드 트랙(1)이 놓이게 되는 하측 단열재 패널(200a)의 상부 측면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외측 수직 고정판(51)이 놓이게 되는 위치에서 전면 방향으로는 오목부(208)가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208) 이외의 부분은 돌출부분(209)이 형성되어 있어, 하측 단열재 패널(200a) 위에 조립형 가드 트랙(1)이 설치될 때, 프레임부재(70)의 아래쪽 가로 프레임부재(71)와 외측 수직 고정판(51)의 절반 부분은 상기 오목부(208)에 위치하게 되고, 돌출부분(209)은 외측 수직 고정판(51)의 뒤쪽에 위치하게 되며;
    상측 단열재 패널(200b)의 아래쪽 측면은 상기 하측 단열재 패널(200b)의 외쪽 측면과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어 오목부(208)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이외 부분은 돌출부분(209)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측 단열재 패널(200b)을 조립형 가드 트랙(1) 위에 설치할 때, 프레임부재(70)의 위쪽 가로 프레임부재(71)와 외측 수직 고정판(51)의 위쪽 절반 부분은 상측 단열재 패널(200b)의 상기 오목부(208)에 위치하게 되고, 돌출부분(209)은 외측 수직 고정판(51)의 뒤쪽과 L자 고정부재(40)의 수직판재(41)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구조.
KR1020090076333A 2009-08-18 2009-08-18 단열재 패널을 이용한 외단열 구조 KR101017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333A KR101017206B1 (ko) 2009-08-18 2009-08-18 단열재 패널을 이용한 외단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333A KR101017206B1 (ko) 2009-08-18 2009-08-18 단열재 패널을 이용한 외단열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723A true KR20110018723A (ko) 2011-02-24
KR101017206B1 KR101017206B1 (ko) 2011-02-25

Family

ID=43777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6333A KR101017206B1 (ko) 2009-08-18 2009-08-18 단열재 패널을 이용한 외단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72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446B1 (ko) * 2012-01-30 2012-05-22 주식회사 일산금속 단열재 시공용 앵글 및 이를 이용하는 단열재 시공방법
WO2016190610A1 (ko) * 2015-05-26 2016-12-01 주식회사 동건 단열재모듈 및 이를 이용한 단열벽구조 및 이를 이용한 단열벽 시공방법
KR20160138876A (ko) * 2015-06-25 2016-12-06 주식회사 동건 단열재모듈 및 이를 이용한 단열벽구조 및 이를 이용한 단열벽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2136A (ja) 1999-11-02 2001-05-15 Nisshin A & C Co Ltd 合成2重壁パネル及びその施工法
JP3621054B2 (ja) 2001-05-24 2005-02-16 株式会社テスク 鉄筋コンクリート造壁式構造の外断熱建築物に於ける帳壁取付方法及び取付金具
JP4169659B2 (ja) 2003-07-18 2008-10-22 旭化成ホームズ株式会社 断熱材の取付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446B1 (ko) * 2012-01-30 2012-05-22 주식회사 일산금속 단열재 시공용 앵글 및 이를 이용하는 단열재 시공방법
WO2016190610A1 (ko) * 2015-05-26 2016-12-01 주식회사 동건 단열재모듈 및 이를 이용한 단열벽구조 및 이를 이용한 단열벽 시공방법
KR20160138876A (ko) * 2015-06-25 2016-12-06 주식회사 동건 단열재모듈 및 이를 이용한 단열벽구조 및 이를 이용한 단열벽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7206B1 (ko) 2011-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6878B1 (ko) 프레임 유닛 단열재 패널의 적층을 이용한 건물벽의 외단열 구조 및 이를 위한 프레임 유닛 단열재 패널
KR101017206B1 (ko) 단열재 패널을 이용한 외단열 구조
KR101173795B1 (ko) 조립식 트러스 구조
KR101325301B1 (ko) 단열패널 및 그를 이용한 단열벽체 시공방법
KR101447360B1 (ko) 결합 채널을 이용한 에이엘씨 패널 횡벽 설치방법
RU2580557C2 (ru) Стеновая изоля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с прямоугольными блоками
KR20110009307A (ko) 단열재 패널의 설치를 위한 상,하 연결형 가드 트랙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구조
KR101393215B1 (ko) 횡벽 구법에 의한 에이엘씨 패널 설치방법
KR101795511B1 (ko) 건축용 데크패널
KR100732562B1 (ko) 지붕패널 구조물
KR101275932B1 (ko) 에이엘씨 패널을 종방향으로 콘크리트 슬래브에 설치하는 방법
KR20220013873A (ko) 창호브라켓용 조립식 결로방지패드
RU2010128757A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панелизации
JP2010090593A (ja) 床構造およびユニット式建物の施工方法
JP2006299507A (ja) 間仕切壁
JP2010095956A (ja) 外断熱パネルおよび外断熱構造
KR200416147Y1 (ko) 조립식 건축용 지붕체의 연결부재
JP4062566B2 (ja) 外囲体
KR20160116274A (ko) 조립형강과 데크 플레이트를 활용한 일체화 구조를 갖는 수벽
KR20090106200A (ko) 콘크리트패널 정착구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패널구조물
RU2790620C1 (ru) Комплект для крепления плит облицовки навесной фасадной системы
JP5791416B2 (ja) 建物の床構造
JP2015048580A (ja) 腰壁・土間構造
CN211597292U (zh) 一种用于幕墙板块与钢梁连接的转接结构
JP6116808B2 (ja) 建物の外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