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3099A -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3099A
KR20110013099A KR1020090071105A KR20090071105A KR20110013099A KR 20110013099 A KR20110013099 A KR 20110013099A KR 1020090071105 A KR1020090071105 A KR 1020090071105A KR 20090071105 A KR20090071105 A KR 20090071105A KR 20110013099 A KR20110013099 A KR 20110013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beverage container
beverage
cap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1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3388B1 (ko
Inventor
김홍우
Original Assignee
김홍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우 filed Critical 김홍우
Priority to KR1020090071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3388B1/ko
Publication of KR20110013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3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61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65D25/06Partitions adapted to be fitted in two or more alternative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17/00Details of mixing containers or closures
    • B65D2217/04Whereby the separation between the different product compartments can be restored, e.g. for re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다른 종류의 음료를 동시에 보관 할 수 있도록 하면서 음용할 경우에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혼합하여 먹거나 각각의 음료를 따로 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상하 두 개의 음료 용기를 상호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일 음료 용기를 분리하여 음용하거나 또는 두 음료를 혼합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음료용기에 있어서;
저면이 막힌 원통형을 가지되 그 상단에 인접하여 외경이 단턱지게 축소되는 단턱부와, 상기 단턱부의 상부로 나사산이 형성되는 결합부와, 상면은 관통된 제1 관통홀이 형성되는 두 개의 음료용기와;
저면이 개방되며 그 내주면에 상기 결합부에 상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음료용기와 결합하고, 상면 일측에는 형성된 관통된 제2 관통홀과, 내측 저면에 상기 결합부에 완전히 결합하였을 때 상기 제1 관통홀의 입구를 막도록 돌출된 막힘돌기와, 외주면에 일정 방향으로의 제1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 캡 및 상기 제1 캡의 제1 나사산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제2 나사산을 구비하는 제2 캡과;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그 내주면에는 각각 중앙에서 상방향과 하방향으로 서로 방향이 다른 제3 및 제4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1 및 제2 캡이 결합하도록 하는 연결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음료용기

Description

음료용기{The receptacle for a beverage}
본 발명은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서로 다른 종류의 음료를 동시에 보관 할 수 있도록 하면서 음용할 경우에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혼합하여 먹거나 각각의 음료를 따로 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음료수, 주류 등의 경우 단일의 용기에 담겨져 있어 하나의 음료만을 마실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주변을 보면 의외로 하나의 음료가 아니라 음료수나 술을 혼합하여 음용하는 사람 또는 그렇게 만든 음료수나 술을 판매하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다.
이 경우 단일의 종류에서 느낄 수 없었던 새로운 맛을 느낄 수 있고 경우에따라 혼합한 경우를 마시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는 마시기 직전에 혼합해야 하는 경우가 있어 혼합상태로 판매가 되지 않는 종류도 볼 수 있다.
이렇게 개별 용기에 의하여 판매되는 음료의 경우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최근에는 하나의 용기 내에 이종의 음료를 수용하여 다양한 음료의 맛을 즐 길 수 있도록 한 음료용기가 다수 출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음료용기의 대부분은 이종의 음료가 상하부에 각각 수용가능하도록 중앙에 격벽이 형성되고 각각의 음료가 개별적으로 주출될 수 있도록 용기의 상단과 하단에 주출구가 각각 형성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음료용기의 경우에는 양 주출구가 음료용기의 상단과 하단에 그대로 노출되어 먼지나 오물 등에 의해 오염되기 쉬운 관계로, 용기 내부에 수용된 음료를 마시고자 할 경우 오염된 주줄구로 인해 위생적으로 상당한 불결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하부에 각각 수용된 음료를 섞어 마시고자 할 경우에는 상단에 형성된 주출구를 개방하여 격벽을 기준으로 용기 내의 상부에 수용된 음료를 별도의 용기 내에 부은 다음, 하단에 형성된 주출구를 개방하여 격벽을 기준으로 용기 내의 하부에 수용된 음료를 상부에 수용된 음료가 이미 수용된 별도의 용기 내에 또 다시 부워 섞어 마셔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원인이 선출원한 특허출원 제2008-0003776호 '음료용기'에서는 이종의 음료를 각각 분리수용함과 동시에 음료를 위생적으로 음용할 수 있도록 하며 간단한 조작으로 용이하게 혼합하여 음용할 수 있는 음료용기를 제공하였다.
하지만 선출원된 구조 이외에도 유사나 모양으로 다양한 구현 방법이 개발될 수 있어 가장 효과적이고 유용한 방법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이종의 음료를 각각 분리 수용함과 동시에 음료를 위생적으로 음용할 수 있도록 한 음료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조작을 통해 이종의 음료를 혼합하여 음용할 수 있어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 음료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하 두 개의 음료 용기를 상호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일 음료 용기를 분리하여 음용하거나 또는 두 음료를 혼합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음료용기에 있어서;
저면이 막힌 원통형을 가지되 그 상단에 인접하여 외경이 단턱지게 축소되는 단턱부와, 상기 단턱부의 상부로 나사산이 형성되는 결합부와, 상면은 관통된 제1 관통홀이 형성되는 두 개의 음료용기와;
저면이 개방되며 그 내주면에 상기 결합부에 상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음료용기와 결합하고, 상면 일측에는 형성된 관통된 제2 관통홀과, 내측 저면에 상기 결합부에 완전히 결합하였을 때 상기 제1 관통홀의 입구를 막도록 돌출된 막힘돌기와, 외주면에 일정 방향으로의 제1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 캡 및 상기 제1 캡의 제 1 나사산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제2 나사산을 구비하는 제2 캡과;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그 내주면에는 각각 중앙에서 상방향과 하방향으로 서로 방향이 다른 제3 및 제4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1 및 제2 캡이 결합하도록 하는 연결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음료용기는 상기 결합부의 상부로 나사산의 골과 같거나 작은 외경을 가진 면이 소폭 연장되는 제1 슬라이딩부와, 그 상부로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되 상기 결합부의 나사산의 산 보다 같거나 큰 외경을 가지는 걸림부가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캡의 내경 상부에는 상기 걸림부의 외경에 상응하는 내경을 가지는 제2 슬라이딩부를 구비하여 그 하부로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캡의 막힘돌기는 상기 제1 관통홀의 내측에 상응하여 밀착되는 링형상의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 끝단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훅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종의 음료를 각각 분리 수용함과 동시에 음료가 취출되는 부분을 내장하도록 하여 음료를 위생적으로 음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순한 회전동작으로 원하는 음료가 들어 있는 음료용기를 선택적으로 분리하거나 또는 상호 혼합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 수 있어 사용이 보다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로서, 상하 두 개의 음료 용기를 상호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일 음료 용기를 분리하여 음용하거나 또는 두 음료를 혼합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음료용기를 나타내었다.
상기 음료용기는 상부와 하부에 음료용기(1)가 위치하고 그 중간에 연결링(3)이 형성된 형상을 가진 것으로 본원인이 선출원한 것과 상당히 유사한 외관을 가지고 있지만 그 내부의 구조는 상이한 방식을 가지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며,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동과정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그 구조는 저면이 막힌 원통형을 가지되 그 상단에 인접하여 외경이 단턱지게 축소되는 단턱부(11)와, 상기 단턱부(11)의 상부로 나사산이 형성되는 결합부(12)와, 상면은 관통된 제1 관통홀(13)이 형성되는 두 개의 음료용기(1)와;
저면이 개방되며 그 내주면에 상기 결합부(12)에 상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 어 음료용기(1)와 결합하고, 상면 일측에는 형성된 관통된 제2 관통홀(21)과, 내측 저면에 상기 결합부(12)에 완전히 결합하였을 때 상기 제1 관통홀(13)의 입구를 막도록 돌출된 막힘돌기(22)와, 외주면에 일정 방향으로의 제1 나사산(23)이 형성되는 제1 캡(2a) 및 상기 제1 캡(1)의 제1 나사산(23)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제2 나사산(24)을 구비하는 제2 캡(2b)과;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그 내주면에는 각각 중앙에서 상방향과 하방향으로 서로 방향이 다른 제3 및 제4 나사산(31, 32)이 형성되어 제1 및 제2 캡(2a, 2b)이 결합하도록 하는 연결링(3)으로 구성된다.
먼저 음료용기(1)는 제1 또는 제2 캡(2a, 2b)과 완전히 결합했을 때는 제1 관통홀(13)을 막힘돌기(22)가 막아 음료가 흘러나오지 않는 상태이지만 상기 제1 또는 제2 캡(2a, 2b)을 회전시키면 상기 막힘돌기(22)가 이탈하면서 음료는 상기 제1 관통홀(13)을 지나 제2 관통홀(21)을 통하여 흘러나오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캡(2a, 2b)이 완전히 분리되도록 단순 구성을 할 수도 있지만 본원에서는 추가적인 실시 예로 상기 음료용기(1)는 상기 결합부(12)의 상부로 나사산의 골과 같거나 작은 외경을 가진 면이 소폭 연장되는 제1 슬라이딩부(14)와, 그 상부로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되 상기 결합부(12)의 나사산의 산 보다 같거나 큰 외경을 가지는 걸림부(15)가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캡(2a, 2b)은 내경 상부에는 상기 걸림부(15)의 외경에 상응하는 내경을 가지는 제2 슬라이딩부(25)를 구비하여 그 하부로 나사산이 형성되 도록 구성되는 실시 예를 추가로 제시하였다.
즉 상기 제1 및 제2 캡(2a, 2b)을 돌려 상기 음료용기(1)와의 나사산을 이탈하게 되면 상기 음료용기(1)의 걸림부(15)는 제2 슬라이딩부(25)를 따라 하강하다가 캡의 나사산의 상단에 걸리게 되고, 상기 캡의 나사산은 상기 제1 슬라이딩부(14)를 따라 상대적으로 상승하는 구조를 가진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부에 의하여 제1 및 제2 캡(2a, 2b)이 쉽게 이탈되지 않아 혼합시에 보다 편리하도록 하였다.
또한 본원에서 각기 다른 방향의 나사산을 형성한 결합은 간단히 연결링(3)을 회전시키면 상기 제1 및 제2 캡(2a, 2b)이 상호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운동을 하게 되어 필요시에 상기 제1 및 제2 캡(2a, 2b)를 이격시키고 다시 음료용기(1)와 제1 및 제2 캡(2a, 2b)을 회전시키면 음료가 혼합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또한 본원에서는 추가적인 실시 예로 상기 제1 및 제2 캡(2a, 2b)의 막힘돌기(22)는 상기 제1 관통홀(13)의 내측에 상응하여 밀착되는 링형상의 밀착부(22a)와, 상기 밀착부(22a) 끝단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훅(22b)으로 구성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이는 제1 관통홀(13)의 개폐구조를 나타낸 일 예로서 실제 제작시에는 상기 걸림훅(22b)이 상기 제1 관통홀(13)을 이탈하는 시점은 상기 음료용기(1)의 결합부(12)에 형성된 나사산과 상기 제1 또는 제2 캡(2a, 2b)의 나사산이 회전을 하여 이탈되기 직전에 이루어지도록 함이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일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동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음료용기
11 : 단턱부 12 : 결합부
13 : 제1 관통홀 14 : 제1 슬라이딩부
15 : 걸림부
2a : 제1 캡 2b : 제2 캡
21 : 제2 관통홀 22 : 막힘돌기
22a : 밀착부 22b : 걸림훅
23 : 나사산 24 : 제2 나사산
25 : 제2 슬라이딩부
3 : 연결링
31 : 제3 나사산 32 : 제4 나사산

Claims (3)

  1. 상하 두 개의 음료 용기를 상호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일 음료 용기를 분리하여 음용하거나 또는 두 음료를 혼합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음료용기에 있어서;
    저면이 막힌 원통형을 가지되 그 상단에 인접하여 외경이 단턱지게 축소되는 단턱부(11)와, 상기 단턱부(11)의 상부로 나사산이 형성되는 결합부(12)와, 상면은 관통된 제1 관통홀(13)이 형성되는 두 개의 음료용기(1)와;
    저면이 개방되며 그 내주면에 상기 결합부(12)에 상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음료용기(1)와 결합하고, 상면 일측에는 형성된 관통된 제2 관통홀(21)과, 내측 저면에 상기 결합부(12)에 완전히 결합하였을 때 상기 제1 관통홀(13)의 입구를 막도록 돌출된 막힘돌기(22)와, 외주면에 일정 방향으로의 제1 나사산(23)이 형성되는 제1 캡(2a) 및 상기 제1 캡(1)의 제1 나사산(23)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제2 나사산(24)을 구비하는 제2 캡(2b)과;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그 내주면에는 각각 중앙에서 상방향과 하방향으로 서로 방향이 다른 제3 및 제4 나사산(31, 32)이 형성되어 제1 및 제2 캡(2a, 2b)이 결합하도록 하는 연결링(3)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용기(1)는 상기 결합부(12)의 상부로 나사산의 골과 같거나 작은 외경을 가진 면이 소폭 연장되는 제1 슬라이딩부(14)와, 그 상부 로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되 상기 결합부(12)의 나사산의 산 보다 같거나 큰 외경을 가지는 걸림부(15)가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캡(2a, 2b)은 내경 상부에는 상기 걸림부(15)의 외경에 상응하는 내경을 가지는 제2 슬라이딩부(25)를 구비하여 그 하부로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캡(2a, 2b)의 막힘돌기(22)는 상기 제1 관통홀(13)의 내측에 상응하여 밀착되는 링형상의 밀착부(22a)와, 상기 밀착부(22a) 끝단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훅(22b)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KR1020090071105A 2009-08-01 2009-08-01 음료용기 KR101053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105A KR101053388B1 (ko) 2009-08-01 2009-08-01 음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105A KR101053388B1 (ko) 2009-08-01 2009-08-01 음료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099A true KR20110013099A (ko) 2011-02-09
KR101053388B1 KR101053388B1 (ko) 2011-08-02

Family

ID=43772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1105A KR101053388B1 (ko) 2009-08-01 2009-08-01 음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33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575Y1 (ko) * 2017-08-04 2018-06-07 장은비 조립 가능한 보틀
WO2020213856A1 (ko) * 2019-04-17 2020-10-22 임승섭 휴대용 텀블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4921A (ko) 2022-07-26 2024-02-02 (주)포디크리에이터 복층 구조를 갖는 다기능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PR402101A0 (en) 2001-03-27 2001-04-26 Hall, Allen Beaumont Dispenser
ITMI20011989A1 (it) 2001-09-25 2003-03-25 C I D Cosmetics Internat Di St Kit per la miscelazione di sostanze per la creazione di prodotti cosmetici
JP2005231692A (ja) 2004-02-20 2005-09-02 Shinji Hashimoto 互いに連結することで内容物を混合可能な容器
JP4512891B2 (ja) 2004-10-29 2010-07-2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剤混合容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575Y1 (ko) * 2017-08-04 2018-06-07 장은비 조립 가능한 보틀
WO2020213856A1 (ko) * 2019-04-17 2020-10-22 임승섭 휴대용 텀블러
KR20200122031A (ko) * 2019-04-17 2020-10-27 임승섭 휴대용 텀블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3388B1 (ko) 2011-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1166B2 (en) Container cap
EP2862814B1 (en) Container capable of mixing multiple materials
US9463913B2 (en) Snack storage lid for a beverage cup
KR101554665B1 (ko) 기능성 입자 보관을 위한 수용체를 구비한 음료용기
US20070119727A1 (en) Bottle
WO2014142445A1 (ko) 2액형 음료용기
KR101053388B1 (ko) 음료용기
RU2404100C2 (ru) Колпачок для выпускного отверстия емкости
EP1062163B1 (en) Hybrid beverage container
JP2005224261A (ja) 飲用具
JP2024502681A (ja) 飲料容器
KR20050079371A (ko) 혼합 용기
KR20120001224U (ko) 이중 병마개의 내,외부마개의 결속구조
KR200407459Y1 (ko) 장식품이 구비된 다기능 용기
KR101628344B1 (ko) 용기 캡
KR100954395B1 (ko) 음료용기
KR100593244B1 (ko) 용기 마개
JP2008127070A (ja) 調味料液同時注出容器
US20020084292A1 (en) Container for dispensing a small amount of the contents
KR102110847B1 (ko) 이종 재질의 혼합을 위한 이중 용기조립체
KR100547266B1 (ko) 위조방지용 첨가제 첨가용 이중마개
KR20120064878A (ko) 음료 용기
KR200466300Y1 (ko) 파우치 마개
KR200195551Y1 (ko) 음료용기의 구조
KR200359721Y1 (ko) 일회용 용기에 결합되는 접시 모양의 컵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