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9349A - 피그 - Google Patents

피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9349A
KR20110009349A KR1020090066705A KR20090066705A KR20110009349A KR 20110009349 A KR20110009349 A KR 20110009349A KR 1020090066705 A KR1020090066705 A KR 1020090066705A KR 20090066705 A KR20090066705 A KR 20090066705A KR 20110009349 A KR20110009349 A KR 20110009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g
foamed
pipe
coupling
pi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6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연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세아프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세아프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세아프로텍
Priority to KR1020090066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9349A/ko
Publication of KR20110009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3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3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6Pigs or moles, i.e. devices movable in a pipe or conduit with or without self-contained propulsion means
    • F16L55/28Constructional aspects
    • F16L55/30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propulsion means, e.g. towed by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 B08B2209/027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 B08B2209/04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2209/053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being moved along the pipes by a fluid, e.g. by fluid pressure or by suction
    • B08B2209/055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being moved along the pipes by a fluid, e.g. by fluid pressure or by suction the cleaning devices conforming to, or being conformable to, substantially the same cross-section of the pipes, e.g. pigs or m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1/00Uses or applications of pigs or moles
    • F16L2101/10Treating the inside of pipes
    • F16L2101/12Clea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그에 관한 것으로서, 발포피그와 축형피그를 서로 접목시켜 경제성을 향상하고 배관에 대한 클리닝 효과를 최대화한 피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배관의 내부를 클리닝하는 피그에 있어서,나란하게 복수로 배열되며, 각각의 내부에는 전,후 관통된 파이프공이 형성된 발포피그(foam pig);상기 발포피그의 파이프공을 통과하여 복수의 발포피그를 결합시킨 중공의 결합 파이프;상기 결합 파이프 중, 발포피그 사이에 결합되어 배관의 내주면을 스케일링하는 스케일링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피그를 제공한다.
발포피그,축형피그,접목,파이프공,결합파이프,차폐판,스페이서,균압공

Description

피그{pig}
본 발명은 피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중공을 형성하여 제조원가를 절감시킨 발포형 피그와, 스케일링 부재가 설치된 축형피그를 접목시킨 피그에 관한 것이다.
국내 상,하수도의 고품질화 정책에 따라 상,하수도 배관 설비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엄격한 수질 관리 및 효과적인 유송배관의 관리를 위한 유송 시스템의 발전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한 가운데서도 계속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유송배관 내부에 형성된 스케일이나 이물질 퇴적의 문제이다.
수질은 계속 향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송배관 내부에 형성된 물때의 퇴적으로 인한 슬라임(slime) 슬러지(sludge)와 악성 산화 스케일, 즉, 녹 덩어리의 형성을 저지하기 위해 온갖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스케일층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두꺼워지기 때문에 유체의 원활한 흐름을 방해하여 유송압을 상승시키며 압송 펌프의 동력에너지 손실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으며, 유송배관의 내주면에 퇴적된 스케일이 유체에 녹아들게 되어 유체를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이때, 상기한 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피그를 유송배관 내에 투입하여 유송배관의 내부를 클리닝 시킨다.
이하,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피그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피그는 구조를 기준으로 볼 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개의 금형속에 폴리우레탄 액을 발포시켜 성형한 발포피그(foam pig)(1)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단관 위에 신축성이 거의 없는 경질의 원판이나 컵형태의 판 등을 고정시켜 상기 원판 또는 컵 형태의 판으로 하여금 배관의 내부를 클리닝 하게하는 축형 피그(shaft pig 또는 mandrel pig)(2)로 구분된다.
이때, 발포피그(1)는 신축성이 좋은 한 몸체로서, 배관 내벽과의 마찰 면적이 넓고 마찰력이 높아 녹덩어리 스케일 제거에 주로 사용된다.
이때, 발포피그(1)의 경도는 일반 스폰지 경도의 수 배에 이르는 형태가 있으며, 발포피그(1)의 표면에 엘라스토머를 코팅하거나 브러쉬 등을 설치하여 클리닝 효과를 향상시킨 제품도 있다.
그리고, 축형피그(2)는 배관 내벽과의 마찰 면적이 좁기 때문에, 배관 내부의 스케일 제거 보다는 송유관 내의 다른 유체를 분리 유송시키거나 압축 가스에 의해 유체를 비워내는 용도 등에 사용된다.
이때, 축형피그(2)는 원판 등의 마모시 원판만의 교체가 가능하고, 몸체는 그대로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피그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전술한 종래의 피그(1,2)는 그 사용 용도가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직경이 1~3m나 되는 대형 배관에는 거의 사용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왜냐하면, 제작비용이 높고, 제작 기술적 측면의 어려움과 경제성 측면에서 이익이 없기 때문이다.
이하, 종류별로 각각의 문제점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첫째, 발포피그(1)는 표면으로 하여금 배관의 내주면에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하여 클리닝을 하는데,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발포피그(1)는 직경이 배관의 내경에 비해 약 1~3% 크도록 제작된다.
이에 따라, 발포피그(1)가 배관 내부를 오랜기간 동안 주행한 후에는, 확대 치수 부분이 마모되어 마찰력이 상실되며, 그 순간부터 피그의 클리닝 기능이 없어지게 된다.
즉, 발포피그(1)의 두께가 1~3% 정도 마모되면 클리닝 효과가 상실되어, 발포피그(1) 전체가 폐기되는 바, 이로 인해 버려지는 재료의 양이 엄청나게 큰 것이다.
따라서,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대형 사이즈를 제조하기 위한 발포작업은 생산 기술 측면에서 대단히 어려울 뿐만 아니라, 한 번의 발포 실패로 인해 불량제품이 되기 때문에, 발포 실패에 따른 생산 손실이 막대하게 되어 엄청난 생산의 위험부담을 안게 되는 것이다.
둘째, 발포피그(1)의 클리닝 효과는 발포피그(1) 표면과 배관 내벽의 마찰력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 마찰력의 증가를 위해 탄성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발포피그(1) 전체의 밀도를 높이는 것이 불가피하다.
이때, 발포피그(1) 전체의 밀도를 올리는 것은 발포 재료비의 증가를 야기시킨다.
이에 따라, 발포 원재료 양이 늘게 되므로,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셋째, 축형 피그(2)에 설치된 원판이나 컵 형태의 판은 10~30mm정도 두께의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파이프 단관위에 일체 몰링형으로 만들어지는데, 이와 같은 제조 비용은 대단히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게다가, 대형의 축형피그(2) 경우에는 금형비가 비쌀 뿐만 아니라, 생산 기술이 어려운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케일 제거의 효과가 높은 발포형 피그에 중공을 형성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상기 발포형 피그에 부분 교체가 가능한 축형 피그를 접목시켜 경제성 및 스케일링 제거에 대한 효율성을 극대화한 피그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배관의 내부를 클리닝하는 피그에 있어서, 나란하게 복수로 배열되며, 각각의 내부에는 전,후 관통된 파이프공이 형성된 발포피그(foam pig);상기 발포피그의 파이프공을 통과하여 복수의 발포피그를 결합시킨 중공의 결합 파이프;상기 결합 파이프 중, 발포피그 사이에 결합되어 배관의 내주면을 스케일링하는 스케일링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피그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결합 파이프 중, 발포피그 사이에는 균압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파이프의 선단부에는 차폐판이 설치되어 맨 전방의 발포피그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차폐판에는 견인 고리가 더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케일링 부재는, 원판 스크레이퍼, 와이어 브러쉬, 후방을 향해 요홈을 제공하는 컵 형태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형태는, 나란하게 복수로 배열되며, 각각의 내부에는 전,후 관통된 파이프공이 형성된 발포피그; 각 발포피그의 파이프공에 각각 설치된 중공의 결합파이프; 맨 전방의 발포피그에 설치된 결합파이프 선단부에 설치되되 상기 발포피그 전면에 배치되며, 견인고리가 설치된 차폐판; 상기 발포피그의 마주하는 대향면에 배치되며, 결합파이프를 발포피그에 결합시키는 스페이서; 상기 각각의 스페이서에 설치되며, 발포피그를 상호간에 연결시키는 유니버셜 조인트:를 포함하되, 상기 스페이서에는 결합파이프와 연통된 균압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그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형태는, 나란하게 복수로 배열되며, 각각의 내부에는 전,후 관통된 파이프공이 형성된 발포피그;각 발포피그의 파이프공에 각각 설치된 중공의 결합파이프;맨 전방의 발포피그에 설치된 결합파이프 선단부에 설치되되 상기 발포피그 전면에 배치되며, 견인고리가 설치된 차폐판;상기 각 발포피그의 전,후면에 배치되어 결합파이프를 발포피그에 결합시키는 스페이서;상기 차폐판으로부터 결합파이프를 통과하여 맨 후방의 스페이서에 연결되어 복수의 발포피그를 결합시킨 와이어 로프:를 포함하되,상기 스페이서에는 결합파이프와 연통된 균압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그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축형피그와 발포피그의 기능을 서로 접목시킴으로써, 축형피그가 갖는 부분 교체에 대한 장점과, 발포피그가 갖는 클리닝에 대한 장점을 모두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발포피그의 내부에 파이프공이 형성됨으로써, 그 파이프공 만큼의 발포 체적에 해당하는 폴리우레탄의 재료비가 줄어들어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직경이 500mm를 초과하는 대형 사이즈 일수록, 소요되는 원료비는 더 크게 절감될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이 획기적으로 절감될 수 있는 결과를 가져온다.
셋째, 발포피그의 파이프공에 결합파이프가 끼워져 발포피그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적은량의 발포 재료가 사용되었다 하더라도, 배관내벽에 대한 밀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배관 내벽에 대한 마찰력이 최대화되어 배관의 클리닝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넷째, 전면에 설치된 차폐부에 견인 고리가 설치됨으로써, 시공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즉, 피그는 통상 압축수 또는 압축 공기에 의해 압송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피그는, 견인 고리에 와이어 로프를 걸어 윈치(winch)로 당기면서 배관의 내벽을 클리닝될 수 있으므로, 압송을 위한 업청난 폐수처리, 초대용량의 펌프, 에어콤프레셔 등 대형 압송 설비가 필요치 않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그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피그는 배관 내벽을 스케일링 하며, 발포피그(foam pig)(100)와, 결합 파이프(200)와, 스케일링 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발포피그(100)는 배관 내벽에 마찰되어 배관 내벽에 퇴적된 스케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발포피그(100)는 배관의 내경에 대응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되, 발포피그(100)의 직경은 배관 내벽의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된다.
이는, 배관 내벽에 대한 발포피그(100)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이때, 발포피그(100)의 재질은 폴리우레탄으로서, 상기 발포피그(100)는 한 개의 금형속에 폴리우레탄 액을 발포하여 성형된 제품이다.
이때, 발포피그(100)의 내부에는 전,후를 관통하는 파이프공(110)이 형성된다.
상기 파이프공(110)은 발포피그(100)를 성형하는데 소요되는 원재료의 양을 줄이기 위함과 더불어, 후술하는 결합파이프가 설치되는 부위이다.
한편, 상기 발포피그(100)는 복수 개가 제공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두 개의 발포피그(100)가 제공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결합파이프(200)는 복수의 발포피그(100)를 결합시키는 역할과 더불어, 발포피그(100)를 지지하여 밀도를 높임으로써 발포피그(100)의 마찰력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파이프(200)는 중공(中空)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발포피그(100)에 형성된 파이프공(110)을 통과하여 설치된다.
이때, 결합파이프(200)의 일단부에는 차폐판(210)이 설치된다.
상기 차폐판(210)은 결합파이프(200)의 일단을 차폐하여 유체로 하여금 압력이 가해지도록 한 부위이며, 발포피그(100)의 전면에 배치되어 결합파이프(200)가 발포피그(100)에 걸려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차폐판(210)은 피그의 선단부에 배치되며, 결합파이프(200)에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폐판(210)에는 견인고리(211)가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견인고리(211)는 와이어 로프 등의 견인 부재가 걸리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서, 유체가 아닌 견인 장치에 의해 피그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결합 파이프(200)에는 균압공(220)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균압공(220)은 유체가 결합파이프(200)의 내부 및 외부를 드나드는 곳으로서, 결합파이프(200)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발포피그(100) 사이에 유입되도록 하여 후술하는 스케일링 부재 및 발포피그(100)의 후면에 유체의 압력이 가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스케일링 부재(300)는 발포피그(100)와 더불어 배관의 내벽을 클리닝 하는 역할을 하며, 결합파이프(200)의 둘레면에 결합된다.
이때, 스케일링 부재(300)는 결합파이프(200)의 둘레면 중, 발포피그(100) 사이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스케일링 부재(300)는 복수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며, 균압공(220)의 전방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스케일링 부재(300)의 전체 외경은 배관의 내경에 비해 큰 것이 바람직하며, 발포피그(100)의 직경보다 큰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스케일링 부재(300)로 하여금 배관 내벽에 대한 마찰력을 최대화 하기 위함이다.
이때, 스케일링 부재(300)의 재질은 휘어짐이 가능한 재질이기 때문에, 스케일링 부재(300)의 직경이 배관의 내경에 비해 크더라도, 피그의 압송에 있어서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한편, 상기 스케일링 부재(300)의 형태는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첨부된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 형태의 스크레이퍼(310)로 구성되거나, 가장자리에 와이어 브러쉬(320)가 설치되어 있거나, 컵 형태의 판(330)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컵 형태로 구성된 판(330)의 구성은 요홈 부분이 유체가 진행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유체의 압력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미설명 부호 400은 스페이서로서 결합파이프(200)의 둘레면에 탈착되어 상기 결합파이프(200)를 발포피그(100)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스페이서(400)는 중공의 원판형태로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피그의 결합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어느 하나의 발포피그(이하 '전방발포피그'라 함:100A)에 결합파이프(200)를 결합시킨다.
이때, 결합파이프(200)는 발포피그(100)의 파이프공(110)을 통과하게 되고, 결합파이프(200)의 일단부에 설치된 차폐판(210)은 전방발포피그(100A)의 전면에 걸리게 된다.
이후, 스페이서(400)를 결합파이프(200)에 끼워 전방발포피그(100A)의 후면에 밀착시킴으로써 결합파이프(200)와 전방발포피그(100A)는 서로 결합된다.
다음으로, 스케일링 부재(300)를 전방발포피그(100A)의 후방으로 노출된 결합파이프(200)에 결합시킨다.
이때, 스케일링 부재(300)는 결합파이프(200)의 중간 부위에 배치되되, 균압공(220)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결합된다.
다음으로, 다른 하나의 발포피그(이하 '후방발포피그'라 함:100B)를 결합파이프(200)에 결합시킨다.
이때, 후방발포피그(100B)는 전방발포피그(100A)의 후방에 배치된다.
이후, 스페이서(400)를 이용해 후방발포피그(100B) 역시 결합파이프(200)에 고정시킨다.
이로써, 피그에 대한 결합이 완료되며,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파이프(200)의 내부는 피그의 후방에 노출된 상태가 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결합이 완료된 피그를 클리닝 하고자 하는 배관의 내부에 투입시킨다.
이때, 발포피그(100)와 스케일링 부재(300)는 배관의 내부에 압착된다.
이후, 피그의 후방으로부터 유체가 들어오고, 그 유체는 결합파이프(200)의 후방을 통해 결합파이프(20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후, 상기 유체는 차폐판(210)에 압력을 가하여 피그가 압송되도록 한다.
이때, 결합파이프(200)를 통해 유입된 유체의 일부는 상기와 같이 차폐판(210)을 가압하며, 유체의 나머지는 균압공(220)을 통해 토출되어 전방발포피그(100A)의 후면 및 스케일링 부재(300)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피그에 대한 압송 효율을 높아지게 된다.
만약, 균압공(220)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라면, 유체는 차폐판(210)만을 가압 하여 피그를 압송시킴으로써, 피그에 대한 압송 효율이 떨어졌을 것이다.
이후, 압송되는 발포피그(100) 외주면 및 스케일링 부재(300)는 배관의 내주면에 퇴적된 스케일을 긁어 내면서 배관을 클리닝 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피그는 곡관 형태의 배관을 지날때에, 다소 무리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즉, 곡관을 지나기 위해서는 피그가 곡관의 곡률을 따라, 원활하게 휘어져야 하는 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그는 일직선으로 이루어진 결합파이프(200)로 인해 곡관을 클리닝 할 때에는 효율성이 떨어졌다.
이때, 곡관의 형태로 이루어진 배관을 클리닝 할 때에도,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포피그(100)의 연결부위가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시하며 첨부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부호를 병기하도록 한다.
복수의 발포피그(100)가 제공되고, 각각의 발포피그(100)에는 결합파이프(200)가 각각 설치된다.
이때, 전방발포피그(100A)의 파이프공(110)은 차폐판(210) 및 스페이서(400)에 의해 차폐된다.
이때, 전방발포피그(100A)의 후면에 결합된 스페이서(400)에는 균압공(220) 이 형성된다.
그리고, 후방발포피그(100B)의 전면 및 후면에는 각각 스페이서(400)가 설치된다.
이때, 후방발포피그(100B)의 전면에 설치된 스페이서(400)는 결합파이프(200)의 내부를 차폐하되, 상기 스페이서(400)에는 균압공(220)이 형성된다.
그리고, 후방발포피그(100B)의 후면에 설치된 스페이서(400)는 결합파이프(200)를 후방발포피그(100B)에 결합시키되, 결합파이프(200)의 내부를 차폐시키지는 않는다.
이때, 각각의 발포피그(100)는 유니버셜 조인트(50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 유니버셜 조인트(500)는 전방발포피그(100A) 후면의 스페이서(400)와, 후방발포피그(100B) 전면의 스페이서(400)를 연결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피그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후방발포피그(100B)에 설치된 결합파이프(200)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고 상기 유체는 스페이서(400)의 균압공(220)을 통해 전방으로 빠져 나간다.
이후, 유체는 전방발포피그(100A) 후면을 가압함과 더불어, 균압공(220)을 통해 전방발포피그(100A)에 설치된 결합파이프(200) 내부로 유입된다.
이후, 상기 유체는 차폐판(210)을 가압하여, 피그를 전방으로 압송시키게 된다.
이때, 피그는 곡관을 지날 때에도, 유니버셜 조인트(500)의 작용으로 인해 곡관을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피그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발포피그(100)를 와이어 로프(600)를 이용해 연결시킬 수도 있다.
이때, 각 발포피그(100)의 파이프공(110)에는 각각 결합파이프(200)가 설치되고, 각 발포피그(100)의 전면 및 후면에는 차폐판(210) 및 스페이서(400)가 설치된다.
상기 차폐판(210)은 맨 전방에 배치된 발포피그(100)의 전면에 배치되며, 스페이서(400)는 맨 전방에 배치된 발포피그(100)의 전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 설치된다.
이때, 각 스페이서(400)에는 균압공(220)이 형성되어 유체가 결합파이프(2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와이어 로프(600)는 차폐판(210)으로부터 결합파이프(200)를 통과하여 맨 후방에 배치된 발포피그(100) 후면에 결합된 스페이서(400)에 연결된다.
한편, 중간에 배치된 발포피그(100)는 와이어 로프(600) 상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별도의 고정수단(610)에 의해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피그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맨 후방에 배치된 발포피그(100) 후면에 설치된 스페이서(400)의 균압공(220)을 통해 유체가 유입되며, 그 유체는 각 스페이서(400)의 균압공(220)을 거쳐 맨 전방에 배치된 발포피그(100) 전면에 배치된 차폐판(210)을 가압하게 된다.
이때, 유체는 각 스페이서(400)를 가압할 뿐만 아니라, 각 발포피그(100)의 후면을 가압하여 피그를 압송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피그 역시, 복수의 발포피그(100)가 와이어 로프(600)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와이어 로프(600)의 휘어짐에 의해 곡관 통과시 원활하게 압송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지금까지 설명한 피그는 유체에 의해서만 압송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치(winch)와 같은 견인수단에 의해 견인되면서 배관의 내부를 클리닝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는, 차폐판(210)에 견인고리(211)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임은 이해 가능하다.
한편, 피그의 크기는 배관의 내경에 따라 각각 다르게 형성된다.
피그의 직경이 50mm~500mm 정도가 되는 일반적인 크기부터 피그의 직경이 1000mm~3000mm에 이르는 초대형의 크기로 구성된다.
이때, 초대형의 크기로 이루어진 피그는 배관의 내부에 투입되기 위해서는 별도의 운반수단(700)이 요구된다.
상기 운반수단(700)은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그가 안착된 안착판(710)과, 이 안착판(710)의 저면에 설치된 복수의 바퀴(7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안착판(710)은 배관의 곡률을 따라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별도의 운반수단(700)이 제공됨으로써, 초대형의 피그도 배관에 용이하게 투입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발포피그(foam pig)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축형피그(shaft pig)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그를 구성하는 발포피그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그에 설치된 스케일링 부재의 여러 형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그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피그가 견인수단에 의해 견인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초대형 피그ㄹㄹ 배관에 운반시키기 위한 운반수단을 나타낸 측면도 및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발포피그 100A : 전방발포피그
100B : 후방발포피그 110 : 파이프공
200 : 결합파이프 210 : 차폐판
211 : 견인고리 220 : 균압공
300 : 스케일링 부재 310 : 원형 스크레이퍼
320 : 와이어 브러쉬 330 : 컵 형태의 판
400 : 스페이서 500 : 유니버셜 조인트
600 : 와이어 로프 610 : 고정수단
700 : 운반수단 710 : 안착판
720 : 바퀴

Claims (6)

  1. 배관의 내부를 클리닝하는 피그에 있어서,
    나란하게 복수로 배열되며, 각각의 내부에는 전,후 관통된 파이프공이 형성된 발포피그(foam pig);
    상기 발포피그의 파이프공을 통과하여 복수의 발포피그를 결합시킨 중공의 결합 파이프;
    상기 결합 파이프 중, 발포피그 사이에 결합되어 배관의 내주면을 스케일링하는 스케일링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피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파이프 중, 발포피그 사이에는 균압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파이프의 선단부에는 차폐판이 설치되어 맨 전방의 발포피그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차폐판에는 견인 고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그.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링 부재는,
    원판 스크레이퍼, 와이어 브러쉬, 후방을 향해 요홈을 제공하는 컵 형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그.
  5. 나란하게 복수로 배열되며, 각각의 내부에는 전,후 관통된 파이프공이 형성된 발포피그;
    각 발포피그의 파이프공에 각각 설치된 중공의 결합파이프;
    맨 전방의 발포피그에 설치된 결합파이프 선단부에 설치되되 상기 발포피그 전면에 배치되며, 견인고리가 설치된 차폐판;
    상기 발포피그의 마주하는 대향면에 배치되며, 결합파이프를 발포피그에 결합시키는 스페이서;
    상기 각각의 스페이서에 설치되며, 발포피그를 상호간에 연결시키는 유니버셜 조인트:를 포함하되,
    상기 스페이서에는 결합파이프와 연통된 균압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그.
  6. 나란하게 복수로 배열되며, 각각의 내부에는 전,후 관통된 파이프공이 형성된 발포피그;
    각 발포피그의 파이프공에 각각 설치된 중공의 결합파이프;
    맨 전방의 발포피그에 설치된 결합파이프 선단부에 설치되되 상기 발포피그 전면에 배치되며, 견인고리가 설치된 차폐판;
    상기 각 발포피그의 전,후면에 배치되어 결합파이프를 발포피그에 결합시키는 스페이서;
    상기 차폐판으로부터 결합파이프를 통과하여 맨 후방의 스페이서에 연결되어 복수의 발포피그를 결합시킨 와이어 로프:를 포함하되,
    상기 스페이서에는 결합파이프와 연통된 균압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그.
KR1020090066705A 2009-07-22 2009-07-22 피그 KR201100093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705A KR20110009349A (ko) 2009-07-22 2009-07-22 피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705A KR20110009349A (ko) 2009-07-22 2009-07-22 피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349A true KR20110009349A (ko) 2011-01-28

Family

ID=43615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6705A KR20110009349A (ko) 2009-07-22 2009-07-22 피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9349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832B1 (ko) * 2012-05-31 2014-03-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청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청소 방법
KR101592915B1 (ko) * 2014-09-29 2016-02-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파이프라인 검사 및 청소장치
KR20190032912A (ko) 2017-09-20 2019-03-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열교환기용 피그 장치
KR20190063817A (ko)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탑스 피그를 이용한 배관 개조공법
KR20210133589A (ko) * 2020-04-29 2021-11-08 남상훈 관로세척용 피그 및 이를 이용한 관로세척장치
KR20220030061A (ko) * 2020-09-02 2022-03-10 한국수자원공사 회전 피그
US20220305532A1 (en) * 2016-04-29 2022-09-29 Chevron Phillips Chemical Company Lp Cleaning Coke Deposits from Process Equipment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832B1 (ko) * 2012-05-31 2014-03-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청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청소 방법
KR101592915B1 (ko) * 2014-09-29 2016-02-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파이프라인 검사 및 청소장치
US20220305532A1 (en) * 2016-04-29 2022-09-29 Chevron Phillips Chemical Company Lp Cleaning Coke Deposits from Process Equipment
US11571722B2 (en) * 2016-04-29 2023-02-07 Chevron Phillips Chemical Company, Lp Cleaning coke deposits from process equipment
KR20190032912A (ko) 2017-09-20 2019-03-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열교환기용 피그 장치
KR20190063817A (ko)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탑스 피그를 이용한 배관 개조공법
KR20210133589A (ko) * 2020-04-29 2021-11-08 남상훈 관로세척용 피그 및 이를 이용한 관로세척장치
KR20220030061A (ko) * 2020-09-02 2022-03-10 한국수자원공사 회전 피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9349A (ko) 피그
US8051524B2 (en) Multi-diameter elastic sealing module for pigs
US6249927B1 (en) Duct-cleaning unit
CN105370998B (zh) 除结垢复合材料管道及除垢结构及除垢方法
CN105003793B (zh) 防结垢复合材料管道的除垢结构及其使用方法
JP4989576B2 (ja) 水道管の洗浄方法
KR101975401B1 (ko) 배관 클리닝용 피그
KR100881376B1 (ko) 피그
JP2010051885A (ja) ピグ洗浄具及び配管のピグ洗浄方法
CN204974617U (zh) 一种废塑料薄膜的摩擦清洗机
JP2008025283A (ja) 水道管の洗浄方法とこの方法に使用する水道管の洗管ピグ
JP2011104552A (ja) 管路内面の洗浄装置
CN211726821U (zh) 管道清淤疏通装置
CN110593395B (zh) 一种土木工程用管道清污装置
JP4553926B2 (ja) 水道管の洗管ピグ
JP4500334B2 (ja) 水道管の洗管ピグ
KR102460574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장치
JP5016813B2 (ja) 排水管のライニング工法及びその工法に用いるライニング補助具
KR102466379B1 (ko) 관로 세척용 스마트 피그 및 이를 이용한 관로 세척방법
KR20100053872A (ko) 견인식 피그
KR100906681B1 (ko) 압력식 유송배관 시스템
JP3420211B2 (ja) 後押しピグによる管内停止ピグの押し出し方法
EP2280211B1 (en) Multi-diameter elastic sealing module for pigs
KR102598226B1 (ko) 배관 세척용 피그
CN213530048U (zh) 一种用于老旧管道清理的清管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511

Effective date: 2012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