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7840A - 손떨림 보정장치 - Google Patents

손떨림 보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7840A
KR20110007840A KR1020090065480A KR20090065480A KR20110007840A KR 20110007840 A KR20110007840 A KR 20110007840A KR 1020090065480 A KR1020090065480 A KR 1020090065480A KR 20090065480 A KR20090065480 A KR 20090065480A KR 20110007840 A KR20110007840 A KR 20110007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disposed
magnets
hall sensors
cor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5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5125B1 (ko
Inventor
이승환
변광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5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125B1/ko
Publication of KR20110007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2Motion detection based on additional sensors, e.g. acceleration sensors

Abstract

본 발명은 손떨림 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손떨림 보정장치는 카메라의 흔들림을 보정하기 위한 손떨림 보정장치로서, 서로 독립적인 제1 축 및 제2 축으로 이루어진 2차원 평면 상에서 구동되는 보정렌즈와, 보정렌즈의 양편으로 쌍을 이루어 배치되고, 제1 축 방향으로 렌즈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제1 홀 센서들과, 보정렌즈의 적어도 어느 한편에 배치되고, 제2 축 방향으로 렌즈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제2 홀 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정렌즈의 회전으로 야기되는 위치검출의 오류를 제거하고, 보정동작의 제어 정밀도가 향상되는 손떨림 보정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손떨림 보정장치{Driving assembly for image stabilization of digital camera}
본 발명은 손떨림 보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촬영자의 손떨림 등으로 인한 영상의 흔들림을 보정해주는 손떨림 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카메라는 피사체의 영상을 포착하여 영상 데이터화하고, 적정의 파일 형태로 기록하는 것으로, 촬영자의 손떨림이나 주변 진동에 의한 흔들림 등이 촬영된 이미지 내에 그대로 반영되면 영상이 번지거나 흐려지는 등의 화질 저하가 발생하게 된다.
최근에는 카메라의 흔들림을 자동으로 보정해주는 다양한 영상 안정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의 흔들림에 상응하는 적정의 이동량만큼 광학렌즈를 구동 제어함으로써 이미지 센서 상의 결상 위치를 고정시켜 주는 방식이 고려될 수 있다. 예컨대, 카메라의 흔들림으로부터 광학렌즈의 목표위치를 산출해내고, 광학렌즈의 현 위치와의 차이신호를 이용하여 피드-백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보정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광학 렌즈의 위치 검출을 위해 홀 센서를 적용하는데, 홀 센서의 검출 오류는 보정동작의 제어성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며, 제어성능의 악화로 이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정렌즈의 회전으로 야기되는 위치검출의 오류를 제거하고, 보정동작의 제어 정밀도가 향상되는 손떨림 보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 및 그 밖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손떨림 보정장치는,
카메라의 흔들림을 보정하기 위한 손떨림 보정장치로서,
서로 독립적인 제1 축 및 제2 축으로 이루어진 2차원 평면 상에서 구동되는 보정렌즈;
상기 보정렌즈의 양편으로 쌍을 이루어 배치되고, 제1 축 방향으로 렌즈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제1 홀 센서들; 및
상기 보정렌즈의 적어도 어느 한편에 배치되고, 제2 축 방향으로 렌즈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제2 홀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손떨림 보정장치는,
상기 제1 홀 센서의 쌍과 마주하게 배치되고, 제1 축 방향의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1 마그네트의 쌍;
상기 제2 홀 센서와 마주하게 배치되고, 제2 축 방향의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2 마그네트; 및
상기 제1, 제2 마그네트와 마주하게 배치되어 전자기적인 상호 작용을 수행 하는 구동코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마그네트의 쌍은 렌즈중심에 대해 서로 상쇄되는 방향의 회전 모멘트를 생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마그네트는 렌즈중심을 지나는 제2 축 상에 배치된다.
상기 손떨림 보정장치는,
상기 보정렌즈를 장착하고 제1 축 및 제2 축으로 이루어진 2차원 평면 상에서 가동되는 렌즈 지지판;
상기 렌즈 지지판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해주는 베이스; 및
상기 렌즈 지지판을 개재하여 상기 베이스 상에 조립되며, 상기 제1 홀 센서의 쌍과, 제2 홀 센서를 장착한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홀 센서의 쌍과 마주하는 렌즈 지지판 상에는 제1 축 방향의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1 마그네트의 쌍이 배치되고,
상기 제2 홀 센서와 마주하는 렌즈 지지판 상에는 제2 축 방향의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2 마그네트가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홀 센서들로부터 출력되는 서로 다른 위치신호는 소정의 연산처리를 거쳐 변환 값으로 산출되고, 렌즈의 위치정보로서 상기 변환 값이 참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홀 센서들로부터 출력되는 서로 다른 위치신호는 소정의 연산처리를 거쳐 변환 값으로 산출되고, 렌즈의 위치정보로서 변환 전의 위치신호와 변환 후의 변환 값이 모두 참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손떨림 보정장치에 의하면, 보정렌즈의 양편에 홀 센서를 쌍으로 배치함으로써 보정렌즈의 회전으로 야기되는 위치검출의 오류를 사실상 제거할 수 있다. 즉, 보정렌즈에 회전변위가 발생되면 홀 센서는 보정렌즈의 실제 위치를 반영하지 못하고 오류적인 위치를 검출하게 된다. 제안된 보정장치에 의하면, 렌즈 양편에 배치된 홀 센서의 출력에 근거하여 보정동작을 제어하므로, 보정동작의 제어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한 손떨림 보정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손떨림 보정장치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보정장치의 수직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손떨림 보정장치(100)는 보정렌즈(120)와, 보정렌즈(120)가 장착되는 렌즈 지지판(130)과, 렌즈 지지판(130)이 지지되는 베이스(150)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 지지판(130)의 양편으로는 마그네트(131a,131b,132a,132b)가 조립되고, 마그네트(131a,131b,132a,132b)와 마주하도록 베이스(150)의 상하방향으로 구동코일(155)과 요크(160)가 조립된다. 예를 들어, 마그네트(131a,131b,132a,132b)와 마주하도록 베이스(150)의 상면과 하면에 각기 구동코일(155)과 요크(160)가 조립될 수 있다.
마그네트(131a,131b,132a,132b)와 구동코일(155)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조 립되며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수행함으로써, 예를 들어, VCM(Voice Coil Motor) 액츄에이터를 구성하게 된다. 구동코일(155)의 양단은 제어된 신호를 인가해주는 회로기판(미도시)에 접속될 수 있다. 렌즈 지지판(130)은 마그네트(131a,131b,132a,132b)와 구동코일(155) 간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따라 광축(Z 축)에 수직한 제1, 제2 축 평면(X-Y 평면) 상에서 구동되며 보정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마그네트(131a,131b,132a,132b)와 요크(160)는 마주보는 위치에 조립되어 서로에 대해 자기적인 인력을 작용한다. 마그네트(131a,131b,132a,132b)와 요크(160) 간의 인력을 이용하여 렌즈 지지판(130)과 베이스(150)가 서로에 대해 밀착되도록 하며, 구동 전원이 차단되었을 시에 마그네트(131a,131b,132a,132b)의 중심을 요크(160)의 중심과 일치시킴으로써 렌즈 지지판(130)을 정 위치로 복귀시킨다. 한편, 렌즈 지지판(130)과 베이스(150)는 볼 베어링(140, 도 2)을 개재하여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150)는 볼 베어링(140)을 통하여 렌즈 지지판(130)의 제1, 제2 축 평면(X-Y 평면)상의 운동을 지지하게 된다.
보정장치(100)의 상단에는 커버(1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110)는 렌즈 지지판(130)을 개재하고 베이스(150) 상에 조립된다. 상기 커버(110)에는 보정렌즈(120)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홀 센서(111a,111a,112)가 조립된다. 상기 홀 센서(111a,111b,112)는 마그네트(131a,131b,132a,132b)와 마주하는 위치에 조립되며, 마그네트(131a,131b,132a,132b)의 자장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마그네트(131a,131b,132a,132b)와 일체로 움직이는 보정렌즈(120)의 변위를 검출한다.
상기 보정렌즈(120)는 손떨림으로 발생되는 영상의 흔들림을 보정하기 위해 제1, 제2 축의 평면(X-Y 평면) 상에서 이동하면서 피사체의 결상 위치가 이동되는 것을 추적하고, 피사체의 결상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보정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손떨림을 상쇄하기 위한 보정렌즈(120)의 목표위치와 홀 센서(111a,111b,112)에서 검출된 보정렌즈(120)의 현 위치를 입력으로 하여, 마그네트(131a,131b,132a,132b)와 구동코일(155)로 편성된 VCM 액츄에이터에 대해 제어된 구동신호를 인가함으로써 보정렌즈(120)를 목표위치로 근접시키게 된다.
도 3은 마그네트(131a,131b,132a,132b)의 배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렌즈 지지판(130)의 중앙위치에는 보정렌즈(120)가 끼워 조립되고, 보정렌즈(120)의 양편으로 쌍을 이루어 제1 마그네트들(131a,131b)과 제2 마그네트들(132a,132b)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마그네트들(131a,131b)은 제1 축 방향의 구동력(FYa,FYb)을 제공하며, 제1 축(Y 축) 방향을 따라 N-S 극성이 반전되도록 정렬된다. 제2 마그네트들(132a,132b)은 제2 축 방향의 구동력(FXa,FXb)을 제공하며, 제2 축(X 축) 방향을 따라 N-S 극성이 반전되도록 정렬된다. 상기 제1, 제2 마그네트(131a,131b,132a,132b)들은 마주하게 배치되는 구동코일(155)과 함께 서로 독립적인 제1, 제2 축 방향의 구동력(FYa,FYb,FXa,FXb)을 생성한다. 여기서 독립적이라는 것은 제1, 제2 축의 2차원 평면(X-Y 평면) 상에서 보정렌즈(120)의 위치를 제어함에 있어, 제1 축 방향의 구동력(FYa,FYb)은 제1 축(Y 축) 방향의 변위만을 생성할 뿐, 제2 축(X 축) 방향의 위치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역으로 제2 축 방향의 구동력(FXa,FXb)은 제2 축(X 축) 방향의 변위만을 생성할 뿐, 제1 축(Y 축) 방향의 위치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1 축(Y 축) 및 제2 축(X 축)은 수직 좌표계의 서로 다른 2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마그네트(131a,131b)들이 생성하는 제1 축 방향의 구동력(FYa,FYb)은 서로 평행한 방향으로 작용하며, 보정렌즈(120)에 대해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는 작용점을 갖는다. 따라서, 제1 축 방향의 구동력(FYa,FYb)은 병진방향으로는 서로 협력하는 합력의 형태로 나타나고, 회전방향으로는 상대편의 회전 모멘트를 상쇄시키는 방향으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일 편의 구동력(FYa)은 La를 회전 암으로 하여 렌즈중심(C)에 대해 일 회전방향으로 회전 모멘트를 생성하고, 다른 편의 구동력(FYb)은 Lb를 회전 암으로 하여 렌즈중심(C)에 대해 반대 회전방향으로 회전 모멘트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제1 마그네트들(131a,131b)을 렌즈중심(C)에 대해 대칭적인 위치에 배치시킴으로써(La=Lb), 제1 축 방향의 구동력(FYa,FYb)으로 야기되는 회전 모멘트를 서로 상쇄시키고, 보정렌즈(120)에 작용하는 순 회전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마그네트들(132a,132b)은 렌즈중심(C)을 지나는 제2 축(X 축)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2 마그네트들(132a,132b)이 생성하는 제2 축 방향의 구동력(FXa,FXb)은 렌즈중심(C)에 대해 회전 암을 갖지 않고, 회전 모멘트를 생성하지 않는다.
도 4는 홀 센서(111a,111b,112)의 배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마그네트(131a,131b,132b)와 마주하는 위치에는 보정렌즈(120)의 위치를 검출해내기 위한 홀 센서(111a,111b,112)가 배치된다. 상기 홀 센서(111a,111b,112)는 단축 방향으로 보정렌즈(120)의 위치를 검출하며, 제1 축(Y 축) 방향의 위치를 검출해내는 제1 홀 센서들(111a,111b)과, 제2 축(X 축) 방향의 위치를 검출해내는 제2 홀 센서(11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홀 센서들(111a,111b)은 제1 축(X 축) 방향으로 N-S 극성이 반전되는 제1 마그네트(131a,131b)와 마주하게 배치되고, 제1 마그네트(131a,131b)의 자장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제1 축(Y 축) 방향의 변위를 검출해낸다. 상기 제2 홀 센서(112)는 제2 축(X 축) 방향으로 N-S 극성이 반전되는 제2 마그네트(132b)와 마주하게 배치되고, 제2 마그네트(132b)의 자장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제2 축(X 축) 방향의 변위를 검출해낸다.
제1 홀 센서들(111a,111b)은 보정렌즈(120) 양편의 제1 마그네트(131a,131b)와 마주하도록 쌍을 이루어 배치되고, 제2 홀 센서(112)는 보정렌즈(120) 한편에 배치된 제2 마그네트(132b)와 마주하도록 단독으로 배치된다. 제1 홀 센서(111a,111b)를 쌍으로 배치한 구조는 제1 축 방향의 구동력(FYa,FYb)에 기한 보정렌즈(120)의 회전 변위에도 불구하고 보정렌즈(120)를 정확한 목표위치로 근접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하,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카메라의 흔들림을 상쇄하기 위한 보정렌즈(120)의 목표위치를 산출한 결과에 따라, 보정렌즈(120)를 현 위치(Y=Y0)로부터 목표위치(Y=Y1)로 보내고자 할 때,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정렌즈(120)의 움직임이 제1 축(Y 축) 방향의 병진성분만을 갖고 회전성분을 갖지 않는다면, 임의시각에서 마그네트(131a,131b)의 위치와 보정렌즈(120)의 위치는 서로 일치하게 되고, 마그네트(131a,131b)를 감지하는 제1 홀 센서(111a,111b)의 출력에 근거하여 보정렌즈(12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홀 센서(111a,111b)의 출력신호에 근거하여 보 정렌즈(120)가 목표위치(Y=Y1)에 도달하기까지 제1 축 방향의 구동력(FYa,FYb)을 지속시킴으로써 보정렌즈(120)를 목표위치(Y=Y1)로 근접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제1 축 방향의 구동력(FYa,FYb)은 보정렌즈(120)에 회전 모멘트를 야기할 수 있고, 그 결과 보정렌즈(120)의 움직임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성분을 갖는다면, 마그네트(131a,131b)의 위치(Y=Y1, Y=-Y1)와 보정렌즈(120)의 위치(Y=Y0)는 서로 일치하지 않게 된다. 이때, 쌍을 이루는 제1 홀 센서들(111a,111b) 중에서 일편의 홀 센서(111b)는 보정렌즈(120)가 목표위치(Y=Y1)에 도달하였음을 검출하는 동시에, 다른 편의 홀 센서(111a)는 보정렌즈(120)가 아직 목표위치(Y=Y1)에 미달함을 검출하게 된다. 이에 반응하여,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위치(Y=Y1)에 도달한 보정렌즈(120)의 일편에 대해서는 구동력을 차단하되, 목표위치(Y=Y1)에 미달한 다른 편에 대해서는 구동력을 지속시킴으로써 보정렌즈(120)를 정확한 목표위치로 근접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정렌즈(120)의 움직임이 반대방향의 회전성분을 가질 때에도, 보정렌즈(120)의 양편으로 배치된 제1 홀 센서들(111a,111b) 중에서 목표위치(Y=Y1)에 도달한 일편에 대해서는 구동력을 차단하되, 목표위치(Y=Y1)에 미달한 다른 편에 대해서는 구동력을 지속시킴으로써 보정렌즈(120)를 정확한 목표위치로 근접시킬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보정렌즈(120)에 의도하지 않은 회전성분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보정렌즈(120)의 양편으로 제1 홀 센서들(111a,111b)을 배치하고, 제1 홀 센서(111a,111b)의 각 출력신호에 근거하여 보정렌즈(120)를 정확한 목표위치로 접근시킬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홀 센서(111a`,111b`)가 보정렌즈(120)의 어느 일 편에 단독으로 배치된다면, 제1 홀 센서(111a`,111b`)의 오류적인 위치검출에 의존하여 보정렌즈(120)가 제어될 것이다. 즉, 보정렌즈(120)의 회전상태에 따라 목표위치(Y=Y1)에 도달하기 이전에 보정렌즈(120)에 대한 구동을 중지해버리거나, 또는 보정렌즈(120)가 목표위치(Y=Y1)에 도달하였음에도 구동을 지속함으로써 목표위치를 벗어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정렌즈(120)가 아직 목표위치(Y=Y1)에 미달임에도 불구하고, 제1 홀 센서(111a`,111b`)의 오류적인 출력신호에 근거하여 목표위치(Y=Y1)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하고 제1 축 방향의 구동력(FYa,FYb)을 차단시킬 수 있다.
도 10은 제1 홀 센서들(111a,111b)의 출력신호에 적용되는 병렬신호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병렬신호처리에서는 제1 홀 센서들(111a,111b)에서 출력되는 위치신호(Y1,Y2)에 대해 적정의 연산처리(합산,차동,평균)를 적용하고, 연산처리를 거쳐 산출된 새로운 연산치(Y3)를 저장해둔다. 그러면, 메인 프로세서는 저장된 연산치(Y3)로부터 보정렌즈(120)의 현 위치를 파악하고, 보정렌즈(120)를 목표위치로 근접시키기 위한 적정의 구동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도 11은 제1 홀 센서들(111a,111b)의 출력신호에 적용되는 직렬신호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직렬신호처리에서는 제1 홀 센서들(111a,111b)에서 출력되는 위치신호(Y1,Y2)를 저장해두는 한편으로, 상기 위치신호(Y1,Y2)에 대해 적정의 연산처리를 적용하여 산출된 새로운 연산치(Y3)를 함께 저장해둔다. 그러면, 메인 프로세서는 저장된 위치신호(Y1,Y2) 및 연산치(Y3)로부터 보정렌즈(120)의 현 위치상태를 파악하고, 보정렌즈(120)를 목표위치로 근접시키기 위한 적정의 구동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직렬신호처리에서는 제1 홀 센서들(111a,111b)에서 출력되는 위치신호(Y1,Y2)와 연산결과로 변환된 연산치(Y3)를 함께 저장해둠으로써 보다 상세한 위치정보를 얻을 수 있고, 이에 근거하여 신뢰성 높은 구동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손떨림 보정장치(100)는 카메라의 경통 구조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카메라 전원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경통 조립체가 내외부로 인입/인출되는 침통식 경통 구조와, 피사체 빛의 입사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배열되는 광학계를 갖는 굴곡형 경통 구조에 모두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특히, 제안된 손떨림 보정장치(100)는 공간적인 제약조건, 보다 구체적으로, 두께방향의 슬림화를 위해 보정장치(100)의 구성이 쉽지 않고, 보정렌즈(120)의 회전을 구속하기 위한 별도의 회전구속요소를 설치하기 어려운 굴곡형 경통 구조에서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관한 손떨림 보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손떨림 보정장치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손떨림 보정장치에 적용된 마그네트 배치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손떨림 보정장치에 적용된 홀 센서의 배치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보정렌즈의 움직임이 병진성분을 가질 때, 홀 센서의 위치신호에 근거하여 목표위치로 접근하는 보정렌즈의 보정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보정렌즈의 움직임이 일 방향의 회전성분을 가질 때, 홀 센서의 위치신호에 근거하여 목표위치로 접근하는 보정렌즈의 보정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보정렌즈의 움직임이 반대 방향의 회전성분을 가질 때, 홀 센서의 위치신호에 근거하여 목표위치로 접근하는 보정렌즈의 보정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홀 센서가 렌즈의 한편에만 배치된 구조에서, 보정렌즈의 움직임이 서로 다른 방향의 회전성분을 가질 때, 오류적인 보정동작이 발생되는 양상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1 홀 센서들의 출력신호에 적용되는 병렬신호처리를 설명하기 위 한 도면이다.
도 11은 제1 홀 센서들의 출력신호에 적용되는 직렬신호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손떨림 보정장치 110: 커버
111a,111b : 제1 홀 센서 112: 제2 홀 센서
115: 홀 센서 120; 보정렌즈
130: 렌즈 지지판 131a,131b : 제1 마그네트
132a,132b: 제2 마그네트 140: 볼 베어링
150: 베이스 155: 구동코일
160: 요크 C: 렌즈중심
La: 렌즈중심 ~ 제1 마그네트까지의 회전 암(이격거리)
Lb: 렌즈중심 ~ 제2 마그네트까지의 회전 암(이격거리)
FYa,FYb : 제1 축 방향의 구동력
FX,FXa,FXb : 제2 축 방향의 구동력

Claims (8)

  1. 카메라의 흔들림을 보정하기 위한 손떨림 보정장치로서,
    서로 독립적인 제1 축 및 제2 축으로 이루어진 2차원 평면 상에서 구동되는 보정렌즈;
    상기 보정렌즈의 양편으로 쌍을 이루어 배치되고, 제1 축 방향으로 렌즈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제1 홀 센서들; 및
    상기 보정렌즈의 적어도 어느 한편에 배치되고, 제2 축 방향으로 렌즈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제2 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떨림 보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 센서의 쌍과 마주하게 배치되고, 제1 축 방향의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1 마그네트의 쌍;
    상기 제2 홀 센서와 마주하게 배치되고, 제2 축 방향의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2 마그네트; 및
    상기 제1, 제2 마그네트와 마주하게 배치되어 전자기적인 상호 작용을 수행하는 구동코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떨림 보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그네트의 쌍은 렌즈중심에 대해 서로 상쇄되는 방향의 회전 모멘 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떨림 보정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그네트는 렌즈중심을 지나는 제2 축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렌즈를 장착하고 제1 축 및 제2 축으로 이루어진 2차원 평면 상에서 가동되는 렌즈 지지판;
    상기 렌즈 지지판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해주는 베이스; 및
    상기 렌즈 지지판을 개재하여 상기 베이스 상에 조립되며, 상기 제1 홀 센서의 쌍과, 제2 홀 센서를 장착한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 센서의 쌍과 마주하는 렌즈 지지판 상에는 제1 축 방향의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1 마그네트의 쌍이 배치되고,
    상기 제2 홀 센서와 마주하는 렌즈 지지판 상에는 제2 축 방향의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2 마그네트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 센서들로부터 출력되는 서로 다른 위치신호는 소정의 연산처리를 거쳐 변환 값으로 산출되고, 렌즈의 위치정보로서 상기 변환 값이 참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떨림 보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 센서들로부터 출력되는 서로 다른 위치신호는 소정의 연산처리를 거쳐 변환 값으로 산출되고, 렌즈의 위치정보로서 변환 전의 위치신호와 변환 후의 변환 값이 모두 참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떨림 보정장치.
KR1020090065480A 2009-07-17 2009-07-17 손떨림 보정장치 KR101605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480A KR101605125B1 (ko) 2009-07-17 2009-07-17 손떨림 보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480A KR101605125B1 (ko) 2009-07-17 2009-07-17 손떨림 보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840A true KR20110007840A (ko) 2011-01-25
KR101605125B1 KR101605125B1 (ko) 2016-03-21

Family

ID=43614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5480A KR101605125B1 (ko) 2009-07-17 2009-07-17 손떨림 보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51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00441B1 (en) * 2020-04-23 2023-07-11 Apple Inc. Position sensor architecture for camera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14594B2 (ja) * 2006-01-30 2011-06-29 Hoya株式会社 ステージ装置
JP2008129326A (ja) 2006-11-21 2008-06-05 Pentax Corp ステージ装置、手ぶれ補正装置及びステージ装置の駆動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00441B1 (en) * 2020-04-23 2023-07-11 Apple Inc. Position sensor architecture for camera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5125B1 (ko) 2016-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9221B2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camera-mounted device
EP2840770B1 (en) Position detector and position detection method used in a camera module
KR101031857B1 (ko) 카메라의 손떨림 보정장치
KR101960493B1 (ko) 광학조절장치
US8243147B2 (en) Handshake correction apparatus
AU2014309689B2 (en) Camera module
JP5905275B2 (ja) レンズ駆動装置
KR101593999B1 (ko) 카메라의 흔들림 보정장치
US7460776B2 (en) Stage apparatus and camera shake correction apparatus using the stage apparatus
JP4899712B2 (ja) レンズ鏡筒
JP5084308B2 (ja) ステージ装置、及びステージ装置を利用したカメラの手振れ補正装置
JP2007272210A (ja) 画像安定化システムと方法
EP2290429B1 (en) Photographing Module
JP5961083B2 (ja) 位置検出装置
JP5731871B2 (ja) 位置検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アクチュエータ
US8805176B1 (en) Auto-focus driving structure
JP2012032543A (ja) 像ぶれ補正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2009204629A (ja) 撮像装置
JP5875012B2 (ja) 位置検出装置、駆動装置、レンズ鏡筒
JP2008076646A (ja) ブレ補正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機器
KR20110007840A (ko) 손떨림 보정장치
JP2013109248A (ja) 防振アクチュエータ
JP2014191073A (ja) 位置検出装置
JP2013038678A (ja) 撮像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WO2007136053A1 (ja) ブレ補正装置、それを用いた光学機器、その製造方法及び操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