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0318A - 애엽에 함유되어 있는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갖는 성분의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애엽에 함유되어 있는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갖는 성분의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0318A
KR20110010318A KR1020090067817A KR20090067817A KR20110010318A KR 20110010318 A KR20110010318 A KR 20110010318A KR 1020090067817 A KR1020090067817 A KR 1020090067817A KR 20090067817 A KR20090067817 A KR 20090067817A KR 20110010318 A KR20110010318 A KR 20110010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anol
leaf
blood coagulation
contained
dicouma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7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3873B1 (ko
Inventor
원용훈
Original Assignee
광동제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제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광동제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7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3873B1/ko
Publication of KR20110010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3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38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엽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폴리사카리드 및 디쿠마롤 성분의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1단계는 애엽을 30%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농축하는 것이며, 제2단계는 상기 제1단계에서 추출된 농축물을 100% 에탄올로 추출·농축하는 것으로써, 상기 방법에 의해 애엽 중에 함유되어 있는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유해성분인 폴리사카리드 및 디쿠마롤을 효과적으로 동시에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애엽 추출물은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유해성분인 폴리사카리드 및 디쿠마롤이 완전히 제거됨으로써, 본 발명은 안전성이 보다 개선된 애엽추출물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효성분의 함량이 의약품 제조에 적합하게 함유되어 있어 위염, 위궤양 등의 위장질환 치료용 제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애엽, 디쿠마롤, 폴리사카리드

Description

애엽에 함유되어 있는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갖는 성분의 제거방법{Elimination process of the ingredient inhibiting blood coagulation in Artemisia}
본 발명은 애엽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유해성분의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81751호 보다 개량된 애엽에 함유되어 있는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유해성분의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쑥(Artemisia mongolica, A. asiatica, A. princeps, A. argyi 등)은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서, 대한민국에서는 말린 쑥잎을 애엽이라 한다.
예로부터, 애엽추출물은 자궁을 온난케 하는 한약재라 하여 자궁출혈, 임신중의 출혈, 강장보혈, 부인병, 설사치료제로 쓰여 왔으며, 위장질환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애엽이 연구되어 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7777호에 애엽에서 추출된 유파틸린의 위장질환 치료에 관한 의약적 용도가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81751호에는 애엽에서 분리된 자세오시딘(jaceosidin)의 위장질환 치료제로서의 용도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애엽은 혈액 응고시간을 현저히 연장시키는 작용(약학회지 제28권제2호 69-77(1984))도 있으며, 그러한 작용은 애엽에 함유되어 있는 폴리사카리드 및 디쿠마롤 성분임이 밝혀졌다.
그런데, 애엽 추출물을 위장질환 치료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갖는 폴리사카리드 및 디쿠마롤 성분은 유해성분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애엽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상기 성분들을 제거하고자 하는 노력이 시도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81751호에는 쑥잎을 미리 물로 추출함으로써 수용성분인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유해성분을 제거하거나 또는 고농도(70~100%)의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함으로써,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수용성분이 미량 함유된 쑥 추출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4-51766호에서는 애엽 추출과정에서 알칼리 용액을 처리하여 위염 및 위궤양 효과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성분인 디쿠마롤을 제거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900725호에서는 애엽을 프로판올로 추출하여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성분인 디쿠마롤을 제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9-1258호에는 애엽을 탄소수 4개의 알콜류로 추출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애엽에 함유되어 있는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폴리사카리드류의 화합물과 쿠마린 계열의 화합물인 디쿠마롤을 제거하면서도 애엽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꾸준히 연구되어 왔으나, 종래 기술은 상기 유해성분을 각각 제거하는 방법만 개시되어 있을 뿐 상기 성분들을 동시에 제거하면서 적합한 애엽의 유효성분을 가지는 저농도 에탄올 수용액 애엽 추출물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본 발명자들은 애엽에 함유되어 있는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유해성분의 제거방법을 연구하던 중에 상기 종래기술로는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유해성분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는 상기 종래기술들에서 애엽에 함유되어 있는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유해성분은 물 또는 고농도의 에탄올로 추출되는 경우에 제거될 수 있음이 개시되어 있는 것에 착안하여 혈액응고 억제 작용을 나타내는 유해성분인 폴리사카리드 및 디쿠마롤을 동시에 제거하면서, 적합한 애엽의 유효성분을 가질 수 있는 애엽에 함유되어 있는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갖는 성분의 제거방법을 발명하였다.
본 발명은 애엽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유해성분인 폴리사카리드 및 디쿠마롤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온에서 물 또는 30% 이하의 에탄올 수용액으로 애엽을 추출하여 감압 농축시켜 애엽 농축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및
상기 애엽 농축물을 90% 이상의 에탄올로 추출하여 폴리사카라이드 및 디쿠마롤을 제거시키는 제2단계;
로 이루어지는 애엽에 함유되어 있는 폴리사카라이드 및 디쿠마롤의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애엽을 상온에서 30%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여 감압 농축시켜 애엽 농축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및 상기 애엽 농축물을 100% 에탄올로 환류 추출하여 감압 농축시켜 폴리사카라이드 및 디쿠마롤를 제거시키는 제2단계; 로 이루어지는 애엽에 함유되어 있는 폴리사카라이드 및 디쿠마롤의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애엽 추출물의 유해성분 제거방법에서 제거하고자 하는 유해성분은 혈액응고 억제 작용을 나타내는 성분인 폴리사카리드 성분과 디쿠마롤 성분이다.
애엽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혈액응고 억제 작용을 갖는 폴리사카리드는 유로닉산(uronic acid)과 람로스(rhamnose)를 주성분으로 하는 분자량 10,000내외의 폴리사카라이드로서 수용성이다((약학회지 제28권제2호 69-77(1984)).
또한, 애엽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혈액응고 억제 작용을 갖는 디쿠마롤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융점이 287~293℃이며, 알카리(organic bases) 수용액에 잘 녹으며, 벤젠 및 클로로포름에 약간 녹는 성질이 있고, 물, 알코올 및 에테르엔 거의 녹지 않는 성질을 갖고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9045396549-PAT00001
본 발명에 따른 애엽 추출물의 유해성분 제거방법에서 제1단계는 물 또는 30% 이하의 저농도 에탄올 수용액으로 애엽을 추출하여 감압 농축시켜 애엽 농축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제1단계에서 가장 바람직한 30% 이하의 저농도 에탄올 용매는 30% 에탄올 수용액이다. 애엽을 물 또는 30% 에탄올 수용액 보다 저농도로 추출하면(예: 물 또는 25% 에탄올로 추출) 제2단계에서 혈액응고억제 작용을 나타내는 폴리사카리드 및 디쿠마롤은 제거시킬 수 있지만, 유효성분인 유파틸린 및 자세오시딘의 함량이 기준 이하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단계에서 30% 에탄올 수용액 보다 고농도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서 제외된다. 예를들면, 35% 에탄올 이상의 농도로 추출하면 제2단계에서 폴리사카리드 및 디쿠마롤은 제거되지 못하거나 폴리사카리드만 제거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제1단계에서 추출된 애엽 추출물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81751호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과 유사한 것으로서,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81751호에는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수용성분이 제거된다고 기재되어 있으나, 하기 실험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물 및 농도별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한 것에서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유해성분인 폴리사카리드 성분 및 디쿠마롤 성분을 제거하지 못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애엽을 저농도 수용성 에탄올로 추출한 다음 필수적으로 순수한 에탄올 용매를 사용하여 환류추출 과정을 통해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나타내 는 성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엽 추출물의 유해성분 제거방법에서 제2단계는 애엽을 90% 이상의 고농도 에탄올로 추출하여 폴리사카리드 성분 및 디쿠마롤 성분을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제2단계에서 이용되는 에탄올 용매는 순도가 100%인 에탄올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95% 이하의 에탄올은 폴리사카리드 및 디쿠마롤이 제거되지 못하거나 디쿠마롤만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단계에서 애엽의 추출은 상온에서 시행하고 추출시간은 12~36시간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24시간 수행하는 것이 좋고, 제2단계에서 100% 고농도 에탄올 추출방법은 냉침, 환류 및 초음파 추출이 있으며, 50℃에서 3시간 환류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애엽에 함유되어 있는 폴리사카라이드 및 디쿠마롤의 제거된 애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위장질환 치료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통상의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감미제 등을 혼합하여 경구투여용 제제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부형 제로는 미결정셀룰로오스, 유당, 옥수수전분, 만니톨, 저치환도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등이 바람직하고, 결합제로는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포비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이 바람직하고, 붕해제는 크로스카르멜로오스나트륨, 전분글리콘산나트륨,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칼슘, 크로스포비돈 등이 바람직하며, 활택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스테아릴푸마르산나트륨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구투여용 제제로는 정제, 캡슐제, 과립제, 고체분산체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실제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한 투여 경로는 경구투여이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애엽 추출물의 투여량 또는 복용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며, 성인 기준으로 투여량 1 mg/kg 내지 500 mg/kg을 1회 내지 수회에 나누어 복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애엽에 함유되어 있는 위장질환 치료에 유해한 성분인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폴리사카리드 및 디쿠마롤을 모두 동시에 완전히 제거시킬 수 있어 안전성이 보다 개선된 애엽추출물을 제공하며, 유효성분의 함량이 적합한 애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위장질환 치료용 제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에탄올에 의한 애엽 추출물의 제조
제1단계
세절한 쑥잎 250g을 30% 에탄올 5ℓ로 24시간 상온에서 추출하고 추출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농축액 91.75g을 수득하였다.
제2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수득한 농축액을 100% 에탄올 용매로 50℃에서 3시간 환류추출을 수행하여 얻은 여액을 감압 농축한 후 건조하여 고형분을 얻었다.
<비교예 1> 애엽 물 추출물의 제조
세절한 쑥잎 250g을 물 5ℓ로 24시간 상온에서 추출하고 추출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농축액 98.15g을 수득하여 비교예 1로 하였다.
<비교예 2 내지 7> 농도별 에탄올에 의한 애엽 추출물의 제조
세절한 쑥잎 250g을 각각 25%, 30%, 35%, 50%, 70% 및 95% 에탄올 5ℓ로 24 시간 상온에서 추출하고 추출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농축액을 수득하여 각각 비교예 2 내지 7로 하였다.
<비교예 8 내지 13> 제2단계 100% 에탄올에 의한 애엽 추출물의 제조
제1단계
각각 비교예 1(물), 비교예 2(25% 에탄올), 비교예 4(35% 에탄올), 비교예 5(50% 에탄올), 비교예 6(70% 에탄올) 및 비교예 7(95% 에탄올)을 사용하였다.
제2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수득한 각각의 농축액을 100% 에탄올 용매로 50℃에서 3시간 환류추출을 수행하여 얻은 여액을 감압 농축한 후 건조하여 고형분을 얻었으며, 각각 비교예 8 내지 13으로 하였다.
<비교예 14 내지 20> 제2단계 95% 에탄올에 의한 애엽 추출물의 제조
제1단계
각각 비교예 1(물), 비교예 2(25% 에탄올), 비교예 3(30% 에탄올), 비교예 4(35% 에탄올), 비교예 5(50% 에탄올), 비교예 6(70% 에탄올) 및 비교예 7(95% 에탄올)을 사용하였다.
제2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수득한 각각의 농축액을 95% 에탄올 용매로 50℃에서 3시간 환류추출을 수행하여 얻은 여액을 감압 농축한 후 건조하여 고형분을 얻었으며, 각각 비교예 14 내지 20으로 하였다.
<비교예 21 내지 27> 제2단계 90% 에탄올에 의한 애엽 추출물의 제조
제1단계
각각 비교예 1(물), 비교예 2(25% 에탄올), 비교예 3(30% 에탄올), 비교예 4(35% 에탄올), 비교예 5(50% 에탄올), 비교예 6(70% 에탄올) 및 비교예 7(95% 에탄올)을 사용하였다.
제2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수득한 각각의 농축액을 90% 에탄올 용매로 50℃에서 3시간 환류추출을 수행하여 얻은 여액을 감압 농축한 후 건조하여 고형분을 얻었으며, 각각 비교예 21 내지 27로 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7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45396549-PAT00002
<실험예 1> 물 및 에탄올 각 농도별의 애엽 추출물에 관한 분석
애엽 물 추출물(비교예 1) 및 에탄올 각 농도별의 애엽 추출물(비교예 2 내지 비교예 7)로부터 애엽 추출물에 함유된 위장질환 치료에 유용한 유파틸린 및 자세오시딘의 함량과 혈액응고 억제 작용을 나타내어 위장질환 치료에 유해성분인 폴리사카리드 성분과 디쿠마롤 성분의 함유 정도를 확인하였다.
상기 비교예 1 내지 7에서 제조된 애엽 추출물을 표준액 10㎕를 가지고 하기 조건으로 액체크로마토그래프법에 따라 시험하여 검출된 지표성분인 유파틸린 및 자세오시딘과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폴리사카리드 및 디쿠마롤의 함량을 측정하고 각각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액체크로마토그라프법에 의한 분석조건>
칼 럼 : Inertsil ODS-II C 4.6mm ID * 150mm L
이동상 : 1% 초산암모늄, 0.5% 초산 완충액:아세토니트릴(58:42) 혼액
유 속 : 1ml/min
검 출 : UV, 350nm
Figure 112009045396549-PAT00003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물 및 각각의 수용성 에탄올 용매에 의한 애엽 추출물인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7에서는 폴리사카리드 성분과 디쿠마롤 성분의 함량이 높게 측정되어 혈액응고 억제 작용을 나타내어 위장질환 치료에 유해성분인 폴리사카리드 성분과 디쿠마롤 성분이 제거되지 못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81751호에는 70~100% 고농도 에탄올로 추출하여 , 혈액응고억제의 부작용을 나타내는 수용성분이 함유되지 않는다고 기재되어 있으나, 본 발명자에 의한 실험에서는 70% 및 95%의 고농도 에탄올로 추출한 비교예 6 및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혈액응고억제의 부작용을 나타내는 수용성분인 폴리사카라이드 및 디쿠마롤은 제거되지 못하였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물 및 에탄올 각 농도 단계별의 애엽 추출물에 관한 분석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을 포함하여 애엽 물 추출물(비교예 1) 및 에탄올 각 농도별의 애엽 추출물(비교예 2 내지 비교예 7)을 제2단계에서 각각 100%, 95% 및 90% 에탄올로 추출한 다음 애엽 추출물에 함유된 위장질환 치료에 유용한 유파틸린 및 자세오시딘의 함량과 혈액응고 억제 작용을 나타내어 위장질환 치료에 유해성분인 폴리사카리드 성분과 디쿠마롤 성분의 함유 정도를 확인하였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비교예 8 내지 27에서 제조된 애엽 추출물을 표준액 10㎕를 가지고 하기 조건으로 액체크로마토그래프법에 따라 시험하여 검출된 지표성분인 유파틸린 및 자세오시딘과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폴리사카리드 및 디쿠마롤의 함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각각의 표 3에 나타내었다.
<액체크로마토그라프법에 의한 분석조건>
칼 럼 : Inertsil ODS-II C 4.6mm ID * 150mm L
이동상 : 1% 초산암모늄, 0.5% 초산 완충액:아세토니트릴(58:42) 혼액
유 속 : 1ml/min
검 출 : UV, 350nm
Figure 112009045396549-PAT00004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제2단계에서 100% 에탄올로 추출한 애엽추출물 즉,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에서 제1단계 30% 에탄올 추출 및 제2단계 100% 에탄올 추출한 애엽추출물은 혈액응고 억제 작용을 나타내어 위장질환 치료에 유해성분인 폴리사카리드 성분과 디쿠마롤 성분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으며, 또한, 애엽을 제1단계에서 물 또는 25% 에탄올로 추출한 다음 제2단계 100% 에탄올 추출한 애엽추출물인 비교예 8 및 9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에서와 같이, 혈액응고 억제 작용을 나타내어 위장질환 치료에 유해성분인 폴리사카리드 성분과 디쿠마롤 성분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애엽을 제1단계에서 35% 이상의 농도별 에탄올로 추출한 다음 제2단계에서 100% 에탄올로 추출한 경우의 비교예 10 내지 13에서는 혈액응고억제 작용을 나타내는 폴리사카리드는 제거되었지만 디쿠마롤의 경우는 함량이 감소될 뿐 완전히 제거되지 못했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제2단계에서 고농도의 95% 에탄올 및 90% 에탄올 용매를 처리한 다른 비교예들에서는 혈액응고억제 작용을 나타내는 폴리사카리드를 제거시키지 못했으며, 다만 제1단계에서 물 또는 35% 이하의 에탄올로 처리한 다음 제2단계에서 고농도의 95% 에탄올 및 90% 에탄올로 처리한 비교예 14 내지 16, 비교예 21 및 22는 디쿠마롤을 제거시킬 수 있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애엽은 제1단계에서 물 또는 30% 이하의 저농도 에탄올 수용액, 특히 30%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제2단계에서 100% 에탄올로 추출하여 혈액응고억제 작용을 나타내는 폴리사카리드 및 디쿠마롤을 제거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비교예 8, 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 8, 9는 유효성분인 유파틸린 및 자세오시딘의 함량이 기준 이하로 검출되어 의약품 원료에 부적합 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은 애엽의 혈액응고억제 작용을 나타내는 성분이 완전히 제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효성분인 유파틸린 및 자세오시딘의 함량을 기준 이상으로 함유됨을 알 수 있어 의약품으로 사용이 적합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애엽 추출물은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폴리사카리드 및 디쿠마롤을 모두 동시에 완전히 제거시킬 수 있어, 안전성이 보다 개선된 애엽추출물을 제공하며, 유효성분의 함량이 적합한 애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위장질환 치료용 제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하기에 본 발명의 애엽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애엽 고형분 60 mg
규산칼슘 20 mg
유당 130 mg
미결정셀룰로오스 100 mg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적량
탈크 적량
코팅제 적량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캅셀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애엽 고형분 60 mg
유당 160 mg
전분 적량
통상의 캅셀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캅셀제를 제조한다.

Claims (8)

  1. 상온에서 물 또는 30% 이하의 저농도 에탄올 수용액으로 애엽을 추출하여 감압 농축시켜 애엽 농축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및
    상기 애엽 농축물을 90% 이상의 고농도 에탄올로 추출하여 폴리사카라이드 및 디쿠마롤을 제거시키는 제2단계;
    로 이루어지는 애엽에 함유되어 있는 폴리사카라이드 및 디쿠마롤의 제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단계는 30%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애엽에 함유되어 있는 폴리사카라이드 및 디쿠마롤의 제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제2단계의 고농도 에탄올은 100% 에탄올로 추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애엽에 함유되어 있는 폴리사카라이드 및 디쿠마롤의 제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제2단계 추출은 냉침, 환류 및 초음파 추출 중에서 선택하여 추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애엽에 함유되어 있는 폴리사카라이드 및 디쿠마롤의 제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제2단계는 100% 에탄올로 환류 추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애엽에 함유되어 있는 폴리사카라이드 및 디쿠마롤의 제거방법.
  6. 애엽을 상온에서 30%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여 감압 농축시켜 애엽 농축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및
    상기 애엽 농축물을 100% 에탄올로 환류 추출하여 감압 농축시켜 폴리사카라이드 및 디쿠마롤를 제거시키는 제2단계;
    로 이루어지는 애엽에 함유되어 있는 폴리사카라이드 및 디쿠마롤의 제거방법.
  7. 제 6 항의 방법에 의해 애엽에 함유되어 있는 폴리사카라이드 및 디쿠마롤이 제거된 애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위장질환 치료제.
  8. 애엽에 함유되어 있는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성분을 제거시킬 수 있 는 30% 에탄올 수용액 애엽 추출물.
KR1020090067817A 2009-07-24 2009-07-24 애엽에 함유되어 있는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갖는 성분의 제거방법 KR101083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817A KR101083873B1 (ko) 2009-07-24 2009-07-24 애엽에 함유되어 있는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갖는 성분의 제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817A KR101083873B1 (ko) 2009-07-24 2009-07-24 애엽에 함유되어 있는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갖는 성분의 제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318A true KR20110010318A (ko) 2011-02-01
KR101083873B1 KR101083873B1 (ko) 2011-11-15

Family

ID=43770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7817A KR101083873B1 (ko) 2009-07-24 2009-07-24 애엽에 함유되어 있는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갖는 성분의 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38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30709A (zh) * 2012-12-13 2013-04-10 大兴安岭林格贝有机食品有限责任公司 一种从柳蒿芽中制备多糖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8864B1 (ko) 2016-11-25 2023-01-17 (주)모아캠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세균총의 생장 조절 또는 피부 면역 강화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30709A (zh) * 2012-12-13 2013-04-10 大兴安岭林格贝有机食品有限责任公司 一种从柳蒿芽中制备多糖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3873B1 (ko) 2011-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13381T3 (es) Nuevos extractos de Cynara scolymus, Coffea spp. y Olea Europaea para el tratamiento de síndrome metabólico
RU2438692C2 (ru) Растительный экстракт и его терапевтическое применение
KR100523562B1 (ko) 손바닥선인장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함유하는 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
CN103989668A (zh) 连翘苷元在制备预防或治疗肝损伤或肝衰竭药物中的应用
CN111787909A (zh) 包含小檗碱的组合物
CN104983758B (zh) 一种毛诃子提取物的药物用途
MX2012004903A (es) Composiciones farmaceuticas solidas que contienen un hinibidor de la integrasa.
KR20120090003A (ko) 위장관 운동 장애 질환의 개선,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CN101143160A (zh) 一种肾茶提取物及制备方法和用途
CN102178753B (zh) 具有清热泻火解毒和化瘀凉血止血功效的药物制剂
WO2008145064A1 (fr) Procédé d&#39;obtention d&#39;un extrait contenant du séquoyitol à partir d&#39;une espèce du genre trifolium, de soja et de ginkgo biloba, et utilisation de celui-ci
KR20190010578A (ko) 새로운 다파글리플로진 결정형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용도
KR101083873B1 (ko) 애엽에 함유되어 있는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갖는 성분의 제거방법
CA2248092A1 (en) Harpagoside-enriched extract from harpagophytum procumbens and processes for producing same
CA2255668C (en) Purified extract of harpagophytum procumbens and/or harpagophytum zeyheri dence, process for its production and its use
CN113710261A (zh) 长毛木防己提取物用于治疗登革热的用途
JPH05502457A (ja) カバーカバ抽出物、これらの製造プロセスおよび使用
KR20130094490A (ko)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개선된 의약 제형
JP3390443B2 (ja) サルビア・オフィシナリスの花の抽出物、その調製方法及びその用途
KR102539236B1 (ko) 은행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경구용 서방 제제
US20180064685A1 (en) Cancer treatment composition
CN103446456A (zh) 治疗高血压和高血脂疾病的方法和使用的中药组合物
KR20170115332A (ko) 은행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경구용 서방 제제
KR100908193B1 (ko) 애엽추출물의 가용화 방법
KR101779513B1 (ko) 애엽의 이소프로판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