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0181A - 조사 가교한 폴리에틸렌 절연체를 갖는 고내열성 동축 케이블의 제조방법 및 케이블 - Google Patents

조사 가교한 폴리에틸렌 절연체를 갖는 고내열성 동축 케이블의 제조방법 및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0181A
KR20110010181A KR1020090067603A KR20090067603A KR20110010181A KR 20110010181 A KR20110010181 A KR 20110010181A KR 1020090067603 A KR1020090067603 A KR 1020090067603A KR 20090067603 A KR20090067603 A KR 20090067603A KR 20110010181 A KR20110010181 A KR 20110010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able
polyethylene
insulator
conductor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7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수
오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전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전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전선
Priority to KR1020090067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0181A/ko
Publication of KR20110010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1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18Coaxial cables; Analogous cables having more than one inner conductor within a common outer conductor
    • H01B11/1808Construction of the conductors
    • H01B11/1813Co-axial cables with at least one braided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18Coaxial cables; Analogous cables having more than one inner conductor within a common outer conductor
    • H01B11/1834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th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18Coaxial cables; Analogous cables having more than one inner conductor within a common outer conductor
    • H01B11/1869Construction of the layers on the outer side of the outer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18Coaxial cables; Analogous cables having more than one inner conductor within a common outer conductor
    • H01B11/1878Special measures in order to improve the flexibil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6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67Insulating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22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4Flexible cables, conductors, or cords, e.g. trailing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9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 H01B7/292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using material resistant to hea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사 가교한 폴리에틸렌 절연체를 갖는 고내열성 동축케이블의 제조방법 및 그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 내부에서 도체역할을 하는 도체선을 가압 성형하여 만든 도체선 위에 조사 가교한 폴리에틸렌 절연체를 피복한 고내열성을 갖는 동축케이블의 제조방법 및 그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용 연동선을 신선, 주석도금, 집합 꼬음 압축 작업하는 내부도체선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된 내부 도체선 위에 폴리에틸렌(PE)을 예열,도체선 위에 피복, 냉각, 저선, 귄취하고, 이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이 피복된 선을 조사 가교 장치로 인가하여 전자선을 조사 가교하는 절연체 피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된 조사 가교된 절연체가 피복된 케이블 위에 주석도금된 연동선을 장력조절, 편조, 저선, 권취 작업하여 외부도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된 외부도체가 형성된 케이블 위에 PVC 쉬이즈 피복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 가교한 폴리에틸렌 절연체를 갖는 고내열성 동축 케이블의 제조방법 및 그 케이블이다.
전선, 도체선, 압축

Description

조사 가교한 폴리에틸렌 절연체를 갖는 고내열성 동축 케이블의 제조방법 및 케이블{A process for preparing high frequency insulator cable }
본 발명은 조사 가교한 폴리에틸렌 절연체를 갖는 고내열성 동축케이블의 제조방법 및 그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 내부에서 도체역할을 하는 도체선을 가압 성형하여 만든 도체선 위에 조사 가교한 폴리에틸렌 절연체를 피복한 고내열성을 갖는 동축케이블의 제조방법 및 그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의 내부에는 도체역할을 하는 도체선이 내재되어 있으며, 그 위에 폴리에틸렌(PE) 피복 및 발포 폴리에틸렌(PE) 절연체를 피복한 동축 케이블의 경우에, 내열등급이 80℃이하이므로 고온의 환경이 요구되는 조건 예를 들면, 자동차 엔진룸 내부등의 고온조건(105℃ 이상의 조건)에서는 사용이 곤란한 점이 있다. 또한, 전선의 내열특성을 향상시키는 경우, 전자파의 감쇄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전선 내부에서 도체역할을 하는 도체선을 가압성형하여 전자파 감쇄 효과를 향상하고, 조사 가교 폴리에틸렌을 피복하여 내열특성을 향상한 동축케이블의 제조방법 및 그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전선 내부에서 도체역할을 하는 도체선에 주석도금을 하고, 그 위에 절연피복 후 주석도금 연동선을 외부도체로 편조하여 유연성을 향상시키고, 인장성능을 향상하고, 외부노이즈를 감쇄한 동축케이블의 제조방법 및 그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전기용 연동선을 신선, 주석도금, 집합 꼬음 압축 작업하는 내부도체선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된 내부 도체선 위에 폴리에틸렌(PE)을 예열,도체선 위에 피복, 냉각, 저선, 귄취하고, 이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이 피복된 선을 조사 가교 장치로 인가하여 전자선을 조사 가교하는 절연체 피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된 조사 가교된 절연체가 피복된 케이블 위에 주석도금된 연동선을 장력조절, 편조, 저선, 권취 작업하여 외부도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된 외부도체가 형성된 케이블 위에 PVC 쉬이즈 피복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 가교한 폴리에틸렌 절연체를 갖는 고내열성 동축 케이블의 제조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케이블의 중심에 주석도금된 내부도체선(1), 상기 내부도체선을 피복하는 조사 가교된 폴리에틸렌 절연체 피복(2), 상기 절연체 피복위에 주석도금 연동선으로 편조 형성된 외부도체선(3), 상기 외부도체선 위에 피복된 PVC 쉬이즈 피복(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 가교한 폴리에틸렌 절연체를 갖는 고내열성 동축 케이블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선 내부에서 도체역할을 하는 도체선을 가압성형하여 유연성을 증가하고, 조사가교 폴리에틸렌을 피복하여 내열특성을 향상한 케이블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선 내부에서 도체역할을 하는 도체선에 주석도금을 하고, 그 위에 절연피복 후 주석도금 연동선을 외부도체로 편조하여 유연성을 향상시키고, 인장성능을 향상하고, 외부 노이즈를 감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사 가교한 폴리에틸렌 절연체를 갖는 고내열성 동축 케이블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 1단계
본 발명의 제 1단계는 전기용 연동선을 신선, 주석도금, 집합 꼬음 압축 작업하는 내부도체선(1)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단계에서 신선작업은 도체선인 외경이 굵은 구리선을 신선 다이(DIE)를 사용하여 외경이 가는 형태의 도체선으로 인발하는 것으로 유연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이어서 연화는 상기 신선된 구리도체선에 열을 가하여 소재를 부드럽게 해주며, 도전성을 향상시키는 작업이다. 이어서 연화된 구리선을 주석도금 작업을 한다. 주석도금을 하면 도체선의 부식을 방지하고 도체선의 인장강도를 높여 주게 된다. 이어서 집합된 도체선을 압축하여 외경의 축소 및 전자파감쇄 표면효과를 높여주게 된다.
제 2단계
본 발명의 제 2단계는 상기 제 1단계에서 형성된 내부도체선을 예열하고 그 위에 폴리에틸렌(PE)을 피복, 냉각, 저선, 귄취하고, 이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이 피복된 선을 조사 가교 장치로 인가하여 조사 가교하는 절연체 피복(2)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 1단계에서 형성한 도체선위에 폴리에틸렌을 피복하고, 냉각, 저선기로 저선하고 권취 후 조사 가교하여 폴리에틸렌을 크로스 링킹(cross lingking)하는 작업을 한다. 상기에서 조사 가교 작업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방사선 조사장치를 이용하여 조사 가교 작업을 한다. 방사선 조사 가교 반응은 화학적으로 안정한 고문자 물질인 폴리에틸렌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라디칼, 이온등 반응성이 큰 활성점을 생성시킴으로써, 이들간 크로스 링킹 결합구조가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다. 방사선의 가교 조건은 다음 표 1의 조건으로 실시한다
종류 조건
전류량 100mA
흡수선량 7 Mrad
본 발명의 제 2단계는 조사 가교함으로써, 폴리에틸렌 절연체의 내열성을 향상시킨다. 조사가교 안된 일반 폴리에틸렌 절연체 피복 케이블의 경우 약 80℃의 내열성을 갖는 반면에 본 발명에 의한 조사 가교한 폴리에틸렌 절연체 피복 케이블의 경우 105℃ 이상의 내열성을 갖는다.
제 3단계
본 발명의 제 3단계는 상기 형성된 조사가교된 절연체가 피복된 케이블위에 주석도금된 연동선을 장력조절, 편조, 저선 권취작업하여 외부도체(3)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에서 형성된 조사가교된 폴리에틸렌 절연체 피복위에 주석도금한 연동선을 외부도체로 편조한다. 편조의 피치는 13mm로 한다. 상기의 외부도체 편조는 전파누설 및 전파방해를 방지하는 기능을 하며, 케이블의 인장강도를 높여준다.
상기 편조된 구조를 도 3에 부분확대하여 나타냈다.
제 4단계
본 발명의 제 4단계는 상기 형성된 편조된 외부도체가 형성된 케이블 위에 PVC 쉬이즈(sheath) 피복(4)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의 쉬이즈는 케이블을 절연하고 편조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의 쉬이즈 피복단계는 피복, 냉각, 저선작업, 권취작업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조사가교한 폴리에틸렌 절연체를 갖는 고내열성 동축 케이블의 구조는 도 4a에 나타난 부분절단도 구조를 갖으며, 도 4b의 단면구조, 도 4c의 제품사진과 같이 내부도체(1), 조사가교한 폴리에틸렌 절연체(2), 주석도금한 연동선으로 편조한 외부도체(3), PVC 쉬이즈 피복(4)으로 형성된다.
이하 실시예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상기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실시예 1 (편조피치-13mm, 도체선--7가닥/0.19mm직경 압축, 절연체(외경:1.64mm, 단면적: 1.90㎟)--조사7Mrad)의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을 제조하였다.
도 4c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실시예1로 제조한 케이블의 사진이다.
비교예 1
압축도체를 사용하지 않고(비압축도체선 사용), 편조피치를 16mm로 크게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조건으로 하되, 조사가교 작업하여 케이블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전자파 감쇄량을 시험하여 다음 표 2에 나타냈다.
Figure 112009045228015-PAT00001
상기에서 감쇄량 수치가 적을수록 전자파 감쇄 효과가 좋다.
상기 표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은 비교예 1에 비해 전파감쇄량이 향상되었다. 상기에서 감쇄량을 결정하는 요인은 도체의 도전율, 절연체의 유전율, 외부 노이즈의 간섭 등이 작용한다. 감쇄량을 개선하기 위해 상기 3가지 요인을 개선 향상시켜야 한다.
시험예 2
상기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실시예 1의 케이블의 상온에서 인장강도 및 신장률(표 3) 및 가열후 인장강도 및 신장률(표4)를 측정하여 나타냈다.
인장하중(kgf) 인장강도(kgf/㎟) 신장률(%)
5.1 2.7 573.3
인장하중(kgf) 인장강도(kgf/㎟) 신장률(%)
5.0 2.6 580.0
-상온: 절연체 1.05㎏f/㎟, 150%
-가열후: 상온값 대비 절연체 70% 이상, 45%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사가교한 폴리에틸렌 절연체를 갖는 고내열성 동축 케이블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조사가교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주석도금한 연동선으로 편조된 외부도체의 사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조사가교한 폴리에틸렌 절연체를 갖는 고내열성 동축 케이블의 구조의 측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단면구조이고,
도 4c는 실시예 1로 제조된 본 발명에 의한 제품사진이다.

Claims (3)

  1. 전기용 연동선을 신선, 주석도금, 집합 꼬음 압축 작업하는 내부도체선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된 내부 도체선 위에 폴리에틸렌(PE)을 예열,도체선 위에 피복, 냉각, 저선, 귄취하고, 이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이 피복된 선을 조사 가교 장치로 인가하여 전자선을 조사 가교하는 절연체 피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된 조사 가교된 절연체가 피복된 케이블 위에 주석도금된 연동선을 장력조절, 편조, 저선, 권취 작업하여 외부도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된 외부도체가 형성된 케이블 위에 PVC 쉬이즈 피복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 가교한 폴리에틸렌 절연체를 갖는 고내열성 동축 케이블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도체의 편조는 피치가 13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가교한 폴리에틸렌 절연체를 갖는 고내열성 동축 케이블의 제조방법.
  3. 케이블의 중심에 주석도금된 내부도체선(1), 상기 내부도체선을 피복하는 조사가교된 폴리에틸렌 절연체 피복(2), 상기 절연체 피복위에 주석도금 연동선으로 편조 형성된 외부도체선(4), 상기 외부도체선 위에 피복된 PVC 쉬이즈 피복(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가교한 폴리에틸렌 절연체를 갖는 고내열성 동축 케이블.
KR1020090067603A 2009-07-24 2009-07-24 조사 가교한 폴리에틸렌 절연체를 갖는 고내열성 동축 케이블의 제조방법 및 케이블 KR201100101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603A KR20110010181A (ko) 2009-07-24 2009-07-24 조사 가교한 폴리에틸렌 절연체를 갖는 고내열성 동축 케이블의 제조방법 및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603A KR20110010181A (ko) 2009-07-24 2009-07-24 조사 가교한 폴리에틸렌 절연체를 갖는 고내열성 동축 케이블의 제조방법 및 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181A true KR20110010181A (ko) 2011-02-01

Family

ID=43770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7603A KR20110010181A (ko) 2009-07-24 2009-07-24 조사 가교한 폴리에틸렌 절연체를 갖는 고내열성 동축 케이블의 제조방법 및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01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98074A (zh) * 2016-08-31 2017-01-04 河北迪昌电缆有限公司 一种yjv电缆导体退火工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98074A (zh) * 2016-08-31 2017-01-04 河北迪昌电缆有限公司 一种yjv电缆导体退火工艺
CN106298074B (zh) * 2016-08-31 2017-07-18 迪昌线缆有限责任公司 一种yjv电缆导体退火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29042B (zh) 耐高温防腐蚀高压软电缆
CN102081999A (zh) 耐高温耐腐蚀抗曲挠电缆
CN104795184A (zh) 一种电缆生产工艺
NL2026325A (en) A high-voltage silicone rubber flexible cable and a processing technology thereof
CN101656123A (zh) 无卤低烟阻燃环保型薄壁交联电缆及其制备方法
CN108648849A (zh) 高柔性交联聚烯烃高压电缆及其制备方法
CN204732189U (zh) Ptfe带绕包护套的柔软铁氟龙同轴电缆
CN219800514U (zh) 一种新能源汽车高压电缆
KR20110010181A (ko) 조사 가교한 폴리에틸렌 절연체를 갖는 고내열성 동축 케이블의 제조방법 및 케이블
CN201465595U (zh) 一种空间用交联电缆
CN108417301A (zh) 一种中压抗水树交联聚乙烯绝缘电力电缆及生产工艺
CN104183331B (zh) 三代非能动核电站和缓环境1e级电力电缆及生产方法
CN201975150U (zh) 中压电力电缆
CN116052938A (zh) 一种防断裂的低压电力电缆
CN104183322B (zh) 三代非能动核电站和缓环境1e级仪表电缆及生产方法
CN104157365B (zh) 三代非能动核电站和缓环境1e级控制电缆及生产方法
CN210925554U (zh) 耐高温6-15kV风力发电用抗扭电缆
JP6287676B2 (ja) クロロプレンゴム組成物を用いた電線及びケーブル
RU94753U1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провод
CN219512862U (zh) 一种航空航天用超轻型电缆
CN207611851U (zh) 一种耐温度循环高频低损耗同轴电缆
CN201623247U (zh) 耐高温半柔同轴射频电缆
CN202384060U (zh) 航空航天用超轻型电缆
CN206946999U (zh) 稳幅稳相同轴电缆
CN208507300U (zh) 复合屏蔽型光伏发电系统用电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