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8407A - 제빙장치 및 이를 갖춘 냉장고 - Google Patents

제빙장치 및 이를 갖춘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8407A
KR20110008407A KR1020090065751A KR20090065751A KR20110008407A KR 20110008407 A KR20110008407 A KR 20110008407A KR 1020090065751 A KR1020090065751 A KR 1020090065751A KR 20090065751 A KR20090065751 A KR 20090065751A KR 20110008407 A KR20110008407 A KR 20110008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ice making
water
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5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6188B1 (ko
Inventor
김지훈
김진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5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6188B1/ko
Priority to US12/659,402 priority patent/US8371139B2/en
Priority to DE102010002888A priority patent/DE102010002888A1/de
Publication of KR20110008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6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6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4Producing ice by using stationary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5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2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 F25C2305/0221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rotating ice mou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6Multiple ice moulds or tray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얼음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물저장유닛의 밸브부재를 수동으로 조절하여 밸브캡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제빙장치 및 이를 갖춘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는 물이 저장되는 저장본체를 가지는 물저장유닛과, 저장본체에 저장된 물의 공급으로 얼음이 제조되는 제빙유닛과, 저장본체에 저장된 물이 제빙유닛으로 공급되는 급수구를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부재와, 급수구를 개방하도록 밸브부재를 이동시키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빙장치 및 이를 갖춘 냉장고{ICE MAK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제빙장치 및 이를 갖춘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빙장치에서 얼음을 제조하기 위한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유닛의 구조를 개선한 제빙장치 및 이를 갖춘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을 저온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서,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음식물이 저장되는 냉동실과, 냉동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음식물이 저장되는 냉장실을 포함한다.
근래에는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추가기능을 갖춘 냉장고가 개발 및 생산되고 있으며, 추가기능 갖춘 냉장고 중 대표적인 것이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저수하여 조각얼음을 제조하고, 이를 저장 및 공급하는 수동식의 제빙장치를 갖춘 냉장고이다.
일반적으로, 수동식의 제빙장치는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유닛과, 물저장유닛에서 저장된 물이 공급되어 얼음이 제조되는 제빙트레이를 가진 제빙유닛과, 제빙유닛으로부터 제조된 얼음이 저장되는 얼음저장용기와, 얼음저장용기에 저장된 얼 음을 사용자가 받을 수 있도록 이송시키는 얼음이송유닛을 포함한다.
하지만, 종래에는 물저장유닛의 장착과 동시에 물이 제빙트레이로 자동으로 물을 공급하게 되어 제빙트레이의 얼음을 미처 이빙하지 못한 경우 물이 넘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제빙트레이가 조립되지 않았을 때 물이 들어 있는 물저장유닛을 조립하게 되면 밸브캡이 자동으로 열려서 물이 바닥에 떨어지는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자동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물저장유닛이 조립된 상태에서는 밸브캡이 개방된 구조가 되어야 하는데, 제빙트레이에 물을 공급하고 미량의 물이 밸브캡에 남아 있는 경우 밸브캡이 개방상태로 결빙되므로 추가로 물저장유닛에 물을 붓는 경우 밸브캡에서 물이 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얼음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물저장유닛의 밸브부재를 수동으로 조절하여 밸브캡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제빙장치 및 이를 갖춘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물저장유닛을 장착한 후 급수를 위하여 개폐레버를 조작한 다음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적으로 닫히도록 하여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빙장치 및 이를 갖춘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는 물이 저장되는 저장본체를 가지는 물저장유닛과, 저장본체에 저장된 물의 공급으로 얼음이 제조되는 제빙유닛과, 저장본체에 저장된 물이 제빙유닛으로 공급되는 급수구를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부재와, 급수구를 개방하도록 밸브부재를 이동시키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개폐부재는 가압되면 밸브부재를 이동시키는 개폐레버를 가지는 누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개폐부재는 회전되면 밸브부재를 이동시키는 개폐레버를 가지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밸브부재는 개폐레버의 이동에 연동되어 이동되는 막대형상의 연동부와, 연동부를 따라서 이동되면서 급수구를 개폐하는 밸브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개폐부재는 개폐레버에 복원력을 가하는 스프링부로 된 탄성복귀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개폐레버에는 기어 형상을 갖는 기어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개폐부재는 기어부에 연결되는 오일댐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개폐레버는 연동부와 접하는 접촉가압부를 포함하며, 연동부는 개폐레버가 이동되면 접촉가압부를 타고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동부는 대략 L자의 막대형상으로 마련되되 어느 일단은 개폐레버에 접하며 다른 일단은 물저장유닛의 바닥 배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동부는 접촉가압부의 가이드면을 타고 이동되는 접촉돌기와, 접촉돌기에서 연장되는 연결막대를 포함하며, 연결막대는 고정부재를 통하여 물저장유닛의 바닥 배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밸브부재는 연동부를 밸브캡에 연결하는 연결부와, 연동부 및 밸브캡에 탄성복원력을 가하는 스프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급수구는 제1급수구와 제2급수구를 포함하며, 밸브부재는 제1급수구를 개폐하는 제1밸브부재와, 제2급수구를 개폐하는 제2밸브부재를 포함하며, 개폐부재는 제1 및 제2밸브부재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개폐레버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물저장유닛은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개폐레버는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빙유닛은 제빙트레이와, 제빙트레이로 공급된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물넘침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밸브부재가 제1방향을 따라서 길게 설치되면 밸브부재를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개폐부재는 제3방향으로 이동되며, 제1방향, 제2방향, 제3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대하여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빙유닛의 하측에는 얼음저장용기와, 얼음저장용기 내에 저장된 얼음을 얼음저장용기에 형성된 얼음배출구로 이송시키는 얼음이송유닛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를 다른 측면에서 본다면 물이 저장되는 저장본체를 가지는 물저장유닛과, 저장본체에 저장된 물의 공급으로 얼음이 제조되는 제빙유닛과, 저장본체에 저장된 물이 제빙유닛으로 공급되는 급수구를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부재와, 사용자의 조작을 통하여 급수구를 개방하도록 밸브부재를 이동시키는 개폐부재와, 개폐부재를 복원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복귀유닛과, 탄성복귀유닛이 상기 개폐부재를 복원시키는 속도를 감소시키는 복귀지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와,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도어의 배면에 마련되며 얼음이 제조되는 제빙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제빙장치는 도어의 배면에 마련된 제빙하우징과, 제빙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물저장유닛을 포함하고, 물저장유닛은 제1 및 제2급수구를 가지는 저장본체와, 제1 및 제2급수구를 개폐하기 위한 막대형상의 제1 및 제2밸브부재 와, 제1 및 제2밸브부재와 각각 접하여 제1 및 제2밸브부재를 승강시키는 개폐레버를 가진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및 제2밸브부재는 각각 개폐레버의 이동에 연동하는 L자형의 연동부와, 연동부를 따라서 급수구를 개폐하는 밸브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개폐부재는 제1 및 제2밸브부재가 어느 일 방향을 따라 승강되게 어느 일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눌림동작에 따라 제1 및 제2밸브부재를 접촉 가압하는 개폐레버를 가지는 누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개폐부재는 밸브부재가 어느 일 방향을 따라 승강되도록 어느 일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동작에 따라 제1 및 제2밸브부재를 접촉 가압하는 개폐레버를 가지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중간격벽(17)에 의해 상호 구획되는 냉동실(20) 및 냉장실(30)을 갖는 본체(10)를 포함한다.
냉동실(20) 및 냉장실(30)은 전면이 개방되며, 상부의 냉동실(20)은 냉동실도어(40)에 의해 개폐되고, 하부의 냉장실(30)은 냉장실도어(50)에 의해 개폐된다.
냉동실(20)의 내측 후방에는 냉동실(20)의 냉각을 위한 냉동실증발기(21)와 냉동실(20)의 냉기순환을 위한 냉동실순환팬(22)이 설치된다. 그리고, 냉동실(20) 내측 후방에는 냉장실(30)의 냉각을 위한 냉장실증발기(31)와 냉장실(30)의 냉기 순환을 위한 냉장실순환팬(32)이 설치된다. 미설명부호 12는 냉동실증발기(21) 및 냉장실증발기(31)에 공급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를 나타낸다.
냉동실도어(40) 및 냉장실도어(50)는 좌우로 회동되어 냉동실(20) 및 냉장실(30)을 개폐할 수 있도록 본체(1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의 냉동실, 냉장실 및 각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배치 및 구조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실도어에는 제빙장치(100)가 마련되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의 일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실시예에 따른 물저장유닛을 저장본체의 저면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레버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100)는 제빙하우징(110)에 설치되는 물저장유닛(200), 제빙유닛(300), 얼음저장용기(400), 얼음이송유닛(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빙장치(100)는 냉동실도어(40)의 배면(41)에 마련되어 냉동실도어(40)를 좌, 우로 구획하는 격벽(42)을 기준으로 좌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빙하우징(110)은 물저장유닛(200), 제빙유닛(300), 얼음저장용기(400), 얼 음이송유닛(500) 등을 지지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하우징(110)은 별도로 분리된 형태로 제작되어 냉동실도어(40)의 배면(41)에 결합되지만, 냉동실도어(40)의 배면(41)과 일체로 되어 냉동실도어(40)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빙하우징(110)은 상측으로 얼음의 제조를 위한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유닛(200)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물저장유닛(200)은 저장본체(210), 저장커버(220), 밸브부재(230,230'), 개폐부재(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저장본체(210)는 물저장유닛(200)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면이 개구된다. 저장본체(210)의 내부에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공간(211,212)이 구비된다. 저수공간(211,212)의 중앙에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구획리브(213)가 구비된다. 구획리브(213)에 의하여 저수공간(211,212)은 제1저수공간(211)과 제2저수공간(212)으로 구획된다. 제1 및 제2저수공간(211,212)에는 후술할 제1 및 제2제빙트레이(310,320)에서 얼음의 1회에 제조에 사용되는 양만큼의 물이 각각 저장된다.
저장본체(210)에는 제1급수구(211a)와 제2급수구(212a)가 형성된다. 제1 및 제2급수구(211a,212a)는 제1 및 제2저수공간(211,212)에 저장된 물을 각각 제1 및 제2제빙트레이(310,320)에 공급한다. 즉, 제1 및 제2급수구(211a,212a)는 각각 제1 및 제2저수공간(211,212)과 연통되도록 저장본체(210)의 바닥(210a) 일부가 상하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이때, 제1 및 제2급수구(211a,212a)는 구획리브(213)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저장본체(210)의 양측면 외측에는 각각 슬라이드부(214)가 구비된다. 슬라이 드부(214)는 제빙하우징(110)의 제1가이드레일(111)과 결합되어 물저장유닛(200)이 착탈될 수 있다. 한편, 저장본체(210)의 전면 외측에는 사용자가 물저장유닛(200)을 원활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손잡이(215)가 형성될 수 있다.
저장본체(210)의 상측에는 제1 및 제2저수공간(211,212)을 개폐하는 저장커버(220)가 마련된다. 저장커버(220)는 저장본체(210)의 크기에 상당하는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저장본체(210)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저장커버(220)의 일면에는 물공급부(221)가 구비된다. 물공급부(221)는 저장커버(22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물공급부(221)를 통하여 급수되는 물이 제1 및 제2저수공간(211,212)에 저장된다.
저장커버(220)에는 물공급부(221)를 개폐하기 위한 물공급커버부(222)가 구비된다. 물공급커버부(222)는 그 일단을 중심으로 타단이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저장본체(210)의 바닥(210a) 하측에는 제1 및 제2급수구(211a,212a)를 개폐하는 제1 및 제2밸브부재(230,230')가 설치된다. 제1 및 제2밸브부재(230,230')는 제1방향(D1)에서 서로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밸브부재(230,230')는 각각 제1 및 제2연동부(231,231'), 제1 및 제2밸브캡(232,232'), 제1 및 제2연결부(233,23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연동부(231,231')는 누름부재(240)의 제3방향(D3) 이동에 연동하여 제2방향(D2)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제1 및 제2연동부(231,231')는 제2방향(D2)으로 이동되어 제1 및 제2밸브캡(232,232')의 개방상태 를 유지하고, 제2방향(D2)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 및 제2밸브캡(232,232')의 폐쇄상태를 유지한다. 이를 위하여 제1 및 제2연동부(231,231')의 일단(231a,231a')은 누름레버(241)의 제1 및 제2접촉가압부(241a.241a')와 각각 접하게 되며, 제1 및 제2연동부(231,231')의 타단(231b,231b')은 제1 및 제2고정부재(235,235')를 통하여 저장본체(210)의 바닥 배면(210a')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연동부(231,231')는 각각 그 타단(231b,231b')을 중심으로 작동상태에 따라 제2방향(D2) 또는 제2방향(D2)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제1 및 제2연동부(231,231')의 타단(231b,231b')과 제1 및 제2고정부재(235,235') 사이에는 제1 및 제2연동부(231,231')에 탄성복원력을 부여하는 제1 및 제2스프링부재(234,234')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스프링부재(234,234')는 제1 및 제2밸브캡(232,232')이 개방상태에서 폐쇄상태로 이동되도록 제1 및 제2연동부(231,231')를 제2방향(D2)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제1 및 제2스프링부재(234,234')는 제1 및 제2연동부(231,231')의 비틀림에 따른 복원력을 이용한 토션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연동부(231,231')의 일단(231a,231a')은 제1 및 제2접촉가압부(241a.241a')의 가이드면을 타고 제2방향(D2)으로 이동되는 접촉돌기로 구성되며, 제1 및 제2연동부(231,231')의 타단(231b,231b')은 접촉돌기에서 연장되어 제1 및 제2고정부재(235,235')를 통하여 저장본체(210)의 바닥 배면(210a')에 고정되는 연결막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연동부(231,231')는 접촉돌기와 연결막대가 일체로 형성된 대략 L자형의 막대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및 제2밸브캡(232,232')은 각각 제1 및 제2저수공간(211,212)의 내부에 위치된다. 제1 및 제2밸브캡(232,232')은 적어도 제1 및 제2급수구(211a,212a)를 차폐할 수 있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어 제1 및 제2급수구(211a,212a)를 개폐한다.(도 3참조)
제1 및 제2밸브캡(232,232')은 제1 및 제2연결부(233,233')를 통하여 제1 및 제2연동부(231,231')와 연결된다. 제1 및 제2연결부(233,233')는 대략 L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및 제2급수구(211a,212a)를 관통하여 그 일단이 제1 및 제2저수공간(211,212)의 내부에 각각 위치하게 되는데, 제1 및 제2밸브캡(232,232')은 이러한 제1 및 제2연결부(233,233')의 일단에 각각 연결된다.
제1 및 제2연결부(233,233')는 제1 및 제2연동부(231,231')의 제2방향(D2) 이동에 따라서 제1 및 제2밸브캡(232,232')이 제1 및 제2급수구를 개폐하도록 하는 구성이므로 제1 및 제2급수구(211a,212a)의 설치위치, 제1 및 제2연동부(231,231')의 길이 및 크기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저장본체(210)의 일측에는 제1 및 제2급수구(211a,212a)의 개폐를 위하여 제1 및 제2밸브부재(230,230')를 이동시키는 개폐부재(240)가 설치된다. 이러한 개폐부재(240)는 저장본체(210)의 제3방향(D3)을 따라서 설치되어, 저장본체(210)의 제1방향(D1)을 따라서 설치된 제1 및 제2밸브부재(230,230')의 일단과 접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재(240)는 제3방향(D3)으로 이동되면, 제1방향(D1)을 따라서 설치된 제1 및 제2밸브부재(230,230')가 제2방향(D2)으로 이동되게 하여, 제1 및 제2급수구(211a,212a)를 개폐할 수 있게 하는 누름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누름부재(240)는 개폐레버(241), 탄성복귀수단(242), 오일댐퍼(2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개폐레버(241)는 플라스틱 재질의 막대형상으로 구비되는 누름레버(241)일 수 있다. 누름레버(241)는 저장본체(210)의 제3방향(D3)을 따라서 설치되는데, 저장본체(210)의 삽입홈(216)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제3방향(D3)으로 이동될 수 있다.
누름레버(241)는 사용자의 제3방향(D3) 가압에 의해 제1 및 제2연동부(231,231')가 제2방향(D2)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및 제2접촉가압부(241a.241a')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접촉가압부(241a.241a')는 제1 및 제2연동부(231,231')와 접하게 되는데, 이러한 접촉에 의해 제1 및 제2연동부(231,231')는 제1 및 제2접촉가압부(241a.241a')의 제3방향(D3) 이동에 연동하여 제2방향(D2)으로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제1 및 제2접촉가압부(241a.241a')는 각각 소정의 길이 및 깊이로 절곡된 가이드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접촉가압부(241a.241a')의 가이드면이 제1 및 제2연동부(231,231')의 일단(231a,231a')과 접하게 되어 누름레버(241)가 저장본체(210)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음과 동시에 제1 및 제2밸브캡(232,232')이 제1 및 제2급수구(211a,212a)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누름레버(241)에는 오일댐퍼(243)와 결합하는 랙 기어 형상을 갖는 기어부(241b)가 형성된다. 기어부(241b)는 누름레버(24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기어부(241b)는 오일댐퍼(243)와 결합되어 누름레버(241)에 대한 제3방 향(D3) 가압력이 해제될 경우 탄성복귀수단(242)에 의해 급속히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오일댐퍼(243)는 오일댐퍼설치부(244)를 통하여 저장본체(210)의 어느 일면에 고정될 수 있다.
누름레버(241)에는 저장본체(210)의 삽입홈(216)을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홈(241c)이 구비된다. 가이드홈(241c)은 저장본체(210)에서 삽입홈(216) 쪽으로 형성된 가이드돌기와 결합되어 누름레버(241)가 제3방향(D3)으로 원활히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누름레버(241)의 일측에는 누름레버(241)의 제3방향(D3) 가압력이 해제될 경우 누름레버(241)가 제3방향(D3)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복귀수단(242)이 설치된다. 또한, 탄성복귀수단(242)은 제1 및 제2접촉가압부(241a.241a')가 제1 및 제2밸브캡(232,232')이 제1 및 제2급수구(211a,212a)를 폐쇄하는 제3방향(D3)의 반대방향으로 누름레버(241)에 힘을 가한다.
탄성복귀수단(242)은 압축스프링과 같은 스프링부(242a)와, 스프링부(242a)의 이동을 안내하며 스프링부(242a)를 지지하는 스프링설치부(242b)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설치부(242b)는 누름레버(241)의 일측에서 저장본체(210)의 어느 일면과 오일댐퍼(243) 사이에서 고정 설치되며, 스프링부(242a)는 누름레버(241)의 돌기(241d)와 오일댐퍼(243) 사이에서 스프링설치부(242b)의 외연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누름레버(241)에 대한 제3방향(D3) 가압력이 해제될 경우, 스프링부(242a)의 탄성력에 의해 누름레버(241)는 제3방향(D3)의 반대방향, 즉 제3방향(D3)으로 가압되기 이전의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도 6 및 도 7참 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저장유닛(200)의 하측에는 제빙유닛(300)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빙유닛(300)은 물저장유닛(200)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아서 얼음을 제조하고 이를 분리하여 얼음저장용기(400)로 전달한다. 제빙유닛(300)은 제1 및 제2제빙트레이(310,320), 지지프레임(330), 회전어셈블리(340), 물넘침방지부재(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프레임(330)은 장방형의 프레임형상으로서, 제1 및 제2제빙트레이(310,32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제빙하우징(1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지지프레임(330)의 양측부에는 각각 슬라이드면(331)이 구비된다. 슬라이드면(331)은 제빙유닛(300)이 제빙하우징(110)의 제2가이드레일(112)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착탈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제빙트레이(310,320)는 물저장유닛(200)의 제1 및 제2저수공간(211,212)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아서 얼음을 제조한다. 제1 및 제2제빙트레이(310,320)는 각각 제1 및 제2저수공간(211,212)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아서 얼음을 제조한다. 제1 및 제2제빙트레이(310,320)에는 각각 다수개의 제빙홈(311,321)이 구비된다.
제1 및 제2제빙트레이(310,320)에는 회전연결부(312,322)와 회전축(313,323)이 각각 구비된다. 회전연결부(312,322)와 회전축(313,323)은 제1 및 제2제빙트레이(310,320)의 회전 중심이 된다. 회전연결부(312,322)는 제빙유 닛(300)이 제빙하우징(110)에 완전히 끼워지면 회전어셈블리(340)에 체결되어 제빙하우징(1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회전축(313,323)은 지지프레임(33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빙하우징(110)에는 제1 및 제2제빙트레이(310,320)를 회전 및 트위스팅시키는 회전어셈블리(340)가 구비된다. 회전어셈블리(340)는 제빙하우징(110)에 고정 설치되는데, 이러한 회전어셈블리(340)는 조작레버(341)와, 복수의 기어(342)를 포함한다.
조작레버(341)는 제1 및 제2제빙트레이(310,320)를 회전 및 트위스팅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기어(342)는 하나의 주동기어(342a)와, 한 쌍의 종동기어(34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주동기어(342a)는 조작레버(341)와 연결되어 조작레버(341)의 회전에 의하여 조작레버(341)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종동기어(342b)는 각각 회전연결부(312,322)와 연결되고, 주동기어(342a)에 각각 치합된다. 따라서 조작레버(341)가 회전하면 주동기어(342a)가 회전하게 되고, 주동기어(342a)의 회전에 의하여 종동기어(342b)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제빙유닛(300)은 제1 및 제2제빙트레이(310,320)로 공급된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및 제2물넘침방지부재(350)가 설치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유닛(300)의 하측에는 얼음저장용기(40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얼음저장용기(400)는 상면이 개구되는 납작한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얼음저장용기(400)의 내부에는 제1 및 제2제빙트레 이(310,320)에서 제조된 얼음이 저장되는 얼음저장공간(410)이 구비된다.
얼음이송유닛(500)은 얼음저장용기(400) 내에 저장된 얼음을 얼음저장용기(400)에 형성된 얼음배출구(미도시)로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얼음이송유닛(500)는 얼음저장용기(400) 내에서 회전가능 하도록 마련되는 얼음이송부재(510)와, 냉동실도어(40)의 배면(41)에 마련되어 얼음이송부재(510)로 전달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미설명부호 113은 제빙하우징(110)에 형성되는 베이스부재이며, 미설명부호 113a는 물공급커버부(222)와 결합되도록 베이스부재에 형성된 커버홀이며, 미설명부호 360은 제빙유닛의 전면을 형성하는 커버이다.
다음,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누름부재와 밸브부재의 작용관계를 설명한다.
도 6은 도 4의 밸브부재가 급수구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도 4의 밸브부재가 급수구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레버(241)를 제3방향(D3)으로 가압하면 제1 및 제2접촉가압부(241a.241a'), 스프링부(242a)가 제3방향(D3)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 및 제2연동부(231,231')의 일단이 제1 및 제2접촉가압부(241a.241a')를 타고 제2방향(D2)으로 이동된다. 또한, 제1 및 제2연동부(231,231')의 이동에 따라서 제1 및 제2밸브캡(232,232')은 제2방향(D2)으로 이동되어 제1 및 제2급수구(211a,212a)를 개방하게 된다.
그리고, 누름레버(241)에 대한 가압력이 해제되면 제1 및 제2연동 부(231,231')는 제1 및 제2스프링부재(234,23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2방향(D2)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된다. 동시에, 제1 및 제2밸브캡(232,232')은 제2방향(D2)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 및 제2급수구(211a,212a)를 폐쇄하게 된다. 또한, 누름레버(241)는 탄성복귀수단(242)의 스프링부(242a)에 의해 제3방향(D3)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오일댐퍼(243)가 누름레버(241)의 기어부(241b)에 치합되어 있어서 누름부재(240)가 순간적으로 제3방향(D3)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물저장유닛을 냉동실에 장착한 다음 제1 및 제2밸브부재가 누름레버에 의해 제1 및 제2급수구를 개폐할 수 있으므로, 물저장유닛에 저장된 물이 냉동실 내부로 넘쳐 흐르는 현상이 방지되어 제빙장치 및 냉장고를 보다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물저장유닛을 저장본체의 저면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밸브부재가 급수구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도 8의 밸브부재가 급수구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재(250)는 제3방향(D3)으로 이동되면, 제1방향(D1)을 따라서 설치된 제1 및 제2밸브부재(230,230')가 제2방향(D2)으로 이동되게 하여, 제1 및 제2급수구(211a,212a)를 개폐할 수 있게 하는 회전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부재(250)는 개폐레버(251), 탄성복귀수단(252), 오일댐퍼(2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개폐레버(251)는 플라스틱 재질의 막대형상으로 구비되는 회전레버(251)일 수 있다. 회전레버(251)는 저장본체(210)의 삽입홈(216)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제3방향(D3)으로 이동될 수 있다.
회전레버(251)는 사용자의 제3방향(D3) 회전에 의해 제1 및 제2연동부(231,231')가 제2방향(D2)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및 제2접촉가압부(251a.251'a)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접촉가압부(251a.251'a)는 제1 및 제2연동부(231,231')와 접하게 되는데, 이러한 접촉에 의해 제1 및 제2연동부(231,231')는 제1 및 제2접촉가압부(251a.251'a)의 제3방향(D3) 회전에 연동하여 제2방향(D2)으로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제1 및 제2접촉가압부(251a.251'a)는 각각 소정의 길이 및 깊이로 돌출된 가이드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접촉가압부(251a.251'a)의 가이드면이 제1 및 제2연동부(231,231')의 일단(231a,231a')과 접하게 되어 개폐레버(241)가 저장본체(210)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음과 동시에 제1 및 제2밸브캡(232,232')이 제1 및 제2급수구(211a,212a)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회전레버(251)에는 오일댐퍼(253)와 결합하는 스퍼 기어 형상을 갖는 기어부(251b)가 형성된다. 기어부(251b)는 회전레버(25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기어부(251b)는 오일댐퍼(253)와 결합되어 회전레버(251)에 대한 제3방향(D3) 가압력이 해제될 경우 탄성복귀수단(252)에 의해 급속히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오일댐퍼(253)는 오일댐퍼설치부(254)를 통하여 저장본체(210)의 어 느 일면에 고정될 수 있다.
회전레버(251)의 일측에는 회전레버(251)의 제3방향(D3) 회전이 해제될 경우 회전레버(251)가 제3방향(D3)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복귀수단(252)이 설치된다. 아울러 탄성복귀수단(252)은 제1 및 제2접촉가압부(251a.251'a)가 제1 및 제2밸브캡(232,232')이 제1 및 제2급수구(211a,212a)를 폐쇄하는 제3방향(D3)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레버(251)에 힘을 가한다. 한편, 탄성복귀수단(252)은 토션스프링과 같은 스프링부(미도시)와, 스프링부(미도시)를 지지하는 스프링설치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의 일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실시예에 따른 물저장유닛을 저장본체의 저면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레버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밸브부재가 급수구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밸브부재가 급수구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물저장유닛을 저장본체의 저면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밸브부재가 급수구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밸브부재가 급수구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본체 20...냉동실
30...냉장실 100...제빙장치
110...제빙하우징 200...물저장유닛
210...저장본체 220...저장커버
230,230'...밸브부재 240,250...개폐부재
300...제빙유닛 400...얼음저장용기
500...얼음이송유닛

Claims (22)

  1. 물이 저장되는 저장본체를 가지는 물저장유닛과,
    상기 저장본체에 저장된 물의 공급으로 얼음이 제조되는 제빙유닛과,
    상기 저장본체에 저장된 물이 상기 제빙유닛으로 공급되는 급수구를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부재와,
    상기 급수구를 개방하도록 상기 밸브부재를 이동시키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가압되면 상기 밸브부재를 이동시키는 개폐레버를 가지는 누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회전되면 상기 밸브부재를 이동시키는 개폐레버를 가지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개폐레버의 이동에 연동되어 이동되는 막대형상의 연동부와, 상기 연동부를 따라서 이동되면서 상기 급수구를 개폐하는 밸브캡을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개폐레버에 복원력을 가하는 스프링부로 된 탄성복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레버에는 기어 형상을 갖는 기어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기어부에 연결되는 오일댐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레버는 상기 연동부와 접하는 접촉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동부는 상기 개폐레버가 이동되면 상기 접촉가압부를 타고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는 대략 L자의 막대형상으로 마련되되 어느 일단은 상기 개폐레버에 접하며 다른 일단은 상기 물저장유닛의 바닥 배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는 상기 접촉가압부의 가이드면을 타고 이동되는 접촉돌기와, 상기 접촉돌기에서 연장되는 연결막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막대는 고정부재를 통하여 상기 물저장유닛의 바닥 배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연동부를 상기 밸브캡에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동부 및 밸브캡에 탄성복원력을 가하는 스프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구는 제1급수구와 제2급수구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제1급수구를 개폐하는 제1밸브부재와, 상기 제2급수구를 개폐하는 제2밸브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밸브부재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레버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저장유닛은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1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레버는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유닛은 제빙트레이와, 상기 제빙트레이로 공급된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물넘침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재가 제1방향을 따라서 길게 설치되면 상기 밸브부재를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개폐부재는 제3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1방향, 제2방향, 제3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대하여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유닛의 하측에는 얼음저장용기와, 상기 얼음저장용기 내에 저장된 얼음을 상기 얼음저장용기에 형성된 얼음배출구로 이송시키는 얼음이송유닛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18. 물이 저장되는 저장본체를 가지는 물저장유닛과,
    상기 저장본체에 저장된 물의 공급으로 얼음이 제조되는 제빙유닛과,
    상기 저장본체에 저장된 물이 상기 제빙유닛으로 공급되는 급수구를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부재와,
    사용자의 조작을 통하여 상기 급수구를 개방하도록 상기 밸브부재를 이동시키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복원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복귀유닛과,
    상기 탄성복귀유닛이 상기 개폐부재를 복원시키는 속도를 감소시키는 복귀지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19.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배면에 마련되며 얼음이 제조되는 제빙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제빙장치는 상기 도어의 배면에 마련된 제빙하우징과, 상기 제빙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물저장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물저장유닛은 제1 및 제2급수구를 가지는 저장본체와, 상기 제1 및 제2급수구를 개폐하기 위한 막대형상의 제1 및 제2밸브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밸브부재와 각각 접하여 상기 제1 및 제2밸브부재를 승강시키는 개폐레버를 가진 개폐부 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밸브부재는 각각 상기 개폐레버의 이동에 연동하는 L자형의 연동부와, 상기 연동부를 따라서 상기 급수구를 개폐하는 밸브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밸브부재가 어느 일 방향을 따라 승강되게 상기 어느 일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눌림동작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밸브부재를 접촉 가압하는 개폐레버를 가지는 누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밸브부재가 어느 일 방향을 따라 승강되도록 상기 어느 일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동작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밸브부재를 접촉 가압하는 개폐레버를 가지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90065751A 2009-07-20 2009-07-20 제빙장치 및 이를 갖춘 냉장고 KR101406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751A KR101406188B1 (ko) 2009-07-20 2009-07-20 제빙장치 및 이를 갖춘 냉장고
US12/659,402 US8371139B2 (en) 2009-07-20 2010-03-08 Ice mak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DE102010002888A DE102010002888A1 (de) 2009-07-20 2010-03-16 Eiszubereitungsapparat und Kühlschrank mit Eiszubereitungsappar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751A KR101406188B1 (ko) 2009-07-20 2009-07-20 제빙장치 및 이를 갖춘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407A true KR20110008407A (ko) 2011-01-27
KR101406188B1 KR101406188B1 (ko) 2014-06-12

Family

ID=43402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5751A KR101406188B1 (ko) 2009-07-20 2009-07-20 제빙장치 및 이를 갖춘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371139B2 (ko)
KR (1) KR101406188B1 (ko)
DE (1) DE1020100028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1568B1 (ko) 2010-08-19 2016-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장치
JP6146890B2 (ja) 2010-08-27 2017-06-14 テクノポリマー株式会社 軋み音を低減した熱可塑性樹脂組成物製接触用部品
DE102012201773A1 (de) * 2012-02-07 2013-08-0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Eisbereiter mit einem manuell zu betätigenden Hebel und Haushaltskältegerät mit einem solchen Eisbereiter
EP2904337A1 (en) * 2012-10-04 2015-08-12 Arçelik Anonim Sirketi A refrigerator
US9004325B2 (en) 2012-11-06 2015-04-14 Whirlpool Corporation Domestic refrigerator including an ice dispenser
US9500398B2 (en) * 2012-12-13 2016-11-22 Whirlpool Corporation Twist harvest ice geometry
US20140216095A1 (en) * 2013-02-04 2014-08-07 Whirlpool Corporation In-the-door compact cooling system for domestic refrigerators
US9097454B2 (en) * 2013-02-04 2015-08-04 Whirlpool Corporation In-the-door compact cooling system for domestic refrigerators
ES2791727T3 (es) * 2014-02-24 2020-11-05 Lg Electronics Inc Dispositivo para fabricación de hielo, refrigerador que incluye dispositivo para fabricación de hielo, y método para controlar el refrigerador
KR102432001B1 (ko) 2015-10-14 2022-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3916A (ja) 1995-05-12 1996-11-22 Hitachi Ltd 自動製氷機付き冷蔵庫
KR970075794A (ko) * 1996-05-16 1997-12-10 배순훈 워터 디스펜서용 물탱크의 외부급수 장치
KR100197906B1 (ko) 1996-10-21 1999-06-15 전주범 냉장고의 자동제빙기 급수장치
US7318323B2 (en) * 2003-03-11 2008-01-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ce-making device
KR100488074B1 (ko) * 2003-03-22 2005-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도어구조
KR20060060447A (ko) * 2004-11-30 2006-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자동급수 제빙기
US20060226170A1 (en) * 2005-04-08 2006-10-12 Larsen Gregory K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bottled water to an automatic ice maker and water chiller
AU2006323384B2 (en) * 2005-12-06 2010-03-04 Lg Electronics Inc.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0756450B1 (ko) * 2006-06-23 2007-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물탱크
US8443620B2 (en) * 2006-08-15 2013-05-21 Lg Electronics Inc. Ice tray assembly and refrigerator having same
KR101334958B1 (ko) * 2007-02-23 2013-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물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장치
US8272232B2 (en) 2006-09-06 2012-09-2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1410462B1 (ko) * 2007-02-26 2014-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080090100A (ko) * 2007-04-04 2008-10-08 주식회사 대창 냉장고의 도어 장착 제빙기
US8443619B2 (en) 2008-01-16 2013-05-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ce making unit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6188B1 (ko) 2014-06-12
US20110011116A1 (en) 2011-01-20
DE102010002888A1 (de) 2011-02-03
US8371139B2 (en) 2013-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8407A (ko) 제빙장치 및 이를 갖춘 냉장고
EP2549207B1 (en) Ice maker
KR101212087B1 (ko) 냉장고
KR101612861B1 (ko) 제빙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JP5529933B2 (ja) アイスメーカ
US8459057B2 (en) Refrigerator with ice supply device
CN101384871B (zh) 冰箱用的制冰装置
US20110146335A1 (en) Refrigerator
KR20090079043A (ko) 제빙유닛 및 이를 갖춘 냉장고
KR20110111794A (ko) 냉장고
US8726686B2 (en) Ice making device and refrigerator
KR20080103350A (ko) 냉장고용 아이스트레이와 제빙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제빙장치
WO2008002023A1 (en) A ice 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KR100871269B1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1258437B1 (ko) 제빙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090005753U (ko) 냉장고
KR101443912B1 (ko) 냉장고용 제빙 어셈블리
KR100728361B1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CN101506601A (zh) 冰盘组件及具有这种冰盘组件的冰箱
KR101575054B1 (ko) 제빙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101334958B1 (ko) 냉장고용 물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장치
JP4043466B2 (ja) 自動製氷機を備えた冷凍冷蔵庫
JP4141429B2 (ja) 自動製氷機及び自動製氷機を備えた冷凍冷蔵庫
KR20240051627A (ko) 냉장고
KR101595399B1 (ko) 제빙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