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0524A - 친환경 패각소재를 이용한 해중림 조성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패각소재를 이용한 해중림 조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0524A
KR20110010524A KR1020090068126A KR20090068126A KR20110010524A KR 20110010524 A KR20110010524 A KR 20110010524A KR 1020090068126 A KR1020090068126 A KR 1020090068126A KR 20090068126 A KR20090068126 A KR 20090068126A KR 20110010524 A KR20110010524 A KR 20110010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ine
rope
shell
seaweed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8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4847B1 (ko
Inventor
정상목
Original Assignee
에스엠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엠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8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4847B1/ko
Publication of KR20110010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패각소재를 이용한 해중림 조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조류 양식용 로프에 해조류 포자를 양생시킨 후, 해양 환경에 적합한 패각을 부착수단으로 이용하여 로프의 단편을 목적체에 부착시키는 환경 친화적인 해중림 조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중림 조성방법은 해양 착생 생물들의 착생을 저해하는 유해물질의 방출이 없고, 해양 생물의 포자들이 손쉽게 착생되는 친환경적인 패각소재를 이용함으로써, 해양 착생 생물들의 착생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해조류가 효과적으로 발육된 해중림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해조류의 활발한 성장으로 대형 해조류가 번식한 해중림을 조성하여 수산생물의 산란장과 발육장으로 좋은 조건을 제공하는 해중림을 조성할 수 있다.
해조류, 패각, 해중림, 친환경, 착생, 인공어초, 수중 접착제

Description

친환경 패각소재를 이용한 해중림 조성방법{Making method submarine forest using shell}
본 발명은 친환경 패각소재를 이용한 해중림 조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조류 양식용 로프에 해조류 포자를 양생시킨 후, 해양 환경에 적합한 패각을 부착수단으로 이용하여 로프 단편을 목적체에 부착시키는 환경 친화적인 해중림 조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공어초는 해양에 인공적으로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연근해 바다 속에 설치되어 어류, 갑각류, 패류 등의 산란, 부화와 치어의 보호, 육성 및 증식에 필요한 해조류를 육성함으로써 어패류의 육성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한다.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인공어초 및 해양 구조물의 재료로는 시멘트, 철재, 세라믹, 섬유, 폐섬유, 합성수지(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클로리드 등), 폐타이어, 폐선박 등 다양한 소재품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시멘트 해양 구조물은 초기에 해양 착생 생물들의 착생을 방해하는 유해물질을 방출하기 때문에 해산 식물의 조기착생에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해양 구조물의 경우, 표면장력이 낮아서 해양생물들이 착생할 때 해수 유동에 의해 쉽게 미끄러져 착생 생물 포자들이 착생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인공 어초에 해양 착생 생물들의 착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져 어패류의 육성에 적합한 해중림을 조성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해조류 양식용 로프가 부착된 패각 소재를 해양 수중 구조물에 부착하여 해조류의 성공적인 착생이 가능하여 해중림 조성을 보다 빠르게 수행할 수 있고, 특수 재질의 인공어초 표면이나 단단한 자연 지반에만 적용할 수 있는 기존 방법들과 달리 수중용 에폭시계 본드를 이용하여 어떠한 목적체에도 손쉽게 해중림 군락을 조성할 수 있는 해중림 조성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a) 해조류가 양생된 해조류 양식용 로프를 단편화하는 단계; (b) 상기 해조류 양식용 로프의 단편을 패각 소재의 상부에 부착하는 단계; (c) 상기 패각 소재의 하부에 수중용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d) 수중용 접착제를 도포한 패각 소재를 수중에서 직접 해양 수중 구조물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해조류가 해양 수중 구조물에 착생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중림 조성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중림 조성방법은 해양 착생 생물들의 착생을 저해하는 유해물질의 방출이 없고, 해양 생물의 포자들이 손쉽게 착생될 수 있는 친환경적인 패각소재를 이용함으로써, 해양 착생 생물들의 착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져 해조류가 효과적으로 발육된 해중림을 조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조류의 활발한 성장으로 대형 해조류가 번식한 해중림을 조성하여 수산생물의 산란장과 발육장으로 좋은 조건을 제공하는 해중림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해조류 포자가 1개월 이상 양생된 해조류 양식용 로프를 수중에 부착 설치함으로써 해중림 조성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해중림 조성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해조류가 양생된 로프를 해중림 조성을 원하는 지역에 선택적으로 부착 설치하여 선택적인 해중림 조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해조류 포자가 양생화된 해조류 양식용 로프를 순간 접착제로 환경 친화적인 패각소재에 부착시키고, 수중용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패각소재를 목적체에 접착시켜 해중림을 조성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 해조류의 착생 및 성장을 증진시켜 해중림을 효과적으로 조성 증대시킨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 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패각소재를 이용한 해중림 조성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해조류 양식용 로프(혹은 로프라고 함)를 순간 접착제를 이용하여 패각소재에 부착시키고, 로프가 부착된 패각소재의 반대측에 수중용 에폭시계 본드를 도포한 다음, 해양 인공구조물 및 해조장을 원하는 지역에 상기 패각소재를 선태적으로 직접 접착시켜 장착한다.
본 발명은 친환경적인 소재인 패각을 부착수단으로 이용하여 목적체에 부착시킴으로써 해중림을 조성하는 환경 친화적인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패각을 수중작업을 통해 직접 인공어초에 부착하여 해중림 조성을 인위적으로 가속화할 수 있다.
여기서, 해조류 양식용 로프는 해조류가 양생된 로프를 가리키는 것으로, 성숙한 해조류로부터 포자 방출을 유도하고, 방출된 포자를 로프나 구조물에 부착시킨 후 1개월 이상 양생시킨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패각소재에 부착하는 해조류 양식용 로프의 직경이 2mm 미만인 경우 로프에 붙어있던 해조류가 성장하면서 패각에 안정적으로 가근이 발달하게 되는 반면, 로프의 직경이 2mm 이상인 경우는 이 현상이 느려져 성체가 되기 전에 로프로부터 탈락할 수 있으므로, 로프의 직경이 2㎜ 이하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조류 양식용 로프는 부착된 해조류의 크기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해야 하므로, 해조류 포자를 해조류 양식용 로프에 부착한 다음 1개월 이 상 양생시킨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조류 양식용 로프에 부착된 해조류의 크기가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하지 않은 상태에서 순간접착제를 이용하여 해조류 양식용 로프를 패각소재에 부착하는 경우 해조류 개체의 성장률 감소 및 고사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해조류 양식용 로프 등의 구조물은 해조류가 양생된 구조물로서 직경이 2㎜ 이하인 로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로프와 같이 친환경적인 소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해조류 양식용 로프에 부착되는 해조류 포자는 구멍갈래파, 가시파래, 모자반, 미역, 감태, 대황, 곰피 등이 양생되는 거대조류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이며, 로프에 부착된 해조류의 개체수는 90 ~ 110 개/m 가 바람직하다.
특히, 해조류의 성장률을 높이기 위하여 로프에 부착된 해조류의 개체수는 로프 1m 당 100개체 이상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해조류가 양생된 로프 즉, 해조류 양식용 로프를 패각 상단(패각소재의 볼록한 쪽)에 겔형의 순간 접착제로 부착시킨 후, 순간접착제의 독성이 해조류의 성장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하루 동안 흐르는 해수에서 순치시킨 다음, 수중용 에폭시계 본드를 이용하여 해양 수중 구조물에 부착하되, 작업자가 다이빙 작업을 통해 직접 수중에서 부착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해양 수중 구조물에도 손쉽게 해조류를 이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해양 수중 구조물은 해양에 인공적으로 투입되는 구조물을 의미 하는 것으로, 인공어초, 소파제 등을 포함하고, 시멘트, 철재, 세라믹, 섬유, 폐섬유, 합성수지, 폐타이어 및 폐기물 등으로 구성된 모든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공어초는 인공적으로 제작되어 해양에 투입되는 해양 구조물의 하나로서, 해양에 서식하는 생물, 예컨대 해조류나 어패류 등에 서식지를 제공하는 구조물을 의미하며, 시멘트, 철재, 세라믹, 섬유, 폐섬유, 합성수지, 폐타이어 및 폐기물 등으로 구성된 모든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겔형의 순간접착제는 에틸 시안화 아크릴레이트(Ethyl cyanide acrylate)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사용하며, 해조류 양식용 로프가 패각 상단에 접착되어 고정되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촉진제를 사용함으로써 해수에서 오랫동안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패각은 해중림 조성 지역의 환경을 고려하여 적절한 종을 선택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각소재의 구체적인 종류로는 홍합, 굴, 백합 및 전복 등 모든 종류의 패각이 사용 가능하고, 해중림 시공지역의 환경에 맞게 선택할 수 있으며, 패각의 최대 각경은 100mm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패각의 최대각경이 100mm을 넘는 경우 에폭시 수중 본드의 사용양이 많아지고, 필요이상의 해조류 엽체를 붙여야 하므로 비경제적이며, 또한 패각의 최대각경이 커지면 조류의 물리적 영향으로 인한 탈락 현상이 발생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중용 에폭시계 접착제로는 주제인 에폭시계 수지와 경화제인 아민을 동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퍼티(putty)형 접착제를 사용하 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해조류를 양생한 해조류 양식용 로프를 패각소재를 이용하여 해양 수중 구조물에 부착 설치하여 친환경적으로 해중림을 조성하는 것으로, 연근해 바다 속에 해중림을 조성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먼저, 해조류 포자를 부착시켜 1개월 이상 양생시킨 해조류 양식용 로프를 마련하고, 이 해조류 양식용 로프를 절단하여 5 ~ 10㎝ 의 단편으로 만든다.
다음, 상기 로프 단편을 겔 타입의 순간접착제를 이용하여 패각의 볼록한 상부에 부착시킨 후, 이 패각 즉, 로프 단편을 곧바로 흐르는 해수에 1일 동안 순치시킨다.
이때, 패각의 종류는 해중림을 조성하고자 하는 시공지역의 환경에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고, 패각의 최대 각경은 10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주제인 수중 에폭시 수지와 아민을 경화제로 하는 수중용 접착제(수중 에폭시 본드)를 동일비로 혼합하여 마련하고, 이 수중 에폭시 본드를 상기 패각의 오목한 저면 안쪽에 채워넣되 패각 하부에서 외부로 약 1㎝ 가량 돌출되어 드러나도록 도포 부착한다.
이렇게 준비된 패각은 수중 작업을 통해 해양 수중 구조물에 부착 설치되는데, 이때 수중 작업자가 스쿠버(scuba)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미리 수중에 입수하여 해중림 조성지역에서 시공준비를 하고 있다가 물 밖에 작업자로부터 상기 패각을 전달받아 해양 수중 구조물의 표면에 부착시킨다.
상기 수중 작업자는 끌 등의 연장을 이용하여 시공부위(예를 들어 해양 수중 구조물의 표면)에 10㎝ 미만으로 접착부분을 깨끗하게 청소하여 전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물 밖에 작업자는 공급로프 등의 전달수단을 이용하여 수중 작업자에게 로프 단편이 부착된 패각을 공급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를 통하여 해중림 조성 성공률을 살펴보도록 한다.
실시예 1-1
직경이 2㎜인 해조류 양식용 로프에 감태의 포자를 부착하여 양생한 다음, 이 해조류 양식용 로프를 5~10㎝(개체수 5~10개 이상)의 단편으로 절단하고, 이 로프 단편을 겔형 순간접착제를 이용하여 홍합 패각(각경 6~7㎝)의 상부에 부착시켰다.
수중 에폭시계 본드를 잘 혼합한 다음, 로프 단편이 부착된 홍합 패각의 오목한 안쪽이 모두 채워지고 바깥쪽으로 약 1㎝ 가량 돌출되어 나오도록 도포하여 부착시켰다.
수중에 미리 입수하여 대기중인 수중 작업자(스쿠버 작업자)는 반구형의 어초 상부의 10개소 부분을 끌을 이용하여 깨끗하게 긁어내어 전처리한 다음, 물 밖에서 공급로프를 이용하여 홍합 패각을 전달받아 전처리한 장소에 부착시켰다.
실시예 1-2
감태가 양생된, 직경인 2㎜인 해조류 양식용 로프를 5~10㎝ 단편(개체수 5~10개 이상)으로 절단하고, 잘려진 로프 단편을 순간접착제를 이용하여 각경이 6~7㎝인 백합 패각의 상부에 부착시켰다.
다음, 주제와 경화제를 잘 혼합하여 제조한 수중 에폭시 본드를 로프 단편이 부착된 백합 패각의 하부 안쪽에 채워넣되 백합 패각의 외부로 1㎝ 가량 돌출되어 나오도록 도포하였다.
수중에 미리 입수한 스쿠버 작업자는 불삼각형 어초의 상부 10개소 부분을 끌을 이용하여 깨끗하게 긁어내는 전처리 작업을 한 다음, 물 밖에서 제공되는 공급로프를 이용하여 백합 패각을 전달받고 이 백합 패각을 전처리한 장소에 부착시켰다.
실시예 1-3
감태가 양생된, 직경이 2㎜인 해조류 양식용 로프를 5~10㎝ 길이의 단편(개체수 5~10개 이상)으로 절달하고, 잘려진 로프 단편을 순간접착제를 이용하여 각경이 6~7㎝인 전복 패각의 상부에 부착시켰다.
다음, 로프 단편이 부착된 전복 패각의 하부에 수중 에폭시 본드를 잘 혼합 제조하여 전복 패각의 안쪽이 다 채워지고 외부로 1㎝ 가량 돌출되어 나오도록 도포하였다.
수중에 미리 입수한 스쿠버 작업자는 신요철형 어초의 상부 10개소 부분을 끌을 이용하여 깨끗하게 긁어내는 전처리 작업을 한 후, 물 밖에서 제공되는 공급로프를 이용하여 전복 패각을 전달받아 전처리한 장소에 부착시켰다.
Figure 112009045549156-PAT00001
실시예 1-1 ~ 실시예 1-3을 실시한 결과, 패각별 인공어초 도입시 이식 성공률을 나타내는 표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홍합패각을 친환경 부착수단으로 이용한 경우 3가지 모양의 인공어초에서 해조류의 생존율이 가장 높았고, 전본 패각은 3가지 인공어초에서 비교적 낮은 생존율을 보였음을 알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수중 인공어초에 적용하는데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1
감태가 양생된, 직경이 2㎜인 해조류 양식용 로프를 5~10㎝ 길이의 단편(개체수 5~10개 이상)으로 자르고, 잘린 로프 단편을 수중 순간접착제를 이용하여 홍합 패각, 전복 패각, 백합 패각의 상부에 각각 부착시켰다.
그 다음, 로프 단편이 부착된 종류별 패각의 하부에 수중 에폭시 본드를 잘 혼합 제조하여 각 패각의 안쪽이 다 채워지고 외부로 1㎝ 가량 돌출되어 나오도록 도포하였다.
수중에 미리 입수한 스쿠버 작업자는 뿔삼각형 어초의 상부 10개소 부분을 끌을 이용하여 깨끗하게 긁어내는 전처리 작업을 한 후, 물 밖에서 제공되는 공급로프를 이용하여 종류별 패각을 전달받아 전처리한 장소에 부착시켰다.
실시예 2-2
모자반이 양생된, 직경이 2㎜인 해조류 양식용 로프를 5~10㎝ 길이의 단편(개체수 5~10개 이상)으로 자르고, 잘린 로프 단편을 수중 순간접착제를 이용하여 홍합 패각, 전복 패각, 백합 패각의 상부에 각각 부착시켰다.
그 다음, 로프 단편이 부착된 종류별 패각의 하부에 수중 에폭시 본드를 잘 혼합 제조하여 각 패각의 안쪽이 다 채워지고 외부로 1㎝ 가량 돌출되어 나오도록 도포하였다.
수중에 미리 입수한 스쿠버 작업자는 뿔삼각형 어초의 상부 10개소 부분을 끌을 이용하여 깨끗하게 긁어내는 전처리 작업을 한 후, 물 밖에서 제공되는 공급로프를 이용하여 종류별 패각을 전달받아 전처리한 장소에 부착시켰다.
실시예 2-3
대황이 양생된, 직경이 2㎜인 해조류 양식용 로프를 5~10㎝ 길이의 단편(개체수 5~10개 이상)으로 자르고, 잘린 로프 단편을 수중 순간접착제를 이용하여 홍합 패각, 전복 패각, 백합 패각의 상부에 각각 부착시켰다.
그 다음, 로프 단편이 부착된 종류별 패각의 하부에 수중 에폭시 본드를 잘 혼합 제조하여 각 패각의 안쪽이 다 채워지고 외부로 1㎝ 가량 돌출되어 나오도록 도포하였다.
수중에 미리 입수한 스쿠버 작업자는 뿔삼각형 어초의 상부 10개소 부분을 끌을 이용하여 깨끗하게 긁어내는 전처리 작업을 한 후, 물 밖에서 제공되는 공급로프를 이용하여 종류별 패각을 전달받아 전처리한 장소에 부착시켰다.
실시예 2-4
곰피가 양생된, 직경이 2㎜인 해조류 양식용 로프를 5~10㎝ 길이의 단편(개체수 5~10개 이상)으로 자르고, 잘린 로프 단편을 수중 순간접착제를 이용하여 홍합 패각, 전복 패각, 백합 패각의 상부에 각각 부착시켰다.
그 다음, 로프 단편이 부착된 종류별 패각의 하부에 수중 에폭시 본드를 잘 혼합 제조하여 각 패각의 안쪽이 다 채워지고 외부로 1㎝ 가량 돌출되어 나오도록 도포하였다.
수중에 미리 입수한 스쿠버 작업자는 뿔삼각형 어초의 상부 10개소 부분을 끌을 이용하여 깨끗하게 긁어내는 전처리 작업을 한 후, 물 밖에서 제공되는 공급로프를 이용하여 종류별 패각을 전달받아 전처리한 장소에 부착시켰다.
Figure 112009045549156-PAT00002
상기 표 2는 해조류 및 패각별 인공어초 도입시 이식 성공률을 나타낸다.
실시예 2-1 ~ 실시예 2-4를 실시한 결과, 모든 해조류는 홍합 패각에서 고른 이식 성공률을 보였고, 백합 패각에서는 모자반이 이식 성공률이 높았으며, 전복 패각에서는 곰피의 이식 성공률이 비교적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1
감태가 양생된, 직경이 2㎜인 해조류 양식용 로프를 5~10㎝ 길이의 단편(개체수 5~10개 이상)으로 자르고, 잘린 로프 단편을 수중 순간접착제를 이용하여 홍합 패각의 상부에 부착시켰다.
그 다음, 로프 단편이 부착된 홍합 패각의 하부에 수중 에폭시 본드를 잘 혼합 제조하여 홍합 패각의 안쪽이 다 채워지고 외부로 1㎝ 가량 돌출되어 나오도록 도포하였다.
수중에 미리 입수한 스쿠버 작업자는 뿔삼각형 어초의 상부에서 상기 홍합 패각을 이식할 부분을 끌을 이용하여 깨끗하게 긁어내는 전처리 작업을 한 후, 물 밖에서 제공되는 공급로프를 이용하여 홍합 패각을 전달받아 전처리한 장소에 5개/㎡, 10개/㎡, 15개/㎡, 20개/㎡ 비율로 부착하여 이식하였다.
실시예 3-2
모자반이 양생된, 직경이 2㎜인 해조류 양식용 로프를 5~10㎝ 길이의 단편(개체수 5~10개 이상)으로 자르고, 잘린 로프 단편을 수중 순간접착제를 이용하여 홍합 패각의 상부에 부착시켰다.
그 다음, 로프 단편이 부착된 홍합 패각의 하부에 수중 에폭시 본드를 잘 혼합 제조하여 홍합 패각의 안쪽이 다 채워지고 외부로 1㎝ 가량 돌출되어 나오도록 도포하였다.
수중에 미리 입수한 스쿠버 작업자는 뿔삼각형 어초의 상부에서 상기 홍합 패각을 이식할 부분을 끌을 이용하여 깨끗하게 긁어내는 전처리 작업을 한 후, 물 밖에서 제공되는 공급로프를 이용하여 홍합 패각을 전달받아 전처리한 장소에 5개/㎡, 10개/㎡, 15개/㎡, 20개/㎡ 비율로 부착하여 이식하였다.
실시예 3-3
대황이 양생된, 직경이 2㎜인 해조류 양식용 로프를 5~10㎝ 길이의 단편(개체수 5~10개 이상)으로 자르고, 잘린 로프 단편을 수중 순간접착제를 이용하여 홍합 패각의 상부에 부착시켰다.
그 다음, 로프 단편이 부착된 홍합 패각의 하부에 수중 에폭시 본드를 잘 혼합 제조하여 홍합 패각의 안쪽이 다 채워지고 외부로 1㎝ 가량 돌출되어 나오도록 도포하였다.
수중에 미리 입수한 스쿠버 작업자는 뿔삼각형 어초의 상부에서 상기 홍합 패각을 이식할 부분을 끌을 이용하여 깨끗하게 긁어내는 전처리 작업을 한 후, 물 밖에서 제공되는 공급로프를 이용하여 홍합 패각을 전달받아 전처리한 장소에 5개/㎡, 10개/㎡, 15개/㎡, 20개/㎡ 비율로 부착하여 이식하였다.
실시예 3-4
곰피가 양생된, 직경이 2㎜인 해조류 양식용 로프를 5~10㎝ 길이의 단편(개체수 5~10개 이상)으로 자르고, 잘린 로프 단편을 수중 순간접착제를 이용하여 홍합 패각의 상부에 부착시켰다.
그 다음, 로프 단편이 부착된 홍합 패각의 하부에 수중 에폭시 본드를 잘 혼합 제조하여 홍합 패각의 안쪽이 다 채워지고 외부로 1㎝ 가량 돌출되어 나오도록 도포하였다.
수중에 미리 입수한 스쿠버 작업자는 뿔삼각형 어초의 상부에서 상기 홍합 패각을 이식할 부분을 끌을 이용하여 깨끗하게 긁어내는 전처리 작업을 한 후, 물 밖에서 제공되는 공급로프를 이용하여 홍합 패각을 전달받아 전처리한 장소에 5개/㎡, 10개/㎡, 15개/㎡, 20개/㎡ 비율로 부착하여 이식하였다.
Figure 112009045549156-PAT00003
상기 표 3은 부착된 해조류별 패각의 도입 개체수에 따른 이식 성공률을 나타낸다.
실시예 3-1 ~ 실시예 3-4의 실시 결과, 표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부착된 해조류별 도입 개체수를 보면 단위면적당 5개의 경우 가장 낮은 이식 성공률을 보였고, 20개의 이식할 경우도 낮은 이식 성공률을 보였으며, 단위면적당 15개를 이식한 경우에서 가장 우수한 이식 성공률을 보여 해중림 조성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해조류를 부착한 해조류 양식용 로프를 친환경적인 패각의 상부에 부착하고, 이 패각을 수중 해양 구조물에 부착 설치함으로써, 어류, 갑각류, 패류 등의 산란, 부화와 치어의 보호, 육성 및 증식에 필요한 해중림 환경을 효과적으로 조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인공어초 및 자연서식지에 환경 친화적인 패각을 이용하여 해조류를 부착함으로써, 해조류를 해양 수중 구조물에 성공적으로 착생시키고, 해양 수중 구조물에서의 해조류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증진시켜 효율적인 해중림 조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특수 재질의 인공어초 표면이나 단단한 자연 지반에만 적용할 수 있는 기존에 방법들과 달리, 본 발명에 따른 해중림 조성방법은 수중 에폭시계 본드를 이용하여 어떠한 목적체에도 손쉽게 해중림 군락을 조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패각소재를 이용한 해중림 조성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

Claims (9)

  1. (a) 해조류가 양생된 해조류 양식용 로프를 단편화하는 단계;
    (b) 상기 해조류 양식용 로프의 단편을 패각 소재의 상부에 부착하는 단계;
    (c) 상기 패각 소재의 하부에 수중용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d) 수중용 접착제를 도포한 패각 소재를 수중에서 직접 해양 수중 구조물에 부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해조류가 해양 수중 구조물에 착생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중림 조성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중 접착제는 주제인 에폭시계 수지와 경화제인 아민을 동일비로 혼합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중림 조성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조류 양식용 로프는 선택된 1종 이상의 거대조류의 포자가 부착되어 1개월 이상 양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중림 조성방법.
  4. 청구항 1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해조류 양식용 로프에 부착된 해조류의 개체수는 90 ~ 110개/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중림 조성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조류 양식용 로프의 단편은 직경이 2㎜ 이하이고, 길이가 5 ~ 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중림 조성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각 소재의 각경이 1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중림 조성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해조류 양식용 로프의 단편은 에틸 시안화 아크릴레이트(Ethyl cyanide acrylate) 성분을 함유하는 순간접착제를 이용하여 패각 소재의 상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중림 조성방법.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b)단계와 (c)단계 사이에, 해조류 양식용 로프의 단편을 부착한 패각 소재를 하루 동안 흐르는 해수에서 순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중림 조성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단계와 (d)단계 사이에, 상기 해양 수중 구조물의 표면을 긁어내는 전처리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중림 조성방법.
KR1020090068126A 2009-07-24 2009-07-24 친환경 패각소재를 이용한 해중림 조성방법 KR101024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126A KR101024847B1 (ko) 2009-07-24 2009-07-24 친환경 패각소재를 이용한 해중림 조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126A KR101024847B1 (ko) 2009-07-24 2009-07-24 친환경 패각소재를 이용한 해중림 조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524A true KR20110010524A (ko) 2011-02-01
KR101024847B1 KR101024847B1 (ko) 2011-03-31

Family

ID=43771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8126A KR101024847B1 (ko) 2009-07-24 2009-07-24 친환경 패각소재를 이용한 해중림 조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48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721B1 (ko) 2011-04-14 2011-10-05 이순이 작업의 편의성을 개선시킨 해조류 및 산호 수중 이식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2849U (ko) * 1989-12-13 1991-08-23
KR20020004092A (ko) * 2000-07-01 2002-01-16 이여준 진주조개 패부착 진주양식방법
JP4605421B2 (ja) 2001-02-22 2011-01-05 行幸 前川 藻場造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4847B1 (ko) 201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4533B1 (ko) 자연석을 이용한 친환경 바다 숲 조성방법
CN104054613A (zh) 漂浮式人工鱼礁
KR101830034B1 (ko) 천연해조장 자연암반 해조류 종사 직접 이식방법
ATE223644T1 (de) Verfahren zur förderung der in einer geschlossenen umgebung meerestierchenwachstum durch einbringen eines düngemittels mit gesteuerter freisetzung
US10626547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biologically cemented structures for marine applications
KR100994531B1 (ko) 어초 블록용 세라믹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해양생태 복원용 어초 블록
CN101341851A (zh) 一种人工藻场及其构建方法
JP5527653B2 (ja) サンゴ移植方法、サンゴ移植基盤、サンゴ移植ブロック、並びにサンゴ礁造成方法
KR101368195B1 (ko) 갯녹음 복원용 해조류 착생 블럭 및 해중림 조성방법
CN103798170A (zh) 一种浅海海底生态养鲍方法
CN205071877U (zh) 一种人工生态珊瑚礁
JP2007053975A (ja) 藻場形成方法及び藻場形成用種苗含有粘液
JP2008048687A (ja) 海中設置用構造体及び水産資源の賦活方法
KR101024847B1 (ko) 친환경 패각소재를 이용한 해중림 조성방법
AU2014101432A4 (en) Coral rehabilitation technique
JP2013158340A (ja) アワビなどの海面養殖方法とその基材
KR200477518Y1 (ko) 바다숲 조성용 십자형 해중림초
JP2007097538A (ja) 貝類の保護基盤
KR101999670B1 (ko) 광투과성 착생용기 및 이를 이용한 유리배우체의 착생 유도방법
JP2008113649A (ja) アサリ及びハマグリ等の潜砂性二枚貝の養殖方法
Rubec et al. Territorial use rights in fisheries to manage areas for farming coral reef fish and invertebrates for the aquarium trade
KR102478983B1 (ko) 바다숲 조성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바다숲 조성방법
JP3193704B2 (ja) 育成部材及び育成部材を備えた着脱式藻場増殖礁、並びに着脱式藻場増殖礁の取り扱い方法
KR102478987B1 (ko) 바다숲 조성을 위한 혼합벌크 및 이를 이용한 바다숲 조성방법
CN109757407B (zh) 一种珊瑚苗的移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