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0868B1 - 해조류 인공종묘 착생패널 인공어초 - Google Patents

해조류 인공종묘 착생패널 인공어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0868B1
KR100680868B1 KR1020050006535A KR20050006535A KR100680868B1 KR 100680868 B1 KR100680868 B1 KR 100680868B1 KR 1020050006535 A KR1020050006535 A KR 1020050006535A KR 20050006535 A KR20050006535 A KR 20050006535A KR 100680868 B1 KR100680868 B1 KR 100680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on net
artificial
seedling
wire rod
seedl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6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2548A (ko
Inventor
윤장택
김대권
구형준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부민종합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부민종합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Priority to KR1020050006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0868B1/ko
Publication of KR20060012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2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0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0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 G02B6/4447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with divided sh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87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19Mechanical fixtures for holding or positioning the elements relative to each other in the couplings; Alignment methods for the elements, e.g. measuring or observing methods especially used theref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체가 사각면체를 이루고, 상면 중앙에는 일방향으로 횡단하며 편평하게 안쪽으로 면취되는 종묘 착생면(110)이 마련되고, 상기 사각면체 어느 방향 중 옆면에는 대칭 되게 손잡이(120)가 부착된 다수개의 블록(100)과, 사각박스 형태의 선단부를 선재(210)로 연결하고, 상기 선재(210)에 대해 면상으로 망(220)을 결합한 보호망(200)에, 상기 블록(100)을 별도의 고정이나 결합 없이 보호망(200) 내의 하면 (240)에 안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인공종묘 착생패널 인공어초에 관한 것으로서, 인공으로 종묘가 착생된 다수개의 블록을, 별도의 고정이나 결합이 없는 상태로 보호망에 안착하여 생장시키며, 일정기간 후 상기 인공종묘가 번식능력이 왕성해지는 성엽체가 되면, 블록을 보호망으로부터 이탈시켜 갯녹음 해역 및 서식환경이 열악한 임의해역으로 용이하게 운반시킬 수 있는 이동성을 부여하고, 이렇게 이동되어진 인공어초가 조식성 동물에 노출되어도 급생장하는 번식능력에 의해 해중림을 조성하게 함으로써 안정된 생태계 군락을 제공하는 것이다.
종묘, 모자반, 감태, 갯녹음, 착생, 망, 기질, 엽체, 유엽체, 성엽체

Description

해조류 인공종묘 착생패널 인공어초{ARTIFICIAL REEF OF ATTACHMENT PANEL OF ALGAL SEEDLING FOR SUBMARINE FOREST}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측단면도 이다.
*도면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 종묘 100 : 블록
110 : 착생면 120 : 손잡이
200 : 보호망 210 : 선재
220 : 망 230 : 상면
240 : 하면 250 : 손잡이
260 : 힌지 270 : 보강심
본 발명은 해조류 인공종묘 착생패널 인공어초에 관한 것으로서, 인공으로 종묘가 착생된 다수개의 블록을, 별도의 고정이나 결합이 없는 상태로 보호망에 안 착하여 상기 인공종묘를 생장시키며, 일정기간 후 상기 인공종묘가 번식능력이 왕성해지는 성엽체가 되면, 블록을 보호망으로부터 이탈시켜 갯녹음 해역 및 서식환경이 열악한 임의해역으로 용이하게 운반시킬 수 있는 이동성을 부여하고, 이렇게 이동되어진 인공어초가 조식성 동물에 노출되어도 급생장하는 번식능력에 의해 해중림을 조성하게 함으로써 안정된 생태계 군락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부연 설명을 하면, 우리나라 연안해역에서 식생하며 해중림을 조성하고 있는 대형 갈조류는 미역, 감태, 모자반 등 바다 생태계에 유용한 해조류이다. 상기 해조류은 연안해역의 조간대 하부에서 자라는, 바다 생태계의 유용한 해조로서, 흔히 모자반과에 속하는 대형 갈조류를 통칭하게 된다. 따라서 이하 설명에서 언급되는 해조는 모자반으로 통일하겠다.
상기 모자반은 생식시기에 포자가 방출되어 해수 중에 유영하다가 기질과 접촉하게 되면 착생하여 생장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모자반은 생식기능이 포자가 아니라 구(球)형의 수정난으로 생성되어 있어서, 해수 중에 엽체로부터 수정난이 바닥으로 낙하하여, 편평한 암반 같은 기질에 착생하여 발아하게 된다.
이렇듯 온대와 아열대가 위치하고 있는 제주도 해역의 암초지대에는, 해조류를 기초 생산자로 하는 연안해역 서식환경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서식환경의 주요 해조류는 미역, 감태, 모자반, 우뭇가사리 등이 조성되며, 이들을 먹이로 하여 살아가는 전복, 소라, 성게, 쥐치, 고등어 등 조식성 동물들이 함께 분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연서식환경은 모자반이 발아한 후 착생하고, 일정한 기간이 지나 번식이 왕성해지는 단계로 달하기도 전인 유엽체 단계에서, 저서동물과 유영동물로 이뤄진 조식성 동물의 좋은 먹이감이 되어 모자반은 성장하기도 전에 소멸되고, 반면 효용가치가 적은 산호말류가 번식하는 갯녹음(백화현상 : WHITE EVENT)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황폐해지는 해중림을 개선하고자, 현재 인공종묘를 착생하여, 해역에 투하하고 있으나, 해역내의 실정에 맞게 유동적인 이동성이 불가능하고, 작업 및 설치가 번거로워서 문제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공적으로 종묘가 착생된 다수개의 블록을, 별도의 고정이나 결합이 없는 상태로 보호망에 안착하여 생장시키고, 일정기간 후 상기 인공종묘가 번식능력이 왕성해지는 성엽체가 되면, 블록을 보호망으로부터 이탈시켜 갯녹음 해역 및 서식환경이 열악한 임의해역으로 용이하게 운반시킬 수 있는 이동성을 부여하고, 이렇게 이동되어진 인공어초가 조식성 동물에 노출되어도 급생장하는 번식능력에 의해 해중림을 조성하게 함으로써, 안정된 자연서식 생태계 군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전체가 사각면체를 이루고, 상면 중앙에는 일방향으로 횡단하며 편평하게 안쪽으로 면취되는 종묘 착생면이 마련되고, 상기 사각면체 어느 방향 중 옆면에는 대칭 되게 손잡이가 부착된 다수개의 블록과, 사각박스 형태의 선단부를 선재로 연결하고, 상기 선재에 대해 면상으 로 망을 결합한 보호망에, 상기 블록을 별도의 고정이나 결합 없이 보호망 내의 하면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보호망의 하면에는 선재가 일정한 간격으로 직교되게 보강심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보호망의 상면은 일측 선단의 힌지에 의해 회전 개폐되고, 상기 보호망의 장방향 양측 일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인공종묘 착생패널 인공어초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해조류 인공종묘 착생패널 인공어초에 대한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의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공어초의 종묘(10)를 발아시켜 착생한 다수개의 블록(100)을, 손잡이(120)를 이용하여, 선재(210)와 망(220)으로 결합된 보호망(200) 내의 하면(240)에 별도의 고정 없이 안착하여, 연안해역에 투하하게 된다. 이때, 다수의 블록(100)이 내설된 보호망(200)은, 인공종묘(10)가 유엽체로 생장할 때, 즉시 바다로 이식할 수 있도록 중량을 60kg정도로 하였다. 이렇게 투하된 인공어초는 유엽체를 지나 생장하여 번식능력이 왕성한 성엽체가 되었을 때, 힌지(260)에 의해, 보호망 상면(230)을 개방하고, 단순 안착되어 있는 블록(100)을 상기 보호망(200)으로부터 이탈시켜, 갯녹음 해역 등 열악한 서식환경지로 자유로이 운반 이송할 수 있게 하여, 유동성 있는 일차 생산자가 되게 하는 것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해중림 조성해역은 갯녹음 어장으로 미역, 감태 등 유용한 해조류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모자반 인공종묘를 노출된 상태에서 이식할 수는 없으며, 만약 그럴 경우 약 5일 정도면 조식성 동물에 의해서 모두 섭식되여 소멸될 것이다. 그러나 광합성 활동에 의해 엽체의 생장속도가 빠르게 진행되고 조식성 동물의 피해량보다 생산량이 많으면 해중림은 조성될 것이다.
이러한 원리에 의하면 해조류 인공종묘가 30cm 이상 생장할 수 있도록 인공 종묘 보호망을 시설하여 양성하면 가능하다. 다년생 갈조류인 모자반과 감태 등은 유엽체 단계에서는 생장속도가 느리지만, 일정한 시기에 도달하면 급속도로 생장이 빠르다. 또한, 모자반은 춘계에 발아하여 유엽체 단계에서 하계를 보낸 후 10월부터 급생장하여 익년 2월이면 최대의 크기에 달한다.
이러한 서식생활의 특징을 이용하여 모자반의 인공종묘를 7월부터 11월 까지 5개월 동안 보호망에 설치한다. 상기 모자반은 한번 이식하여 생장하면 부착기로 영양번식이 지속되고, 엽체에서 새로운 수정란이 방출되어 기질에 착생함으로서 안정된 생태계가 유지된다.
블록에 인공으로 착생한 종묘는, 일정기간을 지나 생장하여 번식능력이 왕성한 성엽체가 되면, 보호망으로부터 이탈하여, 갯녹음 어장 등 열악한 서식환경에 이식되어 자연 해중림과 같은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이때 어초생산량이 많아져서, 갯녹음 현상이 해결되면, 또다시 열악한 해역으로 이동하여 번식능력을 이용해 해중림을 조성함으로써,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바다 생태계를 유지하는 것이다.

Claims (2)

  1. 전체가 사각면체를 이루고, 상면 중앙에는 일방향으로 횡단하며 편평하게 안쪽으로 면취되는 종묘 착생면(110)이 마련되고, 상기 사각면체 어느 방향중 옆면에는 대칭 되게 손잡이(120)가 부착된 다수개의 블록(100)과, 사각박스 형태의 선단부를 선재(210)로 연결하고, 상기 선재(210)에 대해 면상으로 망(220)을 결합한 보호망(200)에, 상기 블록(100)을 별도의 고정이나 결합 없이 보호망(200) 내의 하면(240)에 안착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보호망(200) 내의 하면(240)에는 선재(210)가 일정한 간격으로 직교되게 보강심(270)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보호망(200)의 상면(230)은 일측 선단의 힌지(260)에 의해 회전 개폐되고, 상기 보호망(200)의 장방향 양측 일단에는 손잡이(25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인공종묘 착생패널 인공어초.
  2. 삭제
KR1020050006535A 2005-01-25 2005-01-25 해조류 인공종묘 착생패널 인공어초 KR100680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6535A KR100680868B1 (ko) 2005-01-25 2005-01-25 해조류 인공종묘 착생패널 인공어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6535A KR100680868B1 (ko) 2005-01-25 2005-01-25 해조류 인공종묘 착생패널 인공어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2163U Division KR200366694Y1 (ko) 2004-08-03 2004-08-03 해조류 인공종묘 착생패널 인공어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2548A KR20060012548A (ko) 2006-02-08
KR100680868B1 true KR100680868B1 (ko) 2007-02-09

Family

ID=37122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6535A KR100680868B1 (ko) 2005-01-25 2005-01-25 해조류 인공종묘 착생패널 인공어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08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601B1 (ko) * 2007-11-14 2009-07-09 조동명 인공어초
KR101453990B1 (ko) * 2014-04-30 2014-10-28 곽철우 조식동물 포획을 위한 유인장치
KR101872289B1 (ko) * 2017-11-22 2018-06-28 제주해양연구소 주식회사 이동식 채묘 상자와 이를 이용한 자연형 해조류 양식 방법
KR102657732B1 (ko) * 2024-02-14 2024-04-15 권상식 복합유용미생물을 고정화한 해양생태블록의 제조방법
KR102657734B1 (ko) * 2024-02-14 2024-04-15 권상식 복합유용미생물을 고정화한 해양생태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2548A (ko) 2006-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anderklift et al. Using propagules to restore coastal marine ecosystems
Coyer et al. Interactions between corals and algae on a temperate zone rocky reef: mediation by sea urchins
Peterson et al. Basin-scale coherence of population dynamics of an exploited marine invertebrate, the bay scallop: implications of recruitment limitation
Irlandi Seagrass patch size and survivorship of an infaunal bivalve
US5803660A (en) Integrated reef building system
KR101830034B1 (ko) 천연해조장 자연암반 해조류 종사 직접 이식방법
Reise et al. Introduced species
KR100680868B1 (ko) 해조류 인공종묘 착생패널 인공어초
KR101395758B1 (ko) 해삼용 인공어초
Acarlı Population, aquaculture and transplantation applications of critically endangered species Pinna nobilis (Linnaeus 1758) in the Mediterranean Sea
KR101543202B1 (ko) 내파성 잘피 이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잘피 이식방법
KR100939568B1 (ko) 해조류 포자 이식이 가능한 영양블럭 및 그 제조방법
CN106912418B (zh) 一种于热带浅海蛇目白尼参底播增殖方法
Ault et al. Species profiles: life histories and environmental requirements of coastal fishes and invertebrates (Pacific Southwest): black, green, and red abalones
KR102487938B1 (ko) 해조류 어초 이식용 고정장치
KR102487941B1 (ko) 해조류 이식용 고정장치를 이용한 해중림 조성방법
Sugianto et al. Reef development on artificial patch reefs in shallow water of Panjang Island, Central Java
JP4981002B2 (ja) 人工魚礁
KR200366694Y1 (ko) 해조류 인공종묘 착생패널 인공어초
Nohrén et al. Response of epibenthic faunal assemblages to varying vegetation structures and habitat patch size
JP2016149953A (ja) 藻場造成装置及び藻場造成方法
KR100906456B1 (ko) 이매패류 양식장치
KR102200440B1 (ko) 해상용 해삼 양식장치
Eaton I. First report of the naturalist attached to the transit-of-Venus expedition to Kerguelen’s Island, December 1874
CN106912417B (zh) 蛇目白尼参工厂化养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2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