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7263A - 직물용 발열 조성물을 이용한 발열 직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직물용 발열 조성물을 이용한 발열 직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7263A
KR20110017263A KR1020090074838A KR20090074838A KR20110017263A KR 20110017263 A KR20110017263 A KR 20110017263A KR 1020090074838 A KR1020090074838 A KR 1020090074838A KR 20090074838 A KR20090074838 A KR 20090074838A KR 20110017263 A KR20110017263 A KR 20110017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weight
surfactant
exotherm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4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0604B1 (ko
Inventor
김명환
Original Assignee
김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환 filed Critical 김명환
Priority to KR1020090074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0604B1/ko
Publication of KR20110017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0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0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0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 D06M15/03Polysaccharides or derivatives thereof
    • D06M15/05Cellulose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77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84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0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 D06M15/03Polysaccharides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0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 D06M15/15Proteins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7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71Cooling; Steaming or heating, e.g. in fluidised beds; with molten metal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의시 열감을 느낄 수 있는 직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생강추출물, 계면활성제, 콜라겐 분말, 실리콘 유연제 및 정제수로 이루어지는 발열 조성물을 이용한 발열 직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혈류량을 증가시키거나 피부의 수분과 반응하여 발열 반응을 일으킴으로써 체온의 상승 또는 유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효율적인 체온 유지가 가능하게 하여 난방을 위한 에너지를 저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발열, 생강 추출물, 캡사이신, 직물

Description

직물용 발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발열 직물의 제조방법 {Exothermic composition for fabric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xothermic fabric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직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추운 곳에서 착용시 체온을 높여출 수 있는 발열 직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발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직물은 의류의 원단 기능 외에, 별도의 기능이 추가된 기능성 원단의 요구가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추운 지방에서 또는 추운 날씨에서는 의류 착용을 통해 체온을 가능한 높이거나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요구된다. 종래에는, 두꺼운 옷을 입거나 또는 체온을 유지할 수 있는 의류를 착용하는 수동적인 방법을 이용하고 있을 뿐이다.
본 발명은 의류 착용시에 체온을 직접적으로 높일 수 있는 직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발열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즉, 추운 지방에서 혈류량을 증가시켜 체온을 상승시키거나, 이에 더하여 피부의 수분과 반응하여 발열반응을 일으킴으로써 체온을 높일 수 있는 도입된 직물을 제공함으로써, 체온을 직접 높일 수 있는 직물용 발열 조성물 및 발열 직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내지 20 중량%의 생강추출물과; 1 내지 10 중량%의 계면활성제와; 15 내지 30 중량%의 콜라겐 분말과; 5 내지 20 중량%의 실리콘유연제와; 잔량의 정제수로 이루어지는 직물용 발열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2 내지 10 중량%의 생강추출물과; 1 내지 10 중량%의 캡사이신과; 1 내지 10 중량%의 계면활성제와; 15 내지 30 중량%의 콜라겐 분말과; 5 내지 20 중량%의 실리콘유연제와; 잔량의 정제수로 이루어지는 직물용 발열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에테르계 계면활성제, 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특징이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릴에테르,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도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특징이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1 내지 20 중량%의 생강추출물과, 1 내지 10 중량%의 계면활성제와, 15 내지 30 중량%의 콜라겐 분말과, 5 내지 20 중량%의 실리콘유연제와, 잔량의 정제수로 이루어지는 직물용 발열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냉감 조성물이 3 내지 15 중량% 비율로 포함된 발열 가공액을 침염 또는 패딩 공정을 통해 직물에 흡진시키는 단계와; 상기 냉감 가공액이 흡진된 직물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열 직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2 내지 20 중량%의 생강추출물과, 1 내지 10 중량%의 캡사이신과, 1 내지 10 중량%의 계면활성제와, 15 내지 30 중량%의 콜라겐 분말과, 5 내지 20 중량%의 실리콘유연제와, 잔량의 정제수로 이루어지는 직물용 발열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냉감 조성물이 3 내지 15 중량% 비율로 포함된 발열 가공액을 침염 또는 패딩 공정을 통해 직물에 흡진시키는 단계와; 상기 냉감 가공액이 흡진된 직물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열 직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에테르계 계면활성제, 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특징이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릴에테르,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도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특징이다.
상기 직물은 천연사, 화섬사 또는 이들의 혼방사로 이루어진 직물인 것이 특징이다.
상기 침염공정은 pH 5.0 내지 6.0 조건, 40 내지 50 ℃ 온도 조건에서 20 내지 30 분간 수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패딩공정은 pH 5.0 내지 6.0 조건, 40 내지 50 ℃ 온도 조건에서 1 내지 5 분간 수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건조 단계는 100 내지 130 ℃ 온도 조건에서 1 내지 5 분간 수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다양한 직물에 신개념의 직물 코팅용 발열 조성물을 안정적으로 고착시킬 수 있으며, 이렇게 제조된 발열 직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의류를 착용시 별도의 발열수단에 의하지 않고도 혈류량을 증가시켜 극한의 환경에서도 체온을 높이거나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체액 중 미세 수분과 반응하여 발열하므로, 체온 증가 및 유지가 더욱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열 기능성 직물로 제조된 의류를 착의시 효율적인 체온 상승 또는 유지가 가능하므로 난방을 위한 에너지 저감을 가능하게 하는 부가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직물용 발열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 제 1 실시예 -
본 발명의 직물용 발열 조성물은 생강추출물, 계면활성제, 콜라겐 분말, 실리콘 유연제 및 정제수로 이루어진다.
상기 생강추출물의 조성물 중 함량은 1~20 중량%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4~15 중량%이다. 생강 추출물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발열효과가 적고, 20 중량%를 초과하면 조성물의 저장 안정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생강추출물은 주요성분이 (S)-5-hydroxy-1-(4-hydroxy-3-methoxyphenyl)-3-decanone으로 표시되는 진저롤(gingerol)이며, 염증예방, 세균발육저지, 혈류량 증가의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중 유성(油性) 성분과 수성(水性) 성분이 유화되도록 매개하는 성분으로, 조성물 중 함량은 1 내지 10 중량% 범위이며, 바람직하기로는 4 내지 8 중량%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으로 적으면 유성성분과 수성성분의 유화가 충분하지 않아 조성물의 안정성이 불안해지는 경향이 있고,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10 중량%를 초과하여 과다하면 조성물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과 함께 특히 생강추출물의 활성이 저하되는 경향을 나타내게 되므로 이들의 함량 조절에 유의하는 것이 좋다.
상기한 계면활성제로는 직물 가공용 조성물로서 적합한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는데, 특히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중에서도 특히 에테르형 계면활성제, 에스테르형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릴에테르,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콜라겐 분말은 직물에 적용시 보습성을 유지함으로써 피부를 촉촉하게 하고 탄력있도록 도와주는 효과를 갖는다. 콜라겐은 인체 피부의 70~80%를 차지하는 성분으로 나이가 들어가면서 콜라겐 성분이 감소되어 피부가 노화되게 된다. 상기 콜라겐 분말의 조성물 중 함량은 3 내지 20 중량%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 중량%이다. 콜라겐 분말의 함량이 3 중량% 미만이면, 콜라겐의 효과가 발현되지 않으며, 20 중량%를 초과하면 조성물의 저장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상기 실리콘 유연제는 직물에 적용시 직물을 부드럽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성분으로, 상기 생강추출물이 직물의 원단에 잘 고착되게 하고 내구성을 부여하는 바인더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실리콘 유연제의 조성물 중 함량은 5 내지 20 중량% 범위이고, 바람직하기로는 10 내지 20 중량% 범위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한 생강추출물, 계면활성제, 콜라겐 분말, 실리콘 유연제를 잔량의 정제수와 혼합하여 액상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본 발명의 직물 가공용 발열 조성물은 상온에서 1년 이상 보관시에도 고액분리 없이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한 직물 가공용 열감 조성물은 갈색의 점조액으로, 비이온성이며, 약산성 내지 중성을 띤다.
- 제 2 실시예
본 발명의 직물용 발열 조성물은 생강추출물, 캡사이신, 계면활성제, 콜라겐 분말, 실리콘 유연제 및 정제수로 이루어진다.
상기 생강추출물의 조성물 중 함량은 2~10 중량%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2~6 중량%이다. 생강 추출물의 함량이 2 중량% 미만이면 발열효과가 적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조성물의 저장 안정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생강추출물의 주요성분은 진저롤이며 혈류량 증가 등의 효과를 갖는다.
상기 캡사이신은 조성물 중 함량은 1 내지 10 중량% 범위이며, 바람직하기로는 3 내지 7 중량% 범위이다. 이때, 캡사이신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발열 효과가 적고, 캡사이신 함량이 10 중량%를 초과하여 과다하게 포함되면 저장 중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캡사이신은 천연식물에서 분리된 추출물 상태로서 천연 캡사이신이나 인위적으로 합성된 캡사이신을 사용할 수 있는데, 효과적인 발열 효과를 위해서는 합성된 캡사이신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캡사이신은 고추 매운맛의 주요 성분이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중 유성(油性) 성분과 수성(水性) 성분이 유화되도록 매개하는 성분으로, 조성물 중 함량은 1 내지 10 중량% 범위이며, 바람직하기로는 4 내지 8 중량%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으로 적으면 유성성분과 수성성분의 유화가 충분하지 않아 조성물의 안정성이 불안해지는 경향이 있고,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10 중량%를 초과하여 과다하면 조성물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과 함께 특히 생강추출물 및 캡사이신의 활성이 저하되는 경향을 나타내게 되므로 이들의 함량 조절에 유의하는 것이 좋다.
상기한 계면활성제로는 직물 가공용 조성물로서 적합한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는데, 특히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중에서도 특히 에테르형 계면활성제, 에스테르형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릴에테르,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콜라겐 분말은 직물에 적용시 보습성을 유지함으로써 피부를 촉촉하게 하고 탄력있도록 도와주는 효과를 갖는다. 콜라겐은 인체 피부의 70~80%를 차지하는 성분으로 나이가 들어가면서 콜라겐 성분이 감소되어 피부가 노화되게 된다. 상기 콜라겐 분말의 조성물 중 함량은 3 내지 20 중량%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 중량%이다. 콜라겐 분말의 함량이 3 중량% 미만이면, 콜라겐의 효과가 발현되지 않으며, 20 중량%를 초과하면 조성물의 저장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상기 실리콘 유연제는 직물에 적용시 직물을 부드럽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성분으로, 상기 생강추출물 및 상기 캡사이신이 직물의 원단에 잘 고착되게 하고 내구성을 부여하는 바인더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실리콘 유연제의 조성물 중 함량은 5 내지 20 중량% 범위이고, 바람직하기로는 10 내지 20 중량% 범위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한 생강추출물, 캡사이신, 계면활성제, 콜라겐 분말 및 실리콘 유연제는 잔량의 정제수와 혼합하여 액상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본 발명의 직물용 발열 조성물은 상온에서 1년 이상 보관시에도 고액분리 없이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한 직물 가공용 열감 조성물은 갈색의 점조액으로, 비이온성이며, 약산성 내지 중성을 띤다.
(2) 발열 직물의 제조
2-1) 침염 또는 패딩 공정을 통해 직물에 상기 발열 조성물의 흡진 후 건조
본 발명의 발열 직물은 천연사, 혼방사 및 화섬사 등의 다양한 섬유로 이루어진 전 직물에 널리 적용될 수 있으며, 화섬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직물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는데, 나일론과 같은 아미드계 섬유나,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폴리우레탄계 섬유 등을 포함하는 혼방사나 화섬사로 이루어진 직물에 적용될 경우 발열 특성이 더욱 우수하게 나타난다.
상기한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의 발열 조성물을 직물에 적용할 경우 직물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가감하여 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3 내지 10 중량% 농도로 물에 희석하여 사용하면 무난하다.
상기한 발열 가공액은 침염 또는 패딩에 의하여 직물에 적용되는데, 침염시 pH 5.0 내지 6.0 조건, 40 내지 50 ℃ 온도 조건에서 20 내지 30 분간 처리하면 효과적이며, 패딩시 pH 5.0 내지 6.0 조건, 40 내지 50 ℃ 온도 조건에서 1 내지 5 분간 처리하면 효과적이다.
침염시 pH가 5.0 미만이거나 6.0을 초과하면 발열 가공액의 흡진이 충분하지 않고, 또한 침염 온도가 40 ℃ 미만이면 발열 가공액의 흡진이 충분하지 않다. 침염 온도가 50 ℃를 초과하면 흡진된 발열 가공액의 안정성을 저해시키는 경향이 있으므로 상기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침염 시간이 20 분 미만이면 발열 가공액이 충분히 직물 중으로 흡진되지 않는 경향이 있고, 30 분을 초과하면 흡진된 발열 가공액이 다시 용출되어 충분한 발열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다.
패딩시 pH가 5.0 미만이거나 6.0을 초과하면 직물 중에 충분히 흡진되지 않고, 또한 패딩시 온도가 40 ℃ 미만이면 직물 중 발열 가공액의 흡진이 충분하지 않은 경향이 있다. 패딩시 온도가 50 ℃를 초과하면 발열 가공액에 포함된 발열 조성물의 안정성이 저하된다.
상기한 침염 또는 패딩 공정에 의하여 직물용 발열 조성물을 직물에 적용한 후, 탈수 및 건조단계를 거치면 발열 조성물 중 실리콘 유연제가 가교효과를 나타내어 직물에 더욱 단단히 고착된다.
이때, 건조 온도는 100 내지 130 ℃ 범위가 바람직하며, 건조 시간은 1 내지 5 분간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건조 온도가 1분 미만이면 고착이 불충분하고, 5분을 초과하면 상기 생강추출물 및 캡사이신의 발열 효과가 저하된다. 또한 건조 시간이 상기 시간보다 길어지면 발열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2-2) 발열 조성물을 스프레이 한 후 텀블 건조(tumble dry)
상기한 바와 같이 발열 조성물을 침염 또는 패딩 공정에 의해 흡진시키고 건 조하는 방법 외에, 발열 조성물을 스프레이로 직물에 뿌린 후 이를 텀블 건조시킬 수 있다.
여기서 텀블 건조는 110~150℃의 온도 조건에서 10~30분 동안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130℃의 온도 조건에서 20분 동안 이루어진다.
상기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본 발명의 발열 직물은, 착의시 피부와 접촉하여 혈류량을 높이고 발열반응을 일으킴으로써, 인체의 피부 온도를 1 내지 3℃ 정도 낮출 수 있게 된다. 또한, 착의한 동안 발열 효과가 지속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직물에 적용시 내구성이 우수하여 세탁을 30회 이상 반복하여도 냉감성이 유지되었다. 또한, 항균 및 항습 효과를 나타내어 착의시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발열 직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 발열 조성물의 제조
(1) 열감 조성물의 제조
1) 제 1 실시예의 조성물 제조
생강추출물 10 중량% 및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4.5 중량%를 호모믹서가 장착된 유화기에 투입하고 2000 내지 3000 rpm의 속도로 60 분 동안 고속 교반하여 잘 혼합한 다음 실리콘 유연제((주)오린지 제품, Orinstar SF-SEC) 15 중량%를 유화기의 액을 교반하면서 30분에 걸쳐서 소량씩 첨가하고 60 분 동안 2000 내 3000 rpm의 속도로 1차 유화를 시켰다. 이어서 정제수 20.5 중량%를 60분 동안 소량씩 첨가 하고 60 분 동안 2,000 내지 2,500 rpm의 속도로 고속교반하여 균일한 유화액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별도의 교반기가 부착된 용기에 콜라겐분말 20 중량%를 정제수 30 중량%에 완전히 용해한 콜라겐수용액을 유화기에 첨가하고 1500 내지 2000 rpm의 교반속도로 60분간 교반하여 제 1 발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2) 제 2 실시예의 조성물 제조
캡사이신 5 중량%, 생강추출물 5 중량% 및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4.5 중량%를 호모믹서가 장착된 유화기에 투입하고 2000 내지 3000 rpm의 속도로 60 분 동안 고속 교반하여 잘 혼합한 다음 실리콘 유연제((주)오린지 제품, Orinstar SF-SEC) 15 중량%를 유화기의 액을 교반하면서 30분에 걸쳐서 소량씩 첨가하고 60 분 동안 2000 내 3000 rpm의 속도로 1차 유화를 시켰다. 이어서 정제수 20.5 중량%를 60분 동안 소량씩 첨가하고 60 분 동안 2,000 내지 2,500 rpm의 속도로 고속교반하여 균일한 유화액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별도의 교반기가 부착된 용기에 콜라겐분말 20 중량%를 정제수 30 중량%에 완전히 용해한 콜라겐수용액을 유화기에 첨가하고 1500 내지 2000 rpm의 교반속도로 60분간 교반하여 제 2 발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2) 발열 직물의 제조
상기 제 1 및 제 2 발열 조성물 각각을 7 % 농도로 물에 희석한 발열 가공액을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우레탄 혼방 트리코트 직물(폴리에스테르 77 %, 20D 폴리우레탄 23%, KS K 0514: 2006 에 의해 측정된 중량 148.2 g/㎡)에 pH 5, 40 ℃의 침 염조건에서 25 분간 흡진시키고, 탈수하여 130 ℃, 22 rpm/min 의 조건에서 2 분간 열가공하여 제 1 및 제 2 발열 직물을 제조하였다.
(3) 발열 직물의 특성 확인
[발열성 확인]
상기 제 2 발열 직물로 제조된 상의를 10 분간 착의한 후 착의 전후의 체온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도 1에는 착의전, 도 2에는 착의 후 10 분 경과 시 적외선 촬영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1 및 2에 의하면 평균 2 내지 3 ℃의 온도가 상승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ISO 6330 2000. 11B 규정에 의하여 30 ± 3 ℃ 조건, 약 사이클, 2 kg의 조건으로 연속 30 회 세탁 및 건조시에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항균도 확인]
제 2 기능성 직물을 섬유시험연구원(FITI)에 의뢰하여 KS K 0693:2006 법에 의하여 항균도를 측정하였으며, 표준포는 면직물을 사용하고 사용공시균주는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균주 1)과 크렙실라 뉴모니아(Klebsiella pneumonia ATCC 4352, 균주 2)를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표준포(blank) 실시예 4
균주 1 초기균수(cfu/㎖) 2.5 X 104 2.5 X 104
18시간 후(cfu/㎖) 4.6 X 105 40. X 103
정균감소율(%) - 99.9
균주 2 초기균수(cfu/㎖) 2.7 X 104 2.7 X 104
18시간 후(cfu/㎖) 6.8 X 107 6.6 X 105
정균감소율(%) - 99.9
특히, 상기 균주 1(1.3 X 105 cfu/㎖)과 균주 2(1.1 X 105 cfu/㎖)을 사용하고 ISO 6330 2000. 11B 규정에 의하여 30 ± 3 ℃ 조건, 약 사이클, 2 kg의 조건으로 연속 30회 세탁 및 건조(WOB 세제 사용, 비온성 계면활성제 tween 80, 접종균액 0.05% 첨가) 후 정균 감소율을 KS K 0693: 2001의 방법을 준용하여 측정한 결과 정균 감소율이 균주 1 및 균주 2 모두 99.9 % 로 나타났으며, 이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냉감 기능성 직물에 발열 조성물이 잘 고착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발열 직물의 특성은 발열 조성물을 스프레이에 의해 직물에 적용한 후 텀블 건조를 수행한 경우에도 동일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옷을 착용하기 전의 신체 표면의 온도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된 발열 직물로 제조된 옷을 착용 후 신체 표면의 온도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Claims (15)

1 내지 20 중량%의 생강추출물과;
1 내지 10 중량%의 계면활성제와;
15 내지 30 중량%의 콜라겐 분말과;
5 내지 20 중량%의 실리콘유연제와;
잔량의 정제수로 이루어지는 직물용 발열 조성물.
2 내지 10 중량%의 생강추출물과;
1 내지 10 중량%의 캡사이신과;
1 내지 10 중량%의 계면활성제와;
15 내지 30 중량%의 콜라겐 분말과;
5 내지 20 중량%의 실리콘유연제와;
잔량의 정제수로 이루어지는 직물용 발열 조성물.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에테르계 계면활성제, 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특징인 직물용 발명 조성물.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릴에테르,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도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특징인 직물용 발열 조성물.
1 내지 20 중량%의 생강추출물과, 1 내지 10 중량%의 계면활성제와, 15 내지 30 중량%의 콜라겐 분말과, 5 내지 20 중량%의 실리콘유연제와, 잔량의 정제수로 이루어지는 직물용 발열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냉감 조성물이 3 내지 15 중량% 비율로 포함된 발열 가공액을 침염 또는 패딩 공정을 통해 직물에 흡진시키는 단계와;
상기 냉감 가공액이 흡진된 직물을 건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발열 직물의 제조방법.
2 내지 20 중량%의 생강추출물과, 1 내지 10 중량%의 캡사이신과, 1 내지 10 중량%의 계면활성제와, 15 내지 30 중량%의 콜라겐 분말과, 5 내지 20 중량%의 실리콘유연제와, 잔량의 정제수로 이루어지는 직물용 발열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냉감 조성물이 3 내지 15 중량% 비율로 포함된 발열 가공액을 침염 또는 패딩 공정을 통해 직물에 흡진시키는 단계와;
상기 냉감 가공액이 흡진된 직물을 건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발열 직물의 제조방법.
1 내지 20 중량%의 생강추출물과, 1 내지 10 중량%의 계면활성제와, 15 내지 30 중량%의 콜라겐 분말과, 5 내지 20 중량%의 실리콘유연제와, 잔량의 정제수로 이루어지는 직물용 발열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냉감 조성물이 3 내지 15 중량% 비율로 포함된 발열 가공액을 스프레이 공정을 통해 직물에 분무하는 단계와;
상기 흡열 가공액이 분무된 직물을 텀블 건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발열 직물의 제조방법.
2 내지 20 중량%의 생강추출물과, 1 내지 10 중량%의 캡사이신과, 1 내지 10 중량%의 계면활성제와, 15 내지 30 중량%의 콜라겐 분말과, 5 내지 20 중량%의 실리콘유연제와, 잔량의 정제수로 이루어지는 직물용 발열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냉감 조성물이 3 내지 15 중량% 비율로 포함된 발열 가공액을 스프레이 공정을 통해 직물에 분무하는 단계와;
상기 흡열 가공액이 분무된 직물을 텀블 건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발열 직물의 제조방법.
제 5 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에테르계 계면활성제, 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특징인 발열 직물의 제조방법.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릴에테르,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도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특징인 발열 직물의 제조방법.
제 5 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천연사, 화섬사 또는 이들의 혼방사로 이루어진 직물인 것이 특징인 발열 직물의 제조방법.
제 5 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침염공정은 pH 5.0 내지 6.0 조건, 40 내지 50 ℃ 온도 조건에서 20 내지 30 분간 수행되는 것이 특징인 발열 직물의 제조방법.
제 5항 또는 제6에 있어서,
상기 패딩공정은 pH 5.0 내지 6.0 조건, 40 내지 50 ℃ 온도 조건에서 1 내지 5 분간 수행되는 것이 특징인 발열 직물의 제조방법.
제 5항 또는 제6에 있어서,
상기 건조 단계는 100 내지 130 ℃ 온도 조건에서 1 내지 5 분간 수행되는 것이 특징인 발열 직물의 제조방법.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텀블 건조는 110 내지 150℃ 온도 조건에서 10 내지 30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 흡열 직물의 제조방법.
KR1020090074838A 2009-08-13 2009-08-13 직물용 발열 조성물을 이용한 발열 직물의 제조방법 KR101030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838A KR101030604B1 (ko) 2009-08-13 2009-08-13 직물용 발열 조성물을 이용한 발열 직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838A KR101030604B1 (ko) 2009-08-13 2009-08-13 직물용 발열 조성물을 이용한 발열 직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263A true KR20110017263A (ko) 2011-02-21
KR101030604B1 KR101030604B1 (ko) 2011-04-20

Family

ID=43775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4838A KR101030604B1 (ko) 2009-08-13 2009-08-13 직물용 발열 조성물을 이용한 발열 직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06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0942A1 (en) * 2015-03-04 2016-09-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ibrous elements, fibrous structures, and products comprising a deterrent agent and methods for making same
CN109881479A (zh) * 2019-03-07 2019-06-14 青岛雪达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抗菌发热功能的纺织面料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688B1 (ko) 2011-10-28 2012-06-14 (주)엔바이오 항균 및 소취기능이 우수한 온감조성물, 상기 온감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온감조성물이 함유된 기능성 직물
KR101359428B1 (ko) 2012-04-06 2014-02-10 주식회사 씨엔코로드 온감조성물이 함유된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3036B1 (ko) * 1993-09-21 1995-10-24 류형수 섬유처리제, 섬유처리제로 처리된 기능성 섬유 및 그 제품
JP4258259B2 (ja) * 2003-04-15 2009-04-30 東レ株式会社 繊維構造物
KR100865589B1 (ko) * 2008-07-09 2008-10-28 김명환 발열 기능성 직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발열기능성 직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0942A1 (en) * 2015-03-04 2016-09-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ibrous elements, fibrous structures, and products comprising a deterrent agent and methods for making same
CN109881479A (zh) * 2019-03-07 2019-06-14 青岛雪达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抗菌发热功能的纺织面料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0604B1 (ko) 201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7866B1 (ko) 유기산이 부가된 냉감 기능성 직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냉감 기능성 직물
KR100865589B1 (ko) 발열 기능성 직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발열기능성 직물
CN105648646B (zh) 一种防螨抑菌健康针织面料及其制备方法
CN100529246C (zh) 一种多元改性壳聚糖抗菌保湿整理剂的制备方法
KR101030604B1 (ko) 직물용 발열 조성물을 이용한 발열 직물의 제조방법
CN102605625A (zh) 发热功能性面料的制备方法及根据其方法制备的发热功能性面料
JP5465158B2 (ja) 織物用発熱組成物及びこれを利用した発熱織物の製造方法
CN104988741A (zh) 一种棉质衬衫的香薰免烫处理方法
US20120045496A1 (en) Ionized performance fabric with antimicrobial/antibacterial/antifungal properties
KR20130013477A (ko) 냉감 기능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냉감 기능성 직물의 제조방법
CN1874748B (zh) 用硫处理的纺织品和鞋袜类产品
KR101187276B1 (ko) 카다놀계의 천연항균제를 이용한 폴리프로필렌섬유의 항균가공방법
US20070105733A1 (en) Method for treating textiles and articles of clothing
JP5334946B2 (ja) 織物用吸熱組成物及びこれを利用した吸熱織物の製造方法
KR101030624B1 (ko) 직물용 흡열 조성물을 이용한 흡열 직물의 제조방법
EP1521881B1 (en) Fiber treatment agent composition
KR100863991B1 (ko) 열감 기능성 조성물
CN104213413B (zh) 一种抗菌丝绵被及其制备方法
JP3749221B2 (ja) 繊維処理剤
CN104762811B (zh) 一种纺织品专用的天然柔顺剂及其制备方法
JP4149325B2 (ja) 繊維処理剤及び保湿性繊維構造物
KR102671264B1 (ko) 섬유유연제시트용 액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59428B1 (ko) 온감조성물이 함유된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CN106283345A (zh) 一种多功能依兰芳香型纺织面料及其制备方法
JPH0742073A (ja) 繊維製品の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