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7533A - 치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유산균 복합체 - Google Patents

치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유산균 복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7533A
KR20110017533A KR1020090075046A KR20090075046A KR20110017533A KR 20110017533 A KR20110017533 A KR 20110017533A KR 1020090075046 A KR1020090075046 A KR 1020090075046A KR 20090075046 A KR20090075046 A KR 20090075046A KR 20110017533 A KR20110017533 A KR 20110017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ic acid
acid bacteria
absorbent
lactobacillus
periodontal dis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5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미정
Original Assignee
신미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미정 filed Critical 신미정
Priority to KR1020090075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7533A/ko
Publication of KR20110017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5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5Bifido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치를 유발하는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S. mutans)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활성을 나타내고 치주염을 유발하는 P. gingivalis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치주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할 수 있도록 락토바실루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SPM1205 및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유산균이 유효성분으로 함유되어 있으며 치주질환의 환부에 직접 투여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고체 형태 또는 분말 형태의 유산균 복합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유산균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치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유산균 복합체

Description

치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유산균 복합체{composition of lactic acid}
본 발명은 치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유산균 복합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충치를 유발하는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S. mutans)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활성을 나타내고 치주염을 유발하는 P. gingivalis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치주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할 수 있도록 락토바실루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SPM1205 및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유산균이 유효성분으로 함유되어 있으며 치주질환의 환부에 직접 투여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고체 형태 또는 분말 형태의 유산균 복합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유산균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특정 유산균들은 충치를 유발하는 S. mutans균이나 치주염을 유발하는 P. gingivalis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항균물질(Bacteriocin, 과산화수소)를 생성한다. 또한 특정 유산균들은 이들 병원성균의 증식에 필요한 영양성분에 대해 경쟁하게 돼 병원성균들이 잘 자라지 못하게도 한다. 치주 질환은 치아의 지지조직의 박 테리아-관련 염증성 질환이고, 잇몸 조직의 비특이적이고 가역적인 염증으로 상대적으로 병세가 가벼운 형태의 치은염(gingivitis)으로부터 치아 지지조직을 파괴하는 공격적인 형태의 치주염(periodontitis)까지 그 범주에 속한다.
치주염은 특이적인 그람-음성 박테리아 집합체의 하부 잇몸 감염과 관련이 있으며, 이것은 치주조직을 파괴한다. 충치는 치아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대표적인 질환의 하나로 치아우식증이라고 한다. 구강 내 음식물이 내산성 연쇄상 구균과 유산균에 의해 부패되고 산에 의해 치아의 성분이 파괴되는 감염성 세균성 질환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영구 치아의 충치 이환율이 약 80%에 이르고, 한 사람이 평균 2-3개의 충치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충치를 일으키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치태이다. 치태에는 여러 세균이 섞여 있는데, 특히 내산성 연쇄상 구균과 유산균이 많고 그 중에서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가 주요 충치균으로 알려져 있다. 이같은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는 치아의 표면에 부착하여 성장하면서 음식물 내의 당을 이용하여 산을 생성하여 치아를 부식시키고 동시에 치아 골세포에 침입하여 각종 치조골부식과 잇몸병을 발생시킨다.
한편, 치아는 한 번 파괴되면 다시 재생되지 않기 때문에 충치는 치아를 대신하는 재료로 밀봉하여 치료하고 있다. 현재 충치 예방방법으로 칫솔질과 적절한 식이 요법을 통해 당분의 섭취를 줄이거나 자일리톨을 이용하여 충치균에 의한 산의 생성을 방지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불소를 이용하여 산에 잘 녹지 않는 물질을 형성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충치는 예방되지만 불소 침투층이 치아표면에 서 깊이 침투하지 못하고 쉽게 소실되는 한계성을 가진다. 이와 같은 방법은 근본적으로 충치 유발균의 사멸이나 골세포 침입 방지의 효과는 없다.
유산균은 젖산 발효에 의해 생성되는 젖산에 의해서 병원균과 유해세균의 생육이 저지되는 성질을 유제품, 김치류, 양조식품 등의 식품 제조에 이용되고 있다. 또한, 포유류의 장내에 서식하여 잡균에 의한 이상발효를 방지하여 정장제로도 이용되는 중요한 세균으로 숙주의 면역 기능을 증강시키고 장내에서 콜레스테롤의
흡수를 억제하여 심혈관 질환 예방의 가능성도 보고되고 있고, 김치에서 분리된 유산균 중 조류 독감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력을 가지는 균주도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김치에서 발견되는 유산균은 섭취의 용이성과 식품 첨가제 응용의 용이함으로 생균제(probiotic)로서의 개발이 주목받고 있다.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하고 섭취가 용이하며 경제적으로 충치 유발균의 생육을 효과적으로 저해할 수 있는 안정한 물성의 천연 항균성 물질을 생산하는 균주인 락토바실루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SPM1205 및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유산균으로부터 제조된 치주질환의 치료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루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SPM1205 및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유산균으로부터 제조된 치주질환의 치료방법에 사용되는 항균제로 충치를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항균제 조성물을 치주질환의 치료방법의 의약외품으로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충치를 유발하는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S. mutans)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활성을 나타내고 치주염을 유발하는 P. gingivalis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치주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할 수 있도록 락토바실루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SPM1205 및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유산균이 유효성분으로 함유되어 있으며 치주질환의 환부에 직접 투여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고체 형태 또는 분말 형태의 유산균 복합체로 형성되어 있는 치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유산균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락토바실루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SPM1205 및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유산균으로부터 제조된 치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유산균 복합체는 치주질환에 대해 특이적이고 우수한 항균력을 지니며 치주질환의 치료에 있어서 항생제 처리 등에 의해서 발생하는 문제점과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안전하게 장기간 섭취할 수 있으므로 치주질환의 예방 및 치료하는데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의한 유산균을 이용한 치주질환의 치료방법은 유산균이 함유된 칩을 환부에 이식하여 치료하거나 유산균 시약을 직접 환부에 주입하여 치료할 수 있으며 치아스켈링과 치주소파술 또는 치근단활택술을 한 후 깊은 치주낭에 유산균의 혼합물을 직접 삽입하는 방식으로 치료할 수 있고 치주염 치료법이 항생물질로 인하여 저항이 발생하거나 비항생물질을 이용한 치료에 대한 대안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치주질환에 대해 유산균을 사용하여 대체요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유산균을 이용한 치주질환의 치료방법은 직접적으로 유산균이 치주질환의 원인세균과 경쟁적으로 작용하고 유해균들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며 구강내 환경을 보다 건강하게 만들어주며 항생제에서 보여지는 내성효과를 걱정할 필요가 없으며 본 발명의 치료방법에서 사용하는 유산균은 인체에 무해하기 때문에 과용이나 부작용을 걱정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은 충치를 유발하는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S. mutans)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활성을 나타내고 치주염을 유발하는 P. gingivalis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치주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할 수 있도록 락토바실루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SPM1205,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락토바실러스 비피더스, 스트렙토코커스 패칼리스, 스트렙토코커스 패시움, 바실러스 메센테리커스, 바실러스 리케니포미스, 바실러스 폴리퍼멘티커스,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시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 및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컴 중에서 선택되 는 어느 하나 이상의 유산균이 0.1 내지 10g씩 유효성분으로 함유되어 있으며 치주질환의 환부에 직접 투여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고체 형태 또는 분말 형태의 유산균 복합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유산균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충치를 유발하는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S. mutans)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활성을 나타내고 치주염을 유발하는 P. gingivalis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치주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할 수 있도록 락토바실루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SPM1205 및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유산균이 0.1 내지 10g씩 유효성분으로 함유되어 있으며 치주질환의 환부에 직접 투여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고체 형태 또는 분말 형태의 유산균 복합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유산균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산균 복합체는 유산균을 스트립 형태로 단단하게 타정하여 흡수성 유산균 스트립(strip) 형태로 형성된 것; 유산균을 칩 형태로 단단하게 타정하여 흡수성 유산균 칩(chip) 형태로 형성된 것; 유산균이 흡수성 젤라틴 스폰지에 함침되어 흡수성 유산균 젤라틴 스폰지 형태로 형성된 것; 유산균이 흡수성 젤라틴 스폰지의 표면에 코팅되어 흡수성 유산균 코팅 젤라틴 스폰지 형태로 형성된 것; 유산균과 흡수성 젤라틴 스폰지를 혼합하여 단단하게 타정된 흡수성 유산균 젤라틴 스폰지 스트립 형태로 형성된 것; 및 유산균이 캡슐의 내부에 내장된 캡슐 형태로 형성된 것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유산균은 충치를 유발하는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의 생육을 억제시키고 중성 pH에서 안정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배양액을 생성하는 유산균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유산균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정장용 생균제제를 전부 사용할 수 있으며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락토바실러스 비피더스, 스트렙토코커스 패칼리스, 스트렙토코커스 패시움, 바실러스 메센테리커스, 바실러스 리케니포미스, 바실러스 폴리퍼멘티커스,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시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 및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컴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유산균은 락토바실루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SPM1205 및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막대형으로 운동성이 없고 집락의 색깔은 유백색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락토바실루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는 젖산 등의 유기산을 생성하며, 특유의 박테리오신을 생성하여 병원균에 대한 억제효과가 뛰어나고, 사람의 혈중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는 기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생체 면역반응에 대한 효과, 항암 효과도 갖는 기능성이 뛰어나, 락토바실러스 속에서 가장 유용한 균주로 평가받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은 비병원성의 그람 양성, 혐기성 세균으로서 장내 미생물 균총의 균형을 유지시키며 락토스 내성 향상,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 감소, 비타민 합성 증가, 발암 억제, 면역기능 강화, 암 예방 등 인체에 유익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SPM1205는 인체의 장기능을 활성화함과 동시에 면역기능을 강화하는 작용을 하는 비피도박테리움 균주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페디오코커스 속(Pediococcus sp.) 균주는 미생물의 오염을 방지하는 미생물 균주이며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는 미생물의 발효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미생물의 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2차적인 부패 및 악취 등을 제거하며 병원균 발생 등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가축 생균제, 기능성 화장지, 기능성 식품 및 영양제, 기능성 사료 첨가제, 환경 개선제 및 각종 효소제제 등으로 널리 사용되는 유산균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페디오코커스 속(Pediococcus sp.) 균주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인 것이 바람직하고,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ST-01 균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균주는 Pediococcus pentosaceus ST-01 라고 명명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ST-01은 미생물의 오염을 방지하며 대장균(Escherichia coli)을 포함하는 미생물의 2차적 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미생물로는 대장균 이외에도 병원성을 가지는 모든 미생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유산균은 항균 활성을 갖는 유산균의 분리 및 동정,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유산균의 충치 유발균에 대한 항균 활성 테스트로 구성된다. 충치 유발균인 분리된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에 대한 유산균의 항균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spot-on-the-lawn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BHI 한천 배지에 스트 렙토코쿠스 뮤탄스의 배양액을 도말하고, 그 위에 본 발명에 따른 유산균의 농축상등액을 취해 접종하였다. 이를 배양하면서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의 억제 구역(inhibition zone) 형성을 관찰한다. 이로써 유산균의 항균 활성에 의해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의 초기 생육이 저해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균주는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 표준균주 (KCTC3065)를 사용하였고,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에 대해 항균 작용을 가지는 유산균을 사용한다.
[실시예 1] 충치균에 대한 농축 배양 상징액의 항균력 확인
본 발명에 의한 유산균의 배양 상등액에 의해 충치 원인균으로 알려진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균의 항균력을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알아보았다.
(1) 대상 미생물 선정
항균력 측정을 위하여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 KCTC3065 균주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전자은행실에서 분양 받았다. 대상균은 BHI 액체 배지에 접종하여 37℃에서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2) 대상균의 접종 및 항균력 분석
시험균주는 5 ㎖ BHI 액체 배지에 접종하여 37℃에서 하루 전배양하고 5 ㎖ BHI 액체 배지에 37℃에서 OD600에서 0.2까지 본배양 한 후 BHI 고체 배지에 100 ㎕ 도말하였다. 도말한 고체 배지 상에 멸균 처리한 6 mm filter paper disk를 떨어뜨리고 disk 위에 30배로 농축한 배양 상등액과 pH를 7.0으로 조정하고 30배로 농축 한 배양 상등액 농축액을 10 ㎕씩 분주하여 37℃에서 배양하였다. Disk 주변에 나타난 억제환 생성 정도를 관찰하여 항균 활성을 알아보았다.
나이신은 스트렙토코쿠스 락티스의 발효산물로 식품이나 화장품을 부패시키는 일부 세균에 대한 항균작용을 가지고 미국을 포함한 세계 각국에서 식품방부제로 안정성을 인정받아 널리 쓰이고 있는 박테리오신 물질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산균에 의한 항균 활성과 비교하기 위한 대조군으로 사용되었다.
유산균이 생산하는 항균 물질은 충치원인균인 스트렙토코쿠스의 생육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H를 7.0으로 조정한 유산균의 농축 배양 상등액도 충치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나이신도 충치균의 생육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 항균 활성의 정도는 본 발명에 의한 유산균의 활성보다 약하다.
본 발명에 의한 유산균이 생성하는 항균 물질은 물성이 안정되고 충치균의 생장에 직접적인 항균 활성을 가지며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항균물질인 나이신보다 충치 유발균의 생육을 우수하게 저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2] 충치균의 생육 단계 변화에 따른 항균 능력 확인
본 발명의 유산균에 의한 항균 활성이 충치 원인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탄
스의 생육 단계에 따른 영향을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알아보았다. 유산균의 항균 물질은 30배 농축 배양 상등액을 사용하였다. 96 well plate에 OD600에서 0.2 값을 갖는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 KCTC3065 본배양액을 각 well에 100 ㎕씩 분주하였 다. 본 발명의 유산균의 농축 배양 상등액을 충치균이 분주된 각 well에 10 ㎕씩 처리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준비된 유산균의 배양 상등액을 3 M Tris buffer로 pH를 7.0으로 조정하고, 충치균 100 ㎕가 분주되어 있는 각 well에 각각 10 ㎕씩 첨가하였다. 일정량의 농축 배양 상등액이 첨가된 충치균이 담긴 96 well plate를 37℃에서 정치 배양시키며 1시간 간격으로 580 nm 파장에서 충치균의 배양액 탁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로서, 시간 흐름에 따라 유산균에 의한 충치균의 생육 활성 저해가 나타났다. 모든 실험군이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 KCTC3065의 생육을 저해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pH를 조정하지 않은 유산균의 농축 배양 상등액은 나이신보다도 항균 활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충치균의 생육을 초기 단계부터 억제하여 충치균에 대한 효과적인 항생 효과를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 치주질환 치료용 유산균 스트립 형태 복합체의 제조
락토바실루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SPM1205 및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유산균 2g을 스트립 형태로 단단하게 타정하여 가로 0.5cm, 세로 1cm, 두께 0.2cm의 흡수성 유산균 스트립(strip) 형태로 제조하였다. 치아스켈링과 치주소파술 또는 치근단활택술을 한 후 깊은 치주낭에 흡수성 유산균 스트립을 직접 삽입하여 치주염을 치료할 수 있다.
[실시예 4] 치주질환 치료용 유산균 칩형태 복합체의 제조
락토바실루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SPM1205 및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유산균 2g을 칩(chip) 형태로 단단하게 타정하여 가로 0.5cm, 세로 5cm, 두께 0.2cm의 흡수성 유산균 칩 형태로 제조하였다. 흡수성 유산균 칩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치아스켈링과 치주소파술 또는 치근단활택술을 한 후 깊은 치주낭에 절단한 흡수성 유산균 칩을 직접 삽입하여 치주염을 치료할 수 있다.
[실시예 5] 치주질환 치료용 흡수성 유산균 젤라틴 스폰지 형태 복합체의 제조
락토바실루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SPM1205 및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유산균 2g으로 혼합한 수용액에 도 10과 같은 흡수성 젤라틴 스폰지를 담가서 건조하여 가로 0.5cm, 세로 1cm, 두께 0.2cm의 흡수성 유산균 스트립(strip) 형태로 흡수성 유산균 젤라틴 스폰지를 제조하였다. 치아스켈링과 치주소파술 또는 치근단활택술을 한 후 깊은 치주낭에 흡수성 유산균 젤라틴 스폰지를 직접 삽입하여 치주염을 치료할 수 있다.
[실시예 6] 치주질환 치료용 흡수성 유산균 젤라틴 스폰지 형태 복합체의 제조
락토바실루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SPM1205 및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유산균 2g과 도 10과 같은 흡수성 젤라틴 스폰지를 혼합하여 단단하게 타정하여 가로 0.5cm, 세로 1cm, 두께 0.2cm의 흡수성 유산균 스트립(strip) 형태로 흡수성 유산균 젤라틴 스폰지를 제조하였다. 치아스켈링과 치주소파술 또는 치근단활택술을 한 후 깊은 치주낭에 흡수성 유산균 젤라틴 스폰지를 직접 삽입하여 치주염을 치료할 수 있다.
[실시예 7] 유산균을 이용한 치주질환의 치료방법
치주질환에 유산균을 이용하여 치료하기 위하여 치아스켈링과 치주소파술 또는 치근단활택술을 한 후 깊은 치주낭에 흡수성 유산균 스트립을 직접 삽입하여 치주염을 치료하였다. 또한 치아스켈링과 치주소파술 또는 치근단활택술을 한 후 깊은 치주낭에 유산균의 혼합물을 직접 삽입하는 방식으로 치료하였다. 또한 치주질환에 유산균을 이용하여 치료하기 위하여 치아스켈링과 치주소파술 또는 치근단활택술을 한 후 깊은 치주낭에 흡수성 유산균 젤라틴 스폰지를 직접 삽입하여 치주염을 치료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유산균을 이용한 치주질환의 치료방법은 치주질환에 유산균을 이용해 치료할 수 있다. 도 11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산균을 이용한 치주질환의 치료방법은 치아스켈링과 치주소파술 또는 치근단활택술을 한 후 깊은 치주낭에 흡수성 유산균 스트립을 직접 삽입하여 치주염을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료방법은 유산균이 함유된 칩을 환부에 이식하여 치료하거나 유산균 시약을 직접 환부에 주입하여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유산균을 이용한 치주질환의 치 료방법은 치아스켈링과 치주소파술 또는 치근단활택술을 한 후 깊은 치주낭에 유산균의 혼합물을 직접 삽입하는 방식으로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유산균을 이용한 치주질환의 치료방법은 치주염 치료법이 항생물질로 인하여 저항이 발생하거나 비항생물질을 이용한 치료에 대한 대안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치주질환에 대해 유산균을 사용하여 대체요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유산균을 이용한 치주질환의 치료방법은 직접적으로 유산균이 치주질환의 원인세균과 경쟁적으로 작용하고 유해균들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며 구강내 환경을 보다 건강하게 만들어주며 항생제에서 보여지는 내성효과를 걱정하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유산균은 인체에 무해하기 때문에 과용이나 부작용을 걱정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유산균 복합체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유산균을 스트립 형태로 단단하게 타정하여 흡수성 유산균 스트립(strip)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과 같은 8각형 구조는 집게로 집기가 편리한 구조이며, 도 3와 같은 앞쪽이 뽀쪽한 구조는 치주낭에 삽입이 편리하게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유산균 복합체는 도 4와 같이 유산균을 칩 형태로 단단하게 타정하여 흡수성 유산균 칩(chip)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사용 경우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산균 복합체는 도 5와 같이 유산균이 흡수성 젤라틴 스폰지에 함침되어 흡수성 유산균 젤라틴 스폰지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제작하거나 도 6 내지 도 7과 같이 유산균이 흡수성 젤라틴 스폰지의 표면에 코팅되어 흡수성 유산균 코팅 젤라틴 스폰지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산균 복합체는 유산균과 흡수성 젤라틴 스폰지를 혼합하여 단단하게 타정된 흡수성 유산균 젤라틴 스폰지 스트립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도 8과 같이 유산균이 캡슐의 내부에 내장된 캡슐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제작할 수 있다.
도 10과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흡수성 젤라틴 스폰지(ABSORBABLE GELATIN SPONGE)는 정제된 특수처치 젤라틴(NF)-백색의 스폰지이며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서 큐탄플라스트 젤라틴 스폰지(CUTANPLAST ABSORBABLE GELATIN SPONGE)가 알려져 있다. 흡수성 젤라틴 스폰지 여러가지 영역에 사용할 수 있는 흡수성 지혈제로서 모세혈관에서 스며나오는 출혈 또는 정맥출혈을 즉각적으로 지혈 시킬 수 있다. 흡수성 젤라틴 스폰지는 수술부위의 상태 또는 수술자의 기호에 따라서 건조상태로 사용할 수도 있고 또한 등장성 식염수 또는 트롬빈(thrombin) 용액으로 적셔서 사용할 수 있도 있다. 흡수성 젤라틴 스폰지는 원하는 크기로 잘라서 건조된 상태 그대로 사용해도 되고 생리식염수 또는 적당한 농도의 트롬빈 용액으로 적셔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흡수성 젤라틴 스폰지에서 젤라틴은 생체단백질인 콜라젠을 가수분해하여 얻어지는 수용성단백질로 합성고분자와는 달리 독성이 없고, 생체분해성이 있으며, 항원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젤라틴은 체내 식이세포의 식작용을 활성화시키는 작용이 있어 체내 세균침투시 체내 면역기능을 높여주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도 10과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흡수성 젤라틴 스폰지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 2,507,244호에서 개시된 가교 젤라틴 스폰지, 미국특허 제 2,558,395호에서 개시된 젤라틴과 트롬빈 혼합액을 냉동건조하여 제조한 스 폰지, 미국특허 제 3,325,366호에서 제시된 젤라틴과 폴리비닐피롤리돈 혼합액을 냉동건조한 스폰지, 미국특허 제 2,899,362호에서 제시된 젤라틴과 녹말을 혼합하여 제조한 스폰지, 미국특허 제 3,122,479호 및 미국특허 제 2,602,042호에서 개시된 셀룰로즈계열의 유도체로부터 제조한 스폰지, 미국특허 제 3,471,598호와 미국특허 제 3,368,911호에서 개시된 콜라젠 미세분말이나 콜라젠 섬유소를 사용하여 제조한 스폰지, 콜라젠과 알진을 혼합하여 스폰지로 제조한 상품이 시판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흡수성 젤라틴 스폰지는 젤라틴 자체만으로 제조된 스폰지는 매우 부러지기 쉽고, 가교시키지 않으면 쉽게 용해되어 버리기 때문에 스폰지 제조시 기계적 물성을 부여하기 위해 가교제가 사용된다.
도 1은 8각형 구조의 흡수성 유산균 스트립이 포장지에 포장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흡수성 유산균 스트립이 포장지에 포장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반달형 구조의 흡수성 유산균 스트립이 포장지에 포장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흡수성 유산균 칩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흡수성 젤라틴 스폰지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흡수성 젤라틴 스폰지의 상부에 유산균 코팅층이 형성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흡수성 젤라틴 스폰지의 상하부에 유산균 코팅층이 형성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유산균이 캡슐에 내장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유산균이 용기에 내장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시중에서 구입한 흡수성 젤라틴 스폰지 제품 사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유산균을 이용한 치주질환의 치료방법으로서 치아스켈링과 치주소파술 또는 치근단활택술을 한 후 깊은 치주낭에 흡수성 유산균 스트립을 직접 삽입하여 치주염을 치료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진.
10, 10-1, 10-2: 흡수성 유산균 스트립
20: 흡수성 유산균 칩 30: 흡수성 젤라틴 스폰지
30-1, 30-2: 유산균 코팅층 40: 캡슐
50: 용기 52: 뚜껑
100: 포장필름 110: 포장지

Claims (3)

  1. 충치를 유발하는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S. mutans)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활성을 나타내고 치주염을 유발하는 P. gingivalis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치주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할 수 있도록 락토바실루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SPM1205,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락토바실러스 비피더스, 스트렙토코커스 패칼리스, 스트렙토코커스 패시움, 바실러스 메센테리커스, 바실러스 리케니포미스, 바실러스 폴리퍼멘티커스,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시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 및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유산균이 0.1 내지 10g씩 유효성분으로 함유되어 있으며 치주질환의 환부에 직접 투여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고체 형태 또는 분말 형태의 유산균 복합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유산균 복합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루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SPM1205 및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유산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유산균 복합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 복합체는 유산균을 스트립 형태로 단단하게 타정하여 흡수성 유산균 스트립(strip) 형태로 형성된 것; 유산균을 칩 형태로 단단하게 타정하여 흡수성 유산균 칩(chip) 형태로 형성된 것; 유산균이 흡수성 젤라틴 스폰지에 함침되어 흡수성 유산균 젤라틴 스폰지 형태로 형성된 것; 유산균이 흡수성 젤라틴 스폰지의 표면에 코팅되어 흡수성 유산균 코팅 젤라틴 스폰지 형태로 형성된 것; 유산균과 흡수성 젤라틴 스폰지를 혼합하여 단단하게 타정된 흡수성 유산균 젤라틴 스폰지 스트립 형태로 형성된 것; 및 유산균이 캡슐의 내부에 내장된 캡슐 형태로 형성된 것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유산균 복합체.
KR1020090075046A 2009-08-14 2009-08-14 치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유산균 복합체 KR201100175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046A KR20110017533A (ko) 2009-08-14 2009-08-14 치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유산균 복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046A KR20110017533A (ko) 2009-08-14 2009-08-14 치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유산균 복합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533A true KR20110017533A (ko) 2011-02-22

Family

ID=43775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5046A KR20110017533A (ko) 2009-08-14 2009-08-14 치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유산균 복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753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0797A1 (ko) * 2020-09-07 2022-03-10 일동제약(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및 이의 용도
WO2023008879A1 (ko) * 2021-07-27 2023-02-02 주식회사 제노포커스 식나무 추출물과 수퍼옥시드 디스뮤타제 및/또는 바실러스 균주 포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구강 건강 개선을 위한 병용 사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0797A1 (ko) * 2020-09-07 2022-03-10 일동제약(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및 이의 용도
WO2023008879A1 (ko) * 2021-07-27 2023-02-02 주식회사 제노포커스 식나무 추출물과 수퍼옥시드 디스뮤타제 및/또는 바실러스 균주 포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구강 건강 개선을 위한 병용 사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89732B (zh) 预防和/或治疗与病原性细菌相关的感染、定植或疾病的方法
CN103547670B (zh) 新的乳酸菌和含有其的抗细菌性感冒的组合物
JP4203855B2 (ja) 乳酸菌を有効成分とする生菌製剤および乳酸菌含有食品
US11478423B2 (en) Self-film-forming composition for oral care
CN109069556B (zh) 用作口腔内抗炎剂的益生菌
CN103298924A (zh) 用于口腔健康的益生菌组合物
CN108738308B (zh) 新颖的胚芽乳杆菌益生菌菌株和其组合物及其在炎症治疗中的用途
MXPA06001167A (es) Lactobacilo novedoso, preparacion del lactobacilo activante para un cuerpo vivo y agente preventivo o terapeutico para la infeccion de un cuerpo v
CN110257297A (zh) 一株分离的用于促进口腔健康的副干酪乳杆菌pc-01及其应用
US11844720B2 (en) Method and system to reduce the likelihood of dental caries and halitosis
JPH0477424A (ja) 抗歯周病剤
JP2016513631A (ja) ラクトバチルス・プランタルムncc2936調製物及び口腔健康
CN111000874A (zh) 一株具有防治龋齿功效的植物乳杆菌
KR20110017534A (ko) 유산균 복합체를 이용한 치주 질환의 치료방법
JP2006508943A (ja) 酵母成長を阻害するための方法
KR20110017533A (ko) 치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유산균 복합체
KR20110019803A (ko) 향이 첨가된 치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유산균 분말 세정제
CN102000333A (zh) 一种防龋齿的IgY抗体口腔喷雾剂
JP2006328052A (ja) ポルフィロモナス・ジンジヴァリス除菌のための組成物
JP5881017B2 (ja) 籾殻または玄米から単離された植物乳酸菌およびその利用
CN107683999A (zh) 有利于口腔健康的益生菌固体饮料
KR100845034B1 (ko) 충치균 성장을 억제하는 항균제를 생성하는 락토바실루스파라플란타룸 knuc25로부터 제조된 충치균 항균제
CN118146972A (zh) 一种改善口腔健康的瑞士乳杆菌及益生菌组合物
Dasgupta et al. REPLACEMENT THERAPY FOR ORAL CAV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