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7857A - 공조유니트 일체형 카울 크로스멤버 - Google Patents

공조유니트 일체형 카울 크로스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7857A
KR20110007857A KR1020090065512A KR20090065512A KR20110007857A KR 20110007857 A KR20110007857 A KR 20110007857A KR 1020090065512 A KR1020090065512 A KR 1020090065512A KR 20090065512 A KR20090065512 A KR 20090065512A KR 20110007857 A KR20110007857 A KR 20110007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ing
conditioning unit
cowl cross
cross memb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5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신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5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7857A/ko
Publication of KR20110007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8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1Co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28Constructional lay-out of the devices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60Y2304/072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by preassembled sub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공조유니트 일체형 카울 크로스멤버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공조유니트 일체형 카울 크로스멤버는: 카울 크로스멤버의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부재 및 공조유니트의 외형을 형성하며 프레임부재에 일체로 성형되는 케이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공조유니트는 카울 크로스멤버에 일체로 성형되므로 치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공조유니트의 무게로 인한 카울 크로스멤버의 처짐 현상을 감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카울 크로스멤버, 프레임부재, 공조유니트, 케이스부, 코어부재

Description

공조유니트 일체형 카울 크로스멤버{COWL CROSS MEMBER WITH AIR CONDITIONING UNIT}
본 발명은 카울 크로스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울 크로스멤버의 처짐 현상 없이 공조유니트와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공조유니트 일체형 카울 크로스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칵픽모듈은 공기 유로를 안내하는 덕트 앗세이와 공조유니트와 카울 크로스멤버로 구성된다.
카울 크로스멤버는 차체의 강성을 보강하는 구조물로 사용되며, 공조유니트와 카울 크로스멤버와 크래쉬 패드 등의 부품들이 장착되는 지지대 역할을 한다.
카울 크로스멤버에는 브라켓이 용접으로 고정되며, 브라켓에 공조유니트가 볼트 결합으로 고정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카울 크로스멤버에 공조유니트 결합시, 별도의 브라켓을 카울 크로스 멤버에 고정시키고, 공조유니트를 브라켓에 결합하므로 치수 안정성이 저하되며, 고하중의 공조유니트가 카울 크로스멤버와 이격 설치되므로 처짐현상이 발생하여 조립 작업시 다른 부품과 간섭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카울 크로스멤버에 공조유니트를 직접 설치하여 치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공조유니트의 무게로 인하여 처짐 현상이 발생함을 방지할 수 있는 공조유니트 일체형 카울 크로스멤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조유니트 일체형 카울 크로스멤버는: 카울 크로스멤버의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부재 및 공조유니트의 외형을 형성하며 프레임부재에 일체로 성형되는 케이스부를 포함한다.
또한 프레임부재는, 하중을 지지하는 코어부재 및 코어부재를 감싸며 성형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코어부재는 에이치빔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케이스부는, 공조유니트의 몸체 외형을 형성하는 중앙케이스 및 중앙케이스의 측면에 결합되는 측면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레임부재에는 브로워 유니트와 결합되는 체결보스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공조유니트 일체형 카울 크로스멤버는, 공조유니트를 카울 크로스멤버에 일체로 성형하므로 치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공조유니트의 무게로 인한 처짐 현상을 감소시키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조유니트 일체형 카울 크로스멤버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자동차에 적용되는 공조유니트 일체형 카울 크로스멤버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유니트 일체형 카울 크로스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유니트 일체형 카울 크로스멤버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 이스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를 절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재에 브로워 유니트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유니트 일체형 카울 크로스멤버(1)는, 카울 크로스멤버(1)의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부재(10) 및 공조유니트(50)의 외형을 형성하며 프레임부재(10)에 일체로 성형되는 케이스부(52)를 포함한다.
프레임부재(10)는 횡축으로 설치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 및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부재(10)는, 하중을 지지하는 코어부재(12) 및 코어부재(12)를 감싸며 성형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코어부재(12)는 프레임부재(10)의 하중을 지지하는 뼈대 역할을 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철을 포함한 다양한 재질로 성형될 수 있으며, 구조 강성이 강한 에이치빔(H Beam) 또는 파이프 형상의 지지봉 등 다양한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코어부재(12)는 에이치빔을 사용하므로 금속막대에 비하여 중량은 감소되고 구조 강성은 증대된다.
코어부재(12)는 측면에 통공이 구비되며, 플라스틱 사출물인 지지부재가 통공을 통하여 결합되므로 지지부재는 코어부재(12)와 일체로 성형된다.
지지부재는 제1사이드프레임(20)에 사출 성형되는 제1지지부재(22)와, 중앙프레임(30)에 사출 성형되는 중앙지지부재(32) 및 제2사이드프레임(40)에 사출 성 형되는 제2지지부재(42)를 포함한다.
프레임부재(10)는 일체로 성형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분리 생산되어 결합이 이루어지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일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부재(10)는 복수로 분리된 상태에서 결합이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부재(10)는 운전석에 위치하는 제1사이드프레임(20)과, 조수석에 위치하는 제2사이드프레임(40) 및 제1사이드프레임(20)과 제2사이드프레임(40)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프레임(30)을 포함한다.
제1사이드프레임(20)은 코어부재(12)의 외측에 플라스틱 사출물인 제1지지부재(22)가 사출 성형되므로, 코어부재(12)와 제1지지부재(22)는 일체로 성형된다.
중앙프레임(30)은 코어부재(12)를 감싸며 플라스틱 사출물인 중앙지지부재(32)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며, 중앙지지부재(32)에 연이어 공조유니트(50)의 케이스부(52)도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중앙지지부재(32)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서포트 브라켓(34)은 케이스부(52)의 측면에 고정된다.
공조유니트(50)는 중앙프레임(30)에 일체로 성형되며, 공조유니트(50)의 내측에는 공기 조화에 필요한 부품이 장착된다. 공조유니트(50)의 외형을 감싸는 케이스부(52)는, 공조유니트(50)의 몸체 외형을 형성하는 중앙케이스(54) 및 중앙케이스(54)의 측면에 결합되는 측면케이스(56)를 포함한다.
중앙케이스(54)를 중심으로 양측에 구비된 측면케이스(56)는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므로, 측면케이스(56)를 분리한 후 중앙케이스(54) 내측에 부품을 장착하거 나 유지 보수 작업을 하는 등 향상된 작업성을 제공한다.
제2사이드프레임(40)은 코어부재(12)의 외측을 감싸며 설치되는 플라스틱 사출물인 제2지지부재(42)를 포함한다.
제2사이드프레임(40)의 측면에는 체결보스(44)가 구비되며, 체결보스(44)에 브로워 유니트(60)의 일측이 삽입되므로, 브로워 유니트(60)는 제2사이드프레임(40)에 결합된다.
제1사이드프레임(20)과 중앙프레임(30) 사이 및 중앙프레임(30)과 제2사이드프레임(40)은 마주하는 코어부재(12)를 용접하여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유니트 일체형 카울 크로스멤버(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에이치빔 형상의 코어부재(12)에 제1지지부재(22)를 사출하여 제1사이드프레임(20)을 성형하며, 코어부재(12)에 제2지지부재(42)를 사출하여 제2사이드프레임(40)을 성형한다.
제2사이드프레임(40)의 체결보스(44)에 브로워 유니트(60)를 결합하여 브로워 유니트(60)는 카울 크로스멤버(1)에 고정된다.
중앙프레임(30)의 코어부재(12)에 플라스틱 재질의 중앙지지부재(32)와 케이스부(52)를 일체로 사출 성형한다.
중앙지지부재(32)와 중앙케이스(54)는 일체로 사출 성형되며, 케이스부(52)의 내측에 공조유니트(50)의 부품들을 장착한 후, 중앙케이스(54)의 양측에 측면케이스(56)가 결합되어 공조유니트(50)의 측면을 형성한다.
제1사이드프레임(20)과 중앙프레임(30) 및 제2사이드프레임(40)은 용접으로 상호 고정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조유니트 일체형 카울 크로스멤버(3)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조유니트 일체형 카울 크로스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조유니트 일체형 카울 크로스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울 크로스멤버(3)의 코어부재(13)는 파이프 형상의 지지봉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부재(11)는 운전석에 위치하는 제1사이드프레임(21)과, 조수석에 위치하는 제2사이드프레임(41) 및 제1사이드프레임(21)과 제2사이드프레임(41) 사이에 설치되는 중앙프레임(31)을 포함한다.
제1사이드프레임(21)은 지지봉 형상으로 성형된 코어부재(13)의 외측에 결합되는 제1지지부재(23)를 포함한다. 제1지지부재(23)는 볼트 체결이 이루어지는 브라켓 형상으로 성형된다.
중앙프레임(31)은 코어부재(13)를 감싸며 플라스틱 사출물인 중앙지지부재(33)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며, 중앙지지부재(33)에 연이어 공조유니트(50)의 케이스부(52)도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중앙지지부재(33)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서포트 브라켓(34)은 케이스부(52)의 측면에 고정된다.
중앙지지부재(33)와 함께 공조유니트(50)의 케이스부(52)도 일체로 사출 성형되므로, 공조유니트(50)는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카울 크로스멤버(3)에 고정된다.
제2사이드프레임(41)은 코어부재(13)의 외측을 감싸며 설치되는 플라스틱 사출물인 제2지지부재(43)를 포함한다.
제1사이드프레임(21)과 중앙프레임(31) 사이 및 중앙프레임(31)과 제2사이드프레임(41)은 마주하는 코어부재(13)를 끼움 결합한 후 용접하는 등 다양한 결합방법으로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은 공조유니트(50)를 카울 크로스멤버(1,3)에 일체로 성형하므로 치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공조유니트(50)가 별도의 체결 부재 없이 카울 크로스멤버(1,3)에 일체로 성형되므로, 공조유니트(50)의 무게로 인한 처짐 현상을 감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자동차에 적용되는 공조유니트 일체형 카울 크로스멤버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자동차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구조물에 본 발명의 공조유니트 일체형 카울 크로스멤버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유니트 일체형 카울 크로스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유니트 일체형 카울 크로스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를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재에 브로워 유니트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조유니트 일체형 카울 크로스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조유니트 일체형 카울 크로스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3: 카울 크로스멤버 10,11: 프레임부재
12,13: 코어부재 20,21: 제1사이드프레임
22,23: 제1지지부재 30,31: 중앙프레임
32,33: 중앙지지부재 34: 서포트 브라켓
40,41: 제2사이드프레임 42,43: 제2지지부재
50: 공조유니트 52: 케이스부
54: 중앙케이스 56: 측면케이스
60: 브로워 유니트

Claims (5)

  1. 카울 크로스멤버의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부재; 및
    공조유니트의 외형을 형성하며, 상기 프레임부재에 일체로 성형되는 케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유니트 일체형 카울 크로스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는,
    하중을 지지하는 코어부재; 및
    상기 코어부재를 감싸며 성형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유니트 일체형 카울 크로스멤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재는 에이치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유니트 일체형 카울 크로스멤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공조유니트의 몸체 외형을 형성하는 중앙케이스; 및
    상기 중앙케이스의 측면에 결합되는 측면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유니트 일체형 카울 크로스멤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에는 브로워 유니트와 결합되는 체결보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유니트 일체형 카울 크로스멤버.
KR1020090065512A 2009-07-17 2009-07-17 공조유니트 일체형 카울 크로스멤버 KR201100078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512A KR20110007857A (ko) 2009-07-17 2009-07-17 공조유니트 일체형 카울 크로스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512A KR20110007857A (ko) 2009-07-17 2009-07-17 공조유니트 일체형 카울 크로스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857A true KR20110007857A (ko) 2011-01-25

Family

ID=43614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5512A KR20110007857A (ko) 2009-07-17 2009-07-17 공조유니트 일체형 카울 크로스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785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75774A (zh) * 2011-09-05 2013-03-20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车颈横向组件
KR20160058339A (ko) 2014-11-14 2016-05-25 덕양산업 주식회사 카울크로스바와 냉난방공조장치 결합용 브래킷유닛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75774A (zh) * 2011-09-05 2013-03-20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车颈横向组件
KR20160058339A (ko) 2014-11-14 2016-05-25 덕양산업 주식회사 카울크로스바와 냉난방공조장치 결합용 브래킷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81294B1 (en) Vehicle steering column support structure
KR20130026262A (ko) 카울크로스 구조
CN102887174B (zh) 车体结构
KR20120110134A (ko) 서스펜션 서브 프레임
CN107856746A (zh) 钢塑混合汽车仪表板支架总成及汽车
KR101488326B1 (ko) 엔진룸의 구조
JP5321334B2 (ja) 車両のカウル部構造
KR20110007857A (ko) 공조유니트 일체형 카울 크로스멤버
KR20050017878A (ko) 자동차의 에어덕트 일체형의 통합빔 구조
KR20120040548A (ko) 차량용 카울크로스바
US11267341B2 (en) Front part structure of vehicle cabin
CN106892000B (zh) 汽车前围结构
JP2005035316A (ja) 運転室補強構造
KR101674885B1 (ko) 차체 멤버 체결구조
CN219790320U (zh) 新型复合塑料材料汽车仪表板横梁
KR101795280B1 (ko) 커넥션 덕트 일체형 카울크로스빔
US20220402552A1 (en) Vehicle front section structure
CN217374682U (zh) 一种具有加强结构的汽车前壁板及车辆
CN207311282U (zh) 一种重型汽车用轻量化踏板支架总成
KR101645883B1 (ko) 자동차용 카울 크로스 멤버 조립구조
EP4108550A1 (en) Vehicle front section structure
JP2011063118A (ja) ハイルーフ車両のルーフ補強構造
JP2012071765A (ja) オーディオ及び変速操作装置の取付構造
KR20080026302A (ko) 선루프 장착구조
JP2005255046A (ja) 車体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