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1423A - 상피세포성장인자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상피세포성장인자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1423A
KR20110011423A KR1020090069063A KR20090069063A KR20110011423A KR 20110011423 A KR20110011423 A KR 20110011423A KR 1020090069063 A KR1020090069063 A KR 1020090069063A KR 20090069063 A KR20090069063 A KR 20090069063A KR 20110011423 A KR20110011423 A KR 20110011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growth factor
tetrahydrocurcumin
epidermal growth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9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미
하경희
Original Assignee
박정미
하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미, 하경희 filed Critical 박정미
Priority to KR1020090069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1423A/ko
Publication of KR20110011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42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8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A61K38/1808Epidermal growth factor [EGF] urogastr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피세포성장인자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Tetrahydrocurcumin)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상피세포성장인자 및 미백 효과를 갖는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동시에 함유함으로서 피부개선에 상승적으로 작용하여 보다 향상된 주름개선 및 미백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은 화장료에서 유발될 수 있는 피부 자극을 완화시켜 주는 기능이 있어 피부 자극이 거의 없고, 뛰어난 제형의 안전성을 나타낸다.
화장료, 상피세포성장인자,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

Description

상피세포성장인자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Protection Comprising Epidermal Growth Factor and Tetrahydrocurcumin as Active Ingredients}
본 발명은 사람의 상피세포성장인자(humna Epidermal Growth Factor, 이하 hEGF로 칭함)와 데트라하이드로커큐민(Tetrahydrocurcumin)을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의 목적은 피부를 청결하고 아름답게 하며, 건강한 피부를 유지시킴과 동시에 나이가 들면서 생리적으로 나타나는 피부 노화를 지연, 방지하는데 있다. 표피, 진피, 피하지방으로 구성되어 있는 피부는 인체를 이루고 있는 가장 큰 기관으로 보호기능과 장벽기능, 온도조절기능, 배설기능, 호흡기능 등 다양한 역할을 담담하고 있는 매우 중요한 기관이다. 그러나, 나이가 들면서 피부는 그 기능이 급격하게 저하되고, 이로인해 다양한 변화가 일어나면서 노화된다. 노화에 따른 피부의 생리적 변화로는 피부의 구성성분인 표피, 진피, 피하조직의 두께 가 얇아지는 현상, 피부 장벽의 기능을 맡고 있는 지질장벽의 지질조성 및 함량이 변화하면서 그 기능이 급격하게 저하되어 피부의 수분 함량이 떨어지고 피부가 건조해지는 현상 및 기미, 주근깨, 색소침착 또는 다양한 피부 병변이 유발되는 현상 등이 있다. 특히, 자외선 량의 증가와 대기오염 및 현대인의 과도한 피로와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생성되는 반응성이 높은 활성산소와 자유라디칼은 생체성분(단백질, 핵산, 세포막 지질등)을 산화 시키거나 변성시킴으로써 피부 노화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피부 노화에 따른 주름형성, 피부 탄력감소, 색소침착, 기미, 주근깨, 건조 등은 화장료 분야에 있어 피부 보호 및 미용 차원에서 중요한 과제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피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화장료 조성물이 연구되고 있는데 피부 미백효과는 피부에서 생성되는 멜라닌 색소에 의해 일어나는 현상으로 정상 상태에서는 멜라닌의 과다 생성이 일어나지 않지만 피부가 자외선, 환경오염, 스트레스와 같은 외부 자극이나 호르몬, 염증반응 매개 인자와 같은 내적 요인에 반응하게 되면 멜라닌 색소를 과다 생성하게 되고 이것이 피부 밖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피부 속에 남아 있게 되면 색소 침착이 일어나게 된다.
인체 내의 색소형성세포인 멜라노사이트(melanocyte)에서는 티로시나아제 (tyrosinase), TRP (tyrosinase related protein)-1 및 TRP-2 등의 효소가 존재하여 생체 내에 존재하는 티로신 (L-tyrosine)을 기질로 하여 멜라닌 색소를 생성하 도록 작용 한다 (Cohen, T., et al. Nucleic Acids Res., 18:2807-2808(1990); Jackson, I. J., et al., EMBO J., 11:327-535(1992)). 이러한 효소반응은 색소형성세포 내의 소기관인 멜라노솜 (melanosome)에서 일어나며 새로이 생성된 멜라닌을 함유한 멜라노솜은 색소형성세포의 수지상 돌기 (dendrite)를 통하여 인접한 각질형성세포 (keratinocyte)로 분배되어 표피층의 피부색을 나타나게 한다.
티로시나아제는 멜라노솜에 위치하는 막에 삽입되어있는 효소로 활성 부위에 구리 이온을 가지며 일련의 멜라닌 합성에 있어서 주요한 속도 한계 효소 (rate limiting enzyme)이다. 따라서 티로시나제 활성을 저해하는 억제제들이 미백제로서 활발히 개발되어 왔으며, 이러한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제의 예로, 코지산 (kojic acid), 알부틴 (arbutin), 하이드로퀴논 (hydroquinone), 비타민 C 또는 이의 유도체 및 감초 추출물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은 피부 자극 및 제형내의 안정성에 문제가 있어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피부의 주름 개선 효과는 현재 일부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일본 특허공개 평5-246838호에는 콜라겐 합성에 따른 피부 주름개선 방법이 소개되어 있는데, 이에 의하면 나이가 들면서 콜라겐을 분해하여 콜라겐 대사을 원활하게 하는 코라게나제(collagenase)의 활성이 저하되면서 가교형 콜라겐의 생성이 증가되어 피부 조직의 주름 형성이 증가하게 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은 괄호 내에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 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과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콜라겐을 생성하는 섬유아세포(Fibroblast)의 강력한 세포 분열을 촉진하여 콜라겐 합성을 돕는 상피세포성장인자와 멜라닌 합성 과정의 주요한 속도 한계 효소인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고 피부에 대한 자극이 거의 없으며 제형의 안정성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상피세포성장인자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의 혼합 조성물이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피세포성장인자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피세포성장인자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Tetrahydrocurcumin)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피세포성장인자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0.1 중량%이고,
상기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3 내지 5.0 중량%이며,
상기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상피세포성장인자와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피세포성장인자와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 함께 사용함으로써 주름개선효과의 상승적 작용뿐만 아니라 미백효과를 동시에 부여하며,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에 의한 통상적인 화장품 피부 자극도 줄여주어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본 발명은 상피세포성장인자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 중의 하나인 상피세포성장인자는 외배엽 및 중 배엽에서 기원하는 다양한 상피세포의 강력한 세포분열 촉진 인자로서 신체의 체액중에 널리 분포되어 있고 뇨 및 모유 등에 고농도로 존재하는(Capenter, 1985) 53개의 아미노산 잔기를 가진 단일 폴리펩티드로서 분자량은 6,200 daltons 이다.(Capenter and Chohe, 1979 : Capenter and Qahl, 1990). 상피세포성장인자는 1962년 Cohen이 성숙쥐 수컷으 턱밑샘으로부터 분리, 동정 하였고 1972년 Savage와 Taylor 등은 쥐의 상피세포성장인자(Mouse EGF)의 1차 구조 및 생리적인 작용에 있어서 필수적인 열할을 하는 3개의 세포내 황결합(intramolecular disulfide bonds)의 위치를 확인 하였다. 인간의 상피세포정장인자(Human EGF, hEGF)는 1975년 Gregory가 임산부의 뇨에서 추출한 위산 분비억제 호르몬인 우로카스트론(Urogastron)이 사람 상피세포성장인자와 동일한 것임을 증명함으로써 그 구조를 확인 하였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또 다른 유효성분인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Tetrahydrocurcumin)은 울금(Curcuma Longa)에서 추출한 것이다. 울금은 생강 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로 인도가 원산지이며, 대만, 인도네시아 및 일본 등에서 일부 재배하고 있다. 울금의 잎은 크고 길이 30 내지 90cm, 폭 10 내지 20cm로 잎끝이 뾰족하고 기부는 삼각형이며, 윗면은 푸른색이다. 울금은 약재와 향신료로 주로 사용되는데 주요 성분은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포함한 커큐민 유도체, 투머론(Tumerone, 아줄렌(Azulene) 및 캄파(Kampfa) 등으로 간장의 해독촉진, 담즘의 분비작용 및 이혈작용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은 상술한 바와 같은 울금으로부터 분리할 수도 있으나,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제품을 사용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 예에 따르면, 상피세포성장인자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0.00001 내지 1.0 중량% 및 0.01 내지 5.0 중량%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각각 0.0001 내지 0.1 중량% 및 0.1 내지 2.0 중량%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 상피세포성장인자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 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피세포성장인자와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 함께 사용함으로써 각각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보다 상승적 (synergic)인 주름개선효과 및 미백효과를 달성하며,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에 의해 피부 자극이 완화되고 제형의 안정성이 우수하여 피부 적용이 안전한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험예 1: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의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도 측정
티로시나아제는 버섯에서 분리 정제된 것으로 시그마사 (미합중국)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기질로서 L-티로신 (시그마사)은 0.05 M 인산나트륨 완충용액 (pH 6.8)에 용해하여 0.1 ㎎/㎖ 용액으로 만들어 사용하였다. 시험물질을 0.05M 인산나트륨 완충용액 (pH 6.8)에 적당한 농도로 조절하여 용해한 사용하였다. 시험물질로서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은 SABINSA사(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L-티로신 용액 0.5 ㎖을 시험관에 넣고 여기에 시료액 0.5 ㎖을 각각 가하고 37℃ 항온기에서 10분간 방치하였다. 시료액에 200 unit/㎖ 티로시나아제 0.5 ㎖을 첨가하고 37℃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액이 시험관을 얼음 위에 놓아 급냉시켜 반응을 중지시킨 분광 광도계로 파장 475 ㎚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시료액 대신 완충용액 0.5 ㎖을 넣은 것을 사용하였다.
각 시료액의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율은 하기 수학식에 따라 계산하고 실험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46355905-PAT00001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 농도 (㎍/㎖)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율 (%)
5 26.5
10 51.8
20 73.3
50 81.5
100 93.3
200 95.6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은 비교적 높은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2: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의 멜라노사이트에서의 멜라닌 생성 저해도 비교
멜라노사이트는 마우스 유래 B-16 멜라노마 (melanoma) 세포주 (ATCC CRL 6323)를 사용하였다. 멜라노마 세포주를 포도당 4.5 g/ℓ, 10% (소태아 혈청) 1% 항생제가 포함된 DMEM 배지에 접종하여 50 T-플라스크에서 37℃ 5% CO2 조건 하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후, 0.02% EDTA가 포함된 0.05% 트립신을 처리하여 세포를 분리한 50 ㎖ T-플라스크에 접종하여 48시간 배양하였다. 이때 세포 수는 5.76 × 106 세포/플라스크였다. 여기에 적당 농도의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DMEM 배지에 희석시켜 배양된 멜라노마 세포에 처리하여 37℃에서 5일간 배양하였다. 상기 배지를 모두 제거하고, 0.02% EDTA 0.05% 트립신을 포함한 PBS 1 ㎖를 처리하여 세포를 분리시킨 5분간 원심 분리하여 세포만을 수집하였다. 이것에 5% 트리클로로아세테이트 (TCA)를 처리하여 교반하고, 원심 분리하여 침전된 멜라닌을 PBS로 세척하였다. 침전된 멜라닌에 1N NaOH를 처리하여 용해시킨 후, 47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멜라닌 농도는 합성 멜라닌 (Sigma)의 표준 농도 곡선으로부터 결정하였다.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의 멜라닌 합성 저해율 실험 결과는 [표 2]에 나타나 있다.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 농도 (㎍/㎖)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율 (%)
5 20.8
10 41.1
50 70.2
100 84.6
상기 결과에서 확인할 있듯이, 테트라하이드로커규민의 멜라노사이트 내에서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는 농도의 증가에따라 비례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으며 비교적 높은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의 결과들은 발명의 조성물이 높은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멜라닌 합성을 효과적으로 저해하며 기미나 주근깨 개선 피부 미백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있음을 입증한다.
실험예 3 : 상피세포성장 인자의 농도에따른 세포 증식 효과
본 발명의 상피세포성장인자는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제품( hEGF, Bioprogen, Korea)을 사용하였으며,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를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96-well microplate)의 각 웰에 1×104 세포가 되도록 접종하여 DMDM배지에 24시간 배양 하였다. 배양 후 상피세포성장인자를 농도별로(0.01ug/ml, 0.1ug/ml, 0.5ug/ml,1ug/ml )샘플을 만들어 혈청이 없는 DMEM 배지로 교체한 후 24시간 더 배양하였다. MTT용액[3-(4,5-디메틸아졸-2-일)2,5-디페닐테트라졸륨 브로마이드 : 5mg/ml] 100ul씩 첨가하여 4시간 방치한 후 배제 부분을 버렸다. 각 웰당 100ul의 디메틸 설폭시드 용액을 가하여 20분간 교반한 후 마이크로 플레이트 판독기(microplate reader)로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동일한 과정을 3회 반복 실시 하였다.
상피세포성장인자의 세포 증식 효과 실험 결과는 [표 3]에 나타나 있다.
Figure 112009046355905-PAT00002
상피세포성장인자 농도 (㎍/㎖) 흡광도 (570nm) 세포증식효과(%)
대조군 0.322
0.01 0.560 73.9
0.1 0.651 102.2
0.5 0.701 117.7
1 0.718 122.9
위 결과로부터 상피세포성장인자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세포 증식 효과가 증가함을 알 수 있고 이에 따라 상피세포성장인자의 세포증식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 상피세포성장 인자의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
상피세포성장인자를 농도별로(0.01ug/ml, 0.1ug/ml, 0.5ug/ml,1ug/ml ) 인간유래 섬유아세포에 첨가하여 세포 수준에서 콜라겐 합성량을 측정하였다. 인간유래 섬유아세포를 세포배양용 96-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10% FBS(Fetal bovine serum)을 함유하는 배지에 35℃, 5% CO2 조건하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PBS(Phosphate buffer saline)로 2회 세척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혈청이 함유되지 않은 DMEM 배지로 교체하고, 미리준비한 상피세포성장인자를 농도별로 배지와 함께 첨가하여 48시간 배양 하였다. 대조군으로 상피세포성장인자를 함유하지 않은 배양액을 사용했다. 배양 마지막 24시간 전에 아스코르브산(arscorbic acid : 50ug/ml)을 첨가하여 콜라겐 합성을 촉진 시켰다. 배양 후 각 웰을 세척하고 혈청이 함유되지 않은 DMEM 배지로 교체한 후 24시간 더 배양 하였다. 배양후 각 웰의 상층액을 모아 프로콜라겐 타입 IC-펩타이드(PCIP) 양을 키트(일본 교토소재의 TAKARA)를 이용하여 새로 합성된 콜라겐 양으로 PCIP 양을 측정하였으며 PCIP양은 ng/2 × 104 세포로 환산 하였다. 상피세포성장인자의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 실험 결과는 [표 4]에 나타 내었다.
상피세포성장인자 농도 (㎍/㎖) 콜라겐 합성량
대조군 140
0.01 253
0.1 323
0.5 380
1 392
상기 실험 결과로부터 상피세포성장인자의 농도가 증가함에따라 콜라겐의 합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고 상피세포성장인자는 탁월한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제조예 1 : 크림 제형의 화장료 제조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피세포성장인자와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의 적절한 혼합 비율을 규명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혼합 비율로 상피세포성장인자와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혼합한 크림 제형의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 비교예
1 1 2 3 4 5 6 7 8 9 10 11
상피세포성장인자 0.0001 - 0.00001 0.00005 0.0001 0.0005 0.001 0.0001 0.0001 0.0001 0.0001 0.0001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 1 - - - - - - 0.5 1.0 1.5 2 3.0
글리
세린
4.0
바셀린 3.5
트리에탄올
아민
2.1
유동
파라핀
5.3
스쿠
알란
3.0
밀납 2.6
토코
페릴
아세테이트
5.4
폴리솔베이트60 3.2
카르
복실
비닐폴리머
1.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3.1
미량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실험예 5: 주름 개선 효과 평가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각 화장료(실시예 및 비교예)의 주름 개선 효과를 실제 사용 테스트를 통하여 평가 하였다. 24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얼굴의 한쪽 면에는 실시예 제품을 다른 쪽 면에는 비교예 제품을 사용하여 8주 후의 주름 개선 효과를 전문가의 육안 평가를 이용하여 주름 개선 정도를 평가하였다. 이 평가를 토대로 한 주름 개선 효과 결과는 하기의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다.
제품 우수 약간 없음 유효율(%)
실시예 1 17 4 3 87.5
비교예 1 - 9 15 37.5
비교예 2 7 8 9 62.5
비교예 3 11 6 7 70.8
비교예 4 13 5 6 75.0
비교예 5 15 4 5 79.2
비교예 6 14 7 4 83.3
비교예 7 15 4 5 79.2
비교예 8 17 4 3 87.5
비교예 9 18 4 2 91.6
비교예 10 18 4 2 91.6
비교예 11 17 6 1 95.8
상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6의 크림 제형에서는 상피세포성장인자의 첨가 농도에 비례하여 주름개선의 유효율이 증가 하였으나, 0.0001중량% 이상의 농도에서는 유효율의 증가폭이 크지 않았다. 또한 비교예 7~11의 크림 제형에서는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의 첨가 농도에 비례하여 주름개선 유효율의 상승 효과가 있었다.
실험예 6: 미백효과 측정
피부색이 어두운 24~41세의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한 각 화장료의 미백 효과를 측정하였다. 피검자의 팔의 12군데를 가로 세로 1 cm씩 표시하고, 제조예 2의 각 화장료를 각각 도포한 다음, 나머지 1 곳은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화장료는 2달 동안 하루에 2회 적용하였다. 측정 장비인 Minolta CR 300을 사용하여 2개월경과 후 피부색(L 값)을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을 이용하여 피부색의 변화도를 계산하여 하기 [표 7]에 미백 임상시험 결과를 나타내었다.
ΔL 값 = 화장료 적용 전의 L 값 - 2개월 경과 후 L 값
구분 비교예1 비교예4 비교예7 비교예8 비교예9 비교예10 비교예11
ΔL 값 0.53 0.62 3.54 4.20 4.62 4.83 5.02
상기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7~11의 크림 제형에서는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의 첨가 농도에 비례하여 ΔL 값이 증가하였으나 1.5 중량% 이상의 농도에서는 ΔL 값에 별다른 변화가 크지 않았다. 아울러, 상기표에는 나타나있지 않지만 1.5 중량% 이상의 농도에서는 안정도가 좋지 않았다.
실험예 7 : 피부 자극 시험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각 화장료의 피부 자극성을 시험하기 위해, 건강한 성인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첩포 시험 (patch test)을 헤이즈 테스트 쳄버 (Haye's Test Chamber)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시험부위를 70% 에탄올로 닦아내고 건조 시킨 다음, 준비된 시험물질 15 ㎍ 또는 15 ㎕를 적하한 쳄버(Finn chamber, 100×10, EPITEST, 핀란드국)를 시험 대상자의 전박 (forearm) 안쪽 부위에 밀폐 첩포 하였다. 24시간 동안 첩포하고 첩포를 제거한 후 표시펜으로 시험 부위를 표시하였다. 각각 1시간 그리고 24시간 후(첩포 제거 후 1시간, 24시간 후 = 첩포 부착 포함 24시간, 48시간)에 확대경 (8MC-150, DAZOR, 미합중국)을 이용하여 시험 부위를 관찰하여 홍반 및 부종 유무를 관찰하였다. 피부 반응은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 (ICDRG: 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 )의 규정[표 8]에 따라 판정하였으며, 하기 수학식에 의하여 평균 피부 반응도를 계산하고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기호 점수 평가기준
- 0 무반응, 정상 피부
± 0.5 희미한 또는 가벼운 홍반
+ 1.0 경계가 뚜렷하나 약한 홍반, 부종 및 구진
++ 2.0 뚜렷한 홍반, 구진 및 소수포
+++ 3.0 심한 홍반 및 소포형성
++++ 6.0 대수포 형성
Figure 112009046355905-PAT00003
시험 물질 24 시간 48 시간 평균 피부 반응도
(n=20)
± + ++ ± + ++
실시예 1 2 - - 1 - - 0.63
비교예 1 1 1 - 1 - - 0.84
비교예 4 2 1 - - - - 0.84
비교예 7 2 - - 1 - - 0.63
비교예 8 2 - - - - - 0.42
비교예 9 1 - - - - - 0.21
상기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한 상피세포성장인자와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모두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1의 크림에서의 피부 반응도는 매우 낮아 크림의 기타 함유 성분에 의해서는 통상적인 화장품의 피부 자극 수준을 나타냄을 않음을 알 수 있었다.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함유한 비교예 7~9의 크림에서는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의 농도에 비례하여 자극도가 낮아졌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4)

  1. 상피세포성장인자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Tetrahydrocurcumin)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피세포성장인자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0.1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3 내지 5.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90069063A 2009-07-28 2009-07-28 상피세포성장인자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114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063A KR20110011423A (ko) 2009-07-28 2009-07-28 상피세포성장인자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063A KR20110011423A (ko) 2009-07-28 2009-07-28 상피세포성장인자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423A true KR20110011423A (ko) 2011-02-08

Family

ID=43771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9063A KR20110011423A (ko) 2009-07-28 2009-07-28 상피세포성장인자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142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8563A (ko) * 2012-06-11 2013-12-1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광반응성 키토산 유도체 및 이에 고정화된 상피세포성장인자를 포함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8563A (ko) * 2012-06-11 2013-12-1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광반응성 키토산 유도체 및 이에 고정화된 상피세포성장인자를 포함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75112B2 (ja) アルクチン、アルクチゲニン又はその混合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皮膚美白用化粧料組成物
KR101860109B1 (ko)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131574B1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286679B1 (ko) 효소 처리된 차나무 뿌리 유래 사포닌 분획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70076147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US20060216255A1 (en) Medicinal cosmetical composition with areca catechu seed extract
KR100744948B1 (ko) 상지 추출물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95609B1 (ko) 미백 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20896B1 (ko) 블루로터스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23323B1 (ko) 앱시스산 및 그 유도체 함유 식물추출물을 이용한외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78864B1 (ko) 천궁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1654B1 (ko) 굴, 멍게, 해삼, 군소 및 코고동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20036417A (ko) 참다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5079A (ko) 야생 참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조성물
KR102436291B1 (ko) 엘루테로사이드 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97550A (ko) 슈잔드린 및 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0744947B1 (ko) 천궁 추출물 및 프로테아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11423A (ko) 상피세포성장인자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13557B1 (ko) 상지 추출물 및 헥사노일트리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78865B1 (ko) 상지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29114A (ko) 악티게닌 또는 악티게닌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96547B1 (ko) 산하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72398A (ko) 생강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0968716B1 (ko) 악티게닌 또는 악티게닌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32887B1 (ko) 피부용 화장품 및 식용 필름을 포함하는 피부건강 개선용 세트 및 이를 이용한 피부미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