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0534A - 인라인 스트레이너 - Google Patents

인라인 스트레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0534A
KR20110010534A KR1020090108440A KR20090108440A KR20110010534A KR 20110010534 A KR20110010534 A KR 20110010534A KR 1020090108440 A KR1020090108440 A KR 1020090108440A KR 20090108440 A KR20090108440 A KR 20090108440A KR 20110010534 A KR20110010534 A KR 20110010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er
cyclone
cylinder
housing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8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0688B1 (ko
Inventor
요시나리 이마가와
나루키 유구라
Original Assignee
야마호고오교오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호고오교오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호고오교오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10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0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0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14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8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29/9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 B01D29/906Special treatment of the feed stream before contacting the filtering element, e.g.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1/00Apparatus in which the main direction of flow follows a flat spiral ; so-called flat cyclones or vortex chamb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yclone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 빈도가 적고, 협잡물 제거가 용이한 인라인 스트레이너에 관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라인 스트레이너는, 통 형상으로 형성된 하우징(2)의 일측 방향의 통의 끝단이 액체의 유입구(6)이고, 하우징(2)의 타측 방향의 통의 끝단이 상기 유입구(6)와 거의 같은 동심축의 유출구(7)이며, 하우징(2)내에 스트레이너 엘레멘트(22)가 배치되어 있는 인라인 스트레이너에 있어서, 일측 끝단을 향해 내경이 작아지는 직경축소형 통부(30)와 타측 끝단의 측면에 형성된 사이클론 유입구를 갖춘 사이클론 통체(28)가, 직경축소형 통부(30)가 하우징(2)의 유입구(6) 근방에 인접배치되고 사이클론 유입구가 하우징(2)의 유출구(7) 근방에 베치되어 하우징(2)내에 설치되며, 일측 끝단이 폐쇄되고 타측 끝단이 개구되는 통형상으로 형성된 스트레이너 엘레멘트(22)가 사이클론 통체(28) 내에 수납되고, 스트레이너 엘레멘트(22)의 타측 끝단의 개구(25)가 하우징(2)의 유출구(7)에 연결되어 있다.
인라인 스트레이너, Inline Strainer, 여과, 사이클론

Description

인라인 스트레이너{INLINE STRAINER}
본 발명은 농약액등의 액체를 살포하는 배관 라인의 중간에서 그 배관 라인과 동심축상에 개재되는 인라인 스트레이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인라인 스트레이너의 일례를 도 11(a)에 도시한다. 도시의 인라인 스트레이너(61A)는, 일측 방향의 통끝에 유입구(66)가 설치된 원통형의 본체케이스(63)와, 본체케이스(63)의 타측 방향의 통끝에 밀봉 형태로 장착된 본체뚜껑(64)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62)을 구비하고 있다. 이 하우징(62) 안에서 유입구(66)의 근방에는 밸브시트(95)가 형성되고, 밸브시트(95)를 개폐하는 밸브몸체(92)가 내장되어있다. 본체케이스(63)의 내주면과 밸브몸체(92) 사이에는 원통형의 스트레이너 엘레멘트(83A)가 하우징과 같은 동심축에 배치되어 있다. 스트레이너 엘레멘트(83A)는 본체뚜껑(64)의 하면에서 눌러지는 통수가능한 지지부재(90)에 의해 지지된다. 밸브몸체(92)는 지지부재(90)와의 사이에 개재된 코일 용수철(91)에 의해 밸브시트(95)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다. 유입구(66)에는 펌프와 연결된 호스 등이 접속되고, 유출구(67)에는 노즐이 부착된 물약살포관이 접속된다.
이러한 인라인 스트레이너(61A)에서는 유입구(66)로부터 농약액이 유입되면, 농약액은 밸브몸체(92)를 밀어 밸브시트(95)를 개방하고 스트레이너 엘레멘트(83A) 안으로 유입된다. 그 후, 농약액은 스트레이너 엘레멘트(83A)를 외측으로 통과해서 쓰레기나 자갈 등의 협잡물이 걸러내진 후에 지지부재(90)를 거쳐 유출구(67)로부터 물약살포관으로 흐르게 되어 있다. 이렇게 농약액이 스트레이너 엘레멘트의 안쪽에서 외측으로 통과하는 형식의 인라인 스트레이너는, 예를 들면 하기의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한편으로, 이러한 종류의 인라인 스트레이너의 다른예를 도 11(b)에 도시한다. 도시한 인라인 스트레이너(61B)는 전술한 인라인 스트레이너(61A)와 같은 하우징(62)을 갖추고 있다. 이 하우징(62)안에 밸브시트(95)는 없지만, 원통형의 스트레이너 엘레멘트(83B)가 배치되어 있다. 스트레이너 엘레멘트(83B)는 일단이 원주방향 4군데에서 코킹부(94)의 형성에 의해 폐쇄되고 타단이 개방되어 있다. 이 스트레이너 엘레멘트(83B)의 타단 개구는 본체뚜껑(64)의 내주면과 코일 용수철(93)에 의해 지지되어서 유출구(67)와 연결되어 있다.
이 인라인 스트레이너(61B)에 있어서, 유입구(66)로부터 케이스(63)안으로 유입된 농약액은 스트레이너 엘레멘트(83B)의 외측에서 안쪽으로 통과해서 협잡물이 걸러내진 후 유출구(67)에서 나와 물약살포관으로 흐르도록 되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1] 특개평 7-736호 공보
그런데, 살포 작업을 하는 동안에 스트레이너 엘레멘트(83A)(83B)가 막혀오면, 분무의 세기가 약해져 살포량도 줄어들므로, 만족한 살포 작업을 할 수 없어진다. 그리하여 현지에서 인라인 스트레이너(61A)(61B)를 분해해서 협잡물을 제거할 필요가 생긴다. 이러한 경우, 조작자는 인라인 스트레이너(61A)(61B)의 상류측에 있는 개폐밸브를 닫고, 스트레이너 엘레멘트(83A)(83B)를 꺼내기 위해서 본체뚜껑(64)을 본체케이스(63)로부터 떼어내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면, 펌프로부터 노즐까지의 일련의 배관 라인이 도중에 개방되게 되어 다량의 농약액이 본체케이스(63)로부터 유실된다. 또, 꺼낸 스트레이너 엘레멘트(83A)(83B)는 브러시 등을 이용해 협잡물을 깎아 떨어뜨리거나 하고 있지만, 견고하게 달라붙은 협잡물은 간단히 제거할 수 없다. 특히, 스트레이너 엘레멘트(83A)의 경우는 엘레멘트 내면에 협잡물이 쌓이므로 브러시를 사용하는 것 자체가 곤란하다.
한편으로, 스트레이너 엘레멘트의 체눈이 너무 엉성하면 직경이 큰 협잡물이 스트레이너 엘레멘트를 통과해 하류측의 노즐을 막히게 할 우려가 있다. 그리하여 비교적 체눈이 촘촘한 스트레이너 엘레멘트가 사용되지만, 그것에 의해 크기가 작은 것부터 굵은 것까지 스트레이너 엘레멘트에서 포착된다. 그 때문에, 스트레이너 엘레멘트의 청소 빈도가 많아지지 않을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스트레이너 엘레멘트의 청소 빈도가 적어도 됨에 따라 스트레이너 엘레멘트의 협잡물 제거가 용 이한 인라인 스트레이너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스트레이너는, 통 형상으로 형성된 하우징의 일측 방향의 통의 끝단이 액체의 유입구이고, 하우징의 타측 방향의 통의 끝단이 상기 유입구와 거의 같은 동심축의 유출구이며, 하우징내에 스트레이너 엘레멘트가 배치되어 있는 인라인 스트레이너에 있어서, 일측 끝단을 향해 내경이 작아지는 직경축소형 통부와 타측 끝단의 개구부에 형성된 사이클론 유출구를 갖춘 사이클론 통체가, 직경축소형 통부를 하우징의 유입구 근방에 인접배치하고 사이클론 유출구를 하우징의 유출구에 연결해서 하우징내에 설치하며, 사이클론 유출구 근방의 사이클론 통체의 원주벽에 사이클론 유입구가 형성되어, 스트레이너 엘레멘트가 하우징의 유출구와 사이클론 유출구 사이의 하우징에 장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사이클론 통체의 직경축소형 통부의 끝단에 취출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우징 통벽에 외부와 연통하는 외부 개구부가 형성되며, 그 외부 개구부에 상기 사이클론 통체의 취출 개구부가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스트레이너 엘레멘트는 일측 끝단이 폐쇄되고 타측 끝단이 개구되는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이클론 통체 내에 수납되고, 폐쇄부의 끝단이 사이클론 통체내에서 직경축소형 통부의 끝단을 향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스트레이너에 의하면, 사이클론 통체가 하우징내에 수납되고, 스트레이너 엘레멘트가 사이클론 통체내에 수납되어, 스트레이너 엘레멘트가 하우징의 유출구와 사이클론 유출구 사이의 하우징에 취부되어 있으므로, 액체속의 협잡물의 일부를 사이클론 통체로 포착하고, 협잡물의 나머지를 스트레이너 엘레멘트에서 포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트레이너 전체의 여과 부하를 사이클론 통체와 스트레이너 엘레멘트로 분담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스트레이너 엘레멘트에서 포착해야 할 협잡물이 적어지므로 스트레이너 엘레멘트의 청소 빈도를 줄일 수 있다.
또, 하우징의 외부와 연통하는 외부 개구부에, 사이클론 통체의 직경축소형 통부 끝단의 취출 개구부가 연결되는 것에서는, 사이클론 통체의 직경축소형 통부내에 모인 협잡물을 취출 개구부로부터 외부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꺼낼 수 있다.
또한, 스트레이너 엘레멘트의 폐쇄부의 끝단이 사이클론 통체내에서 직경축소형 통부의 끝단을 향하고 있는 것에서는 사이클론 통체의 직경축소형 통부내로 흐름의 방향을 바꾸어서 스트레이너 엘레멘트를 향하는 액체가 스트레이너 엘레멘트의 폐쇄부의 외주를 따라 원활하게 안내되어서 스트레이너 엘레멘트의 바깥쪽 위치로 인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또,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하나의 예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도 6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인라인 스트레이너(1)는 일측 방향의 통 끝에 유입구(6)가 설치되고 다른 방향의 통끝에 개구부(5)가 설치된 원통형 본체케이스(3), 본체케이스(3)의 다른 방향의 통끝에 장착되어서 개구부(5)를 밀봉하는 본체뚜껑(4)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2)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2) 안에는 나중에 설명하는 스트레이너 엘레멘트(22)와 사이클론 통체(28)가 내장 된다. 상기의 본체뚜껑(4)은 예를 들면 놋쇠재질이며, 본체케이스(3)는 투명재료인 예를 들면 폴리에칠렌나프탈레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이 폴리에칠렌나프탈레이트는 투명성, 내충격성, 내약품성, 내후성이 탁월한 합성 수지이며, 인라인 스트레이너(1)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체뚜껑(4)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1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암나사부(10)는 본체케이스(3)의 다른 방향의 통끝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부(9)와 나사결합되도록 되어있다. 또, 본체뚜껑(4)에는 본체뚜껑(4)이 본체케이스(3)의 개구부(5)를 밀봉한 상태로 유입구(6)와 동심축이 되는 위치에 관부(40)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관부(40)의 내부는 유출구(7)로 되어 있고, 관부(40)의 외주면에 숫나사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사용시 숫나사부(11)에는 예를 들면 물약살포관(도시되지 않음)의 암나사부가 나사결합된다.
본체케이스(3)의 유입구(6)측의 끝단부에는 끼움홈부(35)가 형성되어 있어, 원통형의 끼움부재(12)가 끼움홈부(35)에 끼워져 있다. 끼움부재(12)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사용시 이 암나사부(13)에는 예를 들면 호스 끝단의 숫나사부 (도시하지 않은)가 나사결합된다. 유입구(6) 근방의 본체케이스(3)의 통벽에는 본체케이스(3)의 원통중심에 대하여 직각방향의 외측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지관(14)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지관(14)에는 본체케이스(3)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외부 개구부(15)가 형성되어 있다. 또, 가지관(14)의 외주면에는 숫나사부(16)가 형성되어 있다. 가지관(14)의 외부 개구부(15)를 밀봉하는 뚜껑체(17)는 그 저면에 원주형의 마개(19)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또, 뚜껑체(17)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18)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케이스(3)의 내주면에 있어서, 가지관(14)의 외부 개구부(15)와 연결되는 위치에는 반원형의 받침대형 받침구(4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받침구(45)에 사이클론 통체(28)의 끝단이 얹혀짐으로서 사이클론 통체(28)가 본체케이스(3) 안에서 위치결정된 상태로 지지된다. 그리고, 본체케이스(3)의 내주면의 상부에는 종방향의 홈형상으로 한쌍의 걸림홈부(37,37)(도 6 참조)가 대각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부호 8은 스트레이너 엘레멘트(22)의 타단 개구(25) 근방에 장착되어, 본체케이스(3)의 개구부(5)의 끝면과 본체뚜껑(4)의 하면과의 사이에 끼워눌러지는 패킹이다. 20은 뚜껑체(17)의 마개(19)의 근원부분에 장착되는 패킹이다. 36은 관부(40)의 근원부분에 장착되는 패킹이다.
스트레이너 엘레멘트(22)는 일측 끝단의 개구부(24) 및 타측 끝단의 개구부(25)가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액체가 자유롭게 흐르는 여과재(23)와, 상기 여과재(23)에 장착되어서 일측의 개구부(24)를 폐쇄하는 여과재(27)(폐쇄부)로 구성되어 있다. 여과재(27)는 원형접시형으로 형성되어, 여과재(23)의 일측 끝단 개구부(24)에 끼워붙여 용접 등으로 고정된다. 여과재(23)의 타측 끝단 개구(25)의 주연부에는 지름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원주날개부(26)가 전체 원주에 걸 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트레이너 엘레멘트(22)는 본체케이스(3)와 동심축에 배치되고, 타측 끝단 개구(25)가 본체뚜껑(4)의 내면에 장착되어서 유출구(7)에 연결된다. 여과재(23) 및 여과재(27)는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선재의 철망으로 구성되어, 예를 들면 40메쉬의 체눈의 것이 사용된다.
사이클론 통체(28)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된 원통형 몸통부(29)와, 원통형 몸통부(29)로부터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일측 끝단을 향함에 따라 내경이 서서히 작아지는 직경축소형 통부(30)로 이루어져 있다. 직경축소형 통부(30)의 외주면은 끝단을 향함에 따라 외경이 작아지는 경사면(47)으로 형성되어 있다. 직경축소형 통부(30)의 끝단에는 원통형 몸통부(29)의 통 중심(도 7의 1점 쇄선 C)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는 취출관(3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취출관(31)에는 직경축소형 통부(3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취출 개구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취출 개구부(32)에는 뚜껑체(17)의 마개(19)가 가지관(14)의 외부 개구부(15)로부터 삽입된다. 원통형 몸통부(29)의 외주면의 대각위치에는 한쌍의 걸림돌기(33,33)가 지름방향 외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원통형 몸통부(29)에 있어서의 직경축소형 통부(30)와 반대측의 끝면은 사이클론 유출구(39)로 되어 있다. 이 사이클론 유출구(39) 근방의 원통형 몸통부(29)에는 한쌍의 사이클론 유입구(34,34)가 대각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각 사이클론 유입구(34)를 구성하는 가이드 엣지부(38)는 지름방향 외측방향으로 길게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가이드 엣지부(38)와 대면하는 다른 방향의 가이드 엣지부(44)는 지름방향 안쪽으로 끼워넣은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가이드 엣지부(38,44)의 특징적 형상에 따라, 사이클론 유입구(34)로 유입된 액체가 원통형 몸통부(29)의 내주면을 그 접선방향을 따라 유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 사이클론 통체(28)도 투명재료인 예를 들면, 폴리에칠렌나프탈레이트를 원료로서 성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이클론 통체(28)는 본체케이스(3)의 내주면과 스트레이너 엘레멘트(22)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본체케이스(3)와 동심축에 배치된다. 또, 사이클론 통체(28)의 직경축소형 통부(30)는 본체케이스(3)의 유입구(6) 근방에 배치되고, 사이클론 유입구(34)가 유입구(7) 근방에 배치된다. 그리고, 스트레이너 엘레멘트(22)의 끝단인 여과재(27)가 사이클론 통체(28) 안에서 직경축소형 통부(30)의 끝단을 지향하게 배치되어 있다. 원통형 몸통부(29)와 직경축소형 통부(30)의 통 중심 방향의 길이는 거의 같다. 그리고, 사이클론 통체(28) 및 스트레이너 엘레멘트(22)가 하우징(2) 내의 소정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하우징(2)의 여과재(27)의 끝단은 원통형 몸통부(29) 안에 위치하고 있어, 직경축소형 통부(30) 안까지 도달하고 있지 않다. 이에 따라, 직경축소형 통부(30) 안에서의 사이클론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되어있다.
상기한 구성의 인라인 스트레이너(1)에 있어서, 하우징(2)의 내부는 유입구(6)와 유출구(7)를 연통하는 액체통로가 되고 있다. 이 액체통로는 유입구(6)에 연결되는 제1통로(41)와, 사이클론 통체(28)에 의해 제1통로(41)와 구획되어서 사이클론 통체(28) 안에 형성되는 제2통로(42), 스트레이너 엘레멘트(22)에 의해 액체가 자유롭게 통과하는 제2통로(42)와 구획되어서 유출구(7)에 연결되는 여과재(23) 안의 제3통로(43)로 이루어져 있다. 제1통로(41)와 제2통로(42)는 사이클론 유입구(34,34)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상기 인라인 스트레이너(1)의 조립순서의 일례를 설명한다. 본체케이스(3)의 끼움홈부(35)에는 미리 끼움부재(12)가 끼워져 장착되어 있다. 이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자는 본체뚜껑(4)의 관부(40)의 근원부분에 패킹(36)을 장착한다. 그리고, 사이클론 통체(28)를 본체케이스(3)의 개구부(5)에 넣는다. 이 때에, 사이클론 통체(28)의 걸림돌기(33,33)를 본체케이스(3)의 걸림홈부(37,37) 안에 삽입해서 안내시킨다. 그 속에서, 유출관(31)이 본체케이스(3)의 받침구(45)에 서로 접촉함으로써 사이클론 통체(28)가 본체케이스(3) 안에서 위치 결정되어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유출관(31)의 유출 개구부(32)가 가지관(14)의 외부 개구부(15)와 대면하도록 연결되며, 사이클론 통체(28)의 사이클론 유출구(39)의 끝면 위치는 본체케이스(3)의 개구부(5)의 끝면 위치와 거의 하나의 면이 된다.
다음에, 스트레이너 엘레멘트(22)의 외주면의 타측 끝단의 개구(25)측에 패킹(8)을 장착한다. 이 스트레이너 엘레멘트(22)를 사이클론 통체(28)의 사이클론 유출구(39)에 넣는다. 그 가운데, 패킹(8)이 사이클론 통체(28)의 사이클론 유출구(39) 및 본체케이스(3)의 개구부(5)의 각 주변부에 서로 접하게 됨으로써 패킹(8) 및 스트레이너 엘레멘트(22)가 지지된다. 또한, 본체뚜껑(4)의 암나사부 (10)를 본체케이스(3)의 숫나사부(9)에 나사결합함으로써 패킹(8)이 압축되어서 본체케이스(3)의 개구부(5)가 밀봉되어 스트레이너 엘레멘트(22)의 타측 끝단의 개구(25)의 주변부가 본체뚜껑(4)의 하면에 밀착해서 타측 끝단의 개구(25)가 유출구(7)와 연통한다.
이어, 뚜껑체(17)의 마개(19)의 근원부분에 패킹(20)을 장착한다. 그 다음에, 마개(19)를 가지관(14)의 외부 개구부(15)에 장착한다. 그리고, 숫나사부(16)에 암나사부(18)를 나사결합함으로써, 패킹(20)이 압축되어서 가지관(14)의 외부 개구부(15)가 밀봉되어져 마개(19)의 끝단부가 사이클론 통체(28)의 유출관(31) 안에 억지로 들어간다. 이에 따라, 인라인 스트레이너(1)의 일련의 조립이 끝난다. 한편, 본 발명의 인라인 스트레이너의 조립순서는 몇가지가 있어서 상기한 순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인라인 스트레이너(1)는, 예를 들면 끝단에 노즐을 구비한 물약살포관의 끝단 숫나사부 (도시하지 않음)에 암나사부(11)가 나사결합되고, 펌프의 토출관과 연결된 호스 끝단의 숫나사부 (도시하지 않음)에 끼움부재(12)의 암나사부(13)가 나사결합되어 사용된다. 그리고, 펌프로부터 호스로 토출되는 농약액은 케이스(3)의 유입구(6)로부터 제1통로(41)에 유입된다. 제1통로(41)의 농약액은 타측 끝단의 개구(5)를 향하지만, 그 때에 사이클론 통부(28)의 외주의 경사면(47)을 따라 지름방향으로 펼쳐지도록 원활하게 안내된다. 이 경사면(47)은 제1통로(41)의 안에서 가장 좁은, 사이클론 통체(28)의 원통형 몸통부(29)의 외주면과 본체케이스(3)의 내주면과의 사이의 공간에서 농약액의 유속을 높이기 위해서 해당 공간에 농약액을 원활하게 유도하여 유속을 높이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렇게 유속이 높아진 농약액은 타측 끝단의 개구(5) 근방에 도달하게 되고, 사이클론 유입구(34,34)로부터 사이클론 통체(28) 안의 제2통로(42)에 고속으로 유입된다. 이 때, 농약액은 가이드 엣지부(38,44)의 특징적인 형상에 의한 작용에 의 해 사이클론 통체(28) 안의 접선방향으로 유입되고, 사이클론 통체(28)의 내주면을 따라 고속으로 선회하면서 흐른다. 이에 따라, 농약액에 혼입되어 있었던 쓰레기나 자갈 등의 협잡물 가운데 비중의 큰 것만큼 원통형 몸통부(29)의 내주면에 내던저져서 농약액으로부터 분리된다. 농약액으로부터 분리된 협잡물은 직경축소형 통부(30)의 내주면에 인도되어서 직경축소형 통부(30) 안의 밑에 쌓인다.
한편, 직경축소형 통부(30)에 인도된 농약액은 선회하면서 본체뚜껑(4) 방향으로 방향이 변경된다. 이 때, 농약액은 스트레이너 엘레멘트(22)의 여과재(27)의 존재에 의해 여과재(27)의 외주부를 향해서 원활하게 안내된 뒤 여과재(23)의 바깥쪽 위치에 도달한다. 이와 더불어, 여과재(27)를 갖추고 있는 스트레이너 엘레멘트(22) 대신에, 도 119(b)에 도시한 스트레이너 엘레멘트(83B)와 같이, 일단에 4장의 코킹부(94)가 존재하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직경축소형 통부(30)안에서 방향전환해서 본체뚜껑(4)측으로 향하게 되는 농약액은 4장의 코킹부(94)에 의해 원주방향으로의 선회가 방해된다. 그 결과, 협잡물을 분리하기 위해서, 선회하면서 직경축소형 통부(30)의 끝단을 향하는 농약액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이 되고, 직경축소형 통부(30)에서의 협잡물의 분리효율이 저하한다.
그리하여, 농약액이 여과재(23)를 통과할 때에, 사이클론 통체(28)에서 포착된 협잡물보다도 비중과 입경이 작은 협잡물이 여과재(23)에서 포착된다. 여과재(23)에서 협잡물이 제거된 농약액은 스트레이너 엘레멘트(22)안의 제3통로(43)를 통해 유출구(7)로부터 물약살포관으로 유입되어, 노즐로부터 농작물에 살포된다.
사이클론 통체(28)의 직경축소형 통부(30)안에 쌓인 협잡물은, 모두 투명한 케이스(3) 및 사이클론 통체(28)을 투시하여 밖에서 볼 수 있다. 따라서, 직경축소형 통부(30)안의 협잡물의 내용이나 상태 혹은 양을 확인할 수 있고, 협잡물을 꺼낼 시기를 판단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렇게 쌓인 협잡물을 꺼낼 때는 뚜껑체(17)를 느슨하게 하여 가지관(14)으로부터 떼어낸다. 그러면, 가지관(14)의 외부 개구부(15) 및 사이클론 통체(28)의 취출 개구부(32)가 개방된다. 이에 따라, 사이클론 유입구(34,34)로부터 제2통로(42)로 유입된 농약액이 가지관(14)의 외부 개구부(15)로부터 밖으로 분출된다. 이 농약액에 동반해서 직경축소형 통부(30)안의 협잡물도 밖으로 배출된다. 이 때, 수납통 등을 준비해 두면 가지관(14)으로부터 분출되는 농약액 및 협잡물을 수납통으로 받을 수 있으므로 거의 손을 적시지 않고 제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인라인 스트레이너(1)는 가지관(14)으로부터 뚜껑체(17)를 분리하는 것만으로 물약살포관이나 호스 등을 인라인 스트레이너(1)로부터 분리하는 일 없이, 또한 뚜껑체(17)에 개폐밸브를 마련하는 것으로 펌프를 정지시킬 일 없이, 사이클론 통체(28)안의 협잡물을 꺼낼 수 있다. 이러한 협잡물의 제거 작업은 대단히 간단하므로 빈번하게 행해도 크게 부담이 되지 않는다. 게다가, 취급이 매우 고가인 농약액을 불필요하게 낭비해 유실시키는 일이 없다.
또, 사이클론 통체(28)에서 대부분의 협잡물이 포착되고 스트레이너 엘레멘트(22)에서 나머지 협잡물이 포착되므로 스트레이터 전체의 여과 부하가 사이클론 통체(28)와 스트레이너 엘레멘트(22)로 분담된다. 게다가, 사이클론 통체(28)에서 포착된 협잡물은 하우징(2)의 외부 개구부(15)를 통해밖으로 꺼낼 수도 있으므로, 스트레이너 엘레멘트(22)에서 포착되는 협잡물이 비교적 적어지기 때문에 스트레이너 엘레멘트(22)의 청소 빈도가 적어도 된다. 그리고, 이 인라인 스트레이너(1)는 조립, 분해가 간단해서 모든 부품의 유지 관리 및 세정을 손쉽게 행할 수 있다. 이 인라인 스트레이너(1)에서는 사이클론 통체(28)에 있어서의 사이클론류의 발생에 기인해서 유입구(6)와 유출구(7)와의 사이에 압력손실이 생기지만, 사이클론 통체(28)안에 스트레이너 엘레멘트(22)를 수용함으로써 스트레이너 엘레멘트(22)가 사이클론류의 흐름을 어느 정도 억제하므로 상기의 압력손실이 저감된다.
또, 예를 들면 하우징의 원주벽에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되어 있어서, 유입구와 유출구를 잇는 선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직경축소형 통부의 끝단을 향한 사이클론 통체가 하우징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스트레이너도 알려져 있지만, 이러한 배치구조의 스트레이너는 부피가 커지기 때문에 지상설치식으로 된 것이 많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의 인라인 스트레이너(1)는 사이클론 통체(28)을 갖추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하우징(2)안에 유입구(6), 사이클론 통체(28), 스트레이너 엘레멘트(22), 유출구(7)가 동일한 축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소형의 인라인 형식을 채택할 수 있어 큰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 경량이다. 따라서, 물약살포관의 근원부에 달아도 살포 작업이 방해되지 않는다라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사이클론 통체(28)안에 여과재(23) 및 여과재(27)를 수용하도록 스트레이너 엘레멘트(22)를 하우징(2)에 취부한 예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스트레이너 엘레멘트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트레이너 엘레멘트(22)를 대신하여,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한 철망제의 스트레이너 엘레멘트(22A)를 이용 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트레이너 엘레멘트(22A)는 끝단이 반구형으로 형성된 여과재(23A)의 개구부 주변에 원주날개부(2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트레이너 엘레멘트(22A)는 여과재(23A)가 하우징(2)의 유출구(7) 안에 배치되고, 원주날개부(26)가 본체뚜껑(4)의 내면과 패킹(8) 사이에 끼워고정된다.
또, 스트레이너 엘레멘트(22)를 대신하여,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한 스트레이너 엘레멘트(22B)를 이용할 수도 있다. 스트레이너 엘레멘트(22B)는 평면인 철망제의 원판형으로 형성된 것이다. 이 스트레이너 엘레멘트(22B)는 본체뚜껑(4)의 내면과 패킹(8) 사이에 끼워고정된다.
또, 상기에서는 스트레이너 엘레멘트의 재료로서 스테인레스강 재질의 철망을 이용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작은 구멍이 무수하게 뚤린 펀칭 메탈, 소결 금속, 합성 섬유제의 부직포 등을 여과재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스트레이너 엘레멘트의 폐쇄부로서, 원형접시형의 여과재(27)를 이용하였지만, 이 여과재(27) 대신에 끝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경사형 면이나 반구형 면의 외주면을 갖는 폐쇄부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경우, 중공의 철망이 아니고, 중실의 합성수지나 금속으로, 폐쇄부를 구성해도 상관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라인 스트레이너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인라인 스트레이너의 정면도,
도 3은 상기 인라인 스트레이너의 저면도,
도 4는 상기 인라인 스트레이너의 측단면도,
도 5는 도 4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도 4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
도 7은 상기 인라인 스트레이너의 사이클론 통체의 사시도,
도 8은 상기 인라인 스트레이너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라인 스트레이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그 분해사시도, (b)는 그 측단면,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라인 스트레이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그 분해사시도, (b)는 그 측단면도,
도 11(a)는 종래의 인라인 스트레이너의 일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b)는 종래의 인라인 스트레이너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인라인 스트레이너 2 -- 하우징
3 -- 케이스 4 -- 본체뚜껑
6 -- 유입구 7 -- 유출구
14 -- 가지관 15 -- 외부 개구부
17 -- 뚜껑체 22,22A,22B -- 스트레이너 엘레멘트
23 -- 여과재 24 -- 일측 끝단 개구
25 -- 타측 끝단 개구 27 -- 여과재(폐쇄부)
28 -- 사이클론 통체 29 -- 원통형 몸통부
30 -- 직경축소형 통부 31 -- 취출관
32 -- 취출 개구부 34 -- 사이클론 유입구
39 사이클론 유출구 C 1점 쇄선

Claims (3)

  1. 통 형상으로 형성된 하우징의 일측 방향의 통의 끝단이 액체의 유입구이고, 하우징의 타측 방향의 통의 끝단이 상기 유입구와 거의 같은 동심축의 유출구이며, 하우징내에 스트레이너 엘레멘트가 배치되어 있는 인라인 스트레이너에 있어서, 일측 끝단을 향해 내경이 작아지는 직경축소형 통부와 타측 끝단의 개구부에 형성된 사이클론 유출구를 갖춘 사이클론 통체가, 직경축소형 통부를 하우징의 유입구 근방에 인접배치하고 사이클론 유출구를 하우징의 유출구에 연결해서 하우징내에 설치하며, 사이클론 유출구 근방의 사이클론 통체의 원주벽에 사이클론 유입구가 형성되어, 스트레이너 엘레멘트가 하우징의 유출구와 사이클론 유출구 사이의 하우징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트레이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 통체의 직경축소형 통부의 끝단에 취출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우징 통벽에 외부와 연통하는 외부 개구부가 형성되며, 그 외부 개구부에 상기 사이클론 통체의 취출 개구부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의 인라인 스트레이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스트레이너 엘레멘트는 일측 끝단이 폐쇄되고 타측 끝단이 개구되는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이클론 통체 내에 수납되고, 폐쇄부의 끝단이 사이클론 통체내에서 직경축소형 통부의 끝단을 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인라인 스트레이너.
KR1020090108440A 2009-07-24 2009-11-11 인라인 스트레이너 KR1012006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73132A JP4881977B2 (ja) 2009-07-24 2009-07-24 インラインストレーナ
JPJP-P-2009-173132 2009-07-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534A true KR20110010534A (ko) 2011-02-01
KR101200688B1 KR101200688B1 (ko) 2012-11-12

Family

ID=43496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8440A KR101200688B1 (ko) 2009-07-24 2009-11-11 인라인 스트레이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28228B2 (ko)
JP (1) JP4881977B2 (ko)
KR (1) KR101200688B1 (ko)
CN (1) CN101961576B (ko)
TW (1) TWI3985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723B1 (ko) * 2011-10-26 2013-12-02 김영환 농업용 약액의 여과수단
JP5748727B2 (ja) * 2012-10-30 2015-07-15 ヤマホ工業株式会社 インラインストレーナ
JP5681741B2 (ja) * 2013-03-15 2015-03-11 ヤマホ工業株式会社 インラインストレーナ
CN104879588B (zh) * 2014-02-27 2018-01-1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净水机快速接头及具有该快速接头的净水机
CN104084322A (zh) * 2014-07-11 2014-10-08 江苏华泰重工装备有限公司 粒子分离装置
US10179894B2 (en) * 2014-08-14 2019-01-15 Mor-Dall Enterprises, Inc. Beer filter and method of filtration
US9885196B2 (en) 2015-01-26 2018-02-06 Hayward Industries, Inc. Pool cleaner power coupling
ES2930241T3 (es) 2015-01-26 2022-12-09 Hayward Ind Inc Limpiador de piscinas con separador de partículas hidrociclónico y/o sistema de accionamiento de seis rodillos
DE112017000710T5 (de) * 2016-03-18 2018-10-31 Cummins Filtration Ip, Inc. Gekuppelte stabile Filterbaugruppe
CN105864568B (zh) * 2016-06-06 2017-12-26 珠海市争芳园林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排水管
JP2018065238A (ja) * 2016-10-21 2018-04-26 山一電機株式会社 ワーク回収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工作機械
US9885194B1 (en) 2017-05-11 2018-02-06 Hayward Industries, Inc. Pool cleaner impeller subassembly
US9896858B1 (en) 2017-05-11 2018-02-20 Hayward Industries, Inc. Hydrocyclonic pool cleaner
US10156083B2 (en) 2017-05-11 2018-12-18 Hayward Industries, Inc. Pool cleaner power coupling
RU187254U1 (ru) * 2018-11-13 2019-02-26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ая фирма "МКТ-АСДМ" Фильтр прямоточный
JP7072172B2 (ja) * 2019-04-19 2022-05-20 ヤマホ工業株式会社 異物分離除去装置
JP7156713B2 (ja) * 2020-02-27 2022-10-19 ヤマホ工業株式会社 インラインストレーナ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5839A (en) * 1977-11-28 1979-05-22 The Black Clawson Company Reverse centrifugal cleaning of paper making stock
SE411172B (sv) * 1978-10-02 1979-12-10 Berg Gunnar Magnetisk brenslerenare med roterande forrenare
AU1447083A (en) * 1982-06-04 1983-12-08 Black Clawson Company, The Reverse centrifugal cleaning of paper making stock
AU3034884A (en) * 1983-07-14 1985-01-17 Black Clawson Company, The Reverse centrifugal cleaning of stock
US4673495A (en) * 1983-08-11 1987-06-16 Noel Carroll Enclosed cyclone separators
US4572783A (en) * 1985-01-28 1986-02-25 Aquatech, Inc. Cyclonic separator with screen and ball check
JPS6217355A (ja) * 1985-07-15 1987-01-26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Lng運搬船におけるボイルオフガスの処理システム
JPS6217355U (ko) * 1985-07-18 1987-02-02
JPH02121111A (ja) * 1988-10-31 1990-05-09 Hitachi Ltd 磁気ヘッド
JPH06220897A (ja) * 1993-01-21 1994-08-09 Inax Corp 水栓及び止水栓
KR0177533B1 (ko) 1993-02-11 1999-03-20 길버트 피. 와이너 배관용 필터
JPH10151307A (ja) 1996-11-20 1998-06-09 Marusei Jukogyo Kk 液体サイクロン型自動ストレ−ナ
CN1244447A (zh) * 1998-08-07 2000-02-16 彪万热斗株式会社 旋风分离器和用于其的过滤器
NL1029352C2 (nl) * 2005-06-28 2007-01-02 Fmc Technologies Cv Scheider voor het scheiden van een mengsel van vaste stof, vloeistof en/of gas.
JP2008229575A (ja) * 2007-03-23 2008-10-02 Q P Corp 固型異物除去用濾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0688B1 (ko) 2012-11-12
US8828228B2 (en) 2014-09-09
CN101961576A (zh) 2011-02-02
JP4881977B2 (ja) 2012-02-22
CN101961576B (zh) 2014-12-17
TWI398591B (zh) 2013-06-11
JP2011025150A (ja) 2011-02-10
TW201104123A (en) 2011-02-01
US20110017655A1 (en) 201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0688B1 (ko) 인라인 스트레이너
AU2005247861B2 (en) Filter element with off-axis end cap
EP1981608B1 (en) Filter element with flow directing end cap
US11358089B2 (en) Snap in place natural gas filter
US7094343B2 (en) Filter device
US20150267658A1 (en) Filter cartridge provided with means for expulsion of water and a relative filter group
KR102248549B1 (ko) 버켓 타입 스트레이너장치
US7413089B1 (en) Reusable cartridge oil filter
JP2014178000A (ja) インラインストレーナ
EP1268031A1 (en) Dual flow filter
JP6032943B2 (ja) 気液分離器
JP5476000B2 (ja) 気液分離器
US5833852A (en) Supplementary filter apparatus for a water purifier
JP5384420B2 (ja) 気液分離器
JP5489564B2 (ja) 気液分離器
RU113678U1 (ru) Фильтр картриджный гидроциклонный
RU116372U1 (ru) Фильтр картриджный гидроциклонный
JP5748727B2 (ja) インラインストレーナ
JP5649919B2 (ja) 気液分離器
JP2021134854A (ja) インラインストレーナ
JP5754809B2 (ja) 気液分離器
KR102309961B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RU2812566C1 (ru) Фильтр проточный
CN213895361U (zh) 一种结构改进的阻垢滤芯
KR20190122412A (ko) 필터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농업용 여과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