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1050A - 중량물 인양용 슬링장치 - Google Patents

중량물 인양용 슬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1050A
KR20110011050A KR1020090068504A KR20090068504A KR20110011050A KR 20110011050 A KR20110011050 A KR 20110011050A KR 1020090068504 A KR1020090068504 A KR 1020090068504A KR 20090068504 A KR20090068504 A KR 20090068504A KR 20110011050 A KR20110011050 A KR 20110011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ng
weight
lifting
sling body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8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상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8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1050A/ko
Publication of KR20110011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0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25Chain-type s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6Slings with load-engaging platforms or framew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1Cab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 개의 체인으로 기중기에 연결되어 중량물 인양시 상기 기중기와 상기 중량물을 연결하는 슬링장치로서,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가진 막대 형상으로 구비되는 슬링몸체; 상기 슬링몸체를 중심으로 폭 방향의 양측에 복수의 무게추가 각각 안착되는 한 쌍의 안착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슬링몸체의 일단부에 수평으로 구비된 지지판; 상기 슬링몸체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상기 슬링몸체 중심부의 일측에 폭 방향으로 이격 설치되고, 상기 체인 중 한 쌍이 각각 체결되는 한 쌍의 고리; 상기 슬링몸체 중심부의 타측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체인 중 나머지 하나가 체결되는 중심고리; 및 상기 중량물과 결합된 지그가 체결되도록 상기 슬링몸체의 타단에 형성된 지그 체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그 체결부에 중량물이 체결된 지그를 결합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중량물의 인양이 가능하고, 막대 형상의 슬링몸체의 길이를 이용하여, 목적한 위치에 승강 접근이 불가능한 경우 수평 이송을 통한 측면 접근으로 중량물 인양이 가능하다.
Figure P1020090068504
중량물, 인양, 슬링장치

Description

중량물 인양용 슬링장치 {Sling apparatus for pulling up heavy load}
본 발명은 중량물 인양용 슬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종류의 중량물의 인양이 가능하고, 승강을 통해 목적한 위치에 접근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수평 이송을 통해 측면 접근하여 중량물을 인양할 수 있는 중량물 인양용 슬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량물을 이동시킬 때에는 중량물을 들어올려 상하ㆍ좌우ㆍ전후로 운반하는 기중기를 사용하게 되는데, 슬링장치는 이렇게 기중기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이동시킬 때 중량물을 크레인에 걸어주는 연결수단을 일컫는다.
이와 같은 중량물 인양용 슬링장치의 종래 구성을 살펴보면, 그 하부에는 중량물의 일측부에 고정되도록 중량물의 일측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된 고정부, 그 상부에는 기중기의 체인이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고리가 구비되어, 고정부에 중량물이 고정된 상태에서 기중기를 통해 중량물과 함께 슬링장치를 들어올려 이동시킨다.
이러한 종래의 중량물 인양용 슬링장치는, 고정부가 중량물의 일측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므로, 인양 대상 중량물이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중량물에 사 용될 수 있는 별도의 슬링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즉, 인양 대상 중량물마다 각각 대응되는 별도의 슬링장치가 구비되므로, 인양 대상 중량물이 변경되면 슬링장치도 교체되어야 하므로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그 교체 시간으로 인해 인양 작업을 진행함에 있어 시간적 손실이 큰 단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중량물에 대하여 각각에 대응되도록 다수의 슬링장치를 구비해야하므로 비용적 손실도 큰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중량물 인양용 슬링장치는, 중량물을 상승시켜 이동한 상태에서 해당 중량물을 이송위치에 하강 위치시키게 되는데, 해당 이송위치 상측에 간섭물이 존재하여 중량물을 그 상측에서 하강시킬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는 큰 단점이 있다. 또한 중량물을 상승시킨 후 수평 이송으로 측면 접근을 하더라도 슬링장치와 간섭물이 간섭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반대로, 중량물을 상측으로 인양할 때에도 그 상측에 간섭물이 존재하면 해당 중량물을 상승시킬 수 없는 동일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인양 대상 중량물이 전투차량의 암 내장형 서스펜션(ISU; In-arm Suspension Unit)인 경우, 목적한 암 내장형 서스펜션의 설치 위치의 상측에 위치하는 전투차량의 포탑에 의해 간섭이 일어나 해당 중량물을 목적한 설치 위치로부터 승강시킬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중량물에 사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목적한 설치 위치에 대한 승강 접근이 불가능한 경우 수평 이송을 통한 측면 접근으로 중량물을 인양할 수 있는 중량물 인양용 슬링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인양용 슬링장치는, 세 개의 체인으로 기중기에 연결되어 중량물 인양시 상기 기중기와 상기 중량물을 연결하는 슬링장치로서,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가진 막대 형상으로 구비되는 슬링몸체; 상기 슬링몸체를 중심으로 폭 방향의 양측에 복수의 무게추가 각각 안착되는 한 쌍의 안착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슬링몸체의 일단부에 수평으로 구비된 지지판; 상기 슬링몸체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상기 슬링몸체 중심부의 일측에 폭 방향으로 이격 설치되고, 상기 체인 중 한 쌍이 각각 체결되는 한 쌍의 고리; 상기 슬링몸체 중심부의 타측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체인 중 나머지 하나가 체결되는 중심고리; 및 상기 중량물과 결합된 지그가 체결되도록 상기 슬링몸체의 타단에 형성된 지그 체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중량물 인양용 슬링장치는, 상기 슬링몸체 일단의 상기 한 쌍의 안착부 사이에 형성된 균형고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그 체결부의 상기 지그의 상기 중량물 체결 여부에 따라, 상기 체인 중 나머지 하나가 상기 중심고리와 상기 균형고 리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중량물 인양용 슬링장치는, 상기 중량물의 무게에 따라 상기 체인 중 나머지 하나가 선택적으로 체결되도록 상기 중심고리에서 상기 슬링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균형중심고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은, 그 하측에 위치한 소정의 지지물에 의해 선택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물에 하단이 접촉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된 하나 이상의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고리는, 상기 슬링몸체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상기 슬링몸체 중심부의 일측에 폭 방향으로 설치된 지지막대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중량물 인양용 슬링장치에 의하면, 막대 형상의 슬링몸체가 구비되어 그 양단에 무게추와 인양 대상 중량물이 위치되므로, 간섭물로 인해 목적한 설치 위치에 대한 승강 접근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슬링몸체의 길이를 이용하여 수평 이송을 통한 측면 접근으로 중량물을 인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링몸체의 일단에는 중량물과 결합된 지그가 체결될 수 있는 지그 체결부가 구비되어, 다양한 중량물이 지그를 통해 슬링몸체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종류의 중량물의 인양이 가능하다.
또한, 기중기와 연결된 세 개의 체인에 의한 3점 지지 방식으로 그 안정성이 매우 높고, 무게추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슬링몸체의 폭 방향으로 한 쌍이 구비되어 슬링몸체의 길이 방향뿐만 아니라 폭 방향으로도 무게의 평형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세 개의 체인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중심고리와 균형고리에 체결시킬 수 있으므로 중량물의 체결 여부와 관계없이 슬링몸체의 안정적인 이송이 가능하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범위가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인양용 슬링장치는, 세 개의 체인으로 기중기에 연결되는 슬링장치로서, 기중기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이동시킬 때 중량물을 기중기의 체인에 걸어주는 일종의 연결장치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인양용 슬링장치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인양용 슬링장치는, 슬링몸체(100), 지지판(200), 지지막대(300), 중심고리(400), 균형중심고리(400'), 균형고리(500) 및 지그 체결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슬링몸체(100)는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가지되, 그 폭에 비해 길이가 긴 막대 형상으로 구비되어 슬링장치의 몸체를 이룬다. 이 슬링몸체(100)의 일단부에 는 무게추(211)가 안착될 수 있도록 지지판(200)이 구비되고, 그 타단부에는 인양 대상 중량물과 결합된 지그(J)가 체결되는 지그 체결부(600)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슬링몸체(100)는 그 단면이 정사각형인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구비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슬링몸체(100)는 두 개의 피스(piece)로 이루어져 연결부(100')를 통해 서로 연결된 형태로 구현되었으나, 하나의 온전한 막대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후술되는 지지막대(300)의 한 쌍의 고리(310)가 슬링몸체(100)에 직접 설치되도록 중심부 일측에 플랜지 형태의 연결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판(2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슬링몸체(100)를 중심으로 폭 방향의 양측에 복수의 무게추(211)가 각각 안착될 수 있는 한 쌍의 안착부(210)가 형성되도록 슬링몸체(100)의 일단부에 수평으로 구비된다.
이처럼 안착부(210)가 한 쌍이 구비되는 것은, 슬링몸체(100)를 중심으로 폭 방향으로도 무게 균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슬링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는 지그 체결부(600)에 지그(J)를 통해 체결되는 인양 대상 중량물과 한 쌍의 안착부(210)에 안착된 복수의 무게추(211)가 서로 평형을 이루게 조절되고, 인양 대상 중량물의 종류에 따라 슬링몸체(100)의 폭 방향으로 발생하는 무게 불균형은 한 쌍의 안착부(210)에 각각 안착되는 무게추(211)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평형을 이루게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안착부(210)의 중심에는 수직으로 가이드축(220)이 각각 구비되 는데, 무게추(211)의 중심에 형성된 가이드홀(211-1)에 가이드축(220)이 삽입되는 형태로 무게추(211)가 안착부(210)에 위치되면, 슬링장치가 흔들림에 따라 무게추(211)가 안착부(210)에서 추락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20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하나 이상의 철판이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에 의해 지지판(200)이 소정의 목적한 무게 이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판(200)이 인양 대상 중량물 중에서 최소의 무게를 갖는 중량물의 무게에 대응되는 무게로 구비되도록 하여, 안착부(210)에 위치시키는 무게추(211)의 개수를 최소화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또 한편, 상기 지지판(200)의 끝단에는 각 안착부(210)에 하나씩 한 쌍의 지지부(230)가 구비된다. 이 한 쌍의 지지부(230)는 기중기와 연결된 세 개의 체인 중 하나가 중심고리(400), 균형고리(500) 및 균형중심고리(40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체결될 때, 해당 체인을 제외한 두 개의 체인에 의해 잠시 2점 지지가 이루어질 때가 있는데, 이때에 슬링장치가 균형을 잃지 않도록 슬링장치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부(230)는 나사홀체(231), 스크류(232) 및 접촉부재(233)를 각각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나사홀체(231)는 지지판(200)의 측부에 고정 결합되고 그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홀(231-1)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크류(232)는 나사홀(231-1)에 나사 결합되어 그 회전에 따라 승강된다. 상기 접촉부재(233)는 스크류(232)의 하단에 결합되어 소정의 지지물에 접촉된다. 여기서 소정의 지지물이란 슬링장치가 일시적으로 2점 지지될 때 슬링장치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지지목 등을 말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인양용 슬링장치가 일시적으로 2점 지지되기 전에, 사용자는 소정의 지지물을 한 쌍의 지지부(230)의 하측에 위치시키고, 스크류(232)를 회전시켜 접촉부재(233)를 승강시킴으로써 접촉부재(233)가 지지물에 접촉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30)는 사용자의 수작업을 통해 조작되도록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졌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2점 지지에 대비하여 소정의 지지물이나 바닥면에 슬링장치가 일시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라면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막대(300)는 슬링몸체(100)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슬링몸체(100) 중심부의 일측에 폭 방향으로 고정되고, 그 양단부에는 세 개의 체인 중 한 쌍이 각각 체결되는 한 쌍의 고리(310)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막대(300)는 3점 지지를 위해 셋 중 한 쌍의 체인이 폭 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 쌍의 대칭된 고리(310)를 제공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그러나 이러한 지지막대(300)가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고리(310)가 슬링몸체(100)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중심고리(400)는 슬링몸체(100) 중심부의 타측에 고정 설치되고 세 개의 체인 중 상기 한 쌍의 고리(310)에 체결되는 2개를 제외한 나머지 하나가 체결된다. 따라서, 기중기와 연결된 세 개의 체인은 한 쌍의 고리(310) 및 중심고 리(400)에 체결됨으로써 슬링장치는 안정적으로 3점 지지가 된다.
상기 균형중심고리(400')는 중심고리(400)에서 슬링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고정설치됨으로써, 중심고리(400)에 체결되는 체인이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 균형중심고리(400')는 세 개의 지지점 중에서 하나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인양 대상 중량물과 무게추(211)의 무게 균형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즉, 1차적으로 무게추(211)의 종류 및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무게 균형을 조절할 수 있으나, 2차적으로 체인의 연결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무게 균형을 조절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균형중심고리(400')는 중심고리(400)에서 한 쌍의 고리(310)에 대해 더 멀어진 위치에 하나가 형성되었으나, 그 구비 위치 및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고리(310)에 대해 더 멀어진 위치 및 가까워진 위치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심고리(400)에 체결되는 체인이 한 쌍의 고리(310)에 대해 더 멀어진 위치에 형성된 균형중심고리(400')에 체결된 경우, 지지되는 3점의 균형점이 지그 체결부(600)측으로 이동되므로 동일한 종류 및 개수의 무게추(211)로 더 큰 중량의 중량물을 인양할 수 있다.
상기 균형고리(500)는 지지판(200)이 설치된 슬링몸체(100)의 일단 중심부에 형성된다. 즉, 한 쌍의 안착부(210)가 슬링몸체(100)에 대해 대칭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균형고리(500)는 한 쌍의 안착부(210) 사이에 형성된다.
이 균형고리(500)는 지그 체결부(600)에서 중량물이 탈거된 경우, 슬링장치의 무게 중심이 무게추(211)에 의해 지지판(200) 측으로 급격히 쏠리면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중량물을 탈거하기 전에, 중심고리(400)에 체결된 체인을 균형고리(500)로 옮겨 체결함으로써, 슬링장치의 균형점을 무게추(211) 측으로 옮길 때 사용된다. 즉, 상기 균형고리(500)는 중량물이 체결되지 않고 무게추(211)만 안착된 슬링장치를 이송할 때, 안정적으로 무게 중심을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지그 체결부(600)는 인양 대상 중량물과 결합된 지그(J)가 체결되도록 슬링몸체(100)에서 지지판(200)이 구비된 일단의 반대측 타단에 형성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그(J)는 중량물이 체결될 수 있는 다수의 고정홀(J-1)이 형성된 판 구조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그 체결부(600)는 이러한 지그(J)가 체결될 수 있도록 다수의 체결홀(610)이 형성된 플랜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그 체결부(600)는 플랜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지그(J)와 볼트(B) 및 너트(N)에 의해 체결되도록 구비되었으나, 그 형상 및 지그(J)와의 체결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 둔다.
그리고 상기 지그(J)는 인양 대상 중량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고, 지그 체결부(600)의 형상 및 체결 방식이 변경됨에 따라 해당 형상 및 체결 방식에 적합한 형태로 자유롭게 제작될 수 있다.
이하,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 량물 인양용 슬링장치의 동작 및 사용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인양용 슬링장치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설치 위치에서 탈거한 후 인양하는 것을 기준으로 자세히 설명하고, 중량물을 목적한 설치 위치에 설치하는 것은 이의 역순이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 체결부(600)에 인양 대상 중량물(HL)이 체결될 수 있는 지그(J)가 체결된 상태로, 중량물(HL)의 무게와 평형을 이룰 수 있는 종류 및 개수의 무게추(211)들을 안착부(210)에 안착시키고, 기중기의 세 개의 체인(CH)을 한 쌍의 고리(310) 및 균형고리(500)에 각각 연결한다. 이는 중량물(HL)이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슬링장치의 무게 중심이 무게추(211) 측으로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이 상태로 기중기를 이용하여 슬링장치를 인양 대상 중량물(HL)이 위치한 목적한 위치로 이송한다. 그리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물(HL)과 지그(J)가 서로 체결될 수 있는 위치로 슬링장치를 이동시킨 후에는 지지부(230)의 하측에 지지목과 같은 지지물(SM)을 위치시키고, 지지부(230)의 스크류(232)를 조절하여 접촉부재(233)가 지지물(SM)에 접촉되도록 하여 슬링몸체(100)의 무게추(211) 측이 지지물(SM)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양 대상 중량물(HL)을 지그(J)에 체결시키고, 세 개의 체인(CH) 중에서 균형고리(500)에 체결된 체인(CH)을 분리시켜 중심고리(400)에 체결한다. 이로써, 무게추(211)와 중량물(HL)이 서로 무게 평형을 이 룰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인양 대상 중량물(HL)을 조립체(CB)로부터 분리시킨다. 여기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균형고리(500)에서 분리된 체인(CH)은 균형중심고리(400')에 체결될 수도 있다.
이후,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30)의 스크류(232)를 조절하여 접촉부재(233)와 지지물(SM)이 분리되도록 하고 지지물을 제거한 후, 중량몰(HL)을 인양한다. 비록 인양 대상 중량물(HL)의 상측에 간섭물(IM)이 존재하여 승강 이송을 통한 인양이 불가능하더라도, 도 5d와 같이 측면 이송을 통한 인양이 가능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인양용 슬링장치에 의하면, 중량물(HL)이 체결되는 다양한 지그(J)가 체결될 수 있도록 지그 체결부(600)가 구비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중량물(HL)의 인양이 가능하고, 슬링몸체(100)의 길이를 이용하여 목적한 위치에 승강 접근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수평 이송을 통한 측면 접근으로 중량물(HL)의 인양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어 있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인양용 슬링장치에 있어서, 안착부에 무게추가 안착되고 지그 체결부에 지그가 체결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인양용 슬링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인양용 슬링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인양용 슬링장치의 측면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인양용 슬링장치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인양하는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슬링몸체 100' : 연결부
200 : 지지판 210 : 안착부
211 : 무게추 211-1 : 가이드홀
220 : 가이드축 230 : 지지부
231 : 나사홀체 231-1 : 나사홀
232 : 스크류 233 : 접촉부재
300 : 지지막대 310 : 고리
400 : 중심고리 400' : 균형중심고리
500 : 균형고리 600 : 지그 체결부
610 : 체결홀 CH : 체인
J : 지그 J-1 : 고정홀
B : 볼트 N : 너트
HL : 인양 대상 중량물 SM : 지지물
CB : 조립체 IM : 간섭물

Claims (5)

  1. 세 개의 체인으로 기중기에 연결되어 중량물 인양시 상기 기중기와 상기 중량물을 연결하는 슬링장치로서,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가진 막대 형상으로 구비되는 슬링몸체;
    상기 슬링몸체를 중심으로 폭 방향의 양측에 복수의 무게추가 각각 안착되는 한 쌍의 안착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슬링몸체의 일단부에 수평으로 구비된 지지판;
    상기 슬링몸체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상기 슬링몸체 중심부의 일측에 폭 방향으로 이격 설치되고, 상기 체인 중 한 쌍이 각각 체결되는 한 쌍의 고리;
    상기 슬링몸체 중심부의 타측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체인 중 나머지 하나가 체결되는 중심고리; 및
    상기 중량물과 결합된 지그가 체결되도록 상기 슬링몸체의 타단에 형성된 지그 체결부;
    를 포함하는 중량물 인양용 슬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링몸체 일단의 상기 한 쌍의 안착부 사이에 형성된 균형고리;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그 체결부의 상기 지그의 상기 중량물 체결 여부에 따라, 상기 체인 중 나머지 하나가 상기 중심고리와 상기 균형고리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체결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인양용 슬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물의 무게에 따라 상기 체인 중 나머지 하나가 선택적으로 체결되도록 상기 중심고리에서 상기 슬링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균형중심고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인양용 슬링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그 하측에 위치한 소정의 지지물에 의해 선택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물에 하단이 접촉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된 하나 이상의 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인양용 슬링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고리는,
    상기 슬링몸체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상기 슬링몸체 중심부의 일측에 폭 방향으로 설치된 지지막대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인양용 슬링장치.
KR1020090068504A 2009-07-27 2009-07-27 중량물 인양용 슬링장치 KR201100110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504A KR20110011050A (ko) 2009-07-27 2009-07-27 중량물 인양용 슬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504A KR20110011050A (ko) 2009-07-27 2009-07-27 중량물 인양용 슬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050A true KR20110011050A (ko) 2011-02-08

Family

ID=43771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8504A KR20110011050A (ko) 2009-07-27 2009-07-27 중량물 인양용 슬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105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1265A (ko) * 2014-11-03 2016-05-1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무게 중심 조절이 가능한 인공 위성 리프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공 위성 리프트 방법
CN106882695A (zh) * 2017-02-10 2017-06-23 河南平高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高压断路器灭弧室吊运工装
KR20210079698A (ko) * 2019-12-20 2021-06-3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량부품 조립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1265A (ko) * 2014-11-03 2016-05-1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무게 중심 조절이 가능한 인공 위성 리프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공 위성 리프트 방법
CN106882695A (zh) * 2017-02-10 2017-06-23 河南平高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高压断路器灭弧室吊运工装
KR20210079698A (ko) * 2019-12-20 2021-06-3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량부품 조립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8225B1 (ko) 유리 강화열처리장치에 사용되는 대형유리 적재장치
KR20110011050A (ko) 중량물 인양용 슬링장치
US2700568A (en) Accessory for lifting hoists
US3773185A (en) Flexible magnet yoke for a crane
JP7015250B2 (ja) 昇降システム、およびこのような昇降システムのためのキャリア要素
JP6215422B1 (ja) 連節ブロック用吊り具
CN204434069U (zh) 吊具
JPH08133661A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吊り上げ具
KR20130006716U (ko) 대형 파이프 운반용 지그
JP7056589B2 (ja) Cフック吊り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搬送方法
US3519303A (en) Self-equalizing multiple point lifting system
KR200201338Y1 (ko) 크레인용 훅 보조장치
JP5673134B2 (ja) 昇降装置、揺れ防止治具及び吊り治具
CN106241670B (zh) 定位吊钩装置及具有该装置的电极壳运输设备、运输方法
KR102334708B1 (ko) 단축 제매기용 인양장치
CN202245829U (zh) 吊装活塞缸的固定结构以及工程机械
SU1293095A1 (ru) Траверса дл подъема изделий со смещенным центром масс
CN210505203U (zh) 用于mocvd设备的吊装治具及吊装系统
JP5783596B2 (ja) クレーンアタッチメント
KR101202661B1 (ko) 블록 축조방법
JP2024066790A (ja) 可変型吊り天秤
JP2023050289A (ja) 吊り装置および吊り方法
KR200407470Y1 (ko) 전기 판넬 이송 시 변형 방지를 위한 이송용 체인 지그
JP2018144991A (ja) 吊り具および吊り具の位置調整機構
KR20130000495U (ko) 트랜스포터용 하중분산 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