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1943A -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1943A
KR20110011943A KR1020090069427A KR20090069427A KR20110011943A KR 20110011943 A KR20110011943 A KR 20110011943A KR 1020090069427 A KR1020090069427 A KR 1020090069427A KR 20090069427 A KR20090069427 A KR 20090069427A KR 20110011943 A KR20110011943 A KR 20110011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pixels
data
lines
supplied
clock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9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4466B1 (ko
Inventor
곽원규
박동욱
Original Assignee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9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4466B1/ko
Priority to JP2010056094A priority patent/JP2011034050A/ja
Priority to US12/783,481 priority patent/US8581812B2/en
Priority to EP10168201A priority patent/EP2280391B1/en
Priority to AT10168201T priority patent/ATE542214T1/de
Publication of KR20110011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the areas of the RGB subpixels being differ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52Details of colour pixel setup, e.g. pixel composed of a red, a blue and two green compon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97Special arrangements with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of display data in the drivers for data electrodes, in a pre-processing circuitry delivering display data to said drivers or in the matrix panel, e.g. multiplexing plural data signals to one D/A converter or demultiplexing the D/A converter output to multiple colum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주사선들 및 데이터선들의 교차부에 위치되어 서로 다른 색의 빛을 방출하는 제1 부화소들, 제2 부화소들 및 제3 부화소들이 일정한 패턴으로 반복적으로 배열되는 화소부와, 상기 주사선들로 주사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주사 구동부와, 상기 데이터선들로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부와, 상기 데이터 구동부와 상기 데이터선들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출력선들로부터 공급되는 각각의 데이터 신호를 복수의 데이터선들로 분배하여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 분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부화소들 및 상기 제2 부화소들은 동일한 열 라인에 교번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3 부화소들은 상기 제1 부화소들 및 상기 제2 부화소들이 배열된 열 라인의 인접 열 라인에 일렬로 배치되며, 상기 제1 부화소들 및 상기 제2 부화소들이 배열된 열 라인에는, 상기 제1 부화소들과 상기 데이터 분배부를 연결하는 제1 데이터선과, 상기 제2 부화소들과 상기 데이터 분배부를 연결하는 제2 데이터선이 분리되어 설계된다.

Description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해상도를 표현하는 화소배열구조를 채용하면서 데이터 분배부에 의해 데이터 구동부의 출력선 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자발광소자인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휘도 및 색순도가 뛰어나 차세대 표시장치로 주목받고 있다.
이와 같은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적색 부화소들, 녹색 부화소들 및 청색 부화소들을 이용하여 다수의 화소들을 구성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컬러영상을 표시한다.
색을 지각하는 것은 동화(assimilation) 또는 the Von Bezold 컬러 혼합 효과라고 불리는 과정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이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고해상도의 표현능력을 가질 수 있도록 화소배열구조를 최적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하나의 열 라인에 서로 다른 색의 빛을 방출하는 제1 부화소들 및 제2 부화소들이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구조 등이 채용될 수 있다.
단, 이 경우 데이터 구동부에서는 하나의 데이터선으로 제1색의 데이터 및 제2 색의 데이터를 교대로 공급해야하기 때문에 데이터 분배부를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데이터 분배부를 적용하지 않고 데이터 구동부와 데이터선을 직접 연결하면, 데이터 구동부의 출력선 수가 증가하여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구동 IC(Integrated Circuit) 개발에 어려움이 있고, 구동 IC(Integrated Circuit)의 출력선들의 배치에 필요한 설계공간이 증가하여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해상도를 표현하는 화소배열구조를 채용하면서 데이터 분배부에 의해 데이터 구동부의 출력선 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사선들 및 데이터선들의 교차부에 위치되어 서로 다른 색의 빛을 방출하는 제1 부화소들, 제2 부화소들 및 제3 부화소들이 일정한 패턴으로 반복적으로 배열되는 화소부와, 상기 주사선들로 주사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주사 구동부와, 상기 데이터선들로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부와, 상기 데이터 구동부와 상기 데이터선들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출력선들로부터 공급되는 각각의 데이터 신호를 복수의 데이터선들로 분배하여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 분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부화소들 및 상기 제2 부화소들은 동일한 열 라인에 교번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3 부화소들은 상기 제1 부화소들 및 상기 제2 부화소들이 배열된 열 라인의 인접 열 라인에 일렬로 배치되며, 상기 제1 부화소들 및 상기 제2 부화소들이 배열된 열 라인에는, 상기 제1 부화소들과 상기 데이터 분배부를 연결하는 제1 데이터선과, 상기 제2 부화소들과 상기 데이터 분배부를 연결하는 제2 데이터선이 분리되어 설계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부화소들 및 상기 제2 부화소들 각각은, 서로 이웃하는 두 행에서 상기 제3 부화소들이 배열된 열 라인을 중심으로 대각선 방향에 위치되어 체크보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부화소들은, 상기 제1 부화소들 및 상기 제2 부화소들보다 수평축을 따라 더 작은 폭을 가지되, 그 수가 상기 제1 부화소들 및 상기 제2 부화소들 각각의 수의 두 배만큼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정한 패턴은, 연속되는 두 개의 행과 연속되는 네 개의 열에 배치되는 두 개의 상기 제1 부화소들, 두 개의 상기 제2 부화소들 및 네 개의 상기 제3 부화소들로 구성되는 부화소 그룹으로 설정되며, 상기 부화소 그룹은, 제1열에 순차적으로 배열된 각각 하나의 제1 부화소 및 제2 부화소와, 상기 제1열에 이웃하는 제2열에 순차적으로 배열된 두 개의 제3 부화소들과, 상기 제2열에 이웃하는 제3열에 순차적으로 배열된 각각 하나의 제2 부화소 및 제1 부화소와, 상기 제3열에 이웃하는 제4열에 순차적으로 배열된 두 개의 제3 부화소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부화소 및 상기 제2 부화소는 각각 적색 부화소 및 청색 부화소로 설정되고, 상기 제3 부화소는 녹색 부화소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분배부는, 제1 클럭신호가 공급되는 기간 동안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출력선들 각각을 상기 제3 부화소들의 데이터선들에 연결하는 복수의 제1 트랜지스터들과, 제2 클럭신호가 공급되는 기간 동안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출력선들 각각을 홀수번째 행에 위치된 제1 및 제2 부화소들의 데이터선들에 연결하는 복수의 제2 트랜지스터들과, 제3 클럭신호가 공급되는 기간 동안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출력선들 각각을 짝수번째 행에 위치된 제1 및 제2 부화소들의 데이터선들에 연결하는 복수의 제3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클럭신호, 상기 제2 클럭신호 및 상기 제3 클럭신호는 서로 중첩되지 않는 상이한 기간에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클럭신호는 상기 주사선들로 순차적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되는 각각의 수평기간 마다 상기 데이터 분배부로 공급되고, 상기 제2 클럭신호와 상기 제3 클럭신호는 상기 수평기간 단위로 교번적으로 상기 데이터 분배부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선들 중 제i-1(i는 자연수)번째 주사선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되는 기간과 제i번째 주사선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되는 기간 사이의 기간 동안 상기 제1 클럭신호와 상기 제2 클럭신호가 순차적으로 공급되고, 상기 제1 클럭신호와 상기 제2 클럭신호가 공급되는 수평기간에 연이은 후속 수평기간 동안에는 상기 제i번째 주사선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되는 기간과 제i+1번째 주사선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되는 기간 사이의 기간 동안 상기 제1 클럭신호와 상기 제3 클럭신호가 순차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선들은, 상기 제1 부화소들과 상기 데이터 분배부를 열 라인 단위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1 데이터선들과, 상기 제2 부화소들과 상기 데이터 분배부를 열 라인 단위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2 데이터선들과, 상기 제3 부화소들과 상기 데이터 분배부를 열 라인 단위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3 데이터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데이터선들, 상기 제2 데이터선들 및 상기 제3 데이터선들의 수는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소부 전반적으로, 상기 제1 부화소들 및 상기 제2 부화소들은 각각 해상도의 반수만큼 구비되고, 상기 제3 부화소들은 해상도 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부화소들 및 제2 부화소들은 체크보드 형태를 이루도록 배열하고 제3 부화소들은 제1 부화소들 및 제2 부화소들이 배치되는 열 라인들의 사이에 분리된 형태로 배열하는 화소배열구조를 채용함으로써, 고해상도를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동일한 열 라인에 위치된 제1 부화소들 및 제2 부화소들이 하나의 데이터선을 공유하지 않고, 각각 분리 설계된 제1 데이터선 및 제2 데이터선에 연결되도록 하여 데이터 분배부를 적용함으로써, 구동 IC(Integrated Circuit) 개발을 용이하게 하고, 데이터 구동부의 출력선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화소 그룹을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화소부(100), 주사 구동부(200), 데이터 구동부(300), 데이터 분배부(400) 및 타이밍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화소부(100)는 주사선들(S1 내지 Sn) 및 데이터선들(D1 내지 D3m)의 교차부에 위치되며 서로 다른 색의 빛을 방출하는 제1 부화소들(R), 제2 부화소들(B) 및 제3 부화소들(G)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부화소들(R)은 적색의 빛을 방출하는 적색 부화소들로 설정되고, 제2 부화소들(B)은 청색의 빛을 방출하는 청색 부화소들로 설정되며, 제3 부화소들(G)은 녹색의 빛을 방출하는 녹색 부화소들로 설정될 수 있다.
단, 본 발명에서 제1 부화소들(R), 제2 부화소들(B) 및 제3 부화소들(G)은, 각각 두 개씩의 제1 부화소들(R) 및 제2 부화소들(B)과 네 개의 제3 부화소들(G)로 구성되는 부화소 그룹(110) 단위의 일정한 패턴으로 화소부(100) 내에 반복적으로 배열된다.
특히, 제1 부화소들(R) 및 제2 부화소들(B)은 동일한 열 라인에 교번적으로 배열되고, 제3 부화소들(G)은 제1 부화소들(R) 및 제2 부화소들(B)이 배열된 열 라인에 인접한 열 라인에 일렬로 배치된다.
이때, 제1 부화소들(R) 및 제2 부화소들(B)은 제3 부화소들(G)이 배열된 열 라인을 중심으로, 제1 부화소들(R)끼리, 그리고 제2 부화소들(B)끼리 대각선 방향에 위치되어 체크보다 형태로 배열된다. 즉, 제1 부화소들(R) 및 제2 부화소들(B) 각각은 서로 이웃하는 두 행에서 동일한 열에 반복적으로 배치되지 않도록 교호적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제3 부화소들(G)은, 제1 부화소들(R) 및 제2 부화소들(B)보다 수평축을 따라 더 작은 폭을 가지되, 그 수가 제1 부화소들(R) 및 제2 부화소들(B) 각각의 수의 두 배만큼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부화소들(G)은 수평축을 따라 제1 부화소들(R) 및 제2 부화소들(B)의 폭의 절반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되, 대신 그 수가 제1 부화소들(R) 및 제2 부화소들(B)의 수의 두 배만큼 구비되는 "분리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분리된" 형태의 제3 부화소들(G)은 해상도에 민감한 색의 부화소들, 예컨대, 녹색 부화소들로 설정되어 고품질의 화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부화소 그룹(110) 내에서의 제1 부화소들(R), 제2 부화소들(B) 및 제3 부화소들(G)의 배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부화소 그룹(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되는 두 개의 행과 연속되는 네 개의 열에 배치되는 두 개의 제1 부화소들(R), 두 개의 제2 부화소들(B) 및 네 개의 제3 부화소들(G)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웃하는 행에서, 제1열에는 하나의 제1 부화소(R)와 하나의 제2 부화소(B)가 순차적으로 배열되고, 제1열에 이웃하는 제2열에는 두 개의 분리된 제3 부화소(G)가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제2열에 이웃하는 제3열에는 하나의 제2 부화소(B)와 하나의 제1 부화소(R)가 순차적으로 배열되며, 제3열에 이 웃하는 제4열에는 두 개의 제3 부화소(G)가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화소배열구조를 채용하면 "서브픽셀 렌더링"(subpixel rendering) 기법에 의해 화소부(100) 내에 구비되는 부화소들(R, G, B)의 수 대비 고해상도를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즉, 분리된 제3 부화소들(G)의 경우에는 해상도의 수만큼 구비되지만, 이를 제외한 제1 부화소들(R) 및 제2 부화소들(B)은 해상도의 반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단, 본 발명에서, 동일한 열 라인에 위치된 제1 부화소들(R) 및 제2 부화소들(B)은 하나의 데이터선을 공유하지 않는다. 즉, 열 라인 단위로 제1 부화소들(R)과 연결되는 제1 데이터선들과, 열 라인 단위로 제2 부화소들(B)과 연결되는 제2 데이터선들은 각각 분리되어 설계된다.
즉, 데이터선들(D)은, 제1 부화소들(R)과 데이터 분배부(400)를 열 라인 단위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1 데이터선들과, 제2 부화소들(B)과 데이터 분배부(400)를 열 라인 단위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2 데이터선들과, 제3 부화소들(G)과 데이터 분배부(400)를 열 라인 단위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3 데이터선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제1 데이터선들, 제2 데이터선들 및 제3 데이터선들의 수는 동일하게 설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열 라인에 위치된 제1 부화소들(R) 및 제2 부화소들(B)이 하나의 데이터선을 공유하지 않고, 각각 분리 설계된 제1 데이터선 및 제2 데이터선에 연결되면, 데이터 구동부(300) 와의 사이에 데이터 분배부(400)를 채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데이터 구동부(300)의 출력선 수를 감소시키고, 데이 터 구동부(300)를 포함하는 구동 IC(Integrated Circuit) 개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주사 구동부(200)는 타이밍 제어부(500)로부터 공급되는 주사 제어신호들(SCS)에 대응하여 주사신호를 생성한다. 주사 구동부(200)에서 생성된 주사신호는 주사선들(S1 내지 Sn)로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데이터 구동부(300)는 타이밍 제어부(500)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Data) 및 데이터 제어신호들(DCS)에 대응하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한다. 데이터 구동부(300)에서 생성된 데이터 신호는 데이터 구동부(300)의 출력선들(O1 내지 Om)을 통해 데이터 분배부(400)로 공급된다.
데이터 분배부(400)는 데이터 구동부(300)와 데이터선들(D1 내지 D3m) 사이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데이터 분배부(400)는 타이밍 제어부(500)로부터 공급되는 클럭신호들(CLA, CLB, CLC)에 대응하여 데이터 구동부(300)의 출력선들(O1 내지 Om)로부터 공급되는 각각의 데이터 신호를 복수의 데이터선들(D1 내지 D3m)로 분배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분배부(400)는 데이터 구동부(300)의 출력선들(O1 내지 Om) 각각으로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제1 데이터선들, 제2 데이터선들 및 제3 데이터선들로 분배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데이터 분배부(400)는 복수의 제1 트랜지스터들(MA1, MA2, ..., MAm), 제2 트랜지스터들(MB1, MB2, ..., MBm) 및 제3 트랜지스터들(MC1, MC2, ..., MCm)을 구비한다.
제1 트랜지스터들(MA1, MA2, ..., MAm)은 데이터 구동부(300)의 출력선들(O1 내지 Om) 각각과 제3 부화소들(G)의 제3 데이터선들 사이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1 트랜지스터들(MA1, MA2, ..., MAm)의 게이트 전극은 타이밍 제어부(500)로부터 공급되는 제1 클럭신호(CLA)의 입력라인과 접속된다.
이와 같은 제1 트랜지스터들(MA1, MA2, ..., MAm)은 제1 클럭신호(CLA)가 공급되는 기간 동안 턴-온되어 데이터 구동부(300)의 출력선들(O1 내지 Om) 각각을 제3 부화소들(G)의 제3 데이터선들에 연결한다.
제2 트랜지스터들(MB1, MB2, ..., MBm)은 데이터 구동부(300)의 출력선들(O1 내지 Om) 각각과 홀수번째 행에 위치된 제1 및 제2 부화소들(R, B)의 제1 및 제2 데이터선들 사이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2 트랜지스터들(MB1, MB2, ..., MBm)의 게이트 전극은 타이밍 제어부(500)로부터 공급되는 제2 클럭신호(CLB)의 입력라인과 접속된다.
이와 같은 제2 트랜지스터들(MB1, MB2, ..., MBm)은 제2 클럭신호(CLB)가 공급되는 기간 동안 턴-온되어 데이터 구동부(300)의 출력선들(O1 내지 Om) 각각을 홀수번째 행에 위치된 제1 및 제2 부화소들(R, B)의 제1 및 제2 데이터선들에 연결한다.
제3 트랜지스터들(MC1, MC2, ..., MCm)은 데이터 구동부(300)의 출력선들(O1 내지 Om) 각각과 짝수번째 행에 위치된 제1 및 제2 부화소들(R, B)의 제1 및 제2 데이터선들 사이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3 트랜지스터들(MC1, MC2, ..., MCm)의 게이트 전극은 타이밍 제어부(500)로부터 공급되는 제3 클럭신호(CLC)의 입력라인과 접속된다.
이와 같은 제3 트랜지스터들(MC1, MC2, ..., MCm)은 제3 클럭신호(CLC)가 공급되는 기간 동안 턴-온되어 데이터 구동부(300)의 출력선들(O1 내지 Om) 각각을 짝수번째 행에 위치된 제1 및 제2 부화소들(R, B)의 제1 및 제2 데이터선들에 연결한다.
여기서, 제1 트랜지스터들(MA1, MA2, ..., MAm)을 턴-온시키는 제1 클럭신호(CLA), 제2 트랜지스터들(MB1, MB2, ..., MBm)을 턴-온시키는 제2 클럭신호(CLB) 및 제3 트랜지스터들(MC1, MC2, ..., MCm)을 턴-온시키는 제3 클럭신호(CLC)는 서로 중첩되지 않는 상이한 기간에 공급된다.
단, 제1 클럭신호(CLA)는 주사선들(S1 내지 Sn)로 순차적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되는 각각의 수평기간 마다 데이터 분배부(400)로 공급되고, 제2 클럭신호(CLB) 및 제3 클럭신호(CLC)는 수평기간 단위로 교번적으로 데이터 분배부(400)로 공급된다. 즉, 제2 및 제3 클럭신호(CLB, CLC)의 주기는 제1 클럭신호(CLA)의 주기의 두 배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i-1(i는 자연수)번째 주사선(Si-1)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되는 기간과 제i번째 주사선(Si)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되는 기간 사이의 기간 동안에는 제1 클럭신호(CLA)와 제2 클럭신호(CLB)가 순차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클럭신호(CLA)와 제2 클럭신호(CLB)가 공급되는 수평기간에 연이은 후속 수평기간 동안에는, 제i번째 주사선(Si)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되는 기간과 제i+1번째 주사선(Si+1)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되는 기간 사이의 기간 동안 제1 클럭신호(CLA)와 제 3 클럭신호(CLC)가 순차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데이터 분배부(400)의 동작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타이밍 제어부(50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동기신호들에 대응하여 주사 구동제어신호(SCS), 데이터 구동제어신호(DCS) 및 데이터 분배부의 클럭신호(CLA, CLB, CLC)를 생성한다.
타이밍 제어부(500)에서 생성된 주사 구동제어신호(SCS), 데이터 구동제어신호(DCS) 및 데이터 분배부의 클럭신호(CLA, CLB, CLC)는 각각 주사 구동부(200), 데이터 구동부(300) 및 데이터 분배부(400)로 공급된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50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Data)를 데이터 구동부(300)로 공급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부화소들(R) 및 제2 부화소들(B)은 체크보드 형태를 이루도록 배열하고 제3 부화소들(G)은 제1 부화소들(R) 및 제2 부화소들(B)이 배치되는 열 라인들의 사이에 분리된 형태로 배열하는 화소배열구조를 채용함으로써, 고해상도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열 라인에 위치된 제1 부화소들(R) 및 제2 부화소들(B)이 하나의 데이터선을 공유하지 않고, 각각 분리 설계된 제1 데이터선 및 제2 데이터선에 연결되도록 하여 데이터 분배부(400)를 적용함으로써, 구동 IC(Integrated Circuit) 개발을 용이하게 하고 공용화 범위를 확장함은 물론, 데이터 구동부(400)의 출력선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구동부(400)의 출력선 수가 감소됨에 따라, 패널 하단부의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가 더불어 감소되는 효과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제1 부화소(R) 또는 제2 부화소(B)의 면적이 하나의 분리된 제3 부화소(G) 면적의 두 배가 되도록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1 부화소(R), 제2 부화소(B) 및 제3 부화소(G)의 면적은 재료의 수명 등을 고려하여 변경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분배부(400)를 3:1 디먹스로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데이터 분배부(400)는 6:1 디먹스, 9:1 디먹스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편의상, 도 3에서는 주사신호들 중 연속되는 행에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두 개의 주사신호만을 도시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데이터 분배부의 클럭신호들(CLA, CLB, CLC)은 주사신호가 공급되는 기간 사이의 기간에 공급되되, 제1 클럭신호(CLA)는 주사신호가 공급되는 각각의 수평기간 마다 공급되고, 제2 클럭신호(CLB) 및 제3 클럭신호(CLC)는 수평기간 단위로 교번적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주사신호는 각각의 수평기간 마다 주사선들로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예컨대, 제i-1(i는 자연수)번째 행의 화소들(혹은, 부화소들)을 선택하기 위한 수평기간에는 제i-1번째 주사선(Si-1)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되고, 후속되는 수 평기간, 즉, 제i번째 행의 화소들을 선택하기 위한 수평기간에는 제i번째 주사선(Si)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된다.
그리고, 제i-1번째 주사선(Si-1)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되는 기간과 제i번째 주사선(Si)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되는 기간 사이의 기간 동안에는, 제i번째 주사신호에 의해 선택되어 데이터신호를 공급받을 화소들의 데이터선들을 선충전하기 위한 제1 클럭신호(CLA)와 제2 또는 제3 클럭신호(CLB, CLC)가 데이터 분배부(400)로 공급된다.
예를 들어, i가 홀수라고 가정하는 경우, 제i-1번째 행의 주사선(Si)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된 이후 데이터 분배부(400)로 제1 클럭신호(CLA)와 제2 클럭신호(CLB)가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이 때, 제3 클럭신호(CLC)는 데이터 분배부(400)의 제3 트랜지스터들(MC1, MC2, ..., MCm)이 턴-오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하이레벨 상태를 유지한다.
제1 클럭신호(CLA)가 공급되면, 제3 부화소들(G)의 제3 데이터선들이 데이터 구동부의 출력선들(O1 내지 Om)과 연결되어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는다. 이때, 데이터 구동부(300)는 제i번째 행의 제3 부화소들(G)로 공급될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고, 제3 부화소들(G)의 제3 데이터선들은 제i번째 행의 제3 부화소들(G)의 데이터 신호로 선충전된다.
그리고, 제2 클럭신호(CLB)가 공급되면, 홀수번째 행에 위치된 제1 및 제2 부화소들(R, B)의 제1 및 제2 데이터선들이 데이터 구동부의 출력선들(O1 내지 Om)과 연결되어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는다. 이때, 데이터 구동부(300)는 제i번째 행의 제1 및 제2 부화소들(R, B)로 공급될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고, 홀수번째 행의 제1 및 제2 부화소들(R, B)의 제1 및 제2 데이터선들은 각각 제i번째 행의 제1 및 제2 부화소들(R, B)의 데이터 신호로 선충전된다.
이후, 제i번째 주사선(Si)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되면, 제1 내지 제3 데이터선들에 선충전되어 있던 데이터 신호가 각각 제i번째 행에 위치된 제1 내지 제3 부화소들(R, B, G)로 공급된다.
한편, 제i번째 주사선(Si)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된 이후에는, 데이터 분배부(400)로 제1 클럭신호(CLA)와 제3 클럭신호(CLC)가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이 때, 제2 클럭신호(CLB)는 데이터 분배부(400)의 제2 트랜지스터들(MB1, MB2, ... , MBm)이 턴-오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하이레벨 상태를 유지한다.
제1 클럭신호(CLA)가 공급되면, 제3 부화소들(G)의 제3 데이터선들이 데이터 구동부의 출력선들(O1 내지 Om)과 연결되어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는다. 이때, 데이터 구동부(300)는 제i+1번째 행의 제3 부화소들(G)로 공급될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고, 제3 부화소들(G)의 제3 데이터선들은 제i+1번째 행의 제3 부화소들(G)의 데이터 신호로 선충전된다.
그리고, 제3 클럭신호(CLC)가 공급되면, 짝수번째 행에 위치된 제1 및 제2 부화소들(R, B)의 제1 및 제2 데이터선들이 데이터 구동부의 출력선들(O1 내지 Om)과 연결되어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는다. 이때, 데이터 구동부(300)는 제i+1번째 행의 제1 및 제2 부화소들(R, B)로 공급될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고, 짝수번째 행의 제1 및 제2 부화소들(R, B)의 제1 및 제2 데이터선들은 각각 제i+1번째 행의 제1 및 제2 부화소들(R, B)의 데이터 신호로 선충전된다.
한편, 편의상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이후, 제i+1번째 주사선(Si+1)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되면, 제1 내지 제3 데이터선들에 선충전되어 있던 데이터 신호가 각각 제i+1번째 행에 위치된 제1 내지 제3 부화소들(R, B, G)로 공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각 수평기간 동안 순차적으로 제1 내지 제3 부화소들(R, G, B)로 데이터 신호가 공급된다.
그러면 각각의 부화소들(R, B, G)은 자신들에게 공급된 데이터 신호를 저장하고 이에 대응하는 휘도로 발광함으로써, 화소부(100)에서 영상이 표시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화소 그룹을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화소부 110: 부화소 그룹
200: 주사 구동부 300: 데이터 구동부
400: 데이터 분배부 500: 타이밍 제어부

Claims (12)

  1. 주사선들 및 데이터선들의 교차부에 위치되어 서로 다른 색의 빛을 방출하는 제1 부화소들, 제2 부화소들 및 제3 부화소들이 일정한 패턴으로 반복적으로 배열되는 화소부와,
    상기 주사선들로 주사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주사 구동부와,
    상기 데이터선들로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부와,
    상기 데이터 구동부와 상기 데이터선들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출력선들로부터 공급되는 각각의 데이터 신호를 복수의 데이터선들로 분배하여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 분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부화소들 및 상기 제2 부화소들은 동일한 열 라인에 교번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3 부화소들은 상기 제1 부화소들 및 상기 제2 부화소들이 배열된 열 라인의 인접 열 라인에 일렬로 배치되며,
    상기 제1 부화소들 및 상기 제2 부화소들이 배열된 열 라인에는, 상기 제1 부화소들과 상기 데이터 분배부를 연결하는 제1 데이터선과, 상기 제2 부화소들과 상기 데이터 분배부를 연결하는 제2 데이터선이 분리되어 설계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화소들 및 상기 제2 부화소들 각각은, 서로 이웃하는 두 행에서 상기 제3 부화소들이 배열된 열 라인을 중심으로 대각선 방향에 위치되어 체크보드 형태로 배열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화소들은, 상기 제1 부화소들 및 상기 제2 부화소들보다 수평축을 따라 더 작은 폭을 가지되, 그 수가 상기 제1 부화소들 및 상기 제2 부화소들 각각의 수의 두 배만큼 구비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한 패턴은, 연속되는 두 개의 행과 연속되는 네 개의 열에 배치되는 두 개의 상기 제1 부화소들, 두 개의 상기 제2 부화소들 및 네 개의 상기 제3 부화소들로 구성되는 부화소 그룹으로 설정되며,
    상기 부화소 그룹은,
    제1열에 순차적으로 배열된 각각 하나의 제1 부화소 및 제2 부화소와,
    상기 제1열에 이웃하는 제2열에 순차적으로 배열된 두 개의 제3 부화소들과,
    상기 제2열에 이웃하는 제3열에 순차적으로 배열된 각각 하나의 제2 부화소 및 제1 부화소와,
    상기 제3열에 이웃하는 제4열에 순차적으로 배열된 두 개의 제3 부화소들을 구비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화소들은, 수평축을 따라 상기 제1 부화소들 및 상기 제2 부화소들의 폭의 절반의 폭을 가지는 분리된 형태를 갖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화소 및 상기 제2 부화소는 각각 적색 부화소 및 청색 부화소로 설정되고, 상기 제3 부화소는 녹색 부화소로 설정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배부는,
    제1 클럭신호가 공급되는 기간 동안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출력선들 각각을 상기 제3 부화소들의 데이터선들에 연결하는 복수의 제1 트랜지스터들과,
    제2 클럭신호가 공급되는 기간 동안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출력선들 각각을 홀수번째 행에 위치된 제1 및 제2 부화소들의 데이터선들에 연결하는 복수의 제2 트랜지스터들과,
    제3 클럭신호가 공급되는 기간 동안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출력선들 각각을 짝수번째 행에 위치된 제1 및 제2 부화소들의 데이터선들에 연결하는 복수의 제3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클럭신호, 상기 제2 클럭신호 및 상기 제3 클럭신호는 서로 중첩되지 않는 상이한 기간에 공급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럭신호는 상기 주사선들로 순차적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되는 각각의 수평기간 마다 상기 데이터 분배부로 공급되고,
    상기 제2 클럭신호와 상기 제3 클럭신호는 상기 수평기간 단위로 교번적으로 상기 데이터 분배부로 공급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선들 중 제i-1(i는 자연수)번째 주사선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되는 기간과 제i번째 주사선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되는 기간 사이의 기간 동안 상기 제1 클럭신호와 상기 제2 클럭신호가 순차적으로 공급되고,
    상기 제1 클럭신호와 상기 제2 클럭신호가 공급되는 수평기간에 연이은 후속 수평기간 동안에는, 상기 제i번째 주사선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되는 기간과 제i+1번째 주사선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되는 기간 사이의 기간 동안 상기 제1 클럭신호와 상기 제3 클럭신호가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선들은, 상기 제1 부화소들과 상기 데이터 분배부를 열 라인 단위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1 데이터선들과, 상기 제2 부화소들과 상기 데이터 분배부를 열 라인 단위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2 데이터선들과, 상기 제3 부화소들과 상기 데이터 분배부를 열 라인 단위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3 데이터선들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선들, 상기 제2 데이터선들 및 상기 제3 데이터선들의 수는 동일하게 설정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부 전반적으로, 상기 제1 부화소들 및 상기 제2 부화소들은 각각 해상도의 반수만큼 구비되고, 상기 제3 부화소들은 해상도 수만큼 구비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20090069427A 2009-07-29 2009-07-29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1064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427A KR101064466B1 (ko) 2009-07-29 2009-07-29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JP2010056094A JP2011034050A (ja) 2009-07-29 2010-03-12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
US12/783,481 US8581812B2 (en) 2009-07-29 2010-05-19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ith data distributor
EP10168201A EP2280391B1 (en) 2009-07-29 2010-07-02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T10168201T ATE542214T1 (de) 2009-07-29 2010-07-02 Organische lichtemittierende anzeigevorrichtu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427A KR101064466B1 (ko) 2009-07-29 2009-07-29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943A true KR20110011943A (ko) 2011-02-09
KR101064466B1 KR101064466B1 (ko) 2011-09-16

Family

ID=42543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9427A KR101064466B1 (ko) 2009-07-29 2009-07-29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81812B2 (ko)
EP (1) EP2280391B1 (ko)
JP (1) JP2011034050A (ko)
KR (1) KR101064466B1 (ko)
AT (1) ATE542214T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0840A (ko) * 2010-03-05 2011-09-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20150055264A (ko) * 2013-11-13 2015-05-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장치
KR20160024316A (ko) * 2014-08-25 2016-03-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90064085A (ko) * 2017-11-30 2019-06-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13496682A (zh) * 2020-03-19 2021-10-12 咸阳彩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像素数据的优化方法、像素矩阵驱动装置及显示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23138B2 (ja) * 2008-05-21 2011-02-02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1064466B1 (ko) * 2009-07-29 2011-09-1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130087927A (ko) * 2012-01-30 2013-08-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신호 처리 장치 및 영상 신호 처리 방법
KR101958287B1 (ko) * 2012-10-16 2019-03-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5849981B2 (ja) 2013-03-25 2016-02-03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4186257A (ja) 2013-03-25 2014-10-02 Sony Corp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2072077B1 (ko) * 2013-04-15 2020-0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3325315B (zh) * 2013-07-10 2015-09-16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像素阵列及具有该像素阵列的显示器
CN103345887B (zh) * 2013-07-10 2016-06-15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像素阵列及具有该像素阵列的显示器
CN103745684B (zh) * 2013-11-13 2016-09-28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像素阵列、呈现图像于显示器上的方法及显示器
KR102137079B1 (ko) * 2014-03-03 2020-07-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4616597B (zh) * 2015-02-13 2017-03-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驱动方法和显示装置
CN105185288A (zh) 2015-08-28 2015-12-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像素阵列、显示驱动装置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CN106157896B (zh) * 2016-09-26 2021-0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像素驱动电路、像素驱动方法、阵列基板和显示面板
KR20180038112A (ko) * 2016-10-05 2018-04-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
CN111192546B (zh) * 2018-11-15 2023-08-15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电子装置
CN116564209A (zh) 2019-02-23 2023-08-08 华为技术有限公司 在多显示驱动电路系统中显示图像的方法和电子设备
CN111613165B (zh) * 2019-02-23 2022-09-09 华为技术有限公司 在多显示驱动电路系统中显示图像的方法和电子设备
WO2020206589A1 (zh) * 2019-04-08 2020-10-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EP4038604A1 (en) * 2020-02-07 2022-08-10 Google LLC Display panel structure with uni-color data lines
US20230186848A1 (en) * 2020-03-02 2023-06-15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same
CN111882998B (zh) 2020-07-28 2021-06-04 惠科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控制方法
EP4244842A1 (en) * 2020-11-25 2023-09-20 Google LLC Column interchangeable mux structure in amoled displays
CN114879397B (zh) * 2022-05-23 2023-05-09 重庆惠科金渝光电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面板的驱动方法和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74383B1 (en) * 2000-07-28 2007-09-25 Clairvoyante, Inc Arrangement of color pixels for full color imaging devices with simplified addressing
JP2004117431A (ja) * 2002-09-24 2004-04-15 Sharp Corp カラー表示装置
US6771028B1 (en) * 2003-04-30 2004-08-03 Eastman Kodak Company Drive circuitry for four-color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JP4366988B2 (ja) * 2003-05-01 2009-11-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有機el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0603456B1 (ko) 2003-07-04 2006-07-2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2005128190A (ja) * 2003-10-23 2005-05-19 Nippon Hoso Kyokai <Nhk> 表示用デバイス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7825921B2 (en) * 2004-04-09 2010-1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sub-pixel rendering of image data in non-striped display systems
KR100662978B1 (ko) 2004-08-25 2006-12-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장치와 그의 구동방법
JP4407464B2 (ja) * 2004-10-22 2010-02-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4781351B2 (ja) 2005-04-22 2011-09-28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0636502B1 (ko) * 2005-08-31 2006-10-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장단위 검사가 가능한 유기 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검사방법
KR100666646B1 (ko) * 2005-09-15 2007-01-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0666640B1 (ko) * 2005-09-15 2007-01-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0754140B1 (ko) * 2005-12-21 2007-08-3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장단위 검사가 가능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 및 모기판과그 검사방법
KR101308262B1 (ko) 2006-06-30 2013-09-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0732819B1 (ko) * 2006-08-30 2007-06-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모기판
KR20090006615A (ko) 2007-07-12 2009-01-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1420434B1 (ko) * 2007-12-03 2014-07-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1407302B1 (ko) * 2007-12-27 2014-06-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2009211039A (ja) * 2008-03-04 2009-09-17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
KR101064466B1 (ko) * 2009-07-29 2011-09-1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0840A (ko) * 2010-03-05 2011-09-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20150055264A (ko) * 2013-11-13 2015-05-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장치
KR20210082145A (ko) * 2013-11-13 2021-07-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장치
KR20160024316A (ko) * 2014-08-25 2016-03-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90064085A (ko) * 2017-11-30 2019-06-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13496682A (zh) * 2020-03-19 2021-10-12 咸阳彩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像素数据的优化方法、像素矩阵驱动装置及显示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80391B1 (en) 2012-01-18
KR101064466B1 (ko) 2011-09-16
US8581812B2 (en) 2013-11-12
EP2280391A1 (en) 2011-02-02
US20110025669A1 (en) 2011-02-03
JP2011034050A (ja) 2011-02-17
ATE542214T1 (de) 201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4466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EP3089150B1 (en) Display device
US10068541B2 (en) Display device
KR102306598B1 (ko) 표시 장치
KR101015312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모기판
US20200159054A1 (en) Tiled display device
KR101385225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910114B1 (ko) 표시 장치 및 그의 영상 데이터 배열 방법
US20140125647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CN109285502B (zh) Oled显示面板
KR102006875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시인성 평가 방법
KR20150058865A (ko) 유기 발광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324553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012023B1 (ko) 표시 장치 및 그의 영상 데이터 메모리 배열 방법
KR20160066654A (ko) 표시 장치
KR101182270B1 (ko) 백라이트 유닛,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73491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264685B1 (ko) 평면표시장치의 화소구조
KR20150139816A (ko) 표시 패널의 화소구조 및 표시 패널
KR101830241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995065B1 (ko) 표시 장치
KR20150029362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0581803B1 (ko) 평판 표시장치와 그의 구동방법
US11594188B1 (en) Data driver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80103684A (ko) 화소 데이터 기입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