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0960A - 이온교환막 제조용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온교환막 제조용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0960A
KR20110010960A KR1020090068351A KR20090068351A KR20110010960A KR 20110010960 A KR20110010960 A KR 20110010960A KR 1020090068351 A KR1020090068351 A KR 1020090068351A KR 20090068351 A KR20090068351 A KR 20090068351A KR 20110010960 A KR20110010960 A KR 20110010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n exchange
methacrylate
exchange membrane
copolymer
alkyl 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8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7313B1 (ko
Inventor
황택성
신경섭
최은미
김용태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68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7313B1/ko
Publication of KR20110010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7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73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2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2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212/06Hydrocarbons
    • C08F212/08Styr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1/00Anion exchange; Use of material as anion exchangers; Treatment of material for improving the anion exchange properties
    • B01J41/08Use of material as anion exchangers; Treatment of material for improving the anion exchange properties
    • B01J41/12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41/1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04Polymerisation in solution
    • C08F2/06Organic solv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4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compounding ingredients, e.g. plasticisers, dyestuffs,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34Introducing sulfur atoms or sulfur-containing groups
    • C08F8/36Sulfonation; Sulf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08J5/2206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based on organic and/or in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18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31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렌계; (C1~C20)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하이드록시(C1~C20)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를 포함하는 이온교환막 제조용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이온교환막 제조용 공중합체를 술폰화하여 이온교환막을 제조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스티렌계 단량체, (C1~C20)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하이드록시(C1~C20)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반응개시제를 포함하는 중합용 용액을 교반하여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공중합체 및 가교제, 열개시제를 포함하는 반응용 용액을 이용하여 용매 캐스팅(solvent casting)법에 의해 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막을 술폰화하여 양이온교환기로 술폰산(-SO3 -)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온교환막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온교환막은 이온교환용량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뛰어나고, 가공성이 향상되어 전기투석용 복합막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온교환막, 스티렌계, 아크릴레이트계,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술폰산기

Description

이온교환막 제조용 공중합체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copolymer for ion exchange membrane}
본 발명은 스티렌계; (C1~C20)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하이드록시(C1~C20)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를 포함하는 이온교환막 제조용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이온교환막 제조용 공중합체를 술폰화하여 제조되는 이온교환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이온교환막은 공정이 간편하고, 특정이온에 대한 선택성이 뛰어나며, 응용범위가 넓어 특히 화석원료 사용량을 감소시켜 환경오염을 저감할 수 있는 신 재생에너지 생산 청정기술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 들어 소형 노트북, 컴퓨터, 핸드폰 등의 전자제품 사용 급증으로 인해 이에 필요한 고 수명, 고성능의 배터리 개발 및 핵심소재인 새로운 연료전지의 개발 필요성에 따라 이온교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고 있다.
이온교환막은 수용액 중의 양이온 및 음이온을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어 연료전지, 전기투석, 산과 염기 회수를 위한 물 분해 전기투석, 산세 폐액으로부터 산 및 금속화학종을 회수하기 위한 확산투석, 초순수 공정 등 폭 넓게 사용되고 있 으며, 최근 선진국에서는 고성능 이온교환막이 개발됨에 따라 그 응용범위는 더욱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이온교환막의 제조 및 응용에 대한 기술축적이 매우 부족한 실정으로 이 분야에 대한 학문적 발전은 물론 기술 선점을 통한 고성능의 새로운 이온교환막 제조기술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현재 연료전지막, 전극막 등에 사용되고 있는 상용화 이온교환막은 술폰화된 폴리스티렌(Sulfonated polystyrene), 듀퐁(Du Pont)사에서 제조한 NafionTM(이하 ‘나피온’이라 함)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술폰화된 폴리스티렌은 건조하게 되면 취성의 증가로 부서지게 되어 박막화나 복합막 등의 형태로 성형이 어렵게 되며 전극으로 가공 시에 기계적 안정성이 뒤떨어진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폴리스티렌의 술폰화 비율을 낮추는 방법 또는 막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방법 등이 있는데, 이때에는 막의 이온교환 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져 이온교환막으로서의 성능을 기대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나피온은 불소계 물질로서 높은 도전성과 화학적 안정성 등으로 인해 이온교환막으로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포함되어 있는 불소화합물로 인해 가격이 매우 고가이며, 고온에서의 사용이 제한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 밖의 이온교환막 소재로는 폴리벤즈이미다졸, 폴리포스파젠, PEEK, 폴리술폰,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다졸 및 폴리페닐렌 설파이드술폰과 같이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수지를 혼합하여 양이온교환막의 기재로 사용하고 있으나 이들 막은 가격이 고가이고, 기계적 물성이 취약하여 가소제를 사용해야하는 단점을 지니고 있어 낮은 비용, 기계적 물성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티렌계; (C1~C20)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하이드록시(C1~C20)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를 포함하는 이온교환막 제조용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이온교환막 제조용 공중합체를 술폰화하여 제조된 이온교환막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티렌계 단량체, (C1~C20)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하이드록시(C1~C20)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반응개시제를 포함하는 중합용 용액을 교반하여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공중합체 및 가교제, 열개시제를 포함하는 반응용 용액을 이용하여 용매 캐스팅(solvent casting)법에 의해 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막을 술폰화하여 양이온교환기로 술폰산(-SO3 -)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온교환막의 제조방법을 통하여 이온교환용량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뛰어나고, 가공성이 향상된 이온교환막 제조용 공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 이온교환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스티렌계; (C1~C20)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하이드록시(C1~C20)알킬 아크릴레 이트계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를 포함하는 이온교환막 제조용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이온교환막 제조용 공중합체를 술폰화하여 제조된 이온교환막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스티렌계; (C1~C20)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하이드록시(C1~C20)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를 포함하는 이온교환막 제조용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이온교환막 제조용 공중합체를 술폰화하여 제조된 이온교환막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공중합체는 스티렌계 단량체 45~65 중량%, (C1~C20)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15~30 중량% 및 하이드록시(C1~C20)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5~25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공중합체 중 스티렌계 단량체는 45~6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좋으며, 더 좋게는 50~60 중량%인 것이다. 상기 스티렌계 단량체가 4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술폰화 반응의 함량이 낮아져 이온교환용량의 저하되기 때문에 이온교환막으로서의 성능을 기대할 수 없고, 6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취성의 증가로 이온교환 막으로서의 성형이 어렵게 된다.
상기 공중합체 중 (C1~C20)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공중합체의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도입되며, 15~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C1~C20)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가 1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이온교환막의 유연성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3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이온교환막의 팽윤율이 커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 공중합체 중 하이드록시(C1~C20)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가교반응을 통한 치수안정성 및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해 도입되며, 5~2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하이드록시(C1~C20)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가 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가교반응이 충분히 이루어 지지 않아 기계적 물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없으며, 2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술폰화 반응 시 과도한 가교로 인해 술폰화 반응을 저해함으로써 이온교환 용량을 떨어뜨려 이온교환막의 성능을 기대할 수 없게 된다.
상기 스티렌계 단량체는 에틸벤젠(ethylbenzene), 디비닐벤젠(divinylbenzene), 에틸비닐벤젠(p-ethylvinylbenzene), 스티렌 단량체(styrene monomer)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가장 좋게는 스티렌 단량체(styrene monomer, SM)를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C1~C20)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형성하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2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중합반응에 적합하지 않아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으므로 C1~C20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 아크릴레이트(methyl acrylate, MA), 에틸 아크릴레이트(ethyl acrylate, EA), 부틸 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BA),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2-EHA),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lauryl methacrylate, LMA), 에틸 메타크릴레이트(ethyl methacrylate, EMA),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n-Buthyl methacrylate, BMA), n-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n-hexyl methacrylate, HMA)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반응의 효과 측면에서 좋고, 가장 좋게는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LMA)를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하이드록시(C1~C20)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형성하는 알킬기의 탄소수 또한 20을 초과하는 경우 중합반응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C1~C20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구체적인 예로는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ydroxyethyl acrylate, HEA), 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hydroxypropyl acrylate, HPA),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2-HEMA),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hydroxypropyl methacrylate, HPMA), 글리시달 메타아크릴레이트(glycidal methacrylate, GMA)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반응의 효과 측면에서 좋고, 가장 좋게는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를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온교환막은,
a) 스티렌계 단량체, (C1~C20)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 하이드록시(C1~C20)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반응개시제를 포함하는 중합용 용액을 교반하여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공중합체 및 가교제, 열개시제를 포함하는 반응용 용액을 이용하여 용매 캐스팅(solvent casting)법에 의해 막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막을 술폰화하여 양이온교환기로 술폰산(-SO3 -)기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의 반응개시제는 특별한 한정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benzoyl peroxide(BPO), dicumyl peroxide(DCP), azobisisobutyronitrile(AIBN)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반응개시제는 0.2~0.7 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좋으며, 0.2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충분한 가교가 일어나지 않아 삼원 공중합이 어려우며, 0.7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반응개시제 자체의 함량이 너무 많아 물성의 저하가 일어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a) 단계의 스티렌계 단량체, (C1~C20)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 하이드록시(C1~C20)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80~100 ℃의 온도에서 중합이 이루어지며, 반응 후 미 반응물은 진공 탈 용제법으로 제거할 수 있다.
b) 단계에서 사용되는 가교제는 최종적으로 막의 팽윤도와 가교도를 좌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본 발명에서는 아마이드계, 아크릴레이트계, 이소시아네이트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 다. 이러한 가교제는 5~30 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좋으며, 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가교도가 부족하게 되며,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가교도가 너무 높아 막이 브리틀(brittle)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b) 단계의 열개시제는 가교 시 가교반응의 촉진 역할을 하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본 발명에서는 benzoyl peroxide(BPO), dicumyl peroxide(DCP), azobisisobutyronitrile(AIBN)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열개시제는 0.2~1.5 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좋으며, 0.2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적은 양으로 인해 가교 촉진역할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1.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과량의 첨가에 따른 가교반응 시 물성 저하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b) 단계의 용매 캐스팅(solvent casting)법에 의한 막 형성 시 막의 두께는 80~150 ㎛인 것이 좋고, 상기 범위일 때 이온교환막의 이온교환용량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뛰어난 이점이 있다.
상기 b) 단계의 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25~150 ℃에서 수행되는 것이 좋고, 상기 온도 범위에서 가교가 일어난다.
다음으로 상기 c) 단계의 술폰화 반응을 위해 95% 황산에 b) 단계의 막을 침적시켜 양이온교환기로 술폰산(-SO3 -)기를 형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이온교환막은 술폰산기의 농도가 높아 이온교환용량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뛰어나고 유연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티렌계; (C1~C20)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메타크릴레이트계; 하이드록시(C1~C20)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메타크릴레이트계를 포함하는 이온교환막 제조용 공중합체 및 상기 이온교환막 제조용 공중합체를 술폰화하여 제조되는 이온교환막은 술폰산기를 형성함으로써 이온교환용량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뛰어나고, 가공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연성 있는 (C1~C20)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와 가교반응을 통해 치수안정성과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는 하이드록시(C1~C20)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도입을 통해 이온교환용량이 높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유연한 막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나, 이는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이해시키기 위한 것 일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공중합체 합성을 위하여 스티렌 단량체(SM) 55 중량%와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 20 중량% 및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LMA) 25 중량%를 혼합하여 1L 플라스크에 넣고, 용매인 1,2-Dichloroethane(DCE) 500 mL와 반응개시제인 t-butyl peroxide(PO) 0.4 중량%를 넣고 80 ℃에서 10 시간 동안 중합을 수행하였다. 반응 후, 미 반응물은 진공 탈 용제법으로 제거하여 SM/HEA/LMA 삼원 공중합체를 제조하 였다. 제조한 SM/HEA/LMA 삼원 공중합체를 1,2-Dichloroethane(DCE)에 완전히 용해한 후, 가교제인 blocked isocyanate 20 중량%, 열개시제인 Benzoyl peroxide(BPO) 1.0 중량%를 첨가하여 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 후, 용매 캐스팅법을 이용하여 120 ㎛ 두께로 제막한 다음 상온에서 3 시간 동안 건조하고, 진공오븐에서 150 ℃까지 순차적으로 승온하여 3시간 동안 가교시킨 후 다시 상온에서 1 시간 동안 건조하여 막을 제조하였다. 술폰화 개시제로 silver sulfate를 첨가한 95% 황산에 상기 막을 침적시킨 다음 상온에서 2시간 동안 술폰화 반응을 진행하였으며, 술폰화 반응 종결 후, 농도별 황산(70%, 50%, 20% 중량% 순)으로 수 회 세척하고, 최종적으로 증류수를 이용하여 미반응 황산을 제거하였다. 세척한 막은 50 ℃ 진공오븐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여 이온교환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공중합체 합성을 위하여 스티렌 단량체(SM) 60 중량%와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 20 중량% 및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LMA) 20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이온교환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공중합체 합성을 위하여 스티렌 단량체(SM) 65 중량%와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 20 중량% 및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LMA) 15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이온교환막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의 스티렌 단량체(SM),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의 사용 대신 폴리스티렌(Mw; 180,000)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이온교환막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공중합체 합성을 위하여 스티렌 단량체(SM) 80 중량%와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 10 중량% 및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LMA) 10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이온교환막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한 이온교환막의 이온교환용량 및 기계적 물성에 대한 성능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이온교환용량 측정
건조된 이온교환막을 1N HCl 수용액으로 1차 세척 한 후, 다시 증류수로 pH가 중성이 될 때까지 2차 세척 하였다. 50 ℃ 진공오븐에서 하루 이상 건조 시킨 다음, 건조된 이온교환막의 무게를 재고 200 mL 삼각플라스크에 넣는다. 0.1N NaOH 수용액 100 mL를 가하고 24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이 후, 0.1N HCl 용액으로 적정을 한 후, 다음 식을 이용하여 이온교환용량을 측정하였다.
Figure 112009045785473-PAT00001
VHCl와 VNaOH는 적정에 사용된 HCl과 NaOH의 전체 부피이며, NHCl와 NNaOH는 HCl과 NaOH의 노르말 농도를 나타낸다.
기계적 물성 측정(인장강도)
이온교환막의 인장강도는 인장강도 시험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시편은 길이 100 mm, 외폭 25 mm, 내폭 5 mm인 아령형을 사용하였고, 길이 20 mm, 폭 5 mm 부위의 시편으로 시험편을 잡아 늘릴 때의 Strain-Stress의 curve로 초기로부터 파단 시까지의 신장에 대한 응력의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인장강도는 ASTM D 882의 방법으로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표 1] 이온교환막의 이온교환용량 및 기계적 물성 성능 평가
Figure 112009045785473-PAT00002
상기 표 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실시예 1~3에 의해 제조된 이온교환막의 경우 비교예 1~2에 의해 제조된 이온교환막보다 Sty/HEA/LMA의 삼원 공중합 효과로 인해 막이 불안정(brittle)하지 않아 보는 바와 같이 아주 높은 이온교환용량을 나타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3에 의해 제조된 이온교환막의 경우 비교예 1~2에 의해 제조된 이온교환막보다 기계적 강도(인장강도)가 월등하게 향상된 수치를 보였다.

Claims (9)

  1. 스티렌계; (C1~C20)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메타크릴레이트계; 하이드록시(C1~C20)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메타크릴레이트계를 포함하는 이온교환막 제조용 공중합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는 스티렌계 단량체 45~65 중량%, (C1~C20)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 15~30 중량% 및 하이드록시(C1~C20)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 5~25 중량%를 포함하는 이온교환막 제조용 공중합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단량체는 에틸벤젠(ethylbenzene), 디비닐벤젠(divinylbenzene), 에틸비닐벤젠(p-ethylvinylbenzene), 스티렌 단량체(styrene monomer)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이온교환막 제조용 공중합체.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C1~C20)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메틸 아 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n-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이온교환막 제조용 공중합체.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록시(C1~C20)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달 메타아크릴레이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이온교환막 제조용 공중합체.
  6. 제 1항 내지 제 5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이온교환막 제조용 공중합체를 술폰화하여 제조되는 이온교환막.
  7. a) 스티렌계 단량체, (C1~C20)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 하이드록시(C1~C20)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반응개시제를 포함하는 중합용 용액을 교반하여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공중합체 및 가교제, 열개시제를 포함하는 반응용 용액을 이용하여 용매 캐스팅(solvent casting)법에 의해 막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막을 술폰화하여 양이온교환기로 술폰산(-SO3 -)기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온교환막의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용매 캐스팅(solvent casting)법에 의한 막 형성 시 막의 두께는 80~150 ㎛인 이온교환막의 제조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25~150 ℃에서 수행되는 이온교환막의 제조방법.
KR1020090068351A 2009-07-27 2009-07-27 이온교환막 제조용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1137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351A KR101137313B1 (ko) 2009-07-27 2009-07-27 이온교환막 제조용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351A KR101137313B1 (ko) 2009-07-27 2009-07-27 이온교환막 제조용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960A true KR20110010960A (ko) 2011-02-08
KR101137313B1 KR101137313B1 (ko) 2012-04-19

Family

ID=43771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8351A KR101137313B1 (ko) 2009-07-27 2009-07-27 이온교환막 제조용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731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601B1 (ko) * 2011-10-06 2013-08-29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술폰화된 고분자막을 이용한 물 정제용 분리막 및 그 제조 방법
KR101351280B1 (ko) * 2011-09-02 2014-01-2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레독스-흐름 전지용 음이온교환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48431A (ko) * 2014-10-24 2016-05-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향상된 이온교환막 제조 및 응용방법
KR101876714B1 (ko) * 2011-12-22 2018-07-1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이온교환능과 전기적 물성이 우수한 음이온교환막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0555B1 (ko) 2018-10-30 2020-10-28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음이온 교환막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9260B1 (ko) * 2004-03-19 2006-03-15 한국화학연구원 스티렌계-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가 함유된 신규의양이온교환 복합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43569B1 (ko) * 2007-06-26 2008-07-0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소이온 전도성 복합 트리블록 공중합체 전해질막 및 그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280B1 (ko) * 2011-09-02 2014-01-2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레독스-흐름 전지용 음이온교환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01601B1 (ko) * 2011-10-06 2013-08-29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술폰화된 고분자막을 이용한 물 정제용 분리막 및 그 제조 방법
KR101876714B1 (ko) * 2011-12-22 2018-07-1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이온교환능과 전기적 물성이 우수한 음이온교환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48431A (ko) * 2014-10-24 2016-05-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향상된 이온교환막 제조 및 응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7313B1 (ko) 201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80760B (zh) 离子性(共)聚合物树脂与基体(共)聚合物的混合物
Smitha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roton conducting polymer membranes for fuel cells
KR101535062B1 (ko) 부분불소계 음이온 교환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95777B1 (ko) 중합체 전해질 막
KR101137313B1 (ko) 이온교환막 제조용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CN112185712A (zh) 一种咪唑类聚离子液体凝胶电解质及其制备方法
JP4467227B2 (ja) 高耐久性固体高分子電解質(複合)膜
US20190181459A1 (en) Cross-linked porous membrane from hydrolysis of ester-containing side chai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144975B1 (ko) 이온교환기를 가지는 공중합체로 제조된 이온교환막
CN113871705A (zh) 一种自修复聚离子液体基电解质及其制备和应用
CN108520970A (zh) 一种基于2-丙烯酰胺-2-甲基丙磺酸质子交换膜及其制备方法
Shin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ion-exchange membrane using Sty/HEA/LMA terpolymer via post-sulfonation
CN115160476B (zh) 一种交联型两性离子交换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CA2628237A1 (en) Vinyl polymer of sulfonated monomer, production method thereof, polymer electroly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nd fuel cell
CN109687004A (zh) 一种多级离子化交联型阴离子交换膜及其制备方法
Ma et al. Radiation-grafted membranes for applications in renewable energy technology
KR101192864B1 (ko) 양이온교환기를 가지는 공중합체로 제조된 양이온교환막
KR101413978B1 (ko) 친환경 음이온 교환막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589809B (zh) 一种具有多重交联结构的阳离子交换膜的制备方法
JP2007046046A (ja) スルホン化ポリアリーレン系重合体
JP2008293857A (ja) 高分子電解質膜、膜−電極接合体および燃料電池
CN113488688B (zh) 一种用于燃料电池的交联结构侧链磺化聚合物质子交换膜的制备方法
KR100559260B1 (ko) 스티렌계-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가 함유된 신규의양이온교환 복합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23681B1 (ko) 설폰화 페닐 관능화된 폴리스티렌-공액 디엔 공중합체 이온교환수지의 합성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이온교환수지
CN116535712B (zh) 一种钒电池用高柔韧性质子交换膜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