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9698A -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량부품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량부품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9698A
KR20210079698A KR1020190171755A KR20190171755A KR20210079698A KR 20210079698 A KR20210079698 A KR 20210079698A KR 1020190171755 A KR1020190171755 A KR 1020190171755A KR 20190171755 A KR20190171755 A KR 20190171755A KR 20210079698 A KR20210079698 A KR 20210079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weight
plate
assembling
weight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1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1822B1 (ko
Inventor
이원범
김성희
이덕규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71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1822B1/ko
Publication of KR20210079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9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1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1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10Aligning parts to be fitted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4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adjustable in incl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8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positioning only
    • B23Q3/186Alig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05Lif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의 부품의 조립 시 보다 안정적이고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는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량부품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중량부품을 대상기기의 대상면에 조립하기 위한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에 있어서, 상면에 중량부품의 장착면이 접하여 장착되는 회전플레이트와,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회전치구와, 상기 회전플레이트에 장착된 중량부품에 장착되는 접속 브라켓과, 일측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이며, 일단에는 밸런스 웨이트가 장착되고, 타단에는 상기 접속 브라켓과 연결 가능한 탭이 형성되어 상기 접속 브라켓과 연결되는 조립정렬장치 및 상기 조립정렬장치에 마련된 다수개의 고리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치구와 연결 해제된 상기 중량부품과, 접속 브라켓과, 조립정렬장치의 조립체를 상기 대상기기의 대상면 근방으로 이송시키는 크레인을 포함하는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량부품 조립방법{Heavy Weight Parts Assembly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부품조립 시스템 및 조립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량의 부품의 조립 시 보다 안정적이고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는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량부품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로켓에는 카메라가 장착되어, 로켓이 우주공간을 비행하는 동안 우주공간의 모습을 촬영하도록 되어있다.
종래에는 로켓에 장착되는 카메라의 크기가 작아 카메라의 장착 작업을 작업자가 직접 수행하여도 무리가 없었다.
그러나 근래에는 카메라의 화질이 개선됨에 따라 카메라의 부피와 무게도 함께 커졌고, 이러한 카메라를 종래의 방법과 같이 작업자가 직접 들어 장착하기에는 작업자에게도 무리가 갔다. 뿐만 아니라, 중량의 카메라를 옮기는 중 외부객체와 부딪히는 경우 카메라의 무게에 의해 카메라의 외면에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고, 손상이 발생된 카메라를 로켓에 장착하여 우주공간으로 발사시킬 경우, 해당 부분에 부식이 일어나 손상부분이 더욱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나 로켓에 장착되는 카메라의 경우 매우 고가이며, 정밀한 조립작업을 요함에 따라, 종래의 카메라 장착작업에는 카메라 손상의 최소화를 위해 많은 신중을 기하는 바, 1일 내지 2일이 소요되어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원인이 되어왔다.
따라서 로켓에 장착되는 중량의 부품을 안정적이고 세밀하게 핸들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1.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9-0002813호("크레인용 자재 안전연결장치") 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44894호("타워크레인의 이동방법") 3.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11400호("타워크레인 운전 관리시스템에 의한 운전기록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밀한 조립작업이 요구되는 중량의 부품을 보다 신속하고 정교하게 조립할 수 있는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량부품 조립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은 중량부품을 대상기기의 대상면에 조립하기 위한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에 있어서, 상면에 중량부품의 장착면이 접하여 장착되는 회전플레이트와,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회전치구; 상기 회전플레이트에 장착된 중량부품에 장착되는 접속 브라켓; 일측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이며, 일단에는 밸런스 웨이트가 장착되고, 타단에는 상기 접속 브라켓과 연결 가능한 탭이 형성되어 상기 접속 브라켓과 연결되는 조립정렬장치; 및 상기 조립정렬장치에 마련된 다수개의 고리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치구와 연결 해제된 상기 중량부품과, 접속 브라켓과, 조립정렬장치의 조립체를 상기 대상기기의 대상면 근방으로 이송시키는 크레인;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은, 상기 대상기기의 대상면 전방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중량부품의 장착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플레이트와, 상면에 상기 조립정렬장치가 안착되는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상부플레이트 사이에 서로 다른 각도와 방향으로 다수개가 기립되어 마련되며, 하단은 상기 하부플레이트 상단에 힌지결합되고, 상단은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하단에 힌지결합되는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진 헥사포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헥사포드는 제어부를 통해 각 유압실린더를 제어함으로써,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리는, 상기 조립정렬장치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쌍을 이루어 대칭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크레인의 와이어로프는, 그 끝단이 다수의 가닥으로 분기되고, 분기된 와이어로프 각각의 끝단에는 턴버클이 마련되어 상기 고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조립정렬장치는, 일측으로 길게 형성된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 웨이트장착바와, 필요에 따라 상기 웨이트장착바에 가감하여 장착되는 상기 밸런스 웨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부품 조립방법은, a)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상면에 상기 중량부품의 장착면이 접하도록 설치되는 단계; b) 상기 회전부를 통하여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상면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와 상기 대상기기의 대상면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의 차이가 30도 이하가 되도록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단계; c) 상기 접속 브라켓을 상기 중량부품에 장착하는 단계; d) 상기 조립정렬장치의 타단을 상기 접속 브라켓에 연결하는 단계; e) 상기 조립정렬장치에 상기 밸런스 웨이트를 장착하는 단계; f) 상기 조립정렬장치의 상기 고리에 상기 크레인의 와이어로프를 연결하는 단계; g) 상기 회전치구를 상기 중량부품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h) 상기 크레인을 통해 상기 조립정렬장치와, 접속 브라켓과, 중량부품의 조립체를 상기 대상기기의 대상면 근방으로 이송시키는 단계; i) 상기 중량부품을 상기 대상면에 장착하는 단계; 및 j) 상기 접속브라켓을 상기 중량부품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은, 하부플레이트와, 상면에 상기 조립정렬장치가 안착되는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상부플레이트 사이에 서로 다른 각도와 방향으로 다수개가 기립되어 마련되며, 하단은 상기 하부플레이트 상단에 힌지결합되고, 상단은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하단에 힌지결합되는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진 헥사포드와, 상기 유압실린더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h)단계이후에는, h1) 상기 크레인을 통해 상기 조립정렬장치 중앙부를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안착시키는 단계; h2)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하는 단계; 를 더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량부품 조립방법은, 상기 h)단계와 상기 i)단계 사이에, h0) 상기 밸런스 웨이트의 무게와 상기 중량부품의 무게가 같아지도록 상기 조립정렬장치에 밸런스 웨이트를 가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리는, 상기 조립정렬장치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쌍을 이루어 대칭되게 마련되고, 상기 크레인의 와이어로프는, 그 끝단이 다수의 가닥으로 분기되며 분기된 와이어로프 각각의 끝단에는 턴버클이 마련되고, 상기 중량부품 조립방법은, 상기 g)단계 이후에, g1) 상기 턴버클을 조절하여 각각의 고리에 연결된 외어이로프 끝단의 장력을 조절하여 수평을 맞추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량부품 조립방법은 크레인과 조립정렬장치의 구성을 통하여 많은 힘을 들이지 않고도 중량부품을 쉽게 이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치구와 헥사포드의 구성을 통해 중량부품을 정확한 위치에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턴버클의 구성을 통하여 중량부품의 이송 시 무게의 쏠림 없이 평평한 상태로 이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레일과 웨이트장착바의 구성을 통하여, 밸런스 웨이트의 종류를 다양하게 구비하지 않더라도 정밀한 무게의 중심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의 회전치구에 중량부품이 장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의 회전치구에 중량부품이 장착되어 회전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의 중량부품에 접속 브라켓이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의 접속브라켓에 조립정렬장치가 장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의 조립정렬장치에 크레인이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중량부품과 접속 브라켓과 조립정렬장치의 조립체가 크레인에 연결되어 이송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의 헥사포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의 헥사포드 상면에 조립정렬장치가 안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의 조립정렬장치에 밸런스 웨이트가 추가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을 통해 중량부품이 대상기기에 조립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1000)은 중량부품(11)을 대상기기(10)로 쉽고 안정적이게 이송하며, 대상기기(10)의 대상면에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써, 크게 회전치구(미도시)와, 접속 브라켓(200)과, 조립정렬장치(300)와, 크레인(400)과, 헥사포드(50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각 도면을 참고로 각부 구성의 역할 및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의 회전치구에 중량부품이 장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회전치구(100)는 대상기기의 대상면을 대신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후술할 접속 브라켓이 중량부품(11)을 대상기기에 장착할 시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중량부품(11)을 대상기기에 보다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중량부품(11)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회전치구(100)는 소정의 베이스 플레이트(도면부호 미지정)상에 지면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회전축(121)과 상기 회전축(121)을 회전시키는 핸들(122)로 이루어진 회전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121)에 연결되어 회전축(121)의 회전에 따라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플레이트(110)로 이루어진다.
회전플레이트(110)는 상면에 중량부품(11)의 장착면이 접하여 장착된다. 여기서 장착면이라 함은, 대상기기에 중량부품(11)이 장착될 시 대상기기의 대상면(중량부품이 장착될 면)과 접하는 면을 의미한다.
참고로, 중량부품(11)에는 적어도 한 군데 이상에 나사 결합을 위한 탭이 형성되어있어, 상기 회전플레이트(110) 상면에 나사결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의 회전치구에 중량부품이 장착되어 회전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치구(100)는 중량부품(11)을 회전플레이트(110)에 장착한 상태에서 회전부(120)를 조절함으로써 회전플레이트(110)를 대상기기의 대상면의 각도와 같게 만들어 대상기기의 대상면을 대신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히, 지면과 회전플레이트(110)의 상면이 이루를 각도를 지면과 대상기기의 대상면이 이루는 각도와 같도록 조절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의 중량부품에 접속 브라켓이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접속 브라켓(200)은 중량부품(11)을 이송 및 대상기기에 장착하는 작업에서 대상기기(10)에 손상을 최소화하고, 조립정렬장치와 중량부품(11)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접속 브라켓(200)은 중량부품(11)의 장착면의 반대면을 포함하여 적어도 두 면 이상을 감싸도록 형성된 것으로, 중량부품(11)의 장착면의 반대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부분에는 후술할 조립정렬장치와의 결합을 위한 탭이 형성되어있으며, 회전플레이트(110)가 상술한 바와 같이 대상기기의 대상면 각도와 같이 조절된 상태에서 중량부품(11)에 나사결합을 통해 장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의 접속브라켓에 조립정렬장치가 장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조립정렬장치(300)는 중량부품(11)을 크레인을 통해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조립정렬장치는 일측으로 길게 형성된 레일(310)과, 레일(310)의 일단부에서 레일(31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웨이트 장착바(320)와, 필요에 따라 웨이트 장착바(320)에 가감하여 장착되는 밸런스 웨이트(350)와, 레일(310) 상면에 장착되는 연결플레이트(330)와, 레일(310) 하면 중앙에 장착되는 안착플레이트(340)를 포함한다.
레일(310)은 타단에 탭이 형성되어 중량부품(11)의 장착면의 반대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접속 브라켓(200)에 나사결합 된다. 이때, 레일(310)은 LM가이드레일로 형성될 수 있고, 웨이트 장착바(320)은 상기 LM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LM블럭의 형태이되, 일측으로 길게 바가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밸런스 웨이트(350)는 고리형태로 다수개가 형성되어, 상기 웨이트 장착바(320)에 끼워질 수 있는데, 웨이트 장착바(320)가 레일(310)을 따라서 이송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다양한 중량의 웨이트 장착바(320)가 없더라도 웨이트 장착바(320)을 이송하여 무게의 중심을 가변시킬 수 있을 것이다.
연결플레이트(3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레일(310)의 상면에 연결되며, 그 상면에 다수개의 고리(331)가 마련되어 크레인과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리는 레일(31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쌍을 이루어 대칭되게 마련되어 크레인을 통해 조립정렬장치를 인양하였을 때 흔들림을 최소화 하는 것이 좋다. 참고로 상기 고리는 적어도 2쌍 이상 마련되며, 각각의 고리는 연결플레이트(330)의 모서리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착플레이트(340)는 레일(310) 하면 중앙부에 마련되어, 레일의 중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기준을 제시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후술할 헥사포드 상면에 조립정렬장치(300)를 안착시킬시 헥사포드(500)과 접촉하는 면이 됨으로써, 레일(310)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한다. 또한, 밸런스 웨이트(350)가 장착된 웨이트 장착바(320)가 레일(310)의 중심을 넘어서서 이송되지 않도록 웨이트 장착바(320)의 이송을 방해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의 조립정렬장치에 크레인이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중량부품과 접속 브라켓과 조립정렬장치의 조립체가 크레인에 연결되어 이송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크레인(400)은 일반적인 크레인 형태이되, 크레인(400)의 와이어로프(410) 끝단은 다수의 가닥으로 분기되며, 끝단에 턴버클(411)이 마련된 형태이다. 상기 턴버클(411)은 연결플레이트(330) 상면에 마련된 고리(331)에 각각 연결된다. 도면에는 턴버클(411)이 조립정렬장치 상면으로부터 수직으로 기립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실제로 조립정렬장치(300)을 인양할 때에는 각각의 턴버클(411)은 와이어로프(410) 끝단부에 형성된 분기 시작점을 향할 것이다. 그리고 도 7과 같이 회전치구와 연결 해제된 중량부품(11)과, 접속 브라켓(200)과, 조립정렬장치(300)의 조립체를 대상기기의 대상면 근방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와이어로프(410) 끝단에 턴버클(411)이 마련됨에 따라, 턴버클(411)에 포함된 나사를 통해 분기된 각각의 와이어로프(410) 끝단의 장력을 조절함으로써 조립정렬장치(300)을 지면에 대하여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며 이송시킬 수 있다.
참고로, 중량부품(11)과, 접속 브라켓(200)과, 조립정렬장치(300)의 조립체는 이송시 리프팅 포인트 즉, 와이어로프(410) 끝단부에 형성된 분기 시작점이 조립정렬장치(300)의 중앙부에 위치하지 않을 시 밸런스 웨이트(350)의 무게를 가감하여 조립정렬장치(300)의 수평을 맞추는 방법 또한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의 헥사포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헥사포드(500)는 대상기기의 대상면 전방 하측에 마련되어 중량부품의 장착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헥사포드(500)는 원판형태의 하부플레이트(520)와, 상기 하부플레이트(520) 상측에 하부플레이트(520) 상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상부플레이트(510)와, 상부플레이트(510)와 하부플레이트(520) 사이에서 서로 다른 각도와 방향으로 다수개가 기립되어 마련되는 유압실린더(530)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유압실린더(530)의 하단은 하부플레이트(520)의 상단에 힌지결합되고, 상단은 상부플레이트(510) 하단에 힌지 결합되며, 제어부를 통해 제어됨으로써, 하부플레이트(520)에 대한 상부플레이트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의 헥사포드 상면에 조립정렬장치가 안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헥사포드(500)의 상부플레이트(510)에는 크레인(400)을 통해 이송된 조립정렬장치(300)와 접속 브라켓(200)과 회전치구(100)의 조립체가 안착된다. 이때, 상부플레이트(510)의 상면은 조립정렬장치(300)의 안착플레이트(340) 하면이 접촉되도록 안착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의 조립정렬장치에 밸런스 웨이트가 추가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때, 안착플레이트(340)의 중심을 기준으로 조립정렬장치의 일단과 타단의 무게가 다를 경우, 무게가 무거운 측으로 조립정렬장치가 미끄러질 수 있기 때문에, 접속 브라켓(200)과 중량부품(11)의 무게를 합한 무게에 대응하게끔 추가적으로 밸런스 웨이트(350a)를 장착하거나 빼서 조립정렬장치의 좌우 밸런스를 맞추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을 통해 중량부품이 대상기기에 조립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헥사포드(500)를 통해 중량부품(11)의 장착위치를 대상기기(10)의 대상면에 위치하도록 조절한 후에는 중량부품(11)을 대상기기(10)에 조립하고 접속 브라켓(200)을 중량부품으로부터 결합 해제하여 조립을 완성할 수 있다.
[중량부품 조립방법]
이하 앞서 설명한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을 이용한 중량부품의 조립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중량부품 조립방법은 앞서 설명한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1000)을 이용한 것 이므로 동일한 명칭의 구성은 동일한 형상과 결합관계를 가지므로 이에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부품 조립방법은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플레이트(110)의 상면에 상기 중량부품(11)의 장착면이 접하도록 설치되는 a)단계가 수행된다. 이때 상기 회전플레이트(110)과 중량부품(11)에는 탭이 형성되어있어, 각각의 탭에 나사를 관통함으로써 고정될수 있다.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120)를 통하여 상기 회전플레이트(110)의 상면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와 상기 대상기기의 대상면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의 차이가 30도 이하가 되도록 상기 회전플레이트(110)를 회전시키는 b)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b)단계는 작업자의 눈대중으로는 회전플레이트(110)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를 대상기기의 대상면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정확하게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대략적인 각도로만 중량부품(11)을 회전시켜 후술할 i)단계에서 중량부품(11)을 장착하기 쉬운 상태로 배치하기 위함이다.
이어, 도 4와 같이, 상기 접속 브라켓(200)을 상기 중량부품(11)에 장착하는 c)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c)단계는 중량부품(11)이 회전치구(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수행되는데, 회전치구(100)의 회전플레이트(110)가 대상기기의 대상면과 같은 역할을 함으로써, 접속 브라켓(200)의 장착 위치가 중량부품(11)을 대상기기에 장착할 시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에 장착할 수 있다.
다음, 도 5와 같이 상기 조립정렬장치(300)의 타단을 상기 접속 브라켓(200)에 연결하는 d)단계가 수행되고, 이어 상기 조립정렬장치(300)에 상기 밸런스 웨이트(350)를 장착하는 e)단계가 수행된다.
이때 밸런스 웨이트(350)의 무게는 경우에 따라 반드시 중량부품(11)의 무게와 동일한 무게가 아닐 수도 있다.
다음, 상기 조립정렬장치(300)의 상기 고리(331)에 상기 크레인(400)의 와이어로프(410)를 연결하는 f)단계가 수행되고, 도 7과 같이 상기 회전치구(100)를 상기 중량부품으로부터 분리하는 g)단계가 수행된다.
g)단계에서 조립정렬장치(300)는 수평이 아닐 수 있는데, 이는 상기 턴버클(411)을 조절하여 각각의 고리(331)에 연결된 외이어로프(410) 끝단의 장력을 조절하여 수평을 맞추는 g1)단계를 통해 보완할 수 있다.
이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레인(400)을 통해 상기 조립정렬장치(300)와, 접속 브라켓(200)과, 중량부품(11)의 조립체를 상기 대상기기(10)의 대상면 근방으로 이송시키는 h)단계가 수행되고, 이어 상기 크레인(400)을 통해 상기 조립정렬장치(300) 중앙부를 상기 상부플레이트(510)에 안착시키는 h1)단계가 수행된다.
여기서 조립정렬장치(300)의 중앙부라 함은 안착플레이트(340)를 일컫는 것으로, 이때 크레인(400)의 리프팅 포인트와 안착플레이트(340)의 지지점이 서로 상이한 위치에 있어 무게의 중심이 조립정렬장치(300)의 일단 또는 타단으로 편향될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는 상기 h)단계와 후술할 i)단계 사이, 더욱 정확하게는 h)단계와 후술할 h2)단계 사이에서 상기 밸런스 웨이트(350)의 무게와 상기 중량부품(11)의 무게가 같아지도록 상기 조립정렬장치(300)에 밸런스 웨이트(350)을 가감하는 h0)단계를 수행함으로써 보완할 수 있다.
이어,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하는 h2)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중량부품(11)의 장착면이 대상기기(10)의 대상면에 위치하도록 조절하고 상기 중량부품(11)을 상기 대상면에 장착하는 i)단계를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접속 브라켓(200)을 상기 중량부품(11)부터 분리하는 j)단계를 수행함으로써 마무리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00: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
10: 대상기기
11: 중량부품
100: 회전치구
110: 회전플레이트
120: 회전부
121: 회전축
122: 핸들
200: 접속 브라켓
300: 조립정렬장치
310: 레일
320: 웨이트 장착바
330: 연결플레이트
331: 고리
340: 안착플레이트
350: 밸런스 웨이트
400: 크레인
410: 와이어로프
411: 턴버클
500: 헥사포드
510: 상부플레이트
520: 하부플레이트
530: 유압실린더

Claims (10)

  1. 중량부품을 대상기기의 대상면에 조립하기 위한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에 있어서,
    상면에 중량부품의 장착면이 접하여 장착되는 회전플레이트와,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회전치구;
    상기 회전플레이트에 장착된 중량부품에 장착되는 접속 브라켓;
    일측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이며, 일단에는 밸런스 웨이트가 장착되고, 타단에는 상기 접속 브라켓과 연결 가능한 탭이 형성되어 상기 접속 브라켓과 연결되는 조립정렬장치; 및
    상기 조립정렬장치에 마련된 다수개의 고리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치구와 연결 해제된 상기 중량부품과, 접속 브라켓과, 조립정렬장치의 조립체를 상기 대상기기의 대상면 근방으로 이송시키는 크레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은,
    상기 대상기기의 대상면 전방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중량부품의 장착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플레이트와, 상면에 상기 조립정렬장치가 안착되는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상부플레이트 사이에 서로 다른 각도와 방향으로 다수개가 기립되어 마련되며, 하단은 상기 하부플레이트 상단에 힌지결합되고, 상단은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하단에 힌지결합되는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진 헥사포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헥사포드는 제어부를 통해 각 유압실린더를 제어함으로써,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는,
    상기 조립정렬장치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쌍을 이루어 대칭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의 와이어로프는,
    그 끝단이 다수의 가닥으로 분기되고,
    분기된 와이어로프 각각의 끝단에는 턴버클이 마련되어 상기 고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정렬장치는,
    일측으로 길게 형성된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 웨이트장착바와, 필요에 따라 상기 웨이트장착바에 가감하여 장착되는 상기 밸런스 웨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정렬장치는,
    상기 레일 하면 중앙에 안착플레이트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을 이용한 중량부품 조립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상면에 상기 중량부품의 장착면이 접하도록 설치되는 단계;
    b) 상기 회전부를 통하여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상면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와 상기 대상기기의 대상면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의 차이가 30도 이하가 되도록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단계;
    c) 상기 접속 브라켓을 상기 중량부품에 장착하는 단계;
    d) 상기 조립정렬장치의 타단을 상기 접속 브라켓에 연결하는 단계;
    e) 상기 조립정렬장치에 상기 밸런스 웨이트를 장착하는 단계;
    f) 상기 조립정렬장치의 상기 고리에 상기 크레인의 와이어로프를 연결하는 단계;
    g) 상기 회전치구를 상기 중량부품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h) 상기 크레인을 통해 상기 조립정렬장치와, 접속 브라켓과, 중량부품의 조립체를 상기 대상기기의 대상면 근방으로 이송시키는 단계;
    i) 상기 중량부품을 상기 대상면에 장착하는 단계; 및
    j) 상기 접속브라켓을 상기 중량부품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부품 조립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은,
    하부플레이트와, 상면에 상기 조립정렬장치가 안착되는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상부플레이트 사이에 서로 다른 각도와 방향으로 다수개가 기립되어 마련되며, 하단은 상기 하부플레이트 상단에 힌지결합되고, 상단은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하단에 힌지결합되는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진 헥사포드와, 상기 유압실린더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h)단계이후에는,
    h1) 상기 크레인을 통해 상기 조립정렬장치 중앙부를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안착시키는 단계;
    h2)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부품 조립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부품 조립방법은,
    상기 h)단계와 상기 i)단계 사이에,
    h0) 상기 밸런스 웨이트의 무게와 상기 중량부품의 무게가 같아지도록 상기 조립정렬장치에 밸런스 웨이트를 가감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부품 조립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는, 상기 조립정렬장치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쌍을 이루어 대칭되게 마련되고,
    상기 크레인의 와이어로프는, 그 끝단이 다수의 가닥으로 분기되며 분기된 와이어로프 각각의 끝단에는 턴버클이 마련되고,
    상기 중량부품 조립방법은,
    상기 g)단계 이후에,
    g1) 상기 턴버클을 조절하여 각각의 고리에 연결된 외어이로프 끝단의 장력을 조절하여 수평을 맞추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부품 조립방법.
KR1020190171755A 2019-12-20 2019-12-20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량부품 조립방법 KR102411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755A KR102411822B1 (ko) 2019-12-20 2019-12-20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량부품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755A KR102411822B1 (ko) 2019-12-20 2019-12-20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량부품 조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698A true KR20210079698A (ko) 2021-06-30
KR102411822B1 KR102411822B1 (ko) 2022-06-22

Family

ID=76602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1755A KR102411822B1 (ko) 2019-12-20 2019-12-20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량부품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182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7280A (ja) * 1993-12-10 1995-06-20 Fujita Corp 荷揚げ装置
KR20110011050A (ko) * 2009-07-27 2011-02-08 현대로템 주식회사 중량물 인양용 슬링장치
KR20120037223A (ko) * 2010-10-11 2012-04-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동력계 디스크 조립용 지그
KR101167770B1 (ko) * 2009-12-24 2012-07-2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인공위성 몸체패널 장착 및 핸들링장치
KR102011400B1 (ko) 2018-03-21 2019-08-22 송영대 타워크레인 운전 관리시스템에 의한 운전기록 방법
KR20190002813U (ko) 2018-05-02 2019-11-12 송현식 크레인용 자재 안전연결장치
KR102044894B1 (ko) 2013-03-21 2019-12-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타워크레인의 이동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7280A (ja) * 1993-12-10 1995-06-20 Fujita Corp 荷揚げ装置
KR20110011050A (ko) * 2009-07-27 2011-02-08 현대로템 주식회사 중량물 인양용 슬링장치
KR101167770B1 (ko) * 2009-12-24 2012-07-2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인공위성 몸체패널 장착 및 핸들링장치
KR20120037223A (ko) * 2010-10-11 2012-04-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동력계 디스크 조립용 지그
KR102044894B1 (ko) 2013-03-21 2019-12-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타워크레인의 이동방법
KR102011400B1 (ko) 2018-03-21 2019-08-22 송영대 타워크레인 운전 관리시스템에 의한 운전기록 방법
KR20190002813U (ko) 2018-05-02 2019-11-12 송현식 크레인용 자재 안전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1822B1 (ko) 202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90494B2 (en) Crane and method for positioning an object
US10040579B1 (en) Shipping frame for jet aircraft engine transportation
US10450170B2 (en) Mobile crane having adjustable ballast mounting apparatus
CN104781581A (zh) 配重组件、使用该配重组件的配重机构及云台
US4355832A (en) Load balancer for multiple loads
ES2398839T3 (es) Dispositivo de enganche para sistemas de movilización de cilindros de laminación
US11085194B2 (en) Moment connection component lifting tool assembly
US20160348830A1 (en) Stabilized platform for camera
CN204004178U (zh) 配重组件、使用该配重组件的配重机构及云台
US1153062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sitioning aircraft engine components
US11987399B2 (en) Offshore rocket transport and launch method
US10752474B2 (en) Lifting unit, luffing jib crane comprising such a lifting unit and method for assembling such a crane
KR102411822B1 (ko) 중량부품 조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량부품 조립방법
KR20220038685A (ko) 풍력 터빈을 조립하기 위한 호이스팅 장치
US20180044141A1 (en) Automated receptor system
CN108975159A (zh) 一种罐式断路器灭弧室水平吊运工装
US20220297981A1 (en) A combination comprising a crane and a load guiding arrangement arranged for mounting to the crane and use of a load guiding arrangement in such combination
KR102103797B1 (ko) 항공기 화물 장착 지원장비
CN103818840A (zh) 一种吊装件以及吊装方法
US4027854A (en) Self-equalizing linkage for well derricks
CN113023095B (zh) 海上风电安装船用塔筒固定装置及塔筒运输工装
CN104591054A (zh) 一种寻口自动旋盖机
FR3102165A1 (fr) Dispositif de déplacement d’au moins un outil par rapport à une surface d’un aéronef
CA2941673A1 (en) Method for lowering a subsea structure having a substantially flat support base into the water through the splash zone
KR20110074015A (ko) 인공위성 탑재체 장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