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4395B1 -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4395B1
KR100954395B1 KR1020080003776A KR20080003776A KR100954395B1 KR 100954395 B1 KR100954395 B1 KR 100954395B1 KR 1020080003776 A KR1020080003776 A KR 1020080003776A KR 20080003776 A KR20080003776 A KR 20080003776A KR 100954395 B1 KR100954395 B1 KR 100954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ring portion
beverage
r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3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8026A (ko
Inventor
김홍우
Original Assignee
김홍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우 filed Critical 김홍우
Priority to KR1020080003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4395B1/ko
Publication of KR20090078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8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4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4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05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 B65D81/3211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coaxially and provided with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65D25/08Partitions with provisions for removing or destroying, e.g. to facilitate mixing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의 음료를 각각 분리수용함과 동시에 음료를 위생적으로 음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간단한 조작을 통해 이종의 음료를 혼합하여 음용할 수 있어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는, 하부면에 제 1 주출구가 형성되는 제 1 용기부와, 상부면에 제 2 주출구가 형성되는 제 2 용기부와, 상측에는 상기 제 1 용기부의 하부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하측에는 상기 제 2 용기부의 상부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링부와, 상기 연결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링부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격실판이 일체로 연결형성되며 상기 격실판에는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주출구를 연통시키는 연통공이 구비되는 회전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 용기부는 투명한 재질로 제조될 수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용기부가 상기 연결링부에 결합될 때 상기 제 1 및 제 2 주출구는 수직방향으로 일렬로 정렬되며, 상기 제 1 용기부의 하부는 상기 연결링부의 상측 내주면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제 2 용기부의 상부는 상기 연결링부의 하측 내주면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음료용기, 용기부, 주출구, 연결링부, 회전링부, 격실판, 연통공

Description

음료용기{RECEPTACLE FOR A BEVARAGE}
본 발명은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종의 음료를 분리수용하여 각각 음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이종의 음료를 혼합하여 음용할 수도 있도록 한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는 상부에 주출구가 형성된 용기 내에 수용되어 판매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음료용기 내에는 하나의 음료만 수용될 수 있어 결국 오직 하나의 음료만 음용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는 데 어려움이 있다.
최근에는 하나의 용기 내에 이종의 음료를 수용하여 다양한 음료의 맛을 즐길 수 있도록 한 음료용기가 다수 출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음료용기의 대부분은 이종의 음료가 상하부에 각각 수용가능하도록 중앙에 격벽이 형성되고 각각의 음료가 개별적으로 주출될 수 있도록 용기의 상단과 하단에 주출구가 각각 형성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음료용기의 경우에는 양 주출구가 음료용기의 상단과 하단에 그대로 노출되어 먼지나 오물 등에 의해 오염되기 쉬운 관계로, 용기 내부에 수용된 음료를 마시고자 할 경우 오염된 주줄구로 인해 위생적으로 상당한 불결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하부에 각각 수용된 음료를 섞어 마시고자 할 경우에는 상단에 형성된 주출구를 개방하여 격벽을 기준으로 용기 내의 상부에 수용된 음료를 별도의 용기 내에 부은 다음, 하단에 형성된 주출구를 개방하여 격벽을 기준으로 용기 내의 하부에 수용된 음료를 상부에 수용된 음료가 이미 수용된 별도의 용기 내에 또 다시 부워 섞어 마셔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종의 음료를 각각 분리수용함과 동시에 음료를 위생적으로 음용할 수 있도록 한 음료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조작을 통해 이종의 음료를 혼합하여 음용할 수 있어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 음료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면에 제 1 주출구가 형성되는 제 1 용기부와, 상부면에 제 2 주출구가 형성되는 제 2 용기부와, 상측에는 상기 제 1 용기부의 하부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하측에는 상기 제 2 용기부의 상부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링부와, 상기 연결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링부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격실판이 일체로 연결형성되며 상기 격실판에는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주출구를 연통시키는 연통공이 구비되는 회전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음료용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 용기부는 투명한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 용기부가 상기 연결링부에 결합될 때 상기 제 1 및 제 2 주출구는 수직방향으로 일렬로 정렬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용기부의 하부는 상기 연결링부의 상측 내주면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제 2 용기부의 상부는 상기 연결링부의 하측 내주면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링부에는 상기 격실판에 대한 연결부분이 일정 각도범위 내에서 좌우로 회전가능하도록 관통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링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격실판의 지지를 위한 그루브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링부의 격실판의 상,하부면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주출구의 내측에 위치되는 링상돌기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용기부에 이종의 음료가 각각 수용될 수 있어, 하나의 용기로 다양한 음료의 맛을 즐길 수 있으며, 특히 제 1 및 제 2 용기부가 개별적으로 분리결합될 수 있어 친구나 연인끼리 음료를 서로 나누어 마실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용기부의 주출구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음에 따라 위생적으로 음료를 마실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회전링부의 회전을 통해 제 1 및 제 2 용기부 내의 이종의 음료를 서로 혼합하여 마실 수 있고 특히 투명한 제 1 및 제 2 용기부를 사용할 경우 이종의 음료가 혼합되는 상태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어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3a 및 도 3b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의 작동단면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1)는 이종의 음료를 각각 분리수용함과 동시에 음료를 위생적으로 음용할 수 있도록 하며 간단한 조작을 통해 이종의 음료를 혼합하여 음용할 수 있어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부면에 제 1 주출구(11)가 형성되는 제 1 용기부(10)와, 상부면에 제 2 주출구(21)가 형성되는 제 2 용기부(20)와, 상측에는 제 1 용기부(10)의 하부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하측에는 제 2 용기부(20)의 상부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링부(30)와, 연결링부(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연결링부(30)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격실판(41)이 일체로 연결형성되며 격실판(41)에는 회전방향에 따라 제 1 및 제 2 주출구(11 및 21)를 연통시키는 연통공(43)이 구비되는 회전링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삭제
여기서 제 1 용기부(10)는 그 내부에 음료가 주출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으로, 하부면에 음료의 주출을 위한 제 1 주출구(11)가 형성되고, 그 하부는 차후에 설명될 연결링부(30)의 상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2 용기부(20)는 그 내부에 또 다른 음료가 주출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으로, 상부면에 음료의 주출을 위한 제 2 주출구(21)가 형성되고, 그 상부는 차후에 설명될 연결링부(30)의 하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1 및 제 2 용기부(10 및 20)는 합성수지재, 유리재, 금속재, 또는 목재 등 다양한 재질로 제조될 수 있으나, 두 음료의 혼합 상태가 외부에로 시각적으로노출될 수 있도록 투명한 합성수지재나 투명한 유리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 1 용기부(10)의 하부는 연결링부(30)의 상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전술한 제 2 용기부(20)의 상부는 연결링부(30)의 하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 연결링부(30)는 제 1 용기부(10)와 제 2 용기부(20)를 일체로 결합하여 하나의 용기로 사용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제 1 및 제 2 주출구(11 및 21)가 먼 지나 오물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며, 차후에 설명될 회전링부(40)의 회전운동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1 용기부(10)의 하부는 연결링부(30)의 상측 내주면에 나사결합되고 제 2 용기부(20)의 상부는 연결링부(30)의 하측 내주면에 나사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제 1 용기부(10)의 하부 외주면에는 제 1 나사결합부(13)가 형성되고, 제 2 용기부(20)의 상부 외주면에는 제 2 나사결합부(23)이 형성되며, 연결링부(30)의 상측 내주면에는 제 1 나사결합부(13)에 상응하는 제 3 나사결합부(31)가 형성되고, 연결링부(30)의 하측 내주면에는 제 2 나사결합부(23)에 상응하는 제 4 나사결합부(33)가 형성된다.
또한 제 1 또는 제 2 용기부(10 또는 20)의 분리시에 제 2 또는 제 1 용기부(20 또는 10)을 파지하여 제 1 또는 제 2 용기부(10 또는 20)만 회전시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 용기부(10 및 20)는 동일한 나사방향으로 연결링부(3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용기부(10 및 20)가 연결링부(30)에 상하부에 각각 결합될 때 제 1 및 제 2 주출구(11 및 21)는 차후에 설명될 격실판(41)의 연통공(43)에 의해 연통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일렬로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연결링부(30)에는 회전링부(4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 회전링부(40)는 그 회전방향에 따라 제 1 및 제 2 용기부(10 및 20)의 제 1 및 제 2 주출구(11 및 21)를 연통시켜 양 음료가 혼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 회전링부(40)에는 연결링부(30)의 내측으로 연장됨에 따라 제 1 및 제 2 용기부(10 및 20) 사이에 위치되는 격실판(41)이 일체로 연결형성되고, 이 격실판(41)에는 회전방향에 따라 제 1 및 제 2 주출구(11 및 21)를 연통시키는 연통공(43)이 관통 형성된다.
전술한 격실판(41)의 연결형성을 위하여 연결링부(30)에는 격실판(41)에 대한 연결부분(41a)이 일정 각도범위 내에서 좌우로 회전가능하도록 관통홈(35)이 형성되고 회전링부(40)의 회전에 따른 격실판(41)의 회전운동을 지지하기 위하여 연결링부(30)의 내주면에는 격실판(41)의 가장자리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지지되는 그루브(37)가 형성된다.
또한 회전링부(40)의 격실판(41)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는 링상돌기(45)가 돌출형성되는데, 이 링상돌기(45)는 돌출된 제 1 및 제 2 주출구(11 및 21)의 내측에 격실판과 동심으로 돌출형성되어 회전링부(40)가 원할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그루브(37)에 의해 지지되는 격실판(41)이 더욱 확고히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링상돌기(45)가 제 1 용기부(10)의 하부면과 제 2 용기부(20)의 상부면에 접하는 높이로 돌출될 경우에는, 제 1 및 제 2 주출구(11 및 21)를 연통시켜 양 음료의 혼합시 음료가 새는 것을 방지하는 일종의 패킹 역할을 검하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1)의 사용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제 1 주출구(11)를 통해 제 1 용기부(10) 내에 특정 음료를 수납시켜 연결링부(30)의 상측에 결합시키고, 제 2 주출구(21)를 통해 제 2 용기부(20) 내에 또 다른 종류의 음료를 수납하여 연결링부(30)의 하측에 결합시킨다.
이 상태로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1)를 휴대하다가 음료를 마시고자 할 경우에는 기호에 따라 연결링부(30)로부터 제 1 및 제 2 용기부(10 및 20)를 각각 분리시켜 제 1 및 제 2 주출구(11 및 21)를 통해 원하는 음료를 마실 수 있다. 이 경우에 제 1 용기부(10)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 2 용기부(20)를 파지한 상태에서 제 1 용기부(10)를 개방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되고, 반대로 제 2 용기부(20)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 1 용기부(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제 2 용기부(20)를 개방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또한 2인이 각각의 용기부(10 및 20) 내에 수용된 음료를 선택하여 마실 수 있어 친구나 연인이 음료를 나눠 마시기 용이하다. 또한 이 경우에 제 1 및 제 2 주출구(11 및 21)는 연결링부(30)의 내부에 위치됨에 따라 먼지나 오물에 의해 오염될 염려가 전혀 없어 위생적인 음료섭취가 가능해 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제 1 및 제 2 용기부(10 및 20) 내의 음료를 섞어 마시고자 할 경우에는 연결링부(30)에 대해 회전링부(40)를 회전시키기만 하면 되는데, 이 경우에는 격실판(41)의 개재에 의해 막혀있던 제 1 및 제 2 주출구(11 및 21)가 회전링부(40)의 회전에 의해 제 1 및 제 2 주출구(11 및 21) 사이에 연통공(43)이 위치되어 제 1 및 제 2 주출구(11 및 21)가 서로 연통됨으로써 제 1 및 제 2 용기부(10 및 20) 내의 음료가 서로 섞여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제 1 및 제 2 용기부(10 및 20)가 투명한 재질로 제조될 경우에는 예를 들어 서로 색이 상이한 두 음료가 서로 섞여지는 상태가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인지될 수 있어 보는 재미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이한 음료의 혼합에 의해 색다른 맛까지 제공될 수 있어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특히 칵테일 제조를 위해 사용될 경우에는 칵테일 제조가 더욱 간단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님들에게 더욱 색다른 재미와 이벤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의 작동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 10 : 제 1 용기부
11 : 제 1 주출구 13 : 제 1 나사결합부
20 : 제 2 용기부 21 : 제 2 주출구
23 : 제 2 나사결합부 30 : 연결링부
31 : 제 3 나사결합부 33 : 제 4 나사결합부
35 : 관통홈 37 : 그루브
40 : 회전링부 41 : 격실판
41a : 연결부분 43 : 관통공
45 : 링상돌기

Claims (5)

  1. 하부면에 제 1 주출구가 형성되는 제 1 용기부;
    상부면에 제 2 주출구가 형성되는 제 2 용기부;
    상측에는 상기 제 1 용기부의 하부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하측에는 상기 제 2 용기부의 상부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링부; 및
    상기 연결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링부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격실판이 일체로 연결형성되며 상기 격실판에는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주출구를 연통시키는 연통공이 구비되는 회전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링부에는 상기 격실판에 대한 연결부분이 일정 각도범위 내에서 좌우로 회전가능하도록 관통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링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격실판의 지지를 위한 그루브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링부의 격실판의 상,하부면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주출구의 내측에 위치되는 링상돌기가 돌출형성되는 음료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용기부는 투명한 재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용기부가 상기 연결링부에 결합될 때 상기 제 1 및 제 2 주출구는 수직방향으로 일렬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용기부의 하부는 상기 연결링부의 상측 내주면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제 2 용기부의 상부는 상기 연결링부의 하측 내주면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5. 삭제
KR1020080003776A 2008-01-14 2008-01-14 음료용기 KR100954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776A KR100954395B1 (ko) 2008-01-14 2008-01-14 음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776A KR100954395B1 (ko) 2008-01-14 2008-01-14 음료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8026A KR20090078026A (ko) 2009-07-17
KR100954395B1 true KR100954395B1 (ko) 2010-04-26

Family

ID=41336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3776A KR100954395B1 (ko) 2008-01-14 2008-01-14 음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43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8918A2 (en) * 2012-08-17 2014-02-20 Altus Justin Grant Multiple container device
KR200477020Y1 (ko) * 2014-02-26 2015-04-27 이재호 빈병 연결 장치
CN106144253A (zh) * 2016-06-30 2016-11-23 洛阳龙翼钙佳佳科技有限公司 一种含钙饮料专用包装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56475A1 (en) 1997-01-30 1998-08-05 American Cyanamid Company Improved valve assembly for use with containers in a closed application system
KR200170712Y1 (ko) * 1997-11-18 2000-03-02 박지용 즉석 가루음료 제조용기
JP2005289416A (ja) 2004-03-31 2005-10-20 Masanori Kanayama 原料等をキャップに付属させた瓶型の飲料容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56475A1 (en) 1997-01-30 1998-08-05 American Cyanamid Company Improved valve assembly for use with containers in a closed application system
KR200170712Y1 (ko) * 1997-11-18 2000-03-02 박지용 즉석 가루음료 제조용기
JP2005289416A (ja) 2004-03-31 2005-10-20 Masanori Kanayama 原料等をキャップに付属させた瓶型の飲料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8026A (ko) 2009-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1273678B2 (en) Single handed container for mixing foods
US9718582B2 (en) Multiple chamber fluid container
US10421595B2 (en) Multi-compartment snack storage and dispensing appliance
US7607386B2 (en) System for simultaneously brewing and dispensing multiple beverages or any variation thereof from a single unitary structure
US6932231B2 (en) Beverage cup lid with a condiment addition well
US7364348B1 (en) Drinking vessel with mixer
US4651900A (en) Dual compartment serving pot
US20090127263A1 (en) Multiple chamber fluid container
US20090266737A1 (en) Beverage container permitting multiple configurations
US7740153B2 (en) Dispensing container for two beverages
WO2006060691A2 (en) Plural chamber drinking cup
EP1746901A2 (en) Adapter for blender pitcher
WO2009032837A1 (en) Multi-chambered beverage container
KR100954395B1 (ko) 음료용기
US20190315550A1 (en) Insta-mix cup
US20110107919A1 (en) Multiple brewing and dispensing decanter
CA3085290C (en) Drinking cup with solid ingredient storing space
KR20180003174U (ko) 다수개의 수납부와 토출수단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050079371A (ko) 혼합 용기
US2681745A (en) Pressure responsive multipurpose pot
KR20110013099A (ko) 음료용기
US10464710B2 (en) Twin-glass combinational drinking apparatus
US20020084292A1 (en) Container for dispensing a small amount of the contents
CN214242050U (zh) 一种用于酒类自由勾兑的瓶盖和应用该瓶盖的酒瓶
TWM565689U (zh) Splash-proof lid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