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0034B1 - 천연해조장 자연암반 해조류 종사 직접 이식방법 - Google Patents

천연해조장 자연암반 해조류 종사 직접 이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0034B1
KR101830034B1 KR1020170047355A KR20170047355A KR101830034B1 KR 101830034 B1 KR101830034 B1 KR 101830034B1 KR 1020170047355 A KR1020170047355 A KR 1020170047355A KR 20170047355 A KR20170047355 A KR 20170047355A KR 101830034 B1 KR101830034 B1 KR 101830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eed
natural
natural rock
underwater
s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7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일
김동욱
배종일
김선미
박정채
서태호
황영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중생태기술연구소
유한회사 씨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중생태기술연구소, 유한회사 씨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중생태기술연구소
Priority to KR1020170047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00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3Transplanting machines for aquatic plants; for planting underwater, e.g. r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중 그늘지지 않은 자연암반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자연암반을 고압분사기로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한 자연암반에 수중씰링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자연암반에 도포된 수중씰링제에 위에 해조류 종사를 부착시킨 벨크로테이프를 고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암반 종사 직접 이식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수중식물이 서식지를 확대하고 군락을 형성하여 훼손된 연안 생태계 회복에 기여하고 황폐화된 연안 어장환경을 회복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Description

천연해조장 자연암반 해조류 종사 직접 이식방법{Method for direct implantation of young seaweed leaf underwater rocks}
본 발명은 해조류 종사를 천연해조장 자연암반에 해조류 종사를 직접 이식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연암반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자연암반을 고압분사기로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한 자연암반에 수중씰링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자연암반에 도포된 수중씰링제에 위에 해조류 종사를 부착시킨 벨크로테이프를 고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암반 종사 직접 이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저 생태계의 근간을 이루는 천연해조장은 주로 해조류나 해초가 생산자의 위치에서 서식동물에게 서식처와 먹이를 공급해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때 해조류란 바다에서 나는 조류(algae)를 통틀어 칭하는 말로, 뿌리, 줄기, 잎의 구별이 되지 않고 포자에 의하여 번식하면서 뿌리처럼 보이는 부착기(holdfast)로 몸체를 바위 등에 고정시키고 엽상체에서 광합성작용을 한다. 해조류는 녹조류, 갈조류, 홍조류로 나눌 수 있으며, 톳, 미역, 다시마, 김, 파래, 우뭇가사리 등이 이에 속한다.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는 해중 풍부한 해조자원 및 수산동식물과 각종 어패류 등으로 수산자원이 풍부하였다. 그러나 도시화 및 공업화와 전세계적인 기후변화로 인하여 생태계가 빠르게 파괴되면서 해마다 어획량이 크게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원인 중 하나가 바로 이러한 해조류가 아닌 석회조류가 바다 암석에 번식하는 ‘바다 사막화(갯녹음)’ 현상이다. 해조나 미생물을 먹고 사는 작은 물고기에게는 치명적이며, 바다 생태계 전체가 무너지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갯녹음 현상은 1992년 제주 해역에서 국내 처음으로 보고된 이후 경북 연안에 이어 최근 전남 서남해 까지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다. 우리나라 동해안의 경우 갯녹음 현상이 진행 중이거나 심화한 암반의 면적이 170.54 ㎢로 동해안 전체 암반 면적의 61.7%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내 갯녹음 확산 면적은 매년 여의도 면적의 4분의 3규모인 2.15 ㎢에 이르고 전국적인 규모도 여의도 면적의 57배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갯녹음 현상이 시작되면 석회조류가 바다 암석의 표면에 번식하면서 해조류가 부착할 수 있는 공간을 없앤다. 따라서 해조류로 이루어진 해조 숲을 서식처로 삼은 생태계가 무너지는데, 이에 따라 해저에 형성하여 조류 및 먹이가 될 수 있는 각종 갑각류 및 어린 물고기를 키우기 위한 인공어초나 해중림어초가 다양한 형태로 제시되어 왔다.
인공어초는 해저지반에 구조물을 설치하는 침설형 어초를 설치하거나 폐선이나 폐차 등의 구조물을 계류시키는 여러 가지 어초가 시도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해양환경 문제와 관련하여 폐자원의 활용은 감소하는 추세이며, 침설형 어초가 주를 이루고 있다.
콘크리트와 철근을 이용하여 다면체형의 골조프레임을 형성시키는 침설형 어초는 해중에서 해저 생태계의 회복과 어족자원을 성장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즉, 빠른 해류로 인하여 해저면 침하가 지속되거나 수산생물이 서식하기에 부적합한 응력이 작용하는 곳에 어초가 침설되면 해류나 조류의 힘을 약화시켜, 부착성 해조류가 성장하기에 좋은 환경을 조성하게 되며, 이를 먹이로 하는 해저생물들이 모여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어초에 의하여 형성된 서식지는해삼이나 전복과 같은 부착성 저서생물이나 치어, 치패가 천적으로부터 은폐되는 장소를 제공함으로써 생태계의 생산자와 1차 소비자 층이 회복됨으로써 장기적으로 인공어초를 중심으로 한 생태계의 회복을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그러나 인공어초의 시설비용이 높고 해조 탈락률이 높은 문제가 있었으며, 최근에는 인공어초를 구성하는 콘크리트와 시멘트 자체가 갯녹음을 유도할 가능성이 의심되고 있다. 콘크리트 시멘트의 주원료인 석회가 바닷물에 녹으면서 갯녹음을 가속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세라믹 인공어초, 철재 인공어초 등의 대안 인공어초가 고려되고 있으나, 비용 및 환경오염을 고려하여 신중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인공어초 자체가 갯녹음 현상을 없애거나 예방할 수는 없기 때문에 석회화로 해조류가 부착하여 생육하기 어려운 바닷속 암반 천연해조장의 직접적인 환경개선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01341호에서는 해조류의 종묘가 부착된 해조류종사로프를 생분해성재질로 만들어진 케이블 타이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해조류의 가근이 부착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해조류이식용 로프와, 상기 해조류이식용 로프를 내측으로 수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면과 좌, 우측면이 개구되어 구비되는 로프고정부재와, 상기 로프고정부재의 양단 저면에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로프고정부재를 수중암반 또는 인공어초에 다수의 앵커볼트를 매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고정홀이 각각 형성되어 구비되는 고정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해조류 이식용 바를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35037호에서는 중앙에 형성된 중앙관통구멍에 더하여 상기 중앙관통구멍을 사이에 두고 서로에 일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타원형관통구멍을 종묘 부착블록에 형성시키고, 상기 중앙관통구멍과 상기 한 쌍의 타원형관통구멍의 영역을 포함하는 종묘 부착블록 밑면에 오목부를 형성시키고, 종묘 양성줄에 놓일 홈에 상기 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서 케이블 타이나 로프를 종묘 부착블록의 세로방향으로 이동불가능하게 하고 종묘 부착블록의 가로 및 세로 방향들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양성줄고정수단을 종묘 부착블록에 제공함으로써, 암반의 형상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종묘 부착블록을 위치결정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제1작용효과, 종묘 부착블록의 중량을 감소시키는 제2작용효과, 상기 한 쌍의 타원형관통구멍과 상기 중앙관통구멍에 관통하는 앵커볼트에 의해 암반에 종묘 부착블록을 고정시킬 수 없을 경우에 접착시멘트를 상기 오목부에 충전시켜 상기 암반에 용이하게 고정시키는 제3작용효과, 상기 한 쌍의 타원형관통구멍에 로프를 관통시켜 고리를 만들어서 여러개의 종묘 부착블록을 로프끈에 끼워서 육상에서의 이동시에 그리고 배갑판에서 해저암반으로 이동시킬시에 용이하게 하는 제4작용효과, 및 양성줄에 이식된 종묘의 뿌리가 양성줄을 깜싸고 있는 케이블 타이에 의해 감싸여져서 고정됨으로써 이식해조 생존율을 종래보다 증대시키는 제5작용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종묘부착블록 및 그 시설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32725호에서는 해조류의 엽상부를 채집하여 수조에서 24시간 통기 배양하면서 수정란액을 얻고, 상기 수조의 바닥에 패널을 배치한 후 상기 수정란이 낙하하여 상기 패널에 착생시켜 실내배양하는 단계, 상기 실내배양단계에 의해 5mm의 크기로 생장하였을때 보호망속에 상기 패널을 넣고 수심 5m에서 양성하는 중간양성 단계, 상기 중간양성된 해조류가 보호망 속에서 30cm 이상이 될 때까지 양성한 후 상기 보호망을 제거하여 해중림을 조성하는 단계로 구현되는 패널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구성되어 실내에서 어느 정도 배양한 해조류를 얕은 수심의 해수에서 동물식해방지용 보호망으로 보호하여 중간크기로 양성한 후 갯녹음 어장에 이식함으로써 다 자라지 않은 해조류가 조식성 동물에 의해 피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해조류의 인공종묘 보호망을 이용한 해중림 조성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88360호에서는 내부에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게 형성된 내부공간부가 마련되며, 양 측면이 개구되고 하부로 진행할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사다리꼴형의 본체와, 본체의 전면 및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부와 상기 본체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유통부와,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침하를 방지하는 플랜지부와, 본체의 표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나란하게 돌출되어 형성되며, 단부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는 리브들과,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리브들 사이에 형성되어 해수로부터 침강되는 유기물질이 포집됨과 동시에 패류들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패류서식부와, 리브들에 고정유니트에 의해 고정되는 모조줄들을 구비한 패류의 서식 및 해중림 조성을 위한 계단형 인공어초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들은 해중 그늘지지 않은 자연암반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자연암반을 고압분사기로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한 자연암반에 수중씰링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자연암반에 도포된 수중씰링제에 위에 해조류 종사를 부착시킨 벨크로테이프를 고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해조장 자연암반 종사 직접 이식방법. 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연암반 종사 직접 이식방법과는 그 구성 및 효과에서 차이를 보인다.
본 발명은 최근 갯녹음에 의한 바다 사막화 현상이 가속화되면서 바다 생태계가 무너지고 연근해 어장이 황폐해 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해중 자연암반의 직접적인 환경개선을 위한 해조류 자연암반 직접 이식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해중 그늘지지 않은 자연암반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자연암반을 고압분사기로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한 자연암반에 수중씰링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자연암반에 도포된 수중씰링제에 위에 해조류 종사를 부착시킨 벨크로테이프를 고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해조장 자연암반 종사 직접 이식방법. 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연암반 종사 직접 이식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천연해조장 자연암반 종사 직접 이식방법을 이용하여 해중 자연암반에 해조류를 부착시키고 해중림이 조성되도록 함으로써 수중식물이 서식지를 확대하고 군락을 형성하여 훼손된 연안 생태계 회복에 기여하고 황폐화된 연안 어장환경을 회복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남해 바다숲 조성 해조류 이식 대상 해역의 위성 사진이다.
도 2는 대상지와 대상지의 자연석 분포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자연암반 종사 직접 이식방법에 사용한 해조류 종사와 벨크로에 부착한 해조류 종사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자연암반 종사 직접 이식을 위하여 고압세척기로 자연암반을 갯닦기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자연암반의 세척 전후를 나타낸 비교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자연암반 종사 직접 이식방법의 유엽 종사 이식 모식도이다.
도 7은 자연암반 종사를 직접 이식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자연암반 종사 직접 이식방법으로 실시한 직접이식 시간표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자연암반 종사 직접 이식방법을 실시하고 1달 후 해조류 유엽의 생장을 관찰한 1차 모니터링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자연암반 종사 직접 이식방법을 실시하고 2달 후 해조류 유엽의 생장을 관찰한 2차 모니터링 사진이다.
본 발명은 자연암반 종사 직접 이식방법을 이용하여 해중 자연암반에 해조류를 부착시키고 해중림이 조성되도록 함으로써 바다숲 조성기법을 다양화하고 저비용, 고효율로 바다숲 복원 기법을 확립하여 수중식물이 서식지를 확대하고 군락을 형성하여 훼손된 연안 생태계 회복에 기여할 수 있는 자연암반 종사 직접 이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 예를 들어 자세히 설명한다.
< 실시예 >
1. 대상지역 선정
해조류 종사를 자연암반에 직접이식하기 위하여 대상지역을 선정하였다. 해조류 종사의 이식작업 위치는 조식동물 특히 성게의 밀도가 높지 않으며, 수심 1~4m의 자연석 시설지로 선정하였으며, 부니 및 이물질을 제구한 후 시설하며 따개비, 굴, 지중해담치 등의 부착생물이 부착된 곳을 피해서 시설하였다. 또한
도 1은 남해 바다숲 조성 해조류 이식 대상 해역의 위성 사진이며, 도 2는 대상지와 대상지의 자연석 분포를 나타낸 그림이다. 해중 자연암반이 많이 배치되어 있는 부산광역시 기장군 길천 해역을 선정하였다.
2. 해조류 종묘의 준비
해조류는 모자반 종사로 채취현장에서 종묘의 상태를 확인한 후 구매하였다. 운반시 해조류가 손상되지 않도록 입구가 넓은 고무통을 이용하여 운반하였으며, 냉각해수와 얼음을 이용하여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였다. 운반된 해조류는 즉시 해수순환식 냉각수조에 보관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자연암반 종사 직접 이식방법에 사용한 해조류 종사와 벨크로에 부착한 해조류 종사를 나타낸 사진이다. 해조류 종사는 종사를 자연암반에 직접 이식법과 벨크로테이프에 부착한 후, 자연암반에 직접 이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벨크로테이프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종묘 운반 후 24시간 이내에 벨크로테이프에 부착하는 작업을 하였다.
모자반은 약 0.05m로 절단하였으며, 절단한 종사는 벨크로테이프에 스테플러(WHASHIN 26/6 staples, 33호침)를 이용하여 부착하였다(방법 ①). 모자반 종묘 중 일부(30m)는 0.10m단위로 절단하여 보관하였다(방법 ②).
벨크로테이프에 부착된 해조류 종묘는 이식 대상지역으로 운반까지 냉각수조에 보관하였으며, 벨크로테이프에 종묘가 손상되지 않도록 원형으로 둥글게 말아 보관하였다.
해조류 종묘가 부착된 해조류 종사는 이식 대상지역으로 운반 시, 해조류의 건조 및 변성을 방지하기 위해 얼음과 해수가 포함된 아이스박스를 이용하여 운반하였다. 또한 해조류 이식지역에 도착한 후, 운반된 해조류는 해수 중에 매달아 보관하였다. 운반해온 해조류 종묘는 선박 내 보관소에서 습윤상태를 유지하며 보관하였으며, 작업기간 동안 해조류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하였다.
3. 해조류 종묘의 천연해조장 자연암반 직접이식
해조류 이식지는 해당 해역 내 투석되어있는 자연석을 이용하였으며, 간조시 종사가 햇빛에 직접 노출되지 않는 수심을 선정하였다. 해조류 이식은 조식동물(성게류, 고둥류)의 밀도가 없는(1 개체/m2 미만)지역을 이용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자연암반 종사 직접 이식을 위하여 고압세척기로 자연암반을 갯닦기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며, 도 5는 자연암반의 세척 전후를 나타낸 비교사진이다. 자연암반 종사 직접 이식을 위하여 먼저 자연석의 표면의 부착생물과 부니를 제거하였다. 고압세척기를 이용하여 갯닦기를 실시하였으며, 세척 시 자연석 표면에 자생하고 있는 해조류에 피해가 가지 않도록 주의하였다.
해조류종묘 이식 작업은 잠수사들에 의해 진행되었으며, 표면공급식잠수법을 사용하였다.
해조류 종사 직접이식은 해수 중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이므로, 물속에 있는 구조물의 접착 보수용으로 사용하는 수중경화형 에폭시수지를 사용하였다. 에폭시 주제 수지는 비스페놀A형 에폭시수지, 비스페놀 F형 에폭시수지, 티타늄다이옥사이드, 탈크, 탄산칼슘을 포함할 수 있으며, 페놀 노블락형 그리시딜에텔 또는 옥소크레졸 노볼락형 그리시딜에텔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거나 혼합 사용할 수 있다.
경화제로는 변성폴리아민을 사용할 수 있으며, 폴리아미드아민형 경화제, 지방족폴리아민, 아미노실란, 노닐페놀을 단일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드리에틸렌테트라민, 디에탄올아민, 라우릴그리시딜에텔, 트리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글리시딜에텔 등을 수중경화제로 사용할 수 있다.
해조류 종사 직접이식에는 수중경화형 에폭시수지도료 주제와 상온경화형 수중경화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에폭시수지도료 주제 100 중량부에 상온경화형 수중 경화제 100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종사 직접 이식에 사용하는 수중씰링제는 해중에서 사용하는 경우 해수의 비중과 같거나 높게 제조하여 사용하는 것이 수중씰링제의 자연암반 탈락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본 종사 직접 이식에서는 비중 1.71±0.05 주제와, 비중 1.73±0.05의 경화제를 각 500g씩 1:1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비중 1.72±0.05). 수중 작업시 혼합된 씰링제를 9.0±1.5g의 단위로 떼어 자연암반에 부착하여 사용하였으며, 씰링제 가사시간 40분 동안 100~120개의 종사가 이식된 벨크로 테이프를 부착 할 수 있었다.
도 6은 본 발명의 자연암반 종사 직접 이식방법의 유엽 종사 이식 모식도이며, 도 7은 자연암반에 종사를 직접 이식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해조류종묘 이식은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였다.
① 에폭시 및 벨크로테이프를 이용한 종사 이식은 벨크로테이프에 부착된 종사(0.05m)와 수중씰링제를 이용하였으며, 자연석에 수중씰링제를 접착한 후 벨크로 테이프를 윗부분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즉, 해중 그늘지지 않은 자연암반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자연암반을 고압분사기로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한 자연암반에 수중씰링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자연암반에 도포된 수중씰링제에 위에 해조류 종사를 부착시킨 벨크로테이프를 고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② 에폭시를 이용한 해조류 종사 이식은 이식 크기로 절단된 종사(0.10m)를 수중씰링제를 이용하여 직접 부착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으며, 종사의 양 끝부분과 가운데 부분에 수중씰링제를 접착하여 자연석에 붙이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즉, 해중 그늘지지 않은 자연암반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자연암반을 고압분사기로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한 자연암반에 수중씰링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자연암반에 도포된 수중씰링제에 해조류 종사를 고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③ 에폭시에 직접 종사 부착 이식은 수중씰링제를 일정 크기(5㎝ × 2㎝ × 0.5㎝)로 자연석에 접착한 후, 약 5cm의 크기로 절단된 종사를 핀셋을 이용하여 수중씰링제 위에 직접부착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부착수중씰링제의 크기는 자연암반의 면적 당 해조류 성장에 따라 너무 조밀하지 않으며, 서로 간섭하지 않아 해조 폐사율이 적은 크기로 설정하였다. 즉, 해중 그늘지지 않은 자연암반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자연암반을 고압분사기로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한 자연암반에 수중씰링제를 일정 크기로 자연석에 접착하는 단계 및 상기 자연암반에 부착된 수중씰링제에 해조류 종사를 고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식 전후 및 이식과정을 기록하기 위하여 동영상 사진 촬영을 수행하였다.이식작업의 촬영에 사용된 카메라는 Full HD급 3,600만 화소의 수중카메라인 Nikon D800 등이 사용되었다. 동영상은 작업전, 작업중, 작업후를 구분하여 각각 5분 이상 촬영하였으며 최대한 작업지와 시설상태 전경이 보이도록 촬영하였다. 사진은 광각촬영을 기본으로 하며, 전경촬영과 근접촬영을 병행하여 이식대상조류와 서식생물상이 구별될 수 있는 수준에서 촬영하였다.
또한 이식한 해조류의 생장 및 부착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이식 대상물을 전수 조사 및 촬영하였다. 수중촬영은 이식작업 후 4주 간격으로 2회 촬영하였으며, 이식 지역별로 해조류의 성장 및 폐사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촬영하였다. 이식된 해조류 가근의 활착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근접 촬영하였고, 이식된 해조류 주변의 환경 변화를 알 수 있도록 전경촬영을 병행하였다.
도 8은 본 발명의 자연암반 종사 직접 이식방법으로 실시한 직접이식 시간표이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2016년 7월부터 4일에 걸쳐 모자반을 에폭시 직접 및 벨크로테이프를 이용하여 자연암반에 이식하였다. 이식된 해조류 종사의 위치 및 개수는 표 1과 같다.
해역 위치 이식방법 및 물량 작업일자 결과 합계
부산시 기장군 길천 해역 ⓐ35° 19.470´ N
129° 17.002´ E

ⓑ 35° 19.432´ N
129° 16.999´ E

ⓒ 35° 19.473´ N
129° 16.963´ E

ⓓ 35° 19.435´ N
129° 16.970´ E
① 에폭시 및 벨크로테이프를 이용한 모자반 종사 이식

② 에폭시를 이용한 모자반 종사 이식

③ 에폭시에 직접 모자반
종사 부착 이식

2016.7.08. ① 550개 ① 3,300개

② 300개

③ 300개

2016.7.09. ① 900개
2016.7.10. ① 400개
② 300개
2016.7.13. ① 850개
2016.7.14. ① 600개
2016.7.15. ③ 300개
모자반 300m 6일 - 3,900개
4. 해조류 이식상태 모니터링
2016년 자연암반 종사 직접 이식 1개월 후, 해조류 이식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1차 수중촬영을 실시하였다. 도 9는 본 발명의 자연암반 종사 직접 이식방법을 실시하고 1달 후 해조류 유엽의 생장을 관찰한 1차 모니터링 사진이다. 촬영 당일 수심은 5~6m 내외였으며, 표층수온은 25℃ 저층수온 21℃를 보였다. ① 방식으로 진행된 모자반 이식 중, 전체의 40~50%가 생존하며 어린 엽체가 자라는 것이 관찰되었다. ②, ③ 방식으로 진행된 모자반 이식은 전체의 20~30%가 생존하고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2016년 자연암반 종사 직접 이식 2개월 후, 해조류 이식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2차 수중촬영을 실시하였다. 도 10은 본 발명의 자연암반 종사 직접 이식방법을 실시하고 2달 후 해조류 유엽의 생장을 관찰한 2차 모니터링 사진이다. 촬영당일 수심은 4~6m 내외였으며, 표층수온이 25.4℃로 높은 수온을 보였다. 1차 모니터링 과 비교하여 많은 양의 부니가 바위를 뒤덮었으며, 따개비류, 담치류 등의 생물량 또한 다수 증가하였다.
모자반의 경우 전체 이식된 양의 40%가 생존하여 성장 혹은 새로운 유엽이 자라는 것이 관찰되었다.
① 벨크로테이프에 부착 후 수중씰링제(에폭시)를 이용하여 바위에 부착하는 방식은 실험한 3가지 모자반 이식 방식 중, 가장 많은 수로 이식하였으며 약 40%의 생존을 보였다. 이식 후 모니터링 결과, 해수의 유동이나 파도에 의해 부착된 에폭시가 떨어지는 경우는 극히 일부분에 불과하여 자연암반에 효과적으로 부착한 것을 확인하였다.
② 이식 크기로 절단된 모자반 종사(0.10m)를 수중씰링제를 이용하여 직접 부착하는 방식은 종사가 해수에 유동하여 이식후 초기에는 모자반의 성장도가 좋았으나 이후 모니터링에서는 종사가 끊어지거나 모자반이 탈락된 경우가 발견되었다. 일부는 에폭시에 부착되어 있는 종사 부분에서 새로운 유엽이 자라나는 경우도 있었다. 이 방법은 종사가 해수의 유동에 의해 흔들려 모자반이 바위에 직접 부착되는 것이 방해를 받아 생존율이 낮았던 것으로 보인다.
③ 수중씰링제를 5㎝ × 2㎝ × 0.5㎝크기로 자연석에 접착한 후, 약 5cm의 크기로 절단된 모자반종사를 핀셋을 이용하여 수중씰링제 위에 직접 부착하는 방식은 ②의 방법에 비해 생존율도 높았으며, 다수가 고르게 성장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종묘 이식 시 종사가 완전히 에폭시에 묻히지 않아야 하며 종묘에도 에폭시가 묻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므로 다른 방법에 비해 작업시간이 2배 이상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대상해역에 이식된 해조류 중, 낮은 수심(3~4m)의 해조류는 대부분 사멸하였으나, 중층(4~6m)의 해조류는 생존율이 높았다.

Claims (3)

  1. 해중 그늘지지 않은 자연암반을 선택하여 자연암반의 표면을 고압분사기로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한 자연암반에 에폭시수지 주제를 비중 1.71±0.05로 제조하고,
    변성폴리아민, 폴리아미드아민형 경화제, 지방족폴리아민, 아미노실란, 노닐페놀, 드리에틸렌테트라민, 디에탄올아민, 라우릴그리시딜에텔, 트리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글리시딜에텔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경화제를 비중 1.73±0.05로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에폭시수지 주제와 경화제를 중량 1:1 비율로 혼합하여 수중씰링제를 제조하여 상기 세척한 자연암반에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도포된 수중씰링제의 상면에, 해조류 종사를 부착시킨 벨크로테이프를 고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암반 종사 직접 이식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170047355A 2017-04-12 2017-04-12 천연해조장 자연암반 해조류 종사 직접 이식방법 KR101830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355A KR101830034B1 (ko) 2017-04-12 2017-04-12 천연해조장 자연암반 해조류 종사 직접 이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355A KR101830034B1 (ko) 2017-04-12 2017-04-12 천연해조장 자연암반 해조류 종사 직접 이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0034B1 true KR101830034B1 (ko) 2018-02-20

Family

ID=61394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7355A KR101830034B1 (ko) 2017-04-12 2017-04-12 천연해조장 자연암반 해조류 종사 직접 이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003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1454B1 (ko) * 2020-08-12 2021-04-15 최지섭 친환경 해조류 이식 장치 및 방법
KR102273480B1 (ko) 2020-12-01 2021-07-06 강정찬 해중림 복원 또는 조성용 해조류 이식용 구조물
KR102329441B1 (ko) 2021-06-24 2021-11-22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재활용 천로프를 이용한 모자반 양식 시스템 및 해조류 군락 복원방법
KR102330940B1 (ko) * 2021-04-12 2021-12-01 최지섭 친환경 해조 성체 이식 장치 및 방법
KR102487938B1 (ko) * 2022-09-27 2023-01-13 (주)하나해양기술 해조류 어초 이식용 고정장치
KR102487941B1 (ko) * 2022-09-27 2023-01-13 (주)하나해양기술 해조류 이식용 고정장치를 이용한 해중림 조성방법
KR102487950B1 (ko) * 2022-06-08 2023-01-16 (주)하나해양기술 바다숲 조성용 해조류 이식판
KR102487951B1 (ko) * 2022-06-10 2023-01-16 (주)하나해양기술 바다숲 조성을 위한 해조류 이식판 설치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412B1 (ko) * 2009-04-06 2010-04-14 이인우 해중림 조성용 해조류의 고정방법
KR100994533B1 (ko) * 2010-03-10 2010-11-15 주식회사 오션 자연석을 이용한 친환경 바다 숲 조성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412B1 (ko) * 2009-04-06 2010-04-14 이인우 해중림 조성용 해조류의 고정방법
KR100994533B1 (ko) * 2010-03-10 2010-11-15 주식회사 오션 자연석을 이용한 친환경 바다 숲 조성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1454B1 (ko) * 2020-08-12 2021-04-15 최지섭 친환경 해조류 이식 장치 및 방법
KR102273480B1 (ko) 2020-12-01 2021-07-06 강정찬 해중림 복원 또는 조성용 해조류 이식용 구조물
KR102330940B1 (ko) * 2021-04-12 2021-12-01 최지섭 친환경 해조 성체 이식 장치 및 방법
KR102329441B1 (ko) 2021-06-24 2021-11-22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재활용 천로프를 이용한 모자반 양식 시스템 및 해조류 군락 복원방법
KR102487950B1 (ko) * 2022-06-08 2023-01-16 (주)하나해양기술 바다숲 조성용 해조류 이식판
KR102487951B1 (ko) * 2022-06-10 2023-01-16 (주)하나해양기술 바다숲 조성을 위한 해조류 이식판 설치방법
KR102487938B1 (ko) * 2022-09-27 2023-01-13 (주)하나해양기술 해조류 어초 이식용 고정장치
KR102487941B1 (ko) * 2022-09-27 2023-01-13 (주)하나해양기술 해조류 이식용 고정장치를 이용한 해중림 조성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0034B1 (ko) 천연해조장 자연암반 해조류 종사 직접 이식방법
KR100994533B1 (ko) 자연석을 이용한 친환경 바다 숲 조성방법
US5803660A (en) Integrated reef building system
JP2016127865A (ja) ヒメジャコの陸上効率養殖方法
CN105454101A (zh) 一种人工生态珊瑚礁及其构建方法
KR102468951B1 (ko) 해조류 이식부를 갖는 해조류 이식장치
CN205071877U (zh) 一种人工生态珊瑚礁
KR200485957Y1 (ko) 육상수조를 이용한 해삼양식장
KR102010722B1 (ko) 해중림 해조류 종사로프 고정장치
KR101543202B1 (ko) 내파성 잘피 이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잘피 이식방법
KR101722386B1 (ko) 에이치형 해조류 이식 플레이트
KR100939568B1 (ko) 해조류 포자 이식이 가능한 영양블럭 및 그 제조방법
KR102487941B1 (ko) 해조류 이식용 고정장치를 이용한 해중림 조성방법
KR102487938B1 (ko) 해조류 어초 이식용 고정장치
KR100680868B1 (ko) 해조류 인공종묘 착생패널 인공어초
KR102011244B1 (ko) 부자를 사용하지 않는 해조장 복원을 위한 수중 저연승 장치
KR101245237B1 (ko) 말잘피 이식방법
Sugianto et al. Reef development on artificial patch reefs in shallow water of Panjang Island, Central Java
CN105961230A (zh) 一种自然海域石珊瑚栽培种植方法
KR200448974Y1 (ko) 인공어초용 영양블럭 고정장치
KR101748240B1 (ko) 계단식 피라미드형 해중림초
KR101809351B1 (ko) 갯벌을 이용한 가리맛조개 인공종묘 중간 육성방법
JP3227334U (ja) 水生植物栽培ケージ
RU2149541C1 (ru) Способ выращивания гидробионтов в поликультуре
KR100797938B1 (ko) 사다리꼴 주형 해중림초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