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6464A - Environmentally-friendly revetment structure - Google Patents

Environmentally-friendly revetment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6464A
KR20110006464A KR1020090064108A KR20090064108A KR20110006464A KR 20110006464 A KR20110006464 A KR 20110006464A KR 1020090064108 A KR1020090064108 A KR 1020090064108A KR 20090064108 A KR20090064108 A KR 20090064108A KR 20110006464 A KR20110006464 A KR 20110006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natural
ground
space port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41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해성
이용직
정광근
허형우
박종식
홍동균
홍찬윤
홍동완
신승교
Original Assignee
한국농어촌공사
홍지기술산업주식회사
동선그라우팅(주)
주식회사 한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농어촌공사, 홍지기술산업주식회사, 동선그라우팅(주), 주식회사 한화건설 filed Critical 한국농어촌공사
Priority to KR1020090064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6464A/en
Publication of KR20110006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46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PURPOSE: An environment-friendly revetment structure is provided to preserve and restore ecosystem by preventing a revetment from collapsing. CONSTITUTION: An environment-friendly revetment structure comprises multiple frames(10) and binding members(20). Vegetation spaces(10A) for plants(4) are formed in the frames. The frames are connected each other. The binding members couple the frames so that the frames can be relatively moved.

Description

자연형 호안구조물{Environmentally-friendly revetment structure}Natural Revetment Structure {Environmentally-friendly revetment structure}

본 발명은 토목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자연 친화적인 공법으로 호안을 보호하기 위한 자연형 호안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civil engineering, and relates to a natural revetment structure for protecting a lake by a natural friendly method.

'식생'이란 나무가 심어진 상태를 말하고, '녹생'이란 잔디 등 풀이 심어진 상태를 말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하에서는 상기 '녹생'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식생'을 사용하고자 한다.The term 'vegetation' refers to a state in which trees are planted, and 'greenness' refers to a state in which grass, such as grass, is planted. Hereinafter, 'vegetation' is used as a concept including the 'greenness'.

일반적으로 호안의 사면, 법면 등의 비탈면은 물, 바람 등에 의하여 침식되거나 유실되어 붕괴되기 쉬운 바, 호안을 보호하기 위하여 호안의 비탈면에 호안구조물용 틀을 시공하는 호안공법을 실시하고 있다.In general, slopes such as slopes and slopes of shores are easily eroded or lost due to water, wind, etc., and thus, a shoreline construction method for constructing shoreline structures on slopes of shores to protect the shores of lakes is implemented.

그런데, 호안구조물용 틀 시공을 위해서는 호안 특유의 식생대를 훼손할 수 밖에 없어서 호안 주변의 자연생태계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고, 식생대 훼손 및 삭막한 호안구조물용 틀로 인해 미관을 해치고 있다.However, for the construction of the framework for the protection of the rafts, the inherent vegetation zone is inevitably damaged, which causes enormous damage to the natural ecosystem around the rafts, and damages the aesthetics due to the damage to the vegetation zone and the depressed raft structure.

따라서, 최근에는 호안의 붕괴를 방지하되, 적어도 호안 특유의 식생대를 조성시켜 줌으로써 그 환경에 맞는 생물의 서식공간이 저절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생태계를 보전 및 복원함과 아울러 식생대 자체에 의해 호안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는 호안공법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Therefore, in recent year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llapse of the shoreline, but at least by creating a unique vegetation zone so that the habitat of living organisms can be made by itself, conserving and restoring the ecosystem and the collapse of the shoreline by the vegetation zone itself. There is a lot of research on the raft construction method that can prevent.

특히, 유속이나 풍속이 빠르거나, 난류가 형성되기 쉬운 수충부, 배수로 사면, 유수지 사면 등에 안정적으로 자연 친화적인 호안공법을 시공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In particular,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method for stably constructing a natural friendly revetment method such as a water flow part, a slope, a drainage slope, and an oil reservoir slope where flow rates and wind speeds are high, and turbulence is easily form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식생대를 조성하여 호안의 붕괴를 방지함과 아울러, 생태계를 보전 및 복원할 수 있는 자연형 호안구조물용 틀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ramework for the natural revetment structure to prevent the collapse of the lake by creating a vegetation zone, and to preserve and restore the ecosystem.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식생(4)을 위한 식생공간부(10A)가 형성되고, 서로 연접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틀(10)들; 상기 복수 개의 틀(10)들을 서로 상대 이동 가능토록 결속하는 결속부재(20)를 포함하는 자연형 호안구조물을 제시하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getation space portion (10A) for the vegetation (4) is formed, a plurality of frames 10 are install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Presented is a natural relief structure comprising a binding member 20 for binding the plurality of the frame 10 to be relatively movable to each other.

상기 결속부재(20)는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inding member 20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상기 결속부재(20)는 주름관 형상(22)을 취할 수 있다.The binding member 20 may take the form of a corrugated pipe 22.

상기 결속부재(20)는 밴드 형상(24)을 취할 수 있다.The binding member 20 may have a band shape 24.

상기 결속부재(20)는 서로 이웃한 틀(10)들의 연접면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binding member 20 may be installed to be interposed between the connecting surface of the adjacent mold 10.

상기 결속부재(20)는 서로 이웃한 틀(10)들에 둘러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binding member 20 may be installed to surround the frame 10 adjacent to each other.

상기 틀(10)에는 상기 결속부재(2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요홈부(10B)가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recess 10B may be formed in the mold 10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binding member 20 may be inserted and installed.

상기 식생공간부(10A)는 상기 식생(4)이 지중(2)에 활착될 수 있도록 관통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식생(4)이 성장됨에 따라 단면 확장 가능한 가변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vegetation space portion 10A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vegetation 4 so that the vegetation 4 may slide on the ground 2 and may be formed to have a variable cross-sectional shape as the vegetation 4 is grown.

상기 식생공간부(10A)에는 상기 식생(4)의 양분 공급을 위한 부식성 채움재(12)가 채워질 수 있다.The vegetation space portion 10A may be filled with a corrosive filler 12 for nutrient supply of the vegetation 4.

상기 틀(10)들의 식생공간부(10A)로 지중(2)의 수분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틀(10)들의 식생공간부(10A)와 연결되고 상기 지중(2)에 매설되는 심재(50)를 포함할 수 있다.Core material connected to the vegetation space portion 10A of the frame 10 and embedded in the ground (2) to induce moisture in the ground (2) to the vegetation space portion (10A) of the frame (10) 50).

상기 틀(10)의 식생공간부(10A)로 지중(2)의 수분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틀(10)의 식생공간부(10A)와 적어도 하나 연결되고 상기 지중(2)에 매설되는 심재(50); 상기 심재(50)에 의해 유도된 수분을 상기 복수 개의 틀(10)들로 안내하는 흡습성부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vegetation space portion 10A of the mold 10 and buried in the ground (2) to induce moisture in the ground (2) to the vegetation space portion (10A) of the mold (10) Core material 50; It may further include a hygroscopic member 60 for guiding the moisture induced by the core 50 to the plurality of molds (10).

상기 틀(10)들이 설치되는 비탈면의 하측에 1열 또는 2열 이상 타입되는 말뚝부재(40)들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rame member 10 may further include pile members 40 that are provided in one row or two or more rows on the lower side of the slope on which the molds 10 are installed.

상기 말뚝부재(40)는 적어도 일부가 지중(2)에 매설되는 몸체부(42); 상기 몸체부(42) 중 적어도 상기 지중(2)에 매설되는 부분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복수의 가지부(44)를 포함할 수 있다.The pile member 40 has a body portion 42 at least partially embedded in the ground (2);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branch portions 44 protruding to the side of at least the portion of the body portion 42 embedded in the ground (2).

상기 말뚝부재(40)는 목재, 나아가 간벌목일 수 있다.The pile member 40 may be wood, further thinning wood.

상기 말뚝부재(40)는 염분을 포함하는 방부용액에 의하여 방부처리되고, 상기 몸체부(42)의 측면 및 상기 가지부(44)에 벤토나이트를 포함하는 코팅재에 의해 코팅층(46)이 형성될 수 있다.The pile member 40 is preservatively treated with an antiseptic solution containing salt, and the coating layer 46 may be formed by a coating material including bentonite at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42 and the branch portion 44. have.

본 발명은 복수 개의 틀들을 결속부재에 의해 하나로 결속함으로써, 견고하고 안정적인 호안공법을 실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binding a plurality of molds together by a binding member,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robust and stable revetment method.

또한 본 발명은 식생대를 안정적으로 조성할 수 있고, 자연 친화적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create a vegetation zone, it is natural friendly.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연형 호안구조물은, 식생(4)을 위한 식생공간부(10A)가 형성되고, 서로 연접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틀(10)들과; 복수 개의 틀(10)들을 서로 상대 이동 가능토록 결속하는 결속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1 to 4, the natural shore revetm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egetation space portion 10A for the vegetation (4)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the frame 10 is install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binding member 20 for binding the plurality of the frame 10 to be relatively movable to each other.

즉, 복수 개의 틀(10)들은 결속부재(20)에 의해 하나로 결속됨으로써, 유속 등의 외력에 대항하여 서로를 지지해주고 서로 간에 부하를 분산시킬 수 있다. That is, the plurality of molds 10 are bound together as one by the binding member 20, thereby supporting each other against external forces such as flow rate and distributing loads from each other.

따라서, 큰 홍수나 집중강우 등에 의해 하천 등의 수위가 높아지거나 유속이 증가하거나 풍속이 거세지더라도, 틀(10)을 비롯하여 식생(4)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식생대가 안정적으로 조성됨과 아울러 호안구조물 및 조성된 식생대에 의해 호안의 붕괴가 방지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refore, even if the water level of the river, the flow rate increases, or the wind speed increases due to heavy flooding or heavy rainfall, the departure of the vegetation 4 and the vegetation 4 can be prevented, and thus the vegetation zone is stably form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that the collapse of the lake can be prevented by the shore structure and the composition vegetation zone.

이에 따라, 유속이나 풍속이 빠르거나, 난류가 형성되기 쉬운 수충부, 배수로 사면, 유수지 사면 등에 용이하게 시공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that the flow velocity and the wind speed can be easily applied, and the water can easily be formed in the water-prone section, drainage slope, oil reservoir slope, and the like.

이러한 결속부재(20)는 복수 개의 틀(10)들을 결속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이든 무방하다. 다만 결속부재(20)는 복수 개의 틀(10)들을 전혀 움직임이 없도록 결속하는 것보다는 탄력적으로 유동 가능토록 하여 외력이 상쇄될 수 있게 하고, 외력 작용 후 복수 개의 틀(10)들이 복귀 가능토록,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The binding member 20 may have any configuration as long as it can bind the plurality of frames 10. However, the binding member 20 allows the external force to be offset by allowing the fluid to be elastically movable rather than binding the plurality of frames 10 without movement at all, so that the plurality of frames 10 can be returned after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It may be more preferable that it consists of a flexible material.

가요성 재질의 결속부재(20)는 다양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예로써 결속부재(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분한 탄성력을 갖을 수 있도록 주름관 형상(22)을 취할 수 있으며, 이때 서로 이웃한 틀(10)들의 연접면 사이에 개재되는 것이 보다 용이하다. 또는 결속부재(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틀(10)들을 용이하게 결속하기 위해 밴드 형상(24)을 취할 수 있으며, 이때 서로 이웃한 틀(10)들에 둘러지도록 설치되는 것이 용이하다.The binding member 20 of the flexible material may take various shapes. As a preferred example, the binding member 20 may have a corrugated pipe shape 22 so as to have sufficient elastic force as shown in FIGS. 1 to 3, wherein the binding member 20 is interposed between the joint surfaces of the frames 10 adjacent to each other. Is easier. Alternatively, the binding member 20 may have a band shape 24 to easily bind the plurality of molds 10 as shown in FIG. 4, wherein the coupling members 20 are installed to surround the molds 10 adjacent to each other. It is easy.

이하, 상술한 틀(1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frame 10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틀(10)에는 결속부재(2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요홈부(10B)가 형성됨으로써, 이웃한 두 틀(10) 사이에 결속부재(20)가 설치되더라도 이웃한 두 틀(10)이 서로 용이하게 연접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틀(10)들은 짜맞추기 방식으로 견고하게 축조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앵커부재 등에 의해 지중(2)에 결속될 수도 있다.2 to 4, at least one recess 10B is formed in the mold 10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binding member 20 may be inserted into the mold 10 so that the two molds 10 adjacent to each other are formed. Even if the binding member 20 is installed between the two neighboring mold 10 can be easi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molds 10 may be firmly constructed in a weaving manner, and at least a portion thereof may be bound to the ground 2 by an anchor member or the like as necessary.

식생공간부(10A)는 식생(4)이 지중(2)에 활착되어 성장될 수 있도록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vegetation space portion 10A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vegetation 4 so that the vegetation 4 may grow on the ground 2.

따라서, 식생(4)이 안정적으로 지중(2)에 활착되어 성장되면서 식생(2)의 뿌리(4A)들이 지중(2)에서 서로 엉키면서 네트(net)를 형성함에 따라, 식생대 조성에 의해서 호안의 비탈면이 더욱 견고하게 보강될 수 있고 축조된 틀(10)이 보다 안정 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틀(10)이 부식되어 사라지더라도 식생대에 의해 충분히 호안공법이 유지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ly, as the vegetation 4 stably grows in the ground 2 and grows, the roots 4A of the vegetation 2 entangle each other in the ground 2 to form a net, thereby forming a net by the composition of the vegetation zone. The slope of can be reinforced more firmly, the structure 10 can be maintained more stable, and even if the frame 10 is corroded and disappeared,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that the revetment method can be sufficiently maintained by the vegetation zone have.

한편, 식생(4)에 비해 식생공간부(10A)가 너무 크면 식생(4)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고, 식생(4)에 비해 식생공간부(10A)가 너무 작으면 식생(4)의 성장이 방해를 받을 수 있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vegetation space portion 10A is too large compared to the vegetation 4,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upport the vegetation 4 stably, if the vegetation space portion 10A is too small compared to the vegetation (4) There is a problem that the growth of (4) may be disturbed.

따라서, 식생공간부(10A)는 식생(4)이 성장됨에 따라 식생(4)에 의해 자연스럽게 확장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가변형 구조를 취할 수 있다.Therefore, the vegetation space portion 10A may have a variable structure as follows so that the vegetation 4 can be naturally expanded by the vegetation 4 as the vegetation 4 is grown.

즉, 시공 초기에는 틀(10)에 의해 호안이 보강되면서 초년생의 식생(4) 또는 씨앗이 원활하게 활착 및 성장될 수 있도록 지지될 수 있고, 식생(4)이 다년생으로 성장되면서 식생공간부(10A)가 변형 또는 파단 등에 의해 확장되어 식생(4)이 틀(10)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충분히 성장될 수 있다.That is, in the early stages of construction, the revetment may be reinforced by the framework 10, so that the vegetation 4 or seeds of the first-year vegetation may smoothly grow and grow, and the vegetation space part ( 10A) can be expanded by deformation or fracture, etc. so that the vegetation 4 can be sufficiently grown without being disturbed by the mold 10.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식생대가 조성된 후에는 식생대에 의해 충분히 호안공법이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식생공간부(10A)의 확장을 위해 틀(10)이 변형되거나 파단되어도 무방하다.At this time, since the vegetation zone can be sufficiently maintained by the vegetation zone after the vegetation zone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frame 10 may be deformed or broken for expansion of the vegetation space portion 10A.

따라서, 시공 초기에 초년생의 식생(4)을 심더라도 식생(4)의 성장에 의해 다년생의 식생(4)이 안정적으로 활착 및 유도될 수 있기 때문에, 생태계를 원래 상태로 용이하게 조성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refore, even when planting the vegetation 4 of the first year at the beginning of construction, since the vegetation 4 of the perennial plant can be stably mobilized and induced by the growth of the vegetation 4, the ecosystem can be easily created in its original state. The effect can be obtained.

또한 처음부터 식생(4)의 성장에 따른 가변형 식생공간부(10A)의 가변을 전제로 틀(10)이 형성됨으로써, 시공 후 식생(4)의 성장으로 인한 유지,보수,교체작업이 생략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rame 10 is formed on the premise of the variable vegetation space portion 10A according to the growth of the vegetation 4 from the beginning, maintenance, repair, replacement work due to the growth of the vegetation 4 after construction will be omitted. Can achieve the effect.

또한, 초년생의 식생(4) 또는 씨앗을 다양한 다년생 식생(4)으로 활착, 성장시켜서 식생대를 조성함에 따라, 처음부터 다년생의 식생(4)에 의해 식생대를 조성하는 것과 비교해볼 때, 시공비용이 절감될 수 있고, 다년생의 식생(4)를 구하기 위해 타 식생대를 훼손하지 않아도 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vegetation zone is formed by swelling and growing the vegetation of the perennial vegetation (4) or the seeds into various perennial vegetation (4), the construction cost is higher than that of the vegetation zone by the perennial vegetation (4). It can be reduced,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that does not need to damage other vegetation zone to save the perennial vegetation (4).

또한, 다양한 다년생 식생(4)에 의해 식생대를 안정적으로 조성할 수 있기 때문에, 유속이나 풍속이 빠르거나, 난류가 형성되기 쉬운 수충부, 배수로 사면, 유수지 사면 등에 용이하게 시공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vegetation zone can be stably formed by various perennial vegetation (4),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that it can be easily constructed at the flow rate, wind speed, turbulent zone, drainage slope, reservoir slope, etc. Can be.

이와 같이 가변형 식생공간부(10A)를 갖는 틀(10)을 형성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틀(10)은 소정 크기의 단면의 관통홀(h)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고, 그 관통홀(h)의 내부에 부식성 채움재(12)를 식생(4)를 둘러싸도록 채운 기초부(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order to form the mold 10 having the variable vegetation space portion 10A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5, the mold 10 has at least one through-hole h of a predetermined size having a cross section formed therethrough.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base portion (A) filled with a corrosive filler material 12 to surround the vegetation (4) inside the hole (h).

즉, 부식성 채움재(12)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식되어 제거됨에 따라서, 관통홀(h)의 내부에 식생(4)이 식생될 수 있는 공간이 점차 확장됨으로써, 다년생의 식생(4')이 활착될 수 있는 가변형 식생공간부(10A)를 형성할 수 있다.That is, as the corrosive filler 12 is corroded and removed over time, the space in which the vegetation 4 can be vegetated is gradually expanded inside the through-hole h, whereby the perennial vegetation 4 ' It is possible to form a variable vegetation space portion (10A) that can be slid.

부식성 채움재(12)는 식생(4)에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식 가능하다면 어떠한 것이든 무방하다. The corrosive filler material 12 may be anything that can corrode over time without damaging the vegetation 4.

다만 부식성 채움재(12)는 식생(4)의 성장 시간에 대응하여 다년에 걸쳐 부식될 수 있다면 더욱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또한 부식성 채움재(12)는 식생(4)의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다면 더욱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상술한 두 가지 이점을 취하기 위해, 부식성 채움재(12)는 식생(4)의 양분 공급을 위한 비료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비료분은 볏집, 호안 주변의 잡목 부스러기, 볏집 등 식생을 위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든 무방하다. 한편, 기초부(A)의 관통홀(h)에는 필요에 따라, 하천의 준설토, 주변의 토사, 돌 등이 함께 채워질 수도 있다.However, it may be more desirable if the corrosive filler 12 can be corroded over many years corresponding to the growth time of the vegetation (4). In addition, the corrosive filler material 12 may be more preferable if it can help the growth of the vegetation (4). In order to take the above two advantages, the corrosive filler 12 may be characterized as including fertilizer for the nutrient supply of vegetation (4). Fertilizer powder can be anything that is intended for vegetation, such as crests, lumber crumbs around shores, or crests. On the other hand, the through hole (h) of the base portion (A), if necessary, may be filled with dredged soil of the river, surrounding soil, stones, and the like.

기초부(A)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부식성 채움재(12)에 의해서 가변형 식생공간부(10A)의 형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식생(4)이 성장되더라도 형상이 변하지 않는 고결체로 형성될 수 있다.Since the base portion A may be formed of the variable vegetation space portion 10A by the corrosive filler 12 as described above, the base portion A may be formed of a solid body that does not change shape even when the vegetation 4 is grown.

기초부(A)는 고결체로 형성되기 위해 다양한 소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일 예로써 호안의 보강성 강화를 위해 콘크리트 또는 합성수지 또는 콘크리트나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소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초부(A)는 환경을 위해, 친환경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Base portion (A) may be formed by a variety of materials to be formed into a solid body, and as a preferred example may be formed of a concrete or synthetic resin or a material including concrete or synthetic resin to reinforce the reinforcement of the lake. In addition, the base portion (A) may be made of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s for the environment.

또는 기초부(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식생대 조성 후에는 식생대에 의해 호안공법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바, 식생(4)이 안정적으로 활착 및 성장되어 식생대가 조성될 때까지 식생(4)을 지지하고 최종적으로는 부식에 의해 자연으로 되돌아갈 수 있도록 목재 등의 친환경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base portion A may be stably maintained by the vegetation zone after the vegetation zone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vegetation zone 4 may stably grow and grow until the vegetation zone is formed. It may be more preferably made of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 such as wood to support and finally return to nature by corrosion.

기초부(A)는 내구성 강화를 위해, 철망 등의 다양한 소재에 의한 보강뼈대(26)에 의해 보강될 수도 있다.The base portion A may be reinforced by the reinforcing armature 26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a wire mesh to enhance durability.

한편 틀(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시공초기에만 식생(4)의 안정적인 활착 및 유도를 위해 식생(4)를 지지해줘도 되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형 식생공간부(10A) 형성을 위해 자체가 식생(4)에 의해 변형 가능한 가변부(B)로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frame 10 may support the vegetation 4 for stable lubrication and induction of the vegetation 4 only at the beginning of construc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rmation of the variable vegetation space portion 10A is illustrated in FIG. 6. It may itself be formed into a variable portion (B) deformable by the vegetation (4).

즉, 가변부(B)는 성장하는 식생(4)에 의해 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variable part B may be formed of a material deformable by the growing vegetation 4.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부(B)는 친환경적이면서 식생(4)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는 목(나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변부(B)는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으며, 특히 망 구조를 취함이 다음과 같은 이유에 의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즉, 가변부(B)가 나무 망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식생(4)의 원활한 성장을 위해 변형 또는 파단에 의해 가변될 수 있고, 제조가 용이하다. 이와 아울러, 틀(10)은 식생(4)을 위한 부식성 채움재(12)나 흙 등을 보존하기 위해, 가변부(B)에 삽입되는 주머니(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머니(32)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식생(4)의 유도 및 활착이 용이하도록 부직포 소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the variable part B may be formed of a wood (wood) material which is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can be easily deformed by the vegetation 4. At this time, the variable portion (B) may take a variety of structures, in particular, taking the network structure may be more preferable for the following reasons. That is, as the variable portion (B) is made of a tree net, it can be varied by deformation or breaking for smooth growth of the vegetation (4), it is easy to manufacture. In addition, the mold 10 may further include a bag 32 inserted into the variable portion B in order to preserve the corrosive filler 12 or soil for the vegetation 4. The pocket 32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and in particular,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pocket 32 is formed of a nonwoven material to facilitate the induction and slidability of the vegetation 4.

한편, 망 구조의 가변부(B)는 상술한 목 소재 이외에도, 철망 등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variable part B of the network structure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wire mesh, in addition to the wood material described above.

또한 가변부(B)는 성장하는 식생(4)에 의해 변형 가능토록 연질의 소재, 즉 스펀지와 같은 연질의 수지 소재나, 목분 소재, 연질의 수지와 목분의 혼합 소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ariable part B may be formed of a soft material, that is, a soft resin material such as a sponge, a wood powder material, a mixed material of a soft resin and wood powder, and the like so as to be deformable by the growing vegetation 4.

또는 틀(1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대가 충분히 조성된 후에도 틀(10)의 강성에 의해서 호안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h)이 형성된 상술한 기초부(A)와, 기초부(A)의 관통홀(h)에 삽입 설치되는 상 술한 가변부(B)로 구성될 수도 있다. 기초부(A)의 관통홀(h)에는 또한 부식성 채움재(12) 등이 채워질 수 있다.Alternatively, the frame 10 may include at least one through-hole h formed to prevent collapse of the lake by the rigidity of the frame 10 even after sufficient vegetation zones are formed as shown in FIGS. 7 and 8. It may be composed of one base portion (A) and the above-described variable portion (B)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h) of the base portion (A). The through hole h of the base portion A may also be filled with a corrosive filler 12 or the lik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연형 호안구조물은, 도 1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공 형성 및 보강 등을 위해 지중(2)에 타입되는 말뚝부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natural revetm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and 9 may further include a pile member 40 which is typed in the ground (2) for the formation and reinforcement of the foundation hole.

말뚝부재(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호안의 비탈면 하측부에 복수 개가 1열 또는 2열 이상 타입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호안의 비탈면 중간 또는 상측부에 타입될 수도 있고, 하천 등의 물 속에 타입될 수고 있고, 하나 또는 소수 개가 띄엄띄엄 타입될 수도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a plurality of pile members 40 may be provided in one row or two or more rows at the lower side of the slope of the lake, and the pile member 40 may be typed in the middle or the upper side of the slope of the lake, if necessary. It may be typed in the back water, and one or a few may be typed sparsely.

이러한 말뚝부재(40)는 특히 적어도 일부가 지중(2)에 매설되는 몸체부(42)와, 몸체부(42) 중 적어도 지중(2)에 매설되는 부분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복수의 가지부(44)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ile member 40 includes a plurality of branch portions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body portion 42 at least partially embedded in the ground 2 and at least part of the body portion 42 embedded in the ground 2 ( 44).

즉, 말뚝부재(40)가 지중(2)에 타입되면, 복수의 가지부(44)들이 쐐기처럼 몸체부(42)와 상이한 방향으로 지중(2)에 박힐 수 있다. That is, when the pile member 40 is typed into the ground 2, the plurality of branch portions 44 may be lodged in the ground 2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body portion 42 like a wedge.

따라서, 복수의 가지부(44)들에 의해 말뚝부재(40)가 보다 견고하게 지중(2)에 타입될 수 있기 때문에, 말뚝부재(4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고, 말뚝부재(40)에 의해 틀(10)이나 식생대 등이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pile member 40 can be more firmly typed into the ground 2 by the plurality of branch portions 44, the separation of the pile member 40 can be prevented, and the pile member 40 can be prevent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that the mold 10 or the vegetation zone can be more stably maintained.

나아가, 몸체부(42)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끝부분(14)이 뾰쪽하게 형성되는 것이 지중(2)에 용이하게 견고하게 타입될 수 있 다는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body portion 42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and in particular,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end portion 14 is sharply formed to be easily and firmly formed in the ground 2 as shown. can do.

복수의 가지부(44)들은 말뚝부재(40)의 길이 및 둘레를 따라 고르게 분포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branch portions 44 are evenly distributed along the length and circumference of the pile member 40.

복수의 가지부(44)들은 쐐기처럼 몸체부(42)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가늘어지는 형상을 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굵기가 일정한 형상을 취할수도 있고, 굵기가 계단 구조로 변할 수도 있고, 특정한 틀에 얽매이지 않고 다양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branch portions 44 take a shape that becomes gradually thinner as it moves away from the body portion 42, such as a wedge. In addition, the branch portion 44 may have a constant thickness as necessary, and the thickness may have a stepped structure. It may be changed to, or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without being bound by a specific framework.

복수의 가지부(44)들은 특히, 지중(2)에 타입된 말뚝부재(40)의 이탈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복수의 가지부(44)들에 의한 반작용이 작용한다면 말뚝부재(40)의 이탈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는 바, 적어도 일부가 몸체부(42)의 측면으로부터 몸체부(42)의 두부(42A)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branch portions 44 are particularly detached from the pile member 40 if a reaction by the plurality of branch portions 44 acts in a re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paration direction of the pile member 40 typed into the ground 2. This can be more surely prevented, at least a part of which can protrude from the side of the body portion 42 toward the head 42A of the body portion 42.

이와 같은 말뚝부재(40)는 철근, 파이프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친환경적인 공법을 위해 목재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으며, 특히 호안공법을 위해 호안으로부터 제거한 간벌목을 재활용함으로써, 간벌목 처리에 따른 비용절감, 말뚝부재(40) 제조를 위한 비용절감 등의 이점을 더 취할 수 있다.Such pile member 40 may be made of a variety of materials, such as reinforcing bars, pipes, it may be more preferable to use wood for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ethod, in particular by recycling the thin timber removed from the lake for the revetment method, Cost reduction according to the intercalation process, cost reduction for the pile member 40 can be taken further advantages.

간벌목으로 이루어지는 말뚝부재(40)는 간벌목의 가지들 중 제거되지 않은 가지들이 가지부(44)를 형성하는 것이, 말뚝부재(40)의 제조가 간단해질 수 있고 그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가지부(44)와 몸체부(42)를 일체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The piling member 40 made of the thinning tree is that the branches that are not removed among the branches of the thinning tree form the branch portion 44, the manufacturing of the pile member 40 can be simplified and the cost can be reduced accordingly. It is more preferable at the point that the branch part 44 and the body part 42 can be integrated.

이때, 가지부(44) 형성을 위해, 간벌목의 가지들을 원형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오히려 말뚝부재(40)의 타입시 및 후술할 후처리에서 방해가 될 수 있는 간벌목의 잔가지들을 정리함과 아울러 간벌목의 가지들을 그 밑둥만 남도록 가지정리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At this time, for forming the branch portion 44, although the branches of the thinning tree may be used as it is, but rather the arrangement of the twigs of the thinning can be hindered in the type of the pile member 40 and the post-processing described later It may be more preferable to use the branches of the thinning tree so that only the bottom is left.

이와 같이 말뚝부재(40)가 간벌목 또는 간벌목 이외 목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간벌목 또는 이외 목재를 자연 그대로 사용하면 나무 특성 상 많은 구멍이 존재하고 부식되기 쉬워 단단한 강도를 요구하는 보강재로서 미흡할 수 있다.Thus, when the pile member 40 is made of timber or other timber other than wood, if the timber or other timber is used as it is, it can be insufficient as a reinforcing material that requires a lot of strength due to the presence of many holes due to the nature of the wood and easy to corrode. have.

따라서, 말뚝부재(40)를 형성하기 위해, 간벌목 또는 이외 목재를 염수 등 염분을 포함하는 방부용액에 의하여 방부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in order to form the pile member 40, it is preferable to preservatively process thinwood or other timber with an antiseptic solution containing salt such as brine.

또한, 말뚝부재(40)가 주변으로부터 흘러들어온 물에 의해 부식될 수 있으며, 말뚝부재(40)와 지중(2) 사이 틈새로 하천의 물 등이 유입됨으로써 누수가 생겨 지중(2)이 연약해질 수 있는 바, 말뚝부재(40)는 방수 및 지수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ile member 40 may be corroded by the water flowing from the surroundings, the water flows into the gap between the pile member 40 and the ground (2), the leakage occurs, the ground (2) becomes soft As can be seen, the pile member 40 is preferably waterproof and water resistant.

말뚝부재(40)의 방수 및 지수를 위해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며, 특히 벤토나이트(bentonite)를 포함하는 코팅재에 의해 말뚝부재(40)의 외측면에 코팅층(46)을 형성함으로써, 방수와 지수를 동시에 충족할 수 있다.Various methods are available for waterproofing and indexing the pile member 40. In particular, by forming the coating layer 46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ile member 40 by a coating material including bentonite, the waterproofing and indexing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Can be satisfied.

즉, 벤토나이트는 극히 미세한 입자로 구성된 점토로 주광물의 성분은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이며, 화산회의 유리성분이 분해해서 생성된 점력이 매우 강한 점토이다. 이러한 벤토나이트는 수분에 의해 부풀어서 부피가 체적의 수배 혹은 수십배로 팽창하는 특성을 갖고 있어서, 방수재 및 지수재로 매우 적합하 다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bentonite is clay composed of extremely fine particles, and the main mineral is montmorillonite, and the clay is a very viscous clay produced by decomposition of the volcanic ash. Such bentonite has a property of swelling by moisture and expanding in volume or several tens of times in volume, which makes it very suitable as a waterproofing material and an indexing material.

나아가, 말뚝부재(40)에 코팅층(46)을 보다 견고하게 형성하기 위해, 코팅재는 아교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Furthermore, in order to more firmly form the coating layer 46 on the pile member 40, the coating material may further comprise a glue.

한편, 말뚝부재(40)의 전체에 코팅층(46)을 형성할 수도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말뚝부재(40)에 코팅층(46)을 형성할 때, 말뚝부재(40)를 통한 배수 또는 지하수 용출이 가능토록 몸체부(42)의 측면 및 가지부(44)에만 코팅층(46)을 형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coating layer 46 may be formed on the whole of the pile member 40, when forming the coating layer 46 on the pile member 40, as described above, drainage or groundwater elution through the pile member 40 The coating layer 46 may be formed only on the side and branch portions 44 of the body portion 42.

또한, 몸체부(42)의 측면 전체에 코팅층(46)을 형성할 수도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몸체부(42)의 끝부분(42B)이 뾰쪽하게 형성되는 경우, 말뚝부재(40)를 통한 배수 또는 지하수 용출이 보다 용이하도록, 몸체부(42)의 끝부분(42B)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만 코팅층(46)을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coating layer 46 may be formed on the entire side of the body part 42, as described above, when the end portion 42B of the body part 42 is sharply formed, through the pile member 40. To facilitate the drainage or groundwater elution, it may be more desirable to form the coating layer 46 only at the remaining portions except for the end portion 42B of the body portion 42.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연형 호안구조물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틀(10)의 식생공간부(10A)로 지중(2)의 수분을 유도할 수 있도록, 틀(10)의 식생공간부(10A)와 적어도 하나 연결되고 지중(2)에 매설되는 심재(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natural revetm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0 and 11 to induce moisture in the ground (2) to the vegetation space portion (10A) of the frame 10,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core material 50 connected to the vegetation space portion 10A and embedded in the ground (2).

즉, 심재(50)가 지하수인 지중(2)의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통로역할을 함으로써, 가뭄시에도 심재(50)를 통해 식생공간부(10A) 및 지표면에 식생(4)을 위한 수분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다.That is, the core material 50 serves as a passage for supplying moisture in the groundwater 2, which is groundwater, so that the moisture for the vegetation space portion 10A and the ground surface of the vegetation 4 through the core material 50 is found even during a drought. We can supply enough.

따라서, 식생(4)이 안정적으로 활착 및 성장될 수 있기 때문에 식생대를 용이하게 조성함으로써 생태계를 복원 및 보전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조성된 식생대 에 의해서 호안의 붕괴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vegetation 4 can stably grow and grow, the vegetation zone can be easily formed and the ecosystem can be restored and preserved. The vegetation zone thus formed can more reliably prevent the collapse of the lake. Can be obtained.

이러한 심재(50)는 지중(2)의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연현상 중 하나인 모세관 현상에 의해 지중(2)의 수분을 식생공간부(10A)로 유도하기 위한 모세관(52)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re material 5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method for supplying the moisture of the ground (2), in particular by the capillary phenomenon of one of the natural phenomena, as shown in Figure 8 Capillary tube 52 to guide the vegetation space portion 10A.

이와 같이 심재(50)가 모세관 현상을 위해 구성됨으로써, 지중(2)의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 등의 동력장치들을 구축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으로 시공될 수 있고, 무엇보다 환경친화적이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Since the core 50 is configured for the capillary phenomenon, it is not necessary to build a power unit such as a pump for supplying moisture in the ground (2), it can be installed at a low cost, and most of all is environmentally friendly The effect can be obtained.

또한 모세관(52)이 보강재 역할을 함으로써, 호안을 보다 견고하게 보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pillary 52 serves as a reinforcing material, it is possible to more securely protect the lake.

모세관(52)은 모세관 현상을 유도할 수 있다면 합성수지, 금속 파이프, 목재 등 어떠한 소재로 형성되든 무방하다.Capillary tube 52 may be formed of any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metal pipes, wood as long as it can induce a capillary phenomenon.

이때, 심재(50)가 모세관(52)으로 구성되는 경우, 식생공간부(10A)에 채움재(12A)가 채워진 경우, 심재(50)의 두부에는 심재(50)를 통한 채움재(12A)의 유실을 방지하되 심재(50)에 의해 유도된 수분이 식생공간부(10A)로 전달될 수 있도록 흡습성 막(미도시)이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흡습성 막은 부직포, 스펀지, 목분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core material 50 is composed of a capillary tube 52, when the filling material 12A is filled in the vegetation space portion 10A, the head of the core material 50 loses the filling material 12A through the core material 50. It may be more preferable that the hygroscopic film (not shown)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moisture from being induced by the core material 50 to the vegetation space portion 10A. The hygroscopic membrane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nonwoven fabric, sponge, wood flour and the like.

또한, 심재(50)는 지중(2)의 수분을 모세관 현상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식생공간부(10A)로 유도하기 위해, 모세관(52)의 내부에 채워진 다공질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공질부재는 모세관 현상을 유도할 수 있다면 부직포, 스펀 지, 목분 등 어떠한 소재이든 무방하다. In addition, the core material 50 may further include a porous member (not shown) filled in the capillary tube 52 to guide the moisture in the ground 2 to the vegetation space portion 10A more easily by capillary action. Can be. The porous member may be any material such as nonwoven fabric, sponge, wood flour, or the like as long as it can induce a capillary phenomenon.

이와 같이 심재(50)가 모세관(52) 및 다공질부재로 이루어지면, 다공질부재가 모세관(52)에 의해 보호받을 수 있고, 중간에 다공질부재로 유도된 수분이 지중(2)으로 유실되지 않도록 방지될 수 있으며, 모세관(52)의 구조적 특징은 물론 다공질부재의 다공서에 의해 보다 원활하게 지중(2)의 수분이 식생공간부(10A)로 유도될 수 있다는 이점을 취할 수 있다.When the core 50 is made of a capillary tube 52 and a porous member as described above, the porous member can be protected by the capillary tube 52, and prevents moisture induced by the porous member in the middle from being lost to the ground 2. In addition,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capillary tube 52 may of course take advantage of the porous material of the porous member so that the moisture in the ground 2 may be induced to the vegetation space portion 10A more smoothly.

또는 심재(50)는 식물의 줄기처럼 다공성에 의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지중(2)의 수분을 식생공간부(10A)로 유도하기 위한 다공질부재로만 구성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core material 50 may be composed of only a porous member for guiding the moisture of the ground 2 to the vegetation space portion 10A by capillary phenomenon caused by porosity like the stem of a plant.

또는 심재(50)는 특히 목재(54)로 이루어짐으로써, 보다 친환경적으로 호안공법을 시공할 수 있으며, 상술한 모세관(52)에 의한 모세관 현상 및 다공성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Or the core 50 is made of wood 54 in particular, it can be more eco-friendly construction method,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effect of simultaneously meeting the capillary phenomenon and porosity by the capillary tube 52 described above.

이러한 심재(50)는 상술한 말뚝부재(40)와 마찬가지로, 방수 및 지수를 위해 벤토나이트를 포함하는 코팅재에 의해 측면이 코팅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Like the pile member 40 described above, the core material 50 is preferably coated on the side by a coating material containing bentonite for waterproofing and index.

특히, 심재(50)를 이루는 목재(54)는 상술한 바와 같은 말뚝부재(40)와 같이 형성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timber 54 constituting the core material 50 may be formed like the pile member 40 as described above.

이러한 심재(5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두부가 식생공간부(10A)에 삽입되도록 설치됨으로써, 틀(10)과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심재(50)에 의해 유도된 지중(2)의 수분이 다른 곳으로 유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The core 50 is installed so that the head is inserted into the vegetation space portion 10A, as shown in Figure 10, it can be more firmly coupled to the frame 10, the ground induced by the core 50 The loss of moisture in (2) can be prevented.

또한 심재(5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식생공간부(10A)와 연결 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틀(10)들 중 일부 틀(10)의 식생공간부(10A)와 연결되도록 지중(2)에 매설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re material 50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each vegetation space portion 10A as shown in FIG. 10, or as shown in FIG. 11, some of the molds 10 of the plurality of molds 10 are shown. Can be buried in the ground (2) to be connected to the vegetation space portion (10A) of.

후자의 경우, 심재(50)와 연결되지 않은 식생공간부(10A)로부터 심재(50)에 의해 유도된 수분이 공급될 수 있도록, 심재(50)에 의해 유도된 수분을 복수 개의 틀(10)들로 안내하는 부직포 등의 흡습성부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latter case, the moisture induced by the core 50 is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molds 10 so that the moisture induced by the core 50 may be supplied from the vegetation space portion 10A not connected to the core 50. It may further include a hygroscopic member 60, such as a nonwoven fabric to guide the.

즉, 일부 식생공간부(10A)는 심재(50)에 유도된 수분을 심재(50)를 통해 직접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고, 심재(50)로부터 흡습성부재(60)로 수분이 유도됨에 따라 나머지 식생공간부(10A)는 흡습성부재(60)에 유도된 수분을 공급받을 수 있다.That is, some vegetation space portion (10A) can be supplied directly to the moisture in the core 50 through the core 50, the remaining vegetation as the moisture is induced from the core 50 to the hygroscopic member 60 The space portion 10A may be supplied with moisture guided by the hygroscopic member 60.

따라서, 심재(50)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서,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심재(50)의 매설로 인한 지중(2)의 교란을 최소화하여 지중(2)의 붕괴를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흡습성부재(60)에 의해 심재(50)의 매설이 어려운 곳에도 지중(2)의 수분을 유도할 수 있다는 이점을 취할 수 있다.Therefore, the number of cores 50 can be reduced, thereby reducing construction costs, and minimizing disturbance of the grounds 2 due to embedding of the cores 50, thereby more reliably preventing the collapse of the grounds 2.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take advantage of the moisture absorbing member 60 to induce moisture in the ground (2) even where the core 50 is difficult to embed.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Since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only with respect to som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at can be implem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s well know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will be said that both the technical idea and the technical idea which together with the base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이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자연형 호안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으로서,1 is a view showing a natural revetm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제1실시 예에 따른 자연형 호안구조물의 모식도.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natural revetm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2는 제1실시 예에 따른 자연형 호안구조물의 측단면도.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natural revetm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3은 제1실시 예에 따른 자연형 호안구조물의 분해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natural revetm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4는 제2실시 예에 따른 자연형 호안구조물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 natural shore security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도 5는 제3실시 예에 따른 자연형 호안구조물의 측단면도.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natural revetm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 6은 제4실시 예에 따른 자연형 호안구조물의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of a natural shore security structur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도 7은 제5실시 예에 따른 자연형 호안구조물의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of a natural shore security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도 8은 도 7의 일부 평면도.8 is a partial plan view of FIG. 7.

도 9는 말뚝부재 측단면도.9 is a side view of the pile member.

도 10은 제6실시 예에 따른 자연형 호안구조물의 측단면도.1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natural repose structur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도 11은 제7실시 예에 따른 자연형 호안구조물의 측단면도.1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natural repose structur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2; 지중 4; 식생2; Underground 4; Vegetation

10; 틀 10A; 식생공간부10; Frame 10A; Vegetation space department

20; 결속부재 40; 말뚝부재20; Binding member 40; Pile member

50; 심재 60; 흡습성부재 50; Heartwood 60; Hygroscopic member

Claims (16)

식생(4)을 위한 식생공간부(10A)가 형성되고, 서로 연접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틀(10)들;Vegetation space portion (10A) for the vegetation (4) is formed, a plurality of the frame 10 is install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복수 개의 틀(10)들을 서로 상대 이동 가능토록 결속하는 결속부재(20)를 포함하는 자연형 호안구조물.Natural relief structure comprising a binding member (20) for binding the plurality of the frame (10) to move relative to each other.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결속부재(20)는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진 자연형 호안구조물.The binding member 20 is a natural revetment structur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결속부재(20)는 주름관 형상(22)을 취하는 자연형 호안구조물.The binding member 20 is a natural revetment structure taking a corrugated pipe shape (22).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결속부재(20)는 밴드 형상(24)을 취하는 자연형 호안구조물.The binding member 20 is a natural revetment structure taking a band shape (2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결속부재(20)는 서로 이웃한 틀(10)들의 연접면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되는 자연형 호안구조물.The binding member 20 is a natural revetment structure is installed so as to be interposed between the interface between the adjacent frame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결속부재(20)는 서로 이웃한 틀(10)들에 둘러지도록 설치되는 자연형 호안구조물.The binding member 20 is a natural revetment structure is installed to be surrounded by the adjacent frame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틀(10)에는 상기 결속부재(2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요홈부(10B)가 형성된 자연형 호안구조물.At least one recess 10B is formed in the frame 10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binding member 20 can be inserted and installed.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식생공간부(10A)는 상기 식생(4)이 지중(2)에 활착될 수 있도록 관통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식생(4)이 성장됨에 따라 단면 확장 가능한 가변형으로 형성되는 자연형 호안구조물.The vegetation space portion (10A) is formed so as to penetrate the vegetation (4) so as to slide to the ground (2) and the natural revetment structure is formed in a variable shape that can be expanded in cross section as the vegetation (4) is grown. 청구항 8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상기 식생공간부(10A)에는 상기 식생(4)의 양분 공급을 위한 부식성 채움재(12)가 채워지는 자연형 호안구조물.The vegetation space portion (10A) is a natural revetment structure that is filled with a corrosive filler material (12) for nutrient supply of the vegetation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틀(10)들의 식생공간부(10A)로 지중(2)의 수분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틀(10)들의 식생공간부(10A)와 연결되고 상기 지중(2)에 매설되는 심재(50)를 포함하는 자연형 호안구조물.Core material connected to the vegetation space portion 10A of the frame 10 and embedded in the ground (2) to induce moisture in the ground (2) to the vegetation space portion (10A) of the frame (10) Natural shore revetment structures, including 5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틀(10)의 식생공간부(10A)로 지중(2)의 수분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틀(10)의 식생공간부(10A)와 적어도 하나 연결되고 상기 지중(2)에 매설되는 심재(50);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vegetation space portion 10A of the mold 10 and buried in the ground (2) to induce moisture in the ground (2) to the vegetation space portion (10A) of the mold (10) Core material 50; 상기 심재(50)에 의해 유도된 수분을 상기 복수 개의 틀(10)들로 안내하는 흡습성부재(60)를 더 포함하는 자연형 호안구조물. Natural revetment structure further comprises a hygroscopic member (60) for guiding the water induced by the core 50 to the plurality of molds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틀(10)들이 설치되는 비탈면의 하측에 1열 또는 2열 이상 타입되는 말뚝부재(40)들를 더 포함하는 자연형 호안구조물.A natural revetment structure further comprises pile members (40) in one row or two or more rows on the lower side of the slope on which the frame (10) is installed. 청구항 1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상기 말뚝부재(40)는 적어도 일부가 지중(2)에 매설되는 몸체부(42);The pile member 40 has a body portion 42 at least partially embedded in the ground (2); 상기 몸체부(42) 중 적어도 상기 지중(2)에 매설되는 부분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복수의 가지부(44)를 포함하는 자연형 호안구조물.Natural body safety structure comprising a plurality of branch portions (44) protruding on the side of the body portion (42) buried in the ground (2). 청구항 13에 있어서,14.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말뚝부재(40)는 목재인 자연형 호안구조물.The pile member 40 is a natural shore relief structure that is wood. 청구항 14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상기 말뚝부재(40)를 이루는 목재는 간벌목인 자연형 호안구조물.The wood forming the pile member 40 is a natural revetment structure that is thinning. 청구항 13에 있어서,14.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말뚝부재(40)는 염분을 포함하는 방부용액에 의하여 방부처리되고, 상기 몸체부(42)의 측면 및 상기 가지부(44)에 벤토나이트를 포함하는 코팅재에 의해 코팅층(46)이 형성된 자연형 호안구조물.The pile member 40 is preservatively treated with an antiseptic solution containing salt, and a natural type in which the coating layer 46 is formed by a coating material including bentonite on the side portion and the branch portion 44 of the body portion 42. Shoreline structure.
KR1020090064108A 2009-07-14 2009-07-14 Environmentally-friendly revetment structure KR2011000646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108A KR20110006464A (en) 2009-07-14 2009-07-14 Environmentally-friendly revetment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108A KR20110006464A (en) 2009-07-14 2009-07-14 Environmentally-friendly revetment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464A true KR20110006464A (en) 2011-01-20

Family

ID=43613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4108A KR20110006464A (en) 2009-07-14 2009-07-14 Environmentally-friendly revetment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646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39632A (en) * 2011-06-23 2012-12-26 同济大学 Method of constructing ecological revetment for intensively intercepting and clearing non-point pollution based on organism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39632A (en) * 2011-06-23 2012-12-26 同济大学 Method of constructing ecological revetment for intensively intercepting and clearing non-point pollution based on organisms
CN102839632B (en) * 2011-06-23 2015-06-03 同济大学 Method of constructing ecological revetment for intensively intercepting and clearing non-point pollution based on organism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4938B1 (en) Vegetation mat for river bulkhead and surface of slope protection and this construction technique
KR100817471B1 (en) Stone net for river bulkhead and this construction technique
KR100525641B1 (en)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iques by nonwoven geotextile vegetation soil-bags
KR101078073B1 (en) The fixing apparatus of the vegetation mat for shore and slope protection
CN101235631A (en) Porous concrete ecological capsule slope protection method
CN101185416A (en) The greening mat for revetment, afforestation revetment structure using the mat, and the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CN101220584A (en) Slope type ecological shore protection with block wall
Stachew et al. Root Systems Research for bioinspired resilient design: a concept framework for foundation and Coastal engineering
KR20120112306A (en) Eco-friendly storage type agricultural channel
CN201165654Y (en) Porous concrete ecological bag building block unit
JP6532278B2 (en) Method for regenerating sphagnum wetland and regeneration base
Reddy et al. FARM PONDS: A Climate Resilient Technology for Rainfed Agriculture Planning, Design and Construction
CN202099783U (en) Nature-imitated ecological protection structure of water banks of rivers, lakes and channels
KR20070103245A (en) Plantation process on the surface of the concrete block installed around the river side
KR200420824Y1 (en) Plantation structure on the surface of the concrete block installed around the river side
JP3455799B2 (en) Greening concrete blocks and secondary concrete products
CN109577276B (en) Ecological protection structure suitable for rocky bank slope in reservoir hydro-fluctuation area and construction method of ecological protection structure
KR20110006464A (en) Environmentally-friendly revetment structure
KR200412590Y1 (en) Greening mat of slope
KR101166880B1 (en) Pile and Environmentally-friendly revetment structure using the same
CN205576841U (en) Stereoplasm is domatic plants living structure
CN210857111U (en) Ecological slope protection structure of combined type river course
KR20150026163A (en) Eco-friendly slope stabilization method using vegetation grid reinforcement mats
KR20070118531A (en) Revetment block
KR101166881B1 (en) Environmentally-friendly revetment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