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5105A - 현재 상황에 적합한 사용 환경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현재 상황에 적합한 사용 환경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5105A
KR20110015105A KR1020090072649A KR20090072649A KR20110015105A KR 20110015105 A KR20110015105 A KR 20110015105A KR 1020090072649 A KR1020090072649 A KR 1020090072649A KR 20090072649 A KR20090072649 A KR 20090072649A KR 20110015105 A KR20110015105 A KR 20110015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ituation
unit
gui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2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4058B1 (ko
Inventor
김경화
엄태원
신동준
김경택
김향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2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4058B1/ko
Priority to US12/844,001 priority patent/US8971805B2/en
Priority to PCT/KR2010/005095 priority patent/WO2011016665A2/en
Priority to CN201080035164.8A priority patent/CN102474293B/zh
Priority to EP10806639A priority patent/EP2462700A4/en
Publication of KR20110015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5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4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4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재 상황에 적합한 사용 환경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재 상황에 적합한 사용 환경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은 휴대 단말기의 현재의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현재의 상황 정보와 동일한 상황으로 분류되는 기 설정된 상황 정보를 탐색하는 단계, 탐색된 기 설정된 상황 정보에 대응하는 휴대 단말기의 기능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기능 정보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 사용 시 현재 상황에 적합한 사용 환경을 제공받으며, 이로써 원하는 휴대 단말기 기능을 편리하게 실행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 사용 환경, 사용자 상황, 위치 측정

Description

현재 상황에 적합한 사용 환경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MOBILE TERMINAL PROVIDING ENVIRONMENT ADAPTED TO PRESENT SITUA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현재 상황에 적합한 사용 환경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 보급률의 급속한 증가로 휴대 단말기는 이제 현대인의 생활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고유의 음성 통화 서비스뿐만 아니라 각종 데이터 전송 서비스와 다양한 부가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기능상 멀티미디어 통신기기로 변모하게 되었다.
휴대 단말기 사용자의 대부분은 휴대 단말기를 항상 휴대하고 다니며, 필요한 상황에서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기능들을 이용하게 된다. 그런데 사용자들의 휴대 단말기 사용 패턴을 살펴보면, 특정 상황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기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휴대하여 국외로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들이 국외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기능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휴대 단말기가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판단하여 이에 적합한 사용 환경을 제공한다면 사용자는 원하는 기능을 편리하게 실행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현재 상황에 적합한 사용 환경 특히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와 이의 운용 방법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에서 현재 상황에 적합한 사용 환경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재 상황에 적합한 사용 환경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운용 방법은 휴대 단말기의 현재의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현재의 상황 정보와 동일한 상황으로 분류되는 기 설정된 상황 정보를 탐색하는 단계, 탐색된 기 설정된 상황 정보에 대응하는 휴대 단말기의 기능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기능 정보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재 상황에 적합한 사용 환경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의 현재의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상황 정보 수집 모듈부, 기 설정된 상황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황 정보 수집 모듈부를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의 현재 상황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현재의 상황 정보와 동일한 상황으로 분류되는 기 설정된 상황 정보를 저장부에서 탐색하고, 탐색된 기 설정된 상황 정보에 대응하는 휴대 단말기의 기능 정보를 저장부에서 추출하고, 추출된 기능 정보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구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 사용 시 현재 상황에 적합한 사용 환경을 제공받으며, 이로써 원하는 휴대 단말기 기능을 편리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상황을 반영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무선통신부(110)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1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90)로 출력하고, 제어부(19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부(110)는 적어도 3개의 기지국(Base Station)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9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적어도 3개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위치 측정 모듈부(120)는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 장치이다. 위치 측정 모듈부(120)는 대표적으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에 해당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모든 장치가 본 발명의 위치 측정 모듈부(120)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부(130)는 일정한 반경 이내에서 휴대 단말기 간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근거리 통신 모듈부(130)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적외선(Infrared)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부(130)는 주변에 위치하는 휴대 단말기 또는 장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190)로 전달한다. 주변에 위치하는 휴대 단말기 또는 장치에 관한 정보는 그 자체로서 '상황 정보'를 구성하는 하나의 정보가 될 수 있으며, '상황 정보'를 구성하는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데 데이터로서 이용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40)는 코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40)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재생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부(140)의 마이크(MIC)는 주변 환경으로부터 발생하는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고, 이를 제어부(190)에 전달할 수 있다. 마이크(MIC)가 수집하는 오디오 신호는 '상황 정보'를 구성하는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데 데이터로서 이용될 수 있다.
센서부(150)는 상기 무선통신부(110), 위치 측정 모듈부(120), 근거리 통신 모듈부(130) 및 오디오 처리부(140) 이외에 주변 환경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센서에 해당한다. 센서부(150)는 이미지 센서, 가속도 센서, 근접 센서, 조도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기울기 센서, 자이로 센서, 압력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카메라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카메라 모듈은 주변 환경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제어부(190)로 전달한다. 촬영된 이미지에 관한 정보는 '상황 정보'를 구성하는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데 데이터로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실내 공간에 위치하고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이 실내 공간의 천장을 촬영하는 경우, 촬영된 천장 이미지는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판단하는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110), 위치 측정 모듈부(120), 근거리 통신 모듈부(130), 오디오 처리부(140) 및 센서부(150)는 휴대 단말기의 상황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상황 수집 모듈부로 분류될 수 있다.
저장부(160)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저장부(160)는 휘발성(volatile) 저장 매체 또는 비휘발성(nonvolatile) 저장 매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양 저장 매체의 조합(combination)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휘발성 저장 매체로는 RAM, DRAM, SRAM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semiconductor memory)가 포함되며,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는 하드 디스크(hard disk)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60)는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기능들 마다 이에 해당하는 그래픽 객체에 관한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객체는 기능 실행 아이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60)는 상황 정보 DB(162)를 포함한다. 상황 정보 DB(162)에는 휴대 단말기에 기 설정된 상황 정보와 기능 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된다. 상황 정보에는 시각 정보,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 주변에 위치하는 기기에 관한 정보 및 이동 거리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상황 판단의 척도가 될 수 있는 모든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입력부(170)는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90)로 전달한다. 입력부(170)는 3*4자판, Qwerty 자판 등 숫자키, 문자 키, 방향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터치 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7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기능들을 실행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90)에 전달한다.
표시부(18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로 형성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180)는 휴대 단말기 부팅 화면, 대기 화면, 표시 화면, 통화 화면, 기타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80)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GUI 구성부(196)가 구성한 GUI를 표시한다. GUI 구성부(196)가 구성한 GUI는 휴대 단말기의 현재 상황 정보에 매칭하여 저장된 기능 정보들로 구성되며, 각각의 기능 정보들은 기능 실행 아이콘 등과 같은 그래픽 객체로 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180)는 현재 상황 정보에 대응하여 설정된 기능 정보가 반영된 GUI를 표 시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단말기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제어부(19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2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제어부(190)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90)는 상황 정보 수집부(192), 상황 정보 매칭부(194) 및 GUI 구성부(196)를 포함한다.
상황 정보 수집부(192)는 현재 휴대 단말기의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황 정보 수집부(192)는 실시간으로 상황 정보를 수집하거나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황 정보에는 시각 정보,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 주변에 위치하는 기기에 관한 정보, 이동 거리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 및 이동 거리 정보와 관련하여 상황 정보 수집부(192)는 무선통신부(110), 위치 측정 모듈부(120), 근거리 통신 모듈부(130), 오디오 처리부(140), 센서부(150)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수집한다. 주변에 위치하는 기기에 관한 정보에 관련하여 상황 정보 수집부(192)는 근거리 통신 모듈부(130)를 제어하여 수집한다. 상황 정보 수집부(192)는 현재 상황 정보를 수집하여 상황 정보 매칭부(194)로 전달한다.
상황 정보 매칭부(194)는 상황 정보 수집부(192)로부터 수집된 현재 상황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현재 상황 정보와 동일한 상황으로 분류되는 상황 정보를 상황 정보 DB(162)에서 탐색한다. 즉 상황 정보 매칭부(194)는 현재 상황 정보와 상 황 정보 DB(162)에 저장된 상황 정보를 매칭하여 일치하는지 판단하며, 상황 정보 DB(162)에 저장된 상황 정보가 영역 범위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현재 상황 정보가 저장된 상황 정보의 영역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황 정보 매칭부(194)는 현재 상황 정보와 일치하는 상황 정보 또는 현재 상황 정보를 포함하는 영역 범위를 갖는 상황 정보에 대응하는 기능 정보를 추출하여 GUI 구성부(196)로 전달한다.
GUI 구성부(196)는 상황 정보 매칭부(194)로부터 기능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기능 정보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예를 들면, 기능 실행 아이콘)에 근거하여 GUI를 구성한다. GUI 구성부(196)는 구성한 GUI를 표시부(180)로 전송하며, 표시부(180)는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구성한 GUI를 표시한다.
이상으로 현재 상황에 적합한 사용 환경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 또는 이동 거리 정보를 수집하는 수단으로서 GPS 모듈과 같은 위치 측정 모듈부(120)를 이용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부(110), 근거리 통신 모듈부(130), 오디오 처리부(140) 및 센서부(150)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는 상황 정보 수집부(192)가 수집하고자 하는 위치 정보의 영역 범위에 따라 복수의 구성 요소들을 사용하여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과 같이 비교적 넓은 영역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자 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위치 측정 모듈부(120)만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수집한다. 위치 측정 모듈부(120)가 구비되지 않은 휴대 단말기의 경우에는 무선 통신 부(110)를 통해 적어도 3개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반면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A아파트 33동 101호 중 나의 방'과 위치 측정 모듈부(120)만으로는 수집할 수 없는 좁은 영역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자 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위치 측정 모듈부(120) 뿐만 아니라 근거리 통신 모듈부(130), 오디오 처리부(140) 및 센서부(150)를 함께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현재 상황에 적합한 사용 환경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황 정보 DB(162)에 적어도 하나의 기 설정된 상황 정보와 기능 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황 정보 DB(162)에 저장되는 상황 정보 및 기능 정보는 휴대 단말기 제조 시에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305단계에서 상황 정보 수집부(192)는 '상황 정보'를 수집한다. 상황 정보 수집부(192)는 현재의 '시각 정보' 만을 수집하거나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만을 수집할 수 있으며, '시각 정보' 및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함께 수집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황 정보 수집부(192)는 '주변 기기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주변 기기 정보는 휴대 단말기의 주변에 위치하는 외부 휴대 단말기 또는 기기에 관한 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상황 정보 수집부(192)는 '이동 거리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이동 거리 정보'는 사용자가 이동하는 거리에 관한 정보로서, 상황 정보 수집부(192)는 특정 위치 정보를 기준점으로 설정하고 실시간 으로 현재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기준점으로 설정된 특정 위치 정보와 현재 위치 정보간의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거리 정보'를 수집한다.
상황 정보 수집부(192)는 휴대 단말기 내에 구비된 시각 측정 모듈로부터 현재 시각 정보를 수집하거나 기지국으로부터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시각 정보를 수집한다. 또한 상황 정보 수집부(192)는 무선통신부(110), 위치 측정 모듈부(120), 근거리 통신 모듈부(130), 오디오 처리부(140) 및 센서부(150)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현재 위치 정보를 수집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황 정보 수집부(192)는 근거리 통신 모듈부(130)를 제어하여 사용자 주변에 어떠한 외부 휴대 단말기 또는 기기가 위치하는지에 관한 '주변 기기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부(130)가 블루투스 모듈로 구성되는 경우, 근거리 통신 모듈부(130)는 일정 주기로 조회 신호(inquiry)를 방송하고, 주위에 위치하는 휴대 단말기 또는 기기로부터 조회 응답 신호(inquiry response)를 수신하여 어떠한 휴대 단말기 또는 기기가 주변에 위치하는지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310단계에서 상황 정보 매칭부(194)는 상황 정보 수집부(192)로부터 현재 상황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현재 상황 정보와 동일한 상황으로 분류되는 상황 정보를 상황 정보 DB(162)에서 탐색한다. 즉, 상황 정보 매칭부(194)는 현재 상황 정보와 일치하는 상황 정보 또는 현재 상황 정보를 포함하는 영역 범위를 갖는 상황 정보가 상황 정보 DB(162)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황 정보 DB(162)에는 '상황 정보'가 '기능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되어 있으며, 상황 정보 매칭 부(194)는 상황 정보 DB(162)로부터 현재 상황 정보와 일치하는 상황 정보 또는 현재 상황 정보를 포함하는 영역 범위로 구성된 상황 정보를 추출한다. 상황 정보가 시각 정보 및 위치 정보로 구성되는 경우, 상황 정보 매칭부(194)는 현재 시각 정보 및 현재 위치 정보와 일치하는 시각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추출하거나 현재 시각 정보 및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영역 범위로 구성되는 시각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상황 정보 DB(162)로부터 추출한다.
상황 정보 DB(162)에 저장되는 '시각 정보'는 '13:21'과 같이 '분' 단위, 더욱 자세하게는 '초' 단위로 저장될 수도 있으며, '13:20-13:40', '13:00-14:00' 등과 같이 '20분' 단위, '1시간' 단위 등의 영역으로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상황 정보 DB(162)에 저장되는 '위치 정보'는 '영국'과 같이 국가 단위이거나, '영국 런던'과 같이 도시 단위이거나, 세부 단위로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황 정보 DB(162)에는 '상황 정보'로서 '주변 기기 정보(예를 들어, 블루투스 기기 정보)' 및 '이동 거리 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다.
315단계에서 상황 정보 매칭부(194)는 상황 정보 DB(162)로부터 현재 상황 정보와 일치하는 상황 정보에 대응하는 기능 정보를 추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황 정보 매칭부(194)는 현재 상황 정보를 포함하는 범위를 갖는 상황 정보를 판단하고 이에 대응하는 기능 정보를 추출한다.
320단계에서 GUI 구성부(196)는 추출한 기능 정보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를 저장부(160)에서 추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60)에는 각각의 기능 정보에 대응하여 그래픽 객체가 저장되어 있으며, '그래픽 객체'는 대표적으로 '기 능 실행 아이콘'에 해당될 수 있다. 325단계에서 GUI 구성부(196)는 상기 추출한 그래픽 객체들을 이용하여 표시부(180)에 표시될 GUI를 구성한다.
330단계에서 제어부(190)는 표시부(180)를 제어하여 GUI 구성부(196)가 구성한 GUI를 표시한다. 기 설정된 상황에서 휴대 단말기가 표시하는 화면은 두 가지 모드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는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의 바탕 화면인 '일반 모드'이며, 다른 하나는 GUI 구성부(196)가 구성한 GUI가 표시된 화면인 '상황 적합 모드'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90)는 표시부(180)를 제어하여 현재 상황에 적합한 GUI를 표시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315단계에서 상황 정보 매칭부(194)가 상황 정보 DB(162)로부터 현재 상황 정보와 일치하는 상황 정보에 대응하는 기능 정보를 추출한 후, 제어부(190)는 표시부(180)를 제어하여 현재 상황에 적합한 GUI를 표시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320단계에서 GUI 구성부(196)가 기능 정보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를 추출한 후 또는 325단계에서 GUI 구성부(196)가 GUI를 구성한 후, 제어부(190)가 표시부(180)를 제어하여 현재 상황에 적합한 GUI를 표시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재 상황에 적합한 GUI가 표시된 표시 화면의 예시도에 해당한다. 도 4에서 상황 정보 DB(162)에 저장된 '상황 정보'는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 또는 '이동 거리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의 [a]는 사용자가 7월 28일 오후 6시 31분에 '서울'에 위치할 때의 휴대 단말기의 표시 화면에 해당한다. 사용자는 '런던'으로 출장을 가게 되었으며, 7 월 29일 오전 6시 42분에 '런던'에 도착하였다. 상황 정보 수집부(192)는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로서 '런던'을 수집하였고, 이를 상황 정보 매칭부(194)에 전달한다. 상황 정보 매칭부(194)는 '런던'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상황 정보를 상황 정보 DB(162)에서 탐색하고, '런던'의 상황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된 기능 정보를 추출한다. 상황 정보 DB(162)에는 '런던'의 상황 정보와 매칭하여, '런던 이미지 디스플레이', '지도', '환율' 및 '세계 시간' 기능이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상기 기능들은 휴대 단말기 사용자들이 '런던'에 도착했을 때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기능들에 해당하며, 상기 기능 정보들은 휴대 단말기 제조 시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 설정에 의해 저장될 수도 있다. 상황 정보 매칭부(194)는 추출한 '런던 이미지 디스플레이', '지도', '환율' 및 '세계 시간' 기능 정보를 GUI 구성부(196)로 전달하며, GUI 구성부(196)는 '런던 이미지 디스플레이', '지도', '환율' 및 '세계 시간' 기능 정보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들을 저장부(160)로부터 추출하고, 추출한 그래픽 객체들로 '상황 적합 모드'의 GUI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황 적합 모드'의 GUI는 '일반 모드'의 GUI와 전혀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반 모드'의 GUI의 일부만이 변경된 형태로 구성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90)는 표시부(180)를 제어하여 '상황 적합 모드'로 전환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황 적합 모드'로 전환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 화면에 해당한다. 사용자는 현재 휴대 단말기의 표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모드를 전환할지 선택하는 메시지를 표시하여 사용자 의 의도와 무관하게 표시 화면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황 적합 모드'로 전환할 것을 선택하면, 제어부(190)는 표시부(180)를 제어하여 GUI 구성부(196)가 구성한 '상황 적합 모드'의 GUI를 표시한다. 도 4의 [b]는 '상황 적합 모드'가 표시된 표시 화면에 해당한다. 도 4의 [b]에는 런던 이미지가 배경 화면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지도'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환율'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세계 시각'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도 4의 [b]는 '상황 적합 모드'의 표시 화면에 해당하며 '일반 모드'의 표시 화면(도 4의 [a])과 전혀 다른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황 적합 모드'에서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의 메뉴를 검색하여 일일이 원하는 기능을 찾을 필요 없이 편리하게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90)는 GUI 구성부(196)가 '상황 적합 모드'의 GUI를 구성하기 전에 표시부(180)를 제어하여 '상황 적합 모드'로 전환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표시부(180)를 제어하여 '상황 적합 모드'로 전환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메시지를 아이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황 적합 모드'로 전환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메시지를 아이콘 형태로 표시한 표시 화면에 해당한다. 도 7b에는 화면의 우측 하단에 '비행기' 형태의 '여행'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여행' 아이콘을 클릭하는 경우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90)는 표시부(180)를 제어하여 '상황 적합 모드'의 표시 화면을 표시한다. 즉, 사용자가 '여행' 아이콘을 클릭하면 제어부(190)는 사용자가 '상황 적합 모드'로 전환할 것을 선택하는 명령으로 인식하고 표시부(180)를 제어하여 '상황 적합 모드'의 표시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상황 정보 DB(162)에 '상황 정보'로서 '이동 거리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황 정보 수집부(192)는 '이동 거리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인천 국제 공항'에서 비행기를 탑승하여 '런던'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황 정보 수집부(192)는 '인천 국제 공항'를 기준으로 '이동 거리 정보'를 수집한다. 상황 정보 수집부(192)는 '이동 거리 정보' 수집 시 '인천 국제 공항'을 기준으로 정함에 있어서, 일정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위치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정할 수 있으며, '공항'과 관련된 지점을 기준으로 정할 수 있다. 상황 정보 DB(162)에 '이동 거리 정보'로서 '1000km'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황 정보 매칭부(194)는 상황 정보 수집부(192)가 수집하는 이동 거리 정보가 1000km이상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1000km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저장된 기능 정보를 추출하여 GUI 구성부(196)로 전달한다. 이동 거리가 1000km 이상인 경우 사용자가 국내를 벗어난 것에 해당할 수 있으며, 상황 정보 DB(162)에는 '이동 거리 정보 1000km'와 관련하여 '지도', '환율', '세계 시각'의 기능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상황 정보 매칭부(194)는 상황 정보 DB(162)로부터 '지도', '환율', '세계 시각' 기능 정보를 추출하여 GUI 구성부(196)로 전달하며, GUI 구성부(196)는 '지도', '환율', '세계 시각' 기능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를 저장부(160)로부터 추출하고, 추출한 그래픽 객체들로 GUI를 구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재 상황에 적합한 GUI가 표시된 표시 화 면의 다른 예시도에 해당한다. 도 5에서 상황 정보 DB(162)에 저장된 '상황 정보'는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a]는 사용자가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A아파트'에 위치할 때의 휴대 단말기의 표시 화면에 해당한다. 도 5의 [a]에 표시된 화면은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의 대기 화면을 나타낸다. 사용자가 현재 위치에서 'OO 주유소'로 이동하면, 상황 정보 수집부(192)는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로서 'OO 주유소'를 수집하여 상황 정보 매칭부(194)로 전달한다. 상황 정보 매칭부(194)는 'OO 주유소'의 위치 정보와 동일한 상황으로 분류되는 상황 정보를 상황 정보 DB(162)에서 탐색하고, 'OO 주유소'의 상황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된 기능 정보를 추출한다. 상황 정보 DB(162)에는 'OO 주유소'의 상황 정보와 매칭하여, '카 다이어리(car diary)' 기능이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황 정보 DB(162)에는 '주유소'의 상황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OO 주유소', 'XX 주유소' 등 '주유소'에 해당하는 모든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황 정보 매칭부(194)는 추출한 '카 다이어리' 기능 정보를 GUI 구성부(196)로 전달하며, GUI 구성부(196)는 '카 다이어리'기능 정보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를 저장부(160)로부터 추출하고, 추출한 그래픽 객체로 '상황 적합 모드'의 GUI를 구성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재 상황에 적합한 GUI가 표시된 표시 화면의 또 다른 예시도에 해당한다. 도 6에서 상황 정보 DB(162)에 저장된 '상황 정보'는 '주변 기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황 정보 수집부(192)는 근거리 통신 모듈부(130)를 제어하여 '주변 기기 정보'를 수집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근거리 통 신 모듈부(130)가 블루투스 모듈에 해당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의 [a]는 사용자가 '집 밖'에 위치할 때의 휴대 단말기의 표시 화면에 해당한다. 도 6의 [a]에 표시된 화면은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의 대기 화면을 나타낸다. 현재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집 밖')를 중심으로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는 '블루투스 스피커'가 존재하지 않으며, '집 안'에는 '블루투스 스피커'가 위치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상황 정보 수집부(192)는 블루투스 모듈을 제어하여 실시간으로 또는 일정 주기로 주변에 위치하는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기기들을 검색한다. 구체적으로 블루투스 모듈은 일정 주기로 조회 신호(inquiry)를 방송하고, 주위에 위치하는 휴대 단말기 또는 기기로부터 조회 응답 신호(inquiry response)를 수신하여 어떠한 휴대 단말기 또는 기기가 주변에 위치하는지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집 밖'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황 정보 수집부(192)는 '블루투스 스피커'를 검색하지 못한다.
사용자가 '집 밖'에서 '집 안'으로 이동하면 상황 정보 수집부(192)는 근거리 통신 모듈부(130)(블루투스 모듈에 해당)를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의 주변에 위치하는 '블루투스 스피커'를 검색하며 검색 정보를 상황 정보 매칭부(194)에 전달한다. 상황 정보 매칭부(194)는 '블루투스 스피커'라는 주변 기기 정보를 포함하는 상황 정보를 상황 정보 DB(162)에서 탐색하고, '블루투스 스피커'의 상황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된 기능 정보를 추출한다. 상황 정보 DB(162)에는 '블루투스 스피커'의 상황 정보와 매칭하여 '진동 모드 설정' 기능이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주변에 블루투스 스피커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진동 모드'로 변 경 설정할 수 있으므로, '블루투스 스피커'와 '진동 모드 설정'은 매칭되어 상황 정보 DB(162)에 저장된다. 상황 정보 매칭부(194)는 추출한 '진동 모드 설정' 기능 정보를 GUI 구성부(196)로 전달하며, GUI 구성부(196)는 '진동 모드 설정'기능 정보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를 저장부(160)로부터 추출하고, 추출한 그래픽 객체를 이용하여 '상황 적합 모드'의 GUI를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휴대 단말기가 특정 상황이 되었을 때 이에 적합한 GUI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휴대 단말기 기능을 편리하게 실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상황을 반영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제어부(190)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현재 상황에 적합한 사용 환경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재 상황에 적합한 GUI가 표시된 표시 화면의 예시도에 해당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재 상황에 적합한 GUI가 표시된 표시 화면의 다른 예시도에 해당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재 상황에 적합한 GUI가 표시된 표시 화면의 또 다른 예시도에 해당한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황 적합 모드'로 전환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 화면에 해당한다.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황 적합 모드'로 전환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메시지를 아이콘 형태로 표시한 표시 화면에 해당한다.

Claims (9)

  1. 휴대 단말기의 현재의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현재의 상황 정보와 동일한 상황으로 분류되는 기 설정된 상황 정보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탐색된 기 설정된 상황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능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기능 정보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운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정보는
    시각 정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 주변 기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운용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된 GUI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운용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된 GUI를 표시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운용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UI를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기능 정보에 대응하여 설정된 그래픽 객체를 이용하여 GUI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운용 방법.
  6. 현재 상황에 적합한 사용 환경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현재의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상황 정보 수집 모듈부;
    기 설정된 상황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상황 정보 수집 모듈부를 제어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현재 상황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현재의 상황 정보와 동일한 상황으로 분류되는 기 설정된 상황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서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기 설정된 상황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능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서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기능 정보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구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정보는
    시각 정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 주변 기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운용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된 GUI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정보 수집 모듈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 모듈부, 외부 휴대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 및 근거리 통신 모듈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90072649A 2009-08-07 2009-08-07 현재 상황에 적합한 사용 환경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 KR101584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649A KR101584058B1 (ko) 2009-08-07 2009-08-07 현재 상황에 적합한 사용 환경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
US12/844,001 US8971805B2 (en) 2009-08-07 2010-07-27 Portable terminal providing environment adapted to present situa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PCT/KR2010/005095 WO2011016665A2 (en) 2009-08-07 2010-08-03 Portable terminal providing environment adapted to present situa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201080035164.8A CN102474293B (zh) 2009-08-07 2010-08-03 提供适合当前场景的环境的便携式终端及其操作方法
EP10806639A EP2462700A4 (en) 2009-08-07 2010-08-03 PORTABLE TERMINAL PROVIDING AN ENVIRONMENT SUITABLE FOR PRESENTING A SITUATION AND ITS OPERAT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649A KR101584058B1 (ko) 2009-08-07 2009-08-07 현재 상황에 적합한 사용 환경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105A true KR20110015105A (ko) 2011-02-15
KR101584058B1 KR101584058B1 (ko) 2016-01-12

Family

ID=43535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2649A KR101584058B1 (ko) 2009-08-07 2009-08-07 현재 상황에 적합한 사용 환경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71805B2 (ko)
EP (1) EP2462700A4 (ko)
KR (1) KR101584058B1 (ko)
CN (1) CN102474293B (ko)
WO (1) WO2011016665A2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0359A (ko) * 2012-08-27 2014-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세서리 분실 방지 방법 및 휴대 단말
KR20140075047A (ko) * 2012-12-07 2014-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상황 정보 기반의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그 기록 매체
KR20140099165A (ko) * 2013-01-31 2014-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그 디바이스
KR20140133132A (ko) * 2013-05-09 2014-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70139397A (ko) * 2016-06-09 2017-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90125248A (ko) * 2019-10-25 2019-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맞춤형 페이지 처리 방법 및 휴대 단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4573A (ko) * 2007-10-04 2009-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트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컨텐트 재생 방법 및 그장치
US9639611B2 (en) 2010-06-11 2017-05-02 Doat Media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uitable web addresses to a user device
US9372885B2 (en) 2010-06-11 2016-06-21 Doat Media Ltd. System and methods thereof for dynamically updating the contents of a folder on a device
US9069443B2 (en) 2010-06-11 2015-06-30 Doat Media Ltd. Method for dynamically displaying a personalized home screen on a user device
US9141702B2 (en) 2010-06-11 2015-09-22 Doat Media Ltd. Method for dynamically displaying a personalized home screen on a device
US10713312B2 (en) 2010-06-11 2020-07-14 Doat Media Ltd. System and method for context-launching of applications
WO2012030001A1 (ko) * 2010-09-01 2012-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TWI546700B (zh) * 2011-01-13 2016-08-21 宏達國際電子股份有限公司 手持電子裝置及其控制方法與電腦程式產品
CN102436457B (zh) * 2011-02-18 2014-04-16 奇智软件(北京)有限公司 一种分配浏览器进程的方法及其设备
CN103902675A (zh) * 2011-02-18 2014-07-02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一种分配浏览器进程的方法及其设备
JP6002157B2 (ja) * 2011-02-21 2016-10-05 エンパイア テクノロジー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ルエルシー ワイヤレス通信を改良するための帯域外情報の使用
US9858342B2 (en) 2011-03-28 2018-01-02 Doat Media Ltd. Method and system for searching for applications respective of a connectivity mode of a user device
KR101789332B1 (ko) * 2011-06-03 2017-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홈 스크린을 표시하는 방법
EP2801040B1 (en) * 2012-01-08 2018-04-11 Teknision Inc.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assignable user interface
US20130194310A1 (en) * 2012-01-26 2013-08-01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Automatically adaptation of application data responsive to an operating condition of a portable computing device
WO2013180751A1 (en) * 2012-05-31 2013-12-05 Doat Media Ltd. Method for dynamically displaying a personalized home screen on a device
US9170667B2 (en) 2012-06-01 2015-10-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textual user interface
US9381427B2 (en) 2012-06-01 2016-07-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eneric companion-messaging between media platforms
KR20140030372A (ko) 2012-08-27 2014-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맞춤형 페이지 처리 방법 및 휴대 단말
CN102867047A (zh) * 2012-09-06 2013-01-09 北京天宇朗通通信设备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的信息分类方法及装置
KR20140033672A (ko) * 2012-09-10 2014-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벤트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GB2508948A (en) * 2012-12-12 2014-06-18 Doat Media Ltd Method for dynamically displaying a personalized home screen on a device
US20140195949A1 (en) * 2013-01-08 2014-07-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ent delivery system with sequence generation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WO2014107793A1 (en) * 2013-01-11 2014-07-17 Teknision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selection of contextual dashboards
WO2014119889A1 (en) * 2013-01-31 2014-08-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displaying user interface on device, and device
US9679252B2 (en) * 2013-03-15 2017-06-13 Qualcomm Incorporated Application-controlled granularity for power-efficient classification
JP6141136B2 (ja) * 2013-07-30 2017-06-07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575088B1 (ko) * 2014-03-12 2015-12-11 손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N105227988B (zh) * 2014-06-03 2018-10-26 Tcl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电视根据场景显示系统设置的方法及装置
CN105448292B (zh) * 2014-08-19 2019-03-12 北京羽扇智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场景的实时语音识别系统和方法
CN104853040B (zh) * 2015-04-30 2016-12-1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飞行模式的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106255100B (zh) * 2015-06-05 2019-08-1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无线网络的场景识别方法及场景识别系统
CN105120051B (zh) * 2015-06-24 2019-04-1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情景模式配置方法及电子设备
CN106331291B (zh) * 2015-06-25 2020-11-06 西安中兴新软件有限责任公司 一种操作执行方法和移动终端
CN107122181A (zh) * 2017-04-01 2017-09-01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一种控件展示方法及装置
KR20200058511A (ko) * 2017-10-20 2020-05-27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WO2021029635A1 (ko) * 2019-08-14 2021-02-18 김영수 통합모드 변환이 가능한 표시장치
KR102406624B1 (ko) * 2019-08-14 2022-06-08 김영수 통합모드 변환이 가능한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5358A (en) * 1992-12-28 1995-11-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for enhancing user efficiency in initiating sequence of data processing system user inputs using calculated probability of user executing selected sequences of user inputs
US5414809A (en) * 1993-04-30 1995-05-0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Graphical display of data
US20070061735A1 (en) 1995-06-06 2007-03-15 Hoffberg Steven M Ergonomic man-machine interface incorporating adaptive pattern recognition based control system
US5724985A (en) * 1995-08-02 1998-03-10 Pacesetter, Inc. User interface for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using an integrated digitizer display screen
US6466232B1 (en) 1998-12-18 2002-10-15 Tangi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user based on the user's condition
US6567104B1 (en) * 1999-05-20 2003-05-20 Microsoft Corporation Time-based dynamic user interface elements
AU3084801A (en) 2000-01-06 2001-07-16 Brightcom Technologies Ltd. Integration of bluetooth functionality with a global positioning system
US6661438B1 (en) 2000-01-18 2003-12-09 Seiko Epson Corporation Display apparatus and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O2002033541A2 (en) 2000-10-16 2002-04-25 Tangis Corporation Dynamically determining appropriate computer interfaces
US7245925B2 (en) * 2000-12-19 2007-07-17 At&T Intellectual Property,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location information to execute an action
AU2002252405A1 (en) * 2001-03-19 2002-10-03 Accenture Llp Mobile valet
US6668177B2 (en) 2001-04-26 2003-12-2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prioritized icons in a mobile terminal
EP1256875A1 (en) * 2001-05-10 2002-11-1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context dependent user input prediction
US20020186257A1 (en) 2001-06-08 2002-12-12 Cadiz Jonathan J. System and process for providing dynamic communication access and information awareness in an interactive peripheral display
US7185290B2 (en) 2001-06-08 2007-02-27 Microsoft Corporation User interface for a system and process for providing dynamic communication access and information awareness in an interactive peripheral display
GB2378074B (en) * 2001-07-27 2005-08-24 Hewlett Packard Co Image capturing device
US6912386B1 (en) * 2001-11-13 2005-06-28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 mobile device by detecting usage situations
US7127261B2 (en) * 2002-02-22 2006-10-24 Julian Van Erlach Enhanced telecommunication services
JP3669702B2 (ja) 2003-02-25 2005-07-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の予測方法及び移動体端末
US20050044508A1 (en) * 2003-08-21 2005-02-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program product for customizing a user interface
US20050054381A1 (en) * 2003-09-05 2005-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active user interface
EP2639723A1 (en) * 2003-10-20 2013-09-18 Zoll Medical Corporation Portable medical information device with dynamically configurable user interface
US20060107219A1 (en) 2004-05-26 2006-05-18 Motorola, Inc. Method to enhance user interface and target applications based on context awareness
DE602005001373T2 (de) * 2004-08-26 2008-0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won Mobiles System, Verfahren und Computerprogramm zur Steuerung einer dialogfähigen Bedienschnittstelle in Abhängigkeit von erfassten Verhaltensmustern
KR20060019320A (ko) 2004-08-27 2006-03-03 브이케이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위치 추적 시스템의 일과 다이어리를통한 생활 패턴 분석 방법
US20060048064A1 (en) 2004-08-31 2006-03-02 Microsoft Corporation Ambient display of data in a user interface
KR100685286B1 (ko) 2004-11-23 2007-02-22 주식회사 팬택 특정 사용 패턴에 따른 인공 지능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US20070022380A1 (en) * 2005-07-20 2007-01-25 Microsoft Corporation Context aware task page
KR20070013442A (ko) 2005-07-26 2007-01-31 엘지노텔 주식회사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 메시지 분석방법
KR20070014596A (ko) 2005-07-29 2007-02-01 브이케이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탕화면 자동 교체 방법
US8005729B1 (en) * 2006-03-30 2011-08-23 Adobe Systems Incorporated Environment modification using system and usage data
KR101295155B1 (ko) 2006-06-26 2013-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행동 분석 결과에 따라 대기화면을 표시하는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US7675414B2 (en) * 2006-08-10 2010-03-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an environmental and behavioral adaptiv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080182591A1 (en) 2006-12-13 2008-07-31 Synthesis Studios, Inc. Mobile Proximity-Based Notifications
US7770137B2 (en) * 2006-12-20 2010-08-0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enhancing presence services
US20080162037A1 (en) * 2006-12-27 2008-07-03 Hasan Mahmoud Ashraf S Location-based interactive display and communication system
US8463253B2 (en) * 2007-06-21 2013-06-11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Flexible lifestyle portable communications device
JP5122201B2 (ja) 2007-07-24 2013-01-1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携帯端末及びプログラム
US20090049389A1 (en) * 2007-08-13 2009-02-19 Siemens Medical Solutions Usa, Inc. Usage Pattern Driven Graphical User Interface Element Rendering
KR20090030966A (ko) 2007-09-21 2009-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뉴 리스트 순위 구성 방법 및 장치
KR100905622B1 (ko) 2007-10-02 2009-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대기 화면 계층 제공 방법과 대기 화면 제공 방법 및 이를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US8155989B2 (en) 2007-10-17 2012-04-1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Engineered management system particularly suited for maintenance and repair (M and R) management of structure such as pavement
EP2223207A2 (en) 2007-11-14 2010-09-01 France Telecom A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widges
TWI398155B (zh) 2007-12-18 2013-06-01 Inventec Appliances Corp 具有配對功能之可攜式通訊裝置、系統及其通訊方法
US8244282B2 (en) 2008-05-06 2012-08-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erforming recipient based routing of a phone call
WO2010014853A1 (en) 2008-07-30 2010-02-04 Michael Zimmerman Data-oriented user interface for mobile device
WO2010015071A1 (en) * 2008-08-07 2010-02-11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incorporating multimedia content into a message handled by a mobile device
US8108778B2 (en) 2008-09-30 2012-01-31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ext enhanced mapping within a user interface
CN101420487A (zh) 2008-11-26 2009-04-29 深圳市戴文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动态切换其操作界面的方法及系统
US20100161720A1 (en) * 2008-12-23 2010-06-24 Palm,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to a mobile device
US8497796B2 (en) * 2009-01-23 2013-07-30 Alcatel Lucent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ne or more electronic devices based on the location of a user
US8026805B1 (en) 2009-04-09 2011-09-27 Adobe Systems Incorporated Media tracker
KR101544371B1 (ko) * 2009-08-07 2015-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상황을 반영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0359A (ko) * 2012-08-27 2014-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세서리 분실 방지 방법 및 휴대 단말
KR20140075047A (ko) * 2012-12-07 2014-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상황 정보 기반의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그 기록 매체
US10691300B2 (en) 2012-12-07 2020-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based on context,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US10928988B2 (en) 2012-12-07 2021-02-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based on context,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US11740764B2 (en) 2012-12-07 2023-08-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based on context,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KR20140099165A (ko) * 2013-01-31 2014-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그 디바이스
US10768796B2 (en) 2013-01-31 2020-09-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displaying user interface on device, and device
KR20210005303A (ko) * 2013-01-31 2021-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그 디바이스
KR20140133132A (ko) * 2013-05-09 2014-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70139397A (ko) * 2016-06-09 2017-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90125248A (ko) * 2019-10-25 2019-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맞춤형 페이지 처리 방법 및 휴대 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71805B2 (en) 2015-03-03
CN102474293B (zh) 2015-11-25
KR101584058B1 (ko) 2016-01-12
EP2462700A2 (en) 2012-06-13
WO2011016665A2 (en) 2011-02-10
US20110034129A1 (en) 2011-02-10
CN102474293A (zh) 2012-05-23
WO2011016665A3 (en) 2011-06-30
EP2462700A4 (en) 201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4058B1 (ko) 현재 상황에 적합한 사용 환경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
US11265283B2 (en) Electronic device, server, and control method an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or the electronic device
KR101544371B1 (ko) 사용자 상황을 반영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
US11109191B2 (en) Method for displaying current geographical location on emergency call screen and terminal
CN109241765B (zh) 移动终端和应用程序的权限管理方法、装置
CN105722009B (zh) 便携式装置和控制便携式装置的位置信息的方法
KR101597512B1 (ko)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1759912B1 (ko)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230044040A (ko) 무선 레인징에 기초한 전자 디바이스들의 제어 및 정보의 디스플레이
US20150100900A1 (en) File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and Controlling Device
CN103826007A (zh) 对终端进行遥控的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03424756A (zh) 移动终端及其gps引擎控制方法
CN104049840A (zh) 移动终端的应用呈现方法和系统
WO2015030104A1 (ja) 携帯通信端末、情報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表示方法
US20150002539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isplaying perspective street view map
CN105792125B (zh) 电子设备、无线中继设备和提供中继设备位置信息的方法
WO2013155918A1 (zh) 计划任务执行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图形用户接口及移动终端
US10416778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8917766B (zh) 一种导航方法和移动终端
CN108934025B (zh) 无线通信传输方法、装置、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取存储介质
KR20140099589A (ko)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단축번호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9582200B (zh) 一种导航信息显示方法及移动终端
CN111107213A (zh) 移动终端以及通话提醒方法和存储装置
CN111357310B (zh) 一种伪基站信息的处理方法
CN108901013B (zh) 无线通信传输方法、装置、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取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