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9654A - 단자부 회로 케이스 - Google Patents

단자부 회로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9654A
KR20110009654A KR1020107021501A KR20107021501A KR20110009654A KR 20110009654 A KR20110009654 A KR 20110009654A KR 1020107021501 A KR1020107021501 A KR 1020107021501A KR 20107021501 A KR20107021501 A KR 20107021501A KR 20110009654 A KR20110009654 A KR 20110009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unting member
terminal mounting
pin
mount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1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츠기오 암보
카츠지 시마자와
요시카즈 타나카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덴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덴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덴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09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6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핀 단자의 케이싱에 대한 고정을 확실하게 또한 간이하게 행한다. 핀 단자(2)를 고정한 단자장착부재(3)를, 케이싱 내측으로부터 장착구멍(5) 내에 핀 단자의 돌출방향과 평행한 방향 X으로 소정량 삽입하면,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부(3b)는 장착구멍(5)에 형성된 고정부(5a)의 측방을 빠져나가고, 스토퍼(3d)가 장착구멍(5)의 입구부에 접촉하여 단자장착부재(3)의 그 이상의 전진이 규제된다. 단자장착부재(3)의 삽입 후에,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장착부재(3)를 삽입방향 X과 직교하는 방향 Y으로 횡이동시킴으로써, 돌기부(3b)의 갈고리부(3c)는 고정부(5a)의 원호부(5b)에 딸깍하는 소리를 내며 고정되어, 단자장착부재(3)의 X방향 및 Y방향으로의 복귀가 규제된다.

Description

단자부 회로 케이스{CIRCUIT CASE WITH TERMINAL}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차량 등의 전기회로에서 사용되는 단자부(端子付) 회로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에 있어서는, 각종 전자기기의 배선을 정리하여, 상대측 커넥터에 접속하는 전자 유닛이,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알려져 있다. 이 전자 유닛은 일단(一端)을 내장한 전자회로에 접속한 다수의 핀 단자를 케이스 외부를 향해 돌출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 2004-274954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상술한 특허문헌 1에서는, 다수의 핀 단자를 케이스에 확실히 고정하기 위해, 복잡한 기구를 채용하고 있어, 비용이 상승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다수의 핀 단자의 케이스에 대한 고정을 확실하게 또한 간이하게 행할 수 있는 단자부 회로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자부 회로 케이스는, 케이싱 내에 회로기판을 수납하고, 이 회로기판에 접속한 다수의 핀 단자의 전단부(前端部)를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하며, 상기 전단부를 상대측 커넥터와 접속하는 단자부 회로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핀 단자를 단자장착부재에 병렬하여 고정하고, 이 단자장착부재를 상기 케이싱에 마련된 장착구멍에 상기 핀 단자의 상기 돌출방향과 평행하게 전방으로 삽입하고, 삽입 후에 상기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횡(橫)이동하여, 상기 단자장착부재를 상기 장착구멍에 대해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른 단자부 회로 케이스에 의하면, 핀 단자를 끼워 붙인 단자장착부재를 케이스의 장착구멍에 대해 횡이동에 의해 고정하여, 확실한 고정을 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단자장착부재에 장착된 핀 단자는, 케이싱에 확실히 고정되어, 상대측 커넥터의 수단자(受端子)로부터 불시에 비틀림력 등이 가해져도, 핀 단자의 자세가 불안정하게 되는 경우는 없다.
또한, 단자장착부재의 고정 후에, 고정부재가 정규 위치에 장착되어 있음을 눈으로 보고 확인하도록 하면, 단자장착부재는 소정 위치에 확실히 고정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의 단자부 회로 케이스의 전방에서 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후방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핀 단자의 사시도.
도 4는 핀 단자의 단면도.
도 5는 단자장착부재의 전방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후방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핀 단자를 단자장착부재에 끼워 붙인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케이싱에 마련된 장착구멍의 사시도.
도 9는 단자장착부재를 장착구멍에 끼워 붙이는 상태의 일부를 자른 사시도.
도 10은 고정부재의 사시도.
도 11은 단자장착부재를 케이스에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12는 단자정렬부재의 사시도.
본 발명을 도시된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의 케이싱의 덮개부를 벗겨, 전방에서 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후방에서 본 사시도를 나타내며, 합성수지제의 케이싱(1)의 벽부 부근에 다수 개의 핀 단자(2)가 합성수지제의 단자장착부재(3)에 고정되고, 단자장착부재(3)는 케이싱(1)의 장착구멍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1)의 내부에서 핀 단자(2)의 후단부는 단자정렬부재(4)를 통해 정렬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핀 단자(2)는, 1매의 금속판을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어서 핀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전단부(2a), 후단부(2b)의 선단은 송곳 모양으로 되고, 중간부에 노치에 의해 구성되는 고정부(2c)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들 핀 단자(2)는 케이싱(1)에 고정되는 위치에 따라, 그 길이가 다르도록 되고 있다.
또한, 핀 단자(2)는 접어서 제작하는 이외에, 예를 들면, 봉(棒) 형상의 선재(線材)를 소정 길이로 절단하고, 그 후에 상기와 같은 단부(端部) 형상이나 중간부의 노치를 마련해도 된다.
도 5는 단자장착부재(3)의 전방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예를 들면, 직방체(直方體)로 구성되는 단자장착부재(3)에는, 다수의 단자삽입통과구멍(3a)이 2단으로 또한 병렬로 마련되어 있다. 이 단수(段數)는 1단이라도 복수 단이라도 되지만, 모든 단자를 1 공정으로 균등하게 절곡함을 고려하면, 2단 정도로 함이 바람직하다.
단자장착부재(3)의 전부(前部)의 상하부에는, 복수 개의 돌기부(3b)가 간헐적으로 병설하여 형성되며, 이 돌기부(3b)의 일부에는 갈고리부(3c)가 형성되고, 또한, 후부(後部)의 상하부에는 벽 형상의 전방 멈춤턱이 되는 스토퍼(3d)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 단자(2)를 단자장착부재(3)의 단자삽입통과구멍(3a)에 각각 삽입해, 고정부(2c)를 단자삽입통과구멍(3a) 내에 고정하여, 전단부(2a) 및 후단부(2b)를 소정 위치에 일치시킨다. 그 후에, 핀 단자(2)의 후단부(2b)는 상방의 직각방향으로 절곡된다. 또한, 핀 단자(2)는 절곡하고 나서 단자장착부재(3)에 삽입해도 된다. 혹은, 복수 개의 핀 단자(2)를 병렬로 늘어놓은 상태로, 핀 단자(2)의 중앙부의 주위에 사출 성형에 의해 단자장착부재(3)를 성형해도 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1) 전방 벽부의, 예를 들면, 좌우 2군데, 상하 2군데, 합계 4군데에는, 각각 단자장착부재(3)를 고정하기 위해, 단자장착부재(3)의 횡방향 길이보다 약간 긴 장착구멍(5)이 마련되어 있다. 이들 장착구멍(5)의 상하면에는, 단자장착부재(3)의 돌기부(3b)를 통과시키기 위한 간격을 가짐과 아울러, 돌기부(3b)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 개의 고정부(5a)가 간헐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8에 있어서의 좌우의 장착구멍(5)은 좌우로 대칭형이 되며, 이들 장착구멍(5)에 삽입하는 단자장착부재(3)도 좌우로 대칭인 형상이 되어 있다. 도 9는 좌측의 장착구멍(5)에 상응한 단자장착부재(3)를 삽입하는 경우의 설명도를 나타내고 있다. 장착구멍(5)의 각(各) 고정부(5a)의 한쪽 편에는, 단자장착부재(3)의 돌기부(3b)에 대한 결합수단으로서, 돌기부(3b)의 갈고리부(3c)에 결합하기 위해 전방으로 팽출한 원호부(5b)가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있어서의 좌측의 장착구멍(5)에 단자장착부재(3)를 삽입하는 경우에, 장착구멍(5)의 고정부(5a)끼리의 간격에, 단자장착부재(3)의 돌기부(3b)를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방향으로 전방을 향해 통과시켜 스토퍼(3d)가 장착구멍(5)의 입구부에 접촉할 때까지 삽입한다. 다음으로, 단자장착부재(3)를 Y방향으로 횡이동시키면,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부(3b)의 갈고리부(3c)가 고정부(5a)의 원호부(5b)를 넘어감으로써 결합한다.
이와 같이, 돌기부(3b), 고정부(5a)에는, 서로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을 형성함으로써, 더 확실한 장착이 가능해져, 단자장착부재(3)가 X, Y방향의 이동방향을 거꾸로 되돌아오지 않도록 규제할 수 있다. 이 결합수단은 1군데 장착구멍(5)에 대해, 적어도 1군데 있으면 되지만, 여러 군데에 형성함으로써, 단자장착부재(3)의 X, Y방향의 복귀 이동을 서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5a)의 원호부(5b)는 필요 불가결한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고정부재를 장착함에 의해, 조립 후에 단자장착부재(3)는 Y방향으로 되돌아가는 것이 규제되므로, 생략해도 된다.
횡이동 후의 장착구멍(5)에서는, 장착구멍(5)의 좌단(左端), 우단(右端) 중 어느 한쪽에, 공간이 발생해 있다. 이 공간에, 도 10(a)에 나타내는 직방체로 구성되는 고정부재(6a)를 삽입함으로써, 단자장착부재(3)의 횡이동, 즉, Y방향의 복귀 이동을 더 확실히 규제함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에, 상하 공간에 동시에 삽입하기 위한, (b)에 나타내는 고정부재(6b)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좌우의 단자장착부재(3)는 이들 간격이 커지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횡이동하므로, 좌우의 장착구멍(5)에서는 중앙측에 공간이 발생해 있다. 따라서 좌우의 장착구멍(5)에 발생한 2개의 공간을 동시에 삽입하기 위한 도 10(c)에 나타내는 고정부재(6c), 또는 4개의 공간에 동시에 삽입하기 위한 (d)에 나타내는 고정부재(6d)를 사용하면, 장착작업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고 있지만, 장착구멍(5), 고정부재(6)의 외연(外緣)에 표지를 형성함으로써, 적정한 지점, 위치에, 확실히 단자장착부재(3), 고정부재(6)가 장착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1은 핀 단자(2)를 고정한 단자장착부재(3)를 케이싱(1)에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상방으로 구부려진 핀 단자(2)의 후단부(2b)는, 도 12에 나타내는 핀 단자(2)마다 다수의 정렬구멍(4a)을 가지는 단자정렬부재(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방을 향해 절곡된 핀 단자(2)의 후단부(2b)는,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으로 배치된 단자정렬부재(4)에 대해 상방을 향해 삽입통과되어, 어떤 단자장착부재(3)에 장착된 핀 단자(2)라도, 그 후단부(2b)의 상단은 소정 위치에 일치되어 있다.
또한, 단자정렬부재(4)의 일부에는, 끼워 붙인 후의 단자장착부재(3)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고정부재(6e)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한 좌우의 단자장착부재(3)에 의해 발생한 공간 내에 고정부재(6e)를 각각 끼워 맞춤으로써,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별체(別體)의 고정부재(6)를 사용함이 없이, 장착구멍(5)에 고정된 단자장착부재(3)의 각각의 횡이동이 되돌아오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6e)를 단자정렬부재(4)에 부설함이 없이, 단자정렬부재(4)를 장착구멍(5)에 고정한, 상술한 고정부재(6a∼6d)의 후단부에 접촉시킴으로써, 고정부재(6a∼6d)의 고정을 행할 수 있다.
단자정렬부재(4)는,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부 및 중앙부를 케이싱(1)에 삽입함과 아울러, 케이싱(1)의 지지부(1a)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단자정렬부재(4)에 의해 정렬된 핀 단자(2)의 후단부(2b)의 상단은, 케이싱(1) 내에 수납되는 회로기판의 회로 패턴에 땜납 등에 의해 접속된다.
상하의 단자장착부재(3)의 핀 단자(2)의 전단부(2a)는, 일괄하여 케이싱(1)의 소정 위치로부터 외부로 정연하게 돌출되어, 상대측 커넥터의 수단자에 대응해서 접속을 행할 수 있다. 케이싱(1)의 외부에는, 핀 단자(2)의 전단부(2a)를 보호함과 아울러, 상대측 커넥터의 가이드가 되는 통 모양의 가이드부(7), 및 그 내부에 판체부(板體部)(8)가 우측과 좌측의 단자장착부재(3)마다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단자장착부재(3)에 장착된 핀 단자(2)는, 케이싱(1)에 확실히 고정되어, 상대측 커넥터의 수단자로부터 불시에 비틀림력 등이 가해져도, 핀 단자(2)의 자세가 불안정하게 되는 경우는 없다.
또한, 단자장착부재(3)의 고정 후에, 고정부재(6)가 정규 위치에 장착되어 있음을 눈으로 보고 확인함으로써, 단자장착부재(3)는 소정 위치에 확실히 고정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장착구멍(5)을 복수 개 마련하고 있지만, 하나라도 되며, 단자정렬부재(4)는 필요 불가결한 것도 아니다.
1 케이싱
2 핀 단자
3 단자장착부재
3a 단자삽입통과구멍
3b 돌기부
3c 갈고리부
3d 스토퍼
4 단자정렬부재
4a 정렬구멍
5 장착구멍
5a 고정부
5b 원호부
6a∼6e 고정부재
7 가이드부

Claims (7)

  1. 케이싱 내에 회로기판을 수납하고, 이 회로기판에 접속한 다수의 핀 단자의 전단부(前端部)를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하며, 상기 전단부를 상대측 커넥터와 접속하는 단자부 회로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핀 단자를 단자장착부재에 병렬하여 고정하고, 이 단자장착부재를 상기 케이싱에 마련된 장착구멍에 상기 핀 단자의 상기 돌출방향과 평행하게 전방으로 삽입하고, 삽입 후에 상기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횡(橫)이동하여, 상기 단자장착부재를 상기 장착구멍에 대해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부 회로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장착부재의 상하부에 돌기부를 형성하며, 상기 단자장착부재의 상기 삽입에 의해 상기 돌기부는 상기 장착구멍에 마련된 고정부의 측부(側部)를 빠져나가고, 상기 횡이동에 의해 상기 돌기부를 상기 고정부에 고정함으로써, 후방으로의 복귀를 규제함과 아울러, 상기 횡이동의 복귀를 규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부 회로 케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장착부재의 후부에 벽 형상의 스토퍼를 형성하며, 상기 단자장착부재를 상기 장착구멍에 삽입함에 있어 상기 단자장착부재가 소정량 삽입된 때에 상기 스토퍼가 상기 장착구멍의 입구부에 닿아, 상기 단자장착부재의 그 이상의 전방으로의 삽입을 규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부 회로 케이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횡이동한 단자장착부재와 상기 장착구멍 사이의 공간에 고정부재를 결합하여, 상기 단자장착부재의 상기 횡이동의 복귀를 규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부 회로 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 단자는 단자정렬부재에 형성한 다수의 정렬구멍에 각각 삽입통과되어 정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부 회로 케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정렬부재에, 횡이동한 상기 단자장착부재의 복귀를 규제하는 고정부재를 일체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부 회로 케이스.
  7.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끼워 붙임을 눈으로 보고 확인함으로써, 상기 단자장착부재가 상기 장착구멍에 정확히 장착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단자부 회로 케이스.
KR1020107021501A 2008-04-28 2009-04-13 단자부 회로 케이스 KR201100096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16642 2008-04-28
JP2008116642A JP2009268291A (ja) 2008-04-28 2008-04-28 端子付回路ケー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654A true KR20110009654A (ko) 2011-01-28

Family

ID=41254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1501A KR20110009654A (ko) 2008-04-28 2009-04-13 단자부 회로 케이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9268291A (ko)
KR (1) KR20110009654A (ko)
CN (1) CN102017347B (ko)
WO (1) WO20091337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43793B2 (ja) * 2010-01-28 2014-07-09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
CN103078219A (zh) * 2011-10-25 2013-05-01 鸿富锦精密工业(武汉)有限公司 连接器固定装置
JP6738245B2 (ja) * 2016-09-02 2020-08-12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コネクタ
JP6701526B2 (ja) * 2016-12-09 2020-05-27 住友電装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のハウジング、基板用コネクタ及びケース付き基板用コネクタ
CN207490135U (zh) * 2017-07-05 2018-06-12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器和连接器组件
JP6817272B2 (ja) * 2018-11-20 2021-01-20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815A (ja) * 1996-06-26 1998-01-13 Yazaki Corp ブロック取付構造
JP3977177B2 (ja) * 2002-07-09 2007-09-19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におけるリレーブロックの取付構造
JP3954977B2 (ja) * 2003-03-11 2007-08-08 矢崎総業株式会社 電子ユニット
CN1301066C (zh) * 2004-11-22 2007-02-21 广东省农业科学院农业生物技术研究所 一种黑米抗氧化活性物质的工业化制备方法
JP2006294311A (ja) * 2005-04-06 2006-10-26 Smk Corp ハウジングへの端子類の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268291A (ja) 2009-11-12
WO2009133768A1 (ja) 2009-11-05
CN102017347A (zh) 2011-04-13
CN102017347B (zh) 201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5438B1 (ko) 보드-대-보드 커넥터
US9711897B2 (en) UVA battery connector
KR102133426B1 (ko) 플로팅 커넥터 장치
JP6199666B2 (ja)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5360271B1 (ja) 電気コネクタ
US7273382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20110009654A (ko) 단자부 회로 케이스
JP2010097724A (ja) 基板対基板コネクタ
US8113887B2 (en) Card connector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00113545A (ko) 전기커넥터 부착 회로기판용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한 전자유닛
US20200343660A1 (en) Connector
KR102259007B1 (ko) 로우 프로파일 회로 보드 커넥터
US6457980B2 (en)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KR101326395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장치
JP2011076755A (ja)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JP2008004400A (ja) コネクタ
KR101452626B1 (ko) 회로기판 수직 접속용 커넥터 조립체
JP2010272295A (ja) ループコネクタ及び閉回路形成コネクタ
KR200431623Y1 (ko) 기판 연결용 커넥터
JP5074999B2 (ja) 電気コネクタ付回路基板用ケース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ユニット
JP2007151296A (ja) コネクタ付基板
JP2012199106A (ja) コネクタ
KR101846202B1 (ko) 복수 커넥터를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
JP5521845B2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JP2016218165A (ja) Fot及び光通信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