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8511A -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8511A
KR20200058511A KR1020207012174A KR20207012174A KR20200058511A KR 20200058511 A KR20200058511 A KR 20200058511A KR 1020207012174 A KR1020207012174 A KR 1020207012174A KR 20207012174 A KR20207012174 A KR 20207012174A KR 20200058511 A KR20200058511 A KR 20200058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on
service item
electronic device
display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2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판빈 시아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58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85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06F9/44505Configuring for program initiating, e.g. using registry, configuration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Abstract

사용자가 서비스 아이콘을 사용해서 서비스 아이템을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전자 디바이스의 데스크톱에 서비스 아이콘을 자동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이 제공되고, 이로써 사용자 조작이 감소되고 사용자 경험이 향상된다. 구체적인 해법은 다음과 같다: 즉, 전자 디바이스는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고(401);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제1 아이콘은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함 ―하고(402); 제1 아이콘에서 수행되는 조작에 응답하여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한다(403).

Description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본원은, 그 전부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되는, "SERVICE PROVIDING METHOD, TERMINAL, AND SERVER"라는 명칭으로 2017년 10월 20일자로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1710983444.5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기술분야]
본원의 실시형태들은 전자 기술 분야, 특히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인터넷의 지속적인 개발로, 모바일 인터넷은 점점 더 풍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점점 더 많은 애플리케이션이 단말에 설치되고 있다.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은 복수의 서비스 및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각각의 서비스를 단말에서 사용하려면, 사용자는 복잡한 조작을 수행하고 오랫동안 기다려야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먼저 데스크톱(기본 화면)에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탭핑하고,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기를 기다리고, 애플리케이션에 진입한 후에 메뉴를 사용해서 서비스를 찾고 나서, 서비스를 사용해야 한다.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는 동안, 론치 인터페이스를 더 기다려야 할 수도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에 진입한 후에, 사용하려는 서비스를 찾기 위해 복수의 메뉴가 필요해질 수 있다.
종래기술에서는,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조작 단계를 줄이기 위해, 안드로이드(Android) 버전 O의 단축코드 기능에 기초한 서비스 사용 해법이 제공된다. 이 해법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단말의 데스크톱에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길게 누르면(touch and hold), 데스크톱에 메뉴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는 메뉴 리스트에 있는 서비스를 데스크톱에 드래그하여 바로가기(shortcut)로서 기능하는 서비스 아이콘을 형성할 수 있고, 후속하여 데스크톱에서 서비스 아이콘을 탭핑함으로써 해당 서비스를 바로 사용할 수 있다.
단축코드 기능에 기초한 기존의 해법에서는,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길게 누르고 서비스를 데스크톱에 드래그하는 바와 같은 수동 조작을 수행하여 서비스 아이콘을 데스크톱에 디스플레이해야 하고, 서비스는 서비스 아이콘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 경험이 상대적으로 좋지 못하다.
본원의 실시형태들은, 사용자가 서비스 아이콘을 사용해서 서비스 아이템을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서비스 아이콘을 자동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 이로써 사용자 조작이 감소되고 사용자 경험이 향상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원의 실시형태들에서 이하의 기술적인 해법들이 사용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본원의 실시형태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고, 이 방법은,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단계;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제1 아이콘은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함 ―하는 단계; 및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아이콘에서 수행되는 조작에 응답하여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해법에서는, 전자 디바이스가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고,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하는 서비스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자동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의 서비스 아이콘을 사용해서 서비스 아이템을 바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하는 서비스 아이콘을 수동으로 설정할 필요가 없고, 이로써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조작 단계들이 감소되고, 사용자의 대기 시간이 단축되고, 사용자 경험이 향상된다.
가능한 설계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전자 디바이스의 서비스 아이템 사용 기록 및/또는 서비스 아이템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해법에서는, 전자 디바이스가 최근에 사용된 서비스 아이템 또는 빈번하게 사용된 서비스 아이템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가능한 다른 설계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캘린더, 시간,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능한 다른 설계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시나리오 모드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시나리오 모드는 차량내 모드, 운전 모드, 뮤트 모드, 비행기 모드, 오프라인 모드, 실외 모드, 또는 회의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가능한 다른 설계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서버의 지시(indication)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해법에서는, 전자 디바이스가 서버의 추천 및 지시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가능한 다른 설계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사용 빈도 또는 최근 사용 시간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해법에서는, 전자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빈번하게 사용된 또는 최근에 사용된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가능한 다른 설계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전자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이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원의 실시형태는 서버에 적용되는 서비스 아이템 추천 방법을 제공하고, 이 방법은, 서버에 의해, 지시 정보를 생성― 지시 정보는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식별자를 포함함 ―하는 단계; 및 서버에 의해, 지시 정보를 전자 디바이스에 송신― 지시 정보는 전자 디바이스에게 제1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하고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하라고 지시하는 데 사용됨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해법에서는, 서버가 서비스 아이템을 전자 디바이스에 추천할 수 있으며, 전자 디바이스는 서버의 추천에 기초하여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원의 실시형태는,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유닛;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제1 아이콘은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함 ―하도록 구성되는 제1 디스플레이 유닛; 및 제1 아이콘에서 수행되는 조작에 응답하여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는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가능한 설계에 있어서, 결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전자 디바이스의 서비스 아이템 사용 기록 및/또는 서비스 아이템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 있어서, 결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캘린더, 시간,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 있어서, 결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시나리오 모드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시나리오 모드는 차량내 모드, 운전 모드, 뮤트 모드, 비행기 모드, 오프라인 모드, 실외 모드, 또는 회의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 있어서, 결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서버의 지시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 있어서,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은 구체적으로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사용 빈도 또는 최근 사용 시간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전자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이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원의 실시형태는, 지시 정보를 생성― 지시 정보는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식별자를 포함함 ―하도록 구성되는 생성 유닛; 및 지시 정보를 전자 디바이스에 송신― 지시 정보는 전자 디바이스에게 제1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하고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하라고 지시하는 데 사용됨 ―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유닛을 포함하는 서버를 제공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원의 실시형태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 이 방법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에서 구현되며, 또한 이 방법은,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터치스크린에 제1 GUI를 디스플레이― 제1 아이콘이 제1 GUI에 디스플레이되고, 제1 아이콘은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함 ―하는 단계; 및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아이콘에서 수행되는 조작에 응답하여 터치스크린에 제2 GUI를 디스플레이―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는 제2 GUI에 디스플레이됨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해법에서는, 전자 디바이스가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고,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하는 서비스 아이콘을 제1 GUI에 자동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의 서비스 아이콘을 사용해서 서비스 아이템을 바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하는 서비스 아이콘을 수동으로 설정할 필요가 없고, 이로써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조작 단계들이 감소되고, 사용자의 대기 시간이 단축되고, 사용자 경험이 향상된다.
가능한 구현예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것은, 전자 디바이스의 서비스 아이템 사용 기록 및/또는 서비스 아이템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해법에서는, 전자 디바이스가 최근에 사용된 서비스 아이템 또는 빈번하게 사용된 서비스 아이템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것은, 캘린더, 시간,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것은, 시나리오 모드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시나리오 모드는 차량내 모드, 운전 모드, 뮤트 모드, 비행기 모드, 오프라인 모드, 실외 모드, 또는 회의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것은, 서버의 지시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해법에서는, 전자 디바이스가 서버의 추천 및 지시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터치스크린에 제1 GUI를 디스플레이― 제1 아이콘이 제1 GUI에 디스플레이되고, 제1 아이콘은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함 ―하는 단계는,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사용 빈도 또는 최근 사용 시간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터치스크린에 제1 GUI를 디스플레이― 제1 아이콘이 제1 GUI에 디스플레이되고, 제1 아이콘은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함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해법에서는, 전자 디바이스가, 제1 GUI 상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빈번하게 사용된 또는 최근에 사용된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 있어서, 제1 GUI는 전자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이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원의 실시형태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고, 이 방법은, 전자 디바이스의 서비스 아이템 사용 기록 및/또는 서비스 아이템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단계; 전자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제1 아이콘은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함 ―하는 단계; 및 제1 아이콘에서 수행되는 조작에 응답하여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원의 실시형태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고, 이 방법은, 캘린더, 시간,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단계; 전자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제1 아이콘은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함 ―하는 단계; 및 제1 아이콘에서 수행되는 조작에 응답하여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원의 실시형태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고, 이 방법은, 시나리오 모드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 시나리오 모드는 차량내 모드, 운전 모드, 뮤트 모드, 비행기 모드, 오프라인 모드, 실외 모드, 또는 회의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하는 단계; 전자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제1 아이콘은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함 ―하는 단계; 및 제1 아이콘에서 수행되는 조작에 응답하여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원의 실시형태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고, 이 방법은, 서버의 지시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단계; 전자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제1 아이콘은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함 ―하는 단계; 및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아이콘에서 수행되는 조작에 응답하여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 있어서, 홈 스크린은 제1 영역을 포함하고, 전자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빈번하게 사용된 또는 최근에 사용된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하는 제1 아이콘을 홈 스크린 상의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 제1 영역은 홈 스크린의 하단, 상단, 우하단, 또는 좌하단에 위치됨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원의 실시형태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고, 이 방법은, 전자 디바이스의 서비스 아이템 사용 기록 및/또는 서비스 아이템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단계; 전자 디바이스의 HiBoard 인터페이스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HiBoard 인터페이스는 홈 스크린으로부터 우측 방향 슬라이딩이 수행된 후에 진입되는 인터페이스이고, 제1 아이콘은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함 ―하는 단계; 및 제1 아이콘에서 수행되는 조작에 응답하여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원의 실시형태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고, 이 방법은, 캘린더, 시간,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단계; 전자 디바이스의 HiBoard 인터페이스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HiBoard 인터페이스는 홈 스크린으로부터 우측 방향 슬라이딩이 수행된 후에 진입되는 인터페이스이고, 제1 아이콘은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함 ―하는 단계; 및 제1 아이콘에서 수행되는 조작에 응답하여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원의 실시형태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고, 이 방법은, 시나리오 모드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 시나리오 모드는 차량내 모드, 운전 모드, 뮤트 모드, 비행기 모드, 오프라인 모드, 실외 모드, 또는 회의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하는 단계; 전자 디바이스의 HiBoard 인터페이스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HiBoard 인터페이스는 홈 스크린으로부터 우측 방향 슬라이딩이 수행된 후에 진입되는 인터페이스이고, 제1 아이콘은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함 ―하는 단계; 및 제1 아이콘에서 수행되는 조작에 응답하여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원의 실시형태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고, 이 방법은, 서버의 지시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단계; 전자 디바이스의 HiBoard 인터페이스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HiBoard 인터페이스는 홈 스크린으로부터 우측 방향 슬라이딩이 수행된 후에 진입되는 인터페이스임 ―하는 단계; 및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아이콘에서 수행되는 조작에 응답하여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의 HiBoard 인터페이스는 제1 영역을 포함하고, 전자 디바이스의 HiBoard 인터페이스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빈번하게 사용된 또는 최근에 사용된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하는 제1 아이콘을 전자 디바이스의 HiBoard 인터페이스 상의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 제1 영역은 해당 인터페이스의 하단, 상단, 우하단, 또는 좌하단에 위치됨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원의 실시형태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고, 이 방법은, 전자 디바이스의 서비스 아이템 사용 기록 및/또는 서비스 아이템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제스처에 응답하여 제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를 트리거하고, 제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제1 아이콘은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함 ―하는 단계; 및 제1 아이콘에서 수행되는 조작에 응답하여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원의 실시형태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고, 이 방법은, 캘린더, 시간,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제스처에 응답하여 제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를 트리거하고, 제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제1 아이콘은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함 ―하는 단계; 및 제1 아이콘에서 수행되는 조작에 응답하여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원의 실시형태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고, 이 방법은, 시나리오 모드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 시나리오 모드는 차량내 모드, 운전 모드, 뮤트 모드, 비행기 모드, 오프라인 모드, 실외 모드, 또는 회의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제스처에 응답하여 제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를 트리거하고, 제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제1 아이콘은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함 ―하는 단계; 및 제1 아이콘에서 수행되는 조작에 응답하여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원의 실시형태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고, 이 방법은, 서버의 지시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제스처에 응답하여 제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를 트리거하고, 제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제1 아이콘은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함 ―하는 단계; 및 제1 아이콘에서 수행되는 조작에 응답하여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원의 실시형태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전자 디바이스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한편, 전자 디바이스의 서비스 아이템 사용 기록 및/또는 서비스 아이템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유닛; 및 전자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제1 아이콘은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함 ―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유닛은 제1 아이콘에서 수행되는 조작에 응답하여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더 구성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원의 실시형태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전자 디바이스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한편, 캘린더, 시간,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유닛; 및 전자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제1 아이콘은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함 ―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유닛은 제1 아이콘에서 수행되는 조작에 응답하여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더 구성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원의 실시형태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전자 디바이스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한편, 시나리오 모드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 시나리오 모드는 차량내 모드, 운전 모드, 뮤트 모드, 비행기 모드, 오프라인 모드, 실외 모드, 또는 회의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유닛; 및 전자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제1 아이콘은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함 ―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유닛은 제1 아이콘에서 수행되는 조작에 응답하여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더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 있어서, 홈 스크린은 제1 영역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유닛은 구체적으로 빈번하게 사용된 또는 최근에 사용된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하는 제1 아이콘을 홈 스크린 상의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고, 제1 영역은 홈 스크린의 하단, 상단, 우하단, 또는 좌하단에 위치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원의 실시형태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전자 디바이스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한편, 전자 디바이스의 서비스 아이템 사용 기록 및/또는 서비스 아이템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유닛; 및 전자 디바이스의 HiBoard 인터페이스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HiBoard 인터페이스는 홈 스크린으로부터 우측 방향 슬라이딩이 수행된 후에 진입되는 인터페이스이고, 제1 아이콘은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함 ―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유닛은 제1 아이콘에서 수행되는 조작에 응답하여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더 구성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원의 실시형태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전자 디바이스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한편, 캘린더, 시간,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유닛; 및 전자 디바이스의 HiBoard 인터페이스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HiBoard 인터페이스는 홈 스크린으로부터 우측 방향 슬라이딩이 수행된 후에 진입되는 인터페이스이고, 제1 아이콘은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함 ―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유닛은 제1 아이콘에서 수행되는 조작에 응답하여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더 구성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원의 실시형태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전자 디바이스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한편, 시나리오 모드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 시나리오 모드는 차량내 모드, 운전 모드, 뮤트 모드, 비행기 모드, 오프라인 모드, 실외 모드, 또는 회의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유닛; 및 전자 디바이스의 HiBoard 인터페이스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HiBoard 인터페이스는 홈 스크린으로부터 우측 방향 슬라이딩이 수행된 후에 진입되는 인터페이스이고, 제1 아이콘은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함 ―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유닛은 제1 아이콘에서 수행되는 조작에 응답하여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더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의 HiBoard 인터페이스는 제1 영역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유닛은 구체적으로 빈번하게 사용된 또는 최근에 사용된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하는 제1 아이콘을 전자 디바이스의 HiBoard 인터페이스 상의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고, 제1 영역은 해당 인터페이스의 하단, 상단, 우하단, 또는 좌하단에 위치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원의 실시형태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전자 디바이스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한편, 전자 디바이스의 서비스 아이템 사용 기록 및/또는 서비스 아이템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유닛; 및 미리 설정된 제스처에 응답하여 제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를 트리거하고, 제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제1 아이콘은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함 ―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유닛은 제1 아이콘에서 수행되는 조작에 응답하여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더 구성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원의 실시형태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전자 디바이스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한편, 캘린더, 시간,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유닛; 및 미리 설정된 제스처에 응답하여 제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를 트리거하고, 제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제1 아이콘은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함 ―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유닛은 제1 아이콘에서 수행되는 조작에 응답하여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더 구성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원의 실시형태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전자 디바이스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한편, 시나리오 모드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 시나리오 모드는 차량내 모드, 운전 모드, 뮤트 모드, 비행기 모드, 오프라인 모드, 실외 모드, 또는 회의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유닛; 및 미리 설정된 제스처에 응답하여 제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를 트리거하고, 제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제1 아이콘은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함 ―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유닛은 제1 아이콘에서 수행되는 조작에 응답하여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더 구성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원의 실시형태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 이 방법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에서 구현되며, 또한 이 방법은, 전자 디바이스의 서비스 아이템 사용 기록 및/또는 서비스 아이템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터치스크린에 제1 GUI를 디스플레이― 제1 아이콘이 제1 GUI에 디스플레이되고, 제1 아이콘은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함 ―하는 단계; 및 제1 아이콘에서 수행되는 조작에 응답하여 터치스크린에 제2 GUI를 디스플레이―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는 제2 GUI에 디스플레이됨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원의 실시형태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 이 방법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에서 구현되며, 또한 이 방법은, 캘린더, 시간,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터치스크린에 제1 GUI를 디스플레이― 제1 아이콘이 제1 GUI에 디스플레이되고, 제1 아이콘은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함 ―하는 단계; 및 제1 아이콘에서 수행되는 조작에 응답하여 터치스크린에 제2 GUI를 디스플레이―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는 제2 GUI에 디스플레이됨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원의 실시형태는 GUI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 이 방법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에서 구현되며, 또한 이 방법은, 시나리오 모드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터치스크린에 제1 GUI를 디스플레이― 제1 아이콘이 제1 GUI에 디스플레이되고, 제1 아이콘은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하고, 시나리오 모드는 차량내 모드, 운전 모드, 뮤트 모드, 비행기 모드, 오프라인 모드, 실외 모드, 또는 회의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하는 단계; 및 제1 아이콘에서 수행되는 조작에 응답하여 터치스크린에 제2 GUI를 디스플레이―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는 제2 GUI에 디스플레이됨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 있어서, 제1 GUI는 전자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 전자 디바이스의 HiBoard 인터페이스, 또는 미리 설정된 제스처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가 트리거되는 제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이다.
가능한 설계에 있어서, 제1 GUI는 제1 영역을 포함하고, 제1 아이콘이 제1 GUI에 디스플레이된다는 것은, 빈번하게 사용된 또는 최근에 사용된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하는 제1 아이콘이 제1 GUI 상의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된다는 것을 포함하고, 제1 영역은 제1 GUI의 하단, 상단, 우하단, 또는 좌하단에 위치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원의 실시형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하나 이상의 메모리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연결되고, 하나 이상의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터 명령어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컴퓨터 명령어를 실행할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전술한 양태들 중 어느 하나의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설계에서의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원의 실시형태는 컴퓨터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컴퓨터 명령어가 전자 디바이스에서 실행될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전술한 양태들 중 어느 하나의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설계에서의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원의 실시형태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고,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경우, 컴퓨터는 전술한 양태들 중 어느 하나의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설계에서의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a), 도 1(b), 도 1(c), 도 1(d), 및 도 1(e)는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서비스 아이템을 사용하는 프로세스의 개략도이고;
도 2(a), 도 2(b), 도 2(c), 도 2(d), 및 도 2(e)는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서비스 아이템을 사용하는 프로세스의 다른 개략도이고;
도 3은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5a는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개략도이고;
도 5b는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다른 개략도이고;
도 6은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다른 개략도이고;
도 7은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다른 개략도이고;
도 8은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다른 개략도이고;
도 9는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다른 개략도이고;
도 10은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다른 개략도이고;
도 11a는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다른 개략도이고;
도 11b는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다른 개략도이고;
도 12는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우선적 디스플레이 영역의 개략도이고;
도 13a는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우선적 디스플레이 영역을 설정하는 개략도이고;
도 13b는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우선적 디스플레이 영역을 설정하는 다른 개략도이고;
도 13c는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우선적 디스플레이 영역을 설정하는 다른 개략도이고;
도 13d는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우선적 디스플레이 영역을 설정하는 다른 개략도이고;
도 14는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우선 순위 디스플레이 영역의 개략도이고;
도 15는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우선 순위 디스플레이 영역의 다른 개략도이고;
도 16은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GUI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17은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18은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19는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서버의 다른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0은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시스템의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본원의 실시형태들에 있어서의 서비스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기능 등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는 알리페이(Alipay)에서의 스캔(Scan), 페이(Pay), 콜렉트(Collect), 트랜스퍼(Transfer), 디디 추싱(Didi Chuxing), 바이크 셰어링(Bike Sharing), 화베이(Huabei), 또는 트랜잭션(Transactions)이다. 예를 들어, 서비스는 위챗(WeChat)에서의 모멘트(Moments), 스캔(Scan), 셰이크(Shake), 유틸리티(Utilities), 또는 모바일 탑업(Mobile Top Up)이다. 다른 예로서, 서비스는 타오바오(Taobao)에서의 멤버십 코드(Membership Code), 쇼핑 캣(Shopping Cart), 티몰 수퍼마켓(Tmall Supermarket), 또는 웨이타오(Weitao)이다.
"위챗 스캔(WeChat Scan)" 서비스가 예로서 사용된다. 종래의 방식으로 매번 위챗 스캔(WeChat Scan)을 사용하는 개략적인 흐름도에 대해서는, 도 1(a), 도 1(b), 도 1(c), 도 1(d), 및 도 1(e)를 참조한다. 도 1(a)에서, 사용자는 데스크톱에서 위챗(WeChat)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탭핑하여 도 1(b)에 도시된 론치 인터페이스를 시작한다. 도 1(c)에 도시된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는 론치 인터페이스 이후에 디스플레이된다. 도 1(c)에서의 "디스커버(Discover)"를 탭핑하여 도 1(d)에 도시된 인터페이스에 진입한다. 도 1(d)에 도시된 인터페이스에서 "스캔(Scan)"을 탭핑하여 스캔(Scan) 서비스 기능을 활성화하고, 도 1(e)에 도시된 스캔(Scan) 서비스 페이지에 진입한다. 데스크톱은 전자 디바이스가 켜진 후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의미한다.
종래기술에서의 단축코드-기반 해법에 있어서는, 데스크톱에서 위챗 스캔(WeChat Scan)의 서비스 아이콘을 설정하려면, 사용자가 도 2(a), 도 2(b), 도 2(c), 도 2(d), 및 도 2(e)에 도시된 조작을 수행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도 2(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위챗(WeChat)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길게 누른다. 도 2(b)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길게 누르기 조작에 응답하여, 전자 디바이스의 데스크톱 상에 메뉴 리스트가 표시된다. 도 2(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데스크톱의 메뉴 리스트에서 "스캔(Scan)"을 드래그하여, 데스크톱 상의 도 2(d)에 도시된 스캔(Scan)의 서비스 아이콘을 형성할 수 있다. 데스크톱 상에 스캔(Scan)의 서비스 아이콘이 형성된 후에, 사용자는 도 2(d)에서의 스캔(Scan)의 서비스 아이콘을 탭핑하여 도 2(e)에 도시된 위챗 스캔(WeChat Scan) 서비스 페이지를 시작하고 나서, 위챗 스캔(WeChat Scan) 서비스를 사용한다.
도 2(a), 도 2(b), 도 2(c), 도 2(d), 및 도 2(e)와 도 1(a), 도 1(b), 도 1(c), 도 1(d), 및 도 1(e) 사이의 비교로부터, 단축코드-기반 해법에 있어서는, 데스크톱에 서비스 아이콘이 생성된 후에,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조작 단계들이 감소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서비스 아이콘을 생성하는 동안, 사용자는 여전히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길게 누르거나 서비스 아이콘을 드래그하는 등의 조작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서비스 아이콘을 수동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비교적 장시간을 기다리게 되고, 사용자 경험이 상대적으로 좋지 못하다.
본원의 실시형태들에서 제공되는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는, 서비스 아이콘이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자동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데스크톱 상의 서비스 아이콘을 사용해서 서비스를 바로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서비스 아이콘을 수동으로 설정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조작 단계들이 감소될 수 있고, 사용자의 대기 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며, 사용자 경험이 향상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원의 실시형태들에 있어서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의 실시형태들에 있어서의 기술적인 해법을 설명한다. 본원의 실시형태들에서의 설명에 있어서, "/"는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또는"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A/B는 A 또는 B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단지 연관된 대상들을 설명하기 위한 연관 관계를 설명하고, 3가지의 관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다음과 같은 3가지 경우, 즉 A만 존재, A와 B 모두 존재, 및 B만 존재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실시형태들에서의 설명에 있어서, "복수의"는 2개 이상을 의미한다.
본원의 실시형태들에서 제공되는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은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웨어러블 디바이스, 차량내 디바이스,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 디바이스, 노트북 컴퓨터, 울트라-모바일 개인용 컴퓨터(ultra-mobile personal computer, UMPC), 넷북, 또는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와 같은 임의의 전자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이는 본원의 실시형태들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에 있어서, 본원의 실시형태들에서의 전자 디바이스는 휴대폰이고, 휴대폰의 일반적인 하드웨어 아키텍처를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200)은 통신 모듈(220), 메모리(230), 센서 모듈(240), 입력 디바이스(250), 디스플레이(260), 오디오 모듈(280), 프로세서(210), 카메라 모듈(291), 전원 관리 모듈(29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컴포넌트는 버스를 사용해서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도3에 도시된 휴대폰의 구조가 휴대폰에 대하여 어떠한 제한도 구성하지 않으며, 휴대폰이 도 3에 도시된 것보다 많은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몇몇 컴포넌트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한 컴포넌트 배열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통신 모듈(220)은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며, 예를 들어,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관련 데이터를 서버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통신 모듈(220)은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모듈(229), 셀룰러 모듈(221),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모듈(223), GPS 모듈(22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F 모듈(229)은 정보 수신/송신 프로세스 또는 호출 프로세스에서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RF 모듈(229)은 수신된 정보를 처리를 위해 프로세서(210)에 송신하고, 프로세서(210)에 의해 생성된 신호를 송신한다. RF 회로(21)는 일반적으로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트랜시버, 커플러,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LNA), 및 듀플렉서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RF 회로(21)는 무선 통신을 통해 네트워크 및 다른 디바이스와 추가로 통신할 수 있다. 셀룰러 모듈(221) 및 Wi-Fi 모듈(223)은 네트워크에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GPS 모듈은 위치결정 또는 내비게이션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휴대폰(200)의 제어 센터이고, 다양한 인터페이스 및 라인을 사용해서 휴대폰 전체의 모든 부분에 연결되고, 휴대폰(200)의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는 한편, 메모리(23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기동 또는 실행하고 메모리(230)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함으로써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여, 휴대폰(200)에 대한 모든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구현예에서는, 프로세서(210)가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모뎀 프로세서가 프로세서(210)에 통합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운영 체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 등을 처리한다.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대안으로서,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210)에 통합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메모리(230)는 데이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access memory, RAM)일 수 있거나,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예를 들어, 리드-온리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또는 솔리드-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 SSD)일 수 있거나, 또는 전술한 타입의 메모리들의 조합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230)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 코드는 프로세서(210)가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본원의 실시형태들에서 제공되는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데 사용된다. 메모리(230)는 내부 메모리(232) 및 외부 메모리(234)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240)은 제스처 센서(240A), 자이로스코프 센서(240B), 압력 센서(240C), 자기 센서(240D), 및 가속도 센서(240E)를 포함할 수 있으며, 휴대폰의 각각의 방향(일반적으로, 3개의 축선)에 있어서의 가속도의 값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안정 상태에서 중력의 값 및 방향을 결정할 수 있으며, 휴대폰의 자세를 식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예를 들면, 가로 모드와 세로 모드간 화면 전환, 관련 게임, 또는 자기력계 자세 보정), 진동 식별과 관련된 기능(예를 들면, 보수계(pedometer) 또는 노크(knock)) 등에서 사용될 수 있다. 휴대폰(200)은 그립 센서, 근접도 센서, RGB 센서, 생체 특징 센서, 온도/습도 센서, 조도 센서, 및 UV 센서와 같은 다른 센서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입력 디바이스(250)는 터치 패널(252), 펜 센서(254), 버튼(256), 초음파 입력 디바이스(258), 입력 감지 모듈(259) 등을 포함하여, 휴대폰(200)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60)는 디스플레이 패널(262), 홀로그래픽 디바이스(264), 및 프로젝터(266)와 같은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62)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휴대폰에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 또는 기능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app) 아이콘(icon) 또는 상호작용 인터페이스(Activity(활동) 페이지)를 포함한다.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은 복수의 바로가기에 대응할 수 있으며, 각각의 바로가기는 애플리케이션의 하나의 서브메뉴 또는 서브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할 수 있다. 복수의 바로가기의 아이콘들이 디스플레이(26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바로가기의 아이콘을 탭핑하는 조작에 응답하여, 휴대폰은 바로가기에 대응하는 활동 페이지를 디스플레이(진입)할 수 있다. 운영 체제는 바로가기를 구성하는 2가지 방식, 즉 정적 방식 및 동적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정적 방식에 있어서는, 바로가기가 xml 파일을 사용해서 구성되고, 바로가기의 이름, 아이콘, 기능, 분류, 또는 가용성과 같은 파라미터가 먼저 구성되고 나서, 시작된 활동을 구성하기 위해 AndroidManiFest.xml이 열린다. 동적 방식에 있어서는, 바로가기가 동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폰의 경우, 인터페이스 setDynamicShortcuts()를 사용해서 바로가기가 추가될 수 있고, 인터페이스 removeDynamicShortcuts(List) 또는 removeAllDynamicShortcuts()를 사용해서 바로가기가 삭제될 수 있고, 인터페이스 updateShortcuts(List)를 사용해서 바로가기가 업데이트될 수 있고, 정적 방식으로 구성된 바로가기가 추가로 수정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91)은 사진 촬영, 비디오 녹화, 2차원 코드/바코드 스캔 등을 위해 이미지를 수집하도록 구성된다.
오디오 모듈(280)은 확성기(282), 수신기(284), 헤드세트(286), 마이크로폰(28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오디오 신호를 수집 또는 재생한다.
전원 관리 모듈(295)은 배터리(296)를 포함할 수 있고, 전원 관리 시스템을 사용해서 프로세서(210)에 로컬로 연결되어, 전원 관리 시스템을 사용해서 충전 관리, 방전 관리, 및 전력 소비 관리와 같은 기능을 구현한다.
또한, 휴대폰(200)은 가입자 식별 모듈, 지시자, 및 모터와 같은 기능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기능 모듈을 설명하지 않는다.
아래에서는 특정 실시형태를 사용해서 본원의 실시형태들에서 제공되는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방법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401. 전자 디바이스가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한다.
제1 애플리케이션은 전자 디바이스에 설치된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고, 제1 서비스 아이템은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서브메뉴 또는 서브서비스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자 디바이스는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임의의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자동으로 결정된 제1 서비스 아이템은 일반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현재 사용될 가능성이 더 높은 서비스 아이템이다.
예를 들어, 알리페이(Alipay)가 제1 애플리케이션이고, 제1 서비스 아이템은 애플리케이션 알리페이(Alipay)에서의 스캔(Scan), 포켓(Pocket), 디디 추싱(Didi Chuxing), 페이(Pay), 유틸리티(Utilities), 및/또는 바이크 셰어링(Bike Sharing)과 같은 서브메뉴 또는 서브서비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챗(WeChat)이 제1 애플리케이션이고, 제1 서비스 아이템은 애플리케이션 위챗(WeChat)에서의 모멘트(Moments), 스캔(Scan), 마이 포스트(My Posts), 페이버릿(Favorites), 월릿(Wallet), 및/또는 월릿의 모바일 탑업(Mobile Top Up)과 같은 서브메뉴 또는 서브서비스 아이템일 수 있다.
402. 전자 디바이스가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제1 아이콘은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함 ―한다.
제1 아이콘은 제1 서비스 아이템의 바로가기의 아이콘이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서비스 아이템의 바로가기의 아이콘을 서비스 아이콘이라고도 한다.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한 후에, 전자 디바이스는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하는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자동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자동으로 결정되는 제1 서비스 아이템이 도 5a에 도시된 점선 박스 안의 아이콘을 가리키는 위챗 모멘트(WeChat Moments), 위챗 스캔(WeChat Scan), 타오바오 쇼핑 카트(Taobao Shopping Cart), 및/또는 알리페이 페이(Alipay Pay)일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아이콘, 예를 들어 위챗 모멘트(WeChat Moments)의 서비스 아이콘, 위챗 스캔(WeChat Scan)의 서비스 아이콘, 타오바오 쇼핑 카트(Taobao Shopping Cart)의 서비스 아이콘, 및/또는 알리페이 페이(Alipay Pay)의 서비스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자동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점선 박스 안의 서비스 아이콘 및 점선 박스 밖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의 서비스 아이콘 및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은 상이한 형태로 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아이콘이 원형 아이콘이고,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이 사각형 아이콘이거나; 또는 서비스 아이콘의 우상단에 식별자 S가 설정되고,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에는 식별자 S가 설정되지 않는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인터페이스는 서비스 아이콘만을 포함하고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서비스 아이콘만이 제1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된다. 제1 인터페이스는 미리 설정된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아이콘에 대응하는 제1 서비스 아이템이 유래된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기 위해, 애플리케이션 식별자가 제1 아이콘에 더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비스 아이템은 모멘트(Moments)이다. 이 경우, 모멘트(Moments)의 서비스 아이템이 위챗(WeChat)에서 유래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해, 위챗(WeChat)의 아이콘이 모멘트(Moments)의 서비스 아이콘의 우하단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자동으로 결정되는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하는 아이콘에 더하여, 안드로이드 버전 O의 단축코드 기능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서비스 아이콘이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더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는 점을 또한 유의해야 한다.
403. 전자 디바이스가 제1 아이콘에서 수행되는 조작에 응답하여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한다.
제1 아이콘은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대응하고,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는 제1 서비스 아이템과 관련된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는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하는 활동 페이지이고, 활동 페이지는 사용자와 운영 체제의 프로그램 사이의 상호작용을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대안으로서,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는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인터넷 주소(uniform resource locator, URL)에 대응하는 페이지이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 제1 아이콘에 대한 조작을 수행할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제1 아이콘에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조작에 응답하여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고, 제1 서비스 아이템과 관련된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제1 아이콘에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조작에 응답하여, 전자 디바이스는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하는 활동 페이지, 즉, 제1 서비스 아이템의 URL에 대응하는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아이콘에서 수행되는 조작, 예를 들어, 탭핑 조작, 이중-탭핑 조작, 길게 누르기 제스처 조작, 또는 음성 제어 조작에 응답하여, 전자 디바이스는, 제1 아이콘을 사용해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이 바로 사용되도록, 함수 intent()를 사용해서, 제1 아이콘에 대응하는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호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아이콘이 도 5a에서의 위챗 스캔(WeChat Scan)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하는 서비스 아이콘일 경우, 스캔(Scan)의 서비스 아이콘에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탭핑 조작에 응답하여, 도 5b를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가 스캔(Scan)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여, 2차원 코드 또는 바코드 스캐닝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1(a), 도 1(b), 도 1(c), 도 1(d), 도 1(e), 도 2(a), 도 2(b), 도 2(c), 도 2(d), 또는 도 2(e)에 도시된 종래기술의 해법과 비교하면,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서의 도 5a 및 도 5b에서 제공되는 해법에 있어서는, 전자 디바이스가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고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하는 서비스 아이콘을 자동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서비스 아이콘을 사용해서 서비스 아이템을 신속하게 바로 사용할 수 있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가 지속적으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하고,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하는 서비스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여,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되는 서비스 아이콘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므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현재 디스플레이된 서비스 아이콘이 전자 디바이스의 현재 상태와 일치하고, 이로써 현재 사용될 가능성이 더 높은 서비스 아이템의 서비스 아이콘이 사용자에게 동적으로 제공된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서 제공되는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에서는, 전자 디바이스가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고,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하는 서비스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자동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의 서비스 아이콘을 사용해서 서비스 아이템을 바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하는 서비스 아이콘을 수동으로 설정할 필요가 없고, 이로써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조작 단계들이 감소되고, 사용자의 대기 시간이 단축되고, 사용자 경험이 향상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단계(401)에서, 전자 디바이스가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것은, 전자 디바이스가 전자 디바이스의 서비스 아이템 사용 기록 및/또는 서비스 아이템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최근에 사용된 서비스 아이템은 일반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최근에 사용될 가능성이 더 높은 서비스 아이템이다. 따라서, 가능한 구현예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는 각각의 서비스 아이템의 사용 시간을 기록하고, 최근의 기간(예를 들어, 어제 또는 지난 3일간)에 사용된 N(양의 정수)개의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하고, N개의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하는 서비스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빈번하게 사용된 서비스 아이템은 현재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가능성이 더 높다. 따라서, 가능한 구현예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는 각각의 서비스 아이템의 사용 횟수를 기록하고, 최대 사용 횟수를 갖는 N개의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하고, N개의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하는 서비스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전자 디바이스는 각각의 서비스 아이템의 사용 횟수를 기록하고, 각각의 서비스 아이템의 사용 빈도(예를 들어, 매일 각각의 서비스 아이템이 사용된 횟수) 및 가장 높은 사용 빈도를 갖는 N개의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하고, N개의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하는 서비스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가능한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는 최근의 기간에 각각의 서비스 아이템의 사용 횟수를 기록하고, 최근의 기간(예를 들어, 지난 10일간 또는 지난달)에 최대 사용 횟수를 갖는 N개의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하고, N개의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하는 서비스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난 15일간 최대 사용 횟수로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된 N개(상위 N개)의 서비스 아이템이 표 1에 도시되면, 전자 디바이스는 표 1에서의 서비스 아이템들에 대응하는 서비스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표 1
Figure pct00001
대안으로서, 단계(401)에서, 전자 디바이스가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것은, 전자 디바이스가 캘린더(또는 날짜), 시간,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1월 11일의 더블 일레븐(Double Eleven) 온라인 쇼핑 페스티벌 전야에,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신속하게 상품 구매에 참여하도록, 타오바오 쇼핑 카트(Taobao Shopping Cart) 또는 알리페이 스캔(Alipay Scan)과 같이, 온라인 쇼핑과 관련된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하고, 상응하는 서비스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춘절(Spring Festival) 또는 새해 전야(New Year's Eve)와 같은 휴일에, 전자 디바이스는 위챗 레드 패킷(Wechat Red Packet) 서비스 또는 위챗 트랜스퍼(WeChat Transfer)와 같은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하고, 상응하는 서비스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새해 전야(New Year's Eve)의 8:00부터 12:00까지의 기간에,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새해 전야(New Year's Eve)의 저녁에 축의 잡기(red packet grabbing)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알리페이 레드 패킷(Alipay Red Packet)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가족 구성원, 또는 친구의 생일, 또는 캘린더에 기록된 기념일에 기초하여, 사용자, 가족 구성원, 또는 친구의 생일, 또는 기념일이 도래한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케이크 예약 서비스 아이템 및 알람 시계 리마인더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하고, 결정된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무일의 11:30부터 14:00까지의 점심 시간 동안,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점심 시간 동안 "디스커버 푸드(Discover Food)"의 서비스 아이콘에 기초하여 점심 식사 장소를 신속하게 찾을 수 있도록, 바이두 맵스(Baidu Maps)에서 "디스커버 푸드(Discover Food)"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하고, 디스커버 푸드(Discover Food)의 서비스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테이크아웃 주문을 하는 것을 돕기 위해, 메이투안(Meituan)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에서 배달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쇼핑 몰 또는 수퍼마켓과 같은 소비자 장소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신속하게 결제할 수 있도록, 위챗 페이먼트 코드(WeChat Payment Code), 위챗 멤버십 카드(WeChat Membership Card), 알리페이 스캔(Alipay Scan) 등을 결정하고, 상응하는 서비스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주차장 근처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신속하게 주차장을 찾아서 주차할 수 있도록, 바이두 맵스(Baidu Maps)에서의 "파킹 랏츠(Parking Lots)"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하고, 상응하는 서비스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집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오락 및 레저와 관련된 일부 서비스 아이템, 예를 들어, 비디오 플레이 서비스 아이템 및 미니-게임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무일 오전 7:00부터 9:00까지, 집에서 회사로 가는 길에,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도로 상황, 교통 정체 상황 등을 볼 수 있도록, "바이두 맵스에서의 워크 서비스(Work service in Baidu Maps)"를 결정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단계(401)에서, 전자 디바이스가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것은, 전자 디바이스가 시나리오 모드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의 시나리오 모드는 차량내 모드, 운전 모드, 뮤트 모드, 비행기 모드, 오프라인 모드, 실외 모드, 회의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가 차량내 모드 또는 운전 모드에 있을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차량내 시나리오에서, 사용자가 전화 걸기 또는 받기, 메시지 보내기 등을 위해 전자 디바이스를 음성 방식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보이스 어시스턴트(Voice Assistant)"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하고, 상응하는 서비스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가 17:00부터 20:00까지의 근무외 시간 동안 차량내 모드에 있을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귀가하는 길에 실시간으로 도로 상황, 교통 정체 상황 등을 볼 수 있도록, "바이두 맵스에서의 홈 서비스 아이템(Home service item in Baidu Maps)"을 결정하고, 상응하는 서비스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가 비행기 모드에 있을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거나 또는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없고, 따라서, 전자 디바이스는 음악 플레이어에서의 로컬 음악 라이브러리 또는 독서 소프트웨어에서의 로컬 북과 같은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할 수 있다.
시나리오 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또는 선택되는 모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를 뮤트 모드로 설정한다. 대안으로서, 시나리오 모드는 전자 디바이스의 현재 상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되는 모드일 수 있다. 상태 파라미터는 캘린더, 시간, 위치, 전자 디바이스의 현재 네트워크 상태,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서비스 아이템, 현재 사용되는 서비스 아이템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취득되는 파라미터 등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가 블루투스(Bluetooth)를 사용해서 차량내 통화에 연결될 경우, 전자 디바이스의 현재 시나리오 모드가 운전 모드라고 결정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전자 디바이스가 바이두 맵스(Baidu Maps)에서의 워크 서비스 아이템을 사용하고 있을 경우, 해당 서비스 아이템에서의 위치결정 기능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가 상대적으로 고속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결정되고, 전자 디바이스의 현재 시나리오 모드가 운전 모드라고 결정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전자 디바이스는 현재 사용되는 서비스 아이템 및/또는 현재 사용되는 서비스 아이템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무일에, GPS 서비스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가 상대적으로 고속으로 이동하고, 전자 디바이스가 차량내 블루투스를 활성화한다고 결정될 경우, 사용자가 운전중이고, 전자 디바이스가 바이두 맵스(Baidu Maps)에서의 홈(Home)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고 결정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전자 디바이스는 각각의 서비스 아이템과 캘린더, 시간, 위치, 시나리오 모드, 및 서비스 아이템이 사용될 때 취득된 다른 파라미터와의 사이의 대응 관계를 저장하고, 이력적으로 저장된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가 표 2에 도시된 복수의 기록을 저장할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근무일 아침 7:00부터 8:00까지의 기간에 바이두 맵스(Baidu Maps)에서의 보이스 어시스턴트(Voice Assistant) 서비스 아이템 및 홈(Home)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하고, 상응하는 서비스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표 2
Figure pct00002
특정 시나리오에서 사용자에 의해 빈번하게 사용되는 서비스 아이템을 사용자의 사용 선호도라고 할 수 있다. 사용자 인물사진은 상이한 시나리오들과 사용자의 사용 선호도들 사이의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전자 디바이스는 현재 네트워크 상태에 기초하여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가 현재 Wi-Fi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고, 네트워크 상태가 비교적 양호할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비디오-관련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가 데이터 트래픽을 사용해서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거나, 또는 Wi-Fi를 사용해서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고, 네트워크 상태가 비교적 열악할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비-비디오-관련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단계(401)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서버의 지시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는 지시 정보를 생성하고, 지시 정보를 전자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전자 디바이스에게 제1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하고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하라고 지시할 수 있다. 지시 정보는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자는 패키지 이름(package name) 및 서비스 이름(service name)의 조합일 수 있거나, 또는 식별자는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하는 URL일 수 있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서는 식별자의 형태를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서버가 지시 정보를 전자 디바이스에 송신하기 전에, 서버는 또한,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하는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하고 나서, 결정된 제1 서비스 아이템에 기초하여,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지시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캘린더, 시간,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하는 것과의 차이점은, 서버가 전자 디바이스에게 관련 거동 정보를 보고하라고 요구하고 나서, 전자 디바이스의 관련 거동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보고된 서비스 아이템 사용 기록 및/또는 서비스 아이템 사용 빈도를 수신하고 나서, 전자 디바이스의 서비스 아이템 사용 기록 및/또는 서비스 아이템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제1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보고된 시나리오 모드를 수신하고 나서, 전자 디바이스의 시나리오 모드에 기초하여 제1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서버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보고된 현재 사용되는 서비스 아이템 및/또는 현재 사용되는 서비스 아이템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파라미터를 수신하고 나서,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서비스 아이템 및/또는 현재 사용되는 서비스 아이템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1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서버는 서비스 아이템과 캘린더, 시간, 위치, 시나리오 모드, 및 서비스 아이템이 사용될 때 취득된 다른 파라미터와의 사이의 대응 관계로서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보고된 대응 관계를 수신하고 나서, 해당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제1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서버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보고되는 현재 네트워크 상태를 수신하고, 전자 디바이스의 현재 네트워크 상태에 기초하여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단축코드 기능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서비스 아이템으로 이루어진,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보고된 서비스 아이콘을 수신하고 나서, 사용자에 의해 최근에 설정된 서비스 아이템 또는 단축 코드 기능에 기초하여 설정된 최근에 사용된 서비스 아이템에 기초하여 제1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복수의 다른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보고되는 서비스 아이템 사용 기록 및/또는 서비스 아이템 사용 빈도를 수신하고 나서, 해당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최근에 사용된 또는 가장 빈번하게 사용된, 빅 데이터에서의, 서비스 아이템에 기초하여 제1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에 의해 수집되며 복수(예를 들어, 수천 또는 수만)의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최근(예를 들어, 지난주 또는 지난달)에 가장 빈번하게 사용된 N개의 서비스의 식별자가 로컬 웨더(Local Weather), 핫 뉴스(Hot News), 및 위챗 스캔(WeChat Scan)과 같은 서비스의 식별자를 포함할 경우, 서버는 로컬 웨더(Local Weather), 핫 뉴스(Hot News), 및 위챗 스캔(WeChat Scan)과 같은 서비스 아이템의 식별자를 전자 디바이스에 표시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전자 디바이스는 제1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하는 복수의 방식의 조합을 사용해서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유연하게 결정한다.
본원의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단계(402)에서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전자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일 수 있고, 홈 페이지, 홈 스크린 등이라고 할 수도 있다. 홈 스크린은 일반적으로 전자 디바이스의 전원이 켜진 후에 자동으로 표시되고, 다시 말해,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의 전원이 켜지고 나서 바로 홈 스크린을 볼 수 있다. 또한, 홈 스크린은 홈 버튼이 눌린 후에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디폴트로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홈 스크린을 바로, 편리하고,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가 전자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일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하는 서비스 아이콘을 홈 스크린에 자동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홈 스크린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찾을 수 있기 때문에, 홈 스크린 상의 서비스 아이콘도 사용자가 편리하고 신속하게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서비스 아이콘을 검색하고 찾는 시간이 단축되고, 서비스가 신속하게 바로 사용되고, 사용자 경험이 향상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가 홈 스크린일 경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도 5a에 도시된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일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단계(402)에서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전자 디바이스의 데스크톱 상의 다른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전자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으로부터 우측 방향 슬라이딩이 수행된 후에 진입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으며, "HiBoard", 또는 "HiBoard 메뉴"라고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홈 스크린이 도 1(a)에 도시된 인터페이스(700)일 경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701)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한다. 대안으로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전자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으로부터 좌측 방향 슬라이딩이 수행된 후에 디스플레이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스크린이 도 1(a)에 도시된 인터페이스(700)일 경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702)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한다.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로 되는 구체적인 인터페이스는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가 전자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으로부터 좌측 방향 슬라이딩이 수행된 후에 디스플레이되는 인터페이스 또는 전자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으로부터 우측 방향 슬라이딩이 수행된 후에 디스플레이되는 인터페이스일 경우, 홈 스크린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찾을 수 있기 때문에, 홈 스크린으로부터 좌측 방향 슬라이딩이 수행된 후에 디스플레이되는 인터페이스 또는 홈 스크린으로부터 우측 방향 슬라이딩이 수행된 후에 디스플레이되는 인터페이스도 역시 신속하게 찾을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의 서비스 아이콘을 사용자가 신속하게 찾을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자가 서비스 아이콘을 검색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고, 서비스가 편리하고 신속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 경험이 향상될 수 있다.
HiBoard 메뉴는 사용자가 데스크톱(또는 홈 스크린)으로부터 우측 방향 슬라이딩을 수행한 후에 진입되는 인터페이스를 가리킬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능, 애플리케이션, 가입된 서비스, 정보 등이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HiBoard 메뉴를 데스크톱 어시스턴트, 바로가기 메뉴 등이라고 할 수도 있다.
일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가 현재 임의의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할 경우, 단계(402)에서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미리 설정된 제스처 조작에 응답하여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디스플레이가 트리거된 제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하는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가 도 9의 첫 번째 도면에 도시된 홈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할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전자 디바이스의 스크린 상단에서의 미리 설정된 제스처(예를 들어, 풀-다운 제스처 또는 하향 슬라이딩 제스처)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상단에 디스플레이된, 도 9에 도시된 제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703)일 수 있다. 대안으로서, 제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전자 디바이스의 스크린 하단에서의 사용자의 미리 설정된 제스처(예를 들어, 풀-업 제스처 또는 상향 슬라이딩 제스처)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하단에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도 10에 도시된 제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704)일 수 있다. 대안으로서,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미리 설정된 제스처(예를 들어, 스크린 상에서 사용자가 원을 그리는 제스처 또는 세 손가락의 슬라이딩 제스처)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중앙부에서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제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1100)일 수 있다.
도 9, 도 10, 도 11a, 또는 도 11b에 도시된 경우에 있어서, 임의의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될 경우, 사용자는, 미리 설정된 제스처를 사용해서, 서비스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신속하게 시작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 아이콘을 사용해서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에 편리하고 신속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
단계(401)에서의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상이한 방식들 및 단계(402)에서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상이한 형태들이 개별적으로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는 전자 디바이스의 서비스 아이템 사용 기록 및/또는 서비스 아이템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고, 전자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제1 아이콘은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한다.
일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는 캘린더, 시간,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고, 전자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제1 아이콘은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한다.
일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는 시나리오 모드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고, 전자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제1 아이콘은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한다.
일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는 서버의 지시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고, 전자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제1 아이콘은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한다.
일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는 전자 디바이스의 서비스 아이템 사용 기록 및/또는 서비스 아이템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고, 전자 디바이스의 HiBoard 인터페이스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제1 아이콘은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한다.
일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는 캘린더, 시간,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고, 전자 디바이스의 HiBoard 인터페이스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제1 아이콘은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한다.
일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는 시나리오 모드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고, 전자 디바이스의 HiBoard 인터페이스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제1 아이콘은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한다.
일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는 서버의 지시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고, 전자 디바이스의 HiBoard 인터페이스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제1 아이콘은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한다.
일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는 전자 디바이스의 서비스 아이템 사용 기록 및/또는 서비스 아이템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고, 미리 설정된 제스처에 응답하여 제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를 트리거하고, 제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제1 아이콘은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한다.
일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는 캘린더, 시간,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고, 미리 설정된 제스처에 응답하여 제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를 트리거하고, 제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제1 아이콘은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한다.
일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는 시나리오 모드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고, 미리 설정된 제스처에 응답하여 제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를 트리거하고, 제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제1 아이콘은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한다.
일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는 서버의 지시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고, 미리 설정된 제스처에 응답하여 제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를 트리거하고, 제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제1 아이콘은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한다.
단계(402)에서, 전자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전자 디바이스가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사용 빈도 또는 최근 사용 시간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전자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 전자 디바이스의 HiBoard 인터페이스, 미리 설정된 제스처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가 트리거된 제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전자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으로부터 좌측 방향 슬라이딩이 수행된 후에 디스플레이되는 인터페이스 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디바이스는 상이한 서비스 아이템들의 사용 빈도 또는 최근 사용 시간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의 상이한 위치들에서 상이한 서비스 아이템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을 우선적 디스플레이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높은 사용 빈도를 갖는 서비스 아이템 또는 최근 사용 시간이 현재 순간에 더 가까운 서비스 아이템(즉, 최근에 사용된 서비스 아이템)을 우선적 디스플레이 영역에 설정할 수 있다. 우선적 디스플레이 영역은 사용자가 신속하게 찾을 수 있는 영역이다. 예를 들어, 우선적 디스플레이 영역은 구체적으로 눈에 잘 띄는 영역 또는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볼 수 있는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를 참조하면, 우선적 디스플레이 영역은,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하단에 있으며 아이콘들의 마지막 줄을 디스플레이하는 데 사용된 영역(120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상단에 있으며 아이콘들의 첫 번째 줄을 디스플레이하는 데 사용된 영역(1202), 또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에서 아이콘들의 중간 줄을 디스플레이하는 데 사용된 영역일 수 있다. 대안으로서, 우선적 디스플레이 영역은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가 터치하기 쉬운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선적 디스플레이 영역은,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우하단에 있으며 오른손 엄지손가락으로 터치하기 쉬운(오른손 사용에 익숙한 사용자에게 적합한) 영역(1203) 또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좌하단에 있으며 왼손 엄지손가락으로 터치하기 쉬운(왼손 사용에 익숙한 사용자에게 적합한) 영역(1204)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최근 15일간의 서비스 아이템들의 사용 횟수가 표 1에 도시된다. 이 경우, 서비스 아이템의 사용 횟수가 많을수록, 서비스 아이템의 사용 빈도가 높고 사용자가 서비스 아이템을 재사용할 가능성이 높음을 나타낸다. 우선적 디스플레이 영역이 영역(1203)이면, 전자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의 우선적 디스플레이 영역에, 가장 높은 사용 빈도를 갖는 서비스 아이템들, 즉, "위챗 모멘트(WeChat Moments), 핫 뉴스(Hot News), 알리페이 스캔(Alipay Scan), 및 바이두 맵스에서의 워크(Work in Baidu Maps)"의 서비스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의 다른 영역에,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되는 다른 서비스 아이템의 서비스 아이콘, 예를 들어, 표 1에서의 "보이스 어시스턴트(Voice Assistant), 타오바오 쇼핑 카트(Taobao Shopping Cart), ..., 뱅크 트랜스퍼(Bank Transfer), 및 알리페이 유틸리티(Alipay Utilities)"의 서비스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이 8월 8일 11:00이고, 서비스 아이템과 최근 사용 시간 사이의 대응 관계가 표 3에 도시되면, 사용자가 최근에 "뱅크 트랜스퍼(Bank Transfer), 위챗 모멘트(WeChat Moments), 핫 뉴스(Hot News), 및 보이스 어시스턴트(Voice Assistant)"와 같은 서비스 아이템을 재사용할 가능성이 더 높다. 우선적 디스플레이 영역이 영역(1201)이면, 전자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의 우선적 디스플레이 영역에, 최근에 사용된 서비스 아이템들, 즉, "뱅크 트랜스퍼(Bank Transfer), 위챗 모멘트(WeChat Moments), 핫 뉴스(Hot News), 및 보이스 어시스턴트(Voice Assistant)"의 서비스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의 다른 영역에,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되는 다른 서비스 아이템의 서비스 아이콘, 예를 들어, 표 3에서의 "바이두 맵스에서의 워크(Work in Baidu Maps), 알리페이 스캔(Alipay Scan), ..., 및 알리페이 유틸리티(Alipay Utilities)"의 서비스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표 3
Figure pct00003
대안으로서, 단계(402)에서, 전자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전자 디바이스가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의 우선적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대적으로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서비스 아이템의 서비스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의 다른 영역에 상대적으로 낮은 우선 순위를 갖는 서비스 아이템의 서비스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우선 순위가 더 높은 서비스 아이템은 일반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가능성이 더 높은 서비스 아이템이다.
이렇게 해서, 전자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의 우선적 디스플레이 영역에 우선 순위가 더 높은 서비스 아이템을 우선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므로, 사용될 가능성이 더 높은 서비스 아이템의 서비스 아이콘이 더욱 정확하게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우선적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우선 순위가 더 높은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하는 서비스 아이콘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찾을 수 있고, 우선 순위가 더 높은 서비스 아이템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단축코드 기능에 기초한 기존의 해법에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수량의 서비스 아이콘이 데스크톱에 설정될 경우, 사용자가 많은 시간을 소비하여 데스크톱에서 사용할 서비스 아이콘을 페이지별로, 줄별로, 및 아이콘별로 찾아야 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 경험이 좋지 못하다.
가능한 구현예에 있어서는, 높은 사용 빈도를 갖는 서비스 아이템이 낮은 사용 빈도를 갖는 서비스 아이템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거나; 또는 최근 사용 시간이 현재 순간에 더 가까운 서비스 아이템이 최근 사용 시간이 현재 순간에 덜 가까운 서비스 아이템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다. 이 구현예는 전자 디바이스가 높은 사용 빈도를 갖는 서비스 아이템 또는 최근 사용 시간이 현재 순간에 더 가까운 서비스 아이템을 우선적 디스플에이 영역에 설정하는 전술한 경우와 일치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세부 내용을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가능한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우선 순위는 제1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하는 방식에 따라 달라진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하는 방식의 우선 순위가 높을수록 서비스 아이템의 우선 순위가 높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 자체에 의해 결정되는 서비스 아이템은 서버의 지시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되는 서비스 아이템보다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다. 예를 들어, 표 4를 참조하면, 우선적 디스플레이 영역이 도 12에서의 영역(1201)이면, 전자 디바이스는, 영역(1201)에,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되는 서비스 아이템들, 즉, 모멘트(Moments), 위챗 스캔(WeChat Scan), 보이스 어시스턴트(Voice Assistant), 및 바이두 맵스에서의 워크(Work in Baidu Maps)의 서비스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영역(1201) 외의 영역에, 서버의 지시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되는 서비스 아이템들, 즉, 타오바오 쇼핑 카트(Taobao Shopping Cart), 및 알리페이 페이(Alipay Pay)의 서비스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표 4
Figure pct00004
다른 예로서, 전자 디바이스/서버는 이하의 방식으로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할 수 있다: 방식 1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서버는 전자 디바이스의 서비스 아이템 사용 기록 및/또는 서비스 아이템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한다. 방식 2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서버는 캘린더, 시간,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한다. 방식 3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서버는 시나리오 모드에 기초하여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한다. 방식 4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서버는 현재 사용되는 서비스 아이템 및/또는 현재 사용되는 서비스 아이템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한다. 방식 5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서버는 서비스 아이템과 캘린더, 시간, 위치, 시나리오 모드, 및 서비스 아이템이 사용될 때 취득된 다른 파라미터와의 사이의 저장된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한다. 방식 6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서버는 현재 네트워크 상태에 기초하여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이하의 방식으로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할 수 있다: 방식 7에 있어서, 서버는 사용자에 의해 최근에 설정된 서비스 아이템 또는 단축코드에 기초하여 설정된 최근에 사용된 서비스 아이템에 기초하여 제1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한다. 방식 8에 있어서, 서버는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최근에 사용된 또는 가장 빈번하게 사용된, 빅 데이터에서의, 수집된 서비스 아이템에 기초하여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한다. 상이한 결정 방식들의 특성들은 실제 조건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아이템을 전자 디바이스에 나타낼 경우, 서버는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하는 결정 방식을 더 나타내거나, 또는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하는 결정 방식의 우선 순위를 더 나타낼 수 있으므로, 전자 디바이스가 서비스 아이템의 결정 방식에 대응하는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서비스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 자체에 의해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하는 방식만이 존재할 경우(서버의 지시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하는 방식은 포함되지 않음), 가능한 구현예에 있어서, 결정 방식들의 우선 순위들의 내림차순은 방식 1 내지 방식 6이다. 다시 말해, 방식 1에서 결정되는 서비스 아이템이 방식 2에서 결정되는 서비스 아이템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고, 방식 2에서 결정되는 서비스 아이템이 방식 3에서 결정되는 서비스 아이템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등이다.
전자 디바이스 자체에 의해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하는 방식만이 존재할 경우(서버의 지시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하는 방식은 포함되지 않음), 가능한 구현예에 있어서, 방식 1이 다른 방식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다. 다시 말해, 방식 1에서 결정되는 서비스 아이템이 다른 방식에서 결정되는 서비스 아이템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다.
예를 들어, 서비스 아이템과 결정 방식 사이의 대응 관계가 표 5에 도시되고, 우선적 디스플레이 영역이 도 12에서의 영역(1201)일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영역(1201)에, 방식 1에서 결정되는 서비스 아이템들, 즉, 위챗 모멘트(WeChat Moments), 위챗 스캔(WeChat Scan), 보이스 어시스턴트(Voice Assistant), 및 바이두 맵스에서의 워크(Work in Baidu Maps)의 서비스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영역(1201) 외의 영역에, 다른 방식에서 결정되는 서비스 아이템들, 즉, 타오바오 쇼핑 카트(Taobao Shopping Cart) 및 알리페이 페이(Alipay Pay)의 서비스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표 5
Figure pct00005
전자 디바이스 자체에 의해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하는 방식만이 존재하고(서버의 지시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하는 방식은 포함되지 않음), 구체적으로 방식 1, 방식 4, 및 방식 6이 포함될 경우, 가능한 구현예에 있어서, 표 6을 참조하면, 결정 방식들의 우선 순위들의 내림차순은 방식 6, 이어서 방식 4, 이어서 방식 1이다.
표 6
Figure pct00006
서버의 지시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하는 방식만이 존재할 경우, 가능한 구현예에 있어서, 결정 방식들의 우선 순위들의 내림차순은 방식 1 내지 방식 8이다. 다시 말해, 방식 1에서 결정되는 서비스 아이템이 방식 2에서 결정되는 서비스 아이템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고, 방식 2에서 결정되는 서비스 아이템이 방식 3에서 결정되는 서비스 아이템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등이다.
전자 디바이스 자체에 의해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하는 방식 및 서버의 지시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하는 방식이 존재할 경우, 가능한 구현예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 자체에 의해 결정되는 서비스 아이템은 서버의 지시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되는 서비스 아이템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다. 전자 디바이스 자체에 의해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하는 방식에 대응하는 구체적인 결정 방식들의 우선 순위의 순서는 방식 1 내지 방식 6이고; 서버의 지시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하는 방식에 대응하는 구체적인 결정 방식들의 우선 순위의 순서는 방식 1 내지 방식 8이다.
전자 디바이스 자체에 의해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하는 방식 및 서버의 지시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하는 방식이 존재할 경우, 가능한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 자체에 의해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하는 방식 또는 서버의 지시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하는 방식에 관계없이, 구체적인 결정 방식들에 대응하는 우선 순위의 순서는 방식 1 내지 방식 8이다.
결정 방식들의 전술한 우선 순위의 순서는 단지 설명을 위한 예시일 뿐이며, 실제 요건에 기초하여 다른 우선 순위의 순서들이 있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서는 다른 우선 순위의 순서들을 일일이 설명하지 않는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는 서비스 아이템의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우선적 디스플레이 영역에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서비스 아이템을 우선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서비스 아이템들이 우선적 디스플레이 영역을 채우기에는 불충분하게 존재할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우선적 디스플레이 영역에 우선 순위가 다음으로 가장 높은 서비스 아이템 등을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우선적 디스플레이 영역은 미리 설정된 영역일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의 습관 또는 선호도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설정 또는 수정된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서비스 아이콘 디스플레이 영역을 설정하기로 선택한다. 대안으로서, 도 13b를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는 우선적 디스플레이 영역을 설정하라고 지시하는 데 사용된 사용자의 미리 설정된 제스처(예를 들어, 두 손가락 슬라이딩)를 데스크톱 상에서 검출한다. 도 13c 또는 도 13d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우선적 디스플레이 영역의 위치 및 범위를 설정하고, 사용자가 우선적 디스플레이 영역을 설정한 후에, 전자 디바이스가 우선적 디스플레이 영역을 저장하고, 사용자가 결정(Determine) 버튼을 선택하면 우선적 디스플레이 영역의 설정을 완료할 수 있다.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손 사용에 익숙한 사용자의 경우, 사용자는 우하단에서 오른손 엄지손가락으로 터치하기 쉬운 영역을 우선적 디스플레이 영역으로서 설정할 수 있다.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손 사용에 익숙한 사용자의 경우, 사용자는 좌하단에서 왼손 엄지손가락으로 터치하기 쉬운 영역을 우선적 디스플레이 영역으로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서 제공되는 방법에 있어서, 2개의 서비스 아이템 우선 순위가 있을 경우, 각각의 우선 순위는 하나의 우선 순위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할 수 있고, 각각의 우선 순위 디스플레이 영역은 현재의 우선 순위에 대응하는 서비스 아이템의 서비스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3개의 우선 순위가 있을 경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3개의 부분, 즉, 제1 우선 순위 디스플레이 영역, 제2 우선 순위 디스플레이 영역, 및 다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우선 순위 디스플레이 영역은 전술한 우선적 디스플레이 영역일 수 있고, 제2 우선 순위 디스플레이 영역은 미리 설정된 영역일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우선순위 디스플레이 영역이 영역(1201)일 경우, 제2 우선순위 디스플레이 영역은 도 14에 도시된 영역(1401)일 수 있거나; 또는 제1 우선순위 디스플레이 영역이 영역(1202)일 경우, 제2 우선순위 디스플레이 영역은 도 15에 도시된 영역(1501)일 수 있다.
본원의 다른 실시형태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에서 구현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방법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1601. 전자 디바이스는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터치스크린에 제1 GUI를 디스플레이― 제1 아이콘이 제1 GUI에 디스플레이되고, 제1 아이콘은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함 ―한다.
예를 들어, 제1 GUI는 도 5a에 도시된 홈 스크린, 도 6 또는 도 7 내지 도 10에서의 두 번째 도면에 도시된 인터페이스, 또는 도 11a 또는 도 11b에서의 두 번째 도면에 도시된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1602. 전자 디바이스는 제1 아이콘에서 수행되는 조작에 응답하여 터치스크린에 제2 GUI를 디스플레이―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가 제2 GUI에 디스플레이됨 ―한다.
예를 들어, 제1 아이콘이 도 5a에 도시된 위챗 스캔(WeChat Scan)에 대응하는 서비스 아이콘일 경우, 제2 GUI는 도 5b에 도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디바이스는 전술한 방식으로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는 전자 디바이스의 서비스 아이템 사용 기록 및/또는 서비스 아이템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전자 디바이스는 캘린더, 시간,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전자 디바이스는 시나리오 모드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전자 디바이스는 서버의 지시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1 GUI는 전자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 전자 디바이스의 HiBoard 인터페이스, 미리 설정된 제스처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가 트리거된 제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전자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으로부터 좌측 방향 슬라이딩이 수행된 후에 디스플레이되는 인터페이스 등일 수 있다.
또한, 제1 GUI는 제1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을 우선적 디스플레이 영역이라고 할 수 있으며, 우선 순위가 높은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하는 제1 아이콘이 제1 GUI 상의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된다. 서비스 아이템의 우선 순위에 대해서는, 전술한 관련 설명을 참조한다. 예를 들어, 빈번하게 사용된 또는 최근에 사용된 서비스 아이템이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빈번하게 사용된 또는 최근에 사용된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하는 제1 아이콘은 제1 GUI 상의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된다. 제1 영역은 제1 GUI의 하단, 상단, 우하단, 또는 좌하단에 위치된다.
전술한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해, 전자 디바이스 또는 서버와 같은 각각의 네트워크 요소는 해당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해 상응하는 하드웨어 구조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형태들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조합하여, 하드웨어에 의해 또는 하드웨어와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알고리즘 단계들이 구현될 수 있음을 쉽게 인식해야 한다. 기능이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지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지의 여부는 기술적인 해법의 특정 용례 및 설계 제약에 따른다. 당업자라면, 각각의 특정 용례에 대하여 설명된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해 상이한 방법들을 사용할 수 있지만, 해당 구현은 본원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본원의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 또는 서버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 기초하여 기능 모듈들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기능 모듈은 상응하는 기능에 기초하여 분할을 통해 취득될 수 있거나, 또는 2개 이상의 기능이 하나의 처리 모듈로 통합될 수 있다. 통합 모듈은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소프트웨어 기능 모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원의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모듈 분할은 예시이며, 단지 논리적 기능 분할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실제 구현예에 있어서, 다른 분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기능 모듈이 상응하는 기능에 기초하여 분할을 통해 취득될 경우, 도 17은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전자 디바이스의 구성의 가능한 개략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700)는 결정 유닛(1701) 및 디스플레이 유닛(1702)을 포함할 수 있다.
결정 유닛(1701)은 도 4에 도시된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에서 단계(401)를 수행함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1700)를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유닛(1702)은 제1 디스플레이 유닛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한다. 제1 디스플레이 유닛은 도 4에 도시된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에서 단계(402)를 수행함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1700)를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은 도 4에 도시된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에서 단계(403)를 수행함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1700)를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능한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제1 디스플레이 유닛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은 동일한 디스플레이 유닛이며, 디스플레이 유닛은 제1 디스플레이 유닛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의 기능들을 실행함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를 지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정 유닛(1701)은 전자 디바이스의 서비스 아이템 사용 기록 및/또는 서비스 아이템 사용 빈도, 또는 캘린더, 시간,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시나리오 모드, 또는 서버의 지시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함에 있어서, 및/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술의 다른 프로세스를 수행함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1700)를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702)은 전자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또는 전자 디바이스의 HiBoard 인터페이스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또는 전자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으로부터 좌측 방향 슬라이딩이 수행된 후에 디스플레이되는 인터페이스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또는 미리 설정된 제스처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가 트리거된 제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1700)를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1702)은 전자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 상의 제1 영역에, 또는 전자 디바이스의 HiBoard 인터페이스 상의 제1 영역에, 또는 전자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으로부터 좌측 방향 슬라이딩이 수행된 후에 디스플레이되는 인터페이스 상의 제1 영역에, 또는 미리 설정된 제스처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가 트리거된 제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의 제1 영역에, 빈번하게 사용된 또는 최근에 사용된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하는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및/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의 다른 프로세스를 수행함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1700)를 지원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제1 영역은 인터페이스의 하단, 상단, 우하단, 또는 좌하단에 위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방법 실시형태에서의 단계들의 관련된 모든 내용들은 상응하는 기능 모듈들의 기능 설명에서 인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세부 내용을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서 제공되는 전자 디바이스는 전술한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 및 GUI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 및 GUI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과 동일한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통합 유닛의 경우, 결정 유닛(1701)은 처리 모듈에 통합될 수 있고, 제1 디스플레이 유닛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은 디스플레이 모듈로서 사용된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는 저장 모듈 및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처리 모듈은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 및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처리 모듈은 도 4에서의 단계(401)를 수행함에 있어서, 및/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의 다른 프로세스를 수행함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를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도 4에서의 단계들(402 및 403)을 수행함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를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미지, 데이터 등을 사용자에게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저장 모듈은 전자 디바이스의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통신 모듈은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의 통신, 예를 들어, 서버와의 통신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를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처리 모듈은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 예를 들어,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유닛(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 논리 디바이스, 트랜지스터 논리 디바이스, 하드웨어 컴포넌트,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처리 모듈은 본원에 개시된 내용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 모듈, 및 회로를 구현 또는 실행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처리 모듈은 컴퓨팅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세서들의 조합,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또는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디스플레이일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 사용자에게 제공된 정보, 및 단말의 다양한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터치패드가 디스플레이에 더 통합될 수 있으며, 터치패드 상의 또는 그 부근의 터치 이벤트를 수집하고, 수집된 터치 정보를 다른 컴포넌트(예를 들면, 프로세서)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저장 모듈은 메모리일 수 있다. 메모리는 고속 RAM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 플래시 저장 디바이스, 또는 다른 비휘발성 솔리드-스테이트 저장 디바이스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다른 단말 또는 서버와 상호작용하는 무선 주파수 회로, 블루투스 칩, 또는 Wi-Fi 칩과 같은 디바이스일 수 있다.
처리 모듈이 프로세서일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은 디스플레이이다. 저장 모듈이 메모리일 경우,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서의 전자 디바이스는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휴대폰일 수 있다.
본원의 실시형태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명령어를 저장하고, 컴퓨터 명령어가 전자 디바이스에서 실행될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관련된 방법 단계들을 수행하여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을 구현한다.
본원의 실시형태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경우, 컴퓨터는 관련된 방법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활성화되어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을 구현한다.
또한, 본원의 실시형태는 장치를 더 제공한다. 장치는 구체적으로 칩, 컴포넌트, 또는 모듈일 수 있다. 장치는 연결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장치가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어, 칩이 전술한 방법 실시형태에서의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을 수행한다.
본원의 실시형태들에서 제공되는 전자 디바이스, 컴퓨터 저장 매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또는 칩은 상기에 제공된 상응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달성될 수 있는 유익한 효과에 대해서는, 상기에 제공된 상응하는 방법의 유익한 효과를 참조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세부 내용을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원의 다른 실시형태는 서버를 제공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서버(1800)는 생성 유닛(1801) 및 송신 유닛(1802)을 포함할 수 있다. 생성 유닛(1801)은 지시 정보를 생성― 지시 정보는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식별자를 포함함 ―함에 있어서, 및/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의 다른 프로세스를 수행함에 있어서, 서버(1800)를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송신 유닛(1802)은 지시 정보를 전자 디바이스에 송신― 지시 정보는 전자 디바이스에게 제1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하고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하라고 지시하는 데 사용됨 ―함에 있어서, 및/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의 다른 프로세스를 수행함에 있어서, 서버(1800)를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9는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서버(1900)의 하드웨어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서버(19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901), 통신 버스(1902), 메모리(1903), 및 적어도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190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901)는 범용 CPU, 마이크로프로세서, ASIC, 또는 본원의 해법의 프로그램 실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일 수 있다.
통신 버스(1902)는 전술한 컴포넌트들 사이에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904)는 트랜시버와 같은 임의의 장치일 수 있으며, 다른 장치 또는 통신 네트워크, 예컨대 이더넷(Ethernet),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 또는 무선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1903)는, 정적 정보 및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는 ROM 또는 다른 타입의 정적 저장 디바이스, 또는 정보 및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는 RAM 또는 다른 타입의 동적 저장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또는 전기적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리드-온리 메모리, 컴팩트 디스크 리드-온리 메모리, 다른 컴팩트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광 디스크 스토리지(압축 광 디스크, 레이저 디스크, 광 디스크,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 블루레이(Blu-ray) 광 디스크 등을 포함함),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 또는 예상 프로그램 코드를 명령어 또는 데이터 구조 형태로 운반 또는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메모리는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버스를 사용해서 프로세서에 연결된다. 대안으로서,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통합될 수 있다.
메모리(1903)는 본원의 해법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서(1901)는 실행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901)는 메모리(1903)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여 본원의 하기의 실시형태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연속성 구현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실시형태에서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프로세서(1901)는 하나 이상의 CPU, 예를 들어, 도 19에서의 CPU 1 및 CPU 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서버(1900)는 도 19에서의 프로세서(1901) 및 프로세서(1908)와 같은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프로세서 각각은 싱글-코어(single-CPU) 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또는 멀티-코어(multi-CPU) 프로세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프로세서는 데이터(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처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회로, 및/또는 처리 코어일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서버(1900)는 출력 디바이스(1905) 및 입력 디바이스(19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 디바이스(1905)는 프로세서(1901)와 통신하고, 복수의 방식으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디바이스(1905)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또는 프로젝터(projector)일 수 있다. 입력 디바이스(1906)는 프로세서(1901)와 통신하고, 복수의 방식으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디바이스(1906)는 마우스, 키보드, 터치스크린 디바이스, 또는 감지 디바이스일 수 있다.
본원의 다른 실시형태는 시스템을 더 제공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시스템은 전자 디바이스(101), 네트워크(102), 및 서버(103)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1)는 서비스 아이템이 사용된 날짜, 시간, 및 시나리오 모드와 같은 정보를 네트워크(102)를 사용해서 서버(103)에 송신한다. 서버(103)는 네트워크(102)를 사용해서 지시 정보를 전자 디바이스(101)에 송신하여, 전자 디바이스에게 제1 서비스 아이템을 결정하고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하라고 지시한다.
구현예들에 관한 전술한 설명은, 편리하고 간결한 설명을 위해, 전술한 기능 모듈들의 분할이 예시를 위한 실시예로서 사용된다는 것을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게 한다. 실제 응용에 있어서, 전술한 기능들은 상이한 모듈들에 할당될 수 있으며, 또한 장치의 내부 구조가 전술한 기능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구현하도록 상이한 기능 모듈들로 분할되는 요건에 기초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몇몇 실시형태들에 있어서는, 개시된 장치 및 방법이 다른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설명된 장치 실시형태는 단지 예시일 뿐이다. 예를 들어, 모듈 또는 유닛 분할은 단지 논리적인 기능 분할일 뿐이며, 실제 구현예에서는 다른 분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가 다른 장치에 조합 또는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특징은 무시되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된 또는 논의된 상호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를 사용해서 구현될 수 있다. 장치들 또는 유닛들 사이의 간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전자적, 기계적, 또는 그 밖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개별 부품들로서 설명된 유닛들은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도, 또는 그렇지 않을 수도 있고, 유닛으로서 표시된 부품들은 하나 이상의 물리적 유닛일 수 있거나, 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한 위치들에 분포될 수 있다. 유닛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실시형태들의 해법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제 요건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실시형태들에서의 기능 유닛들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해당 유닛들 각각은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 있거나, 또는 2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될 수 있다. 통합된 유닛은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합된 유닛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서 판매 또는 사용되는 경우, 통합된 유닛은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초하여, 본질적으로 본원의 실시형태들의 기술적인 해법, 또는 종래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기술적인 해법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디바이스(단일-칩 마이크로컴퓨터, 칩 등일 수 있음) 또는 프로세서에게 본원의 실시형태들에서 설명되는 방법들의 단계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하라고 지시하기 위한 몇몇 명령어를 포함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USB 플래시 드라이브, 착탈식 하드 디스크, ROM,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와 같이,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설명은 단지 본원의 구체적인 구현예들이지, 본원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원에 개시되는 기술적인 범위 내에서의 임의의 변형 또는 대체는 본원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Claims (30)

  1.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으로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서비스 아이템 사용 기록 및/또는 서비스 아이템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상기 제1 아이콘은 상기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함 ―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아이콘에서 수행되는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으로서,
    캘린더, 시간,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상기 제1 아이콘은 상기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함 ―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아이콘에서 수행되는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으로서,
    시나리오 모드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 상기 시나리오 모드는 차량내 모드, 운전 모드, 뮤트 모드, 비행기 모드, 오프라인 모드, 실외 모드, 또는 회의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하는 단계;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상기 제1 아이콘은 상기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함 ―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아이콘에서 수행되는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 스크린은 제1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빈번하게 사용된 또는 최근에 사용된 상기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하는 제1 아이콘을 상기 홈 스크린 상의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홈 스크린의 하단, 상단, 우하단, 또는 좌하단에 위치됨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으로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서비스 아이템 사용 기록 및/또는 서비스 아이템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HiBoard 인터페이스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상기 HiBoard 인터페이스는 홈 스크린으로부터 우측 방향 슬라이딩이 수행된 후에 진입되는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제1 아이콘은 상기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함 ―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아이콘에서 수행되는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으로서,
    캘린더, 시간,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HiBoard 인터페이스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상기 HiBoard 인터페이스는 홈 스크린으로부터 우측 방향 슬라이딩이 수행된 후에 진입되는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제1 아이콘은 상기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함 ―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아이콘에서 수행되는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으로서,
    시나리오 모드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 상기 시나리오 모드는 차량내 모드, 운전 모드, 뮤트 모드, 비행기 모드, 오프라인 모드, 실외 모드, 또는 회의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하는 단계;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HiBoard 인터페이스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상기 HiBoard 인터페이스는 홈 스크린으로부터 우측 방향 슬라이딩이 수행된 후에 진입되는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제1 아이콘은 상기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함 ―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아이콘에서 수행되는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HiBoard 인터페이스는 제1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HiBoard 인터페이스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빈번하게 사용된 또는 최근에 사용된 상기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하는 제1 아이콘을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HiBoard 인터페이스 상의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인터페이스의 하단, 상단, 우하단, 또는 좌하단에 위치됨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으로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서비스 아이템 사용 기록 및/또는 서비스 아이템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제스처에 응답하여 제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를 트리거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상기 제1 아이콘은 상기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함 ―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아이콘에서 수행되는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으로서,
    캘린더, 시간,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제스처에 응답하여 제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를 트리거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상기 제1 아이콘은 상기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함 ―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아이콘에서 수행되는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으로서,
    시나리오 모드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 상기 시나리오 모드는 차량내 모드, 운전 모드, 뮤트 모드, 비행기 모드, 오프라인 모드, 실외 모드, 또는 회의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제스처에 응답하여 제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를 트리거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상기 제1 아이콘은 상기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함 ―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아이콘에서 수행되는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로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서비스 아이템 사용 기록 및/또는 서비스 아이템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유닛; 및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상기 제1 아이콘은 상기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함 ―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제1 아이콘에서 수행되는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더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13.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로서,
    캘린더, 시간,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유닛; 및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상기 제1 아이콘은 상기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함 ―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제1 아이콘에서 수행되는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더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14.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로서,
    시나리오 모드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 상기 시나리오 모드는 차량내 모드, 운전 모드, 뮤트 모드, 비행기 모드, 오프라인 모드, 실외 모드, 또는 회의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유닛; 및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상기 제1 아이콘은 상기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함 ―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제1 아이콘에서 수행되는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더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 스크린은 제1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구체적으로:
    빈번하게 사용된 또는 최근에 사용된 상기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하는 제1 아이콘을 상기 홈 스크린 상의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홈 스크린의 하단, 상단, 우하단, 또는 좌하단에 위치됨 ―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16.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로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서비스 아이템 사용 기록 및/또는 서비스 아이템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유닛; 및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HiBoard 인터페이스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상기 HiBoard 인터페이스는 홈 스크린으로부터 우측 방향 슬라이딩이 수행된 후에 진입되는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제1 아이콘은 상기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함 ―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제1 아이콘에서 수행되는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더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17.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로서,
    캘린더, 시간,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유닛; 및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HiBoard 인터페이스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상기 HiBoard 인터페이스는 홈 스크린으로부터 우측 방향 슬라이딩이 수행된 후에 진입되는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제1 아이콘은 상기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함 ―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제1 아이콘에서 수행되는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더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18.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로서,
    시나리오 모드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 상기 시나리오 모드는 차량내 모드, 운전 모드, 뮤트 모드, 비행기 모드, 오프라인 모드, 실외 모드, 또는 회의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유닛; 및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HiBoard 인터페이스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상기 HiBoard 인터페이스는 홈 스크린으로부터 우측 방향 슬라이딩이 수행된 후에 진입되는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제1 아이콘은 상기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함 ―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제1 아이콘에서 수행되는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더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HiBoard 인터페이스는 제1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구체적으로:
    빈번하게 사용된 또는 최근에 사용된 상기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하는 제1 아이콘을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HiBoard 인터페이스 상의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인터페이스의 하단, 상단, 우하단, 또는 좌하단에 위치됨 ―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20.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로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서비스 아이템 사용 기록 및/또는 서비스 아이템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유닛; 및
    미리 설정된 제스처에 응답하여 제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를 트리거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상기 제1 아이콘은 상기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함 ―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제1 아이콘에서 수행되는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더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21.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로서,
    캘린더, 시간,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유닛; 및
    미리 설정된 제스처에 응답하여 제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를 트리거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상기 제1 아이콘은 상기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함 ―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제1 아이콘에서 수행되는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더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22.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로서,
    시나리오 모드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 상기 시나리오 모드는 차량내 모드, 운전 모드, 뮤트 모드, 비행기 모드, 오프라인 모드, 실외 모드, 또는 회의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유닛; 및
    미리 설정된 제스처에 응답하여 제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를 트리거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상기 제1 아이콘은 상기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함 ―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제1 아이콘에서 수행되는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더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23.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메모리가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결합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메모리가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 명령어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컴퓨터 명령어를 실행할 경우,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디바이스.
  24. 컴퓨터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명령어가 전자 디바이스에서 실행될 경우,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컴퓨터 저장 매체.
  25.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경우, 상기 컴퓨터가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26.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에서 구현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서비스 아이템 사용 기록 및/또는 서비스 아이템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제1 GUI를 디스플레이― 제1 아이콘이 상기 제1 GUI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제1 아이콘은 상기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함 ―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아이콘에서 수행되는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제2 GUI를 디스플레이― 상기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2 GUI에 디스플레이됨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7. GUI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에서 구현되고, 상기 방법은:
    캘린더, 시간,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제1 GUI를 디스플레이― 제1 아이콘이 상기 제1 GUI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제1 아이콘은 상기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함 ―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아이콘에서 수행되는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제2 GUI를 디스플레이― 상기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2 GUI에 디스플레이됨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8. GUI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에서 구현되고, 상기 방법은:
    시나리오 모드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 아이템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제1 GUI를 디스플레이― 제1 아이콘이 상기 제1 GUI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제1 아이콘은 상기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하고, 상기 시나리오 모드는 차량내 모드, 운전 모드, 뮤트 모드, 비행기 모드, 오프라인 모드, 실외 모드, 또는 회의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아이콘에서 수행되는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제2 GUI를 디스플레이― 상기 제1 서비스 아이템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2 GUI에 디스플레이됨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9. 제26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GUI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HiBoard 인터페이스, 또는 미리 설정된 제스처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가 트리거되는 제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인
    방법.
  30. 제26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1 GUI는 제1 영역을 포함하고, 제1 아이콘이 상기 제1 GUI에 디스플레이된다는 것은:
    빈번하게 사용된 또는 최근에 사용된 상기 제1 서비스 아이템에 대응하는 제1 아이콘이 상기 제1 GUI 상의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된다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1 GUI의 하단, 상단, 우하단, 또는 좌하단에 위치되는
    방법.
KR1020207012174A 2017-10-20 2018-02-05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KR202000585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983444.5 2017-10-20
CN201710983444 2017-10-20
PCT/CN2018/075325 WO2019075962A1 (zh) 2017-10-20 2018-02-05 一种图标显示方法、设备及系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8511A true KR20200058511A (ko) 2020-05-27

Family

ID=66174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2174A KR20200058511A (ko) 2017-10-20 2018-02-05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00285357A1 (ko)
EP (1) EP3683664A4 (ko)
JP (1) JP2020537794A (ko)
KR (1) KR20200058511A (ko)
CN (2) CN112181220A (ko)
AU (1) AU2018352618A1 (ko)
WO (1) WO20190759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95409B (zh) * 2019-12-02 2022-03-11 荣耀终端有限公司 智能通信策略生效场景的显示方法及移动终端、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4690986A (zh) * 2020-12-30 2022-07-01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快捷方式的创建方法及相关设备
CN115061607A (zh) * 2021-02-27 2022-09-16 华为技术有限公司 功能页面显示方法及电子设备
USD974405S1 (en) * 2021-05-11 2023-01-03 Technogym S.P.A.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13888159B (zh) * 2021-06-11 2022-11-29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应用的功能页面的开启方法和电子设备
CN113810546A (zh) * 2021-09-13 2021-12-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应用图标的显示方法、显示装置
CN117453094A (zh) * 2022-07-25 2024-01-26 荣耀终端有限公司 服务卡片的显示方法、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058B1 (ko) * 2009-08-07 2016-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재 상황에 적합한 사용 환경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
JP4900436B2 (ja) * 2009-08-10 2012-03-21 富士通東芝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US9781540B2 (en) * 2011-07-07 2017-10-03 Qualcomm Incorporated Application relevance determination based on social context
US9253282B2 (en) * 2011-10-18 2016-02-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using, or updating an enriched user profile
US20130159234A1 (en) * 2011-12-19 2013-06-20 Bo Xing Context activity tracking for recommending activities through mobile electronic terminals
EP2852882B1 (en) * 2012-05-21 2021-08-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of controlling user interface using touch screen
CN102968313B (zh) * 2012-12-21 2017-07-25 魅族科技(中国)有限公司 一种终端桌面小部件的生成方法和终端
WO2014119889A1 (en) * 2013-01-31 2014-08-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displaying user interface on device, and device
US10217064B2 (en) * 2013-02-21 2019-02-26 Apple Inc. Intelligent home screen for mobile and desktop operating systems
US10235011B2 (en) * 2013-12-15 2019-03-19 Yulong Computer Telecommunication Scientific (Shenzhen) Co., Ltd. Application icon adaptive adjustment method and terminal
CN104571868A (zh) * 2015-01-15 2015-04-29 深圳市中兴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其图标调整方法和装置
US10191614B2 (en) * 2015-02-25 2019-01-29 Htc Corporation Panel displaying metho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recording medium using the method
CN104731510A (zh) * 2015-03-31 2015-06-24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操作控件集中显示的方法和装置
US10200824B2 (en) * 2015-05-27 2019-02-05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actively identifying and surfacing relevant content on a touch-sensitive device
CN105912228A (zh) * 2015-10-30 2016-08-31 乐视移动智能信息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基于手机屏幕的应用程序推荐方法和系统
CN106227723A (zh) * 2016-01-25 2016-12-14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用于推荐应用和呈现推荐应用的方法和装置
CN107045415A (zh) * 2016-02-05 2017-08-15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在移动设备的锁屏状态下提供服务功能的方法与装置
CN107132971B (zh) * 2016-02-29 2020-07-24 福建兑信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操作界面的控制方法、系统及移动终端
US10747554B2 (en) * 2016-03-24 2020-08-18 Google Llc Contextual task shortcuts
CN106201219B (zh) * 2016-07-28 2019-08-02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应用程序功能快捷调用方法及系统
CN106648746B (zh) * 2016-11-07 2020-10-20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一种应用程序的执行方法和装置
CN106775249B (zh) * 2016-12-21 2020-10-23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一种设置通信快捷方式的方法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75962A1 (zh) 2019-04-25
US20200285357A1 (en) 2020-09-10
CN112181220A (zh) 2021-01-05
JP2020537794A (ja) 2020-12-24
EP3683664A4 (en) 2020-11-11
CN110692034A (zh) 2020-01-14
AU2018352618A1 (en) 2020-04-23
EP3683664A1 (en) 202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58511A (ko)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US11606458B2 (en) Favorite-object display method and terminal
US91166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KR102607560B1 (ko) 어플리케이션 표시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US10299110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EP2375685B1 (en) Method of and system for providing application store service
KR20170096408A (ko)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EP3180684A1 (en) Quick navigation of message conversation history
AU2017206466B2 (en) Flexible display of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CN111049935B (zh) 远程控制电子设备的系统及其电子设备
CN111064655B (zh) 模板消息的推送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0633032B (zh) 终端设备的图标显示方法及装置
JP6997338B2 (ja) 動画プレビュー方法及び電子デバイス
KR102213897B1 (ko) 사용자 입력에 따라 하나 이상의 아이템들을 선택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US201602918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ning a data processing page
CN111857531A (zh) 移动终端及其文件显示方法
KR20140090112A (ko) 전자 장치의 페어링 방법 및 장치
US11882468B2 (en) Traffic/rate counting method and related device
CN110502169B (zh) 一种显示控制方法及终端
WO2022127200A1 (zh) 内容显示方法及装置
CN111324255B (zh) 一种基于双屏终端的应用处理方法及通信终端
US11366872B1 (en) Digital navigation menus with dynamic content placement
KR102264428B1 (ko)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장치
EP4060592A1 (en) Method and system for acquiring content, user terminal, and content server
WO2024051555A1 (zh) 一种数据查询方法、电子设备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