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723A - 혈당치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혈당치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723A
KR20110005723A KR1020107026248A KR20107026248A KR20110005723A KR 20110005723 A KR20110005723 A KR 20110005723A KR 1020107026248 A KR1020107026248 A KR 1020107026248A KR 20107026248 A KR20107026248 A KR 20107026248A KR 20110005723 A KR20110005723 A KR 20110005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sugar
insulin
blood glucose
control system
bl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6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3357B1 (ko
Inventor
데쓰야 사카타
요시하루 우에하타
히토시 하타
Original Assignee
아크레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크레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크레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05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3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3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86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enzyme electrodes, e.g. with immobilised oxidase
    • A61B5/1486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enzyme electrodes, e.g. with immobilised oxidase invasive, e.g. introduced into the body by a catheter or needle or using implanted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86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enzyme electrodes, e.g. with immobilised oxid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36Diagnosis combined with treatment in closed-loop systems or methods
    • A61B5/4839Diagnosis combined with treatment in closed-loop systems or methods combined with drug deliv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44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72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 A61M5/1723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using feedback of body parameters, e.g. blood-suga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46Range
    • A61M2205/3569Range sublocal, e.g. between console and dispos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20Blood composition characteristics
    • A61M2230/201Glucose concen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3Modular systems comprising interconnecting e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iabet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슐린 송출장치(2)와 혈당 측정장치(3) 구비한 혈당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슐린 송출장치(2)와 상기 혈당 측정장치(3)를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부가 기구(4)를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부가 기구 (4)는, 혈당 측정장치(3)가 인슐린 송출장치(2)에 대해서 회전운동 또는 미끄럼운동하도록 구성된다. 어댑터를 이용하지 않는 혈당 측정장치와 인슐린 송출장치를 포함한 혈당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부품 점수의 증가에 의한 비용상승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별도 부품의 어댑터를 분실하여, 혈당치 제어 시스템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혈당치 제어 시스템{BLOOD SUGAR LEVEL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혈당 측정장치 및 인슐린 송출장치를 포함한 혈당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혈당치를 정상 범위에 유지하는 것은, 당뇨병성 망막증, 당뇨병성 신증(腎症), 당뇨병성 신경장애 등의 당뇨병의 합병증을 방지하는데 중요하다. 일부의 당뇨병 환자는, 자기의 혈당치를 원하는 범위내에 유지하기 위해서, 인슐린 투여를 필요로 한다. 이들 당뇨병 환자는, 통상, 혈당치를 모니터하면서, 주사기를 이용하여 자신에게 인슐린의 투여를 행하고 있다. 주사기에 의한 인슐린 투여에서는, 인슐린의 투여시에 혈류내의 인슐린 농도가 높아진다. 그러나, 주사기에 의한 인슐린의 투여에서는, 체내에서 발생된 인슐린의 거동과 같이, 장시간에 걸쳐서 낮은 농도의 인슐린을 혈류내에 존재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최근, 인슐린 주입량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인슐린 송출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인슐린 송출장치는, 인슐린의 송출량이나 타이밍이 프로그램된 것이다. 이 인슐린 송출장치에서는, 보다 생리적으로 가까운 조건으로, 긴 기간에 걸쳐서 천천히 인슐린을 주입할 수 있기 때문에, 혈당치를 원하는 범위에 유지하는데 효과적이다. 인슐린 송출장치는, 소형화되어 오고 있고, 소형화된 인슐린 송출장치를 당뇨병 환자의 신체에 일상적으로 장착하는 것도 행하여지고 있다.
한편, 혈당치의 모니터는, 일반적으로 생체외 측정법을 적용한 소형 혈당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정기적으로 혈당치를 측정하는 것에 의해 행하여지고 있다.
대표적인 소형 혈당 측정장치는, 글루코오스 산화 환원 효소를 유지한 시험편을 사용하는 것이다. 소형 혈당 측정장치를 이용한 혈당치 측정은, 소형 혈당 측정장치의 삽입구에 시험편을 삽입하고, 휴대형 란셋(LANCET) 디바이스로 손끝 등의 피부를 절개하여 얻어진 혈액 시료를 시험편상에 공급하는 것에 의해 행하여진다. 이것에 의해, 소형 혈당 측정장치에서는, 시험편 내부에서의 효소 반응에 기인하는 전하(電荷) 이동량 또는 정색(coloration) 레벨에 기초하여 혈당치를 연산할 수 있다.
현재는, 소형 혈당 측정장치와 인슐린 송출장치를 조합하여 사용하여, 소형 혈당 측정장치에 의한 혈당치의 모니터 결과에 따라서, 혈액에의 인슐린의 송출량을 조절하는 것도 행하여진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 참조)
특허문헌 1에는, 인슐린 송출장치에 혈당 측정 기능을 부여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인슐린 송출장치는, 장치가 대형화되기 때문에 신체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부담이 크다. 또한, 입욕시 등과 같이 인슐린 송출장치가 물에 접촉하는 환경하에서는, 장치의 방수화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시험편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가 존재하기 위해서 장치의 내부에 물이 비집고 들어갈 가능성이 크다.
특허문헌 2에는, 인슐린 송출장치와 소형 혈당 측정장치를 어댑터에 의해 합체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인슐린 송출장치에 대해서 소형 혈당 측정장치를 합체시키는 것에 의해, 소형 혈당 측정장치에 의한 혈당치의 측정결과를 인슐린 송출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 측정 결과의 데이터 송신에는, 적외선 등의 범용의 근거리 라디오 커뮤니케이션 수단이 채용되어 있다. 이러한 인슐린 송출장치에서는, 입욕시 등의 물에 접촉하는 상황, 혹은 소형 혈당 측정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인슐린 송출장치로부터 소형 혈당 측정장치를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부담이 경감된다. 그 반면, 어댑터를 준비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어댑터를 분실하여 소형 혈당 측정장치로부터 인슐린 송출장치로 데이터 송신할 수 없는 위험에 처해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어댑터의 사용은, 부품 점수가 증가하기 위해서 비용 상승, 혹은 인슐린 송출장치에 대한 소형 혈당 측정장치의 탈착 조작을 번잡화 시키는 원인이 된다.
소형 혈당 측정장치나 인슐린 송출장치를 이용하여 혈당치를 제어하는 경우, 이들 장치로부터 측정 데이터나 인슐린 송출에 관한 이력에 대응한 데이터를, 외부의 정보처리장치에 아웃 풋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이러한 정보처리장치에의 통신에도, 적외선 등의 범용의 근거리 라디오 커뮤니케이션 수단이 많이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근거리 라디오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채용하는 경우, 인슐린 송출장치와 소형 혈당 측정장치와의 통신 포트를 서로 대향 시킬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인슐린 장치에 소형 혈당 측정장치를 합체하는 구성에서는, 인슐린 송출장치로부터 외부의 정보처리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 인슐린 송출장치에서의 통신 포트의 위치에 따라서는, 소형 혈당 측정장치가 장해가 되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특히, 인슐린 송출장치에 있어서, 소형 혈당 측정장치와의 통신 포트를, 외부의 정보처리장치의 데이터 송신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소형 혈당 측정장치가 통신의 장해가 된다. 이러한 불량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인슐린 송출장치로부터 소형 혈당 측정장치를 분리하면 좋지만, 그 경우에는 소형 혈당 측정장치의 분리 조작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어댑터나 혈당 측정장치를 분실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특허문헌 1 : PCT 국제출원 No. 11-507250호의 일본어 번역문
특허문헌 2 : PCT 국제출원 No. 2007-503288호의 일본어 번역문
본 발명은, 간단하고 쉬운 조작으로 혈당 측정장치로부터 인슐린 송출장치에 데이터 송신을 행할 수 있는 혈당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혈당 측정장치 등의 분실을 억제할 수 있는 혈당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혈당치를 측정하기 위한 혈당 측정장치와, 체내에 인슐린을 투여하기 위한 인슐린 송출장치를 구비한 혈당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혈당치 제어 시스템은, 상기 인슐린 송출장치와 상기 혈당 측정장치를 서로 상대 이동 가능(relatively movable)하게 결합하고, 또한 상기 인슐린 송출장치 및 상기 혈당 측정장치에 설치된 부가 기구를 더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가 기구는, 상기 인슐린 송출장치와 상기 혈당 측정장치를 서로 분리하는 일 없이, 상기 인슐린 송출장치에 대해서 상기 혈당 측정장치를 회전운동 또는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 혈당치 측정 시스템은, 무선 데이터 통신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수단은, 예를 들어 상기 혈당 측정장치로부터 상기 인슐린 송출장치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서 상기 혈당 측정장치에 설치된 제 1 무선 데이터 통신부와, 상기 제 1 무선 데이터 통신부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또한 외부의 정보처리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행하기 위해서 상기 인슐린 송출장치에 설치된 제 2 무선 데이터 통신부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부가 기구는, 예를 들어 상기 제 2 무선 데이터 통신부와 상기 정보처리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행할 때, 상기 제 2 무선 데이터 통신부에 의한 데이터 통신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상기 혈당 측정장치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혈당치 제어 시스템은, 체내에 심어 사용하는 제 2 혈당 측정장치를 더 가지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혈당 측정장치 및 상기 인슐린 송출장치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제 2 혈당 측정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무선 데이터 통신부는, 예를 들어 상기 제 2 혈당 측정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인슐린 송출장치는, 통신 대상으로서, 상기 혈당 측정장치 또는 상기 제 2 혈당 측정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택수단은, 예를 들어 상기 통신 대상으로서, 상기 정보처리장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선택수단은, 예를 들어 상기 인슐린 송출장치에 설치된 스위치이다. 상기 선택수단은, 상기 인슐린 송출장치에 대한 상기 혈당 측정장치의 상대 위치에 따라서, 상기 통신 대상을 선택하는 것이더라도 좋다. 이 경우의 선택수단은, 예를 들어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복수의 스위치의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의 조합에 의해, 상기 통신 대상을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혈당 측정장치 및 상기 인슐린 송출장치는, 방수성 또는 내수성을 갖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혈당 측정장치는, 예를 들어 시험편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를 폐쇄하기 위한 폐쇄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가 기구가 혈당 측정장치 및 인슐린 송출장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 부품의 어댑터를 이용하지 않는 혈당 측정장치와 인슐린 송출장치를 포함한 혈당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부품 점수의 증가에 의한 비용상승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별도 부품의 어댑터나 혈당 측정장치를 분실할 가능성을 저감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혈당 측정장치와 인슐린 송출장치를 서로 분리하는 일 없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하면, 혈당 측정장치의 분실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인슐린 송출장치에 대한 혈당 측정장치의 탈착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게 되므로, 사용자의 부담이 경감된다.
도 1은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혈당치 제어 시스템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혈당치 제어 시스템을 정보처리장치와 함께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3A는 도 1에 도시한 혈당 측정장치에 시험편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캡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혈당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인슐린 송액 장치로부터 혈당 측정장치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5A 및 도 5B는, 도 1에 도시한 혈당치 제어 시스템에서의 부가 기구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6A 내지 도 6C는, 도 5에 도시한 부가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A의 A-A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A의 B-B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한 혈당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인슐린 송액 장치로부터 혈당 측정장치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0A 및 도 10B는, 도 1에 도시한 혈당치 제어 시스템에서의 부가 기구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부가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한 혈당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인슐린 송액 장치로부터 혈당 측정장치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혈당치 제어 시스템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하는 혈당치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체내 식입형 연속 혈당 측정장치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한 혈당치 제어 시스템을 정보처리장치와 함께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6은 도 16 A내지 도 16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혈당치 제어 시스템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한 혈당치 제어 시스템을 정보처리장치와 함께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에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혈당치 제어 시스템의 제 1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혈당치 제어 시스템(1A)은, 인슐린 송출장치(2) 및 혈당 측정장치(3)를 포함하고 있고, 인슐린 송출장치(2)와 혈당 측정장치(3)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혈당치 제어 시스템 (1A)에서는, 혈당 측정장치(3)로부터의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체내에의 인슐린 투여의 필요성을 판단하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서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연산한 양의 인슐린을 투여한다.
인슐린 송출장치(2)는, 체내에 인슐린을 투여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복부나 어깨의 피부에 고정되는 것이다. 인슐린 송출장치(2)는, 입은 옷에 고정하고, 또는 그 외의 방법으로 휴대되는 것이더라도 좋다. 이 인슐린 송출장치(2)는, 인슐린 송출부(20), 하우징(21) 및 통신부(22)를 구비하고 있다.
인슐린 송출부(20)는, 장치 내부에 유지된 인슐린을 장치 밖으로 배출하는 부분이며, 예를 들어 바늘 부착 튜브(needle tube)(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되는 부분이다. 바늘튜브는, 통상, 간장에 연결되는 문동맥(門動脈)이나 간장에 근접한 복막 공간에 바늘 부분이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인슐린 송출부(20)로부터의 인슐린은, 튜브를 통하여 문동맥계에 송출되는 동시에, 문동맥계에서 흡수되어 간장에 운반된다.
하우징(21)은, 인슐린 송출장치(2)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연산을 가능한 회로기판을 수용하고 있다. 이 하우징(21)은, 방수성 또는 내수성을 갖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21)은,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PP) 수지 등 투수성(透水性)이 극히 낮은 재료를 이용하여 두께를 1mm 이상으로 취하는 것에 의해서 방수성 또는 내수성을 갖는 것이 된다.
통신부(22)는, 송신부(22A) 및 수신부(22B)를 포함하고 있다. 송신부(22A)는 정보처리장치(6)(도 2 참조)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수신부(22B)는 혈당 측정장치(3) 및 정보처리장치(6)(도 2 참조)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통신부(22)로서는, 예를 들어 광발진 소자와 수광 소자를 1개의 패키지로 일체화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통신부(22)에서의 데이터의 송수신은, 예를 들어 적외광을 사용하여 행할 수 있지만, 블루투스(Bluetooth)에서 채용되고 있는 2.45GHz대 등의 다른 주파수(파장)의 빛을 사용해도 좋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슐린 송출장치(2)는, 제어부(23), 기억부(24), 인슐린 탱크(25), 펌프(26) 및 디스플레이(27)를 더 가지고 있다.
제어부(23)는, 각 부의 동작(예를 들어 펌프(26)의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 송신부(22A)로부터의 데이터 송신, 혹은 수신부(22B)에서 수신한 수신 데이터를 기억부(24)에 기억시키는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기억부(24)는, 펌프(26)의 구동에 필요한 데이터를 기억한 것이다.
이 기억부(24)에 기억되는 데이터에는 또한, 예를 들어 혈당 측정장치(3)로부터 송신되어 온 측정 데이터, 및 혈당치에 대응시킨 인슐린의 송출 이력에 관한 데이터가 포함된다. 즉, 인슐린 송출장치(2)로부터 정보처리장치(6)에 대해서는, 기억부(24)에 기억된 혈당치 데이터나 인슐린의 송출 이력에 관한 데이터가 송신된다.
인슐린 탱크(25)는, 인슐린을 유지한 것이고, 튜브(도시 생략)를 통하여 인슐린 송출부(20)에 접속되어 있다.
펌프(26)는, 인슐린 탱크(25)의 인슐린을 반송하기 위한 구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펌프(26)로서는, 공지의 여러 가지의 것, 예를 들어, 시린지 펌프 (Syringe pump)를 사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7)는, 각종의 정보(예를 들어 인슐린의 송출 상태, 인슐린 잔량, 혹은 혈당 측정장치(3)로부터 송신되어 온 측정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혈당 측정장치(3)는, 혈액중의 겔 코스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부가 기구(4)를 사이에 두고 인슐린 송출장치(2)에 대해서 회전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 혈당 측정장치(3)는, 통신부(송신부) (30) 및 하우징(31)을 구비하고 있다.
통신부(30)는, 인슐린 송출장치(2)에 대해서 측정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부로서 기능하는 것이고, 하우징(31)의 내부에 조립해 넣어져 있다. 통신부 (30)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것이더라도 좋다. 이 통신부(30)는, 적외광을 이용하여 데이터 송신을 행할 수 있다. 물론, 통신부(30)로부터의 데이터의 송신에는, 블루투스에서 채용되고 있는 2.45GHz대 등의 다른 주파수(파장)의 빛을 사용해도 좋다.
여기서, 통신부(30)로부터 송신되는 '측정 데이터'란, 혈당 측정장치(3)에서 측정되는 전류치 등의 생(生)데이터, 생데이터를 전압치 등의 다른 물리량으로 환산으로 한 것, 혈당치의 연산 결과에 관한 데이터, 및 생데이터나 혈당치 연산 데이터를 보정한 데이터가 포함된다. 통신부(30)는, 측정 데이터에 더하여, 생데이터나 혈당치 데이터를 보정하기 위한 데이터, 예를 들어 시험편의 제조 로트 넘버, 측정 온도, 별도 측정된 헤마토크릿(HEMATOCRIT: 전체 혈액에 대한 혈구성분(적혈구·백혈구·혈소판)의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치 외, 혈당치의 결정에 필요하게 되는 보정 정보를 송신하도록 해도 좋다.
하우징(31)은, 혈당 측정장치(3)의 외형을 이루는 것이다. 하우징(31)은,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연산을 가능한 회로기판을 수용하고 있는 동시에, 시험편 삽입구(32)를 가지고 있다.
하우징(31)은, 방수성 또는 내수성을 갖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하우징(21)은, 인슐린 송출장치(2)의 하우징(21)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PP)수지 등 투수성이 극히 낮은 재료를 이용하여 두께를 1mm 이상으로 취하는 것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험편 삽입구(32)는, 시험편(5A)을 삽입하는 부분이다. 시험편(5A)은, 혈당치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산화 환원 효소를 수용한 캐필러리(Capillary)(50)를 가진 글루코오스 센서이다. 캐필러리(50)는, 혈액을 흡인·유지하는 부분이다. 이 시험편(5A)에서는, 산화 환원 효소의 촉매 작용에 의해 글루코오스가 산화 혹은 환원될 때의 전자를 주고 받은 양을, 응답 전류 혹은 시약의 정색으로서 지시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험편 삽입구(32)는, 혈당 측정장치(3)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캡(5B)을 삽입하도록 해도 좋다. 캡(5B)은, 방수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시험편 삽입구(32)를 막을 수 있도록 성형되어 있다. 그 때문에, 혈당 측정장치(3)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캡(5B)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혈당 측정장치(3)에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입욕시 등과 같이 물에 접촉하는 환경화에서도, 인슐린 송출장치(2)로부터 혈당 측정장치(3)를 떼어내는 일 없이, 혈당 측정장치(3)에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성이 향상된다.
캡(5B)을 대신하여, 시험편 삽입구(32)를 막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험편(5A)이 삽입되어 있지 않을 때에 시험편 삽입구(32)가 막혀진 상태로 하여, 시험편(5A)을 삽입할 때나 삽입되어 있을 때에 내측으로 밀어넣어져 뚜껑을 구비한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캡(5B)을 이용하지 않고도 혈당 측정장치(3)에의 침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혈당 측정장치(3)는, 제어부(33), 기억부(34), 및 연산부(35)를 더 가지고 있다.
제어부(33)는, 각 부의 동작(예를 들어 통신부(송신부)(30)로부터의 데이터 송신, 혹은 연산부(35)에서의 혈당치의 연산 동작)를 제어하는 것이다.
기억부(34)는, 혈당치의 측정에 필요한 데이터(예를 들어 전류치 등의 측정 데이터, 검량선에 관한 데이터 및 보정 데이터)를 기억한 것이다.
이 기억부(34)는, 혈당치의 측정 결과를 기억할 수 있다.
연산부(35)는, 시험편(5A)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혈당치를 연산하는 것이다. 혈당치의 연산은, 생데이터(혹은 생데이터를 환산한 환산 데이터), 보정 데이터 및 검량선 데이터에 기초하여 행하여진다. 다만, 측정된 데이터로부터의 혈당치의 연산은, 인슐린 송출장치(2)에서 행하도록 해도 좋다.
도 1A, 도 1B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가 기구(4)는, 인슐린 송출장치(2)에 설치된 부착부(40), 혈당 측정장치(3)에 설치된 부착부(41), 및 핀(42)을 포함하고 있다. 부착부(40,41)는, 관통구멍(43,44)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관통구멍(43,44)은, 핀(42)이 삽입통과되는 부분이다. 핀(42)은, 선단부에 설치된 나사부 (45) 및 헤드부(46)를 가지고 있다. 즉, 부가 기구(4)는, 부착부(40,41)를 위치 맞춤한 상태에서, 관통구멍(43,44)에 핀(42)을 삽입통과하고, 헤드부(46)를 조작하여 나사부(45)를 나사식 결합하는 것에 의해, 인슐린 송출장치(2)에 대해서 혈당 측정장치(3)를 결합하고 있다.
혈액 제어 시스템(1A)에서는, 부가 기구(4)에 의해서, 혈당 측정장치(3)를 인슐린 송출장치(2)로부터 분리하는 일 없이, 혈당 측정장치(3)를 회전운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도 1A에 도시한 혈당 측정장치(3)의 통신부(30)가 인슐린 송출장치 (2)의 수신부(22B)에 대향하는 상태와, 도 1B에 도시한 인슐린 송출장치(2)의 통신부(22)를 혈당 측정장치(3)에 방해받는 일 없이 통신할 수 있는 상태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혈당 측정장치(3)의 통신부(30)가 인슐린 송출장치(2)의 수신부(22B)에 대향하도록 되어 있고, 혈당 측정장치(3)의 통신부(30)로부터 인슐린 송출장치(2)의 수신부(22B)에 측정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도 1B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인슐린 송출장치(2)의 통신부(22)가 노출되기 때문에, 혈당 측정장치(3)에 방해받는 일 없이, 인슐린 송출장치(2)가 정보처리장치(6)(도 2 참조)와 데이터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즉, 인슐린 송출장치(2)의 송신부(22A)로부터 정보처리장치(6)의 수신부(60B)에 혈당치의 연산 데이터, 혹은 인슐린의 송출 이력 등을 송신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정보처리장치(6)에 있어서, 혈당치의 관리를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인슐린의 투여량의 변경 등에 대해서 검토할 수 있다. 또한, 정보처리장치(6)의 송신부(60A)에서는, 인슐린 송출장치(2)의 수신부(22B)에 데이터 송신을 행해야 할 신호, 혹은 인슐린 투여량의 변경에 관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가 기구(4)에서는, 헤드부(46)를 회전시켜 나사부(45)의 나사식 결합을 해제하는 것에 의해, 혈당 측정장치(3)를 인슐린 송출장치 (2)로부터 떼어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인슐린 송출장치(2)로부터 혈당 측정장치(3)를 간단하고 쉽게 떼어낼 수 있도록 하면, 혈당 측정장치(3)의 메인터넌스를 간단하고 쉽게 행할 수 있고, 또한 입욕시에 시험편 삽입구(32)로부터의 침수를 방지하는데 있어서 편리하다.
여기서, 정보처리장치(6)는, 전형적으로는 퍼스널 컴퓨터이지만, 환자가 손목에 차는 손목시계형의 표시장치 및 퍼스널 컴퓨터에 USB 등으로 접속하는 데이터 관리용 기기 등을 포함하고 있다.
부가 기구(4)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구성을 대신하여, 도 5 내지 도 9에서 부호 4'로 도시한 구성, 혹은 도 10 내지 도 12에서 부호 4"로 도시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다만, 도 5 내지 도 12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먼저 설명한 혈당치 제어 시스템(1A) 및 정보처리장치(6)와 같은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고, 이하에서의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내지 도 9에 도시한 부가 기구(4')는, 인슐린 송출장치(2)에 대해서 혈당 측정장치(3)를 분리시키는 일 없이, 인슐린 송출장치(2)와 혈당 측정장치(3)를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이다. 이 부가 기구(4')를 채용한 혈당치 제어 시스템(1A)에서는, 인슐린 송출장치(2)에 대해서 혈당 측정장치(3)를 접근시키는 것에 의해,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혈당 측정장치(3)의 통신부(30)가 인슐린 송출장치(2)의 수신부(22B)에 대향하는 상태와 도 5B에 도시한 인슐린 송출장치(2)의 통신부(22)가 혈당 측정장치(3)에 방해되는 일 없이 통신할 수 있는 상태를 선택할 수 있다. 즉, 부가 기구(4')를 채용한 혈당치 제어 시스템(1A)에서도, 혈당 측정장치(3)로부터 인슐린 송출장치(2)에 측정 데이터 등이 송신되는 상태와, 인슐린 송출장치(2)와 정보처리장치(6)와의 사이에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상태를 선택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가 기구(4')는, 혈당 측정장치(3)에 설치된 레일(40') 및 인슐린 송출장치(2)에 설치된 걸어맞춤부(41')를 가지고 있다.
레일(40')은, 평활부(42'), 오목부(43A',43B') 및 볼록부(44A',44B',44C')를 가지고 있다. 오목부(43A',43B')는, 인접하는 볼록부(44A',44B',44C')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44A',44B',44C')는, 스프링성을 가지도록 가공되어 있다. 볼록부(44A',44B',44C')의 스프링성은, 볼록부(44A',44B',44C')의 폭, 두께 혹은 구성 재료를 바꾸는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41')는, 혈당 측정장치(3)의 바닥부에 설치된 개구부(46')에 파고 들어가, 레일(40')과 걸어맞춤 하는 것으로, 상부 플랜지편(41A')을 가지고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플랜지편(41A')은, 인슐린 송출장치(2)에 대해서 혈당 측정장치(3)를 이동시킬 때에, 레일(40')에서의 오목부(43A',43B') 및 볼록부(44A',44B',44C')를 따라서 이동하는 것이다.
부가 기구(4')를 채용한 혈당치 제어 시스템(1A)에서는, 도 6A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걸어맞춤부(41')가 레일(40')의 평활부(42')에 위치하고, 인슐린 송출장치(2)의 통신부(22)(송신부(22A) 및 수신부(22B))는 노출되어 있지 않다.
도 6A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인슐린 송출장치(2)에 대해서 혈당 측정장치(3)를 이동시키면,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41')는 볼록부(44A')를 넘어, 오목부(43A')에 위치한다. 이 때, 사용자는 클릭감에 의해 소정 위치(오목부 (43A'))에 걸어맞춤부(41')가 위치하고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도 6B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인슐린 송출장치(2)의 통신부(22)는 송신부(22A)만이 노출된다. 그 때문에, 혈당치 제어 시스템(1A)에서는, 정보처리장치(6)에 대해서, 인슐린 송출장치(2)로부터 혈당치나 인슐린 투여 이력 등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도 6B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인슐린 송출장치(2)에 대해서 혈당 측정장치(3)를 이동시키면,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41')가 볼록부(44B')를 넘어, 오목부(43B')에 위치한다. 이 때, 걸어맞춤부(41')가 볼록부(44B')를 넘고 나서 오목부(43B')에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클릭감에 의해 소정 위치(오목부 (43B'))에 걸어맞춤부(41')가 위치하고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도 6C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인슐린 송출장치(2)의 통신부(22)(수신부(22B) 및 송신부(22A))가 노출된다. 그 때문에, 혈당치 제어 시스템(1A)에서는, 인슐린 송출장치(2)의 송신부 (22A)로부터 정보처리장치(6)의 수신부(60B)에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정보처리장치(6)의 송신부(60A)로부터 인슐린 송출장치(2)의 수신부(22B)에 대해서 인슐린 투여량의 변경 등의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가 기구(4')는 또한, 레일(40')에 잘린부분(notches)(4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잘린부분(45')은, 인슐린 송출장치 (2)에 대해서 혈당 측정장치(3)를 볼록부(44C')를 넘는 위치까지 이동시켰을 때에, 레일(40')와 걸어맞춤부(41')와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부가 기구(4')에서는, 잘린부분(45')을 사이에 두고 걸어맞춤부(41')를 레일(40')로부터 떼어내는 것에 의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슐린 송출장치(2)로부터 혈당 측정장치(3)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혈당 측정장치(3)의 메인터넌스시에 인슐린 송출장치(2)로부터 혈당 측정장치(3)를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메인터넌스의 부담이 경감된다. 또한, 입욕시에 인슐린 송출장치(2)로부터 혈당 측정장치(3)를 분리하면, 혈당 측정장치(3)의 시험편 삽입구(32)로부터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슐린 송출장치(2)로부터 혈당 측정장치(3)를 분리한 상태에서는, 도 5C의 상태와 같이, 인슐린 송출장치(2)의 통신부(22)(수신부(22B) 및 송신부(22A))가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인슐린 송출장치(2)와 정보처리장치(6)와의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부가 기구(4")는, 인슐린 송출장치(2)에 대해서 혈당 측정장치(3)를 분리시키는 일 없이, 인슐린 송출장치(2)와 혈당 측정장치(3)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가 기구(4")는, 혈당 측정장치(3)에 설치된 이음매(40")와, 인슐린 송출장치(2)에 설치된 축받이부(41")를 가지고 있다.
이음매(40")는, 반구부(半球部)(42") 및 축부(43")를 갖는 것이다. 반구부 (42")는, 축받이부(41")와 걸어맞춤하는 부분이다. 축부(43")는, 혈당 측정장치(3)에 연결되는 부분이다. 축부(43")에는, 둘레방향에 복수의 돌기(44")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44")는 축부(43")를 혈당 측정장치(3)에 끼워맞춤하기 위한 것이다. 이 돌기(44")는, 탄성을 가지고 있다. 돌기(44")의 탄성을 단단하게 함으로써, 필요할 때 이외는 축받이부(41")에 대해서 축부(43"(돌기(44"))를 빗나가기 어렵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축받이부(41")는, 이음매(40")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이 축받이부 (41")는 또한, 인슐린 송출장치(2)의 하우징(21)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음매(40") 및 혈당 측정장치(3)는, 인슐린 송출장치(2)에 대해서 회전 가능 및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혈당 측정장치(3)의 시험편 삽입구(32)를, 어느 정도 임의의 방향을 향할 수 있으므로, 측정시의 혈액의 흡입 조작이 용이해진다.
부가 기구(4")를 채용한 혈당치 제어 시스템(1A)에서는, 인슐린 송출장치(2)에 대해서 혈당 측정장치(3)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혈당 측정장치(3)의 통신부(30)가 인슐린 송출장치(2)의 수신부(22B)에 대향하는 상태와, 도 10B에 도시한 인슐린 송출장치(2)의 통신부(22)가 혈당 측정장치(3)에 방해받는 일 없이 통신할 수 있는 상태를 선택할 수 있다. 즉, 부가 기구(4")를 채용한 혈당치 제어 시스템(1A)에서도, 혈당 측정장치(3)로부터 인슐린 송출장치(2)에 측정 데이터 등이 송신되는 상태와, 인슐린 송출장치(2)와, 정보처리장치(6)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상태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혈당치 제어 시스템(1A)에서는, 혈당 측정장치 (3)를 인슐린 송출장치(2)의 이음매(40")로부터 떼어낼 수 있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구성은, 예를 들어 축부(43")에서의 복수의 돌기(44")의 단단함이나 탄성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혈당 측정장치(3)를 인슐린 송출장치(2)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하는 것에 의해, 혈당 측정장치(3)의 메인터넌스가 용이하게 하여, 입욕시에 시험편 삽입구(32) 등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다만, 이들 도면에서는,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먼저 설명한 혈당치 제어 시스템(1A)과 같은 요소에 대해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고, 이하에서의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혈당치 제어 시스템(1B)은, 인슐린 송출장치(2), 혈당 측정장치(3) 및 체내 식입형 연속 혈당 측정장치(7)를 포함하고 있다. 인슐린 송출장치(2)는, 연속 혈당 측정장치(7)와의 무선 데이터 통신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한 혈당치 제어 시스템(1B)은, 인슐린 송출장치(2)와 혈당 측정장치(3)는, 도 4를 참조하여 먼저 설명한 부가 기구(4)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도 13A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혈당 측정장치(3)와 인슐린 송출장치(2)가 서로 접혀져 있고, 혈당 측정장치(3)로부터 인슐린 송출장치(2)에 측정 데이터 등이 송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3B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혈당 측정장치(3)와 인슐린 송출장치(2)는 열려져 있고, 인슐린 송출장치(2)와 연속 혈당 측정장치(7)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 가능한 상태가 되어 있다.
물론, 인슐린 송출장치(2)와 혈당 측정장치(3)와의 결합은, 부가 기구(4)를 대신하여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부가 기구(4')나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부가 기구(4")에 의해 행하여도 좋다.
연속 혈당 측정장치(7)는, 제 2 혈당 측정장치에 상당하는 것이고, 당뇨병 환자의 복부, 어깨, 및 팔 등의 피부에 고정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속 혈당 측정장치(7)는, 하우징(71), 기판(72), 접착층(73) 및 센서 (78)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71)은 하부 개구를 갖는 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하우징(71)은, 방수성 또는 내수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하우징(71)은, 예를 들어, 금속이나 폴리프로필렌(PP)수지 등 투수성이 극히 낮은 재료로 형성된다.
기판(72)은, 하우징(71)의 하부 개구를 막기 위한 것이다. 이 기판(72)은, 배선이 패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각종의 전자 부품이 실장된 것이고, 후술하는 연산부(75), 기억부(76) 및 제어부(77)를 구축하고 있다.
접착층(73)은, 연속 혈당 측정장치(7)를 피부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기판 (72)에 고정되어 있다. 이 접착층(73)은, 예를 들어 양면 테이프 등의 점착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센서(78)는, 혈당치에 관련하는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채취하기 위한 것이다. 이 센서(78)는, 기판(72) 및 접착층(73)을 관통하고 있고, 일단부가 피부의 내부에 심어져 있다. 그 한편으로, 센서(78)는, 타단부가 하우징(71)의 내부에 돌출하고 있고, 타단부에서 기판(7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센서(78)로서는, 예를 들어 효소 반응에 기인하는 전하 이동량을 검출하는 것이 사용된다. 센서(78)는, 도시하지 않지만, 기판상에 작용극 및 반대극을 포함한 전극을 가지고 있다. 전극은, 참조극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전극상에는, 산화 환원 효소인 글루코오스 디하이드로겐나제(glucose dehydrogenase) 등의 효소가 고정되어 있다. 효소는, 도 부의 내부의 간질액(間質液) 등의 체액중의 글루코오스와 반응한다. 센서(78)에서는, 작용극과 반대극 사이에 일정한 전압이 인가되면, 글루코오스의 반응량에 대응한 응답 전류가 흐른다.
연속 혈당 측정장치(7)는 또한, 통신부(74), 연산부(75), 기억부(76), 제어부(77)를 가지고 있다.
통신부(74)는, 송신부(74A) 및 수신부(74B)를 구비하고 있고, 인슐린 송출장치(2)로부터의 명령을 수신하고, 인슐린 송출장치(2)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이 통신부(74)는, 적외광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다. 물론, 통신부(74)를 통한 데이터의 송수에는, 블루투스에서 채용되고 있는 2.45GHz대 등의 다른 주파수(파장)의 빛을 사용해도 좋다.
여기서, 송신부(74A)를 통하여 연속 혈당 측정장치(7)로부터 인슐린 송출장치(2)에 송신되는 데이터에는, 센서(78)를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응답 전류치 등의 생데이터, 생데이터를 전압치 등의 다른 물리량으로 환산으로 한 것, 혈당치의 연산 결과에 관한 데이터, 및 생데이터나 혈당치 연산 데이터를 보정한 데이터가 포함된다. 데이터는, 인슐린 송출장치(2)가 아니라, 혈당 측정장치(3)에 송신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는, 연속 혈당 측정장치(7)로부터 데이터는, 혈당 측정장치(3)로부터 인슐린 송출장치(2)에 더 송신된다.
연산부(75)는, 센서(78)로부터 얻을 수 있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혈당치를 연산하는 것이다. 혈당치의 연산은, 생데이터(혹은 생데이터를 환산한 환산 데이터)에 대해서, 검량선 데이터 및 보정 데이터를 적용하여 행하여진다. 다만, 측정된 데이터로부터의 혈당치의 연산은, 측정 데이터의 송신처의 인슐린 송출장치(2)(혈당 측정장치(3))에서 행하도록 해도 좋다.
기억부(76)는, 혈당치의 측정에 필요한 데이터, 예를 들어 전류치 등의 측정 데이터, 검량선에 관한 데이터 및 보정 데이터를 기억하는 것이다. 또한, 이 기억부(76)는, 연속 혈당 측정장치(7)에서 연산된 혈당치를 기억할 수도 있다.
제어부(77)는, 각 부의 동작을 제어(예를 들어 식입형 센서(78)에 의한 데이터 채취, 송신부(74A)로부터의 데이터 송신, 수신부(74B)에서의 데이터 수신, 혹은 연산부(75)에서의 혈당치의 연산 동작)를 제어하는 것이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슐린 송출장치(2)는, 혈당 측정장치(3)로부터 측정 데이터 등을 수신할 수 있고, 연속 혈당 측정장치(7) 및 외부의 정보처리장치(6)와의 측정 데이터 등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다.
도 13A, 도 13B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슐린 송출장치(2)는, 스위치(28)를 가지고 있다. 이 스위치(28)는, 인슐린 송출장치(2)와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대상을 선택하기 위한 것으로, 인슐린 송출장치(2)의 하우징(21)상에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위치(28)는, 혈당 측정장치(3), 연속 혈당 측정장치(7) 및 외부의 정보처리장치(6)중 어느 하나의 장치와, 인슐린 송출장치(2)가 데이터 통신 가능한 상태를 선택할 수 있다. 스위치(28)는 또한, 혈당 측정장치(3), 연속 혈당 측정장치(7) 및 외부의 정보처리장치(6)중 어느 장치와도 데이터 통신을 행할 수 없도록 상태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더라도 좋다. 또한, 인슐린 송출장치 (2)와의 통신 대상과의 통신은, 복수의 장치에 대해서 동일한 주파수대를 채용해도 좋지만, 통신 대상에 따라서 다른 주파수대를 사용하도록 해도 좋다.
혈당치 제어 시스템(1B)에서는, 연속 혈당 측정장치(7)에서 연속적으로 혈당치가 측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속 혈당 측정장치(7)에서, 센서(78)의 반대극과 작용극과의 사이에 일정 전압을 연속적으로 인가한다. 이것에 의해, 센서(78)에서는 글루코오스 농도에 따른 응답 전류가 출력된다. 이 출력은, 연산부(75)에서 혈당치로 환산된다.
연산된 혈당치 데이터는, 연속 혈당 측정장치(7)의 송신부(74A) 및 인슐린 송출장치(2)의 수신부(22B)를 통하여, 인슐린 송출장치(2)에 송신된다. 혈당치 데이터는, 인슐린 송출장치(2)의 기억부(24)에서 기억된다. 인슐린 송출장치(2)에서는, 체내에의 인슐린 투여의 필요성을 판단하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서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연산한 양의 인슐린을, 펌프(26)를 제어하여 투여한다. 이것에 의해, 인슐린 송출장치(2)에서는, 보다 생리적으로 가까운 조건으로, 혈당치의 경시적인 변동에 기초하여, 인슐린을 체내에 주입할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혈당치를 원하는 범위에 유지할 수 있다.
혈당치 제어 시스템(1B)에서는 또한, 필요에 따라서, 혈당 측정장치(3)에서 혈당치가 측정된다. 혈당 측정장치(3)에서 측정된 혈당치는, 기억부(34)에서 기억되어, 연산부(35)에 의해서 연속 혈당 측정장치(7)에서 측정된 혈당치와 비교된다. 혈당 측정장치(3) 및 연속 혈당 측정장치(7)에서 측정된 혈당치의 괴리가 큰 경우에는 연속 혈당 측정장치(7)의 교정이 행하여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속 혈당 측정장치(7)에서 측정된 혈당치에 관한 측정 데이터(또는 혈당치를 반영한 데이터)는, 연속 혈당 측정장치(7)로부터, 직접 혹은 인슐린 송출장치(2)를 통하여, 혈당 측정장치(3)에 송신된다. 이 측정 데이터는, 연속 혈당 측정장치(7)로부터 혈당 측정장치(3)에 연속적으로 송신해도 좋고, 혈당 측정장치(3)에서 혈당치가 측정되었을 때와 같은 타이밍으로 측정된 것을 송신해도 좋다.
혈당 측정장치(3)에서는, 연산부(35)에 의해서 혈당 측정장치(3) 및 연속 혈당 측정장치(7)에서 측정된 혈당치를 비교한다. 비교의 결과, 그러한 값의 차이가 일정치 이상인 경우에, 연산부(35)에서 쌍방의 혈당치의 차이에 따른 보정 데이터를 작성한다. 이 보정 데이터는, 연속 혈당 측정장치(7)에 송신되어, 연속 혈당 측정장치(7)에서 혈당치를 연산할 때에 참조된다.
물론, 혈당 측정장치(3) 및 연속 혈당 측정장치(7)에서 측정된 혈당치 에 따른 보정 데이터의 작성은, 인슐린 송출장치(2)나 연속 혈당 측정장치(7)에서 행하여도 좋다. 또한, 혈당치의 보정은, 인슐린 송출장치(2)나 혈당 측정장치(3)에서 행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 보정 데이터를 작성하여, 연속 혈당 측정장치(7)에서 얻을 수 있는 혈당치를 보정하도록 하면, 센서(78)에 고정화된 효소가 경시적으로 열화했다고 해도, 정확한 혈당치 측정을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도면에서는,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먼저 설명한 혈당치 제어 시스템(1A)과 같은 요소에 대해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고, 이하에서의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A 내지 도 16C에 도시한 혈당치 제어 시스템(1C)은, 먼저 설명한 혈당치 제어 시스템(1B)(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과 같이, 인슐린 송출장치(2), 혈당 측정장치(3), 및 연속 혈당 측정장치(7)를 포함하고 있다. 다만, 혈당치 제어 시스템(1C)에서는, 인슐린 송출장치(2)와 혈당 측정장치(3)가, 먼저 설명한 부가 기구 (4')(도 6을 참조)에 의해서 서로 미끄럼운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부가 기구(4')는, 인슐린 송출장치(2)에 설치된 걸어맞춤부(41') 및 혈당 측정장치(3)에 설치된 레일(40')를 포함하고 있다.
혈당치 제어 시스템(1C)은 또한, 인슐린 송출장치(2)에 있어서, 먼저 설명한 혈당치 제어 시스템(1B)(도 13내지 도 15를 참조)에 대해서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우선, 혈당치 제어 시스템(1C)은, 인슐린 송출장치(2)에 송신부(22A) 및 수신부(22B)가 혈당 측정장치(3)의 이동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혈당치 제어 시스템(1B)(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과는 다르다.
또한, 혈당치 제어 시스템(1C)은, 인슐린 송출장치(2)에 제 1 스위치(28A) 및 제 2 스위치(28B)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혈당치 제어 시스템(1B)(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과는 다르다. 이러한 스위치(28A,28B)는, 혈당 측정장치(3)의 이동에 따라 온·오프되는 것이다. 즉, 제 1 및 제 2 스위치(28A,28B)의 상방에 혈당 측정장치(3)가 존재할 때에는 제 1 및 제 2 스위치(28A,28B)가 아래로 눌러진 상태가 되고, 스위치(28A,28B)는 온 상태가 된다. 한편, 제 1 및 제 2 스위치 (28A,28B)의 상방에 혈당 측정장치(3)가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제 1 및 제 2 스위치(28A,28B)가 아래로 눌러져 있지 않은 상태가 되고, 제 1 및 제 2 스위치 (28A,28B)는 오프 상태가 된다.
제 1 및 제 2 스위치(28A,28B)는, 인슐린 송출장치(2)에 대한 혈당 측정장치 (3)의 이동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스위치(28A,28B)사이의 중심간 거리는, 레일(40')에서의 오목부(43A',43B')의 중심간 거리에 대응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제 1 및 제 2 스위치(28A,28B)는, 혈당 측정장치(3)의 위치(레일 (40')에 대한 걸어맞춤부(41')의 위치)에 따라서, 제 1 및 제 2 스위치(28A,28B)의 쌍방이 온 상태, 제 1 스위치(28A)가 오프 상태이고 제 2 스위치(28B)가 온 상태, 제 1 및 제 2 스위치(28A,28B)의 쌍방이 오프 상태의 도 16A 내지 도 16C에 도시한 3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도 16A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부가 기구(4')에 있어서, 걸어맞춤부(41')가 레일(40')의 평활부(42')에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 1 및 제 2 스위치 (28A,28B)의 쌍방이 혈당 측정장치(3)에 눌러져서 온 상태가 되어 있다. 한편, 인슐린 송출장치(2)의 통신부(22)(송신부(22A) 및 수신부(22B))는 노출되어 있지 않고, 인슐린 송출장치(2)의 수신부(22B)가 혈당측정 장치(3)의 통신부(30)와 대향하고 있다.
도 16B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부가 기구(4')에 있어서, 걸어맞춤부(41')가 제 1 오목부(43A')에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 1 스위치(28A) 및 제 2 스위치(28B) 중, 제 2 스위치(28B)상에만 혈당 측정장치(3)가 존재한다. 그 때문에, 제 1 스위치(28A)는 오프 상태가 되고, 제 2 스위치(28B)는 온 상태가 되어 있다. 한편, 인슐린 송출장치(2)의 통신부(22)(송신부(22A) 및 수신부(22B))가 노출되어 있다.
도 16C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부가 기구(4')에 있어서, 걸어맞춤부(41')가 제 2 오목부(43B')에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 1 스위치(28A), 제 2 스위치(28B)는 모두 오프 상태가 된다. 한편, 인슐린 송출장치(2)의 통신부(22)(송신부 (22A) 및 수신부(22B))가 노출되어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슐린 송출장치(2)에서의 제 1 스위치(28A) 및 제 2 스위치(28B)의 온 상태 및 오프 상태의 조합은, 혈당 측정장치(3)의 위치에 따라서 3종류 있다. 그 때문에, 제 1 및 제 2 스위치(28A,28B)의 온·오프 상태의 조합에 따라서, 인슐린 송출장치(2)와의 통신대상으로서 3종류의 것으로부터 특정의 통신 대상을 선택하여 데이터 통신을 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스위치(28A,28B)의 쌍방이 온 상태(도 16A참조)일 때는, 인슐린 송출장치(2)의 통신부(22)(송신부(22A) 및 수신부(22B))가 노출되지 않고, 인슐린 송출장치(2)의 수신부(22B)가 혈당 측정장치(3)의 통신부(30)와 대향하고 있다. 따라서, 인슐린 송출장치(2)는, 제 1 및 제 2 스위치(28A,28B)의 쌍방이 온 상태일 때에, 통신대상으로서 혈당 측정장치(3)를 선택하여, 혈당 측정장치 (3)와의 데이터 통신을 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6B 및 도 16C의 상태일 때에는, 인슐린 송출장치(2)의 통신부 (22)(송신부(22A) 및 수신부(22B))가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인슐린 송출장치(2)는 상방 처리장치(6) 또는 연속 혈당 측정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 1 스위치(28A)가 오프 상태, 제 2 스위치(28B)가 온 상태일 때에, 인슐린 송출장치(2)와의 통신 대상으로서 연속 혈당 측정장치(7) (또는 외부의 정보처리장치(6))를 선택하여, 제 1 및 제 2 스위치(28A,28B)의 쌍방이 오프 상태일 때에 인슐린 송출장치(2)의 통신 대상으로서 외부의 정보처리장치 (6)(또는 연속 혈당 측정장치(7))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혈당치 제어 시스템(1C)에서는, 통상은, 예를 들어 도 16B에 도시한 상태가 되어 있다. 즉, 인슐린 송출장치(2)에 있어서, 통신부(22)가 노출되는 동시에, 제 1 스위치(28A)가 오프 상태이고 제 2 스위치(28B)가 온 상태(또는)가 되어 있다. 이 때, 인슐린 송출장치(2)에서는, 제어부(23)에 의해서 제 1 및 제 2 스위치(28A, 28B)의 온·오프 상태의 조합이, 제 1 스위치(28A)가 오프 상태이고 제 2 스위치 (28B)가 온 상태라고 파악된다. 그 때문에, 인슐린 송출장치(2)는, 제어부(23)에 의해서 연속 혈당 측정장치(7)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데이터에 따른 처리를 행하는 상태가 된다.
한편, 인슐린 송출장치(2)가 혈당 측정장치(3)와 데이터 통신을 행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도 16B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도 16A에 도시한 상태가 되도록 혈당 측정장치(3)를 인슐린 송출장치(2)에 대해서 이동시킨다. 이러한 혈당 측정장치(3)의 이동은, 사용자의 손 조작에 의해서 행하여진다. 물론, 도면 외의 버튼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혈당 측정장치(3)가 소정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도 16A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제 1 및 제 2 스위치(28A,28B) 모두 온 상태인 동시에, 인슐린 송출장치(2)와 혈당 측정장치(3)가 데이터 통신을 행할 수 있는 상태에 있다. 그 때문에, 인슐린 송출장치(2)는, 제어부(23)에 의해서 제 1 및 제 2 스위치(28A,28B) 모두 오프 상태라고 파악되어, 혈당 측정장치(3)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고, 그 데이터 통신에 따른 처리를 행하는 상태가 된다. 인슐린 송출장치(2)는, 예를 들어 혈당 측정장치(3)에서 측정하여 혈당치를 수신한다. 인슐린 송출장치(2)에 송신된 데이터는, 도 16B에 도시한 상태로 하는 것에 의해, 그대로의 데이터로서, 혹은 이 데이터에 기초하여 작성한 교정 데이터로서 인슐린 송출장치 (2)로부터 연속 혈당 측정장치(7)에 송신된다.
또한, 인슐린 송출장치(2)가 외부의 정보처리장치(6)와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도 16C에 도시한 상태가 된다. 도 16C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제 1 및 제 2 스위치(28A,28B) 모두 오프 상태인 동시에, 통신부(22)(송신부(22A) 및 수신부(22B))가 노출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인슐린 송출장치(2)는, 제어부(23)에 의해서 제 1 및 제 2 스위치(28A,28B) 모두 오프 상태라고 파악되어, 외부의 정보처리장치(6)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그 데이터 통신 에 따른 처리를 행하는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인슐린 송출장치(2)에서의 인슐린의 투여 이력, 연속 혈당 측정장치(3)에서의 측정 결과(혈당치)를 외부의 정보처리장치(6)에 송신할 수 있다.
혈당치 제어 시스템(1C)에서는, 인슐린 송출장치(2)와의 통신 대상을, 인슐린 송출장치(2)에 대한 혈당 측정장치(3)의 위치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혈당 측정장치(3)의 위치를 선택은, 사용자가 수동(또는 자동) 인슐린 송출장치(2)에 대해서 혈당 측정장치(3)를 상대이동시켜 제 1 및 제 2 스위치 (28A,28B)의 온·오프 상태의 조합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간단하고 쉽게 행할 수 있다.
1A, 1B, 1C :혈당치 제어 시스템
2 : 인슐린 송출장치
3 : 혈당 측정장치
4, 4', 4" : 부가 기구(Attachment mechamisms)
5A : 시험편
5B : 캡
6 : 정보처리장치
7 : 연속 혈당 측정장치(제 2 혈당 측정장치)
22 : (인슐린 송출장치의) 통신부
28 : 스위치
28A: 제 1 스위치
28B : 제 2 스위치
30 : (혈당 측정장치의) 통신부
21 : (인슐린 송출장치의) 하우징
31 : (혈당 측정장치의) 하우징
32 : 시험편 삽입구

Claims (12)

  1. 혈당치를 측정하기 위한 혈당 측정장치와,
    체내에 인슐린을 투여하기 위한 인슐린 송출장치를 구비한 혈당치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인슐린 송출장치와 상기 혈당 측정장치를 서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또한 상기 인슐린 송출장치 및 상기 혈당 측정장치에 설치된 부가 기구 (attachment mechamism)를 더 구비하고 있는 혈당치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기구는, 상기 인슐린 송출장치와 상기 혈당 측정장치를 서로 분리하는 일 없이, 상기 인슐린 송출장치에 대해서 상기 혈당 측정장치를 회전운동 또는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인 혈당치 제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무선 데이터 통신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수단은, 상기 혈당 측정장치로부터 상기 인슐린 송출장치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서 상기 혈당 측정장치에 설치된 제 1 무선 데이터 통신부와, 상기 제 1 무선 데이터 통신부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또한 외부의 정보처리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행하기 위해서 상기 인슐린 송출장치에 설치된 제 2 무선 데이터 통신부를 포함하고 있는 혈당치 제어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기구는, 상기 제 2 무선 데이터 통신부와 상기 정보처리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행할 때, 상기 제 2 무선 데이터 통신부에서의 데이터 통신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상기 혈당 측정장치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혈당치 제어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체내에 심어 사용하는 제 2 혈당 측정장치를 더 갖고,
    상기 혈당 측정장치 및 상기 인슐린 송출장치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제 2 혈당 측정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혈당치 제어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선 데이터 통신부는, 상기 제 2 혈당 측정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인슐린 송출장치는, 통신 대상으로서, 상기 혈당 측정장치 또는 상기 제 2 혈당 측정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는 혈당치 제어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은, 상기 통신 대상으로서, 상기 정보처리장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혈당치 제어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은, 상기 인슐린 송출장치에 설치된 스위치인 혈당치 제어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은, 상기 인슐린 송출장치에 대한 상기 혈당 측정장치의 상대 위치에 따라서, 상기 통신 대상을 선택하는 것인 혈당치 제어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은,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복수의 스위치의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의 조합에 의해, 상기 통신 대상을 선택하는 혈당치 제어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혈당 측정장치 및 상기 인슐린 송출장치는, 방수성 또는 내수성을 갖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는 혈당치 제어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혈당 측정장치는, 시험편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를 폐쇄하기 위한 폐쇄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혈당치 제어 시스템.
KR1020107026248A 2008-04-24 2009-04-24 혈당치 제어 시스템 KR1016033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14548 2008-04-24
JP2008114548 2008-04-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723A true KR20110005723A (ko) 2011-01-18
KR101603357B1 KR101603357B1 (ko) 2016-03-14

Family

ID=41216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6248A KR101603357B1 (ko) 2008-04-24 2009-04-24 혈당치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221346B2 (ko)
EP (1) EP2269671B1 (ko)
JP (1) JP5509071B2 (ko)
KR (1) KR101603357B1 (ko)
CN (1) CN102014986B (ko)
WO (1) WO20091312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77142A1 (en) 2008-01-09 2009-07-09 Smiths Medical Md, Inc Insulin pump with add-on modules
CA2766302A1 (en) 2009-06-30 2011-01-06 Arkray, Inc. Continuous analysis device and sample component control system
US9554704B2 (en) 2011-03-23 2017-01-31 Panasonic Healthcare Holdings Co., Ltd. Living organism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device
JP5997453B2 (ja) * 2011-04-25 2016-09-28 アークレイ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ユーザ端末
CN105531583B (zh) 2013-08-12 2019-11-01 安晟信医疗科技控股公司 密封连接件、可洗涤的分析物计量仪及其制造和使用方法
AU2015247338B2 (en) 2014-04-17 2020-10-08 Z-Integrated Digital Technologies, Inc. Electronic test device data communication
US20150357864A1 (en) * 2014-06-06 2015-12-10 Bayer Healthcare Llc Power source switch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dual-powered electronic devices
CN104667368B (zh) * 2015-03-06 2017-08-15 上海交通大学 控制与计算分离的胰岛素泵动态控制实现方法
WO2017207713A1 (en) * 2016-06-01 2017-12-07 Ascensia Diabetes Care Holdings Ag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powering electronic devices with low voltage batteries
JP6781951B2 (ja) * 2016-10-28 2020-11-1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微生物夾雑物検出装置
JP6829586B2 (ja) * 2016-11-14 2021-02-10 テルモ株式会社 医療用ポンプカバー
CN111954966A (zh) 2018-04-10 2020-11-17 坦德姆糖尿病护理股份有限公司 用于对医疗设备进行感应充电的系统和方法
US11038555B2 (en) 2018-08-06 2021-06-15 Verily Life Scien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NFC communications with a wearable biosensor
US11426101B2 (en) 2018-07-09 2022-08-30 Verily Life Scien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ensors with multimode wireless communications and for enabling NFC communications with a wearable biosensor
EP4355387A1 (en) * 2021-06-14 2024-04-24 Insulet Corporation Hybrid injection-pump insulin deliver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7250A (ja) 1995-05-26 1999-06-29 ミニメ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血液グルコースデータの入力を備えた薬剤注入装置
US20040254434A1 (en) * 2003-06-10 2004-12-16 Goodnow Timothy T. Glucose measuring module and insulin pump combination
US20050192557A1 (en) * 2004-02-26 2005-09-01 Dexcom Integrated delivery device for continuous glucose sensor
US20080060955A1 (en) * 2003-07-15 2008-03-13 Therasense, Inc. Glucose measuring device integrated into a holster for a personal area network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111706T1 (de) 1990-06-06 1994-10-15 Novo Nordisk As Verfahren und gerät zur messung des blut-glukose- gehaltes in vivo.
US5995860A (en) 1995-07-06 1999-11-30 Thomas Jefferson University Implantable sensor and system for measurement and control of blood constituent levels
JP2000515778A (ja) 1996-07-08 2000-11-28 アニマス コーポレーシヨン 体液成分レベルの生体内測定および制御のための埋込可能センサーおよびシステム
EP0936762B9 (en) 1997-05-02 2005-10-05 Seiko Epson Corporation Polarized light communication device
DE19824036A1 (de) 1997-11-28 1999-06-02 Roche Diagnostics Gmbh Analytisches Meßgerät mit Stechhilfe
US20030088238A1 (en) * 2001-09-26 2003-05-08 Poulsen Jens Ulrik Modular drug delivery system
US7524309B2 (en) * 2001-12-28 2009-04-28 Medtronic Minimed, Inc. Variable length flexible conduit feeder
WO2003068071A1 (fr) 2002-02-15 2003-08-21 Arkray, Inc. Adaptateur pouvant etre entierement stocke
JP2004024699A (ja) 2002-06-27 2004-01-29 Asahi Medical Co Ltd 血糖管理システム、血糖管理プログラム、装着システムおよび血糖管理方法
WO2004056412A2 (en) * 2002-12-23 2004-07-08 M2 Medical A/S A disposable, wearable insulin dispensing device, a combination of such a device and a programming controller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such a device
WO2005051170A2 (en) * 2003-11-19 2005-06-09 Dexcom, Inc. Integrated receiver for continuous analyte sensor
US7753879B2 (en) * 2004-01-29 2010-07-13 M2 Group Holdings, Inc. Disposable medicine dispensing device
JP4568523B2 (ja) 2004-04-14 2010-10-27 スー ボン チョイ 無線交信が可能なインシュリンポンプ通信システム
BRPI0609511A2 (pt) * 2005-03-21 2010-04-13 Abbott Diabetes Care Inc sistema incluindo um dispositivo de infusão e uma unidade de monitoramento de analito, método para integrar monitoramento de analito e infusão de fluido, aparelho incluindo um sensor de analito e um canal de suprimento de fluido, e, método de suprimento de fluido e monitoramento de analito
JP3836495B2 (ja) 2005-11-21 2006-10-25 株式会社松風 歯科用粘性材料充填シリン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7250A (ja) 1995-05-26 1999-06-29 ミニメ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血液グルコースデータの入力を備えた薬剤注入装置
US20040254434A1 (en) * 2003-06-10 2004-12-16 Goodnow Timothy T. Glucose measuring module and insulin pump combination
JP2007503288A (ja) 2003-06-10 2007-02-22 セラセン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グルコース測定モジュールとインシュリンポンプの組み合わせ
US20080060955A1 (en) * 2003-07-15 2008-03-13 Therasense, Inc. Glucose measuring device integrated into a holster for a personal area network device
US20050192557A1 (en) * 2004-02-26 2005-09-01 Dexcom Integrated delivery device for continuous glucose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31205A1 (ja) 2009-10-29
US20110046548A1 (en) 2011-02-24
CN102014986B (zh) 2013-09-25
EP2269671A1 (en) 2011-01-05
EP2269671A4 (en) 2013-08-21
CN102014986A (zh) 2011-04-13
US20120277669A1 (en) 2012-11-01
JPWO2009131205A1 (ja) 2011-08-25
US8221346B2 (en) 2012-07-17
US8545437B2 (en) 2013-10-01
KR101603357B1 (ko) 2016-03-14
JP5509071B2 (ja) 2014-06-04
EP2269671B1 (en) 2017-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5723A (ko) 혈당치 제어 시스템
US20220111148A1 (en) Integrated delivery device for continuous glucose sensor
US8052619B2 (en) Blood sensor and blood test apparatus having the same
RU2508899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модульного контроля анализируемого вещества
US7324012B2 (en) Telemetered characteristic monitor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2023547775A (ja) プライミングペン事象と治療ペン事象とを判別するための薬剤注射ペ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