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9863A - 알칼리성 자일라나아제를 생산하는 신규 페니바실러스 sp. HPL―002 균주, 이로부터 분리한 신규 자일라나아제 효소 및 이의 생산 방법 - Google Patents

알칼리성 자일라나아제를 생산하는 신규 페니바실러스 sp. HPL―002 균주, 이로부터 분리한 신규 자일라나아제 효소 및 이의 생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9863A
KR20110009863A KR1020090067294A KR20090067294A KR20110009863A KR 20110009863 A KR20110009863 A KR 20110009863A KR 1020090067294 A KR1020090067294 A KR 1020090067294A KR 20090067294 A KR20090067294 A KR 20090067294A KR 20110009863 A KR20110009863 A KR 20110009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xylanase
amino acid
seq
acid sequence
st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7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1152B1 (ko
Inventor
황인택
박노중
임희경
송하영
조수진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67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1152B1/ko
Priority to PCT/KR2010/003643 priority patent/WO2011010792A2/ko
Publication of KR20110009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2/00Hydrolases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i.e. glycosylases (3.2)
    • C12Y302/01Glycosidases, i.e. enzymes hydrolysing O- and S-glycosyl compounds (3.2.1)
    • C12Y302/01091Cellulose 1,4-beta-cellobiosidase (3.2.1.91)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12N15/52Genes encoding for enzymes or proenzym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4Hydrolases (3)
    • C12N9/24Hydrolases (3)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3.2)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4Hydrolases (3)
    • C12N9/24Hydrolases (3)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3.2)
    • C12N9/2402Hydrolases (3)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3.2) hydrolysing O- and S- glycosyl compounds (3.2.1)
    • C12N9/2477Hemicellulases not provided in a preceding group
    • C12N9/248Xylan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02Monosaccha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21/00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2/00Hydrolases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i.e. glycosylases (3.2)
    • C12Y302/01Glycosidases, i.e. enzymes hydrolysing O- and S-glycosyl compounds (3.2.1)
    • C12Y302/01008Endo-1,4-beta-xylanase (3.2.1.8)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Enzymes And Modification Thereof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칼리성 자일라나아제를 생산하는 신규 페니바실러스 속 균주, 이로부터 분리한 신규 자일라나아제 및 이의 생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신규 페니바실러스 sp. HPL-002 균주 및 자일라나아제는 다양한 섬유소 바이오매스의 주성분인 자일란을 분해함으로써 바이오 연료 및 대체원료, 특수기능물질, 바이오 폴리머, 식품 및 사료 등의 개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페니바실러스 속, 알칼리성 자일라나아제, 자일란

Description

알칼리성 자일라나아제를 생산하는 신규 페니바실러스 sp. HPL―002 균주, 이로부터 분리한 신규 자일라나아제 효소 및 이의 생산 방법{A Paenibacillus sp. HPL-002 strain for producing xylanase and an alkalic xylanase produced thereby and a produc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알칼리성 신규 자일라나아제를 생산하는 신규 페니바실러스 속 균주에 관한 것이다.
지구온난화 및 석유자원 고갈이 예상되는 21세기를 살아가는 인류는 화석연료 대체자원 개발이라는 숙제를 안고 있으며, 이산화탄소 방출저감 등 국제 환경규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태양에너지, 풍력과 수력, 원자력, 바이오매스 등을 주요 대상으로 연구하고 있다. 농업 생산 등을 포함한 각종 생물자원 부존량은 지구상에 건량으로 약 1.8 ~ 2.0×1012톤으로 추산되며, 매년 재생산되는 바이오매스의 양은 현 부존량의 약 10%인 2,000억 톤/년으로 추정하고, 이 중에서 1.83% 정도가 에너 지원 또는 연료로 사용할 뿐 나머지는 자연에 방치되어 소멸되고 있다. 바이오매스는 타 대체 에너지 자원들과는 달리 유일한 탄소자원이기 때문에 관련기술(바이오리파이너리)이 개발되면 바이오매스 산업은 기존의 석유화학제품을 대체하여 일상생활과 산업 전반에 엄청난 파급효과를 일으킬 것이다. 바이오리파이너리 기술을 이용해서 생산할 수 있는 제품을 특성별로 분류하면, 바이오 연료, 대체원료, 특수기능물질, 바이오폴리머 등의 4가지가 있으며, 이러한 공정기술개발이 미래 지속성장화학기술의 중심기술이 될 것이며 우리 일상생활에서 떼어낼 수 없는 공산품들을 생산하게 될 것이다. 미래 시장경제구조가 바이오매스 자원 및 전환기술력, 관련 시장 수요로 규정될 것이며, 바이오매스의 안정적 확보 및 활용 기술개발을 위하여 한국 실정에 적합한 자원의 발굴, 전처리기술 개발, 당화 및 발효시스템 개발 등 종합적 바이오리파이너리 기술개발이 필수적으로 선결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국산 바이오매스에 적합한 전처리 기술, 신규 섬유소 분해효소 발굴 및 개량을 통한 효율적 당화기술, 효소재사용 등을 통한 생산단가 절감기술, C6/C5 당 동시 활용기술, 효율적 발효 및 분리정제기술, 친환경적 화합물 전환기술 등이 필수적이다. 바이오매스 활용산업은 에너지, 화학, 플라스틱, 식품 및 사료, 제약 등 매우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되는 기술로 미래 경제체제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매우 클 것이기 때문에 산업체, 학계, 연구기관의 기술 협력 계획과 강력한 정책적, 제도적 기반 확립이 필수적이다.
세계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전처리 방법에는 크게 약산처리, 암모니아처리, 석회처리 등이 있으며, 각 처리 방법에 따라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전처리 방법에 따라 후속 처리방법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는데,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단일 종류의 바이오매스의 충분한 양을 지속적으로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바이오매스 전처리 표준화 기술을 정립하고, 연속되는 후속 처리방법을 표준화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바이오매스 종류별 전처리 표준화기술과 접목할 것을 전제로 하여, 전처리 이후 생산 분리되는 셀룰로오스(글루칸)와 헤미셀룰로오스(자일란)를 활용하는 후속 바이오리파이너리 기술개발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섬유소계 생물자원 전환을 위한 당화효소 및 균주개발은 생물자원을 유효 화학자원으로 이용하기 위한 핵심 원천기술이기 때문에, 대표적으로 셀룰로오스(38%)와 헤미셀룰로오스(28%)의 당화효소 대량생산을 위한 균주개발 및 기술개발에 전 세계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따라서 저렴한 비용으로 재생 가능한 섬유소계 바이오매스를 당화하여 다양한 바이오매스 기반 제품(Biomass-Based Products)을 생산한다면 고갈되어가는 화석연료를 대체하고 이산화탄소(CO2)를 줄여 자연환경을 보존하면서 인류의 지속적인 발전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Angenent et al., Trends in Biotechnology 22(9):477-485, 2004; Demain et al., Microbiology and Molecular Biology Rev . 69(1):124-154, 2005; Kamm & Kamm, Applied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64(2):137-145, 2004; Percival et al ., Biotechnology Advances 24(5):452-481, 2006).
목질계 섬유소 원료를 당화하여 바이오연료와 화학원료를 생산하는 공정에서는 목질계 원료 속에 포함되어 있는 15-30%의 자일란이 부산물로 생성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현재까지 자일란의 가수분해는 화학적 방법으로 주로 이루어지고 있 다. 자일란의 화학적 분해방법은 섬유소계 바이오매스에 황산을 첨가하고 130℃에서 스팀 가압하여 분해하는 방법으로, 많은 양의 에너지를 소모할 뿐만 아니라 산 및 고온에 견딜 수 있는 고가의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이때 발생하는 폐기물의 처리비용 등으로 인하여 생산단가가 높아지게 된다. 이에 반하여 자일라나아제를 이용하는 생물학적 방법에 의한 자일란의 분해방법은 화학적 분해방법과 비교할 때 에너지의 소모가 적고 발생하는 폐기물 역시 소량일 뿐만 아니라, 그 처리가 용이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도 매우 유리하다. 그러나 이러한 효소시스템의 문제점은 효소 역가가 낮아 반응속도 및 분해율이 낮고 기존에 알려진 효소들의 특성이 산업적으로 이용하기에 부족한 점이 많다는 것이다. 또한 산업적으로 경제적인 자일라나아제 생산을 위해서는 대량생산 체제를 갖추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높은 분해력을 가진 신규의 자일라나아제 효소계의 개발이 필요하며, 산업화하기 위해서는 개발된 재조합 균주가 자일란 분해효소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조건의 확립과 효소를 이용한 새로운 반응기의 설계 및 생산기술의 확립이 필요하다. 따라서 산업에 직접적인 이용을 위해서는 기존의 자일라나아제가 아닌 신규의 미생물 및 효소 시스템을 탐색하여 높은 온도 및 pH 조건하에서도 활성도를 유지하는 자일라나아제 유전자의 확보가 필요하며, 이를 통하여 기존의 특허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셀룰라아제를 이용한 섬유소의 당화공정 개발에는 자일란의 이용기술도 반드시 동시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자일란의 이용에는 자일라나아제를 이용하여 자일로스를 생산하는 것이며, 이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목질계 원료로부터 자일란의 효율적인 추출과 고역가의 자일라나아제 대량생산기술 의 확보이다.
헤미셀룰로오스의 주성분인 자일란을 자일로스로 분해하여 당화하는 효소를 일반적으로 자일라나아제 효소로 통칭하고 있다(Biely P, Trends in Biotechnology 3(11):286-290, 1985). 지금까지 보고된 자일라나아제 생산 미생물 중 트리코더마(Trichoderma) 속 곰팡이 균주들이 주로 이용되었는데, 이들의 효소 생산성은 자일라나아제를 생산하는 세균에 비해 대체로 우세하지만 주로 산성조건에서 최대 활성을 나타낸다(Tenkanen et al ., Enzyme and Microbial Technology 14(7):566-574, 1992). 자일라나아제를 생산하는 세균으로는 애로모나스(Aeromonas) 속, 바실러스(Bacillus) 속, 클로스트리디움(Clostridium) 속, 스트렙토마이세스(Streptomyces) 속, 아스퍼질루스(Apspergillus) 속 등에 속하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세균에 따라 생산하는 자일라나아제의 특성도 다양하며, 이들 효소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들도 다양하게 보고되어있다.
자일라나아제 효소에 대한 국내외 기술현황으로는 경희대 정대균 박사 팀에서 섬유소 분해효소를 생산하는 Trichoderma sp. C-4 균주를 선별하였지만 산업화를 위해서는 더 높은 활성이 요구되고 있다(Sul et al ., Appl Microbiol Biotechnol. 66(1):63-70, 2004). 동해대 강명규 박사 팀에서 내알카리성 자일라나아제를 생산하는 Cephalosporium sp. RYM-202 균주를 선별하여 펄프공정에 이용가능성을 연구하고 있다(강명규 외, 한국환경생물학회지 17(2):191-198, 1999). KAIST의 김정회 교수 팀에서는 Bacillus 유래의 효소(Endoxylanase)를 세포외부로 생산하는 재조합 균주인 Bacillus subtilis DB104/pJHKJ4를 구축하였다(Kim JH et al., J. Microbiol . Biotechnol ., 10(4):551-553, 2000). 국외의 경우 대만에서는 혐기성 곰팡이 Neocallimastix patriciarum으로부터 유전자 복제된 자일라나아제가 방향적 효소진화 방법을 통하여 내염기성이 증가한 사례가 있으며(Yew-Loom Chen et al ., Can . J. Microbiol . 47(12):10881094, 2001). 최근에는 펄프공정 후 발생하는 폐수로부터 내염기성 균주인 Bacillus firmus가 분리 동정되었다(Pochih Chang,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319:1017-1025, 2004). 이 자일라나아제는 pH4부터 pH11까지의 넓은 범위에서 높은 활성이 있으며, 62℃에서 16시간을 배양하여도 초기 활성의 70% 정도의 잔여활성을 보일 정도로 높은 내열성이 있다. 이와 같이 세계 여러 나라에서 다양한 균주를 발굴하고 방향진화적인 진화를 통하여 기능을 향상시키고 있다.
기존의 자일라나아제와 관련된 특허를 살펴보면 자일라나아제를 생산하는 균주를 동정한 후 이들 야생균주를 이용하거나 대장균 등을 이용한 재조합 균주를 만들어 자일라나아제를 생산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국제공개특허 제93/08275호, 국제공개특허 제92/01793호, 국제공개특허 제92/1757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007222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0221120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0411771호). 또한 사료첨가제로서의 자일라나아제 관련 특허로는 자일라나아제를 생산하는 신규한 스트렙토마이세스 속 WL-2 균주에 대한 특허(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0111986호), 고초균 유래 엔도 자일라나아제의 신호서열 유전자를 포함한 재조합 플라스미드 및 그를 이용한 외래단백질의 제조방법에 관한 특허(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0034279호), 바실러스 속 AMX-4(Bacillus sp. AMX-4) 균주의 자일라 나아제(xylanase)를 코드화하는 신규한 자일라나아제 유전자에 관한 특허(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85679호) 등이 있다.
자일라나아제를 이용하는 효소적 당화공정은 바이오매스의 전처리 방법에 따라 요구되는 효소의 특성이 구분되는데, 산을 이용한 바이오매스 전처리의 경우 내산성 당화효소가 요구되지만 현행 펄프 및 제지공정이나 알칼리를 이용한 바이오매스 전처리 후 당화공정에서는 내알칼리성 당화효소가 요구된다. 또한 당화 및 발효 동시공정을 위해서는 내열성이 요구되기도 한다. 그러나 상품화된 자일라나아제는 산성 조건에 알맞은 것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알칼리 조건에서 활성을 가지는 자일라나아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더욱 좋기로는 산성 및 알칼리조건 모두에서 활성이 높은 자일라나아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기존의 자일라나아제 및 이를 생산하는 균주들이 모두 선진 개발국들에 의해서 과점 되고 있는 지적재산권을 회피 또는 타파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자체개발함은 물론 세계적으로 영역을 확대할 수 있는 신규 알칼리 자일라나아제 생산 균주 및 이로부터 생산된 자일라나아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일라나아제 활성을 갖는 신규 균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균주로부터 생산되는 알칼리성 자일라나아제, 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이의 발현벡터, 형질전환체 및 이를 이용한 신규 자일라나아제 생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일란 분해제 및 분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품내 자일란 가공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료첨가제 및 사료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지공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일라나아제 활성을 갖는 페니바실러스 sp. HPL-002 균주(KCTC11410BP)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로부터 생산되는 알칼리성 자일라나아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일라나아제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전자가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재조합 발현벡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재조합 발현벡터를 숙주세포에 도입한 형질전환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형질전환체를 이용한 자일라나아제 생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상기 형질전환체 또는 상기 균주 또는 형질전환체가 생산하는 자일라나아제를 포함하는 자일란 분해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일라나아제를 포함하는 식품내 자일란 가공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일라나아제를 포함하는 사료첨가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일라나아제를 포함하는 제지공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섬유소계 바이오매스 또는 자일란 함유액에 상기 균주, 상기 형질전환체 또는 상기 균주 또는 형질전환체가 생산하는 자일라나아제를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일란 분해 방법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동물의 사료로 사용하는 섬유소계 바이오매스에 상기 균주, 상기 형질전환체 또는 상기 균주 및 형질전환체가 생산하는 자일라나아제를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료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알칼리성 자일라나아제 활성을 갖는 페니바실러스 sp. HPL-002 균 주(KCTC11410BP)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경남 거제군 가라산 중턱에서 채취한 버섯재배 후 폐목재 잔여물이 포함된 토양시료로부터 자일란 분해능이 뛰어난 균주를 선별하였다. 상기 선별된 균주를 동정한 결과, 그람 양성 간균이며, 1.1 ㎛의 세포크기와 2.5 ㎛ 내지 4 ㎛의 세포길이를 갖는 막대형이며, 편모를 가지지 않은 운동성 없는 간균이었다(도 1 참조). 상기 균주는 서열번호 1로 기재되는 16S rRNA를 가지며, Pantoea agglomerans ZFJ-15(GenBank 등록번호 EU931554) 균주와 96.4%의 상동성이 있고 페니바실러스(Paenibacillus) sp. WPCB158(GenBank 등록번호 FJ006910)과 96.3%가 일치함을 확인하였으나 그 이상 일치하는 상동성은 검색되지 않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상기 균주를 페니바실러스(Paenibacillus) sp. HPL-002로 명명하였고,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 2008년 11월 5일자로 기탁하였으며, 기탁번호는 KCTC11410BP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로부터 생산되는 알칼리성 자일라나아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자일라나아제는 pH 8.0~9.5의 알칼리 조건에서 활성을 나타내고, 대체적으로 넓은 온도범위인 40~60℃에서 활성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pH 8.5~9.2의 알칼리 조건에서 활성을 나타내고, 대체적으로 넓은 온도범위인 45~55℃에서 활성을 나타낸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pH 9.0의 알칼리 조건에서 최대 활성을 나타내고, 50℃에서 최대 활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자일라나아제의 아미노산 서열은 하기의 서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서열번호 4로 기재되는 아미노산 서열; b) 서열번호 4로 기재되는 아미노산 서열과 95% 이상 상동성을 가지는 아미노산 서열; c) 서열번호 3에 기재된 염기 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아미노산 서열; d) 서열번호 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이 치환, 결실, 삽입 및/또는 첨가된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며, 서열번호 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단백질과 기능적으로 동일한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 및 e) 서열번호 3에 기재된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DNA와 엄격한 조건하에서 혼성화 되는 DNA에 의해 코딩되는 아미노산 서열이며, 서열번호 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단백질과 기능적으로 동일한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
상기 엄격한 조건은 혼성화 후 세정 시에 결정된다. 엄격한 조건 중의 하나는 상온에서 6×SSC, 0.5% SDS로 15분 세정한 뒤 45℃에서 2×SSC, 0.5% SDS로 30분간의 세정하고, 50℃에서 0.2×SSC, 0.5% SDS로 30분간의 세정을 두 번 반복한다. 더 바람직한 엄격한 조건은 더 높은 온도를 이용하는 것이다. 상기 엄격한 조건의 다른 부분은 동일하게 수행하되 마지막의 두 번의 30분은 60℃에서 0.2×SSC, 0.5% SDS로 세정한다. 또 다른 엄격한 조건은 상기 엄격한 조건에서 마지막 두 번을 65℃에서 0.1×SSC, 0.1% SDS로 세정하는 것이다. 당업자라면 필요한 엄격한 조건을 얻기 위하여 이러한 조건을 명백히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 페니바실러스 sp. HPL-002 균주로부터 자일라나아제 활성을 가지는 효소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분리하기 위하여 페니바실러스 균주의 gDNA 라이브러리를 제작한 후, 자일라나아제 활성을 시험하였다. 상기 실험을 통해 1개의 클론을 선별하였고(도 2 참조), 삽입된 절편 D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DNA 절편의 크기는 4,180 bp이었고(서열번호 2), 아미노산 100개 이상의 범위에 7개의 ORF를 포함하였다(도 3 참조). 본 발명자들은 상기 ORF중 유전자 염기서열 상동성 검색결과 엔도-1,4-베타-자일라나아제[endo-1,4-beta-xylanase(AJ006646)와 83% 상동성을 가지는 ORF5를 대장균에 형질전환하여 자일라나아제 활성을 확인한 결과 자일라나아제 활성이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형질전환체의 목적 DNA 절편의 염기서열을 확인하여 서열번호 3으로 기재된 염기서열의 신규 자일라나아제 유전자의 ORF를 재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서열번호 4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의 신규 자일라나아제를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하여 과발현하는 형질전환체를 제작하였다. 형질전환 대장균으로부터 생산, 분리정제한 약 40 kD의 신규 자일라나아제(도 4 참조)의 효소 활성을 조사한 결과 pH 9.0 및 온도 50℃에서 최대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5 내지 도 6 참조). 또한 중금속 원으로 첨가한 여러 가지 원소들 중에서 1 mM의 Na+1, Mn+2, Cs+2, 아세트산염 등의 중금속 또는 첨가물에 의해서 자일라나아제 활성이 95, 84, 81, 82%로 약간 저해되었지만, 100 μM 이하에서는 영향을 받지 않거나 효소활성을 다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1 참조). 아울러, 반응특성(Enzyme Kinetics)을 분석한 결과, 자일란 기질에 대한 친화도 Km 값은 0.06이었고(도 7 참조), 가수분해 산물은 대부분이 자일로올리고머 이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일라나아제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자일라나아제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는 하기의 서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서열번호 3에 기재된 염기 서열; b) 서열번호 3에 기재된 염기 서열과 95% 상동성을 가지는 염기 서열; c) 서열번호 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암호화하는 염기 서열; d) 서열번호 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이 치환, 결실, 삽입 및/또는 첨가된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며, 서열번호 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단백질과 기능적으로 동일한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을 암호화하는 염기 서열; e) 서열번호 3에 기재된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DNA와 엄격한 조건하에서 혼성화 되는 DNA 염기 서열이며, 서열번호 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단백질과 기능적으로 동일한 단백질의 염기 서열.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전자가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재조합 발현벡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페니바실러스 sp. HPL-002 균주로부터 분리한 자일라나아제를 코딩하는 신규한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밝혔으므로 당업계 공지된 통상의 방법을 이용하면 상기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재조합 벡터는 상용화된 벡터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당업자가 적합한 재조합 벡터를 제조하여 이용하는 것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재조합 발현벡터를 숙주세포에 도입한 형질전환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숙주세포는 한정된 것은 아니나, 대장균, 박테리아를 포함한 원핵세포, 효모, 동물세포, 곤충세포를 포함하는 원핵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대장균을 이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페니바실러스 sp. HPL-002 균주(KCTC11410BP) 또는 상기 형질전환체를 배양한 후 원심분리하여 조효소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일라나아제 생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생산 방법은 상기 수득된 조효소액에서 자일라나아제를 정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배지는 본 발명의 페니바실러스 sp. HPL-002 균주(KCTC11410BP) 또는 본 발명의 형질전환체에 적합한 배지를 당업자에게 공지된 상용 배지 중에서 선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들은 정제과정을 단순화시키면서 정제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형질전환체를 제작할 때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위한 특정 레진 결합 벡터를 사용하고, 정제과정에서는 레진에 결합된 효소만을 선별분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엄격한 조건으로는 글루타치온 결합벡터, 칼모듈린 결합벡터, 말토스 결합벡터 등 을 사용할 수 있으며, 컬럼 충진용 레진은 사용 벡터에 따라 결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글루타치온 결합벡터와 레진을 사용한 결과만을 제시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상기 형질전환체 또는 상기 균주 또는 형질전환체가 생산하는 자일라나아제를 포함하는 자일란 분해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자일란 분해제는 상기 균주 또는 상기 형질전환체에서 생산하는 자일라나아제뿐만 아니라 상기 균주 또는 상기 형질전환체를 직접 자일란 분해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일라나아제를 포함하는 식품내 자일란 가공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일라나아제를 포함하는 사료첨가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일라나아제를 포함하는 제지공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자일라나아제는 알칼리 조건(pH 8.0~9.0) 및 대체적으로 넓은 온도범위(40~60℃)에서 활성을 나타내고(도 5 내지 도 6 참조), 100 μM 농도 이하의 중금속에서는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표 1 참조), 새로운 자일라나아제의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현재 자일라나아제 효소시장을 점유하고 있는 용도는 크게 식품, 사료 및 기 술로 분류할 수 있다(Bedford and Morgana, World's Poultry Science Journal 52:61-68, 1996). 식품(과일 및 야채생산, 양조 및 주류생산, 제빵 및 제과)시장에서는 재료의 연화 및 정제효율 개선, 점도감소, 추출 및 여과 효율증대 등을 통한 품질향상에 활용되고 있다. 사료시장에서는 돼지, 가금류, 반추동물 등의 사료의 비전분 탄수화물의 감소, 장내 점도개선, 단백질 및 전분의 소화흡수율 증대 등에 이용되고 있다(Kuhad and Singh, Crit. Rev. Biotechnol. 13, 151-172, 1993). 아울러 기술적으로는 제지공정에서 생물학적 백화공정, 염소소비의 감소, 기계적인 제지공정 단축을 통한 에너지 감소, 탈묵효과, 전분과 글루텐의 분리, 재생가능 연료(바이오에탄올) 및 화학원료생산 등에 활용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신규 자일라나아제는 용지 생산 및 폐지 재생, 사료 첨가 및 식품의 품질 향상 또는 산업상 사용하는 자일라나아제의 분해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기 조성물들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으로 제형화 되고 제제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섬유소계 바이오매스 또는 자일란 함유액에 상기 균주, 상기 형질전환체 또는 상기 균주 또는 형질전환체가 생산하는 자일라나아제를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일란 분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균주, 상기 형질전환체 또는 상기 균주 또는 상기 형질전환체가 생산하는 자일라나아제의 첨가량은 당업자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동물의 사료 재료에 상기 균주, 상기 형질전환체 또는 상기 균주 및 형질전환체가 생산하는 자일라나아제를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료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균주, 상기 형질전환체 또는 상기 균주 또는 상기 형질전환체가 생산하는 자일라나아제의 첨가량은 당업자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규 균주인 페니바실러스(Paenibacillus) sp. HPL-002 및 이로부터 분리한 자일라나아제는 비교적 넓은 범위의 온도 및 알칼리성 pH 조건에서 우수한 자일란 분해활성을 나타내므로 사료 산업, 제지 및 세제 산업에서는 물론 섬유질계 바이오매스의 당화공정에 활용되어 석유 대체원료, 특수기능물질, 바이오 폴리머 등의 원료를 생산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균주 분리 및 선별
<1-1> 균주 분리
본 발명의 균주는 경남 거제군 가라산 중턱에서 채취한 버섯재배 후 폐목재잔여물이 포함된 토양시료로부터 분리하였다. 상기 토양의 표층으로부터 2~5 ㎝ 층에서 토양시료를 채취, 풍건 후 2 ㎜ 채를 통과시켜 토양을 정선하였다. 정선된 토양 30 g을 270 ㎖의 멸균된 생리식염수(NaCl 8.0 g/ℓ)에 넣어서 진탕배양기(37℃, 200 rpm)로 약 20분간 진탕 후 상온에 30분 정도 방치하여 굵은 토양입자 및 불순물 등을 바닥으로 침전시킨 후 상징액을 멸균된 용기로 옮겨 1차 희석액으로 하였다. 이것을 잘 교반한 후 10 ㎖을 취하여 90 ㎖의 생리식염수에 넣어 2차 희석액 100 ㎖을 제조하고, 2차 희석액을 충분히 교반하면서 위와 같은 방법으로 10 ㎖을 취하여 90 ㎖의 생리식염수에 넣어 3차 희석액 100 ㎖을 제조하였다. 이후 동일한 방법으로 6차 희석액까지 제조하였다. 균주 분리용 TSA(Tryptic Soy Agar, Difco Co.) 배지에 3, 4, 5, 6차 희석액을 0.25 ㎖씩 3회 반복으로 분주, 균일하게 도말하여 37℃ 평상인큐베이터에서 2일간 배양 후 형성된 미생물의 콜로니를 선발하였다. 이때 콜로니의 모양, 크기, 색상 등 여러 가지 요인을 고려하여 분리하며, 분리된 콜로니는 다시 TSA 배지에서 계대 배양하여 순수한 균주를 분리하였고 이것을 모 균주로 사용하기 위하여 -70℃에 보관하였다.
<1-2> 균주 선별
순수하게 분리된 균주들 중에서 자일라나아제 활성을 가지는 활성 균주 선별은 TSA 배지에 자작나무 자일란(Fluka Bio Chemika. Co.)이 0.5~1.0% 함유된 소프트 아가 더블 배지를 만들고 균주를 접종하여 하룻밤 배양한 후 다음날 Congo-red 염색법(Theater RM, PJ. Wood. Appl Environ Microbiol 43, 777-780, 1982; Beguin P. Analytical Biochemistry, 131(2):333-336, 1983)을 통해 배양된 콜로니 주변에 투명환(Halo)을 형성하는 균주 및 활성클론을 선별하였다. 선별된 균주의 자일란 분해능을 다시 한 번 측정하여 재현성을 확인하였고, 그중 자일란 분해 능력이 가장 우수한 균주를 선발하여 자일라나아제를 생산하는 미생물로 최종 선발하였다.
< 실시예 2> 균주 동정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한 가장 높은 활성을 지닌 자일라나아제를 생산하는 균주를 30℃에서 배양한 후 그람 염색(Gram Staining) 및 포자 염색(Spore Staining)을 실시한 결과, 포자를 생성하는 그람양성 간균으로 확인되었다. 전자현미경으로 그 형태를 관찰한 결과,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1.1 ㎛의 세포크기와 2.5 ㎛ 내지 4 ㎛의 세포길이를 갖는 막대형(rod)이었으며 편모를 가지지 않는 운동성이 없는 간균으로 나타났다. 또한, 균주의 16S rRNA 염기서열 분석결과 서열번호 1로 기재되는 1,234 bp의 rDNA를 얻어 유전자은행 정보자료(GenBank database) 검색 결과, Pantoea agglomerans ZFJ-15(GenBank 등록번호 EU931554) 균주와 96.4%의 상동성이 있고 페니바실러스(Paenibacillus) sp. WPCB158(GenBank 등록번호 FJ006910)과 96.3%가 일치함을 확인하였으나 그 이상 일치하는 상동성은 검색되지 않았기 때문에, 본 균주를 페니바실러스 sp. HPL-002 균주로 명명하였고,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 2008년 11월 5일자로 기탁하였으며, 기탁번호는 KCTC11410BP이다.
< 실시예 3> 신규 자일라나아제 분리
<3-1> 페니바실러스 균주의 유전자 라이브러리제작 및 활성검정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서 분리 동정한 페니바실러스 sp. HPL-002 균주로부터 자일라나아제 활성을 가지는 효소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분리하기 위하여 게놈 DNA를 추출 후 5 kb 이하 크기의 유전자 조각을 가지는 gDNA 라이브러리를 제작하였다. 라이브러리의 제작은 균주로부터 추출한 DNA를 무작위 절단방법을 통하여 1~6 kb 크기의 DNA 조각들을 만들고, 아가로스 젤에서 전기영동으로 크기를 선발하여 원하는 5 kb 전후 크기의 DNA 조각을 확보하였다. 이를 pCB31 플라스미드 벡터에 삽입 후 E. coli DH10B 세포에 형질전환시켰다. 이렇게 제작된 라이브러리 1,152개의 클론을 고상, 액상 조건에서 자일라나아제 활성을 시험하였다.
<3-2> 자일라나아제 활성시험
분리된 균주, 활성클론, 형질전환체 및 분리 정제된 효소 등의 자일라나아제 활성(자일란 분해능력) 측정은 다음과 같은 2가지 방법 중 하나 또는 모두를 사용하였다. 첫 번째 방법은 고체배양 측정방법으로 LB 배지에 버치우드 자일란(Fluka Bio Chemika. Co.)이 0.5~1.0% 함유된 소프트 아가 더블 배지를 만들고 균주를 접종하여 하룻밤 배양한 후 다음날 콩고레드 염색법을 통해 배양된 콜로니 주변에 투명환(halo)을 형성하는 균주 및 활성클론을 선별하였다. 두 번째 방법은 액체배양 효소활성 측정방법으로 DNS(3,5-dinitrosalicylic acid) 정량법(Miller G.L. Anal Chem 31, 426-428, 1959)을 사용하였고, 구체적으로는 50 ㎕의 효소용액에 50 ㎕의 기질용액(2% 버치우드 자일란이 포함된 50 mM 인산나트륨용액, pH 6.0)을 넣고 50℃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200 ㎕의 DNS 용액을 첨가한 다음 90℃에 5분간 처리한 후 흡광도 540 ㎚에서 측정하였다. 효소의 1유니트(unit)는 1분 동안에 1 μ㏖의 환원당(자일로스)을 생산하는 효소활성으로 규정하였다. 액체배양 및 고체배양 활성시험을 통하여 상위 1개 클론 GM5-SLX1을 선발하였다(도 2).
<3-3> 자일라나아제 활성클론 선발 및 유전자 분석
실시예 3-2에서 선발된 클론에 삽입된 절편 D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플라스미드에 삽입된 DNA 절편의 크기는 4,180 bp(서열번호 2)이었고, 이를 NCBI의 Blast P 또는 Blast N 프로그램(//www.ncbi.nlm.nih.gov/)을 통해 암호화되어 있는 전사 해독틀(ORF, Open Reading Frame)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ORF 중 아미노산 100개 이상의 크기를 갖는 ORF 7개를 SLX-O1, SLX-O2, SLX-O3, SLX-O4, SLX-O5, SLX-O6, SLX-O7이라 이름 붙였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ORF 중 유전자 염기서열 상동성 검색결과 엔도-1,4-베타-자일라나아제[endo-1,4-beta-xylanase(AJ006646)]와 83% 상동성을 가지는 SLX-O5(서열번호 3)를 표적으로 하여 그 염기서열을 바탕으로 PacI과 BamHI 제한효소 인식부위를 첨가한 프라이머를 제작한 뒤 PCR 증폭 후 pGEM-T-Easy 벡터(Promega) 벡터에 삽입하여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제작하였다.
구체적으로, GM5-SLX1 플라스미드 주형 1 ng을 서열번호 5(5'- TTAATTAAGATGTCTACCGAAATTCCGT-3')로 기재되는 정방향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6(5'-GGATCCCCATGTCTACCGAAATTC-3')로 기재되는 역방향 프라이머로 구성된 프라이머쌍(10 p㏖)과 혼합한 뒤, PCR 증폭 조건은 PCR Premix(GenetBio)를 사용하여 94℃에서 5분간의 변성(Denaturation)을 수행한 후 94℃에서 30초의 변성, 55℃에서 30초의 결합(Annealing), 72℃에서 1분의 연장(Extension)을 30회 반복한 후 마지막으로 72℃에서 7분간 연장으로 마무리하고 4℃에서 유지한 뒤 반응을 종결하였다. PCR을 통해 증폭된 산물을 GENCLEAN II Kit(Q-Biogene)을 사용하여 정제하였고, pGEM-T-Easy 벡터에 T4 리가아제(RBC)를 사용하여 재조합 DNA를 만들었다. 이 재조합된 플라스미드를 E. coli JM109에 형질전환시켜 유전자 형질전환 대장균을 제작하였다. 상기 형질전환체를 LB 액체 배지에서 배양한 후 HiYield™ Plasmid Mini Kit(RBC)를 사용하여 플라스미드 DNA를 추출하여 제한효소 PacI(NEB)과 BamHI(NEB)로 절단하였고, 이를 전기영동하여 목적하는 DNA 절편이 삽입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형질전환체를 실시예 3-2에서와 같이 액상의 조건에서 자일라나아제 활성을 시험한 결과 자일라나아제 활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상기 형질전환체의 목적 DNA 절편의 염기서열을 확인하여 서열번호 4로 기재된 염기서열의 신규 자일라나아제 유전자의 ORF를 재확인하였다.
<3-4> 자일라나아제 과발현체 제작( pIVEX - GST - PX2 )
상기 신규 자일라나아제를 과발현하는 형질전환체를 제작하기 위하여, GM5- SLX1 플라스미드를 주형으로 하여 서열번호 5 및 서열번호 6의 프라이머쌍을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PCR 반응액과 반응조건은 앞에서와 동일하였다. 증폭된 산물을 정제하여 PacI(NEB)과 BamHI(NEB)으로 절단한 뒤, 단백질 과발현벡터 pIVEX-GST(Roche)에 삽입시켜 재조합 과발현 플라스미드를 제작하였고, 이를 E. coli BL21(RBC)에 형질전환하여 자일라나아제 과발현 형질전환 대장균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과발현 형질전환 대장균을 배양하여 플라스미드 DNA 추출 후 상기 제한효소를 이용하여 절단한 뒤 전기영동을 통해 벡터와 목적 DNA가 성공적으로 재조합되었는지 확인하였고, 확인된 균체를 LB 액체 배지에서(앰피실린 100 ㎍/㎖ 첨가) 18시간 배양시킨(37℃, 250 rpm, A600=1.0) 후 새로운 LB 액체 배지에 재접종하여 A600 흡광도 값이 0.4~0.6일 때 1 mM의 IPTG를 처리하고 3시간 더 배양 후 균체를 수확하였다. 수확된 균체를 현탁시켜 초음파 분쇄 후 10,000 g에서 원심분리하여 상징액과 침전물로 분리하였고, SDS PAGE를 통하여 목적한 단백질이 상징액에 과발현됨과 분자량이 약 40 kD임을 확인하였다(도 4).
<3-5> 자일라나아제 활성발현 조건 분석
실시예 3-4에서 제작한 신규 자일라나아제 과발현 형질전환 대장균으로부터 과발현 및 분리된 자일라나아제의 활성을 pH, 온도 및 금속이온별로 실시예 3-2의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반응용액의 pH 조절은 시트릭산(Citric acid) 완충용액으로 pH 4~5, 인산(Phosphate) 완충용액으로 pH 6~8, 글라이신/수산화나트 륨(Glycine/NaOH) 완충용액으로 pH 9~11로 수행하였다. 금속이온으로는 1 mM의 CaCl2, MgCl2, MnCl2, CuCl2, ZnCl2, FeCl3 등을 첨가하여 자일라나아제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기타 NaCl, LiCl, KCl, NH4Cl, EDTA, CsCl2, 2-ME(2-Mercaptoethanol), DTT(Dithiothreitol), PMSF(Penylmethylsulfonyl fluoride), 아세트산염, 푸르푸랄(furfural) 등의 염을 첨가하여 자일라나아제 활성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신규 자일라나아제는 pH 9.0에서, 도 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50℃에서 최대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1 mM의 Na+1, Mn+2, Cs+2, 아세트산염 등의 중금속 또는 첨가물에 의해서 자일라나아제 활성이 95, 84, 81, 82%로 약간 저해되었지만, 100 μM 이하에서는 영향을 받지 않거나 효소활성을 다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112009045021993-PAT00001
< 실시예 4> 신규 자일라나아제의 대량 생산
서열번호 4로 기재되는 신규 자일라나아제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서열번호 3)를 포함하는 pIVEX GST-xylanase 재조합 벡터(Bioprogen Co., Ltd., Korea)를 대장균 BL21-Gold(DE)(Stratagene, USA)에 형질전환시킨 후 액체배지(LB 25 g/L)에 접종하여 O.D.600 값이 0.7이 될 때까지 37℃에서 150 rpm으로 교반 배양하였다. 목표 단백질의 대장균 세포내 발현을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현탁액에 IPTG(isopropyl-D-thiogalactoside)를 최종 농도 1 mM이 되도록 첨가한 후에 2시간 더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10,000 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 하여 회수한 침전물을 PBS로 3회 세척하였다. 세척된 침전물을 다시 용해용 완충용액(Lysis buffer; 50mM Tris-HCl, 100mM NaCl, 10 mM β-Mercaptoethanol, 1 mM EDTA, pH 7.0)에 재현탁 후 초음파 파쇄기(Cosmo Bio Co., LTD)를 이용하여 균체를 파쇄하였다. 파쇄 용액은 컬럼크로마토그래피(BIOLOGIC LP system, BIO RAD)를 사용하여 분획하였다. 이때 자일라나아제만의 선택적 분리 및 정제는 50 mM Tris-HCl, 100 mM NaCl; pH 7.0으로 평형화된 글루타치온에스-트렌스퍼라아제 컬럼(GST binding resin column, Novagen)을 사용하여 글루타치온에스-트렌스퍼라아제 결합단백질(Glutathione S-transferase binding protein)에 부착된 자일라나아제만을 완충용액(Elution buffer solution, 50 mM Tris-HCl, 100 mM Glutathione, 100 mM NaCl; pH 7.0)으로 선택적 분리 및 정제하였다. 효소 활성 분획의 정제여부를 SDS-PAGE로 확인하였고 정제 단계에서 회수한 각각의 시료로부터 자일라나아제 효소 활성을 측정하였다. 단백질 함량은 브래드포드 방법(Bradford, Sigma Aldrich)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표준 단백질로는 BSA(bovine serum albumin)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글루타치온 레진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법으로 간편하게 다량의 자일라나아제를 생산할 수 있었다. 또한 레진에 결합된 자일라나아제 상태로도 자일라나아제 활성이 변화되지 않는 특성을 보여주었기 때문에 효소고정화 방법을 통한 고효율 전환공정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방법에 의해 정제된 효소는 정제하기 전의 효소보다 4.7배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효소활성은 pH 9.0, 50℃에서 50 유닛 이상의 고활성을 나타내었다.
< 실시예 5> 대량생산된 신규 자일라나아제의 효소 특성
효소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정제된 자일라나아제를 시험관에 넣고 다양한 양의 자작나무 자일란을 포함하는 50 mM Tris-Hcl(pH 9.0) 완충용액을 넣었다. 반응 혼합물을 50℃에서 20분간 반응시켜서 효소반응 속도(Lineweaver-Burk)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도 7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자일란 기질에 대한 친화도 Km 값은 0.06이었고, 가수분해 산물은 대부분이 자일로올리고머 이었다.
도 1은 선발균주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1,152개 gDNA 라이브러리로부터 활성클론 선별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ORF 분석 및 각 ORF 상동성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형질전환체로부터 자일라나아제를 분리정제 후 활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자일라나아제 활성의 최적 pH 그래프이다.
도 6은 자일라나아제 활성의 최적 온도 그래프이다.
도 7은 자일라나아제 분리정제 후 효소특성(kinetics)이다.
<110>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120> A Paenibacillus sp. HPL-002 strain for producing xylanase and an alkalic xylanase produced thereby and a producing method thereof <130> 9P-06-39 <160> 6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1313 <212> DNA <213> Paenibacillus sp. HPL-002 strain <400> 1 atncttagcg gcggacgggt gagtaacacg taggcaacct gccctcaagc ttgggacaac 60 taccggaaac ggtagctaat accgaatact tgttttcttc gcctgaagga aactggaaag 120 acggagcaat ctgtcacttg gggatgggcc tgcggcgcat tagctagttg gtgaggtaac 180 ggctcaccaa ggcgacgatg cgtagccgac ctgagagggt gatcggccac actgggactg 240 agacacggcc cagactccta cgggaggcag cagtagggaa tcttccgcaa tgggcgaaag 300 cctgacggag caatgccgcg tgagtgatga aggttttcgg atcgtaaagc tctgttgcca 360 gggaagaacg cttgggagag taactgctcn caaggtgacg gtacctgaga agaaagcccc 420 ggctaactac gtgccagcag ccgcggtaat acgtaggggg caagcgttgt ccggaattat 480 tgggcgtaaa gcgcgcgcag gcggtcatgt aagtctggtg tttaatcccg gggctcaacc 540 ccggatcgca ctggaaactg tgtgacttga gtgcagaaga ggagagtgga attccacgtg 600 tagcggtgaa atgcgtagag atgtggagga acaccagtgg cgaaggcgac tctctgggct 660 gtaactgacg ctgaggcgcg aaagcgtggg gagcaaacag gattagatac cctggtagtc 720 cacgccgtaa acgatgagtg ctaggtgtta ggggtttcga tacccttggt gccgaagtta 780 acacattaag cactccgcct ggggagtacg gtcgcaagac tgaaactcaa aggaattgac 840 ggggacccgc acaagcagtg gagtatgtgg tttaattcga agcaacgcga agaaccttac 900 caggtcttga catccaacta acgaggcaga gatgcgttag gtgcccttcg gggaaagttg 960 agacaggtgg tgcatggttg tcgtcagctc gtgtcgtgag atgttgggtt aagtcccgca 1020 acgagcgcaa cccttatatt tagttgccag cacttcgggt gggcactcta aatagactgc 1080 cggtgacaaa ccggaggaag gtggggatga cgtcaaatca tcatgcccct tatgacctgg 1140 gctacacacg tactacaatg gccggtacaa cgggcagtga agccgcgagg tggaaccaat 1200 cctaaaaagc cggtctcagt tcggattgca ggctgcaact cgcctgcatg aagtcggaat 1260 tgctagtaat cgcggatcag catgccgcgg gtgaatacgt tcccgggtct tgt 1313 <210> 2 <211> 418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nserted DNA <400> 2 gtatcgatag cttgatgtga ttgtctatat caaaaaaaga ttaactaaga aatcagtgga 60 gtgaataata atgaaacatc ttccttcaag ctggaattca gagagactaa tcatttcaga 120 tgtgaagccc ttcgagattg tagaacttca gaaactgtat gatacaagcc gttatataca 180 ggagtgggac gggcaagaaa atgatgcgaa ttacgttaag aattgtgtag aacaagggaa 240 ccttcccccg gatggaacat tggccaatta tagaattcaa agtatacgca cacttgagga 300 aaatcagacg atcgggatgt taagtgtgta tcatggctat cctgctgaac atgtactgta 360 tttggaattt ttgtatattc agaacggtgt tcagaaacga ggatacggac aggaaatgat 420 atctgcctta actcagcagc ttgccactct gggttatgat gagattagaa ttaatgtagc 480 actcaaaaat tggccagctt tacgcttctg gtttagatcg ggttttagcc aaatcggtgg 540 aatctatggt gatgaaaaac attcatcaac ccattttgca aatattgaat tgatcaagaa 600 gctataatga cctgagtaca gcaacatagg aggctacggt atggaaacct tttttcgata 660 taactggatc gtgcgtgaac aatggtatgc atggtgtgca gacctgccgc cggaagaatt 720 gcttcgacca cgtacaggtg gtgtgggaag tatcctgaag actttttttc atatcattga 780 tgtcgagtgg agctggcttc aactgctaca aggaaaaccg gatactgcgg aggattttgc 840 aaactaccag acgctcgaag ctgttcgtga gctggaccgt aagctacatc aagatgtaga 900 agcatttgtt ttattgtggg agccgagcat ggaaaagaga acttacatcg accgccgaac 960 cgacggacac gtgcatattg atgcttgggg cgaaattatg cgtcatgtaa ttgcacatga 1020 aattcatcat atagggcagt tatctgtatg ggctagagaa cttgaccgag agcccgtatc 1080 ggctaatgtt ataggcaaag gattgatcaa acctaaccat gacgaagggt cgtgagtaca 1140 agtgatacaa cttagcagta tccgctgggt tcaactggat gaagcgattc ggcaggaaat 1200 aggtcaggag catcggatga tcccgcttaa gcctggattg gaagcggatg ttatgcgtat 1260 tgaacttcat gatcagctgt atgtactgaa aatctggaat aaggactcac gcccggatat 1320 tagaaaacaa tatcagttgt tgcatagtct cacacaaagc gggattcagg tttccacgcc 1380 atatggctgg ggaacagatg agcatcagaa tcaaagtgtg ctcacaagtt acgatggtgt 1440 gccggttacc cggctagatc aagagatatt aagacggttg gctcagactt taaatgatat 1500 ccaccgttat ccagtacatg ttaaaaaacc gcacgtggaa gaagcagaac aagattacat 1560 tcctcattac aattttgtcg actatttttt tcctcagctg gctaagcacc aagatatcca 1620 tcacattgtt catgatttga tgaaacgtgt aaagatcaga caggatcact tcattcatgg 1680 cgactataat ctcggcaata tcgtagagat gaatggagaa tacaccgtta tagactggac 1740 caacggacag tacggagacc ccagatatga tacggcatgg tctgtttttc taatcaccat 1800 ctataacgga gaagagtacg gaatgtttta tcaggccgaa ttacgagcgg ttgccggcag 1860 tatgccagat gaggaaaagg cttttgaagc attggcttgg ttacgctggg tgttgctttc 1920 gcgcgaaggc gatgttccga gaaattcaga agtcatgcgg cgtatgttag atatagctac 1980 ttataaccct tacttgcaag cagacttgtt gcaaatgaaa tatccccctc tataggactt 2040 tttcttaaag tcccaaaaat atgattttgg tattcggaat atctttttga ggtggcctac 2100 aagcctgtcc taaactcaca ttttctgcat acctatggta gtagaggagt gtgatgaatg 2160 atggaacaga aggtacaggc ttactttgaa ctgaaacagc agcagaaaga gatcgaacaa 2220 cagttaactg tattgagaga tgagatcgtg gcgtactgtg cgcagcaagg cgtatatgag 2280 accgaggtag ggggatataa ggtgaaaacg gtgctccagc accgcaagga atatgacgat 2340 cagaagctgt tcgcatcgtt gcctgacccg gagatctgga ggctgctgtc caaggtggac 2400 agccataagc tgaaaagcct gatcaagctt aatgttctct ccgaagaaca agtcagcccg 2460 gcatgtacag tgaagcaagt gactttacta cagatagaca agttataacg tatattgcct 2520 gcatttcttc tttttgtgct gaaattggta gaatttcagg ggggagaagg tttattttgt 2580 tcagggaaag cgcattcatt ttccgttatg atgaagaaac aaatctgcga ggaggaacca 2640 ggatgtctac cgaaattccg tccctacatg ctgcttatgc cgatgcgttt aaaataggtg 2700 cagcagtaca tacgagaatg ttacaatccg aaggggaatt tattgcgaag cactataaca 2760 gtgttactgc ggagaatcag atgaagtttg aagaggttca tccgcgagag catgaatata 2820 catttgaggc agcagatgaa atcgttgatt ttgcagttgg ccgtgcgata ggtgttcgtg 2880 gtcatacctt ggtatggcac aaccagacgc cagcatgggt gtttgaggat gcttctggcg 2940 gcccggcttc gagagaactg atgttgtccc ggttgaagca gcatatcgat accgtcgttg 3000 gtcgttacaa aggacagatc tacgcatggg atgtggtgaa cgaggcgatc gaagataaga 3060 ccgatctgat catgcgagat acaaaatggc tccaattgct tggagaagat tacctggcgc 3120 aggcattcaa tatggctcat gaagctgatc ctgacgcact gctattctac aacgattaca 3180 atgagactaa tccggttaaa cgggagaaaa tatacaatct ggtacgatca ctgttggatc 3240 aaggagttcc ggttcatggt attggcatgc agggacactg gaatattcat gggccgtcca 3300 ttgaagagat tcgtcaagcc attgaacgtt atgcttcact aggtgtgcag cttcacgtca 3360 ctgaactgga tttatctgtg tttcaacacg atgataagcg caccgatctg acagagccta 3420 cgcctgagat ggcggaactt caggagaaaa ggtatgagga catttttagg ctgttccggg 3480 agtataaatc cgatatcact tctgtaacct tctggggtgc ggctgataat tatacgtggc 3540 tggatcattt cccggtacgt ggccgcaaaa actggccatt tgtgttcgat accaagcagc 3600 aaccgaagga ttcattttgg cgcattcttg gggaaaagta agaagaaggc tacggcaaaa 3660 gctcagactc aattgaggta taagttcaag ctaagcaacc agcgctctgc taagtgtttt 3720 ggaatcacag ccttacatgc agaccccata aaaagggtta agcctgtaag gcttttttga 3780 agtatcttat atatagagca gatttattcg aatcttagca ttgtcacatg gacggtacga 3840 tgccatactg gagaaaaaaa ggggaaatgg caggtggatc caatgtacaa ggtcattgta 3900 gcagatgatg agccgtttat gctggaaggc tggaaaacga tgatcgattg gcaaggctgc 3960 ggatatgagt tgtgtggaac agcgaccgat ggagaagaag cactggaact gatcaatcat 4020 gtaaatccgg atttggtggt aaccgatatc cagatgcctg tgcttgatgg gctggggctg 4080 atccgaacca tgcgtgaaga gttaaaatat gattcccaga tcgtgattgt aacagggtat 4140 tccgagtttg gttatgcaca gcaggcgata cgatatcggg 4180 <210> 3 <211> 999 <212> DNA <213> xylanase <400> 3 atgtctaccg aaattccgtc cctacatgct gcttatgccg atgcgtttaa aataggtgca 60 gcagtacata cgagaatgtt acaatccgaa ggggaattta ttgcgaagca ctataacagt 120 gttactgcgg agaatcagat gaagtttgaa gaggttcatc cgcgagagca tgaatataca 180 tttgaggcag cagatgaaat cgttgatttt gcagttggcc gtgcgatagg tgttcgtggt 240 cataccttgg tatggcacaa ccagacgcca gcatgggtgt ttgaggatgc ttctggcggc 300 ccggcttcga gagaactgat gttgtcccgg ttgaagcagc atatcgatac cgtcgttggt 360 cgttacaaag gacagatcta cgcatgggat gtggtgaacg aggcgatcga agataagacc 420 gatctgatca tgcgagatac aaaatggctc caattgcttg gagaagatta cctggcgcag 480 gcattcaata tggctcatga agctgatcct gacgcactgc tattctacaa cgattacaat 540 gagactaatc cggttaaacg ggagaaaata tacaatctgg tacgatcact gttggatcaa 600 ggagttccgg ttcatggtat tggcatgcag ggacactgga atattcatgg gccgtccatt 660 gaagagattc gtcaagccat tgaacgttat gcttcactag gtgtgcagct tcacgtcact 720 gaactggatt tatctgtgtt tcaacacgat gataagcgca ccgatctgac agagcctacg 780 cctgagatgg cggaacttca ggagaaaagg tatgaggaca tttttaggct gttccgggag 840 tataaatccg atatcacttc tgtaaccttc tggggtgcgg ctgataatta tacgtggctg 900 gatcatttcc cggtacgtgg ccgcaaaaac tggccatttg tgttcgatac caagcagcaa 960 ccgaaggatt cattttggcg cattcttggg gaaaagtaa 999 <210> 4 <211> 333 <212> PRT <213> xylanase <400> 4 Met Ser Thr Glu Ile Pro Ser Leu His Ala Ala Tyr Ala Asp Ala Phe 1 5 10 15 Lys Ile Gly Ala Ala Val His Thr Arg Met Leu Gln Ser Glu Gly Glu 20 25 30 Phe Ile Ala Lys His Tyr Asn Ser Val Thr Ala Glu Asn Gln Met Lys 35 40 45 Phe Glu Glu Val His Pro Arg Glu His Glu Tyr Thr Phe Glu Ala Ala 50 55 60 Asp Glu Ile Val Asp Phe Ala Val Gly Arg Ala Ile Gly Val Arg Gly 65 70 75 80 His Thr Leu Val Trp His Asn Gln Thr Pro Ala Trp Val Phe Glu Asp 85 90 95 Ala Ser Gly Gly Pro Ala Ser Arg Glu Leu Met Leu Ser Arg Leu Lys 100 105 110 Gln His Ile Asp Thr Val Val Gly Arg Tyr Lys Gly Gln Ile Tyr Ala 115 120 125 Trp Asp Val Val Asn Glu Ala Ile Glu Asp Lys Thr Asp Leu Ile Met 130 135 140 Arg Asp Thr Lys Trp Leu Gln Leu Leu Gly Glu Asp Tyr Leu Ala Gln 145 150 155 160 Ala Phe Asn Met Ala His Glu Ala Asp Pro Asp Ala Leu Leu Phe Tyr 165 170 175 Asn Asp Tyr Asn Glu Thr Asn Pro Val Lys Arg Glu Lys Ile Tyr Asn 180 185 190 Leu Val Arg Ser Leu Leu Asp Gln Gly Val Pro Val His Gly Ile Gly 195 200 205 Met Gln Gly His Trp Asn Ile His Gly Pro Ser Ile Glu Glu Ile Arg 210 215 220 Gln Ala Ile Glu Arg Tyr Ala Ser Leu Gly Val Gln Leu His Val Thr 225 230 235 240 Glu Leu Asp Leu Ser Val Phe Gln His Asp Asp Lys Arg Thr Asp Leu 245 250 255 Thr Glu Pro Thr Pro Glu Met Ala Glu Leu Gln Glu Lys Arg Tyr Glu 260 265 270 Asp Ile Phe Arg Leu Phe Arg Glu Tyr Lys Ser Asp Ile Thr Ser Val 275 280 285 Thr Phe Trp Gly Ala Ala Asp Asn Tyr Thr Trp Leu Asp His Phe Pro 290 295 300 Val Arg Gly Arg Lys Asn Trp Pro Phe Val Phe Asp Thr Lys Gln Gln 305 310 315 320 Pro Lys Asp Ser Phe Trp Arg Ile Leu Gly Glu Lys *** 325 330 <210> 5 <211> 2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5 ttaattaaga tgtctaccga aattccgt 28 <210> 6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6 ggatccccat gtctaccgaa attc 24

Claims (19)

  1. 자일라나아제 활성을 갖는 페니바실러스 sp. HPL-002 균주(KCTC11410BP).
  2. 제1항의 균주로부터 생산되는 알칼리성 자일라나아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일라나아제는 하기의 서열 중 어느 하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일라나아제:
    a) 서열번호 4로 기재되는 아미노산 서열;
    b) 서열번호 4로 기재되는 아미노산 서열과 95% 이상 상동성을 가지는 아미노산 서열;
    c) 서열번호 3에 기재된 염기 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아미노산 서열;
    d) 서열번호 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이 치환, 결실, 삽입 및/또는 첨가된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며, 서열번호 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단백질과 기능적으로 동일한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 및,
    e) 서열번호 3에 기재된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DNA와 엄격한 조건하에서 혼성화 되는 DNA에 의해 코딩되는 아미노산 서열이며, 서열번호 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단백질과 기능적으로 동일한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일라나아제는 pH 8.5 ~ 9.2에서 최대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일라나아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일라나아제는 45℃ 내지 55℃에서 최대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일라나아제.
  6. 제 2항의 자일라나아제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는 하기의 서열 중 어느 하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a) 서열번호 3에 기재된 염기 서열;
    b) 서열번호 3에 기재된 염기 서열과 95% 상동성을 가지는 염기 서열;
    c) 서열번호 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암호화하는 염기 서열;
    d) 서열번호 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이 치환, 결실, 삽입 및/또는 첨가된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며, 서열번호 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단백질과 기능적으로 동일한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을 암호화하는 염기 서열;
    e) 서열번호 3에 기재된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DNA와 엄격한 조건하에서 혼성화 되는 DNA 염기 서열이며, 서열번호 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단백질과 기능적으로 동일한 단백질의 염기 서열.
  8. 제 6항의 유전자가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재조합 발현벡터.
  9. 제 8항의 재조합 발현벡터를 숙주세포에 도입한 형질전환체.
  10. 제 9항에 있어서, 숙주세포는 대장균을 포함한 원핵세포, 효모, 동물세포, 곤충세포를 포함하는 진핵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질전환체.
  11. 배지에 제 1항의 페니바실러스 sp. HPL-002 균주(KCTC11410BP) 또는 제 9항의 형질전환체를 배양한 후 원심분리하여 조효소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 일라나아제 생산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수득된 조효소액에서 자일라나아제를 정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 방법.
  13. 제 1항의 균주, 제 2항의 자일라나아제 또는 제 9항의 형질전환체를 포함하는 자일란 분해제.
  14. 제 2항의 자일라나아제를 포함하는 식품내 자일란 가공용 조성물.
  15. 제 2항의 자일라나아제를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16. 제 2항의 자일라나아제를 포함하는 제지공정용 조성물.
  17. 섬유소계 바이오매스 또는 자일란 함유액에 제 1항의 균주, 제 2항의 자일라나아제 또는 제 9항의 형질전환체를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일란 분해 방법.
  18. 제 18항에 있어서, 재생 가능 연료 또는 화학 원료의 생산 공정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일란 분해 방법.
  19. 동물의 사료 재료에 제 1항의 균주, 제 2항의 자일라나아제 또는 제 9항의 형질전환체를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료 제조 방법.
KR1020090067294A 2009-07-23 2009-07-23 알칼리성 자일라나아제를 생산하는 신규 페니바실러스 sp. HPL―002 균주, 이로부터 분리한 신규 자일라나아제 효소 및 이의 생산 방법 KR101091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294A KR101091152B1 (ko) 2009-07-23 2009-07-23 알칼리성 자일라나아제를 생산하는 신규 페니바실러스 sp. HPL―002 균주, 이로부터 분리한 신규 자일라나아제 효소 및 이의 생산 방법
PCT/KR2010/003643 WO2011010792A2 (ko) 2009-07-23 2010-06-07 알칼리성 자일라나아제를 생산하는 신규 페니바실러스 에스피. 에이치피엘-002 균주, 이로부터 분리한 신규 자일라나아제 효소 및 이의 생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294A KR101091152B1 (ko) 2009-07-23 2009-07-23 알칼리성 자일라나아제를 생산하는 신규 페니바실러스 sp. HPL―002 균주, 이로부터 분리한 신규 자일라나아제 효소 및 이의 생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863A true KR20110009863A (ko) 2011-01-31
KR101091152B1 KR101091152B1 (ko) 2011-12-09

Family

ID=43499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7294A KR101091152B1 (ko) 2009-07-23 2009-07-23 알칼리성 자일라나아제를 생산하는 신규 페니바실러스 sp. HPL―002 균주, 이로부터 분리한 신규 자일라나아제 효소 및 이의 생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91152B1 (ko)
WO (1) WO201101079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81415B (zh) * 2011-03-08 2013-06-26 武汉新华扬生物股份有限公司 一种耐碱木聚糖酶xyl11-1及其基因和应用
CN103343112B (zh) * 2013-07-09 2014-12-24 武汉新华扬生物股份有限公司 一种高温碱性木聚糖酶xyn11a及其基因和应用
CN108004186A (zh) * 2018-01-09 2018-05-08 北京工商大学 一种产可水解制备高聚合度xos木聚糖酶的菌株及应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61529B2 (en) * 2004-02-20 2013-01-29 Novozymes A/S Xylanase
US8043839B2 (en) * 2006-02-14 2011-10-25 Verenium Corporation Xylanases, nucleic acids encoding them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m
KR100754479B1 (ko) * 2006-02-16 2007-09-03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신규한 패니바실러스 sp. HY-8 균주 및 이로부터분리한 자일라나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10792A3 (ko) 2011-04-21
KR101091152B1 (ko) 2011-12-09
WO2011010792A2 (ko) 201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8790B1 (ko) 자일라나아제를 생산하는 신규한 페니바실러스 sp. HPL-001 균주, 이로부터 분리한 신규한 자일라나아제 효소 및 이의 생산 방법
Xu et al. Production of alkali-tolerant cellulase-free xylanase by Pseudomonas sp. WLUN024 with wheat bran as the main substrate
Liu et al. Characterization of a recombinant thermostable xylanase from hot spring thermophilic Geobacillus sp. TC-W7
Zafar et al. Cloning, expression, and purification of xylanase gene from Bacillus licheniformis for use in saccharification of plant biomass
Alves et al. Mangrove soil as a source for novel xylanase and amylase as determined by cultivation-dependent and cultivation-independent methods
Saleem et al.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molecular docking of cloned xylanase gene from Bacillus subtilis RTS expressed in E. coli
KR101091152B1 (ko) 알칼리성 자일라나아제를 생산하는 신규 페니바실러스 sp. HPL―002 균주, 이로부터 분리한 신규 자일라나아제 효소 및 이의 생산 방법
Khadka et al. production optimization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cellulase from Geobacillus sp. KP43 Isolated from hot spring water of Nepal
LI et al. Scree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ruminal cellulase gene (Umcel-1) from a metagenomic library of gayal (Bos frontalis)
Li et al. Novel alkali-stable, cellulase-free xylanase from deep-sea Kocuria sp. Mn22
CN111394374A (zh) 一种编码纤维素酶家族GH30的纤维素酶基因gk2691及其应用
KR20070082329A (ko) 신규한 패니바실러스 sp. HY-8 균주 및 이로부터분리한 자일라나제
US8679814B2 (en) Protein and DNA sequence encoding a cold adapted xylanase
WO2016175202A1 (ja) 耐熱性を有するキシラナーゼ
KR100526662B1 (ko) 자일라나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와 그 형질전환체를 이용하여 생산된 재조합 자일라나제
KR101219518B1 (ko) 내열성,광범위 pH,고활성 자일라나아제를 생산하는 신규 페니바실러스 sp.HPL-003 균주,이로부터 분리한 신규 자일라나아제 효소 및 이의 형질전환체를 이용한 이의 대량 생산 방법
Kanchanadumkerng et al. Characterization and secretive expression in Bacillus subtilis of endoglucanase from Bacillus safensis isolated from freshwater swamp forest
US8956842B2 (en) Paenibacillus sp. HPL-3 strain producing xylanase having heat-resistance, a wide range of optimum pH and high activity, a novel xylanase separated from the strain, and a method for mass-production of the same using the transformant originated from the strain
KR101163438B1 (ko) 소의 반추위 메타게놈에서 유래된 신규의 만난아제 유전자 및 이로부터 코딩되는 단백질
CN108456667B (zh) 一种木聚糖酶及其编码基因和它们的应用
Li et al. Cloning, heterologus express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thermophilic and salt tolerant GH11 xylanase from Allostreptomyces psammosilenae YIM DR4008 T
Zhang et al. Screening and identification of an Enterobacter ludwigii strain expressing an active β-xylosidase
JP5166812B2 (ja) 繊維性多糖類分解酵素、それをコードする遺伝子、繊維性多糖類分解酵素の生産方法、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微生物
KR101455720B1 (ko) 다효소기능을 가지는 신규 자일로시다아제 krict pxd2
KR101454889B1 (ko) 신규한 자일로시다아제 krict px d4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