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2702A - 무선 통신에 의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에 의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2702A
KR20110012702A KR1020090070530A KR20090070530A KR20110012702A KR 20110012702 A KR20110012702 A KR 20110012702A KR 1020090070530 A KR1020090070530 A KR 1020090070530A KR 20090070530 A KR20090070530 A KR 20090070530A KR 20110012702 A KR20110012702 A KR 20110012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unit
elevator
wireless communication
elevator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0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8387B1 (ko
Inventor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주)바벨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벨시스템 filed Critical (주)바벨시스템
Priority to KR1020090070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8387B1/ko
Publication of KR20110012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2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61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between the elevator control system and remote or mobile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53Procedure or protocol for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및 승강장 장치가 무선 통신에 의해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통신에 의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은 카의 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한 도어 개폐 버튼과, 이동하고자 하는 층의 입력을 위한 층설정 버튼 및 비상호출 버튼을 포함하는 입력부와, 카의 운행층과 운행방향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와 직접적인 무선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제1 슬레이브 통신부와,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제1 슬레이브 통신부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 전송하고,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부터 제1 슬레이브 통신부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가 장착된 엘리베이터 카와, 건물 내부의 각 층에 구비되며, 엘리베이터 카를 호출하는 호출입력버튼과, 현재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층 및 운행 방향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와 직접적인 무선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슬레이브 통신부와,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슬레이브 통신부를 통하여 전송하고,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부터 슬레이브 통신부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승강장 장치와,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시키는 기계부와, 엘리베이터 카 및 승강장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마스터 통신부와, 마스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층설정 입력 또는 카 호출 입력에 대응하여, 기계부를 제어 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에 의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ELEVATOR CONTROL SYSTEM BY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엘리베이터 카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및 승강장 장치가 무선 통신에 의해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통신에 의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건물에서 승객의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해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장치는, 대략 그 내부에 승객을 선택적으로 탑승시킨 후 건물 내부에 수직방향을 따라 형성된 승강로를 통해 상ㆍ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엘리베이터 카와, 소정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 및 모터부의 구동력을 매개로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연결된 로프를 이동시켜 엘리베이터 카를 승ㆍ하강 시키는 권상기 등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기계부 및, 승객의 임의적인 버튼 조작에 따라 기계부를 제어하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운행될 수 있도록 제어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이때,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에는 엘리베이터 카의 도어를 선택적으로 개폐시 키기 위한 도어개폐버튼, 해당 탑승객이 이동하고자 하는 해당 층의 입력을 위한 층설정버튼, 엘리베이터 장치의 고장 시에 그 이상상태를 외부로 알리기 위한 비상호출버튼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 다수 개의 버튼부 및, 현재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층 및 운행방향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설치된다.
그리고, 승객이 엘리베이터 카를 탑승하기 위하여 해당 건물 내부의 각 층마다 구비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는 엘리베이터 카를 승객이 위치한 해당 층으로 호출하기 위한 호출입력버튼 및, 현재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층 및 운행방향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설치된다.
상술된 엘리베이터 제어부와, 엘리베이터 카 및 승강장에 설치된 장치들은 통신을 위한 유선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어야 하며, 엘리베이터 카와 엘리베이터 제어부 간의 통신의 경우, 엘리베이터 카의 이동을 고려한 충분한 길이의 케이블이 엘리베이터 카에 연결되어야 한다. 이러한 통신 케이블은 엘리베이터 카의 이동을 위한 충분한 길이를 지녀야 하므로, 엘리베이터 시공에서 상당 부분의 비용을 증가시키게 되며, 그 중량도 증가하게 되어, 엘리베이터가 수송할 수 있는 인원(무게 또는 중량)이 상대적으로 감소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통신 케이블은 엘리베이터 카의 이동과 함께 이동하게 되므로, 마모 등의 문제가 항상 있으며, 통신 케이블 내에 단선 등에 의한 통신 두절의 경우, 점검 및 수리가 곤란하여, 통신 케이블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유선 케이블을 제거하여, 무선 통신에 의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무선 통신에 의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의 기반이나, 비상시를 위한 유선 케이블을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통신 환경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무선 통신에 의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 속도의 재설정 또는 변경에 의해, 통신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 통신에 의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인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은 카의 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한 도어 개폐 버튼과, 이동하고자 하는 층의 입력을 위한 층설정 버튼 및 비상호출 버튼을 포함하는 입력부와, 카의 운행층과 운행방향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와 직접적인 무선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제1 슬레이브 통신부와,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제1 슬레이브 통신부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 전송하고,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부터 제1 슬레이브 통신부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가 장착된 엘리베이터 카와, 건물 내부의 각 층에 구비되며, 엘리베이터 카를 호출하는 호출입력버튼과, 현재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층 및 운행 방향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와 직접적인 무선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슬레이브 통신부와,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슬레이브 통신부를 통하여 전송하고,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부터 슬레이브 통신부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승강장 장치와,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시키는 기계부와, 엘리베이터 카 및 승강장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마스터 통신부와, 마스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층설정 입력 또는 카 호출 입력에 대응하여, 기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 구성된다.
또한, 엘리베이터 카와 승강장 장치 및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간에는, 바이너리 CDMA 통신에 따른 제1채널로 무선 통신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에 독립적이고, 엘리베이터 카와 무선 통신하는 마스터 통신부와, 관리실 장치와 유선 통신을 수행하는 유선 통신부를 구비하는 관리 장치를 구비하고, 엘리베이터 카는 관리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제2슬레이브 통신부를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엘리베이터 카와 관리 장치 간에는 바이너리 CDMA 통신에 따른 제2채널로 무선 통신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관리 장치와 엘리베이터 카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유선 통신부를 각각 구비하고, 유선 통신부들은 유선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선 통신부에 의한 데이터 통신에 의해 도어의 개폐 신호,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엘리베이터 카 내의 비상호출버튼의 입력에 따른 통신 시에, 엘리베이터 카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간의 바이너리 CDMA 통신을 수행함에 있어, 또는 엘리베이터 카와, 관리 장치 간의 바이너리 CDMA 통신을 수행함에 있어, 이전 통신 속도보다 느린 통신 속도로 무선 통신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유선 케이블을 제거하여, 무선 통신에 의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가 제어해야 하는 엘리베이터 카 및 로프의 무게 또는 중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의 기반이나, 비상시를 위한 유선 케이블을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통신 환경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 속도의 재설정 또는 변경에 의해, 통신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들과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기재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에 의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은 건물에서 승객의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해 그 내부에 승객을 탑승시킨 후 건물 내부에 수직방향을 따라 형성된 승강로를 통해 상ㆍ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엘리베이터 카(또는 엘리베이터 카 제어 장치)(10)와, 승객이 엘리베이터 카(10)를 탑승하기 위하여 해당 건물 내부의 각 층(1 내지 4층)마다 구비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장치(20a 내지 20d)(통칭하여, 20으로 지시됨)와, 소정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구동력을 매개로 엘리베이터 카(10)가 연결된 로프(40)를 이동시켜 엘리베이터 카(10)를 승ㆍ하강시키고, 승객의 임의적인 버튼 조작(승강장 제어 장치(20)에서의 조작 및, 엘리베이터 카(10)에서의 조작 등)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10)가 운행될 수 있도록 제어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와, 엘리베이터 카(10)의 운행 정보, 도어의 개폐, 또는 비상 상태의 발생 시의 데이터 수신 및 관리실 장치로의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는 관리 장치(5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에 전원을 각 구성요소에 공급하는 전원 장치가 구비되어야 하나, 이러한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숙한 사람에게는 당연히 구비되는 것이므로, 그 설명이 생략된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통신 구성도이다.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내의 통신 구성에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는 엘리베이터 카(10)와 무선 통신을 통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는 승강장 장치(20a 내지 20d)와 무선 통신을 통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와, 엘리베이터 카(10) 사이의 무선 통신, 엘리베 이터 제어 장치(30)와, 승강장 장치(20a 내지 20d) 사이의 무선 통신에 바이너리 CDMA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바이너리 CDMA는 CDMA 전송신호를 binary로 변환, 전송하여 시스템 및 부품의 단순화가 가능케 하는 통신 방식이다. 이러한 바이너리 CDMA기술은 CDMA 기술이기에 보안에 강하고, 둘째 55Mbps의 고속 통신이며, 셋째 원거리 무선 전송이 가능하고, 넷째 잡음 등 노이즈에 강하고, 다섯째 네트워크 내의 모드 노드에게 동일한 QoS를 보장한다. 본 발명에서, 바이너리 CDMA 통신 방식은 무선 통신의 일 실시예로 인식되어야 한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와, 엘리베이터 카(10) 사이의 무선 통신 채널과,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와, 승강장 장치(20a 내지 20d) 사이의 무선 통신 채널은 동일 채널(예를 들면, 제1채널)일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한 채널들일 수도 있다. 여기서, 서로 상이한 채널들은 모두 독립적인 채널로서, 서로 간에 간섭이 없는 독립된 채널이다.
아울러, 엘리베이터 카(10)는 관리 장치(50)와 무선 통신을 통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에 바이너리 CDMA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엘리베이터 카(10)와 관리 장치(50) 간의 통신 채널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와, 엘리베이터 카(10) 사이의 무선 통신 채널과,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와, 승강장 장치(20a 내지 20d) 사이의 무선 통신 채널에 대하여 각각 독립적인 채널(예를 들면, 제2채널)이 사용된다.
또한, 도어 개폐와 비상시를 위해, 엘리베이터 카(10)와 관리 장치(50)는 유선(L1)을 통한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장치(50)는 유선(L2)을 통 하여 관리실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관리실 장치는 관리자로부터의 명령을 관리 장치(50)로 인가하거나, 관리 장치(5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단말기에 해당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엘리베이터 카에 설치된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엘리베이터 카(10)의 기계적인 구조와 장치에 대한 사항은 설명되지 않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10)는 엘리베이터 카의 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한 도어 개폐 버튼과, 이동하고자 하는 층의 입력을 위한 층설정 버튼 및 비상호출 버튼을 포함하는 입력부(11)와, 엘리베이터 카(10)의 운행층과 운행방향을 표시하는 표시부(12)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와 직접적인 무선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제1 슬레이브 통신부(13)와, 관리 장치(50)와 직접적인 무선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제2 슬레이브 통신부(14)와, 관리 장치(50)와의 유선 통신을 위한 유선 통신부(15) 및, 입력부(11)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제1 또는 제2슬레이브 통신부(13), (14)를 통하여 전송하고,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로부터 제1슬레이브 통신부(13)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부(12)에 표시하거나, 그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고, 관리 장치(50)로부터 제2슬레이브 통신부(14)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부(12)에 표시하거나 그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17)를 구비한다. 이들 입력부(11)와, 표시부(12)와, 제1 및 제2슬레이브 통신부(13), (14)와, 유선 통신부(15) 및 제어부(17)는 엘리베이터 카(10)의 기계적 장치에 장착된다.
입력부(11)는 일반적인 버튼이 적용될 수도 있고, 터치 패드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입력부(11)는 엘리베이터 카(10) 내부의 영상 또는 음향을 획득할 수 있는 카메라나 마이크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표시부(12)는 일정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예를 들면, LED 또는 LCD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표시부(12)는 엘리베이터 카(10)에 음향을 청각적으로 표출할 수 있는 스피커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제1슬레이브 통신부(13)는 기설정된 통신 채널, 예를 들면, 제1채널(CH1)을 통하여,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와, 바이너리 CDMA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슬레이브 통신부(13)은 제어부(17)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변환하여, 안테나(ANT)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고, 안테나(ANT)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 또는 신호를 복조하여 제어부(17)로 전송한다.
제2슬레이브 통신부(14)는 기설정된 통신 채널, 예를 들면, 제2채널(CH1)을 통하여, 관리 장치(50)와, 바이너리 CDMA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슬레이브 통신부(14)은 제어부(17)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변환하여, 안테나(ANT)를 통하여 관리 장치(50)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고, 안테나(ANT)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 또는 신호를 복조하여 제어부(17)로 전송한다.
이 제2슬레이브 통신부(14)는 제1 슬레이브 통신부(13)에 대하여 독립적인 통신 수단에 해당하며, 제2슬레이브 통신부(14)와 관리 장치(50) 간의 통신 채널도,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와, 엘리베이터 카(10) 사이의 무선 통신 채널과,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와, 승강장 장치(20a 내지 20d) 사이의 무선 통신 채널에 대하여 독립적인 통신 채널(예를 들면, 제2채널)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선 통신부(15)는 유선(L1)을 통하여 관리 장치(50)(정확하게는, 관리 장치(50)의 유선 통신부)에 연결되어, 각각의 유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들 유선(L1)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것으로, 특히, 비상 시(예를 들면, 비상호출 버튼의 입력 시)에 신속한 데이터(예들 들면, 영상 또는 음향 등)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관리 장치(50)로부터의 도어 개폐 신호를 엘리베이터 카(10)로 전송할 경우에도, 무선 통신과 함께 유선 통신이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7)는 입력부(11)와, 표시부(12)와, 유선 통신부(15)와, 제1 및 슬레이브 통신부(13), (14)를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카(10)의 운행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하거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도 4는 도 1의 승강장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4의 승강장 장치는 건물 내부의 각 층에 구비되며, 엘리베이터 카(10)를 호출하는 호출입력버튼을 포함하는 입력부(21)와, 현재 엘리베이터 카(10)의 운행층 및 운행 방향을 표시하는 표시부(22)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와 직접적인 무선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슬레이브 통신부(23)와, 각 층의 정해진 위치에 엘리베이터 카(10)가 정확하게 정지하였는지 등을 감지하는 감지부(25)와, 입력부(21)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슬레이브 통신부(23)를 통하여 전송하고,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로부터 슬레이브 통신부(23)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부(11)에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27)를 구비한다.
입력부(21)는 일반적인 버튼식 또는 터치 패드 등과 같은 입력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22)는 예들 들면, LED 또는 LCD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슬레이브 통신부(23)는 기설정된 통신 채널, 예를 들면, 제1채널(CH1)을 통하여,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와 바이너리 CDMA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슬레이브 통신부(23)은 제어부(27)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변환하여, 안테나(ANT)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고, 안테나(ANT)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 또는 신호를 복조하여 제어부(27)로 전송한다.
감지부(25)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카(10)가 각 층의 정해진 위치에 정지하였는지 등을 감지하여, 제어부(27)에 인가한다. 또한, 감지부(25)는 엘리베이터 카(10)가 진행하는 층을 알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 카(10)가 통과할 경우, 그 통과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제어부(27)는 입력부(21)와, 표시부(22)와, 감지부(25) 및 슬레이브 통신부(23)를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카(10)에 대한 호출 신호, 감지 결과(정해진 위치의 정지 또는 해당 층의 통과 여부)를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30)에 전송하고,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로부터 데이터(운행방향, 운행층 등)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도 5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는 엘리베이터 카(10)를 이동시키는 기계부(32)와, 엘리베이터 카(10)와 승강장 장치(20)와 무선 통신을 각각 수행하는 마스터 통신부(33)와, 마스터 통신부(33)를 통하여 수신된 층설정 입력 또는 카 호출 입력에 대응하여, 기계부(32)를 제어하는 제어부(37)를 구비한다.
기계부(32)는 엘리베이터 카(10)를 이동시키는 일반적인 장치에 해당된다. 즉, 기계부(32)는 소정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 및 모터부의 구동력을 매개로 엘리베이터 카(10)가 연결된 로프(40)를 이동시켜 엘리베이터 카(10)를 승ㆍ하강 시키는 권상기 등이 포함한다.
마스터 통신부(33)는 기설정된 제1채널(CH1)을 통한 바이너리 CDMA 통신을 수행한다. 즉, 마스터 통신부(33)는 엘리베이터 카(10)와, 승강장 장치(20)와의 통신을 위해 동일한 통신채널(예를 들면, 제1채널)을 사용할 수 있다. 마스터 통신부(33)는 제어부(37)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변환하여, 안테나(ANT)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카(10) 및/또는 승강장 장치(20)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고, 안테나(ANT)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 또는 신호를 복조하여 제어부(37)로 전송한다.
제어부(37)는 엘리베이터 카(10)와, 승강장 장치(2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및 표시되는 데이터의 제어를 직접적으로 수행하여, 엘리베이터 카(10)가 이동하거나 정지하도록 하여, 승객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37)는 기계부(32)와, 마스터 통신부(33)를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마스터 기능을 수행하여, 슬레이브 기능을 수행하는 엘리베이터 카(10)와, 승강장 장치(20)를 제어한다.
도 6은 도 2의 관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관리 장치(50)는 유선(L1)을 통하여 엘리베이터 카(10)와 유선 통신을 수행하는 유선 통신부(51)와, 엘리베이터 카(1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마스터 통신부(53) 및, 유선 통신부(51) 및 마스터 통신부(53)를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카(10)와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어부(57)를 구비한다.
유선 통신부(51)는 유선(L1)을 통한 엘리베이터 카(10)와의 통신뿐만 아니라, 관리실 장치와의 유선 통신을 위한 유선(L2)과의 접속을 유지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관리실 또는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관리자로부터의 제어 명령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마스터 통신부(53)는 기설정된 통신 채널, 예를 들면 제2채널(CH2)을 통한 바이너리 CDMA 통신을 수행한다. 즉, 마스터 통신부(53)는 엘리베이터 카(10)와의 통신을 위해 제2채널을 사용한다. 마스터 통신부(53)는 제어부(57)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변환하여, 안테나(ANT)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카(10)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고, 안테나(ANT)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 또는 신호를 복조하여 제어부(57)로 전송한다.
제어부(57)는 유선 통신부(51) 및 마스터 통신부(53)를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카(10)에 대하여 마스터 기능을 수행하여, 필요한 정보(엘리베이터 카(10)의 운행층, 운행 방향, 비상 시의 영상 또는 음향)을 관리실 장치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57)는 위의 정보를 관리실 장치로 전송하므로, 관리실 장치를 조작하는 관리자는 유선(L2)을 통하여 제어 명령(예를 들면, 도어의 개폐 등)을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능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가 엘리베이터 카(10)의 도어를 개폐하지 못할 경우, 관리자가 직접적으로 엘리베이터 카(10)의 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하고자 할 경우, 그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관리실 장치를 통하여 관리 장치(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관리 장치(50)는 이 제어 명령을 엘리베이터 카(10)로 전송하여, 그에 따른 제어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전체적인 제어 흐름에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는 엘리베이터 카(10)와, 승강장 장치(20)를 제어한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는 슬레이브 기능을 수행하는 승강장 장치(20)로부터의 호출입력에 대응하여, 엘리베이터 카(10)를 호출된 해당 층으로 이동시키고, 그에 따른 운행 방향 및 운행층을 엘리베이터 카(10) 및 승강장 장치(20)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어 과정에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는 승강장 장치(20)의 감지부(25)로부터의 데이터에 의해 현재 엘리베이터 카(10)의 위치를 파악하여, 엘리베이터 카(10)의 상승, 하강 및 이동 없음(엘리베이터 카(10)의 현재 층과, 호출 입력을 송신한 승강장 장치(20)가 설치된 층이 동일한 경우)을 결정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는 엘리베이터 카(10) 내에서의 층설정 입력에 대응하여, 엘리베이터 카(10)를 현재 층을 기준으로 하여, 설정된 층으로 이동시키고, 엘리베이터 카(10)의 운행 방향 및 운행층을 엘리베이터 카(10) 및 승강장 장치(20)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어 과정에서, 호출입력, 층설정 입력 및 표시 정보가 상술된 무선 통신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가 엘리베이터 카(10)의 도어 개폐, 승강장 장치(20)의 도어 개폐를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고, 엘리베이터 카(10)와 승강장 장치(20)가 독립적으로 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도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는 승객이 비상호출버튼을 누른 것과 같은 비상 시에, 마스터 통신부(33)의 통신 속도를 조절하여, 통신의 신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비상시에 안정적인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 이너리 CDMA의 통신 속도는 6, 12, 22, 55 Mbps로 선택될 수 있으며, 통상 시에는 제어부(37)는 마스터 통신부(33)가 22 Mbps로, 즉 고속 통신이 수행되도록 하며, 비상 시에는 제어부(37)는 마스터 통신부(33)가 6 Mbps로, 즉 저속 통신이 수행되도록 하여, 데이터의 왜곡을 방지하여 통신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는 비상 시에는, 엘리베이터 카(10)로부터의 음향(또는 음성) 데이터만을, 또는 음향 및 영상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송수신되도록 하여, 비상 시에 승객의 안전 및 상황 대처를 위한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관리 장치(50)의 경우도,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와 유사하게, 비상 시에, 상술된 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장치(50)는 특히 비상 시에는, 무선 통신을 전혀 수행하지 않고, 유선 통신만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관리 장치(50)는 마스터 통신부(53)의 기능을 기능 정지 상태와 같이 설정하고, 유선 통신부(51)의 기능을 활성화할 수도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의 마스터 통신부(33)는 제어부(37)와 유선을 통하여 통신 가능한 제1마스터 통신부와, 제1마스터 통신부를 통하여 제어부(37)와 연결된 제2마스터 통신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마스터 통신부는 슬레이브인 엘리베이터 카(10)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되, 예를 들면, 제1채널을 통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제2마스터 통신부는 슬레이브인 승강장 장치(20)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되, 예를 들면, 제3채널을 통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제1채널과 제3채널은 서로 독립된 통신 채널이다. 제1마스터 통신부와 제2마스터 통신부는 유선에 의해 연결되어 유선 통신이 수행된다.
제1마스터 통신부는 엘리베이터 카(10)와의 통신을 위해 제1채널을 사용하며, 제어부(37)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변환하여, 안테나(ANT)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카(10)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고, 안테나(ANT)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 또는 신호를 복조하여 제어부(37)로 전송한다. 또한, 제1마스터 통신부는 제2마스터 통신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변조/변환하거나, 또는 이미 변조/변환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37)에 전송한다. 또한, 제1마스터 통신부는 제어부(37)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변조/변환하거나 또는 그대로 제2마스터 통신부로 전송하여, 제2마스터 통신부를 통하여 승강장 장치(20)로 전송되도록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와 엘리베이터 카(10) 간의 무선 통신과,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0)와 승강장 장치(20) 간의 무선 통신이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되도록 하여, 제1마스터 통신부에서 변조/변환하거나 처리해야 할 데이터 양 또는 데이터 트래픽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에 의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통신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엘리베이터 카에 설치된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의 승강장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2의 관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Claims (7)

  1. 카의 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한 도어 개폐 버튼과, 이동하고자 하는 층의 입력을 위한 층설정 버튼 및 비상호출 버튼을 포함하는 입력부와, 카의 운행층과 운행방향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와 직접적인 무선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제1 슬레이브 통신부와,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제1 슬레이브 통신부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 전송하고,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부터 제1 슬레이브 통신부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가 장착된 엘리베이터 카와;
    건물 내부의 각 층에 구비되며, 엘리베이터 카를 호출하는 호출입력버튼과, 현재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층 및 운행 방향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와 직접적인 무선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슬레이브 통신부와,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슬레이브 통신부를 통하여 전송하고,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부터 슬레이브 통신부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승강장 장치와;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시키는 기계부와, 엘리베이터 카 및 승강장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마스터 통신부와, 마스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층설정 입력 또는 카 호출 입력에 대응하여, 기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에 의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와 승강장 장치 및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간에는, 바이너리 CDMA 통신에 따른 제1채널로 무선 통신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에 의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에 독립적이고, 엘리베이터 카와 무선 통신하는 마스터 통신부와, 관리실 장치와 유선 통신을 수행하는 유선 통신부를 구비하는 관리 장치를 구비하고, 엘리베이터 카는 관리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제2슬레이브 통신부를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에 의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와 관리 장치 간에는 바이너리 CDMA 통신에 따른 제2채널로 무선 통신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에 의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관리 장치와 엘리베이터 카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유선 통신부를 각각 구비 하고, 유선 통신부들은 유선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에 의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유선 통신부에 의한 데이터 통신에 의해 도어의 개폐 신호,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에 의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 내의 비상호출버튼의 입력에 따른 통신 시에, 엘리베이터 카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간의 바이너리 CDMA 통신을 수행함에 있어, 또는 엘리베이터 카와, 관리 장치 간의 바이너리 CDMA 통신을 수행함에 있어, 이전 통신 속도보다 느린 통신 속도로 무선 통신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에 의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KR1020090070530A 2009-07-31 2009-07-31 무선 통신에 의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KR101138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530A KR101138387B1 (ko) 2009-07-31 2009-07-31 무선 통신에 의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530A KR101138387B1 (ko) 2009-07-31 2009-07-31 무선 통신에 의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702A true KR20110012702A (ko) 2011-02-09
KR101138387B1 KR101138387B1 (ko) 2012-04-26

Family

ID=43772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0530A KR101138387B1 (ko) 2009-07-31 2009-07-31 무선 통신에 의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838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32796A (zh) * 2017-06-28 2019-01-04 奥的斯电梯公司 电梯轿厢供电系统
WO2021162376A3 (ko) * 2020-02-10 2021-11-11 Kim Mahn Bok 방화문 외측에 구비된 비상/화물용 엘리베이터 운행상태 표시장치
WO2022015358A1 (en) * 2020-07-15 2022-01-20 Leandre Adifo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on of elevators and other devices
US11305964B2 (en) 2020-07-15 2022-04-19 Leandre Adifo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on of elevators and other devices
US11319186B2 (en) 2020-07-15 2022-05-03 Leandre Adifo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on of elevators and other devices
KR20220066716A (ko) * 2020-11-16 2022-05-24 최창현 엘리베이터 원격 제어 장치
KR20220103274A (ko) * 2021-01-15 2022-07-22 한국승강기안전공단 엘리베이터 원격정지를 위한 웨어러블장치
US11472662B2 (en) 2020-07-15 2022-10-18 Leandre Adifo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on of elevators and other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6979A (ja) * 1989-07-12 1991-02-28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の乗場インジケータ
JP3864647B2 (ja) * 1999-11-26 2007-01-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200417932Y1 (ko) 2006-03-21 2006-06-02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무선통신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제어시스템
JP4695628B2 (ja) 2007-08-09 2011-06-0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無線通信システム装置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32796A (zh) * 2017-06-28 2019-01-04 奥的斯电梯公司 电梯轿厢供电系统
EP3431433A3 (en) * 2017-06-28 2019-04-24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power supply system
WO2021162376A3 (ko) * 2020-02-10 2021-11-11 Kim Mahn Bok 방화문 외측에 구비된 비상/화물용 엘리베이터 운행상태 표시장치
WO2022015358A1 (en) * 2020-07-15 2022-01-20 Leandre Adifo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on of elevators and other devices
US11305964B2 (en) 2020-07-15 2022-04-19 Leandre Adifo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on of elevators and other devices
US11319186B2 (en) 2020-07-15 2022-05-03 Leandre Adifo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on of elevators and other devices
US11472662B2 (en) 2020-07-15 2022-10-18 Leandre Adifo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on of elevators and other devices
US11780703B2 (en) 2020-07-15 2023-10-10 Leandre Adifo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on of elevators and other devices
KR20220066716A (ko) * 2020-11-16 2022-05-24 최창현 엘리베이터 원격 제어 장치
KR20220103274A (ko) * 2021-01-15 2022-07-22 한국승강기안전공단 엘리베이터 원격정지를 위한 웨어러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8387B1 (ko) 201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8387B1 (ko) 무선 통신에 의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KR100440598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WO2014102991A1 (ja) 遠隔監視支援装置
KR20120032019A (ko) 엘리베이터 구조 시스템
JP2011126613A (ja) 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装置
CN111086930A (zh) 基于捎带的再指配
US11897726B2 (en) Communications system for conveyance system
EP3715299B1 (en) Method of reassigning an elevator call for an elevator car
JP7047150B2 (ja) エレベーターの通話管理システムおよび通話管理プログラム
JPWO2014184884A1 (ja) 遠隔監視支援装置
JP6611874B1 (ja) エレベータのドア診断装置およびドア診断方法
JP6021998B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JP5317500B2 (ja) テールコードレス・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15074521A (ja) エレベータの点検作業用安全装置
JP5937984B2 (ja) エレベータの監視システム
JP2019205132A (ja) 位置表示システム
JP2017218264A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位置検出システム
JP2012030916A (ja) エレベータの地震救出運転装置
JP2002003107A (ja) エレベータの無線通信装置
KR20230175321A (ko) 엘리베이터의 인터폰의 점검에 이용되는 감시 장치
JP5599531B1 (ja) 遠隔監視支援装置
JP2002284456A (ja) エレベーター制御システム
KR200417932Y1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제어시스템
JP2013049520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方法
CN108792852B (zh) 电梯信号传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