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1171U - 포장장치 - Google Patents

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1171U
KR20110011171U KR2020100009195U KR20100009195U KR20110011171U KR 20110011171 U KR20110011171 U KR 20110011171U KR 2020100009195 U KR2020100009195 U KR 2020100009195U KR 20100009195 U KR20100009195 U KR 20100009195U KR 20110011171 U KR20110011171 U KR 201100111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film
packaging
housing
ele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91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2451Y1 (ko
Inventor
장성환
Original Assignee
장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성환 filed Critical 장성환
Priority to KR20201000091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451Y1/ko
Publication of KR201100111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1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4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4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B65B11/48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folding a wrapper, e.g. a pocketed wrapper, and securing its opposed free margins to enclos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12Feeding webs from rolls
    • B65B41/16Feeding webs from rolls by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18Registering sheets, blank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6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otary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 B65B61/1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using heated wires or cut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Package Clos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과자나 떡류 등의 내용물을 자동 포장하기 위한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용물이 봉지된 필름을 신속 정확하고 안전하게 커팅할 수 있고, 커터날의 작동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을 최소화하도록 개선된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포장용 필름을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내용물을 밀봉 및 커팅 처리하기 위한 포장장치에 있어서, 프레임(f) 전면부에 배치되며 필름(600)이 다수의 중간롤(400)들을 거쳐서 상면으로 공급되는 제품 적재부(100); 상기 제품 적재부를 지나 이송되어 온 필름의 폭 보다 좁게 형성되는 유도판(210)에 의하여 필름의 양측단이 접히도록 하는 포장 안내부(200); 상기 포장 안내부를 거친 필름의 양측 가장자리를 밀착시킨 상태로 당기는 풀링롤러(510)와 밀착된 양측 가장자리를 열융착으로 밀봉 포장하는 열융착롤러(520)로 구성되는 밀봉부(500); 및 상기 밀봉부를 거친 포장 필름의 밀봉 부분 외측단을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동모터(712)가 내장되는 하우징(710)의 상부에서 하우징의 내부까지 연장하여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가이드봉(763)과, 상기 하우징 상부의 가이드봉 상에서 승강하도록 상·하로 배치되는 상단블럭(761) 및 하단블럭(762)과, 상기 상단블럭에 장착되는 커터날(773)과, 상기 하단블럭에 장착되는 커터날 착좌대(772)와, 상기 상단블럭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르래(791)와, 상기 하우징 내부의 가이드봉 상에서 승강하는 승강블럭(793)과, 상기 승강블럭과 상기 하단블럭을 도르래(791)를 거쳐 연결하는 승강 와이어(792)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713) 상에 형성되는 캠(794)과 상기 캠(794)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것으로서 상기 승강블럭에 장착되는 종동휠(79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Description

포장장치{Wrapping machine}
본 고안은 떡, 한과, 과자, 빵이나 케익 등의 내용물을 자동으로 포장하기 위한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장용 필름의 이송, 밀봉 및 커팅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로 개선된 포장용 기계에 관한 것이다.
떡, 한과, 과자류, 빵이나 케익류와 같은 식료품은 보통 비닐 포장지 등에 담겨 유통 및 판매되는데, 이러한 내용물들을 포장하기 위하여 다양한 포장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다. 포장장치는 크게 자동 포장장치와 반자동 포장장치로 구별할 수 있는데, 반자동 포장장치라 함은 작업자가 포장지에 제품을 넣은 후 포장지의 끝 부분을 포장장치에 넣어 한 번에 하나씩 밀봉 포장하도록 된 장치를 말하며, 자동포장장치라함은 제품이 투입되면 일련의 연속적인 과정을 거쳐 자동으로 제품의 이송과 밀봉 및 커팅작업이 수행되는 장치를 의미한다.
도1은 출원인에 의하여 개발된 포장장치의 외관 구성도인데, 출원인의 등록특허 제079073호 "포장장치"에서 그 구성의 일부를 개시한 바 있다. 본 고안에서도 도1의 구성과 공유되는 부분은 도1의 도면 번호를 그대로 참조할 것이며, 본 고안에 일체화된 상기 등록특허에서 이미 상술한 내용에 관하여는 본 고안에서 중복하여 자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종래의 포장장치는 하부에 위치하는 롤 형태의 필름(600)이 다수의 롤러(401~403)들을 거쳐 공급되는 제품 적치대(100), 제품 적치대(100)에서 이송되어 온 필름의 양 측 가장자리가 접히도록 하는 포장 안내부(200), 상기 포장 안내부(200)를 거치면서 밀착되는 필름의 양 측 가장자리를 밀착을 유지한 상태에서 당겨주는 풀링롤러(510)와 밀착부를 열융착하기 위한 열융착롤러(520)로 구성되는 밀봉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내용물을 포함한 상태에서 상기 밀봉부에서 봉지된 포장 필름의 밀봉부 외측단은 커터날 등을 통하여 절단한 후 포장공정이 마무리 된다.
그런데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커터날이 부착되는 블럭이 에어 실린더(800)와 같은 유공압 실린더 장치의 피스톤 로드에 결합되어 상하로 승강 운동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경우 상기 에어 실린더(800)를 구동하기 위한 압축기(compressor)의 구비가 반드시 요구되어 장치의 부피가 커지는 단점이 있었으며, 상기 압축기 등이 하우징(710)의 내부에 위치하여 장치의 무게가 증가함은 물론 압축기가 구동되는 소음이 항상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피스톤 로드의 선단에 커터날이 결합하여 상하로 구동되므로 필름을 절단 커팅할 때 커팅 충격이 장치에 전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유공압 장치 및 압축기의 구성으로 인한 소음과 진동은 작업자의 피로도를 증가시키게 되고, 장치의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등록특허 제0293108호 "자동포장기의 커터실러구동장치"에서는 본체에 수직설치되는 커터실러블록 및 승강다이가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 프레임과 한 쌍의 랙부재와 피니언 기어로 구성되어 구동모터에 의하여 상기 승강다이를 승강시키는 크랭크기구를 포함하는 자동포장기의 커터실러 구동장치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또한 공개특허 제0-2009-0111201호 "낱장 절취가능한 비닐시트 묶음 형성장치 및 비닐시트 묶음"에서는 모터축에 연결된 캠과 커넥팅 로드에 의하여 절단부의 절단날이 승강하도록 하는 구성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전기의 등록특허의 경우 커터실러블록을 승강시키기 위하여 랙과 피니언 기어와 크랭크 기구 등의 복잡한 동력 전달 장치를 채택하고 있어 장치의 구성이 복잡하고 유지보수가 어려우며, 동작이 매그럽지 못하여 다소간 진동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후기의 공개특허의 경우 상부의 절단날만이 캠과 커넥팅로드의 관절 운동으로 승강하여 단순히 시트지를 절단하기만 하는 것이므로 시트지가 팽팽하게 당겨지지 않는 경우에는 잘 절단되지 않으며, 시트지의 하방에 시트지를 지지하는 구조가 없어서 절단작업이 불안정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장치의 무게나 부피를 줄임과 동시에 소음과 진동이 적어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고 장치의 성능에 부정적인 진동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청되었다.
등록특허 제0790735호 "포장장치" 등록특허 제0293108호 "자동포장기의 커터실러구동장치" 공개특허 제0-2009-0111201호 "낱장 절취가능한 비닐시트 묶음 형성장치 및 비닐시트 묶음"
본 고안의 목적은 밀봉된 포장용 필름의 커팅 작업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연속적으로 수행되고, 이 과정에서 소음과 진동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개선된 포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커팅될 필름의 상부에 위치하는 커터날과 하부에 위치하는 커터날 착좌대가 커팅작업시에 동시에 승강하도록 함으로써 얇은 포장용 필름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포장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포장용 필름을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내용물을 밀봉 및 커팅 처리하기 위한 포장장치에 있어서, 프레임(f) 전면부에 배치되며 필름(600)이 다수의 중간롤(400)들을 거쳐서 상면으로 공급되는 제품 적재부(100); 상기 제품 적재부를 지나 이송되어 온 필름의 폭 보다 좁게 형성되는 유도판(210)에 의하여 필름의 양측단이 접히도록 하는 포장 안내부(200); 상기 포장 안내부를 거친 필름의 양측 가장자리를 밀착시킨 상태로 당기는 풀링롤러(510)와 밀착된 양측 가장자리를 열융착으로 밀봉 포장하는 열융착롤러(520)로 구성되는 밀봉부(500); 및 상기 밀봉부를 거친 포장 필름의 밀봉 부분 외측단을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동모터(712)가 내장되는 하우징(710)의 상부에서 하우징의 내부까지 연장하여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가이드봉(763)과, 상기 하우징 상부의 가이드봉 상에서 승강하도록 상·하로 배치되는 상단블럭(761) 및 하단블럭(762)과, 상기 상단블럭에 장착되는 커터날(773)과, 상기 하단블럭에 장착되는 커터날 착좌대(772)와, 상기 상단블럭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르래(791)와, 상기 하우징 내부의 가이드봉 상에서 승강하는 승강블럭(793)과, 상기 승강블럭과 상기 하단블럭을 상기 도르래(791)를 거쳐 연결하는 승강 와이어(792)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713) 상에 형성되는 캠(794)과 상기 캠(794)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것으로서 상기 승강블럭에 장착되는 종동휠(79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장치를 제안한다.
여기서, 상기 도르래는 상기 상단블럭의 양 측단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삽설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블럭, 하단블럭, 승강블럭의 각각과 상기 가이드봉이 접촉하는 부위에는 베어링이 내설된 가이딩 보스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단블럭과 하단블럭 사이에 위치하는 가이드봉 상에는 완충용 스프링이 장착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커터날을 구동하기 위하여 압축기와 에어 실린더를 사용하지 않게 되므로 장치의 무게와 부피가 감소할 뿐 아니라 압축기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기계적인 소음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에어 실린더에 부착된 커터날의 작동으로 인한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소음과 진동으로 인한 작업자의 피로도가 감소하여 작업능률이 향상되며, 커터날의 동작 진동으로 인하여 장치의 부품들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커터날과 커터날 착좌대가 캠 및 도르래와 승강와이어에 의하여 기계적인 마찰을 최소화하면서 부드럽게 승강하면서 안정적으로 필름의 밀봉부를 절단하게 되므로 커팅 동작시 소음과 진동이 최소화되며 절단된 커팅면이 고르다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출원인에 의한 종래의 포장장치의 외관 구성도.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팅부의 부분 절개 외관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팅부 상부 구조의 확대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팅부 하부 구조의 확대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원리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팅부의 부분 절개 외관 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팅부 상부 구조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팅부 하부 구조의 확대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포장장치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제품 적재부(100), 포장 안내부(200), 다수의 중간롤러(401~403), 밀봉부(500) 및 커팅부(700)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포장장치는 본 고안에 일체화된 출원인의 등록특허 제0790735호 및 출원인의 개발품인 도1의 포장장치와 커팅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구성을 공유하고 있으므로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동일한 제품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본 고안의 특징적인 부분들을 위주로 기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품 적재부(100)는 떡 등의 제품이 올려지며, 다수의 중간롤러(401~403)를 거치고 이송되어온 필름(600)이 그 상면으로 공급된다.
상기 제품 적재부(100)로 공급되는 필름 위에 얹혀진 내용물과 필름은 전방으로 이송되면서 필름의 폭보다 좁은 폭은 가지는 유도판(210)과 바닥판(220)으로 이루어지는 포장 안내부(200)로 이동한다.
필름(600)이 포장 안내부(200)를 지나는 동안 필름의 양측단부, 즉 필름의 양측 가장자리는 유도판(210)에 의하여 일정 부분 접히게 된다.
포장 안내부(200)의 전방에는 한 조의 구동롤러(511)와 피동롤러(512)로 이루어지는 풀링롤러(pulling roller,510)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풀링롤러(510)는 접힌 필름(600)의 양 측 가장자리를 밀착시킨 상태로 당겨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풀링롤러(510)의 전방에는 밀착된 필름의 가장자리를 열융착하여 밀봉하기 위한 열융착롤러(520)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도면의 미설명부호 S와 C는 풀링롤러(510)와 열융착롤러(520)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스프로켓 및 체인을 각각 나타낸다. 또한, 도면의 미설명부호 900은 장치의 제어를 위한 회로와 전기전자 소자들이 내장된 제어부를 나타낸다.
도2 내지 도4는 위의 포장장치의 주요 구성에서 커팅부(700) 만을 도시하고 나머지 부분은 생략한 것이다.
본 고안의 커팅부(700)는 크게 하우징(710) 내부의 모터 베이스(711)에 고정되는 구동모터(712), 상기 구동모터(712)의 모터축(712a)에 연결되는 회전축(713)에 결합하는 캠(794), 상기 하우징(710)의 상부에서 하우징(710)의 내부 바닥면까지 연장하여 고정되는 가이드봉(763), 상기 하우징(710) 내부의 가이드봉(763)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승강블럭(793), 상기 가이드봉(763) 상에서 승강하는 상단블럭(761), 상기 상단블럭(761) 하부의 상기 가이드봉(763) 상에서 승강하는 하단블럭(762), 상기 승강블럭(793)과 하단블럭(762)을 연결하는 승강 와이어(792)와 도르래(791), 상기 상단블럭(761)에 고정되는 커터날 홀더(771) 및 상기 하단블럭(762)에 고정되는 커터날 착좌대(7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봉(763)은 하우징(710)의 상면에 고정되도록 좌우측 한 쌍으로 설치되며, 도시한 것처럼 하우징(710)의 상면에 보강판(781)을 대고 상기 보강판을 관통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봉(763)의 하단부는 상기 하우징(710)의 상면을 관통하여 하우징(710)의 내부로 연장되며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이 하우징(710) 내부의 바닥면에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봉(763)의 상·하부에는 상단블럭(761)과 하단블럭(762)이 가이드봉(763) 상에서 슬라이딩하여 승강하도록 각각 결합한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765a,765b는 상·하단 블럭(761,762)을 가이드봉(763)에 결합하기 위한 가이딩 보스(guiding boss)를 나타내는데 상·하단 블럭(761,762)의 슬라이딩 동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내부에 베어링이 장착된다.
상기 상단블럭(761)의 양 측단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도르래(791)가 회전 가능하게 내설되는데, 상기 도르래(791)의 외주면에는 후술할 승강 와이어(792)가 밀착한다.
상기 상단블럭(761)에는 홀더 고정블럭(774)에 의하여 커터날 홀더(771)가 고정 결합하며, 상기 커터날 홀더(771)에 커터날(773)이 결합한다. 상기 커터날 홀더(771)와 상단블럭(761) 간에는 완충 가이드봉(775)이 좌우로 결합하여 커팅동작시 커터날 홀더(771)가 받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765c,765d는 가이딩 보스(guiding boss)를 나타내는데 커팅 동작시 완충 가이드봉(775)의 충격 흡수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에 베어링이 장착된다.
상기 가이드봉(763)과 완충 가이드봉(775)의 외주부에는 완충 스프링(764,776)이 각각 장착된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까지 연장되는 가이드봉(763)의 하단부에는 승강블럭(793)이 가이드봉(763) 상에서 승강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승강블럭(793) 역시 전술한 바와 같은 가이딩 보스(765e)에 의하여 가이드봉(763)과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슬라이딩 동작이 한결 부드럽게 수행되도록 한다.
상기 구동모터(712)에 동력 연결되는 회전축(713) 상에는 캠(794)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블럭(793)에는 종동휠(796)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종동휠(796)은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블럭(793) 상에 결합편(795)을 장착한 후 상기 결합편(79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승강블럭(793)과 상기 하단블럭(762)는 중간의 도르래(791)를 통하여 승강 와이어(792)에 의하여 연결된다. 즉, 승강 와이어(792)의 일단은 상기 하단블럭(762)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단블럭(761)에 내설된 도르래(791)를 거쳐 승강블럭(793)에 고정된다.
상기 캠(794)은 상단블럭(761), 하단블럭(762) 및 승강블럭(793)을 상하로 승강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결합편(79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종동휠(796)과 접촉하여 캠운동한다. 즉, 회전축(713)에 장착된 캠(794)이 회전하면서 캠(794)의 외주면 프로파일을 따라 구르는 종동휠(796)에 의하여 승강블럭(793)이 승강하게 된다. 승강블럭(793)의 승강에 따라 상단블럭(761)과 하단블럭(762)은 서로 접근하거나 떨어지는 방향으로 가이드봉(763) 상에서 슬라이딩 운동한다.
예를 들어, 캠(794)과 종동휠(796)에 의하여 승강블럭(793)이 하강하면 승강 와이어(792)가 도르래(791)을 통하여 아래로 당겨지면서 하단블럭(762)은 들어 올리는 반면 상단블럭(761)은 아래로 하강시키게 된다. 이렇게 하여 상단블럭(761)에 장착된 커터날(773)이 하단블럭(762)에 장착된 커터날 착좌대(772)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필름의 밀봉부 외측단을 절단하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승강블럭(793)이 상승하면 하단블럭(762)은 승강 와이어(792)가 느슨해지므로 가이드봉(763) 상에서 아래로 하강하고, 상단블럭(761)은 가이드봉(763) 상에서 압축된 완충 스프링(764)의 탄성력에 의하여 위로 상승하게 된다.
정리하면 승강블럭(793)이 하강하면서 커터날(773)과 커터날 착좌대(772)의 절단작업이 수행되고, 승강블럭(793)이 상승하면서 커터날(773)과 커터날 착좌대(772)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보강판(781)에는 승강봉(766)의 상하 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딩 보스(766a)가 관통 결합하고, 하우징(710)의 내부에 까지 연장된다. 상기 승강봉(766)은 상기 가이딩 보스(766a)의 내경에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승강운동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커팅부(700)에 의하면 회전축(713)이 회전하면 커터날(773)을 장착한 커터날 홀더(771)가 하강함과 동시에 커터날 착좌홈(772a)이 상면에 형성된 커터날 착좌대(772)가 상승하면서 필름을 절단 커팅하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커터날(773)이 장착된 상단블럭(761)과 커터날 착좌대(772)가 장착된 하단블럭(762)이 랙기어나 유압 실린더와 같은 구동수단에 의하여 승강하는 것이 아니라 승강 와이어(792)와 도르래(791) 및 캠(794)의 작동으로 연속하여 부드럽게 승강하기 때문에 소음이 거의 없으며 진동이 매우 적다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과자, 떡, 케익과 빵 등의 음식물을 자동 포장하기 위한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며, 종래 포장장치의 소음, 진동 및 커팅동작을 개선한 것으로서 종래의 장치에 비하여 부피나, 무게가 감소할 뿐 아니라 작업자의 작업 피로도를 줄일 수 있게 설계된 바 음식료품의 제조, 유통 및 판매업을 영위하는 해당 업계에서 채택하면 편리할 것이다.
100: 제품 적재부 200: 포장 안내부
210: 유도판 220: 바닥판
300: 수거부 401~403: 롤러
510: 풀링 롤러 511: 구동 롤러
512: 피동 롤러 520: 열융착 롤러
530: 동력 전달축 600: 필름
700: 커팅부 710: 하우징
711: 모터 베이스 712: 구동모터
713: 회전축 761: 상단블럭
762: 하단블럭 763: 가이드봉
764: 완충 스프링 771: 커터날 홀더
772: 커터날 착좌대 773: 커터날
774: 홀더 고정블럭 775: 완충 가이드봉
776: 완충 스프링 791: 도르래
792: 승강 와이어 793: 승강블럭

Claims (4)

  1. 포장용 필름을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내용물을 밀봉 및 커팅 처리하기 위한 포장장치에 있어서,
    프레임(f) 전면부에 배치되며 필름(600)이 다수의 중간롤(400)들을 거쳐서 상면으로 공급되는 제품 적재부(100);
    상기 제품 적재부를 지나 이송되어 온 필름의 폭 보다 좁게 형성되는 유도판(210)에 의하여 필름의 양측단이 접히도록 하는 포장 안내부(200);
    상기 포장 안내부를 거친 필름의 양측 가장자리를 밀착시킨 상태로 당기는 풀링롤러(510)와 밀착된 양측 가장자리를 열융착으로 밀봉 포장하는 열융착롤러(520)로 구성되는 밀봉부(500); 및
    상기 밀봉부를 거친 포장 필름의 밀봉 부분 외측단을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동모터(712)가 내장되는 하우징(710)의 상부에서 하우징의 내부까지 연장하여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가이드봉(763)과, 상기 하우징 상부의 가이드봉 상에서 승강하도록 상·하로 배치되는 상단블럭(761) 및 하단블럭(762)과, 상기 상단블럭에 장착되는 커터날(773)과, 상기 하단블럭에 장착되는 커터날 착좌대(772)와, 상기 상단블럭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르래(791)와, 상기 하우징 내부의 가이드봉 상에서 승강하는 승강블럭(793)과, 상기 승강블럭과 상기 하단블럭을 상기 도르래(791)를 거쳐 연결하는 승강 와이어(792)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713) 상에 형성되는 캠(794)과 상기 캠(794)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것으로서 상기 승강블럭에 장착되는 종동휠(79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르래는 상기 상단블럭의 양 측단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삽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블럭, 하단블럭, 승강블럭의 각각과 상기 가이드봉이 접촉하는 부위에는 베어링이 내설된 가이딩 보스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블럭과 하단블럭 사이에 위치하는 가이드봉 상에는 완충용 스프링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장치.
KR2020100009195U 2010-09-01 2010-09-01 포장장치 KR2004624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195U KR200462451Y1 (ko) 2010-09-01 2010-09-01 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195U KR200462451Y1 (ko) 2010-09-01 2010-09-01 포장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5480U Division KR200450893Y1 (ko) 2010-05-26 2010-05-26 포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171U true KR20110011171U (ko) 2011-12-02
KR200462451Y1 KR200462451Y1 (ko) 2012-09-11

Family

ID=47074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9195U KR200462451Y1 (ko) 2010-09-01 2010-09-01 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45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3186B1 (ko) * 2018-12-04 2019-06-27 이용근 셔트 타입 연속 포장기
CN115465524A (zh) * 2022-08-11 2022-12-13 江苏群昌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热收缩包装机的侧边切膜封口机构
KR102495520B1 (ko) * 2022-10-11 2023-02-06 김남호 필름 절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808B1 (ko) 2015-05-13 2015-12-16 주식회사 삼정지비엘 떡 포장기의 컷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0717A (en) 1996-12-19 1998-04-21 Mcneil-Ppc, Inc. Blister package scoring machine
KR100790735B1 (ko) 2007-09-19 2008-01-02 장성환 포장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3186B1 (ko) * 2018-12-04 2019-06-27 이용근 셔트 타입 연속 포장기
CN115465524A (zh) * 2022-08-11 2022-12-13 江苏群昌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热收缩包装机的侧边切膜封口机构
KR102495520B1 (ko) * 2022-10-11 2023-02-06 김남호 필름 절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2451Y1 (ko) 2012-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1405Y1 (ko) 포장용 필름의 커팅장치 및 이를 구비한 포장장치
KR200462451Y1 (ko) 포장장치
KR200450893Y1 (ko) 포장장치
CN103182797B (zh) 全自动糊折盒机
CN110654621A (zh) 一种小袋抓取式装箱机
CA2879651A1 (en) Packaging machine for food product
CN115367233A (zh) 一种产品包装生产线及其包装方法
CN111792127A (zh) 高速直进袖口机
KR101993186B1 (ko) 셔트 타입 연속 포장기
CN209921738U (zh) 一种无纺布包装封口装置
CN210417167U (zh) 一种物流包装用自动开箱设备
JP6231348B2 (ja) 食物収納包装方法
CN114056666B (zh) 一种餐盒包装机
CN211224113U (zh) 一种保鲜膜生产用自动装盒机
CN214296716U (zh) 一种往复式包装机
CN210391752U (zh) 一种由齿条驱动的包装设备中的包装袋封装装置
CN213292894U (zh) 一种枕式包装机
CN210853067U (zh) 高频热压束带机
CN209702571U (zh) 一种镜片玻璃切断机
CN102700769B (zh) 一种绿色环保折痕纸盒的包装机
JP3523227B2 (ja) 包装機及びこの包装機を用いた包装フィルムのシール方法
CN212074467U (zh) 一种新型立式自动包装机
CN218907873U (zh) 一种型材包装设备
JP4488842B2 (ja) 真空包装機における袋口処理装置
CN219056751U (zh) 软包装食品自动装箱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